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087B1 - Variable type stairway equipped with elevator - Google Patents
Variable type stairway equipped with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0087B1 KR102060087B1 KR1020190080127A KR20190080127A KR102060087B1 KR 102060087 B1 KR102060087 B1 KR 102060087B1 KR 1020190080127 A KR1020190080127 A KR 1020190080127A KR 20190080127 A KR20190080127 A KR 20190080127A KR 102060087 B1 KR102060087 B1 KR 1020600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lifting
- variable block
- user
- elev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11/1834—Connections therefor with adjustable angle, e.g. pivotal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공간 외측으로 전진하여 돌출되면 복수 개가 적층되어 사용자가 오를 수 있는 계단모양을 이루고, 상기 수납공간 내측으로 후진하여 삽입되면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승강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작동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가변블록; 상기 가변블록을 상기 수납공간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구동부; 아래층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가변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상기 수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패널; 상기 승강패널을 위층의 바닥면 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승강패널을 아래층의 바닥면 까지 하강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승강패널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계단 모양을 이룰 때에는 계단의 난간을 제공하고, 상기 승강패널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는 승강기의 난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안전난간; 상기 가변블록을 따라 계단을 오르거나 상기 승강패널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상기 안전난간을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패널의 승강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패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전난간의 경사 정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승강패널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복수 개의 상기 안전난간 사이의 개구부로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안전난간 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부재; 상기 가변블록의 후진운동을 상기 스크린부재의 폐쇄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재가 폐쇄되면 상기 스크린부재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가 승강패널로부터 하차할 때에 상기 스크린부재를 개방시킬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lidably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when moving forwar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is a plurality of stacked to form a staircase that can be climbed by the user, and back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inserted into the upper floor and A plurality of variable blocks providing an operating space in which lifts are raised or lowered between lower layers; A first driving part which moves the variable block forward or backward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A lifting panel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floor, wherein the variable block is slidably supported when the variable block protrudes outside the storage space, and a user panel that can be boarded by the user when the variable block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A second driving part which raises the lifting panel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oor and lowers the lifting panel to the bottom of the lower floor; A plurality of safety railing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panel and provided with a handrail of the stairs when the variable block forms a step shape, and a handrail of the elevator when the elevating panel is raised or lowere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afety rai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fting panel is linked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panel so that a user climbing the stairs along the variable block or boarding the lifting panel can hold the safety railing by hand.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screen member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end of the plurality of safety railings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between the safety railings when the lifting panel is raised or lowered;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verting and revers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ariable block into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creen member; And a mounting part f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screen member when the screen member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opening the screen member when the user gets off from the lifting pan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이 자유로운 일반인이 오를 수 있는 계단과, 장애우나 노약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계단과 승강기 사이의 변환작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승강기 이용 시에 사용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a step that can be climbed by a general person who is free to walk, and a lift that can be used by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can be selected and used. The conversion operation can be easily carried out, and relates to a variable staircase provided with an elevator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the user falls when using the elevator.
일반적으로 계단(階段;stairs)은 사람이 오르내리기 위하여 건물이나 비탈에 만든 층층대로, 수직면인 벽판과 수평면인 디딤판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딤판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인 논슬립이 선단면이나 상면에 고정되고, 측단에는 난간손잡이를 갖는 난간이 형성되어 통행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stairs are floors made on buildings or slopes for people to climb up and down, and a vertical wall plate and a horizontal stepping plate are repeatedly formed, and a stepping plate has a non-slip, non-slip means for preventing slipping. It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the handrail is formed on the side end having a handrail handle is made of a structure to prevent the fall of the pedestrian.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계단은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보폭이 작은 유아는 통행할 수 없어 장애인이나 유아에게는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tairs of such a structure have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for a disabled person or an infant because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or a small infant cannot pas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빌딩에는 계단과는 별도로 계단주변에는 승강기를 설치하여 노약자나 장애인이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나, 승강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추가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금전적인 부담이 있는 단점이 있었고, 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승강기가 대피장소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uilding is installed around a stairway in addition to the stairway to encourage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use it.However, in order to install a lift, there is a financial burden that requires a large additional cos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levator can not be used as an evacuation site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83313호에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가 제안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0883313 discloses a construction staircase structure for a disabled person and an infant.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는,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는, 계단 난간에 고정되어 경사 계단판을 힌지 고정하는 고정 난간틀과, 고정 난간틀에 수직기립으로 보관되어 필요시 힌지 회동으로 계단 상면에 안착되는 경사 계단판을 구비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구조에서, 고정 난간틀은 계단의 난간에 고정되는 사각 관체인 난간 지주가 형성되되 하단은 계단의 수평면과 난간벽에 각각 맞닿도록 측면이 자형상으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을 갖고 수직 절곡된 좌우측 절곡 지지판이 형성되고, 난간지주 중간부위와 상부에는 계단의 경사에 따라 좌우측에 경사지게 상하측 삽입바가 돌출되는 체결링이 고정되고, 상하측 삽입바에는 난간바가 억지끼움으로 연결되며, 난간지주 내측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하부로 유입되는 탄성 고정바가 형성되되 탄성 고정바 상단에는 자 형상으로 수직 절곡되는 걸림 절곡부가 형성되고, 걸림 절곡부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 삽입바가 형성되며, 상단부 외측에는 당김 레버가 돌출되며, 난간 지주 상단에는 탄성 고정바는 승강시키면서 스프링의 이탈은 방지하는 고정캡이 설치되고, 경사 계단판은 다수 개의 타공을 갖고 계단의 상면에 안착되는 일정 두께의 판체로, 고정 난간틀의 난간지주에 계단의 경사도에 따라 체결고정되는 연결바를 갖고, 힌지핀에 의해 축 결합되어 일단은 연결바에 고정되고 타단은 몸체에 고정되어 몸체를 회동시키는 경첩이 형성되며, 경첩에 의해 수직 보관 시에 탄성 고정바의 수직 삽입바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홈이 내측 선단면에 형성되고, 내측 중심 선단부에 손잡이홈을 갖고 필요에 따라 경첩에 의해 계단 상면에 자중에 의해 안착되어 이루어진다.The construction stair structure for the disabled and the infant, the construction stair structure for the infant, is fixed to the stair railing and fixed by the handrail frame for hinge fixing the inclined staircase, and the staircase in the hinge rail is stored as vertical standing if necessary In the construction staircase structure for the disabled and infants with the inclined staircas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the fixed railing frame is formed with a railing pillar which is a rectangular tube fixed to the railing of the staircase, but the bottom side is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stairs and the railing wall respectively. The left and right bending support plates are vertically bent with bolt holes into which the fastening bolts are inserted into the shape, and the fastening rings protruding the upper and lower insertion bars are inclin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tairs at the middle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railing column. Handrail bars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insertion bars by force fittings. The elastic fixing bar is formed, but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fixing bar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bending bent to be bent vertically, the bottom of the locking bent is formed with a vertical insertion bar extending to the lower side, the pull lever protrudes on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railing holding An elastic fixing bar is provided with a fixed cap that prevents the spring from being lifted up and down, and the inclined staircase plate ha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nd is a plat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ircase. It has a connection bar fastened and fixed according to, the shaft is coupled by a hinge pin, one e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ba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ody to form a hinge for rotating the body, the vertical insertion of the elastic fixing bar in the vertical storage by the hinge An insertion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bar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inner end surface, and has a handle groove at the inner center tip and, if necessary, By an adhesive preparation is made it is seated by its own w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ircase.
그러나 경사 계단판을 필요 시 난간에서 회전시켜 장애인이 탑승한 휠체어, 유아가 편리하게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경사 계단판의 경사에 의해 휠체어와 유아가 미끄러질 수 있고, 경사 계단판을 밟고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지 않기 위하여 큰 힘으로 난간을 잡아야 하고 발목 부위에 힘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clined staircases are rotated on the railings when necessary to allow wheelchairs and infants with disabilities to climb up and down conveniently.However, the inclined staircases can cause wheelchairs and toddlers to slip, In order to prevent slipping up and down, you have to hold the handrail with great for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ce enters the ankle area.
경사 계단판의 저면이 계단의 모서리부에 지지되기 때문에 경사 계단판의 휨 변형이 일어나고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Since the bottom of the inclined staircase is supported at the edge of the staircase,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inclined staircase occurs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s aesthetically unfavorabl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전 계단 리프트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계단 리프트장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복수의 스프라켓 및 체인과, 각 스프라켓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복수의 구동축과, 구동축과 연결되며,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과, 각 나사축에 조립되며, 나사축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체와, 회전체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며, 양끝에는 롤러가 장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회전바를 포함하고, 구동축, 나사축, 회전체, 회전바는 각 계단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각 계단을 단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Safety stair lift device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tair 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drive motor, a plurality of sprockets and chains receiving a drive force from the drive motor, and installed in each sprocket to transfer the drive force A plurality of receiving shafts,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s, each of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and has a threaded shaft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assembled to each screw shaft, and is threa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screw shaft. The rotating body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otating body, the roller is mounted at both end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ng bars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ound the hinge axis, drive shaft, screw shaft, rotating body, Rotating bar is installed on each step individually, and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to step up or down each step.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1926호(2015년 02월 11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환자나 장애인 또는 유아를 위한 안전 계단 리프트장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91926 (February 11, 2015, the name of the invention: safety stairs lift device for patients or disabled or infants).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다수 개의 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계단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승강작동에 요구되는 부품 수를 절감할 수 없고, 부품들 사이의 연결구조가 복잡하여 리프트장치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Lif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because a plurality of links are rotatably connected to elevate the stairs can not reduc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the lifting operation,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arts is complicated to produce the lift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ave time and money.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승강작동을 진행할 때에 장애우나 노약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별도의 안전장치 없이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승강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탑승자의 부주위에 의해 추락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if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because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a separate safety device to prevent the fall of the disabled or the elderly when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fall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ccupant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보행이 자유로운 일반인이 오를 수 있는 계단과, 장애우나 노약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계단과 승강기 사이의 변환작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승강기 이용 시에 사용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elect the stairs that can be climbed by ordinary people who are free to walk, and the elevator can be boarded by handicapped people or the elderly, can easily proceed the conversion operation between the stairs and the elevator, the user when using the eleva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that can prevent falling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은, 건축물의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공간 외측으로 전진하여 돌출되면 복수 개가 적층되어 사용자가 오를 수 있는 계단모양을 이루고, 상기 수납공간 내측으로 후진하여 삽입되면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승강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작동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가변블록; 상기 가변블록을 상기 수납공간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구동부; 아래층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가변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상기 수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패널; 상기 승강패널을 위층의 바닥면 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승강패널을 아래층의 바닥면 까지 하강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승강패널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계단 모양을 이룰 때에는 계단의 난간을 제공하고, 상기 승강패널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는 승강기의 난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안전난간; 상기 가변블록을 따라 계단을 오르거나 상기 승강패널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상기 안전난간을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패널의 승강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패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전난간의 경사 정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승강패널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복수 개의 상기 안전난간 사이의 개구부로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안전난간 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부재; 상기 가변블록의 후진운동을 상기 스크린부재의 폐쇄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재가 폐쇄되면 상기 스크린부재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가 승강패널로부터 하차할 때에 상기 스크린부재를 개방시킬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lidably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when moving forwar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is a plurality of stacked to form a staircase that can be climbed by the user, and back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and inserted into the upper floor and A plurality of variable blocks providing an operating space in which lifts are raised or lowered between lower layers; A first driving part which moves the variable block forward or backward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A lifting panel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a lower floor, wherein the variable block is slidably supported when the variable block protrudes outside the storage space, and a user panel that can be boarded by the user when the variable block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A second driving part which raises the lifting panel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oor and lowers the lifting panel to the bottom of the lower floor; A plurality of safety railing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panel and provided with a handrail of the stairs when the variable block forms a step shape, and a handrail of the elevator when the elevating panel is raised or lowere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afety rai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fting panel is linked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panel so that a user climbing the stairs along the variable block or boarding the lifting panel can hold the safety railing by hand.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screen member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end of the plurality of safety railings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between the safety railings when the lifting panel is raised or lowered;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verting and revers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ariable block into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creen member; And a mounting part for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screen member when the screen member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opening the screen member when the user gets off from the lifting panel.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승강패널의 일단부 테두리에 직립되게 고정되는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으로부터 상기 승강패널의 타단부 측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패널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기둥; 상기 승강패널의 타단부 테두리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패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제3기둥; 및 상기 제1기둥, 상기 제2기둥 및 상기 제3기둥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fety ra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llar is fixed to the upright end of the lifting panel; A plurality of second pillar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nsecutively and slidably penetrating through the elevating panel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elevating panel from the first pillar; A third pillar disposed upright a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panel and slidably penetrating the elevating panel to be fixed to the ground;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first pillar, the second pillar, and the third pilla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승강패널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가변블록의 저면에 구비되는 기어치; 상기 기어치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승강패널 후단부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구동축에 설치되는 드럼부재; 및 상기 드럼부재에 권취되고 상기 승강패널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기둥의 내부로 굴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스크린부재의 가이드봉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부재는 상기 승강패널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드럼부재로부터 상기 승강패널의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고, 제1가이드롤러에 의해 연장방향이 상기 제1기둥부재 상단 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제1기둥 상단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롤러에 의해 상기 제1기둥 하단 측으로 연장방향이 굴곡되어 상기 승강패널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가이드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ar teeth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riable block seated on the lifting panel upper surface; A gear member install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elevating panel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gear tooth; A drive shaft on which the gear member is installe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elevating panel; A drum member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And a wire member wound on the drum member, extending along the elevating panel, bent into the first pillar, and extending to the guide rod of the screen member, wherein the wire member is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panel. Extends from the drum member disposed at one end side of the elevating panel, the extension direction is bent toward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pillar member by a first guide roller, and the second guide rolle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The extension direction is bent toward the lower end of the first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guide rod seated on the lifting panel upp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은, 복수 개의 가변블록이 계단 모양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가변블록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구동부가 구비되므로 제1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가변블록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아래층과 위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구현하거나 아래층과 위층 사이를 승강하는 승강패널의 작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계단과 승강기를 선택적으로 손쉽게 변환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the variable type staircase provided with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ariable blocks are stacked in a step shape, and a plurality of variable blocks are 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part because a first driving part for advancing or reversing each variable block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ep of connecting the lower floor and the upper floor while moving forward or backward, or to provide an operating space of the lifting panel that moves up and down between the lower and upper floors, so that the stairs and the elevator can be easily converted sel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은, 제1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가변블록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계단 또는 승강기 작동공간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 일반인이 사용하는 계단을 제공하고, 장애우 또는 노약자가 승강기 작동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짧은 시간 내에 승강기 작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어 일반인, 장애우 및 노약자가 위층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staircase provided with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provide a staircase or a lift operating space while advancing or reversing the plurality of variable blocks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the stairway used by the general public is usually used. In addition, when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requests a lift operation, the elevator operation space can be provided within a short time, and thus, the general public, the disabled person, and the old person can easily move upstai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은, 승강패널이 제2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승작동 또는 하강작동을 진행할 때에 사용자가 승강패널 외측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난간 및 스크린부재가 구비되므로 승강패널의 상승작동 또는 하강작동 중에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승강패널 외측으로 무게중심이 기울어져도 안전난간 및 스크린부재에 지지되어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staircase provided with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railing and screen that can prevent the safety accident that the user falls to the outside of the elevating panel when the elevating panel proceeds ascending operation or descending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e unit. Since the member is provided, even if the center of gravity is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elevating panel by the user's circumference during the elevating operation or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panel, it is supported by the safety railing and the screen member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은, 복수 개의 가변블록에 의해 이루어지는 계단의 경사를 따라 안전난간이 설치되고, 안전난간의 경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패널이 승강될 때에 안전난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므로 계단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계단의 경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으로 안전난간이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승강패널이 상승하게 되면 승강패널의 상승운동이 높이조절부에 전달되어 안전난간이 승강패널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되면서 안전난간과 승강패널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패널로부터 사용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staircase provided with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railing is install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stairs made of a plurality of variable blocks, the safety railing when the lifting panel is elevated so as to adjust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afety railing. When the stairs are provided, the safety rail is inclined in the same or similar direction as the inclination of the stairs, and when the lifting panel is raised,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panel is transferred to the height adjusting unit. Since the safety railing is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lifting panel, the safety railing and the lifting panel ar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nd the safety accident that the user falls from the lifting panel is mor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은, 제1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가변블록이 후진될 때에 가변블록의 후진운동을 스크린부재의 상승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되므로 가변블록이 후진하여 승강패널의 작동공간이 제공되면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패널의 단부를 마감하는 스크린부재가 상승되면서 승강패널 입구부를 차단하게 되어 승강작동 중에 사용자가 안전난간 사이의 간격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staircase provided with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block is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converting and transferr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ariable block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screen member when the variable block is revers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e unit. When the operation space of the elevating panel is provided by moving backward, the screen member closing the end of the elevating panel is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reby blocking the elevating panel inlet, and the user falls down at intervals between safety rails during the elevating op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prevent accid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은,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상승된 스크린부재를 안전난간에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승강패널로부터 내릴 때에 안전난간에 거치되었던 스크린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되므로 동력전달부의 구동이 중단되어도 상승된 스크린부재를 기둥부재에 고정시켜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스크린부재를 기둥부재로부터 분리시켜 안전난간 사이의 간격을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staircase provided with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ecure the screen member rais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o the safety railing, and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creen member was mounted on the safety railing when the user descends from the lifting panel. Since the mounting par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ll accident by fixing the raised screen member to the pillar member even when the driving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stopped, and by separating the screen member from the pillar member by simple user's operation, the gap between the safety railings is maintained. Since it can be opened, there is an advantage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의 안전난간 및 높이조절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의 동력전달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safety railing and a height adjusting unit of a variable staircase provided with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of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의 안전난간 및 높이조절부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Figure is a view showing the safety railings and height adjustment of the variable stairs provided with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의 동력전달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of the variable stairs having a 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peration showing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 lif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은, 건축물의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납공간 외측으로 전진하여 돌출되면 복수 개가 적층되어 사용자가 오를 수 있는 계단모양을 이루고, 수납공간 내측으로 후진하여 삽입되면 위층과 아래층 사이에 승강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작동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가변블록(10)과, 가변블록(10)을 수납공간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구동부(12)와, 아래층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가변블록(10)이 수납공간 외측으로 돌출되면 가변블록(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가변블록(10)이 수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패널(30)과, 승강패널(30)을 위층의 바닥면 까지 상승시키고, 승강패널(30)을 아래층의 바닥면 까지 하강시키는 제2구동부(32)와, 승강패널(30)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가변블록(10)이 계단 모양을 이룰 때에는 계단의 난간을 제공하고, 승강패널(30)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는 승강기의 난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안전난간(50)과, 가변블록(10)을 따라 계단을 오르거나 승강패널(30)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안전난간(50)을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패널(30)의 승강운동에 연동되어 승강패널(30)의 위치에 따라 안전난간(50)의 경사 정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70)와, 승강패널(30)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복수 개의 안전난간(50) 사이의 개구부로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안전난간(50) 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부재(80)와, 가변블록(10)의 후진운동을 스크린부재(80)의 폐쇄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90)와, 동력전달부(90)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부재(80)가 폐쇄되면 스크린부재(80)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가 승강패널(30)로부터 하차할 때에 스크린부재(8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거치부(100)를 포함한다.1 to 5, the variable staircase provided with the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ably installed between an upper floor and a lower floor of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stacks are stacked when they are protruded outside the storage space. A plurality of
따라서 평상시에는 제1구동부(12)의 작동에 의해 가변블록(10)이 전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다수 개의 가변블록(10)은 상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은 가변블록(10)이 적층되어 상측 방향으로 걸어 오를 수 있는 계단을 제공하게 된다.Therefore, in operation, the
노약자나 장애우가 위층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승강패널(30)에 진입한 후에 안전난간(50) 단부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눌러 제1구동부(12)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제1구동부(12)의 작동에 의해 가변블록(10)이 수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면 아래층과 위층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작동공간이 형성된다.When the elderly or disabled rise upstairs, the
이때, 동력전달부(90)의 작동에 의해 가변블록(10)의 후진운동이 스크린부재(80)의 상승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되므로 안전난간(50) 사이의 개구부가 스크린부재(80)에 의해 차단되어 승강패널(30) 외측으로 노약자나 장애우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이후에, 제2구동부(32)의 작동에 의해 승강패널(30)이 상승되어 노약자나 장애우는 위층으로 손쉽게 올라갈 수 있게 되고, 승강패널(30)이 위층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된 후에 사용자는 승강패널(30)로부터 위층 바닥면으로 이동하여 안전한 이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elevating
본 실시예의 안전난간(50)은, 승강패널(30)의 일단부 테두리에 직립되게 고정되는 제1기둥(52)과, 제1기둥(52)으로부터 승강패널(30)의 타단부 측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승강패널(30)의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기둥(54)과, 승강패널(30)의 타단부 테두리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승강패널(3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제3기둥(56)과, 제1기둥(52), 제2기둥(54) 및 제3기둥(56)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대(58)를 포함한다.The
제1기둥(52)은 가장 짧게 형성되어 승강패널(30)의 일단부 테두리에 제1고정패널(72)에 의해 직립되게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의 제2기둥(54)이 승강패널(30)의 타단부 측으로 일직선상에 연속되게 배치되고, 제2기둥(54)은 승강패널(30)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다수 개의 제2기둥(54)은 승강패널(30)의 타단부 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스토퍼(74)가 형성되어 제2기둥(54)이 승강패널(30) 상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제3기둥(56)은 가장 길게 형성되고, 승강패널(30)을 관통하여 지면에 제2고정패널(76)에 의해 직립되게 고정된다.The
연결대(58)는 제1기둥(52), 다수 개의 제2기둥(54) 및 제3기둥(56)의 상단부를 동시에 연결하고, 제1기둥(52), 제2기둥(54) 및 제3기둥(56)의 상단에는 힌지부(78)가 구비되어 연결대(5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connecting table 58 simultaneously connects upper ends of the
연결대(58)의 일단부는 힌지가 설치되어 승강패널(30)과 평행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고정되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연결대(58)는 계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사를 이루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계단을 오르내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본 실시예의 높이조절부(70)는, 제1기둥(52)의 하단에 구비되어 승강패널(30)에 고정되는 제1고정패널(72)과, 제2기둥(54)의 하단에 구비되어 제2기둥(54)이 승강패널(30)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74)와, 제3기둥(56)의 하단에 구비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패널(76)과, 제1기둥(52) 내지 제3기둥(56)을 연결대(5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78)를 포함한다.The height adjusting part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따라서 제2구동부(32)의 작동에 의해 승강패널(30)이 상승되면 제1기둥(52)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대(58)의 일단이 상승하면서 제2기둥(54) 및 제3기둥(56)이 승강패널(30)에 형성되는 홀부를 통해 슬라이딩되면서 승강패널(30)이 상승되고, 연결대(58)는 승강패널(30)과 평형을 이루는 각도로 조절되어 승강패널(30)의 상승운동이 종료되면 연결대(58)는 승강패널(30)과 평형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Therefore, when the elevating
따라서 사용자가 승강패널(30) 외부로 이동하거나 승강패널(30) 내부로 탑승할 때에 연결대(58)를 잡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outside the elevating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부(90)는, 승강패널(30) 상면에 안착되는 가변블록(10)의 저면에 구비되는 기어치(91)와, 기어치(91)에 기어연결되도록 승강패널(30) 후단부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기어부재(92)와, 기어부재(92)가 설치되고, 승강패널(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97)과, 구동축(97)에 설치되는 드럼부재(93)와, 드럼부재(93)에 권취되고 승강패널(30)을 따라 연장되며 제1기둥(52)의 내부로 굴곡되어 연장되고 스크린부재(80)의 가이드봉(82)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96)를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9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여기서, 와이어부재(96)는 승강패널(30)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드럼부재(93)로부터 승강패널(30)의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고, 제1가이드롤러(94)에 의해 연장방향이 제1기둥(52)부재 상단 측으로 굴곡되고, 제1기둥(52) 상단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롤러(95)에 의해 제1기둥(52) 하단 측으로 연장방향이 굴곡되어 승강패널(30) 상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봉(82)에 연결된다.Here, the
따라서 제1구동부(12)의 작동에 의해 가변블록(10)이 수납공간 내측으로 이동되면 다수 개의 가변블록(10) 중에 하단에 배치되는 가벽블록의 저면에 형성되는 기어치(91)가 기어부재(92)와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면서 구동축(97)을 회전시키게 되고, 구동축(97)의 회전에 의해 드럼부재(93)가 회전되면 와이어부재(96)가 드럼부재(93)에 권취되면서 가이드봉(82)을 당기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와이어부재(96)는 제1가이드롤러(94) 및 제2가이드롤러(95)에 의해 제1기둥(52)의 상단까지 연장되었다가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가이드봉(82)에 연결되므로 와이어부재(96)가 당겨지면 가이드봉(82)이 제1기둥(52)의 둘레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52a)를 따라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The
가이드봉(82)의 상승운동이 완료되면 슬라이딩홀부(52a) 상단에 구비되는 거치부(100)에 의해 가이드봉(82)이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가이드봉(82)과 함께 상승되는 스크린부재(80)가 한 쌍의 안전난간(50) 사이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When the upward movement of the
따라서 승강패널(30)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승강패널(30)에 탑승한 사용자가 안전난간(50)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lifting
또한, 본 실시에의 거치부(100)는, 슬라이딩홀부(52a) 상단에 일측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면 굴곡되는 곡선통로(104)와, 곡선통로(104)에 대향되게 반대 측 슬라이딩홀부(52a)에 구비되는안착홈부(106)와, 곡선통로(104)와 안착홈부(106) 사이의 경계를 이루고, 안착홈부(106)에 안착되는 가이드봉(82)이 곡선통로(104)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크부재(10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따라서 와이어부재(96)의 장력에 의해 슬라이딩홀부(52a) 상단까지 상승되는 가이드봉(82)은 곡선통로(104)를 따라 일측 방향으로 굴곡된 후에 안착홈부(106) 측으로 연결되는 곡선통로(104)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안착홈부(106) 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안착홈부(106) 측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봉(82)은 후크부재(102)의 상단을 넘어 이동되고, 안착홈부(106)에 안착된 후에는 후크부재(102)에 의해 가이드봉(82)이 안착홈부(106)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이 구속된다.Therefore,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봉(82)은 후크부재(102)에 의해 슬라이딩홀부(52a) 상단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스크린부재(80)가 한 쌍의 제1기둥(52) 사이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후에, 승강패널(30)의 상승운동 또는 하강운동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승강패널(30)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사용자가 가이드봉(82)을 상측으로 당겨 곡선통로(104) 측으로 이동시키면 권취롤러(84)에 감기면서 스크린부재(80)가 하강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lifting or lower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권취롤러(84)는 내부에 코일 모양으로 권취되는 판스프링이 설치되므로 판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권취롤러(84)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이드봉(82)이 안착홈부(106) 및 후크부재(104)로부터 구속이 해제되면 권취롤러(84)가 회전되면서 스크린부재(80)를 승강패널(30) 내측으로 당기므로 가이드봉(82)이 하강하면서 제1간섭홈부(72a) 및 제2간섭홈부(52a)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패널(30)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수납된다.Since the winding
가이드봉(82)이 안착되는 제1고정패널(72)의 일측에는 제1간섭홈부(72a)가 형성되고, 제1간섭홈부(72a)에 대향되는 가변블록(10) 상면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제2간섭홈부(34)가 형성되어 가이드봉(82)이 하강하여 가변블록(10) 상면에 안착되면 제1간섭홈부(72a) 및 제2간섭홈부(34)에 삽입되어 가변블록(10) 상면에 돌출되지 않게 되어 승강패널(30)로 탑승하는 사용자나 휠체어의 바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
이로써, 보행이 자유로운 일반인이 오를 수 있는 계단과, 장애우나 노약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계단과 승강기 사이의 변환작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승강기 이용 시에 사용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use the stairs that can be climbed by ordinary people who are free to walk, and the elevators that can be used by the disabled or the elderly, and to facilitate the conversion operation between the stairs and the elevators, and the user falls when using the elevator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 lift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또한,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계단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ampl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stair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ther products other than the variable staircase having the elevator.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 : 가변블록 12 : 제1구동부
30 : 승강패널 32 : 제2구동부
34 : 제2간섭홈부 50 : 안전난간
52 : 제1기둥 54 : 제2기둥
56 : 제3기둥 58 : 연결대
70 : 높이조절부 72 : 제1고정패널
72a : 제1간섭홈부 74 : 스토퍼
76 : 제2고정패널 78 : 힌지부
80 : 스크린부재 82 : 가이드봉
84 : 권취롤러 90 : 동력전달부
91 : 기어치 92 : 기어부재
93 : 드럼부재 94 : 제1가이드롤러
95 : 제2가이드롤러 96 : 와이어부재
97 : 구동축 100 : 거치부
102 : 후크부재 104 : 곡선통로
106 : 안착홈부10: variable block 12: first drive unit
30: lifting panel 32: second drive unit
34: second interference groove 50: safety railing
52: first pillar 54: second pillar
56: third pillar 58: connecting rod
70: height adjustment unit 72: first fixing panel
72a: first interference groove 74: stopper
76: second fixing panel 78: hinge portion
80: screen member 82: guide rod
84: winding roller 90: power transmission unit
91: gear tooth 92: gear member
93
95: second guide roller 96: wire member
97: drive shaft 100: mounting portion
102 hook member 104 curved path
106: seating groove
Claims (3)
상기 가변블록을 상기 수납공간 외측 또는 내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1구동부;
아래층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상기 수납공간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가변블록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상기 수납공간 내측으로 삽입되면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승강패널;
상기 승강패널을 위층의 바닥면 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승강패널을 아래층의 바닥면 까지 하강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승강패널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변블록이 계단 모양을 이룰 때에는 계단의 난간을 제공하고, 상기 승강패널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는 승강기의 난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안전난간;
상기 가변블록을 따라 계단을 오르거나 상기 승강패널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상기 안전난간을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패널의 승강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패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안전난간의 경사 정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승강패널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복수 개의 상기 안전난간 사이의 개구부로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안전난간 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부재;
상기 가변블록의 후진운동을 상기 스크린부재의 폐쇄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스크린부재가 폐쇄되면 상기 스크린부재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가 승강패널로부터 하차할 때에 상기 스크린부재를 개방시킬 수 있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승강패널의 일단부 테두리에 직립되게 고정되는 제1기둥;
상기 제1기둥으로부터 상기 승강패널의 타단부 측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패널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기둥;
상기 승강패널의 타단부 테두리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패널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제3기둥; 및
상기 제1기둥, 상기 제2기둥 및 상기 제3기둥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승강패널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가변블록의 저면에 구비되는 기어치;
상기 기어치에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승강패널 후단부에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기어부재;
상기 기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
구동축에 설치되는 드럼부재; 및
상기 드럼부재에 권취되고 상기 승강패널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기둥의 내부로 굴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스크린부재의 가이드봉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재는 상기 승강패널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드럼부재로부터 상기 승강패널의 일단부 측으로 연장되고, 제1가이드롤러에 의해 연장방향이 상기 제1기둥 상단 측으로 굴곡되고, 상기 제1기둥 상단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롤러에 의해 상기 제1기둥 하단 측으로 연장방향이 굴곡되어 상기 승강패널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가이드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를 구비하는 가변형 계단.It is slidably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and when it is protruded outward of the storage space, a plurality of stacks are stacked to form a staircase that a user can climb. A plurality of variable blocks providing an operating space in which the rising or falling is performed;
A first driving part which moves the variable block forward or backward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A lifting panel seated on a bottom surface of a lower floor, wherein the variable block is slidably supported when the variable block protrudes outside the storage space, and a user panel that can be boarded by the user when the variable block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A second driving part which raises the lifting panel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oor and lowers the lifting panel to the bottom of the lower floor;
A plurality of safety railing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evating panel and provided with a handrail of the stairs when the variable block forms a step shape, and a handrail of the elevator when the elevating panel is raised or lowere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afety rai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ifting panel is linked to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panel so that a user who climbs the stairs along the variable block or boards the lifting panel can hold the safety railing by hand. Heigh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screen member which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end of the plurality of safety railings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into the opening between the safety railings when the lifting panel is raised or lowered;
A power transmission unit converting and revers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variable block into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creen member; And
When the screen member is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screen member,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that can open the screen member when the user gets off the lifting panel,
The safety railing,
A first pillar fixed upright to an edge of one end of the elevating panel;
A plurality of second pillars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nsecutively and slidably penetrating through the elevating panel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each other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elevating panel from the first pillar;
A third pillar disposed upright a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panel and slidably penetrating the elevating panel to be fixed to the ground; And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first pillar, the second pillar, and the third pilla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Gear teeth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ariable block seated on the elevating panel;
A gear member installed to expose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elevating panel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gear tooth;
A drive shaft on which the gear member is installe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elevating panel;
A drum member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And
And a wire member wound on the drum member and extending along the elevating panel and extending and bent into the first pillar and connected to the guide rod of the screen member.
The wire member extends from the drum member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panel to one end side of the elevating panel, the extension direction of which is bent toward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by the first guide roller,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pillar. A variable staircase having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is bent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first column by a second guide roller to be installed is connected to the guide ro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0127A KR102060087B1 (en) | 2019-07-03 | 2019-07-03 | Variable type stairway equipped with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80127A KR102060087B1 (en) | 2019-07-03 | 2019-07-03 | Variable type stairway equipped with elevato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60087B1 true KR102060087B1 (en) | 2020-02-11 |
Family
ID=6956886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80127A Active KR102060087B1 (en) | 2019-07-03 | 2019-07-03 | Variable type stairway equipped with eleva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6008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290612A (en) * | 2023-03-27 | 2023-06-23 |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 A suspended steel structure staircase with protective structur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26404A (en) * | 2002-06-25 | 2004-01-2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tair lifting apparatus |
| KR101389997B1 (en) * | 2013-07-12 | 2014-04-30 |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 Staircase for obstacle and children |
| KR101614689B1 (en) * | 2015-11-24 | 2016-04-22 |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종합감리전문회사 | Self assembly type stair banister for building |
| KR101858666B1 (en) * | 2017-11-10 | 2018-05-17 |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 Window constructions for high-rise apartment houses |
-
2019
- 2019-07-03 KR KR1020190080127A patent/KR1020600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26404A (en) * | 2002-06-25 | 2004-01-2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tair lifting apparatus |
| KR101389997B1 (en) * | 2013-07-12 | 2014-04-30 |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 Staircase for obstacle and children |
| KR101614689B1 (en) * | 2015-11-24 | 2016-04-22 | 주식회사 우정유빅스엔지니어링종합감리전문회사 | Self assembly type stair banister for building |
| KR101858666B1 (en) * | 2017-11-10 | 2018-05-17 |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전 | Window constructions for high-rise apartment house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290612A (en) * | 2023-03-27 | 2023-06-23 |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 A suspended steel structure staircase with protective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091083B1 (en) | Adjustable staircase | |
| JP7264739B2 (en) | Lift for telescoping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irplanes | |
| KR100689065B1 (en) | Construction stairs for the disabled and toddlers | |
| KR101220161B1 (en) | hybrid lift-stairs for a disabled person and a baby and transferring method of movement assisting device by it | |
| KR102153477B1 (en) | a lift device for the handicapped people | |
| KR102068931B1 (en) | Lifting equipment for the disabled with movable stairs | |
| JP2016163622A (en) | Stair climbing assist device | |
| KR100911171B1 (en) | Construction stairs for patients, disabled and infants | |
| KR102060087B1 (en) | Variable type stairway equipped with elevator | |
| JP6868511B2 (en) | Evacuation device | |
| KR20100089675A (en) | Wheel chair lift for bus | |
| RU81981U1 (en) | LIFT FOR SMALL POPULATIONS | |
| KR101491926B1 (en) | Safety stair lift device for patients, disabled or toddler | |
| KR101008161B1 (en) | Emergency ladder device | |
| CN220247425U (en) | A new type of construction staircase for prefabricated houses | |
| JP6125302B2 (en) | Evacuation device | |
| CN111622662B (en) | Safe cat ladder for building | |
| KR102499849B1 (en) | Variable expression stairs device for stage lift | |
| JP3173029U (en) | Stair railing | |
| JP2009102172A (en) | Multipurpose automatic lifting step system | |
| JP2005239289A (en) | Manual lifting device | |
| JP2009101095A (en) | Wheelchair-carrying lift apparatus | |
| KR100428438B1 (en) | An elevator for a disabled perso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 KR100232085B1 (en) | Mobile Wheelchair Lift | |
| JP2008214094A (en) | Stairway go-up/-down assist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