[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4151B1 -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151B1
KR102054151B1 KR1020170119509A KR20170119509A KR102054151B1 KR 102054151 B1 KR102054151 B1 KR 102054151B1 KR 1020170119509 A KR1020170119509 A KR 1020170119509A KR 20170119509 A KR20170119509 A KR 20170119509A KR 102054151 B1 KR102054151 B1 KR 102054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rear side
oil
cylindrical portion
tensio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241A (ko
Inventor
무네히로 마에다
유지 쿠레마츠
오사무 요시다
유다이 타카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80034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1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6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fluid and restriction type, e.g.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9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1Line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7External to inter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간소한 구성으로, 체크 밸브의 설치 상태의 안정성의 확보와 저유실의 용량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플런저(20)와 하우징(50)과 체크 밸브(60)와 코일 용수철(70)을 구비하고, 플런저(20)가, 압압전단부(31)를 갖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30)과, 전방측 플런저 부품(30)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밸브 이동 규제부(42)를 갖는 후방측 플런저 부품(40)로 구성되고, 체크 밸브(60)가, 밸브 이동 규제부(42)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코일 용수철(70)이, 일단이 하우징 저부(53)에 당접함과 동시에, 타단이 체크 밸브(60)의 후방 측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텐셔너(10)이다.

Description

텐셔너{TENSIONER}
본 발명은,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서, 전동 벨트나 전동 체인에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텐셔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유실에 오일을 공급하는 저유실을 구비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인 등의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텐셔너를 이용하는 것이 관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엔진 룸 내의 크랭크축과 캠축의 각각에 마련한 스프로켓(sprocket) 간에 무단현 설정한 롤러 체인 등의 전동 체인을 텐셔너 레버에 의해서 접동 안내를 실시하는 체인 가이드 기구에서,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기 위해서 텐셔너에 의해서 텐셔너 레버를 부세하는 것이 공지이다.
이러한 체인 가이드 기구에 이용되는 공지의 텐셔너는,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을 갖는 플런저와,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공을 갖는 하우징과,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텐셔너에서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오일이 공급됨으로써, 플런저 수용공과 플런저와의 사이에 형성된 압유실이 오일로 채워지고, 오일에 의해 플런저를 전방 측으로 부세함과 동시에, 체크 밸브로 오일 공급공으로부터의 오일의 유출이 저지되고 있다. 이것으로, 플런저의 왕복동에 수반하여 플런저와 플런저 수용공의 사이의 작은 간극을 오일이 흐르고, 그 유로 저항에 의해서 플런저의 왕복동을 감쇠시키는 댐핑 효과를 얻고 있다.
이러한, 공지의 텐셔너에서는, 오일의 공급이 정지된(엔진의 경우, 엔진이 정지한) 후에 장시간 방치하면, 다음의 기동 직후에는 오일의 공급에는 타임 랙(time lag)이 발생하고, 플런저가 왕복동하여도 압유실 내의 오일은 누출될 뿐으로 새롭게 공급되지 않고 압유실 내의 오일이 없어지기 때문에, 플런저의 오일에 의한 댐핑력이 작용하지 않고, 전동 체인이 크게 진동하여 이상음을 발생시키거나, 전동 체인에 손상을 주는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듯이, 플런저(520)의 내부에 저유실(513)을 설치하고, 저유실(513)로부터 압유실(512)에 오일을 공급하는 구조로 하고, 저유실(513) 내에 일정량의 오일을 누출하지 않고 잔류시켜, 장시간 정지 후의 기동 직후에도 저유실(513) 내에 잔류한 오일이 압유실(512)로 공급되고, 플런저(520)의 오일에 의한 댐핑력을 유지하여 체인의 진동을 억제하고 손상을 방지하는 텐셔너(510)가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이들 압유실(512)과 저유실(513)과의 사이에는, 체크 밸브(560)가 설치되고, 이 체크 밸브(560)에 의해서, 전방 측의 저유실(513)로부터 후방 측의 압유실(512)로의 오일의 유입이 허용됨과 동시에, 압유실(512)로부터 저유실(513)로의 오일의 역류가 저지된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텐셔너(510)에서는, 도 9나 도 10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521)에, 후방의 대경공(521a)과, 대경공(521a)의 전방 측에 연속하여 동축형(同軸狀, coaxially)으로 형성된 전방의 소경공(521b)이 형성되고, 이들 대경공(521a)과 소경공(521b)과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부(521c)의 후방 측에 체크 밸브(560)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저부(553)와 체크 밸브(560)와의 사이에 설치된 코일 용수철(570)에 의해서, 전방 측을 향하여 체크 밸브(560)를 부세함으로써, 플런저(5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함과 동시에, 체크 밸브(560)를 단차부(521c)의 후방 측에 고정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6-102534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텐셔너(510)에서는, 플런저(520)의 제조 시에, 대경공(521a) 및 소경공(521b)을 플런저(520)의 후방 측으로부터 가공할 필요가 있고, 밸브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단차부(521c)의 지름 방향의 폭 치수와, 저유실(513)로서 기능하는 전방의 소경공(521b)의 내경이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trade-off relationship)가 되므로, 이하의 문제가 생긴다.
즉, 체크 밸브(560)의 설치 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밸브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단차부(521c)의 폭 치수를 크게 설계하면, 저유실(513)로서 기능하는 소경공(521b)의 내경의 크기가 손상되고, 충분한 양의 오일을 저유실(513)에 저장하지 못하고, 한편, 저유실(513)의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저유실(513)로서 기능하는 소경공(521b)의 내경을 크게 설계하면, 밸브 이동 규제부로서 기능하는 단차부(521c)의 폭 치수의 크기가 손상되어, 체크 밸브(560)의 설치 상태가 안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거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간소한 구성으로, 체크 밸브의 설치 상태의 안정성의 확보와 저유실의 용량의 확보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공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플런저의 사이의 내부 공간을 전방 측의 저유실 및 후방 측의 압유실로 구획하고, 상기 압유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저유실로의 오일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을 구비하는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저유실의 전단 측을 확정함과 동시에 압압 대상을 압압하기 위한 압압전단부를 갖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과, 상기 전방측 플런저 부품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밸브 이동 규제부를 갖는 후방측 플런저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용수철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저부에 당접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체크 밸브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저유실의 전단 측을 확정함과 동시에 압압 대상을 압압하기 위한 압압전단부와, 체크 밸브의 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밸브 이동 규제부를, 별체의 전방측 플런저 부품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으로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밸브 이동 규제부를 갖는 후방측 플런저 부품을 전방 측 및 후방 측의 양측에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플런저를 일 부품으로서 형성했을 경우의, 밸브 이동 규제부의 지름 방향의 폭 치수와 저유실의 내경과의 사이의 치수 설계 상의 제약이 없어지고, 밸브 이동 규제부의 지름 방향의 폭 치수를 크게 설계하고, 체크 밸브의 설치 상태의 안정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저유실의 용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후방측 플런저 부품의 후방측 접동 원통부가, 밸브 이동 규제부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제1 원통부와, 밸브 이동 규제부보다 후방 측에 위치하는 제2 원통부를 갖고 있으므로, 후방측 접동 원통부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댐핑 효과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플런저의 후방 측의 외주면을 동일 부품인 후방측 플런저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플런저의 후방 측의 외주면을 매끄럽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양호한 댐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전방측 플런저 부품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이 각각 접동 원통부를 갖고 있으므로, 각 플런저 부품의 각 접동 원통부의 치수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접동 원통부가 파고 들어가는 양이 적어도 되는 등, 각 플런저 부품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압압전단부가, 제1 원통부의 전단 측에 감합되고 있으므로, 플런저 수용공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접동을, 후방측 플런저 부품의 후방측 접동 원통부에 담당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방측 플런저 부품에 접동 특성을 부여할 필요가 없고, 전방측 플런저 부품의 재료에 관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후방측 접동 원통부의 전단 측에 밸브 이동 규제부를 형성함으로써, 후방측 플런저 부품의 밸브 이동 규제부보다 전방 측 및 후방 측의 양쪽 모두에 접동 원통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후방측 플런저 부품의 가공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체크 밸브를 장착한 플런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플런저 및 체크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런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 종래의 텐셔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종래의 플런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텐셔너(1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자동차 엔진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 이용되는 체인 전동장치에 조입되는 것으로, 엔진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복수의 스프로켓(S1~S3)에 걸어 돌려진 전동 체인(CH)의 처짐 측에 텐셔너 레버(G)를 개입시켜 적정한 장력을 부여하고, 주행 시에 생기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텐셔너(1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21)을 갖는 플런저(20)와, 플런저(20)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공(51)을 갖는 하우징(50)과, 하우징(50) 및 플런저(20)의 사이의 내부 공간(11)에 형성된 전방 측의 저유실(13)로부터 후방 측의 압유실(12)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압유실(12)로부터 저유실(13)로의 오일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60)와, 플런저(20)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70)을 구비하고 있다.
플런저(20)는,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듯이, 전방 측에 배치되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30)과, 전방측 플런저 부품(30)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은, 철 등의 금속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전방측 플런저 부품(30)은,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듯이, 플런저(20)의 전단 측에 배치되어, 저유실(13)의 전단 측을 확정함과 동시에 텐셔너 레버(G) 등의 압압 대상을 압압하기 위한 압압전단부(31)와, 압압전단부(31)의 저면에서 후방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환상의 감합용 돌출부(33)를 갖고 있다.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은,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듯이, 플런저 수용공(51)의 내주면에 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통형의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와,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주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체크 밸브(60)의 전방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원판상(圓板狀)의 밸브 이동 규제부(42)와, 밸브 이동 규제부(4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환공상(丸孔狀)의 관통공(42a)을 갖고 있다.
후방측 접동 원통부(41)는,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듯이, 밸브 이동 규제부(42)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제1 원통부(41a)와, 밸브 이동 규제부(42)보다 후방 측에 위치하는 제2 원통부(41b)를 갖고 있다. 제1 원통부(41a)에는, 그 외주측으로부터 내주 측으로 관통하는 플런저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있다.
또,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듯이, 압압전단부(31)의 외주면과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주면이란, 면일이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또, 압압전단부(31)의 외주면이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주면보다 내주 측에 위치하도록, 압압전단부(31) 및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경 치수를 설정해도 좋고, 이 경우, 압압전단부(31)의 외주면의 가공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낮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듯이, 제1 원통부(41a)의 전단의 내주에 감합용 돌출부(33)을 압입 감합함으로써,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은, 전후 방향 및 주(周)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도록 연결되고 있다.
또, 서로 연결된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의 내측의 공간이, 상술한 플런저공(21)으로서 기능한다.
하우징(50)은, 도 2에 나타내듯이, 플런저 수용공(51)과, 하우징(50)의 외부로부터 플런저 수용공(51) 내로 오일을 공급하는 하우징유 공급공(도시하지 않음)과, 플런저 수용공(51)의 내주벽에 형성되어, 하우징유 공급공(도시하지 않음)과 플런저 관통공(22)을 연통시키는 연통 조정구(52)와, 플런저 수용공(51)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하우징 저부(53)를 갖고 있다.
체크 밸브(60)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듯이, 밸브 이동 규제부(42)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압유실(12) 및 저유실(13)을 구획하고, 압유실(12)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저유실(13)로의 오일의 역류를 저지하는 것이다.
체크 밸브(60)는, 도 3에 나타내듯이, 체크 볼(61)과, 체크 볼(61)을 착석시키는 착석부를 갖는 볼 시트(62)와, 체크 볼(61)을 가이드 하는 리테이너(63)와, 체크 볼(61)과 리테이너(6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체크 볼(61)을 볼 시트(62)의 착석부를 향해서 부세하는 볼 스프링(64)을 갖고 있다.
코일 용수철(70)은, 도 2에 나타내듯이, 압유실(12) 내에 신축 자재로 수납되고, 구체적으로는, 일단이 하우징 저부(53)에 당접함과 동시에, 타단이 체크 밸브(60)(리테이너(63))의 후방 측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런저(20)가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됨과 동시에, 체크 밸브(60)가 밸브 이동 규제부(42)의 후방 측으로 압부(押付)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텐셔너(10)에서는, 하우징유 공급공(도시하지 않음), 연통 조정구(52), 및, 플런저 관통공(22)이, 하우징(50)의 외부로부터 저유실(13)에 오일을 공급하는 공급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연통 조정구(52)는, 플런저(20)(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원통부(41a))의 외주벽 또는 플런저 수용공(51)의 내주벽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하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 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2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같기 때문에, 플런저(2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플런저(20)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게 구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30)이, 도 5에 나타내듯이, 압압전단부(31)와, 압압전단부(31)의 후면에서 후방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플런저 수용공(51)의 내주면에 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와,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후면에서 후방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환상의 감합용 돌출부(33)를 갖고 있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측으로부터 내주 측으로 관통하는 플런저 관통공(22)이,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에 형성되고 있다.
또, 도 5에 나타내듯이,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과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주면이, 면일이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또,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이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주면보다 내주 측에 위치하도록,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와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와의 외경 치수를 설정해도 좋고, 이 경우,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의 가공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낮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제1 원통부(41a)의 내주에 감합용 돌출부(33)를 압입 감합함으로써,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이, 전후 방향 및 주(周)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도록 연결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2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완전히 같기 때문에, 플런저(2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플런저(20)에서도,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의 사이의 연결 구조만이, 제2 실시 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우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전방측 플런저 부품(30)에, 감합용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의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에, 제1 원통부(41a)가 형성되지 않고,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에는,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전면에서 전방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환상의 감합용 돌출부(43)가 형성되고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듯이,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과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주면이, 면일이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또,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이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주면보다 내주 측에 위치하도록,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와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와의 외경 치수를 설정해도 좋고, 이 경우,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의 가공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낮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후단의 내주에 감합용 돌출부(43)을 압입 감합함으로써,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이, 전후 방향 및 주(周)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도록 연결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2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완전히 같기 때문에, 플런저(2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플런저(20)에 대해서도,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의 사이의 연결 구조만이, 제2 실시 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해당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우선,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전방측 플런저 부품(30)에, 감합용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의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에, 제1 원통부(41a)가 형성되지 않고,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전단의 외주면에, 환상구부(環狀溝部)(44)가 형성되고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듯이,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과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주면이, 면일이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또,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이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외주면보다 내주 측에 위치하도록,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와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와의 외경 치수를 설정해도 좋고, 이 경우, 압압전단부(31) 및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외주면의 가공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낮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전방측 접동 원통부(32)의 후단의 내주에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전단부를 압입 감합함으로써,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이, 전후 방향 및 주(周)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도록 연결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텐셔너(10)에 대해서, 도 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2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같기 때문에, 플런저(2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플런저(20)에 대해서도,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의 사이의 연결 구조만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기 때문에,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우선,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전방측 플런저 부품(30)에, 감합용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제1 원통부(41a)의 전단의 내주면에, 환상구부(45)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압전단부(31)의 전면이,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전면보다, 전방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압압전단부(31)의 전면과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전면이 면일이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제5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후방측 접동 원통부(41)의 환상구부(45)의 내주에 전방측 플런저 부품(30)의 압압전단부(31)를 압입 감합함으로써, 전방측 플런저 부품(30)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40)이, 전후 방향 및 주(周)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도록 연결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복수의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텐셔너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가 자동차 엔진용의 타이밍 시스템에 조입(incorporated)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텐셔너의 구체적 용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텐셔너가 텐셔너 레버를 개입시켜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플런저의 선단에 직접적으로 전동 체인의 접동 안내를 실시하여, 전동 체인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동 체인에 의한 전동 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벨트, 로프 등의 유사한 전동 기구에 적용되어도 좋고, 장척물(長尺物, long object)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는 용도이면, 여러 가지의 산업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엔진 블록 등에 장착되는 소위 텐셔너 바디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하우징의 구체적 태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텐셔너 바디에 형성된 바디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소위 슬리브(sleeve)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체크 볼을 볼 시트의 착석부를 향해서 부세하는 스프링을 이용했지만, 이 스프링은, 필수의 구성 부재가 아니고,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체크 볼을 볼 시트의 착석부에 착석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볼 시트를 설치하지 않고, 밸브 이동 규제부의 관통공의 둘레(周緣)에 체크 볼을 직접 착석시켜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의 후방 측의 일부분과 후방측 플런저 부품의 전방 측의 일부분을 압입 감합함으로써, 전방측 플런저 부품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전방측 플런저 부품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의 연결 방법은, 압입 감합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방측 플런저 부품 및 후방측 플런저 부품의 전후 방향 및 둘레(周) 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유동 가능한 삽입이나 계합 등,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 상술한 일부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이나 후방측 플런저 부품에 형성되는 감합용 돌출부가 환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감합용 돌출부의 구체적 태양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방의 플런저 부품에 감합 가능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상술한 감합용 돌출부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분할하여 형성해도 좋다.
10···텐셔너
11···내부 공간
12···압유실
13···저유실
20···플런저
21···플런저공
22···플런저 관통공
30···전방측 플런저 부품
31···압압전단부
32···전방측 접동 원통부
33···감합용 돌출부
40···후방측 플런저 부품
41···후방측 접동 원통부
41a···제1 원통부
41b···제2 원통부
42···밸브 이동 규제부
42a···관통공
43···감합용 돌출부
44···환상구부
45···환상구부
50···하우징
51···플런저 수용공
52···연통 조정구
53···하우징 저부
60···체크 밸브
61···체크 볼
62···볼 시트
63···리테이너
64···볼 스프링
70···코일 용수철

Claims (5)

  1. 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공을 갖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전방 측으로 개구된 플런저 수용공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플런저의 사이의 내부 공간을 전방 측의 저유실 및 후방 측의 압유실로 구획하고, 상기 압유실로의 오일의 유입을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저유실로의 오일의 역류를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플런저를 전방 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을 구비하는 텐셔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저유실의 전단측을 확정함과 동시에 압압 대상을 압압하기 위한 압압전단부를 갖는 전방측 플런저 부품과, 상기 전방측 플런저 부품의 후방 측에 배치된 후방측 플런저 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측 플런저 부품은, 상기 플런저 수용공의 내주면에 접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방측 접동 원통부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밸브 이동 규제부를 갖고,
    상기 후방측 접동 원통부는,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보다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제1 원통부와,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보다 후방 측에 위치하는 제2 원통부를 갖고,
    상기 후방측 접동 원통부의 상기 제1 원통부에는, 그 외주 측으로부터 내주 측으로 관통하는 플런저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는, 상기 플런저 관통공을 갖는 상기 제1 원통부의 내주면, 및 상기 제2 원통부의 내주면보다 내주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방측 플런저 부품은, 상기 제1 원통부의 전단 측에 갑합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이동 규제부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용수철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저부에 당접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체크 밸브에 당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 플런저 부품은, 상기 압압전단부의 저면으로부터 후방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환상의 감합용 돌출부를 갖고,
    상기 감합용 돌출부는, 상기 제1 원통부의 전단의 내주에 압입 감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전단부가, 상기 제1 원통부의 전단 측에 감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셔너.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9509A 2016-09-26 2017-09-18 텐셔너 Active KR102054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6498A JP6767656B2 (ja) 2016-09-26 2016-09-26 テンショナ
JPJP-P-2016-186498 2016-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241A KR20180034241A (ko) 2018-04-04
KR102054151B1 true KR102054151B1 (ko) 2019-12-10

Family

ID=6156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09A Active KR102054151B1 (ko) 2016-09-26 2017-09-18 텐셔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83913B2 (ko)
JP (1) JP6767656B2 (ko)
KR (1) KR102054151B1 (ko)
CN (1) CN107869558B (ko)
DE (1) DE10201721650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9831A (zh) * 2017-06-15 2019-01-04 博格华纳公司 带有刚度可控止回阀的张紧器
WO2019164525A1 (en) 2018-02-26 2019-08-29 Borgwarner Inc Variable force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technology primary bore
JP2020101279A (ja) * 2018-12-21 2020-07-0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内部チェックバルブを含むピストンが備えられたテンショナ
JP7174246B2 (ja) * 2019-02-13 2022-11-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7348484B2 (ja) * 2019-07-12 2023-09-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US20210123509A1 (en) * 2019-10-28 2021-04-29 Borgwarner Inc. Piston side hole orientation in a hydraulic tensioner with an internal reservoir
US12181046B2 (en) 2021-04-13 2024-12-31 Borgwarner Inc. Variable stiffness function through a check valve in a hydraulic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5226A (ja) * 2007-11-07 2009-05-28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09535569A (ja) * 2006-04-28 2009-10-01 イーヴィス モートールジステ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キャップ要素付きチェーンテンショナー
JP2015183767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916Y2 (ja) * 1979-12-08 1983-08-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伝動帯の緊張装置
CA1258594A (en) 1985-03-19 1989-08-22 Itsuo Iwai Tensioner device for wrapping connector driving devic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1215845A (ja) * 1985-03-19 1986-09-25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における巻掛伝動装置のテンシヨナ装置
DE3636919A1 (de) * 1986-10-30 1988-05-05 Schaeffler Waelzlager Kg Kettenspanner
JPH068361Y2 (ja) 1987-09-07 1994-03-02 日鍛バルブ株式会社 液圧式テンシヨナ
JPH084850A (ja) * 1994-06-23 1996-01-12 Nippon Seiko Kk オートテンショナ用ダンパ装置
JP3556775B2 (ja) * 1995-04-13 2004-08-25 Ntn株式会社 ダンパ装置
US5797817A (en) 1995-12-15 1998-08-25 Borg-Warner Automotive, Inc. Hydraulic tensioner with internal reservoir
JPH102534A (ja) 1996-06-14 1998-01-06 Nippon Spindle Mfg Co Ltd 焼却装置の燃焼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FR2787540B1 (fr) 1998-12-22 2005-10-07 Sachs Automotive France Sa Tendeur hydraulique pour chaine ou lien sans fin pour l'equip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3243226B2 (ja) * 1999-02-18 2002-01-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油圧式テンショナ
US20070032322A1 (en) * 2005-08-05 2007-02-08 Beardmore John M Hydraulic chain tensioner assembly
CN103291866B (zh) * 2007-07-23 2016-12-28 博格华纳公司 带有棘齿的模块式液压张紧器
JP5205070B2 (ja) * 2008-01-31 2013-06-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端伝動帯用テンショナ
JP2011058589A (ja) * 2009-09-11 2011-03-24 Ntn Corp オートテンショナ
JP5561584B2 (ja) * 2010-01-20 2014-07-30 Ntn株式会社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267045B2 (ja) * 2014-04-11 2018-01-2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6415276B2 (ja) 2014-11-28 2018-10-3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JP6813780B2 (ja) * 2017-03-21 2021-01-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5569A (ja) * 2006-04-28 2009-10-01 イーヴィス モートールジステ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キャップ要素付きチェーンテンショナー
JP2009115226A (ja) * 2007-11-07 2009-05-28 Ntn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2015183767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テンショ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83913B2 (en) 2020-06-16
DE102017216503B4 (de) 2023-08-31
CN107869558A (zh) 2018-04-03
JP2018053909A (ja) 2018-04-05
JP6767656B2 (ja) 2020-10-14
US20180087628A1 (en) 2018-03-29
CN107869558B (zh) 2020-06-23
KR20180034241A (ko) 2018-04-04
DE102017216503A1 (de)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151B1 (ko) 텐셔너
KR102217409B1 (ko) 텐셔너
KR101889602B1 (ko) 텐셔너
KR20170024536A (ko) 텐셔너
US10767740B2 (en) Tensioner
CN110259898B (zh) 张紧装置
CN108799426B (zh) 链条张紧装置
US10634223B2 (en) Tensioner
CN112065939B (zh) 张紧装置
US20180274636A1 (en) Tensioner
US20190011022A1 (en) Tensioner
KR20190099134A (ko) 체인 텐셔너
US10323730B2 (en) Tensioner
KR20210007836A (ko) 텐셔너
US10837527B2 (en) Tensioner
KR102072408B1 (ko) 텐셔너
US20170108093A1 (en) Tensioner
JP5257733B2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102108942B1 (ko) 텐셔너
JP2018165571A (ja) 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