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466B1 -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7466B1 KR102057466B1 KR1020190000874A KR20190000874A KR102057466B1 KR 102057466 B1 KR102057466 B1 KR 102057466B1 KR 1020190000874 A KR1020190000874 A KR 1020190000874A KR 20190000874 A KR20190000874 A KR 20190000874A KR 102057466 B1 KR102057466 B1 KR 102057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user terminal
- providing
- billing
- net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8—Provision for limiting connection, or expendi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APN을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데이터 차단 기능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APN(Access Point Name)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 경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접속 경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a data network and receives a data service using an APN,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n access path of a user terminal through one of a plurality of access point names (APNs) classified according to data blocking fun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ective data providing method for selectively provid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gnized access path, and an apparatus theref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서비스받을 때 선택적으로 데이터 접속을 차단하여 부당 데이터 과금을 방지하는 데이터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APN을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데이터 차단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APN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제공장치에 접속하여, MMS 또는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음으로써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여 부당 과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that prevents unfair data charging by selectively blocking data access when a user terminal accesses a packet data network to receive data.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network.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set when accessing the data service using the APN, the data is charged by accessing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nother data network using another APN and receiving only MMS or non-billing data. By preventing the provision of unfair charges will be prevented.
일반적으로 WCDMA 네트워크에서 이용하는 APN은 Access Point Name의 약자로, 3GPP망에서 PDN(Packet Data Network)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WCDMA 단말기에서 APN을 이용하여 데이터 접속 요청을 올리면, GGSN은 APN에 따라 IP 할당 및 해당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 여부를 결정한다. In general, APN used in a WCDMA network stands for Access Point Name, and indicates the location of an access point for accessing a PDN (Packet Data Network) in a 3GPP network. When a WCDMA terminal issues a data access request using an APN, the GGSN determines an IP allocation and access to the data network according to the APN.
도 10은 종래 WCDMA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트래픽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flow of a data providing service in a conventional WCDMA network.
도 10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10)는 APN(예, web.rstelecom.com)을 이용하여 GGSN(1030)에 접속하여 IP를 할당받고, PDN A(1040)를 통해 외부 인터넷 접속이나 MMS 서버(1050)로부터 MMS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다.In the case of FIG. 10, the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10)가 스마트폰과 같이 데이터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 의도와는 무관하게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동 통신망(3G망)을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과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3G 데이터 차단” 기능을 지원하며, 이를 선택한 경우 모든 데이터 접속을 차단하여 부당 데이터 과금을 방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사용자 단말기(1010)에서 “3G 데이터 차단” 기능을 적용하여 데이터 접속을 막으면 부당 데이터 과금의 소지는 없으나, 비과금으로 이루어지는 MMS 서비스의 송수신(MMS 송신: 건당과금, 수신: 비과금)이나 비과금 정보성 데이터 서비스들까지 모두 제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들까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If the
전술한 사정을 감안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APN을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데이터 차단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APN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여, MMS 또는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음으로써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여 부당 과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선택적 데이터를 위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another data network using another AP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set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data network and receives a data service using the AP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optional data and an apparatus therefor that can prevent unauthorized charging by blocking the provision of charging data by receiving only MMS or non-billing data.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 장치는, 복수의 APN(Access Point Name)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 경로를 인식하는 접속 인식부; 및 상기 접속 인식부에서 인식된 접속 경로에 따라, 상기 통신망에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includes a connection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recognize an access path of a user terminal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APNs; And a data providing unit selectively provid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ath recognized by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더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통신부와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와 어플리케이션부에 의하여,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에 따라 복수의 APN(Access Point Name)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APN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접속 경로에 따라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d an application unit for the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application unit, a plurality of APN (Access Point Name)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t provides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ccess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y one of), and selectively receive data according to the access path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PN.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복수의 APN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경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접속 경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ata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recognizing a connection path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APNs; And selectively provid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gnized access path.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접속 시 "3G 데이터 차단" 설정에 따른 동적 APN을 이용함으로써, 과금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MMS와 같은 데이터 트래픽과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원치 않는 부당한 데이터의 과금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dynamic APN according to the "3G data blocking" setting when connecting the data,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block only the billing data, and can only receive data traffic and non-billing data such as MMS, so that the user does not want Unfair data charging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 장치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제공장치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또는 해제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WCDMA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트래픽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block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having a server func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option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ective data reception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flow according to setting or releasing a data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ffic flow of a data providing service in a conventional WCDMA network.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s of th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elective dat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10), 통신망(120), 데이터제공장치(130) 및 MMS(Multi Media Service) 서버(14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optional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시,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시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받으며, 과금 데이터의 트래픽이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When the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고, 통신망(120)이 인터넷이나 PSTN인 경우 컴퓨터 단말기 등 유선 단말기가 될 수 있다.Here, the
통신망(120)은 이동 통신망, 패킷 전송망, 무선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망(120)은 제1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A)(122)와 제2 데이터 네트워크(PDN B)(124)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APN(Access Point Name)을 이용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2 APN을 이용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The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10)에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10)에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하면서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한다.The
여기서,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 및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10)로 구현할 수 있다.Here, the
MMS 서버(140)는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 또는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MMS 메시지를 제공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으로, 통신부(210), 입력부(220), 어플리케이션부(230), 저장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통신부(210)는 데이터제공장치(130)와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한다.The
입력부(220)는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의 데이터 제공에 대한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 차단 기능을 설정할 때 이용된다.The
어플리케이션부(230)는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시,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하여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비과금 데이터만을 제공받으며, 과금 데이터의 트래픽이 차단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When setting the data blocking function, the
또한, 어플리케이션부(230)는,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시,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하여,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released, the
저장부(240)는 제1 APN 및 제2 APN에 관한 APN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디스플레이부(250)는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입력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50)는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 스크린 형태로 일체화시켜 구성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제공 장치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block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제공 장치(130)는, 통신부(310), 데이터 제공부(320), 접속 인식부(330) 및 데이터베이스(34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120)을 통해 통신한다.The
데이터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으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고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한다.When the
또한, 데이터 제공부(32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가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접속 인식부(3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하는지,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하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인식한다.The
데이터베이스(340)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럭을 나타낸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block of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having a server functio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의 사용자 단말기(110)와는 다르게 도 3의 데이터 제공 장치(130)와 같이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으로, 통신부(410), 입력부(420), 어플리케이션부(430), 저장부(440) 및 디스플레이부(45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통신부(410)는 통신망(120)을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한다.The
입력부(42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기능을 서버 기능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이나 단말기의 기능 조작에 관한 명령 등을 입력한다.The
어플리케이션부(43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으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고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중계한다.The
또한, 어플리케이션부(4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지,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인식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4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하여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가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중계한다.In addition, when the
저장부(440)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접속 방식을 저장하거나,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상태를 저장한다.The
디스플레이부(450)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5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optional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S510).5, the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 상태인 경우(S520a),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하고(S530a),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설정된 상태인 경우(S520b)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한다(S530b).Subsequently,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a release state of the data blocking function (S520a), the
한편,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한 경우, APN A를 이용한 PDN A를 통해 접속한 것으로 인식하여(S540a),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제공한다(S550a).Meanwhile, when the
또한,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한 경우, APN B를 이용한 PDN B를 통해 접속한 것으로 인식하여(S540b)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고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한다(S550b).In addition,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ective data reception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먼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확인한다(S610).Referring to FIG. 6, in a state where an application of a client function for an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is installed, the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620-예), 제2 APN을 이용한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한다(S630).Subsequently, when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is set to the data blocking function (S620-Yes), the
이어, 사용자 단말기(110)는 MMS 서버(140)로부터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MMS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는다(S640).Subsequently, the
한편,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가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S620-아니오), 제1 APN을 이용한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130)에 접속할 수 있다(S650).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사용자 단말기(110)는 데이터제공장치(130)로부터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S660).In this cas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제공장치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data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접속하면(S710),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했는지,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했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확인한다(S720).Referring to FIG. 7, when the
이어,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접속 방식이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 경우(S730-예), 사용자 단말기(110)에 대해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인식한다(S740).Subsequently, when the access method is a connection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S730-Yes), the
이어, 데이터제공장치(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PDN B)를 통해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750). 즉,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PDN B)를 통해 외부 인터넷 접속 트래픽을 차단하고, MMS 메시지 등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차단 기능의 설정 또는 해제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 the
한편, 데이터제공장치(130)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방식이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 경우(S730-아니오),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한다(S760).Meanwhile, when the access method of the user terminal is a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S730-No), the
그리고, 데이터제공장치(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PDN A)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를 제공한다(S770). As shown in FIG. 9, th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tional data providing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400)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 서비스에 대한 서버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통신망(120)을 통해 접속한 경우(S810),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를 통해 접속했는지,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를 통해 접속했는지에 관한 접속 방식을 확인한다(S820).Referring to FIG. 8, when the
이어, 사용자 단말기(400)는 접속 방식이 제2 APN을 이용해 제2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 경우(S830-예), 사용자 단말기(110)에 대해 데이터 차단 기능으로 인식한다(S840).Subsequently, when the access method is a connection through the second data network using the second APN (S830-Yes), the
이어, 사용자 단말기(400)는 제2 데이터 네트워크(124)(PDN B)를 통해 MMS 데이터 또는 비과금 데이터만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되도록 중계한다(S850).Subsequently, the
한편,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방식이 제1 APN을 이용해 제1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인 경우(S830-아니오), 데이터 차단 기능의 해제로 인식한다(S860).Meanwhile, when the access method of the user terminal is a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data network using the first APN (S830-No), the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400)는 제1 데이터 네트워크(122)(PDN A)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비과금 데이터 및 과금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중계한다(S870).In addition,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APN을 이용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데이터 차단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APN을 이용하여 다른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제공장치에 접속하여, MMS 또는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음으로써 과금 데이터의 제공을 차단하여 부당 과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동적 APN을 이용한 선택적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the data network and receives a data service using the APN, when the data blocking function is set, the data providing apparatus through the other data network using another APN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selective data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dynamic AP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to be provided with only the MMS or non-billing data to block the provision of the billing data to prevent fraudulent bill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Should b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은 APN(Access Point Name)을 이용하여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기나,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erminal accessing a data network using an access point name (APN), a system for providing a data providing service through a data network, and the like.
100 : 선택적 데이터 제공 시스템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통신망 130 : 데이터제공장치
140 : MMS 서버 210 : 통신부
220 : 입력부 230 : 어플리케이션부
240 : 저장부 250 : 디스플레이부
310 : 통신부 320 : 데이터 제공부
330 : 접속 인식부 340 : 데이터베이스
400 : 서버 기능의 사용자 단말기 410 : 통신부
420 : 입력부 430 : 어플리케이션부
440 : 저장부 450 : 디스플레이부100: optional data providing system 110: user terminal
120: communication network 130: data providing device
140: MMS serv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input unit 230: application unit
240: storage unit 250: display unit
310: communication unit 320: data providing unit
330: connection recognition unit 340: database
400: user terminal of the server function 410: communication unit
420: input unit 430: application unit
440: storage unit 450: display unit
Claims (9)
복수의 APN(Access Point Name)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 경로를 인식하는 접속 인식부;
상기 접속 인식부에서 인식된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를 확인하여,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에 따라 데이터 차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제공 장치.A data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A connec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n access path of a user terminal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access point names (APNs);
The wireless network is checked according to a connection path recognized by the connection recognition unit, and whether the data blocking stat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nected wireless network is recognized to recognize a setting state of a data service func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a data providing unit for selectively providing at least one of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setting state of a service function.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모두 제공하거나, 과금 데이터는 차단하고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providing unit,
The data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both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or to block the billing data and to provide only the billing data.
외부 인터넷 접속 트래픽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제공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providing unit,
A data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ively block external Internet access traffic.
상기 통신부와 어플리케이션부에 의하여,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에 따라 복수의 APN(Access Point Name)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APN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를 확인하여,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에 따라 데이터 차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A user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n application unit for an optional data providing service,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application unit,
Acces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access point names (APNs) according to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According to an access path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PNs, the connected wireless network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is blocked according to the connected wireless network, thereby recognizing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and the data service function. And at least one of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is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a setting state of the terminal.
상기 접속 경로에 따라서,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를 모두 제공받거나, 비과금 데이터만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access path,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both billing data and non-billing data, or only non-billing data.
상기 접속 경로에 따라서, 외부 인터넷 접속 트래픽이 아닌 데이터만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access path,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data is provided, not the external Internet access traffic.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면, 복수의 APN 중 어느 하나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경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접속 경로에 따라,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를 확인하여, 접속된 무선 네트워크에 따라 데이터 차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기능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과금 데이터 및 비과금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데이터 제공을 위한 방법. A data providing device for providing data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the user terminal accesses, recognizing a connection path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ny one of a plurality of APNs;
According to the recognized access path, the connected wireless network is checked, and whether the data is block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nected wireless network, thereby recognizing the setting state of the data service function for the user terminal, Selectively providing at least one of charging data and non-bill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setting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00874A KR102057466B1 (en) | 2019-01-03 | 2019-01-03 |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00874A KR102057466B1 (en) | 2019-01-03 | 2019-01-03 |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105217A Division KR101937235B1 (en) | 2010-10-27 | 2010-10-27 |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03855A KR20190003855A (en) | 2019-01-09 |
| KR102057466B1 true KR102057466B1 (en) | 2019-12-19 |
Family
ID=6501726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00874A Active KR102057466B1 (en) | 2019-01-03 | 2019-01-03 |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57466B1 (en) |
-
2019
- 2019-01-03 KR KR1020190000874A patent/KR102057466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03855A (en) | 2019-01-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23211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Appling History Information of Terminal in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and Converged Personal Network Service Server, Mobile Communication and End Device therefor | |
| KR101494068B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subscriber identity data in a wireless network | |
| US8620270B2 (en) |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operability between cellular and other wireless systems | |
| KR101350692B1 (en) | Mobile terminal and direct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 |
| EP246989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billing method for wireless terminal device | |
| WO2018107822A1 (en) | Traffic accounting method and system, and control server | |
| KR10216892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allets between mobile devices | |
| KR2007010007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billing service in mobile terminal | |
| KR10193723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a data using a dynamic Access Point Name | |
| KR102057466B1 (en) | Data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 |
| US20070072641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Equipment Depersonalization | |
| US2011011793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nd providing domain service | |
| KR100824058B1 (en) | Parking management system using IP-based exchange (IPP) | |
| WO2018018604A1 (en) | Data service control method, relevant device and system | |
| US20150356534A1 (en) | Content provider charged gateway | |
| JP2003264859A (en) |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closed network / wide area network connection device, map content merging device, and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 |
| WO2017221977A1 (en) | Virtual network system, management device, virtual network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 |
| KR100928872B1 (en) | Method of providing bill based on wireless push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 |
| US11425174B2 (en) | System for content triggered high-speed data service delivery independent of media delivery mechanisms | |
| KR101648885B1 (en) | a smart pay phone and operation method that having smart card reader that recognize smart card including universal subscriber information | |
| KR100721848B1 (en) |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caller ID service | |
| JP6888047B2 (en) |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 KR100377408B1 (en) | Method for serving paid telephone service using internet | |
| KR101197742B1 (en) | Processing data visually on automatic response system and interactive voice response | |
| KR101685965B1 (en) | Internet contents billing method using mobile telephone networ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L13-X000 |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