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89013B1 -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013B1
KR102089013B1 KR1020190103341A KR20190103341A KR102089013B1 KR 102089013 B1 KR102089013 B1 KR 102089013B1 KR 1020190103341 A KR1020190103341 A KR 1020190103341A KR 20190103341 A KR20190103341 A KR 20190103341A KR 102089013 B1 KR102089013 B1 KR 102089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equipment
user terminal
terminal
equipment
requ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수
Original Assignee
최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수 filed Critical 최광수
Priority to KR102019010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0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중장비의 기종, 용도 및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여 건설 현장에 투입될 중장비를 주문요청하는 발주자 단말, 주문요청에 대응한 중장비 투입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을 전송하여 발주자 단말과의 연결 채널로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발주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요청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중장비를 추출 및 매칭하는 매칭부, 매칭된 중장비를 발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컨펌을 요청하는 요청부, 발주자 단말로부터 컨펌이 발생하면 컨펌된 중장비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투입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채널로 발주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PPLY CHAIN MANAGEMENT BASED HEAVY EQUIPMENT MANAGEMENT SERVICE ASSIGNING OPTIMIZED RESOURCE AT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사현장마다 달라지는 종류 및 규모의 중장비를 유연하게 할당하고 공사진행상황에 대응하여 적응적으로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건설공사의 대형화 및 복잡화에 따라 중장비의 투입량이 증가되고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건설공사에서 건설장비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장비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는 원가 및 공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공사의 생산성 향상을 고려한 중장비 계획과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건설현장에서 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크게 장비 자체의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장비 운영 효율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들 수 있다. 건설 산업에서 장비의 효율화는, 굴삭기, 불도저, 크레인 등과 유사한 모습을 갖춘 건설 장비의 개발을 시작으로 현재의 전자동 토공장비 자동화까지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장비 운영 효율화는, 건설 현장의 자재, 인력, 장비 및 작업이 가지고 있는 반복성, 순환성, 및 유기적 연관성이라는 특징에도 불구하고 중장비의 종류와 크기에 따른 작업량이 서로 다르고 환경 및 상황에 영향을 받는 공사현장의 특성으로 인하여 체계적인 공급 관리 체계가 구축되지 못하고 있다.
이때, 중장비의 운행관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0652호(2019년06월21일 공개)에는, 중장비에 탑재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로부터 중장비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획득된 위치 정보로부터 중장비 중 운행 장비의 운행 상태를 판단하는 운행 상태 판단부, 운행 장비의 운행 상태 판단에 따라 운행 장비에 대응하는 운행 일지를 작성하는 운행 일지 작성부, 및 운행 일지 및 중장비의 계약 정보를 이용하여 중장비에 대한 투입 비용을 산출하는 투입 비용 산출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중장비의 운영이 개인사업자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재래식 도급 운영 구조로 중장비 투입이 이루어질 뿐, 각 주체를 상황에 따라 체계적으로 통합관리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하다. 또한, 정확한 자료나 계획, 공급망 관리의 체계가 없이 중장비를 투입하는 것은 비효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공사기간의 지연 및 공사비 상승을 야기하는 원인이 됨에도 불구하고, 작업 물량의 불규칙성, 부실채권에 대한 안일한 대처, 및 유류가격의 변동성에 의해 고식지계의 근시안적인 대처만이 이루어질 뿐이다. 이에, 중장비의 효율적인 투입과 이용으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계획 초기는 물론 변경되는 프로젝트의 상황이나 공사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은 단순 계산치 또는 예측치와 경험치만을 이용하고 있을 뿐, 현실적이며 적용가능한 시공장비계획이 실질적으로 공사 시공현장에서 공정관리 도구로 사용되는 일은 드문 것이 현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주자인 건설회사와 사용자인 중장비 기사에 이르기까지 공급망(Supply Chain)에 존재하는 사업주체 간의 연계화 및 통합화를 통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발주자의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는 중장비를 배차 및 할당하고, 사용자의 작업에 차질이 없도록 작업에 요구되는 물류를 플랫폼 내에서 공동구매하여 유지관리하며, 각 차량별 실시간 위치확인 뿐만 아니라 현장의 CCTV를 통하여 실시간 작업량과 작업예상수요까지 산출함으로써 수요를 예측하여 공급을 관리하고, 개인사업자인 중장비 기사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로 장기평균비용을 감소시켜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용도별, 공정별 특화된 메뉴관리를 통하여 비용정산 및 발주관리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장비의 기종, 용도 및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여 건설 현장에 투입될 중장비를 주문요청하는 발주자 단말, 주문요청에 대응한 중장비 투입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을 전송하여 발주자 단말과의 연결 채널로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발주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요청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중장비를 추출 및 매칭하는 매칭부, 매칭된 중장비를 발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컨펌을 요청하는 요청부, 발주자 단말로부터 컨펌이 발생하면 컨펌된 중장비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투입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채널로 발주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중장비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발주자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에 투입될 중장비를 요청하는 주문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주문요청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중장비를 추출 및 매칭하는 단계, 매칭된 중장비를 발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컨펌을 요청하고, 발주자 단말로부터 컨펌이 발생하면 컨펌된 중장비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투입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채널로 발주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발주자인 건설회사와 사용자인 중장비 기사에 이르기까지 공급망에 존재하는 사업주체 간의 연계화 및 통합화를 통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발주자의 요청 데이터에 대응하는 중장비를 배차 및 할당하고, 사용자의 작업에 차질이 없도록 작업에 요구되는 물류를 플랫폼 내에서 공동구매하여 유지관리하며, 각 차량별 실시간 위치확인 뿐만 아니라 현장의 CCTV를 통하여 실시간 작업량과 작업예상수요까지 산출함으로써 수요를 예측하여 공급을 관리하고, 개인사업자인 중장비 기사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로 장기평균비용을 감소시켜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용도별, 공정별 특화된 메뉴관리를 통하여 비용정산 및 발주관리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업계의 고질적인 병폐인 불공정거래 및 다단계 하도급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건설현장의 고식지계식 대처에서 벗어나 체계 속에서 유연하고 적응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중장비를 요청하는 건설현장의 발주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특정 장비의 이름이나 용량 및 기능 등을 정확하게 기재하지 않을지라도, 공사현장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것만으로도 중장비의 종류, 규모 등을 추천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추천받은 중장비의 종류나 대수 등에 대한 컨펌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중장비의 투입이 결정되는 경우, 중장비의 실시간 위치, 투입 상황 및 작업 진행 상황 등을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공유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작업이 완료된 경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정산 요청을 수신하고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물론, 선불로 진행되거나 중간 정산 등의 지불 방법이나 프로세스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보유하고 있는 중장비의 스펙, 위치, 대수, 기능 등의 정보를 사용자와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인력풀(Pool) 및 중장비풀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공사현장에 대한 정보가 업로드되거나, 특정 중장비를 요청하는 발주 요청이 수신되면, 공사현장에 요구되는 중장비의 종류, 대수 등을 추출하여 발주자 단말(100)로 추천 및 제안하는 서버일 수 있고, 특정 중장비가 발주자에 의해 특정되는 경우, 해당 중장비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리스트를 추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주자 단말(100)에서 추천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컨펌하는 경우, 컨펌된 중장비를 보유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400)로 투입 요청을 브로드캐스팅하고, 컨펌을 발생시킨 사용자 단말(400)과 발주자 단말(100)을 연결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주가 완료된 후 장비가 투입되기까지의 상황을 발주자 단말(100)과 공유하고, 장비가 건설현장에 투입되고 난 후의 공사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추가 수요가 존재하거나 수요가 감소하는 등을 예측하고 공급을 조절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요청되는 유류비, 유지관리비 및 보험계약 등을 수신하고, 제3자를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정산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주자 단말(100)로 정산을 요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 결산을 완료하여 정산과정을 투명하게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건설현장의 종류, 작업의 종류 및 투입된 중장비의 종류 및 대수 등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트레이닝시킴으로써, 이후에 수신되는 발주 요청을 질의로 입력하고, 필요한 중장비의 종류와 대수 등을 결정하여 출력 데이터로 출력하도록 학습시키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건설현장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미도시)와 연동됨으로써, 공사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작업지시를 출력하거나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작업지시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중장비 기사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보유 중장비의 종류, 대수, 위치, 스케줄 등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중장비 투입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투입 요청을 거절 또는 승낙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을 전송하는 경우, GPS 또는 TRS를 통하여 실시간 위치를 공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보험계약, 유류, 유지관리 등을 위한 물품을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요청하거나 제3자를 위한 계약을 체결하도록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작업이 완료된 후 또는 그 이전에 정산을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고, 정산이 완료된 경우 이를 알림으로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칭부(310), 요청부(320), 전송부(330), 연결부(340), 빅데이터부(350), 실시간 대응부(360), 공동구매부(370), 보험관리부(371), 대행업무부(373), 위치추적부(380), 및 정산관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발주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매칭부(310)는,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주문요청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중장비를 추출 및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발주자 단말(100)은, 중장비의 기종, 용도 및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여 건설 현장에 투입될 중장비를 주문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기종은 굴삭기, 덤프 트럭, 천공기 등 중장비의 종류이고, 용도는, 흙파기, 돌깨기, 상차 등의 작업 종류를 의미하고, 기능은, 소형, 중형, 대형 등 용량이나 규모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주문요청에 포함된 중장비 종류, 대수 등이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된 대로 매칭을 진행하면 되겠지만, 현장정보만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매칭부(310)에서 작업의 종류, 규모 등을 분석하여 발주자에게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추천해주어야 한다. 이때, 매칭부(310)는, 주문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종류 및 공사 현장 종류에 기반하여 철거 장비, 천공 장비 및 토공 장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매칭 및 추천해줄 수 있다.
이때, 매칭의 기준은 빅데이터의 훈련 및 학습에 의해 자동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수동으로 관리자 단말(미도시)에서 입력을 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거현장에는 현장규모와 굴삭기 반출량에 따른 용량을 가진 운송장비가 요구된다. 또한, 토공작업에도 토사 반출량을 고려하여 장비의 용도, 규모를 결정해야 한다. 빅데이터가 훈련될 때에는 후술하겠지만 현장 공정의 분석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재 생산을 위해서, 굴착하는 장소에서는 굴삭기를 이용하여 대기하고 있는 덤프트럭에 토사를 적재하고, 굴착장소로부터 호퍼가 위치한 곳까지 트럭이 이동하여 호퍼에 토사를 적재하며, 호퍼가 작업중일 경우에는 호퍼와 가까운 두 곳의 임시 장소에 토사를 쌓아두며, 덤프트럭이 토사를 적재 장소에 덤프를 하면 휠 로더가 토사를 호퍼로 운반하는 등 각 작업 현장에 따라 공정이 모델링될 수 있고, 모델링된 공정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중장비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모델링된 중장비의 대수나 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각종 현장에서 실제로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빅데이터는 훈련될 수 있고, 매칭부(310)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중장비의 종류, 대수 등을 결정하여 발주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관리자가 수동으로 매칭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중장비의 종류는 불도저, 굴삭기, 로더, 지게차, 스크레이퍼, 덤프트럭, 기중기, 모터그레이더, 롤러, 노상안정기, 콘크리트 뱃칭 플랜트, 콘크리트 피니셔, 콘크리트 살포기, 콘크리트 믹서트럭, 콘크리트 펌프,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아스팔트 피니셔, 아스팔트 살포기, 골재 살포기, 쇄석기, 공기 압축기, 천공기, 항타 및 항발기, 자갈재취기, 준설선, 특수건설기계, 타워크레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중장비의 운용시간도 주간 또는 야간으로 나누거나 각 시간대별로 설정되어 스케줄 관리가 가능하므로, 매칭부(310)에서 매칭을 수행할 때 스케줄 및 시간대별로 매칭을 수행하여 24/7 매칭이 되도록 하고, 각 작업량을 예측하여 시간 단위로 매칭을 수행하거나 기간 단위로 매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시간 단위로 매칭을 수행하고 적시에 사용자를 매칭하는 경우, 덤프트럭의 대기시간이 없어져 주택 인근 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음 민원이나 미세 먼지 등도 함께 줄일 수 있고, 사용자도 대기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케줄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요청부(320)는, 매칭된 중장비를 발주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컨펌을 요청할 수 있다. 발주자 단말(100)에서 지정하지 않은 경우는 물론 지정한 경우일지라도 어느 종류의 중장비 몇 대를 언제 보낼 것인지에 대한 컨펌은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요청부(320)는, 발주자 단말(100)로 선별된 중장비 또는 지정된 중장비에 대한 계약을 컨펌요청하고,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컨펌이 완료되거나 수정되는 경우에는 수정된 리스트대로 계약을 체결하여 매칭된 중장비를 보유한 사용자를 찾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전송부(330)는,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컨펌이 발생하면 컨펌된 중장비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 투입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중장비를 보유한 경우 보유자인 사용자에게 메세지를 모두 브로드캐스팅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컨택할 수도 있겠지만, 위치 및 스케줄을 고려하여 투입 요청을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은 중장비 운용 스케줄과 위치를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고, 각 스케줄은 사용자 단말(400)에서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지만, 기 설정된 스케줄이 디지털데이터로 입력된 상태라면, 이를 연동하여 자동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
연결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에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채널로 발주자 단말(100)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을 연결할 수 있다. 각 공사 진행 상황에 따라 연동되는 시간이나 위치를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작업이 B 기간 내에 진행되는데, B 기간 이전 또는 이후에 A 작업을 하는 C와 지속적으로 연동이 되는 경우, A 작업을 관리하는 발주자의 인력관리에 혼선이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시간이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계속하여 연결된 채널을 유지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빅데이터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 종류, 공사 현장 종류 및 작업 규모에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중장비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빅데이터를 주문요청이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질의에 대한 응답인 중장비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트레이닝 및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착장소에서 굴삭기가 굴착(Excavate), 굴착장소에서 굴삭기가 토사 재배치(Reposition), 토사를 버킷에 적재(Load Soil in Bucket), 토사가 적재된 버킷 인양(Elevate Bucket), 적재된 토사를 트럭에 적재(Dump Soil in Bucket), 빈 버킷 내리기(Decent), 트럭 이동(Haul), 토사를 덤프(Dump), 트럭 이동(Return)의 과정이 존재하고, 각 공정에 이용되는 중장비의 종류, 규모, 대수, 용량 등이 매핑되어 저장된 경우,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작업수행시간(Activity Duration)을 기준으로 시계열적으로 데이터를 나열할 수 있고, 복수의 데이터 값에 대한 분포 형태를 근거로 균일분포(Uniform Distribution)의 형태로 공정 과정을 모델링할 수 있다. 이렇게 공정을 모델링하여 학습을 진행하면 각 중장비의 시간당 생산성이 계산될 수 있고, 단위 물량당 비용을 통하여 생산성 및 비용분석도 가능해진다. 또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공정 모델의 시간당 생산성 기반 단위 물량당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모델을 검색할 수도 있고, 어느 중장비는 줄이고 어느 중장비는 늘려야 하는지까지 예측될 수 있다.
이때,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수집되는 로우 데이터(Raw Data)는, 정형화 정도에 따라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반정형(semi-structured) 데이터, 비정형 (unstructured)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다. 정형 데이터는 종류와 형식이 정해져 있는 규격을 갖는 데이터로, 고정된 필드에 정해진 형식(수치, 날짜 등)의 값으로 기입하거나 항목으로 선택하는 유형의 데이터이거나 각종 자료들의 메타데이터이다. 반정형 데이터는 대부분 텍스트 형태로 필드가 고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료의 특성에 따라 텍스트 내에 포함되는 내용을 정의할 수 있는 데이터 부류이다. 텍스트 데이터는 일반적으로는 비정형 데이터로 분류되지만, 건축 분야의 특수성에 의해 텍스트 내에 포함되는 항목이나 내용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고, 반정형 데이터를 정형화할 수 있다. 비정형 데이터는 형태가 불규칙하여 정의하기 어려운 항목들로서, 일반적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등이 해당한다. 이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도, 키워드, 태그 또는 메타 데이터로 학습되어 분류 및 패턴화되고, 이후 새로운 비정형 데이터의 분류가 요구되었을 때, 데이터를 레코드 형식으로 가공하고 연관 데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빅데이터부(350)를 통하여 빅데이터가 구축되고 훈련 및 학습이 진행되는 경우, 이후에 발주자 단말(100)에서 현장 정보만을 질의(Query)로 입력하더라도, 현장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여 현장 종류 및 규모를 추출하고, 현장 종류 및 규모로부터 중장비의 종류, 규모, 대수 등의 식별자를 도출하여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정보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질의로 하여 기 설정된 유사도를 가지는 기준 중장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착 작업, A 규모 등의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이와 유사한 정보를 가지는 다른 건설 현장의 정보를 추출하고, 다른 건설 현장에서 어떠한 중장비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해당 정보를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신규로 의뢰된 발주 요청에 대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빅데이터를 학습시킬 때,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건설 현장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공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건설 현장을 촬영하는 CCTV는 건설 현장에 장착된 CCTV일 수도 있고, 중장비에 포함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블랙박스의 카메라일 수도 있으나 그 종류나 설치 주체 또는 위치는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실시간 대응부(360)는, 실시간으로 공유된 영상 내 객체를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도록 지시사항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재장, 폐기물처리장, 사투장 등의 공사현장에서 굴삭기 상차는 얼마나,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천공장비는 몇 미터 천공중인지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덤프트럭은 몇 대가 상차하여 반출되고 있는지 등도 영상 내 객체분석 및 카운팅을 통하여 자동으로 집계될 수 있다. 물론, 무게 등을 이용하여 카운팅을 하는 방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카메라는 각 중장비나 현장에 설치된 CCTV 이외에도 드론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실시간으로 어느 정도의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면, 앞으로 어떠한 중장비가 몇 대가 더 필요할지, 또는 필요하지 않을지 등의 예측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대기하거나, 또는 대기하다가 일이 이미 완료되어 돌아가는 등의 기회비용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고, 발주자도 초과로 요구되거나 또는 반대로 필요없어진 작업에 대한 발주 또는 발주취소를 일일이 지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량 및 부하가 감소된다.
실시간 대응부(360)는, 장비 뿐만 아니라 인력이나 자재를 포함하는 현장상황정보를 인식 및 분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대응부(360)는, 예를 들어, 배경추출 기반의 물체 추적 알고리즘, 물체의 기울기 히스토그램(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과 색상 기반의 건설인력 추적 알고리즘,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한 건설 인력 및 장비 추적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건설 현장에서도 강인한 추적 및 분석을 위하여 온라인 학습 검출-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물체 추적(Tracking)과 검출(Detection)을 동시에 수행하며, 그 추적 및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 프레임 마다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온라인 학습이란 알고리즘의 적용과 동시에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 과정을 통해 추적기(Tracker)와 검출기(Detector)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데, 추적기와 검출기 생성을 위한 사전학습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사전학습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임의의 물체도 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추적기와 검출기의 성능이 추적 대상과 주변환경에 최적화되며 성능 개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과 장비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상술한 온라인 학습은, 먼저 입력된 영상에서 관리자 등이 추적할 대상을 설정하면 추적기와 검출기가 초기화된다. 이후 영상 프레임 마다 추적기와 검출기로 대상을 찾는다. 이 과정에서 추적기가 올바르게 대상의 위치와 크기를 판단했다면, 추적기가 찾은 영역을 학습 데이터셋의 포지티브 샘플(Positive Sample)로 활용하여 검출기의 성능을 강화한다. 또한 검출기가 찾은 영역들 중에서 추적기와 일치하지 않는 영역들은 네거티브 샘플(Negative Sample)로 활용하여 검출기의 오검출률을 낮춘다. 만약 추적기가 대상을 놓쳤을 경우 검출기가 대상을 찾을 때까지 작동되지 않으며 검출기가 대상을 올바르게 찾았을 때 추적기가 다시 초기화되어 추적을 실시한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공동구매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중장비의 유지관리에 요구되는 물품의 수요를 파악하여 공동구매를 위한 발주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유, 타이어나 부품 교체나 보험 계약과 같이 중장비를 운용하면서 필요한 전반의 사항들을 사용자 개인이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구매부(370)를 통하여 대행업무를 맡기는 경우, 공동구매로 인하여 원가를 낮출 수 있고, 각 개인이 처리해야 했던 유지관리 업무가 플랫폼 상으로 이전되므로 각 개인은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디폴트로 유지관리업무를 대행요청설정할 수도 있지만, 각 개인이 요청하면 이에 대응하여 공동구매를 수행하는 선별적인 서비스 제공을 배제하지 않는다. 공동구매부(370)를 통하여 발주자의 요청 외에 사용자의 작업에 차질이 없도록 공동구매를 함으로써, 모든 부품, 주유, 브레커, 버켓 등의 소요 구성품을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평소 유관 업체와의 연계를 통하여, 예를 들어, 주유소, 부품 조달업체, 정비업체, 트레일러, 견인장비까지 24/7 관리를 할 수 있고, 사용자는 공급자와 철저한 믿음과 신뢰관계를 쌓으며 작업에 임할 수 있고, 스케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유휴일이 증가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공동구매부(370)는, 사용자 단말(400)에서 부품 교체 요청이나 수리 요청 또는 공동 구매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공동구매를 진행할 수도 있지만, 중장비를 원격에서 진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공동구매 또는 수리요청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대규모 건설 현장은 많은 인력과 많은 건설 관련 중장비들, 다양한 건설 재료 및 열악한 작업 환경 등으로 특징되는데, 특정 중장비의 고장은 안전사고와 직결될 수 있으며, 다양하고 많은 수의 건설 장비들이 유기적으로 작업하는 현장에서 한 장비의 고장은 전체 작업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시로 장비를 진단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중장비 진단을 위해서는 장비 진단 시스템이 갖춰진 장소로 장비를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동구매부(370)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중장비들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서버에서 분석, 관리함으로써 원격 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중장비가 직접 발주자 단말(100)이나 사용자 단말(40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은 일반 정보일 경우 메모리에 저장하고, 긴급 정보일 경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진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되어 수신한 중장비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중장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400)로 지령정보를 내릴 수도 있다. 중장비의 총 가동시간, 각종 펌프 압력 등 진단 정보는 예를 들어, KWP2000 프로토콜의 메세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중장비 내부에서 이 정보들은 중장비 제어장치에 연결된 Serial to Wi-Fi 컨버터를 통하여 Wi-Fi 신호로 변환시켜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진단 프로토콜인 KWP2000의 프로토콜 구조는 차량 제어장치와 진단 장치 간의 1:1 통신이므로 이 구조에 맞추어 중장비로부터 주기적인 데이터 읽기, 주기적 전송 중지 등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바이트도 프로토콜 구조에 포함될 수 있다. 진단 결과는, 장비 종류, 연료량, 고장 정보 등 주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엔진 회전수, 연료 온도, 펌프 압력 등의 아날로그 데이터인 실시간 데이터도 시각화하여 출력될 수 있다.
보험관리부(371)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중장비의 보험계약을 제3자를 위한 계약으로 체결할 수 있다. 제3자를 위한 계약은,계약당사자가 아닌 제3자로 하여금 직접 계약당사자의 일방에 대하여 채권을 취득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이며, 제3자에 대하여 채무를 부담하게 되는 계약당사자를 낙약자, 그의 상대방을 요약자, 제3자를 수익자라고 한다. 이때, 제3자는 사용자, 계약당사자는 보험관리부(371)인 플랫폼, 요약자는 보험사일 수 있다. 물론, 상술한 관계 이외에도 각 계약당사자를 사용자 및 보험사로 하고 이의 처리를 위임받은 위임관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대행업무부(373)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중장비 운용에 요구되는 물품 리스트를 접수하여 공동구매 대상 목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공동구매 뿐만 아니라, 정비업체도 플랫폼에서 선정하여 제휴를 맺는 방식으로 정비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위치추적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중장비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GPS 또는 TRS(Trunked Radio System) 기반으로 중장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TRS는 서비스 제공자가 고지대에 무선중계 설비를 구축하여 기업체, 개인 등 다수의 가입자가 다수의 주파수를 공유하여 상대방과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방식으로, 기본적으로 통달거리는 20~50Km이며 서비스 지역이 매우 넓은 광역 셀 방식을 사용하며 고정국과 이동국 또는 이동국 상호간에 그룹통신, 선별통신, 일제통보, 개별통화가 가능하고, 음성통화와 데이터 및 FAX 전송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위치를 공유받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가능함은 자명하며,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정산관리부(390)는,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정산을 요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정산 및 결산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사, 골재, 폐기물을 선택하고 하위 메뉴로 규격, 수량, 운반 횟수를 선택하고, 유류비 등 공제금 등을 선택하여 정산하도록 하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게차는 예를 들어, 작업 선택 메뉴, 장비 규격 톤(Ton), 작업 내용 및 작업 시간, 유류비 등 공제금 선택을 통하여 정산을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굴삭기도 선택메뉴, 괘도&비괘도, 장비규격(톤), 용도 선택(상차, 암파쇄, 크락샤 등)의 메뉴 선택을 통하여 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작업도, 작업 시간, 유류비 등 공제금의 메뉴 선택을 통하여 정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상술한 메뉴 체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주자는 현장 규모에 따라 예상 장비, 수요, 기종, 작업 내용, 공사 기간, 결제 조건 등을 제시하여 장비를 요청할 수 있고, 공급자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발주자의 요청을 확인 후 최적의 장비를 선택하여 투입공정관리에 차질이 없도록 조달할 수 있고(플랫폼 외부 수배가능), 사용자도 공급자의 지시에 따라 즉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기본적인 현장 지침을 전달받으며, 발주자의 조건에 따라 철저히 맞춤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현장 작업 외 모든 불편 사항, 예를 들어, 유류비 문제나, 장비 고장, 부품 조달 문제 또는 사고나 금전 기타 관리상의 모든 문제 등은 공급자에게 즉시 조달 또는 해결을 요청하여 조치를 받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a)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중장비를 등록받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400)에서 각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지만, IoT를 통하여 중장비가 포함하고 있는 스펙 등을 자동입력하는 방식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b)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건설 현장에 투입되는 중장비의 종류나 공정을 모델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이후 공사 현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공사 현장 정보를 질의로 하여 어떠한 장비가 어떻게 투입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b의 (a)와 같이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공사 현장에 중장비 투입 요청이 수신되면,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작업 규모, 작업 종류, 위치, 시간, 날씨 등을 고려하여 발주자에게 필요한 중장비를 추출하고, 추출된 중장비를 보유하면서도 작업이 가능한 사용자를 리스트업(Listup)하여 투입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양자간의 계약 컨펌 및 체결이 완료되면, (b)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CCTV, GPS, TRS를 통하여 실시간 작업 현장 및 중장비의 위치를 파악하고 공유하며, 실시간 작업 상황 등을 입력 데이터로 하여 빅데이터를 재학습시킨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중장비 데이터를 등록받고(S4100), 위치, 스케줄, 중장비의 스펙을 사용자와 매핑하여 저장하여 인력풀을 구성한다(S4200). 그리고,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발주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S4300), 건설 현장을 분석하여(S4400), 공사규모, 중장비 종류, 투입 대수, 위치를 고려하여 중장비 리스트를 추출하며(S4500), 추출된 리스트를 발주자 단말(100)로 전송하여(S4600), 승낙 여부를 확인한다(S4610).
이때,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발주자 단말(100)에서 추천 및 매칭한 리스트를 컨펌한 경우(S461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로 투입 요청을 전송하고(S4630), 투입 요청에 승낙한 사용자 단말(400)이 존재하면(S4650), 발주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을 연결하는 채널을 형성하고(S4700) 각 상황 정보를 서로 공유하거나 공유받도록 한다.
한편,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거나, 사용자 단말(400)을 경유하여 중장비의 위치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S4800), 영상 등의 정보를 스트리밍받는 경우(S4810), 영상 내 객체 분석을 통하여 작업량을 분석하고 투입량을 예측하며(S4830), 발주자 단말(100)로부터 발주가 존재하거나,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예측된 투입량만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중장비가 더 투입되도록 하거나 추가 작업을 하도록 지시를 내릴 수 있다(S4850).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로그 데이터 및 로우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거나, 구축된 빅데이터를 재학습시키며(S4900, S4910),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주유 서비스의 요청 또는 유지관리를 요청하는 경우(S4930),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발주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400) 간의 정산을 진행한다(S4950).
상술한 단계들(S4100~S495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5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중장비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다(S5100).
그리고,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발주자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에 투입될 중장비를 요청하는 주문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주문요청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중장비를 추출 및 매칭하고(S5200), 매칭된 중장비를 발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컨펌을 요청하고, 발주자 단말로부터 컨펌이 발생하면 컨펌된 중장비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투입 요청을 전송한다(S5300).
마지막으로,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채널로 발주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연결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중장비의 기종, 용도 및 기능을 포함하는 작업 데이터를 전송하여 건설 현장에 투입될 중장비를 주문요청하는 발주자 단말;
    상기 주문요청에 대응한 중장비 투입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을 전송하여 상기 발주자 단말과의 연결 채널로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발주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주문요청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중장비를 추출 및 매칭하는 매칭부, 상기 매칭된 중장비를 상기 발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컨펌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발주자 단말로부터 컨펌이 발생하면 상기 컨펌된 중장비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투입 요청을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채널로 상기 발주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연결부, 적어도 하나의 작업 종류, 공사 현장 종류 및 작업 규모에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중장비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주문요청이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인 중장비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트레이닝 및 학습하는 빅데이터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중장비의 보험계약을 제3자를 위한 계약으로 체결하는 보험관리부를 포함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부는,
    상기 주문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종류 및 공사 현장 종류에 기반하여 철거 장비, 천공 장비 및 토공 장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매칭 및 추천하며,
    상기 발주자 단말이나 상기 사용자 단말은,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중장비와 직접 통신하며,
    상기 중장비는,
    KWP2000 프로토콜의 메세지 구조를 가지는 중장비의 총 가동시간과 펌프 압력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Serial to Wi-Fi 컨버터를 통하여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장비로부터 주기적인 데이터 읽기 서비스 또는 주기적 전송 중지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으며,
    상기 제3자를 위한 계약은,
    계약당사자가 아닌 제3자로 하여금 직접 계약당사자의 일방에 대하여 채권을 취득하게 하는 계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건설 현장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공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CCTV;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실시간으로 공유된 영상 내 객체를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도록 지시사항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실시간 대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중장비의 유지관리에 요구되는 물품의 수요를 파악하여 공동구매를 위한 발주처리를 수행하는 공동구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중장비 운용에 요구되는 물품 리스트를 접수하여 공동구매 대상 목록으로 관리하는 대행업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장비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GPS 또는 TRS(Trunked Radio System) 기반으로 중장비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발주자 단말로부터 정산을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정산 및 결산을 실시하는 정산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중장비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발주자 단말로부터 건설 현장에 투입될 중장비를 요청하는 주문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주문요청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중장비를 추출 및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중장비를 상기 발주자 단말로 전송하여 컨펌을 요청하고, 상기 발주자 단말로부터 컨펌이 발생하면 상기 컨펌된 중장비를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투입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투입 요청에 대한 컨펌이 수신되는 경우, 기 설정된 채널로 상기 발주자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문요청을 분석하여 기 저장된 중장비를 추출 및 매칭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 종류, 공사 현장 종류 및 작업 규모에 투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중장비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과정;
    상기 빅데이터를 주문요청이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질의에 대한 응답인 중장비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트레이닝 및 학습하는 과정; 및
    상기 주문요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종류 및 공사 현장 종류에 기반하여 철거 장비, 천공 장비 및 토공 장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매칭 및 추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보유한 적어도 하나의 중장비의 보험계약을 제3자를 위한 계약으로 체결하고,
    상기 발주자 단말이나 상기 사용자 단말은,
    IoT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중장비와 직접 통신하며,
    상기 중장비는,
    KWP2000 프로토콜의 메세지 구조를 가지는 중장비의 총 가동시간과 펌프 압력을 포함하는 진단 정보를 Serial to Wi-Fi 컨버터를 통하여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중장비로부터 주기적인 데이터 읽기 서비스 또는 주기적 전송 중지 서비스를 요청하고 제공받으며,
    상기 제3자를 위한 계약은,
    계약당사자가 아닌 제3자로 하여금 직접 계약당사자의 일방에 대하여 채권을 취득하게 하는 계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103341A 2019-08-22 2019-08-22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2089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41A KR102089013B1 (ko) 2019-08-22 2019-08-22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41A KR102089013B1 (ko) 2019-08-22 2019-08-22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013B1 true KR102089013B1 (ko) 2020-03-13

Family

ID=6993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341A Active KR102089013B1 (ko) 2019-08-22 2019-08-22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01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594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건축자재 판매 협업 플랫폼을 이용한 건축자재 판매 및 건축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CN114511219A (zh) * 2022-01-27 2022-05-17 福建省众塔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工程机械装备的管理系统及其实现方法
KR20220142702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트레일러 작업 관리 방법
KR20220161698A (ko) 2021-05-31 2022-12-07 나수미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장비와 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건설장비 중계시스템
KR102475329B1 (ko) * 2022-09-06 2022-12-07 주식회사 퍼스트알앤디 인공지능에 의한 현장영상을 이용한 토사반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7426A (ko) * 2021-06-11 2022-12-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도심지 다공구 공사차량 배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73460A (ko) *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이제이텍 건설 현장 조건을 고려한 스마트 센싱 기술 선정 의사 결정 지원 장치 및 방법
WO2023225049A1 (en) * 2022-05-17 2023-11-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Integrated customer deliver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064A (ko) * 2000-08-05 2002-02-15 윤기현 건설회사의 인력활용과, 장비 및 기자재 공유와,자재공동구매조합결성을 위한 인터넷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00063A (ko) * 2014-02-24 2015-09-02 (주)브라보팩토리 중장비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9761A (ko) * 2015-03-13 2016-09-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설현장 맞춤형 이미지 분석기술을 활용한 중장비/근로자 인식 및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1891038B1 (ko) * 2017-11-06 2018-09-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건설업 및 광업을 위한 최적장비조합 산정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064A (ko) * 2000-08-05 2002-02-15 윤기현 건설회사의 인력활용과, 장비 및 기자재 공유와,자재공동구매조합결성을 위한 인터넷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50100063A (ko) * 2014-02-24 2015-09-02 (주)브라보팩토리 중장비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9761A (ko) * 2015-03-13 2016-09-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설현장 맞춤형 이미지 분석기술을 활용한 중장비/근로자 인식 및 추적 방법 및 시스템
KR101891038B1 (ko) * 2017-11-06 2018-09-28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건설업 및 광업을 위한 최적장비조합 산정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594A (ko) * 2020-09-16 2022-03-23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건축자재 판매 협업 플랫폼을 이용한 건축자재 판매 및 건축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2471767B1 (ko) * 2020-09-16 2022-11-28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건축자재 판매 협업 플랫폼을 이용한 건축자재 판매 및 건축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KR102571740B1 (ko) * 2021-04-15 2023-08-29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트레일러 작업 관리 방법
KR20220142702A (ko) * 2021-04-15 2022-10-24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트레일러 작업 관리 방법
KR102599585B1 (ko) * 2021-05-31 2023-11-06 나수미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장비와 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건설장비 중계시스템
KR20220161698A (ko) 2021-05-31 2022-12-07 나수미 건설현장에 투입되는 장비와 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건설장비 중계시스템
KR20220167426A (ko) * 2021-06-11 2022-12-2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도심지 다공구 공사차량 배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5869B1 (ko) * 2021-06-11 2024-04-11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Ai를 이용한 도심지 다공구 공사차량 배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73460A (ko) * 2021-11-19 2023-05-26 주식회사 이제이텍 건설 현장 조건을 고려한 스마트 센싱 기술 선정 의사 결정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646282B1 (ko) * 2021-11-19 2024-03-11 주식회사 이제이텍 건설 현장 조건을 고려한 스마트 센싱 기술 선정 의사 결정 지원 장치 및 방법
CN114511219A (zh) * 2022-01-27 2022-05-17 福建省众塔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工程机械装备的管理系统及其实现方法
WO2023225049A1 (en) * 2022-05-17 2023-11-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Integrated customer delivery system
US12045898B2 (en) 2022-05-17 2024-07-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Integrated customer delivery system
KR102475329B1 (ko) * 2022-09-06 2022-12-07 주식회사 퍼스트알앤디 인공지능에 의한 현장영상을 이용한 토사반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013B1 (ko) 공급망 관리 기반 건설현장에서 최적의 중장비 투입을 지원하는 중장비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i et al. Integrating RFID and BIM technologies for mitigating risks and improving schedule performance of prefabricated house construction
Zhong et al. Prefabricated construction enabled by the Internet-of-Things
US9639146B2 (en) Telematic asset microfluidic analysis
US9739763B2 (en) Telematic locomotive microfluidic analysis
US9760685B2 (en) Telematic microfluidic analysis using handheld device
US6919865B2 (en) Display device for work machine
US20020059320A1 (en) Work machine management system
Aguirre-Jofré et al. Low-cost internet of things (IoT) for monitoring and optimising mining small-scale trucks and surface mining shovels
CN106845919A (zh) 施工信息收集处理方法
KR102269793B1 (ko) Iot를 이용한 건설 현장 장비 관제 시스템
US201701322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associated with worksite
Vasenev et al. A distributed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framework for tracking construction operations
Navon et al. A model for automated monitoring of road construction
CN103177328A (zh) 使用手持装置的远程信息微流控分析
KR102146545B1 (ko)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Sarkar et al.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BIM-ERP-IoT module for construction projects in Ahmedabad
Rogage et al. Beyond digital shadows: A Digital Twin for monitoring earthwork operation in large infrastructure projects
KR20210087754A (ko) Gps 및 o2o 기반 중장비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2121775A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KR100971123B1 (ko) 지능형 굴삭기용 토공사 관리시스템
US8195170B2 (en) Project planning database for prospective wireless networking sites
CN114298349A (zh) 一种道路养护方案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742534B1 (ko) 건설폐자재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Rylander et al. Systems‐of‐Systems Engineering Challenges: Experiences from the Road Construction Dom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