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746B1 -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8746B1 KR102068746B1 KR1020130049622A KR20130049622A KR102068746B1 KR 102068746 B1 KR102068746 B1 KR 102068746B1 KR 1020130049622 A KR1020130049622 A KR 1020130049622A KR 20130049622 A KR20130049622 A KR 20130049622A KR 102068746 B1 KR102068746 B1 KR 1020687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 service providing
- identification information
- providing device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서비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제 2 디바이스 및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서비스를 제어할 권한을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지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 서비스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해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해지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의 구조를 간단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Claims (47)
- 제 1 디바이스가, 차량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Out-of-band)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In-band)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운전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동승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리스트 중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리스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가 차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MAC address)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연결된 상기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상기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 내 통신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2 디바이스가, 차량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것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운전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동승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리스트 중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리스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가 차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목록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된 상기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맥 주소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비스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운전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동승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리스트 중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리스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가 차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받은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인증 받은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서비스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 제1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가지는 제 2 디바이스와 대역 외 통신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관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해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운전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동승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리스트 중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리스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가 차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맥 주소를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내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인증 요청부가 수행한 상기 인증 프로세스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부가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대역 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방식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디바이스.
- 제2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대역 외 통신을 통해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대역 외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운전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가 동승자 디바이스로 인증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리스트 중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리스트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와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한 제어가 차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목록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제어 가능한 서비스 중에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된 상기 서비스의 목록에 포함된 서비스를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부는,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맥 주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맥 주소 및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연결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성능 정보, 암호화 키, 인증 정보 및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역 내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외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 방식과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디바이스.
-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 일시적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3/012198 WO2014104752A1 (en) | 2012-12-26 | 2013-12-26 |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
| US14/140,715 US10111025B2 (en) | 2012-12-26 | 2013-12-26 |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
| JP2013269296A JP6366270B2 (ja) | 2012-12-26 | 2013-12-26 | サービス提供端末に連結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
| EP13199682.9A EP2750425B1 (en) | 2012-12-26 | 2013-12-27 | Secure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53708 | 2012-12-26 | ||
| KR20120153708 | 2012-12-26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83850A KR20140083850A (ko) | 2014-07-04 |
| KR102068746B1 true KR102068746B1 (ko) | 2020-02-11 |
Family
ID=517341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049622A Expired - Fee Related KR102068746B1 (ko) | 2012-12-26 | 2013-05-02 |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687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544768B2 (en) | 2015-03-20 | 2017-01-10 | Hyundai Motor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cure Bluetooth communication |
| KR102275564B1 (ko) | 2017-04-14 | 2021-07-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인증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51256A1 (en) * | 2005-04-04 | 2006-11-09 | Nokia Corporation |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US20120156993A1 (en) * | 2010-12-20 | 2012-06-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10106954A1 (en) * | 2008-09-26 | 2011-05-05 | Manjirnath Chatterjee |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ly pairing devices to share data or resources |
-
2013
- 2013-05-02 KR KR1020130049622A patent/KR10206874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51256A1 (en) * | 2005-04-04 | 2006-11-09 | Nokia Corporation |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 US20120156993A1 (en) * | 2010-12-20 | 2012-06-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83850A (ko) | 2014-07-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750425B1 (en) | Secure Service Providing Terminal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 |
| US12035386B2 (en) |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 |
| CN104348531B (zh) | 无线连接及数据共享简化装置及其方法 | |
| KR101976034B1 (ko)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테더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 KR101658630B1 (ko) |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001221B1 (ko) |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시스템 | |
| WO2015098162A1 (ja) |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 |
| US10419984B2 (en) | Wireless device connection management | |
| KR101597668B1 (ko) | Nfc 장치와 비콘 중에서 어느 하나와 전화 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 |
| JP2009177765A (ja) | 無線基地局、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 | |
| KR102068746B1 (ko) |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 KR101945481B1 (ko) |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
| US2017026502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rtable telematics services | |
| KR101304805B1 (ko) |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 US11716440B2 (en) | Portable hub with digital video recorder | |
| EP3399762B1 (en) | Portable hub with digital video recorder | |
| KR102087988B1 (ko) | 호스트 기기의 종속 기기를 이용하여 호스트 기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종속 기기 및 시스템 | |
| KR20190050747A (ko)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테더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1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