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506B1 - Zipline apparatus - Google Patents
Ziplin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4506B1 KR102064506B1 KR1020190096730A KR20190096730A KR102064506B1 KR 102064506 B1 KR102064506 B1 KR 102064506B1 KR 1020190096730 A KR1020190096730 A KR 1020190096730A KR 20190096730 A KR20190096730 A KR 20190096730A KR 102064506 B1 KR102064506 B1 KR 1020645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wer
- trolley
- wire
- zipline
- lift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 짚라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제1 타워 및 제2 타워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왕복 짚라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워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된 승강부; 상기 제2 타워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결합된 연결고리부; 및 상기 와이어의 경사를 따라 활강되는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승강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경사가 조절되고, 상기 트롤리가 상기 와이어의 경사를 따라 상기 제1 타워 상방에서 상기 제2 타워로 활강되고, 상기 제2 타워에서 상기 제1 타워의 하방으로 활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와이어의 일단을 승강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시켜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트롤리를 왕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comprising a wire connected between a first tower and a second tower facing each other,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the first tower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ifting par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wire; A connection part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tower and hav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coupled thereto; And a trolley sliding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wire,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wir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and the trolley mov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ower to the second tower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wire. Gli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from the second tower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ower. With this configuration, by moving one end of the wire up and down through the lifting unit to adjust the inclin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oving the trolley in reciproc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왕복 짚라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 편의 나무 또는 지주대 사이로 튼튼한 와이어를 설치하고 탑승자와 연결된 트롤리(trolley, 일종의 도르래)를 와이어에 걸어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레포츠인 왕복 짚라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leports that installs a sturdy wire between two trees or props and moves a trolley (a type of pulley) connected to the occupant on a wire to move to the opposite side at high speed. A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일반적으로 짚라인 장치는 서로 이동할 곳의 나무 또는 지주대 사이로 와이어를 설치하고 사람 또는 물건을 연결한 트롤리(trolley, 일종의 도르래)를 와이어에 걸어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 또는 운송수단의 하나이다.In general, the zipline device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or a means of transporting the opposite side at a high speed by installing a wire between trees or props and moving a person or an object to a trolley (a type of pulley) connected to a wire. .
이러한 짚라인 장치는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고도차에 의한 중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출발지와 도착지의 간격이 멀어질수록 연결와이어는 자체 자중에 의해 처짐현상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출발지 인근에서는 연결와이어가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용이한 활주를 제공하게 되나 도착지 인근에서는 연결와이어가 거의 수평상태를 이루거나 심지어는 역방향의 경사각을 이루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e zipline device uses gravity due to the difference in altitude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As the distance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increases, the connecting wire becomes sag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connecting wire is fixed near the starting point. It provides an easy slide in the inclination angle, but in the vicinity of the destin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ng wire is almost horizontal or even in the reverse direction.
즉, 종래 짚라인 장치는 지주대를 지면에 고정하거나 매립한 상태에서 연결와이어의 일단부위를 지주대의 상부측에 고정결합하는 구조로서, 이럴 경우 도착지 인근에서 연결와이어가 일정 경사를 이루지 못하고 수평한 상태가 되거나 역방향의 경사각을 가지게 되면 트롤리의 제동이 곤란해짐은 물론 도착지에 도달하기 이전에 트롤리의 활주가 멈추어 버리게 되는데 이는 체험자의 안전사고와 직결되는 심각성이 있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zipline device is a structure for fixing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wire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stand in the state that is fixed to the ground or buried, in this case, the connection wire does not form a predetermined slope in the vicinity of the destination If the state becomes inclined or has an inclination angl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trolley's braking becomes difficult and the slide of the trolley stops before reaching the destination,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accident of the experienced person.
이 때문에, 근자에 설치되는 짚라인 장치의 대부분은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여 연결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모터를 이용하여 연결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터의 구동을 위해 별도의 발전시설을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전력선을 출발지(및 도착지)까지 가설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통상적인 연결와이어의 길이를 감안하면 대용량의 발전시설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상당한 설비투자가 필요함은 물론 상당한 넓이에 걸쳐 환경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도 짚라인 장치가 대개 산악지역 등에 설치됨을 감안하면 가설에 따른 상당한 시간 및 재원이 필요로 하며 가설과정에서 환경훼손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For this reason, most of the zipline devices installed in the near field are selec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onnection wire by using a separate motor. In order to control the tension of the connection wire by using the motor,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power generation facility or to install a separate power line to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to drive the motor. However, in the case of the former,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a conventional connection wire, a large capacity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required, and therefore, a considerable amount of facility investment is required and the environment is damaged over a considerable area. In addition, even in the latter case, since the zipline device is generally installed in a mountainous area, a considerable time and resource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hypothesi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environmental damage is inevitably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또한, 짚라인을 타기 위해 지주대의 상부까지 올라야 하며, 높이 차에 의해 반대편으로 이동하였을 때, 다시 돌아오지 못하거나, 반대편에 위치한 지주대의 상부까지 다시 올라 돌아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ide the zip line to climb to the top of the holding, when moving to the other side by the height differenc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ome back, or come back to the top of the holding stand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짚라인을 타기 위해 지주대의 상부까지 올라가지 않아도 되고, 왕복으로 이동이 가능한 짚라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zipline device capable of moving in a reciprocating manner without having to go up to the top of the support for riding a zipli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왕복 짚라인 장치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제1 타워 및 제2 타워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왕복 짚라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워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된 승강부; 상기 제2 타워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결합된 연결고리부; 및 상기 와이어의 경사를 따라 활강되는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승강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경사가 조절되고, 상기 트롤리가 상기 와이어의 경사를 따라 상기 제1 타워 상방에서 상기 제2 타워로 활강되고, 상기 제2 타워에서 상기 제1 타워의 하방으로 활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comprising a wi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facing each other, the first A lifting part installed on the tower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of the wire coupled thereto; A connection part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tower and hav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coupled thereto; And a trolley gliding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wire, wherein the inclination of the wir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and the trolley mov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ower to the second tower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wire. Gli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from the second tower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ower.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1 타워의 하방에 위치 시 실린더를 통해 상기 트롤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the trolley upward through the cylinder when the trolley is located below the first tower.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2 타워에 위치 시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olley is moved downward when positioned in the second tower.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1 타워의 상방에서 상기 제2 타워로 활강되거나 상기 제2 타워에서 상기 제1 타워의 하방으로 활강 시, 하방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통해 상기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when the trolley sli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ower to the second tower or from the second tower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ower, the downward movement speed of the trolley through the speed It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본 발명에 의한 왕복 짚라인 장치에 따르면, 와이어의 일단을 승강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시켜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트롤리를 왕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ving one end of the wire up and down through the lifting unit to adjust the inclin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oving the trolley reciprocating.
또한, 승강부를 통해 트롤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짚라인 탑승자가 높은 곳까지 올라가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moving the trolley upward through the lifting uni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zipline occupant does not have to climb to a high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왕복 짚라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럭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1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operation diagrams of the trolle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 hoo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block diagrams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왕복 짚라인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롤리의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확대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럭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to 5 are views of a trolle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 hoo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to 8 are block diagrams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왕복 짚라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 짚라인 장치(100)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제1 타워(10) 및 제2 타워(20)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W)를 포함하는 왕복 짚라인 장치(100)에 있어서, 승강부(110), 연결고리부(120) 및 트롤리(130)를 포함한다.Reciprocating
상기 승강부(110)는 상기 제1 타워(10)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실린더(111)가 구비된다.The
예컨대, 상기 실린더(111)는 유압 또는 에어에 구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ylinder 111 may be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or air.
상기 실린더(111)에는 상방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조절부재(112)가 구비된다.The cylinder 111 is provided with a
상기 높이조절부재(112)의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W)의 일단이 결합된다.One side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111)의 구동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112)가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와이어(W)의 일단 측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승강부(1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연결고리부(120)는 상기 제2 타워(20)의 중앙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이 연결된다.The connecting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부(12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12)의 최상방 및 최하방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이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12)의 최상방 이동 시 상기 와이어(W)가 타단이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경사지도록 하고, 최하방 이동 시 상기 와이어(W)의 타단이 상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경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the wire (W) is inclined to the other end to be positioned below when the top of the
한편, 상기 연결고리부(120) 또한 상기 승강부(110)와 동일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상기 트롤리(130)는 상기 와이어(W)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W)의 경사를 따라 활강한다.The
상기 트롤리(130)는 탑승자가 1인은 물론 2인도 탑승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트롤리(130)는 탑승자를 태우기 위해 상기 제1 타워(10)의 하방에 배치된다.Here, the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재(112)는 상기 트롤리(130)가 상기 제1 타워(1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도록 최하방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재(112)는 상기 트롤리(130)에 탑승자가 탑승하게 되면 최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n, the
이때, 상기 트롤리(13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12)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높이조절부재(112)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부재(112)의 상부 일측에는 후크(113)가 형성되고, 상기 트롤리(130)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후크(113)에 고정되는 고리편(131)이 형성된다.In detail, a
여기서, 상기 후크(113)는 탄성에 의해 상기 고리편(131)을 고정시키고, 상기 후크(113) 일측에 설치된 모터(114)에 의해 회동되며 회동됨에 따라 상기 고리편(131)과 분리된다.Here, the
또한, 상기 후크(113)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12)가 상기 제1 타워(10)의 최하방에 위치 시 상기 트롤리(130)를 고정시키고, 최상방에 위치 시 상기 트롤리(130)를 분리시켜 활강 시킨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재(112)는 상기 트롤리(130)가 상기 제1 타워(10) 상방에서 상기 제2 타워(20) 중앙으로 활강하여 상기 제2 타워(20)에 근접 시 하방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트롤리(130)가 상기 제2 타워(20)에 도착 시 최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와이어(W)에 경사를 발생시켜 상기 트롤리(130)가 상기 제1 타워(10) 하방으로 활강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이에 따라, 상기 트롤리(130)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1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재(112)는 상기 트롤리(130)가 활강됨에 따라 상기 제2 타워(20) 중앙 또는 상기 제1 타워(10) 하방에 근접 시 상기 트롤리(130)의 활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상기 트롤리(130)가 활강됨에 따라 상기 제2 타워(20) 중앙에 근접 시 상기 높이조절부재(112)가 상기 연결고리부(120)와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와이어(W)의 경사를 최소화하여 상기 트롤리(130)의 활강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as the
또한, 상기 트롤리(130)가 활강됨에 따라 상기 제1 타워(10) 하방에 근접 시 상기 높이조절부재(112)가 최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와이어(W)의 경사를 최소화하여 상기 트롤리(130)의 활강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나아가, 상기 높이조절부재(112)의 일측에는 제어부(115)가 구비된다.Further, the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높이조절부재(112)가 상기 제1 타워(10)의 최상방에 위치 시 상기 높이조절부재(112)로부터 제1 활강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모터(114)를 구동시켜 상기 트롤리(130)를 활강시킨다.The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부(120)는 상기 트롤리(130)가 도착하면 상기 제어부(115)로 제2 활강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재(112)가 상기 제1 타워(10)의 최하방으로 이동시킨다.Here, when the
한편, 상기 트롤리(130)는 속도 센서(132)가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속도 센서(132)는 상기 트롤리(130)가 상기 연결고리부(120) 및 제1 타워(10)의 하방에 근접할 때의 속도를 감지한다.The
여기서, 상기 제어부(115)는 상기 속도 센서(132)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이 기 설정된 감지값보다 클 경우, 상기 트롤리(130)가 상기 연결고리부(120)에 접근 시 상기 높이조절부재(11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W)의 경사를 최소화하고, 상기 트롤리(130)가 상기 제1 타워(10)의 하방에 접근 시 상기 높이조절부재(112)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W)의 경사를 최소화하여 상기 트롤리(130)의 속도를 조절한다.Here, when the detected value received from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트롤리(130)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은 물론, 신속하고 안전한 짚라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as well as reciprocating the
본 발명에 의한 왕복 짚라인 장치에 따르면, 와이어의 일단을 승강부를 통해 상하로 이동시켜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트롤리를 왕복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ving one end of the wire up and down through the lifting unit to adjust the inclin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oving the trolley reciprocating.
또한, 승강부를 통해 트롤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짚라인 탑승자가 높은 곳까지 올라가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moving the trolley upward through the lifting unit,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zipline occupant does not have to climb to a high plac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 제1 타워 20: 제2 타워
100: 짚라인 장치 110: 승강부
111: 실린더 112: 높이조절부재
113: 후크 114: 모터
115: 제어부 120: 연결고리부
130: 트롤리 131: 고리편
132: 속도 센서10: first tower 20: second tower
100: zipline device 110: lifting unit
111: cylinder 112: height adjusting member
113: hook 114: motor
115: control unit 120: connecting portion
130: trolley 131: hook flight
132: speed sensor
Claims (4)
상기 제1 타워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된 승강부;
상기 제2 타워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결합된 연결고리부; 및
상기 와이어의 경사를 따라 활강되는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승강부의 상하 이동에 따라 경사가 조절되고,
상기 트롤리가 상기 와이어의 경사를 따라 상기 제1 타워 상방에서 상기 제2 타워로 활강되고, 상기 제2 타워에서 상기 제1 타워의 하방으로 활강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1 타워의 하방에 위치 시 실린더를 통해 상기 트롤리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2 타워에 위치 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제1 타워의 상방에서 상기 제2 타워로 활강되거나 상기 제2 타워에서 상기 제1 타워의 하방으로 활강 시, 하방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통해 상기 트롤리의 활강 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트롤리의 상부 타측에는 고리편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는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부 일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후크가 결합되며,
상기 후크는 회동됨에 따라 상기 고리편을 통해 상기 트롤리를 고정하거나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짚라인 장치.
In the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comprising a wi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ower and the second tower facing each other,
An elevating part installed on the first tower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long a length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of the wire coupled thereto;
A connection part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tower and hav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coupled thereto; And
And a trolley sliding along the slope of the wire.
The wire is inclined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ifting unit,
The trolley slide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wire from above the first tower to the second tower, from the second tower to below the first tower,
The lifting unit moves the trolley upward through the cylinder when the trolley is located below the first tower,
The lifting unit is moved downward when the trolley is located in the second tower,
The elevating unit adjusts the sliding speed of the trolley by moving downward when the trolley slid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ower to the second tower or from the second tower downward of the first tower. ,
The other side of the upper trolley of the ring piece is formed,
The cylinder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unit, and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the cylin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wire.
The upper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coupled to the hook rotated by the motor,
Reciprocating zipli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hook or trolley through the hook piece as the hook is rota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96730A KR102064506B1 (en) | 2019-08-08 | 2019-08-08 | Ziplin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96730A KR102064506B1 (en) | 2019-08-08 | 2019-08-08 | Zipline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64506B1 true KR102064506B1 (en) | 2020-01-09 |
Family
ID=6915483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96730A Active KR102064506B1 (en) | 2019-08-08 | 2019-08-08 | Ziplin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64506B1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77753B1 (en) | 2020-07-15 | 2020-11-11 | 장석만 | Wire transport trolley with wireless control |
| KR102205554B1 (en) | 2020-07-15 | 2021-01-20 | 장석만 | Zipline cargo transfer device |
| KR102327584B1 (en) * | 2021-08-25 | 2021-11-16 | 도태구 | Zip-line wire construct system |
| WO2022046019A1 (en) * | 2020-08-25 | 2022-03-03 | Filippenko Andrii | Back zipline |
| KR20220160959A (en) | 2021-05-28 | 2022-12-06 |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 Total playing facilities using unit clamp assembly for connecting of orthographic or intersecting component |
| KR20220160962A (en) | 2021-05-28 | 2022-12-06 |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 Zipline using unit clamp assembly for connecting of orthographic or intersecting component |
| KR102523954B1 (en) | 2023-02-14 | 2023-04-20 | 주식회사 지에스웹 | Leisure facilities of aerial glide with auto elevating device |
| KR20240061127A (en) | 2022-10-31 | 2024-05-08 | 이재영 | Motorized zipline apparatus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80011183A1 (en) * | 2006-07-12 | 2008-01-17 | Patrick Fischer | Cableway with alterable cable position |
| US20140182477A1 (en) * | 2012-12-28 | 2014-07-03 | Experience Based Learning, Inc. | Zip Line Attraction and Methods |
-
2019
- 2019-08-08 KR KR1020190096730A patent/KR1020645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80011183A1 (en) * | 2006-07-12 | 2008-01-17 | Patrick Fischer | Cableway with alterable cable position |
| US20140182477A1 (en) * | 2012-12-28 | 2014-07-03 | Experience Based Learning, Inc. | Zip Line Attraction and Methods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77753B1 (en) | 2020-07-15 | 2020-11-11 | 장석만 | Wire transport trolley with wireless control |
| KR102205554B1 (en) | 2020-07-15 | 2021-01-20 | 장석만 | Zipline cargo transfer device |
| WO2022046019A1 (en) * | 2020-08-25 | 2022-03-03 | Filippenko Andrii | Back zipline |
| KR20220160959A (en) | 2021-05-28 | 2022-12-06 |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 Total playing facilities using unit clamp assembly for connecting of orthographic or intersecting component |
| KR20220160962A (en) | 2021-05-28 | 2022-12-06 | 주식회사 플레이두두 | Zipline using unit clamp assembly for connecting of orthographic or intersecting component |
| KR102327584B1 (en) * | 2021-08-25 | 2021-11-16 | 도태구 | Zip-line wire construct system |
| KR20240061127A (en) | 2022-10-31 | 2024-05-08 | 이재영 | Motorized zipline apparatus |
| KR102523954B1 (en) | 2023-02-14 | 2023-04-20 | 주식회사 지에스웹 | Leisure facilities of aerial glide with auto eleva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64506B1 (en) | Zipline apparatus | |
| AU2017368776B2 (en) | Lift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n elevator system | |
| EP2857252A1 (en) | Pantograph device of trolley truck | |
| US3270895A (en) | Aerial logging system | |
| KR102177753B1 (en) | Wire transport trolley with wireless control | |
| JP6092356B1 (en) | Compensation cable guide device and elevator | |
| CN106585947B (en) | Stratospheric tethered aerostat platform | |
| KR101872923B1 (en) | Drone type aerial work platform | |
| CN208731244U (en) | A kind of telescopic passenger stairway | |
| KR20170015395A (en) | Drone-driven parasol | |
| CN104589489A (en) | Tubular pile prestress tensioning machine | |
| CN102390783B (en) | The method of mobile goliath and the system of enforcement the method in installation system | |
| US20090184196A1 (en) | Wide area aerial crane system | |
| CN107745824B (en) | Multi-degree-of-freedom adjustable booster docking mechanism | |
| KR20140018097A (en) | Moving cart device for tunnel construction | |
| CN105442421A (en) | Ground milling machine, and method for dismounting and mounting milling device | |
| KR101680225B1 (en) | Lifting system for a stage | |
| CN112703154B (en) | System and method for mooring an aircraft or airship balloon-type aeronautical vehicle | |
| KR200481454Y1 (en) | Mobile Apparatus | |
| JP2008126907A (en) | Method and device for starting aircraft | |
| KR101512283B1 (en) | Side sway mitigating apparatus for cable crane | |
| KR102205554B1 (en) | Zipline cargo transfer device | |
| CN107697076B (en) | Rescue evacuation device | |
| CN106314819B (en) | A kind of buffer-type helicopter lifts shipping platform device automatically | |
| CN110980141B (en) | Heavy hammer counterweight device for belt conveyor, conveyor and using metho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