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335B1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9335B1 KR102069335B1 KR1020180024838A KR20180024838A KR102069335B1 KR 102069335 B1 KR102069335 B1 KR 102069335B1 KR 1020180024838 A KR1020180024838 A KR 1020180024838A KR 20180024838 A KR20180024838 A KR 20180024838A KR 102069335 B1 KR102069335 B1 KR 102069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toothbrush
- groove
- guide
- moving pie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457 flexible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46B9/065—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embedded in a different brushing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모 사이에 공기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칫솔이 개시된다.
이 칫솔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로 분리된 빔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부와, 바디부와 헤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헤드부로 이동될 때, 복수로 분리된 헤드부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시키는 이동편을 포함할 수 있다.A toothbrush is disclosed that can secure a space in which contact with air is made between bristles.
The toothbrush has a body portion provided to be held by a user, a head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he head portion having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beam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movab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When provided and moved to the head portion, it may include a moving piece to press the plurality of separated head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칫솔은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구강위생(口腔衛生)의 용구이다. 칫솔은 치아표면, 치아 사이, 잇몸 등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및 프라그 등을 제거하여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oothbrush is an oral hygiene tool used with toothpaste. Toothbrush removes food debris and plaque from the tooth surface, between teeth, gums, etc. to keep the teeth healthy.
예를 들어, 칫솔은 기본적으로 칫솔모 본체 및 칫솔모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는 칫솔모에 치약을 묻힌 상태에서 치아 표면이나 잇몸 등을 닦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toothbrush may be basically composed of the bristle body and the bristle, the user can wipe the tooth surface or gum and the like while the toothbrush on the toothbrush.
그런데 종래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경우, 양치 후 칫솔의 칫솔모에는 수분이 묻어 있게 되는데, 칫솔모에 습한 환경이 유지되면, 각종 치주 질환의 원인이 되는 병원균의 번식이 증가될 수 있다. 병원균이 번식된 칫솔을 이용하여 다시 양치질을 하게 되면, 칫솔모에 있는 병원균으로 인해 치주 질환의 발생이 증가될 수 있다.By the way, when brushing the teeth using a conventional toothbrush, the brush head of the toothbrush after the brushing is moist, but if the moist environment is maintained in the brush head, the growth of pathogens that cause various periodontal disease can be increased. If you brush your teeth again with the toothbrushes that have propagated, pathogens in the bristles may increase the incidence of periodontal disease.
이에 칫솔모를 건조 상태로 유지하여 칫솔의 위생적인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ique capable of maintaining the hygiene of the toothbrush by maintaining the bristles in a dry st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칫솔모 사이에 확보하여 위생적인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하는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that can maintain a hygienic clean state by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contact with the bristles to the ai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칫솔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로 분리된 빔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헤드부로 이동될 때, 복수로 분리된 상기 헤드부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시키는 이동편을 포함할 수 있다.Toothbrush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provided to be held by the user; A head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beams; And a moving piec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the head part, and pressed to the plurality of head parts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moved to the head part.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칫솔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ristle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ead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서 상기 헤드부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편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헤드부를 감싸는 고리 형태로 제공되고, 내면에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guide groov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the side of the head por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ece, the moving pie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surrounding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 guide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to protrude along the guide groove.
또한,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바디부에서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홈부;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헤드부에서 안착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홈부; 및 상기 가이드돌기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를 사이를 연결하는 채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groove formed concave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such that the guide protrusion is seated on the body portion; A second groove portion formed concavely in the side portion of the head portion such that the guide protrusion is seated in the head portion; And a channel part connecting the first groove part and the second groove part to move the guide protrusion.
또한, 상기 헤드부는 양측면에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기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 1 헤드부; 일측면에 상기 제 1 돌기에 삽입 가능한 제 1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편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일측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선단이 상기 제 1 헤드부에서 이격 배치되고 기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 2 헤드부; 및 일측면에 상기 제 2 돌기에 삽입 가능한 제 2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편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타측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선단이 상기 제 1 헤드부에서 이격 배치되고 기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 3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d uni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and a proximal end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first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The tip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ea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head by pressing the moving piece. A second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And a second groove tha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 on one side thereof, and a front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ead portio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ead portion by pressing the moving piece, and the proximal end of the body It may include a third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공간을 칫솔모 사이에 확보함으로써, 칫솔에 대한 위생적인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ygienic clean state for the toothbrush by ensuring a space between the bristles to facilitate contact with ai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양치한 후 칫솔의 헤드부를 벌림으로써, 복수로 분리된 헤드부의 칫솔모 사이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있다. In addition, by opening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after brush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sandwiched between the bristles of the plurality of separated head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편이 칫솔 본체의 헤드부로 이동될 때, 칫솔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편이 칫솔 본체의 바디부로 이동될 때, 칫솔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toothbrush when the moving piece is mov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bod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the toothbrush when the moving piece is mov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toothbrush bod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patentable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form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be omitted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between Should b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utaway "AA" of Figure 2 It is sectional drawin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10)은, 복수로 분리된 헤드부(120)를 제공하는 칫솔 본체(100)와, 복수로 분리된 헤드부(120)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시킬 수 있는 이동편(2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구체적으로, 칫솔 본체(100)는 복수로 분리된 헤드부(120)를 통해, 헤드부(12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헤드부(120)의 칫솔모에 묻어 있는 수분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의 헤드부(120)를 모은 상태에서, 양치질할 수 있고, 양치질이 끝난 후, 사용자는 복수의 헤드부(120)를 벌려(분리하여) 공기가 접촉되는 칫솔모의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칫솔모에 대한 수분 건조 속도를 높일 수 있다.In detail, the
이를 위해, 칫솔 본체(100)는 바디부(110), 헤드부(120), 칫솔모부(130) 및 가이드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형태의 볼록한 바(bar)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바디부(110)의 표면에는 안정적인 그립감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그립돌기 및 그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그리고 헤드부(120)는 바디부(110)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로 분리된 빔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2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분리된 빔은 바디부(110)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헤드부(120)는 바디부(110)의 선단 중앙에서 연장되는 제 1 헤드부(121)와, 선단이 제 1 헤드부(121)의 선단과 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바디부(110)의 선단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2 헤드부(122)와, 선단이 제 1 헤드부(121)의 선단과 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바디부(110)의 선단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 3 헤드부(123)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때, 제 1 헤드부(121)의 양측면에는 제 1 돌기(121a) 및 제 2 돌기(12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헤드부(122)의 일측면에는 제 1 돌기(121a)에 삽입 가능한 제 1 요홈(122a)이 형성되고, 제 3 헤드부(123)의 일측면에는 제 2 돌기(121b)에 삽입 가능한 제 2 요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편(200)이 헤드부(120)로 이동 완료될 때, 제 1 돌기(121a) 및 제 2 돌기(121b)는 제 2 헤드부(122)의 제 1 요홈(122a) 및 제 2 요홈(123a)에 각각 삽입 및 안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first and
제 2 헤드부(122)는 이동편(200)의 가압에 의해 제 1 헤드부(121)의 일측에 밀착될 수 있는 가요성의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헤드부(123) 또한 이동편(200)의 가압에 의해 제 1 헤드부(121)의 타측에 밀착이 가능한 가요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제 2 헤드부(122) 및 제 3 헤드부(123)가 가요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내용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이들 제 2 헤드부(122) 및 제 3 헤드부(123) 이외의 다른 구성도 가요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s of the
칫솔모부(130)는 각각의 헤드부(120), 보다 자세하게, 제 1 헤드부(121), 제 2 헤드부(122) 및 제 2 헤드부(122)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칫솔모부(130)는 다수개의 칫솔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개의 칫솔모는 통상의 칫솔에 사용되는 칫솔모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가이드홈부(140)는 이동편(2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칫솔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디부(110)의 측부에서 헤드부(120)의 측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홈부(140)는 바디부(110)의 양 측면에 요입 형성되는 제 1 홈부(141)와, 헤드부(120)의 최외곽 양 측면에 요입 형성되는 제 2 홈부(142)와, 제 1 홈부(141) 및 제 2 홈부(142)를 사이를 연결하는 채널부(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때, 제 1 홈부(141) 및 제 2 홈부(142)는, 이동편(200)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10)의 두께와 대응되는 깊이를 갖고, 채널부(143)는 제 1 홈부(141) 및 제 2 홈부(142)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이동편(200)이 바디부(110)로 이동 완료될 때, 바디부(110)의 제 1 홈부(141)에는 이동편(200)의 가이드돌기(210)가 안착될 수 있고, 이동편(200)이 헤드부(120)로 이동 완료될 때, 헤드부(120)의 제 2 홈부(142)에는 이동편(200)의 가이드돌기(210)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이동편(200)이 헤드부(120) 또는 바디부(110)로 이동하기 위해, 이동편(200)의 가이드돌기(210)는 채널부(143)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이동편(200)은 칫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사각 고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편(200)은 칫솔 본체(100)의 바디부(110)에서 헤드부(120)로 이동될 때, 복수로 분리된 헤드부(120)를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헤드부(120) 사이를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The moving
이동편(200)의 내면에는 가이드돌기(210)가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10)는 이동편(200)의 이동시, 칫솔 본체(100)의 가이드홈부(140)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편(200)의 진행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편이 칫솔 본체의 헤드부로 이동될 때, 칫솔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편이 칫솔 본체의 바디부로 이동될 때, 칫솔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toothbrush when the moving piece is mov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bod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iece moves to the body portion of the toothbrush body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toothbrush.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칫솔 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편(200)을 칫솔 본체(100)의 바디부(110)에서 헤드부(120)로 이동시키면, 복수의 헤드부(120) 사이가 서로 밀착되면서, 복수의 헤드부(120)는 하나의 헤드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하나로 모아진 칫솔모부(130)를 통해 편리하게 양치질을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intends to brush teeth using a toothbrush, the user moves the mov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치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이동편(200)을 칫솔 본체(100)의 헤드부(120)에서 바디부(110)로 이동시키면, 복수의 헤드부(120)가 원래 형태로 복원되면서, 복수의 헤드부(120) 사이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when brushing is completed, when the user moves the moving
이때, 각각 헤드부(120)의 칫솔모 사이에는 공기가 원활하게 이동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칫솔모에 대한 건조가 신속하게 진행되어 칫솔에 대한 위생적인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헤드부(120)의 칫솔모 사이에 끼여 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each space between the bristles of th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technical idea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of will be possible and all such implementations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칫솔 본체 110 : 바디부
120 : 헤드부 121 : 제 1 헤드부
122 : 제 2 헤드부 123 : 제 3 헤드부
130 : 칫솔모부 140 : 가이드홈부
141 : 제 1 홈부 142 : 제 2 홈부
143 : 채널부 200 : 이동편
210 : 가이드돌기100: toothbrush body 110: body portion
120: head portion 121: first head portion
122: second head portion 123: third head portion
130: brush head 140: guide groove
141: first groove 142: second groove
143: channel portion 200: moving
210: guide protrusion
Claims (5)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로 분리된 빔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 헤드부;
상기 바디부와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헤드부로 이동될 때, 복수로 분리된 상기 헤드부를 가압하여 서로 밀착시키는 이동편; 및
상기 이동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서 상기 헤드부의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편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헤드부를 감싸는 고리 형태로 제공되고, 내면에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안내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바디부에서 안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홈부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헤드부에서 안착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 홈부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를 사이를 연결하는 채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두께와 대응되는 깊이를 갖고, 상기 채널부는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의 깊이보다 얕은 깊이를 갖으며,
상기 이동편이 상기 바디부로 이동 완료될 때, 상기 제 1 홈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고, 상기 이동편이 상기 헤드부로 이동 완료될 때, 상기 제 2 홈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는 칫솔.A body part provided to be gripped by a user;
A head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hape including a plurality of beams;
A moving piece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and the head part, and presses the plurality of head parts separated by a plurality when moved to the head part to closely adhere to each other; And
It includes a gu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to the side of the head portion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iece,
The moving piece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surrounding the body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 guide along the guide groove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The guide groove has a first groove portion concavely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is seated in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concavely form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head portion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is seated on the head portion. And a channel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to move the guide protrusion.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have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guide protrusion, the channel portion has a depth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When the moving piece is completed to move to the body portion, the guide projection is seated in the first groove portion, when the movable piece is completed to move to the head portion, the toothbrush is seated in the second groove portion.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칫솔모부를 더 포함하는 칫솔.The method of claim 1,
Toothbrush further comprises a bristle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ead portion.
상기 이동편이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바디부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돌기는 채널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되는 칫솔.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piece
To guide the head portion or the body portion, the guide protrusion is guid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channel portion.
상기 이동편은
상기 칫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사각 고리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칫솔 본체의 바디부에서 헤드부로 이동될 때, 복수로 분리된 헤드부를 가압함으로써, 복수의 헤드부 사이를 서로 밀착시키는 칫솔.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piece
Toothbrush provid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body, when moving from the body portion of the toothbrush body to the head portion, by pressing a plurality of separated head portion, the toothbrush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헤드부는
양측면에 제 1 돌기 및 제 2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기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 1 헤드부;
일측면에 상기 제 1 돌기에 삽입 가능한 제 1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편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일측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선단이 상기 제 1 헤드부에서 이격 배치되고 기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 2 헤드부; 및
일측면에 상기 제 2 돌기에 삽입 가능한 제 2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편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 1 헤드부의 타측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선단이 상기 제 1 헤드부에서 이격 배치되고 기단이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는 제 3 헤드부를 포함하는 칫솔.The method of claim 2,
The head part
First head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respectively, and the proximal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 first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and a front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ead par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rst head part by pressing the moving piece, and the proximal end is the body part. A second head portion connected to the; And
A second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tip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ead so that the first hea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ead by pressing the moving piece. Toothbrush comprising a third head portion connected to.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24838A KR102069335B1 (en) | 2018-02-28 | 2018-02-28 | Toothbru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24838A KR102069335B1 (en) | 2018-02-28 | 2018-02-28 | Toothbrush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03881A KR20190103881A (en) | 2019-09-05 |
| KR102069335B1 true KR102069335B1 (en) | 2020-01-22 |
Family
ID=6794965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24838A Active KR102069335B1 (en) | 2018-02-28 | 2018-02-28 | Toothbrush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69335B1 (en)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80059634U (en) * | 1998-07-24 | 1998-10-26 | 박효문 | Toothbrush |
| KR200468941Y1 (en) | 2013-03-08 | 2013-09-17 | 김리선 | toothbrush |
-
2018
- 2018-02-28 KR KR1020180024838A patent/KR10206933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03881A (en) | 2019-09-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807820A (en) | Flexible brush head and means to retain it in a predetermined position | |
| US8549693B2 (en) | Tooth cleaning device | |
| KR20170003684U (en) | Toothbrush | |
| US8997299B2 (en) | Tooth cleaning device | |
| KR100911412B1 (en) | Double sided toothbrush | |
| KR102069335B1 (en) | Toothbrush | |
| US10433635B2 (en) | Toothbrush | |
| KR200484576Y1 (en) | Toothbrush | |
| KR20130006411A (en) | Tothbrush with interdental brush | |
| WO2021012073A1 (en) | Brush head improvement of toothbrush and forming method therefor | |
| KR101456623B1 (en) | Tooth brush | |
| KR20210111087A (en) | Removable toothbrush of the brush of toothbrush | |
| JP2021104366A (en) | toothbrush | |
| KR20220063339A (en) | Toothbrush | |
| KR200393316Y1 (en) | Toothbrush | |
| KR20140109055A (en) | toothbrush | |
| JPH0123296Y2 (en) | ||
| RU2039506C1 (en) | Tooth-brush | |
| JP3153789U (en) | toothbrush | |
| KR200213054Y1 (en) | Toothbrush head | |
| EP3932252B1 (en) | Handle for a personal care implement and personal care implement | |
| KR200219014Y1 (en) | Toothbrush | |
| KR200171271Y1 (en) | A toothbrush | |
| RU2049418C1 (en) | Toothbrush | |
| KR200210811Y1 (en) | Second molar clean toothbrush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