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54B1 -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7254B1 KR102067254B1 KR1020190097546A KR20190097546A KR102067254B1 KR 102067254 B1 KR102067254 B1 KR 102067254B1 KR 1020190097546 A KR1020190097546 A KR 1020190097546A KR 20190097546 A KR20190097546 A KR 20190097546A KR 102067254 B1 KR102067254 B1 KR 1020672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cross beam
- support
- parent
- lower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000863856 Homo sapiens Shiftless antiviral inhibitor of ribosomal frameshifting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9950 Shiftless antiviral inhibitor of ribosomal frameshifting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는, 하부구조물인 벽체(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지지빔(11)과; 지점부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지지빔들 사이에 개재되는 거더(20)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빔 및 거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로보(30)와; 상기 가로보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 고정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 고정수단은 상기 가로보를 상기 지지빔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보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거더의 지점부에 상기 하부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의 하중을 부가하고 상기 거더가 하중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거더를 상기 가로보 또는 상기 지지빔에 고정하며, 상기 지지빔과 상기 거더는 상기 가로보가 각각 관통하는 가로보 관통홀을 포함하되 상기 거더의 가로보 관통홀은 상기 가로보가 상하로 거동하는 높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 고정수단은 상기 거더의 하부 플랜지에 올려지면서 상기 가로보의 저부에 지지되는 하중잭(41) 및 상기 하중잭에 의한 하중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거더의 가로보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가로보를 고정하는 고정구(4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이 장경간인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의 우각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의 우각부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거더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시공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에 적용되는 거더들의 연속화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지지빔이 연직을 벗어난 경사형으로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가 다중 강관 앵커로 보강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다중 강관 앵커의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에 적용된 거더의 다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이 교량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이 외팔보형 인도인 예를 도시한 도면.
12 : 교대부,
20 : 거더, 21 : 가로보 관통홀
22 : 보강틀, 23 : 웨브
24 : 보강리브, 25 : 상부 플랜지
26 : 스터드, 27 : 하부 플랜지
30 : 가로보,
40 : 가압 고정수단, 41 : 하중잭
42 : 고정구,
50 : 다중 강관 앵커,
Claims (11)
-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며, 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지지빔과;
지점부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지지빔들 사이에 개재되며 가로보 관통홀을 포함하는 거더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빔 및 거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빔은 상기 거더에 대해 상단부로 가면서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한편 상기 가로보는 상기 하부구조물에 대해 상기 지지빔의 경사를 통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 고정수단은 상기 가로보를 상기 지지빔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보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거더의 지점부 하부플랜지에 상기 하부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의 하중을 부가하고 상기 거더가 하중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거더를 상기 가로보 또는 상기 지지빔에 고정하는 것을 라멘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 사면과 연계하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 구조물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지지빔과;
가로보 관통홀을 포함하며, 길이방향의 양측 중 일측이 상기 하부 구조물의 지지빔들 사이에 개재되는 외팔보 형태의 거더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빔 및 거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빔은 상기 거더에 대해 상단부로 가면서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한편 상기 가로보는 상기 하부구조물에 대해 상기 지지빔의 경사를 통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 고정수단은 상기 가로보를 상기 지지빔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보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거더의 지점부에 상기 하부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의 하중을 부가하고 상기 거더가 하중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거더를 상기 가로보 또는 상기 지지빔에 고정하는 외팔보형 인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 하부 구조물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지지빔과;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과;
가로보 관통홀을 포함하며, 지점부가 상기 지지빔들 사이이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받침 위에 지지되는 거더와;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빔 및 거더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가압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빔은 상기 거더에 대해 상단부로 가면서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지는 한편 상기 가로보는 상기 하부구조물에 대해 상기 지지빔의 경사를 통해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가압 고정수단은 상기 가로보를 상기 지지빔에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보를 지지기반으로 하여 상기 거더의 지점부에 상기 하부구조물을 향하는 방향의 하중을 부가하고 상기 거더가 하중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거더를 상기 가로보 에 고정하는 교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 고정수단은 상기 거더의 하부 플랜지에 올려지면서 상기 가로보의 저부에 지지되는 하중잭 및 상기 하중잭에 의한 하중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거더의 가로보 관통홀에 설치되어 상기 거더와 상기 가로보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물의 상부에 상부를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거더를 저부에서 거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 삭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직경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관이 동심원의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구조물과 상기 거더에 걸쳐 고정되는 다중 강관 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는 2개 이상이 연속화부 보강빔을 통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 청구항 1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부로 다수의 지지빔이 돌출되는 하부구조물을 하천의 양쪽에 서로 마주하도록 시공하는 제1단계와;
하천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거더를 인양하고 상기 거더의 지점부를 상기 하부구조물 위에 거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하부구조물 위에, 상기 지지빔과 거더의 지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가로보를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가로보와 상기 거더에 지지되도록 가압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거더의 지점부에 부모멘트의 저항력을 부여하는 제4단계와;
상기 거더가 부모멘트의 저항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거더를 상기 가로보 또는 지지빔에 고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라멘교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청구항 2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부로 다수의 지지빔이 돌출되는 하부구조물을 하천 변을 따라 시공하는 제1단계와;
거더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을 상기 하부구조물 위에 거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하부구조물 위에, 상기 지지빔과 거더의 지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가로보를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가로보와 상기 거더에 지지되도록 가압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거더의 지점부에 부모멘트의 저항력을 부여하는 제4단계와;
상기 거더가 부모멘트의 저항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거더를 상기 가로보 또는 지지빔에 고정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외팔보형 인도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 - 청구항 3에 의한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부로 다수의 지지빔이 돌출되는 하부구조물을 하천의 양쪽에 서로 마주하도록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시공한 하부구조물 위에 받침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하천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거더를 인양하고 상기 거더의 지점부를 상기 받침 위에 거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하부구조물 위에, 상기 지지빔과 거더의 지점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가로보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상기 가로보와 상기 거더에 지지되도록 가압 고정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거더의 지점부에 부모멘트의 저항력을 부여하는 제5단계와;
상기 거더가 부모멘트의 저항력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거더를 상기 가로보 또는 지지빔에 고정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라멘교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97546A KR102067254B1 (ko) | 2019-08-09 | 2019-08-09 |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97546A KR102067254B1 (ko) | 2019-08-09 | 2019-08-09 |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67254B1 true KR102067254B1 (ko) | 2020-01-16 |
Family
ID=6936907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97546A Active KR102067254B1 (ko) | 2019-08-09 | 2019-08-09 |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67254B1 (ko)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934452A (zh) * | 2022-05-20 | 2022-08-23 | 山东交通学院 | 一种适用于带挂梁的t形刚构桥挑臂式加固装置及方法 |
| KR102640702B1 (ko) * | 2023-10-10 | 2024-02-23 | 윤승한 | 유지 보수가 용이한 부모멘트 보강 거더 |
| KR102670849B1 (ko) | 2023-10-11 | 2024-05-30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모멘트 보강용 이중 합성 거더 |
| CN119914322A (zh) * | 2025-04-02 | 2025-05-02 | 山西省水利建筑工程局集团有限公司 | 一种隧洞围岩加固结构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9439B1 (ko) * | 2007-12-11 | 2008-06-19 |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를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라멘교량의강접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의 시공방법 |
| KR100989586B1 (ko) | 2010-06-07 | 2010-10-25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046941B1 (ko) * | 2011-03-14 | 2011-07-07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헌치부가 배제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158523B1 (ko) * | 2011-11-25 | 2012-06-21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된 도로확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 KR101409185B1 (ko) * | 2013-10-04 | 2014-06-19 | 주식회사 르네코 | 교량용 강합성 거더의 제작용 거푸집 균형 시스템 |
| KR101976742B1 (ko) * | 2018-09-21 | 2019-08-28 |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 강데크 보강슬래브 무교대 교량 및 이 시공 방법 |
-
2019
- 2019-08-09 KR KR1020190097546A patent/KR10206725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39439B1 (ko) * | 2007-12-11 | 2008-06-19 |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를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라멘교량의강접구조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량의 시공방법 |
| KR100989586B1 (ko) | 2010-06-07 | 2010-10-25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046941B1 (ko) * | 2011-03-14 | 2011-07-07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헌치부가 배제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158523B1 (ko) * | 2011-11-25 | 2012-06-21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된 도로확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
| KR101409185B1 (ko) * | 2013-10-04 | 2014-06-19 | 주식회사 르네코 | 교량용 강합성 거더의 제작용 거푸집 균형 시스템 |
| KR101976742B1 (ko) * | 2018-09-21 | 2019-08-28 | 주식회사 미강이엔씨 | 강데크 보강슬래브 무교대 교량 및 이 시공 방법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934452A (zh) * | 2022-05-20 | 2022-08-23 | 山东交通学院 | 一种适用于带挂梁的t形刚构桥挑臂式加固装置及方法 |
| CN114934452B (zh) * | 2022-05-20 | 2023-08-22 | 山东交通学院 | 一种适用于带挂梁的t形刚构桥挑臂式加固装置及方法 |
| KR102640702B1 (ko) * | 2023-10-10 | 2024-02-23 | 윤승한 | 유지 보수가 용이한 부모멘트 보강 거더 |
| KR102670849B1 (ko) | 2023-10-11 | 2024-05-30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모멘트 보강용 이중 합성 거더 |
| CN119914322A (zh) * | 2025-04-02 | 2025-05-02 | 山西省水利建筑工程局集团有限公司 | 一种隧洞围岩加固结构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67254B1 (ko) |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 |
| KR100743832B1 (ko) |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 |
| KR101007708B1 (ko) |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 CN107761542B (zh) | 一种拱斜拉组合体系桥梁及其施工方法 | |
| JP3844743B2 (ja) |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 KR101527782B1 (ko) | 합성형 교량의 변위관리 및 반전합성 경사지보공 설치방법 | |
| KR20140144035A (ko) | 외적 프리스트레싱 긴장정착 메커니즘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복합거더 구조체 시공방법 | |
| KR102035492B1 (ko) | 세미 사장교 구조 | |
| JP2003253621A (ja) | 既設単純桁橋梁を連続化した連続桁構造 | |
| KR20160113917A (ko) | 자전거 통행용 연속 교량 | |
| JP2008025221A (ja) | Pc構造脚柱と鋼製箱桁とを結合した高架構造物 | |
| CN110700122A (zh) | 一种用于矩形独柱墩桥梁的抗倾覆加固结构 | |
| JP3737475B2 (ja) |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 KR100974306B1 (ko) | 교량용 거더가 매달려 설치되는 지점부 구조물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 CN212956124U (zh) | 一种组合式多跨桥梁板连接结构 | |
| KR102163560B1 (ko) |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이 설치된 교량 | |
| KR102033052B1 (ko) |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 |
| KR102490192B1 (ko) | 변위수용형 강가로보를 갖는 교량 상부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시공 방법 | |
| JP4038822B2 (ja) | 道路拡張構造 | |
| JP3895339B2 (ja) | 立体交差陸橋のアプローチ部構造およびその架設工法 | |
| CN220813422U (zh) | 一种独柱桥墩抗倾覆构造 | |
| CN114703735B (zh) | 一种多跨上承式连续拱桥拱顶构造 | |
| KR101678503B1 (ko) | 금속관의 현수 구조로 이루어지는 교량 | |
| KR101635851B1 (ko) | 경간 폭의 확장 시공이 용이한 교량 | |
| KR102521965B1 (ko) | 횡방향 및 지점부 보강 구조가 구비된 교량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8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