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2374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374B1
KR102052374B1 KR1020130040883A KR20130040883A KR102052374B1 KR 102052374 B1 KR102052374 B1 KR 102052374B1 KR 1020130040883 A KR1020130040883 A KR 1020130040883A KR 20130040883 A KR20130040883 A KR 20130040883A KR 102052374 B1 KR102052374 B1 KR 10205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door
refrigerator
dike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8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3719A (en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74B1/en
Publication of KR2014012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7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한 쌍의 측부 다이크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중앙 다이크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다이크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제1바스켓과, 상기 측부 다이크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중앙 다이크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제2바스켓과, 상기 중앙 다이크의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측부 다이크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착탈부재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3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제1바스켓에 보관된 저장물이 제3바스켓과 간섭될 경우, 제3바스켓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pair of side dikes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i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 central dyke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a first basket mounted on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pair of side dikes,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dike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dike. And a second basket to be mounted, a fixing memb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dike, and a detachable member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dike, and a third basket mounted inside the detachable member. The detachable member may be mounted to rotate the third basket when the storage stored in the first basket interferes with the third basket. It features.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복수의 바스켓이 장착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baskets on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freezing or refrigerating food or the like by discharging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for freezing food or drink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storing the food or drink at low temperature.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으로 나뉘어진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Top Mount-Type in which a freezer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Bottom Freezer-Type in which the freezer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freezer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It is divided into Side By Side-Type.

한편, 냉장고의 내부 공간은 한정적이므로, 냉장실 및 냉동실 외에도 추가적인 수납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내측면에 복수의 바스켓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or is limited, a plurality of baskets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to provide additional storage space in addition 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그런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된 바스켓 중 특정 바스켓에 음식물 기타 물품이 수납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바스켓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공간(死空間)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바스켓의 하부에 위치한 소정의 공간에서 일정 높이를 형성하는 물품이 수납되는 경우, 바스켓이 설치된 위치를 유지함에 따라 일정 높이를 형성하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101570호에 의하면, 일정 높이를 형성하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회동가능한 바스켓을 개시하지만, 바스켓이 회동하는 부분 모두가 사공간이 되어 공간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However, even when food or other items are not stored in a specific basket among the basket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dead spaces are generated as the baske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particular, when the article forming a certain height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space located under the basket, the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article forming a certain height can be limited by maintaining the position in which the basket is installed. According to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1-101570, a basket that can be rotated is disclosed to store an article having a certain height, but all of the portions in which the basket is rotated become dead spaces, which can reduce space efficiency.

또한, 저장되는 물품의 형상에 따라 다른 바스켓과 간섭되는 경우가 있어서 바스켓의 위치를 서로 바꾸거나 장착 각도를 바꿀 필요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article to be stored, it may interfere with other baskets,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s of the baskets or to change the mounting angle.

그런데,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바스켓들 간에 호환성이 없어 바스켓들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회동가능한 바스켓은 고정적인 각도로 설치되는 바스켓과 호환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baskets cannot be changed because of incompatibility between the basket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In particular, the rotatable basket has a problem that is incompatible with the basket is installed at a fixed angle.

바스켓의 호환성을 위해 고정적인 바스켓과 회동가능한 바스켓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도어 내측면의 장착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경우에도 구조가 복잡해지고 도어 제작시에 그러한 복잡한 형상을 가진 도어를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For the compatibility of the basket, it is possible to form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inner side of the door so that the fixed basket and the pivotable basket can be selectively mounted. There is a difficulty to do.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형상이 다른 바스켓을 그 위치를 쉽게 바꾸어 도어에 장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baskets having different shapes can be easily changed in position and mounted on a do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한 쌍의 측부 다이크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중앙 다이크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다이크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제1바스켓과, 상기 측부 다이크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중앙 다이크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제2바스켓과, 상기 중앙 다이크의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측부 다이크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착탈부재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3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제1바스켓에 보관된 저장물이 제3바스켓과 간섭될 경우, 제3바스켓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air of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therei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lo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door. A side dike, a central dike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door, a first basket mounted on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pair of side dikes,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side dike, and the center A second basket mounted on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dyke,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dike, and a detachable member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dike, and mounted inside the detachable member. And a third basket, wherein the detachable member includes a third basket when the storage stored in the first basket interferes with the third basket.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so as to rotate.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한 쌍의 측부 다이크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중앙 다이크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다이크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제1바스켓과, 상기 측부 다이크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중앙 다이크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제2바스켓과, 상기 중앙 다이크의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측부 다이크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착탈부재와, 상기 착탈부재의 내측에 장착되고 회동축을 가진 제3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재 및 제3바스켓과 상기 제2바스켓이 서로 위치를 바꾸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부재의 장착부 사이의 폭과 상기 제2바스켓의 장착부 사이의 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therei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a pair of side dikes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i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door. A central dyke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ide, a first basket mounted to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side dikes,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dike and one side of the central dike. A second basket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 a fixing memb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dike, a detachable member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dike, and a rotating shaft mounted inside the detachable member. And a three basket, wherein the detachable member, the third basket, and the second basket can be mounted in a different position. Material width between the width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basket, between 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the same.

상기 제2바스켓과 상기 제3바스켓은 그 형태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basket and the third basket have different shapes.

상기 측부 다이크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중앙 다이크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고 적어도 상부에 개방면을 가진 바스켓본체와, 상기 바스켓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방면을 개폐하는 바스켓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 basket body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dike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dike, the basket main body having an open surface on at least a top thereof, and a basket rotatably mounted on the basket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surface. It may include a cover.

상기 바스켓본체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회동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커버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동축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축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pivot shaft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ket body, and a pair of pivot shaft holes ar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pivot shaft projec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cover.

상기 바스켓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Both sides of the basket body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o b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상기 바스켓본체의 개방면은 상부와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커버는 상기 바스켓본체의 개방면을 개폐하도록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 surface of the basket body is formed on the upper and front portions, the basket cover is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surface of the basket body,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착탈부재는, 상기 중앙 다이크와 상기 측부 다이크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한 쌍의 착탈부와, 상기 한 쌍의 착탈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etachable member includes a pair of detachable parts attached to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center dike and the side dik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pair of detachable parts to each other.

상기 한 쌍의 착탈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장착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moun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detachable parts so as to b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fixing protrusions.

상기 제3바스켓은 양측면에 회동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착탈부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기 회동축돌기가 삽입되는 회동축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basket is provided with rotation shaft protrusions on both sides, and the pair of detachable parts are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groov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protrusions are inserted.

상기 연결부의 후측면에는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된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착탈부재가 상기 도어에 장착될 때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그루브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hook protruding toward the door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groove on which the hook is inserted and fixed when the detachable member is mounted on the door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상기 제3바스켓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동축돌기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회동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착탈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동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호형의 안내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Both sides of the third basket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rotrus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proj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member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guide groove that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projection.

상기 안내홈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돌기의 전단면에는 상기 스토퍼돌기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스토퍼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topper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and a stopper groove fixed to the stopper protrusion is fixed to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otating protrusion.

상기 제3바스켓은 상기 회동축돌기의 뒤쪽 후단부의 높이가 전단부보다 더 낮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hird basket has a height lower than a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pivot shaft protrusion.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바스켓이 하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후단부의 상단 모서리가 걸리도록 이루어진 돌출리브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side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rib made to catch the upper edge of the rear end when the third basket is rotated downward.

상기 제3바스켓의 전면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내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제3바스켓이 상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걸림리브가 걸리도록 이루어진 돌출리브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rib protruding forward is provided at the upper front end of the third basket, and a protruding rib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door to catch the locking rib when the third basket is rotated upward.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냉장고의 도어 내측면에 서로 형상이 다른 바스켓을 그 위치를 쉽게 바꾸어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askets having different shapes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door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by changing their positions.

또한, 바스켓에 수납되는 저장물의 형상에 따라 저장물과 간섭되는 바스켓을 회동시켜 사용함으로써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can be efficiently used by rotating the basket that interferes with the stora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torage stored in the basket.

또한, 고정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의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회동 바스켓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basket can be easily mounted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the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the fixed baske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에서 바스켓들이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바스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바스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바스켓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바스켓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바스켓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에 바스켓들의 위치를 바꾸어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a)에 따른 사용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baskets separated from the door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basket.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baske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basket.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basket.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cond bas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baskets are mounted in a different position in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according to FIG. 8 (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냉장고는 본체(10) 내부에 냉장실(20)과 냉동실이 상하로 배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Type)의 냉장고이다. 상기 냉장실(20)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0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내동실도어(40)는 서랍형 도어이다.The illustrated refrigerator is a bottom freezer-type refrigerator in which the refrigerating chamber 20 and the freezing chamber are disposed up and down inside the main body 10.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that opens and closes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is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ner chamber door 40 which opens and closes the freezing compartment is a drawer-type door.

본 발명은 도시된 형태의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 내면에 복수의 바스켓이 장착되는 도어라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refrigerator of the illustrated type,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door in which a plurality of baskets are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상기 냉장실(20)의 내부에는 주로 상부에 복수의 선반(22, 2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선반(22)은 캔틸레버 형태의 선반가이드에 장착되고, 상기 선반(24)은 냉장실(20)의 좌우 측벽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선반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다.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a plurality of shelves 22 and 24 may be mount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shelf 22 may be mounted on a shelf guide having a cantilever shape, and the shelf 24 may b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helf support parts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20.

상기 냉장실(20)의 하부에는 복수의 서랍(26, 28)이 인출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그 위에는 선반이 장착되어 저장물이 수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rawers 26 and 28 may be detachably moun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0, and a shelf may be mounted thereon to store a storage.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바스켓이 장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askets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내측면 중간부에 제1바스켓(400)이 장착되고, 상부에 제2바스켓(200)과 제3바스켓(300)이 좌우로 배치되며, 하부에 제4바스켓(45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바스켓(400)과 제4바스켓(450)은 도어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3개 이상이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the first basket 400 is mounted on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the lower The fourth basket 450 is mounted on the. The first basket 400 and the fourth basket 450 may be mounted one or three or mor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oor.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로서 도어 다이크(110, 120)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 다이크(110, 120)는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형성된다.Door dikes 110 and 120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to mount the plurality of baskets. In general, the door dikes 110 and 120 protrude along the inner edg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상기 도어 다이크(110, 120)는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 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한 쌍의 측부 다이크(110)와, 상기 도어의 내측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상기 중앙 다이크(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dikes 110 and 120 may have a pair of side dikes 110 protruding vertically on both inner sides of the door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enter dikes 120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door. ) May be included.

상기 제1바스켓(400)과 제4바스켓(450)은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측부 다이크(110) 사이에 하나씩 장착되는 반면에, 상기 제2바스켓(200)과 제3바스켓(300)은 상기 측부 다이크(110)와 중앙 다이크(120) 사이에 옆으로 나란히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basket 400 and the fourth basket 450 are mounted one by one between the side dikes 110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whereas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are The side dike 110 and the central dike 120 may be mounted side by side side by side.

즉, 중앙 다이크(120)는 상기 제2바스켓(200)과 제3바스켓(300) 사이에 배치된다.That is, the central dike 12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도 2에는 도 1의 냉장실도어에서 바스켓들이 분리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kets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door of FIG. 1.

상기 복수의 바스켓은 상기 도어 다이크(110, 120)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112, 114, 12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The plurality of baskets are detachably mounted to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2, 114, and 122 formed on the door dikes 110 and 120, respectively.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다이크는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측부에서 상하로 길게 돌출형성된 측부 다이크(110)와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상부에 상하로 비교적 짧게 돌출형성된 중앙 다이크(120)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dike has a side dike 110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and a central dike 120 protruding relatively shortly up and down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Include.

상기 측부 다이크(110)의 내측면과 상기 중앙 다이크(120)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고정돌기(122)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22 may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side dike 110 and both sides of the central dike 120, respectively.

상기 제2바스켓(200)과 제3바스켓(300)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122)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122)에 착탈부(350)를 장착한 다음 이 착탈부(350)에 장착될 수 있다.One of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may be detachably mounted directly to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22, and the other of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22. 350 may be mounted on the detachable part 350.

이하에서는 제2바스켓(200)이 고정돌기(122)에 직접 장착되고 제3바스켓(300)이 착탈부(350)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바스켓(200)과 제3바스켓(300)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한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더라도 반대의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됨이 이해될 것이다.Hereinafter, the second basket 200 will be directly mounted to the fixing protrusion 122 and the third basket 3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mounted via the detachable part 350.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s of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may be interchanged as described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reverse case even if the description is limited to one case. will be.

상기 제2바스켓(200)은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122)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3바스켓(300)은 상기 착탈부(35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basket 200 may be detachably mounted directly to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122, and the third basket 300 may be rotatably mounted to the detachable part 350.

상기 제2바스켓(200)과 상기 제3바스켓(300)은 상기 착탈부(350)를 더 개재하여 장착하는지 여부의 차이가 있지만, 둘 다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112, 122) 사이에 장착된다.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whether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are mounted via the detachable part 350 further, but both are mount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do.

그래서, 상기 제2바스켓(200)과 상기 제3바스켓(300)은 그 장착폭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서로 위치를 바꾸어 장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mounting width so that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can b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즉, 상기 제2바스켓(200)의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122) 사이의 좌우 폭은 상기 제3바스켓(300)과 상기 착탈부(350)를 합한 좌우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That is, the left and right widths between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122 of the second basket 200 are equal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third basket 300 and the detachable portion 350.

그리고, 상기 제2바스켓(200)과 상기 제3바스켓(300)은 그 형태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is preferably different in form.

예를 들어, 상기 제2바스켓(200)은 커버를 구비하는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바스켓(300)은 상기 착탈부(350)를 통해 상기 냉장실도어(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basket 200 is formed in a case shape having a cover, and the third basket 300 is made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through the detachable part 350. Can be.

이하, 각 바스켓의 구체적인 형태와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pecific form and operation of each basket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스켓(200)은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112, 122)에 직접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양측부에 걸림돌기(212)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basket 200 includes locking protrusions 212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asket 200 so that the second basket 200 can be directly detachably mounted to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상기 제2바스켓(200)은 상기 고정돌기(122)에 상기 걸림돌기(212)가 걸림과 동시에 제2바스켓(200)의 후면이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내측면에 지지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basket 200 may be mounted by supporting the locking protrusion 212 on the fixing protrusion 122 and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asket 2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

상기 제2바스켓(200)은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122) 사이에 장착되고 적어도 상부에 개방면을 가진 바스켓본체(210)와, 상기 바스켓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방면을 개폐하는 바스켓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asket 200 is mount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22 and has a basket body 210 having an open surface on at leas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basket tha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ket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 surface. It may include a cover 220.

상기 바스켓본체(210)는 상기 측부 다이크(110)와 중앙 다이크(1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후반부와 앞으로 돌출되는 전반부로 나눌 수 있고, 상기 전반부는 후반부에 비해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asket body 210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half and a first half protruding forward, which ar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 dike 110 and the central dike 120, and the first half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width than the second half. have.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후반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122)와 결합하여 지지되는 걸림돌기(212)는 오목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상기 고정돌기(122)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 걸림홈이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후반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The locking projections 21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half of the basket body 210, respectively. The locking protrusion 212 supported by the fixing protrusion 122 has a protrusion formed on the concave portion. In contrast, a lock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122 is formed in the basket body 210. I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alf.

상기 바스켓본체(210)는 그 상면과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스켓커버(220)는 상기 개방된 상면과 전면을 개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The basket body 210 has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formed in an open shape, and the basket cover 220 may be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상기 바스켓커버(220)는 상기 바스켓본체(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바, 이를 위해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회동축돌기(214)가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커버(220)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회동축공(214)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sket cover 22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asket body 210. For this purpose, a pair of pivot shaft protrusions 21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ket body 210 and the basket cover 220 is formed therein. A pair of pivot shaft holes 214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회동축돌기가 상기 바스켓커버(220)에 형성되고 회동축홈이 상기 바스켓본체(210)에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The pivot shaft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basket cover 220 and the pivot shaft groove may be formed on the basket body 210 to be coupled.

주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바스켓본체(210)와 바스켓커버(220)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조립시에 상기 회동축돌기(214)과 회동축홈(214)는 약간 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Since the basket body 210 and the basket cover 220, which are mainly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the rotating shaft protrusion 214 and the rotating shaft groove 214 may be inserted while being slightly deformed during assembly. Can be.

상기 바스켓커버(220)는 플라스틱 중에서도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스켓커버(220)가 투명하면 이를 열지 않고서도 내부에 수납된 저장물을 볼 수 있다.The basket cover 22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mong plastics. If the basket cover 220 is transparent, the storage stored therein can be seen without opening it.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후반부는 도어 다이크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바스켓커버(220)는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닫는 형태로 장착된다.Since the rear half of the basket body 21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door dikes, the basket cover 220 is mounted in a form of closing the opening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basket body 2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커버(220)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닫히면, 바스켓커버(220)의 전단부가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바닥 전단부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이 회동축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basket cover 220 is rotated forward and closed, the front end of the basket cover 220 can mainta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bottom front end of the basket body 210. It is made to be located ahead of the rotation shaf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커버(220)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열리면, 상기 바스켓커버(220)의 전단부가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바닥 후단부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는 무게중심이 회동축보다 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basket cover 220 is rotated to the rear and opened, the front end of the basket cover 220 maintains the bottom end of the basket body 210. At this time,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to move rearward than the rotation axis.

도 4 및 도 5에는 제2바스켓과 이를 상기 도어의 고정돌기에 장착하기 위한 착탈부재가 도시되어 있다.4 and 5 illustrate a second basket and a detachable member for mounting the second basket to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door.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착탈부재는 한 쌍의 착탈부(350)가 후술하는 연결부(37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부(370) 없이 착탈부(350)가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etachable member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air of detachable parts 350 to be described below, but may be mounted so that the detachable parts 350 face each other without the connecting part 370. .

그래서, 이하의 설명에서 착탈부(350)가 별개로 형성되어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tachable part 350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separately formed and mounted.

상기 착탈부(350)는 상기 제3바스켓(300)의 외측면과 상기 고정돌기(112, 12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3바스켓(300)을 상기 고정돌기(112, 122)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다.The detachable part 35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basket 300 and the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to rotate the third basket 300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To be installed.

상기 착탈부(350)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112, 122)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마주보는 고정돌기(112, 122)에 대응하는 장착홈(352)이 각각 마련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part 350 is provided with mounting grooves 352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respectively.

상기 장착홈(352)의 후측면이 상기 고정돌기(112, 122)의 후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고정돌기(112, 122)의 상면은 상기 장착홈(352)의 천정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부(350)의 후면은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전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The rear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352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surfaces of the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352. have. 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of the detachable portion 35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상기 제3바스켓(300)은 양측면에 회동축돌기(310)가 마련되고, 상기 착탈부(35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기 회동축돌기(310)가 삽입되는 회동축홈(354)이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basket 30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projection 310 on both sides, the removable portion 350 is a rotation shaft groove 354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projection 310 on the inner surface facing each other. Can be prepared.

상기 회동축돌기(310)는 상기 제3바스켓(300)의 회동 궤적과, 회동시 상기 냉장실도어(00)와의 간섭 방지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 pivot shaft 310 may be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third basket 300 and the prevention of interference with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00) during the rotation.

상기 회동축돌기(310)는 상기 회동축홈(354)에 삽입될 때 소정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장착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너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shaft protrusion 310 is preferably not too large in length so as to be mounted by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when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groove 354.

상기 회동축돌기(310)와 상기 회동축홈(354)은 서로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착탈부(350)에 회동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바스켓(300)에 회동축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pivot shaft protrusion 310 and the pivot shaft groove 354 may b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to each other. That is, the rotation shaf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detachable portion 350, and the rotation shaft groove may be formed in the third basket 300.

상기 착탈부(350)는 서로 마주보는 착탈부(350)가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부(37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tachable part 3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part 370 such that the detachable part 350 facing each other maintains a predetermined interva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70)는 상기 착탈부(3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서 볼 때 "ㄷ"자 모양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 the connection part 37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part 350, and form a “c” shape when viewed from an upper surface.

상기 연결부(370)의 후면은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7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이때, 상기 연결부(370)의 후면은 매끄러운 평면이 아니라,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보강리브(372)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70 is not a smooth plane,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72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made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상기 연결부(370)의 후측면에는 상기 도어를 향해 돌출된 후크(375, 도 4(b) 참조)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결부(370)가 상기 착탈부(350)와 함께 상기 도어에 장착될 때 상기 후크(37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그루브(105)가 마련될 수 있다.A hook 375 (see FIG. 4B) protruding toward the door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370, and the connection part 370 is the detachable part 350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100. A groove 105 to which the hook 375 is inserted and fixed when mounted to the door may be provided.

상기 그루브(10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22)와 거의 같은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22)와 상기 제1고정돌기(112)에 착탈부(35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후크(375)가 상기 그루브(105)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The groove 105 is form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fixing protrusion 122, as shown in FIG. When the detachable part 350 is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 122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2, the hook 37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5.

상기 후크(375)는 도 4(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크(375)는 상기 연결부(370)의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크(375)는 상기 그루브(105)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리브와 하부 리브가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ook 375 is best shown in FIG. 4 (b). The hook 375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70. The hook 375 may be integr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roove 105, but as shown in FIG. 4B, the upper rib and the lower rib may be form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바스켓(300)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동축돌기(310)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회동돌기(320)가 마련되고, 상기 착탈부(350)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동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호형의 안내홈(356)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both side surfaces of the third basket 30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rojection 32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projection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nside of the removable portion 350 It is preferable that an arc-shaped guide groove 356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to which the pivoting protrusion is inserted.

상기 회동돌기(320)는 상기 제3바스켓(300)의 양측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돌기(31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장착된다.The pivoting protrusion 320 is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third basket 300 and is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ivoting protrusion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래서, 상기 회동돌기(320)가 회동하는 궤적은 원호를 형성하고 그 궤적을 따라 상기 안내홈(356)이 상기 착탈부(35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Thus, the trajectory of the pivoting protrusion 320 rotates to form an arc and the guide groove 35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etachable part 350 along the trajectory.

상기 안내홈(356)은 상기 제3바스켓(300)이 회동하는 각도를 고려하여 상하 단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guide groove 356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ends in consideration of the angle at which the third basket 300 rotates.

상기 안내홈(356)의 하단은 상기 제3바스켓(300)이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홈(356)의 상단은 상기 제3바스켓(300)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지지되도록 한다.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356 allows the third basket 300 to be horizontally supported,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356 allows the third basket 300 to be pivoted upward.

또한, 상기 안내홈(356)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스토퍼돌기(357, 358)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돌기(320)의 전단면에는 상기 스토퍼돌기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스토퍼홈(327)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topper protrusions 357 and 358 are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356, and a stopper groove 327 is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ivoting protrusion 320 that is pressed and fixed to the stopper protrusion. desirable.

상기 스토퍼돌기(357, 358)는 그 위치를 고려하여 하부 스토퍼돌기(357)와 상부 스토퍼돌기(358)라고 할 수 있다.The stopper protrusions 357 and 358 may be referred to as the lower stopper protrusion 357 and the upper stopper protrusion 358 in consideration of their positions.

상기 스토퍼돌기(357, 358)는 상기 회동돌기(320)가 상기 안내홈(356)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위치했을 때 그 중심이 오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protrusions 357 and 358 may be formed at positions where their centers come from when the pivoting protrusion 32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356.

상기 스토퍼돌기(357, 358)는 볼록한 구면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스토퍼홈(327)은 오목한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protrusions 357 and 358 may be formed as convex spherical surfaces, and the stopper groove 327 may be formed as concave spherical surfaces.

상기 스토퍼돌기(357, 358)와 상기 스토퍼홈(327)이 구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서로 맞물릴 때 부드럽게 결합될 수 있다.The stopper protrusions 357 and 358 and the stopper groove 327 may have a spherical shape, and thus may be smoothly engaged when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스토퍼돌기(357, 358)와 상기 스토퍼홈(327)은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제3바스켓(300)이 하방 또는 상방으로 회동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stopper protrusions 357 and 358 and the stopper groove 327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basket 300 can be maintained in a lowered or upwardly rotated position.

특히, 상기 제3바스켓(300)이 상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그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third basket 300 is rotated upward, the third basket 300 may be maintained so as not to rotate downward by its own weight.

한편, 상기 제3바스켓(300)은 상기 회동축돌기(310)의 뒤쪽 후단부(340)의 높이가 전단부(330)보다 더 낮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basket 30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height of the rear rear end portion 340 of the pivot shaft 310 is low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330.

상기 제3바스켓(300)은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고정된 연결부(370)에 대해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3바스켓(300)의 후단이 회동하면서 상기 연결부(370)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도 6을 보면, 상기 제3바스켓(300)의 후면은 상기 연결부(37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됨을 알 수 있다.The third basket 3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370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100. Therefore, the rear end of the third basket 300 should be rotat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70. To this end,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basket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7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이때, 상기 제3바스켓(300)의 후면 높이가 낮으면 회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되는 간격이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바스켓(300)의 후면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상기 후단부(340)의 높이가 전단부(330)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rear height of the third basket 300 is low, the interval spaced apart so as not to interfere during rotation. Therefore, the height of the rear end portion 340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front end portion 330 by lowering the rear height of the third basket 300.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3바스켓(3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중앙 다이크(120)가 보이는 측단면도이다.An operation of the third baske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al dike 120.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37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착탈부(350)는 상기 고정돌기(122)와 상기 제1고정돌기(112) 사이에 장착된다.First, as shown in FIG. 6A, the detachable part 350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art 370 is mount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122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112.

이때, 상기 연결부(370)의 후크(375)는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그루브(105)에 삽입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hook 375 of the connecting portion 37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0.

상기 제3바스켓(300)의 외측면에 형성된 회동축돌기(310)는 상기 착탈부(350)의 회동축홈(354)에 삽입되어 있다.The pivot shaft protrusion 3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basket 300 is inserted into the pivot shaft groove 354 of the detachable part 350.

상기 제3바스켓(300)은 수평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회동돌기(320)는 상기 호형 안내홈(356)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돌기(320)의 스토퍼홈(327)은 상기 호형 안내홈(356)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 스토퍼돌기(357)와 맞물려 있다.The third basket 300 is supported in a horizontal state, wherein the pivoting protrusion 32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arc-shaped guide groove 356. In addition, the stopper groove 327 of the pivoting protrusion 320 is engaged with the lower stopper protrusion 357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rc-shaped guide groove 356.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3바스켓(300)을 밀어올려 끝까지 회동시키면,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제3바스켓(300)이 거의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shes the third basket 300 up to the end, the third basket 300 is almost vertically rotated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회동돌기(320)의 스토퍼홈(327)은 상기 호형 안내홈(356)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상부 스토퍼돌기(358)와 맞물려 있다.In this case, the stopper groove 327 of the pivoting protrusion 320 is engaged with the upper stopper protrusion 358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rc-shaped guide groove 356.

상기 회동돌기(320)의 스토퍼홈(327)이 상기 상부 스토퍼돌기(358)와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도어(100)를 여닫음에 따라 상기 제3바스켓(300)이 관성력을 받더라도 아래로 회동되지 않고 도 6(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stopper groove 327 of the pivoting protrusion 320 is engaged with the upper stopper protrusion 358, even when the door 100 is opened and closed, the third basket 300 is not rotated downward even when the third basket 300 receives an inertial force. The state as shown in FIG. 6 (b) can be maintained.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바스켓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cond bas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제2바스켓은 회동축홈과 회동축돌기가 결합하는 것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으나,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최대 회동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및 지지 구조가 다르다.In the second bask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the rotation shaft groove and the rotation shaft protrus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but the stopper and the support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maximum rotation position when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different.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착탈부(350)에 안내홈이 없고 상기 착탈부(350) 2개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guide groove in the detachable part 350 and the two detachable parts 35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art.

대신,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에 2개의 돌출리브(140, 150)가 형성되어 스토퍼 역할을 한다.Instead, two protruding ribs 140 and 15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0 to serve as a stopper.

상기 2개의 돌출리브 중 하부 돌출리브(140)는 상기 제3바스켓(300)이 수평으로 장착되었을 때 제3바스켓(300)의 뒤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3바스켓(300)의 후단부(340)와 접촉된다.The lower protruding rib 140 of the two protruding ribs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hird basket 300 when the third basket 300 is mounted horizontally, and the rear end portion 340 of the third basket 300. ).

상기 제3바스켓(300)이 수평일 경우 그 무게중심은 제3바스켓(300)의 회동축보다 전방에 위치되므로, 도 7(a)에서 상기 제3바스켓(300)이 자중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한다.When the third basket 300 is horizontal,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hird basket 3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third basket 300, so that the third basket 300 is counterclockwise due to its own weight in FIG. Try to turn to.

그래서, 상기 하부 돌출리브(140)는 상기 제3바스켓(300)의 후단부(340)가 더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Thus, the lower protruding rib 140 supports the rear end 340 of the third basket 300 so that it no longer rotates counterclockwise.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바스켓(300)이 상방으로 회동하면, 상기 2개의 돌출리브 중 상부 돌출리브(150)가 상기 제3바스켓(3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332)와 맞물리게 된다.As shown in FIG. 7 (b), when the third basket 300 rotates upward, an upper protrusion rib 150 of the two protruding ribs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hird basket 300. Is engaged with (332).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332)는 상기 상부 돌출리브(150)와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경사면 형태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protrusion 332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to facilitate engagement and release of the upper protrusion rib 150.

상기 제3바스켓(300)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지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바스켓(300)의 무게중심은 회동축의 우측에 위치된다.When the third basket 300 is almost vertically erecte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hird basket 30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ivot shaft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3바스켓(300)의 전단부(330)는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ront end portion 330 of the third basket 300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0.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100)를 개폐함에 따라 세워져 있던 상기 제3바스켓(300)이 관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하더라도, 상기 돌출부(332)가 상기 상부 돌출리브(150)에 걸려서 회동되지 않게 된다.Further, even when the third basket 300, which is standing as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door 100, tries to rotate counterclockwise by inertial force, the protrusion 332 is caught by the upper protrusion rib 150 and rotated. Will not be.

따라서, 상기 하부 돌출리브(140)와 상부 돌출리브(150)는 상기 제3바스켓(300)이 하방 또는 상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바스켓(300)의 단부를 직접 지지한다.Therefore, the lower protruding rib 140 and the upper protruding rib 150 directly support an end of the third basket 300 to maintain the state when the third basket 300 is rotated downward or upward. do.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에 바스켓들을 장착한 사용례가 도시되어 있다.8 and 9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baskets are mounted on a door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냉장실도어(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우측에 힌지 결합되어 우측으로 회동되어 열리는 도어이다.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is a door which is hinged to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ed to the right side as shown in FIG. 1.

도 8(a)에서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내측면 상부 좌측에 상기 제2바스켓(200)이 장착되고, 회동가능한 상기 제3바스켓(300)은 그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In FIG. 8 (a), the second basket 200 is mount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and the rotatable third basket 300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thereof.

도 8(b)에서는 도 8(a)와 반대로 상기 제2바스켓(200)이 우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3바스켓(300)은 그 좌측에 장착되어 있다.In FIG. 8B, the second basket 200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and the third basket 300 is mounted on the left side, in contrast to FIG. 8A.

상기 제2바스켓(200)은 바스켓본체(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바스켓커버(220)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커버가 없는 바스켓이 장착될 수도 있다.The second basket 200 may include a basket cover 220 rotatably mounted to the basket body 210. Of course, generally a fixedly mounted basket without a cover may be mounted.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회동가능한 제3바스켓(300)을 우측 또는 좌측에 그 위치를 바꾸어 장착할 수 있다.The user may mount the rotatable third basket 300 by changing its position on the right or left side according to taste.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100)의 중간부에는 제1바스켓(400)이 장착되고, 그 하부에는 제4바스켓(450)이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first basket 400 is moun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00, and a fourth basket 450 is mount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스켓(400)과 제4바스켓(450)이 장착되는 제2고정돌기(114)는 장착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114 on which the first basket 400 and the fourth basket 450 are mounted may be formed to change the mounting height.

도 9에는 도 8(a)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3바스켓(300)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hird basket 300 is rotated upward in the mounted state as shown in FIG.

상기 제3바스켓(300)이 상방으로 회동되면, 상하로 길쭉한 병(410)과 같은 수납물을 그 아래의 상기 제1바스켓(400)에 세워서 수납할 수 있다.When the third basket 300 is rotated upwards, an article such as a bottle 410 elongated up and down may be stored in the first basket 400 below it.

이때, 상기 병(410)이 상기 제3바스켓(300)과 간섭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바스켓(300)을 상방으로 회동시키지 않으면, 상기 병(410)이 제3바스켓(300)과 간섭되므로 제1바스켓(400)에 세워서 수납할 수 없을 것이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bottle 4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hird basket 300. If the third basket 300 is not rotated upward, the bottle 410 interferes with the third basket 300 and thus cannot be stored standing up in the first basket 400.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도어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한 바스켓과 회동되지 않는 바스켓을 그 위치를 용이하게 바꾸어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able basket and the non-rotating baske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또한, 서로 다른 바스켓을 위치를 바꾸어 장착하기 위해 고정 바스켓을 장착하기 위한 도어 다이크의 형상을 변형하지 않고도,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착탈부재를 개재함으로써 회동 바스켓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basket can be easily mounted by interposing a detachable member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 without modifying the shape of the door dike for mounting the fixing basket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s of the different basket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s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will be possible.

10: 본체 20: 냉장실
22: 선반 24: 선반
26: 서랍 40: 냉동실도어
100: 냉장실도어 105: 그루브
110: 측부 다이크 112: 제1고정돌기
114: 제2고정돌기
120: 중앙 다이크 122: 고정돌기
140: 돌출리브 150: 돌출리브
200: 제2바스켓 210: 바스켓본체
212: 걸림돌기 214: 회동축돌기
220: 바스켓커버 224: 회동축공
300: 제3바스켓 310: 회동축돌기
320: 회동돌기 327: 스토퍼홈
330: 전단부 340: 후단부
350: 착탈부재 352: 장착홈
354: 회동축홈 356: 안내홈
357: 하부 스토퍼돌기 358: 상부 스토퍼돌기
370: 연결부 375: 후크
400: 제1바스켓 450: 제4바스켓
10: main body 20: refrigerator
22: shelf 24: shelf
26: drawer 40: freezer door
100: refrigerator door 105: groove
110: side dike 112: first fixing protrusion
114: second fixing protrusion
120: center dike 122: fixing protrusion
140: protrusion rib 150: protrusion rib
200: second basket 210: basket body
212: protrusion 214: pivot shaft
220: basket cover 224: rotation shaft ball
300: third basket 310: rotating shaft projection
320: rotational projection 327: stopper groove
330: front end 340: rear end
350: removable member 352: mounting groove
354: rotating shaft groove 356: guide groove
357: lower stopper protrusion 358: upper stopper protrusion
370: connection 375: hook
400: first basket 450: fourth basket

Claims (16)

내부에 저장실(20)이 마련되는 본체(10)와,
상기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100)와,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 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한 쌍의 측부 다이크(110)와,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중앙 다이크(120)와,
상기 한 쌍의 측부 다이크(11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14) 중, 마주보게 구비되는 어느 한 쌍의 고정돌기(114)에 장착되는 제1바스켓(400)과,
상기 측부 다이크(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2)와 상기 중앙 다이크(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2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바스켓(200)과,
상기 중앙 다이크(120)의 타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22)와 상기 측부 다이크(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착탈부재(350)와,
상기 착탈부재(350)의 내측에 장착되고 회동축을 가진 제3바스켓(300)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재(350)는 상기 제1바스켓(400)에 보관된 저장물이 제3바스켓(300)과 간섭될 경우, 제3바스켓(30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바스켓(400)은 상기 한 쌍의 측부 다이크(110)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 중(114), 마주보게 구비되는 다른 한 쌍의 고정돌기(114)에 장착되어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바스켓(200)은,
상기 측부 다이크(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2)와 상기 중앙 다이크(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22)에 장착되고 적어도 상부에 개방면을 가진 바스켓본체(210)와,
상기 바스켓본체(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방면을 개폐하는 바스켓커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부재(350)는,
상기 중앙 다이크(120)와 상기 측부 다이크(110)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112, 122)에 장착되는 한 쌍의 착탈부와, 상기 한 쌍의 착탈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70)를 포함하며,
상기 제3바스켓(300)은 양측면에 회동축돌기(310) 가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착탈부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상기 회동축돌기(310)가 삽입되는 회동축홈(354)이 마련되며,
상기 착탈부재(350)의 장착부 사이의 폭과 상기 제2바스켓(200)의 장착부 사이의 폭은 동일하여 상기 제2바스켓(200)과 상기 제3바스켓(300)은 서로 위치를 바꾸어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10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20 provided therein,
Door 1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20,
A pair of side dikes 110 protruding upwards and downwards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door 100;
A central dike 120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00;
A first basket 400 mounted on any one pair of fixing protrusions 114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4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side dikes 110,
A second basket 200 detachably mounted to the fixing protrusion 112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dike 110 and the fixing protrusion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dike 120;
A detachable member 350 detachably mounted to the fixing protrusion 12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dike 120 and the fixing protrusion 112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dike 110;
A third basket 300 mounted inside the detachable member 350 and having a rotational shaft,
The detachable member 350 is mounted to rotate the third basket 300 when the storage stored in the first basket 400 interferes with the third basket 300.
The first basket 400 is mounted on the other pair of fixing protrusions 114 which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14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air of side dikes 110, and the position thereof is variable. Can be,
The second basket 200,
A basket body (210)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 (112)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dike (110) and the fixing protrusion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dike (120) and having an open surface on at least a top thereof;
A basket cover 220 rotatably mounted to the basket body 21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surface;
The removable member 350,
And a pair of detachable parts mounted on the fixing protrusions 112 and 122 formed on the central dike 120 and the side dike 110, and a connection part 370 connecting the pair of detachable parts to each other.
The third basket 30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projection 310 on both sides,
The pair of detachable parts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haft groove 354 in which the rotation shaft protrusion 310 is inserted into an inner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width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of the detachable member 350 and the width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of the second basket 200 are the same so that the second basket 200 and the third basket 300 may be mounted by changing their positions. Ther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회동축돌기(214)가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커버(220)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동축돌기(214)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축공(2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pivot shaft protrusions 214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ket body 210, and the pivot shaft protrusions 214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ket cover 220.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224 is form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양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112, 122)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돌기(21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5,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ket body 210 is a locking projection (212) is supported by being caught by the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112, 12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본체(210)의 개방면은 상부와 전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커버(220)는 상기 바스켓본체의 개방면을 개폐하도록 장착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6,
The open surface of the basket body 210 is formed in the upper and front parts,
The basket cover 220 is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surface of the basket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착탈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112, 122)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돌기(112, 122)에 대응하는 장착홈(35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groove (352)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jections (112, 12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detachable portions are supported by the fixing projections (112, 122).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70)의 후측면에는 상기 도어(100)를 향해 돌출된 후크(375)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착탈부재(350)가 상기 도어(100)에 장착될 때 상기 후크(37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그루브(10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9,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370 is provided with a hook 375 protruding toward the door 100,
The inner side of the door (100)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groove (105) to which the hook (375) is inserted and fixed when the detachable member (350) is mounted to the door (10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바스켓(300)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동축돌기(310)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회동돌기(320)가 마련되고,
상기 착탈부재(350)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동돌기(320)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호형의 안내홈(356)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9,
Both side surfaces of the third basket 30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rotrusion 32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shaft projection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removable member 350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guide groove 356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projection 320 is guid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356)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스토퍼돌기(357, 358)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돌기(320)의 전단면에는 상기 스토퍼돌기(357, 358)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스토퍼홈(3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2,
Stopper protrusions 357 and 358 are form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356,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groove (327) is fixed to the stopper projection (357, 358) is press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otation projection (3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바스켓(300)은 상기 회동축돌기(310)의 뒤쪽 후단부의 높이가 전단부보다 더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basket (300)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rear rear end of the pivot shaft projection 310 is lower than the front en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3바스켓(300)이 하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후단부의 상단 모서리가 걸리도록 이루어진 돌출리브(14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4,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ide of the door 10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rib 140 made to take the upper edge of the rear end when the third basket 300 is rotated downwar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바스켓(300)의 전면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리브(332)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제3바스켓(300)이 상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걸림리브(332)가 걸리도록 이루어진 돌출리브(15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5,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of the third basket 300 is provided with a locking rib 332 protruding forward,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door 100, the protrusion rib 150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rib 332 is caught when the third basket 300 is rotated upward.
KR1020130040883A 2013-04-15 2013-04-15 Refrigerator Active KR102052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83A KR102052374B1 (en) 2013-04-15 2013-04-1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883A KR102052374B1 (en) 2013-04-15 2013-04-1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719A KR20140123719A (en) 2014-10-23
KR102052374B1 true KR102052374B1 (en) 2019-12-05

Family

ID=5199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883A Active KR102052374B1 (en) 2013-04-15 2013-04-1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3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5762B (en) * 2022-07-12 2025-09-0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Pendant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614B2 (en) * 1997-09-29 2004-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door device
KR200212477Y1 (en) * 1998-10-23 2001-02-15 전주범 Wire Pocket Guide for Refrigerator_
KR20010060723A (en) * 1999-12-28 2001-07-07 구자홍 Door liner for refrigerator
KR20080065859A (en) * 2007-01-10 2008-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Door Basket
KR101602215B1 (en) * 2009-05-08 201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Keep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719A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6908B1 (en) Refrigerator
US8833882B2 (en) Refrigerator
US9464841B2 (en) Refrigerator
US8733867B2 (en)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8944534B2 (en) Refrigerator includes a second door disposed on a first door, a shelf disposed on the first door, a connection assembly connecting the shelf to the second door and linking opening of the second door to rotate the shelf
KR20100138098A (en) Refrigerator with height adjustment
US20170023286A1 (en) Refrigerator
US20080168794A1 (en) Refrigerator
CN106546049B (en) Refrigerator
US8746006B2 (en) Refrigerator
US20180038632A1 (en) Refrigerator
US9310126B2 (en) Refrigerator
KR20130045538A (en) Refrigerator
US10247469B2 (en) Refrigerator
KR102583505B1 (en) Refrigerator
KR102043201B1 (en) Refrigerator
CN109425172A (en) Refrigerator
KR102052374B1 (en) Refrigerator
KR101692734B1 (en) Refrigerator
KR101713324B1 (en) Refrigerator
KR101495349B1 (en) A refrigerator
KR101653315B1 (en) Refrigerator
KR102485761B1 (en) A refrigerator
JP3946674B2 (en) refrigerator
KR20100052229A (en) A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