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848B1 - Method for root canal fill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root canal fill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2848B1 KR102082848B1 KR1020190036195A KR20190036195A KR102082848B1 KR 102082848 B1 KR102082848 B1 KR 102082848B1 KR 1020190036195 A KR1020190036195 A KR 1020190036195A KR 20190036195 A KR20190036195 A KR 20190036195A KR 102082848 B1 KR102082848 B1 KR 1020828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t canal
- filling material
- canal filling
- ultrasonic
- storage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4262 dental pulp cavity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631 root canal fil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762 CaSi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15 Re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46 tooth r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49—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inorganic cements
- A61K6/853—Silic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 B01F23/213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electric, sonic or ultrasonic energy
-
- B01F3/0407—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02—Mixing compositions or mixers in the medical or veterinary field
-
- B01F2215/003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관 충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t canal filling method and apparatus.
종래에 근관 충전을 위해 syringe-needle을 이용하여 근관 내에 충전 물질을 주입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충전 물질의 높은 점도와 근관 내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치아 말단 부분까지 주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Conventionally, a method of injecting a filling material into the root canal using a syringe-needle for root canal filling is known. However, in this prior art, the high viscosity of the filling material and the air present in the root canal act as a resistance, thereby limiting the injection to the tooth end portion.
이외에도 근관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치과용 기구가 존재하였다. 일본특허출원공개 평05-200054(발명의 명칭: 근관 충전장치)에 개시된 기술이 그 중 하나이며, 본원의 도1에 위 기술의 핵심적인 사항이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근관 충전장치에서는 진공펌프(1)를 노즐(6)에 연결하고 노즐(6)을 개방된 치아에 설치하고 펌프를 작동시켜 챔버의 압력을 낮춘다. 그 이후 노즐(6)을 제거하고 진공 펌프(1)를 노즐(8)에 연결하고 노즐(8)을 개방된 치아에 설치하고 펌프를 작동시킨다. 관(14)과 환형 제1 채널(15)을 통하여 흡입을 실시하는 동시에 레버(20)를 누르면 저장부(17)가 개방되고 충전재(16)가 제2 채널(21)을 통하여 빨려 들어간다. 이 종래기술의 핵심은 근관 충전 물질을 근관에 충전함에 있어서 흡입을 실시하여 이 흡입력으로 충전재를 근관에 충전한다는 것이다.In addition, dental instruments exist to facilitate root canal filling.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5-200054 (name of invention: Root canal filling device) is one of them, and the essential points of the above technique are shown in FIG. In the prior art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shown in FIG. 1, the vacuum pump 1 is connected to the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기술을 인식한 바탕에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위에 소개한 일본특허출원공개의 기술에서 흡입력으로 충전재를 근관에 충전하는 것에서 나아가 가압력에 의한 충전과 동시에 흡입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기술수단을 도입하였다. 본 발명자들이 근관을 충전함에 있어서 가압력에 의한 충전재의 충전과 흡입 외에 추가적인 기술수단으로 도입한 것은 근관 충전 물질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ors proceeded further research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ior ar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ors carried out the su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filling by the pressing force, in addition to filling the root canal with the suction force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disclosed above. In addition, the inventors have introduced additional technical means. In the filling of the root canal, the present inventors have introduced ultrasonic technology to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s an additional technical means other than the filling and inhalation of the filler by the pressing force.
한국 특허출원 제10-2017-0064117호(발명의 명칭: 근관 치료장치)에서 근관 충전물질에 초음파를 도입함으로써 근관을 충전하는 물질의 유동성을 낮추어 근관 충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치가 소개된 바 있다. 동일 출원인의 상기 출원 이후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근관 충전 물질의 유동성을 낮추는 것에서 나아가 근관 충전 물질의 공극률을 낮추어 빈틈없이 밀하게 근관을 충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7-0064117 (name of the invention: Root canal treatment device), a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root canal filling efficiency by introducing ultrasonic waves into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y lowering the fluidity of the material filling the root canal has been introduced. After the above filing of the same applicant, the inventors conducted further studies. The present inventors have l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veloping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filling the root canal closely and closely by lowering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n addition to lowering the fluid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본 발명은 단순히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초음파 인가에 의하여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o apply ultrasonic waves, but also to develop a method for lowering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초음파 인가에 의하여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는 조건으로 동작하는 근관 충전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apply ultrasonic waves, but also to develop a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that operates under conditions that can lower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방법은, Calcium Silicate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를 포함하는 근관 충전물질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근관 충전물질을 저장용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용기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근관 충전물질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기포가 발생된 근관 충전물질을 가압부로 가압하여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토출시키고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면서 근관으로부터의 흡입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포 발생 단계에서 근관 충전물질에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초음파 인가가 특정 세기 이상으로 가해진다.A root canal fi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root canal filling material comprising Calcium Silicate and H 2 O without gas; Providing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to a storage container; Generating bubbles in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to the storage container; And pressurizing the bubble-producing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nto the pressurizing unit to discharge from the storage container and to inhale from the root canal while spraying through the nozzle. In the bubble generation step, ultrasonic application is applied at a specific intensity or more to generate bubbles in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상기 초음파 인가의 특정 세기는 40kHz의 초음파 진동 조건에서 0.825W/cm2이다.The specific intensity of the ultrasonic application is 0.825 W / cm 2 under ultrasonic vibration conditions of 40 kHz.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장치는, 근관을 충전하는 충전물질로서 Calcium Silicate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를 포함하는 근관 충전물질(130)이 저장되는 저장용기(310)와; 상기 저장용기(310)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충전물질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초음파 발진기(320)와; 상기 저장용기(310)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310)에 저장된 충전물질(130)이 상기 근관을 향해 토출되기까지 통과되는 분사구와; 상기 근관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충전물질을 가압하여 상기 충전물질을 상기 분사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가압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발진기(320)는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충전물질에 특정 세기 이상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상기 충전물질에 기포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root canal fil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특정 세기는 40kHz의 초음파 진동 조건에서 0.825W/cm2이다.The specific intensity is 0.825 W / cm 2 at 40 kHz ultrasonic vibration conditions.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근관 충전방법 또는 근관 충전장치에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root canal filling method or root canal fil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초음파 인가에 의하여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lowering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may be provided by not only applying ultrasonic waves but also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초음파 인가에 의하여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는 조건으로 동작하는 근관 충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that operates under conditions that can lower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y not only applying ultrasonic waves but also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도 1은 종래기술의 근관 충전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충전물질 가압, 흡입의 수행, 초음파 인가의 조건에 따라 근관 충전물질의 상태 변화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초음파 인가 하에서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는 실험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근관 충전물질에 포함되는 물의 종류와 인가되는 초음파 출력 조건을 달리해 가며 측정한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과 기포 발생 여부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와 0.275W/cm2의 초음파 출력 조건에서 근관 충전물질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7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와 0.825W/cm2의 초음파 출력 조건에서 근관 충전물질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8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와 1.650W/cm2의 초음파 출력 조건에서 근관 충전물질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9는 기체가 제거된 H2O와 0.275W/cm2의 초음파 출력 조건에서 근관 충전물질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10은 기체가 제거된 H2O와 0.825W/cm2의 초음파 출력 조건에서 근관 충전물질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11은 기체가 제거된 H2O와 1.650W/cm2의 초음파 출력 조건에서 근관 충전물질을 촬영한 SEM 사진이다.
도 12는 초음파 출력이 0.825W/cm2일 때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가 사용된 근관 충전물질에서 발생된 기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은 초음파 출력이 0.825W/cm2일 때 기체가 제거된 H2O가 사용된 근관 충전물질에서 기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1 is a view showing a root canal filling device of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each component of the root canal fil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of a state change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pressurizing the filling material, performing suction and applying ultrasonic waves.
4 is a view showing experimental conditions that can lower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nder ultrasonic application.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porosity and bubble generation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measured by varying the type of water included in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nd the ultrasonic power output condition.
FIG. 6 is a SEM photograph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nder H 2 O without gas removal and ultrasonic output conditions of 0.275 W / cm 2 .
FIG. 7 is a SEM photograph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nder H 2 O without gas removal and an ultrasonic power output condition of 0.825 W / cm 2 .
8 is a SEM photograph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nder H 2 O without gas removal and ultrasonic output conditions of 1.650 W / cm 2 .
9 is a SEM photograph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nder degassed H 2 O and ultrasonic output conditions of 0.275 W / cm 2 .
10 is a SEM photograph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nder degassed H 2 O and ultrasonic output conditions of 0.825 W / cm 2 .
FIG. 11 is a SEM photograph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nder degassing H 2 O and ultrasonic output conditions of 1.650 W / cm 2 .
FIG. 12 is a photograph of bubbles generated from a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sing H 2 O without degassing when the ultrasonic power is 0.825 W / cm 2 .
FIG. 13 is a photograph of a state in which bubbles are not generated in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sing degassed H 2 O when the ultrasonic power is 0.825 W / cm 2 .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changes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aken as encompassing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of.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전체적인 장치의 구성 및 장치의 작동 방식Overall device configuration and how the device wor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관 충전장치(300)는 저장용기(310), 초음파 발진기(320), 노즐(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oot
저장용기(310)는 외부의 충전물질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충전물질(130)을 공급받아 내부에 충전물질(130)을 수용하게 된다.The
가압부(312)는 저장용기(310) 내의 충전물질(130)을 가압하여 충전물질(130)을 후술하는 노즐(330)의 분사구로부터 토출시킨다. 본 발명에서 저장용기(310)와 가압부(312)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실린더(310)와 피스톤(312)으로 syring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312)은 모터의 힘으로 자동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하여 실린더(310) 내부에 채워진 충전물질(130)을 가압할 수 있다.The
초음파 발진기(320)는 저장용기(310) 내에 저장된 충전물질(130)에 초음파를 인가시킨다. 근관 충전물질의 내부 입자들은 서로 결합력이 강하여 점도가 높은데, 근관 충전물질에 초음파를 인가시킴으로써 내부 입자들 사이의 결합을 깰 수가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발진기(320)에 의해 충전물질(130)에 초음파를 인가시킴으로써 충전물질(130)의 점도를 낮출 수가 있으므로, 충전물질(130)을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The
노즐(330)은 분사구와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를 통해 근관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근관 내의 공기는 충전물질(130)이 충전될 때 저항으로 작용할 수가 있는데, 흡입구를 통해 근관 내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진기(320)에 의해 충전물질(130)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치아 말단부분까지 효과적으로 충전물질(130)을 충전할 수 있다.The
이하,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근관 충전장치(300)를 이용하여 근관 내에 충전물질(130)을 충전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filling the
충전물질(130)이 저장된 충전물질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저장용기(310) 내부에 충전물질(130)을 공급할 수 있다.The
저장용기(310) 내에 충전물질(310)이 공급되면 가압부(312)에 의해 충전물질(130)을 가압하여 압력에 의해 노즐(330)의 분사구를 통해 토출시킬 수가 있다. 이때, 초음파 발진기(320)는 저장용기(310) 내에 수용된 충전물질(130)에 초음파를 인가시켜 충전물질(130)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충전물질(130)의 유동 특성이 향상될 수가 있다. 충전물질(130)의 향상된 유동 특성은 치아 근관 내에서의 유동에만 기여하는 것은 아니다. 충전물질(130)의 향상된 유동 특성은 저장용기(310)로부터 노즐(330)의 분사구를 향하여 충전물질(130)이 유동하는 과정, 즉 근관 충전장치(300) 내부에서의 충전물질(130)의 유동에 있어서도 유리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초음파 발진기(320)는 충전물질(130)의 점도를 낮추어 유동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효과 외에 충전물질(130)에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동작할 경우 충전물질(130)의 교반 효과를 가져와 공극률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충전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이다. 이에 대해서는 실험 결과를 인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When the filling
노즐(330)의 분사구를 통해 충전물질(130)을 근관을 향하여 토출시킴과 동시에 흡입구에서는 근관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filling
상기와 같이 초음파 발진기(320)에 의해 충전물질(130)의 유동 특성을 향상시키고, 충전물질(130)을 근관 내에 충전 시에 저항으로 작용하는 근관 내의 공기를 흡입구를 통해 제거시킴으로써, 치아 말단부분까지 효과적으로 충전물질(130)을 충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3의 좌측, 중앙 및 우측 사진은 각각 가압부(312)에 의한 가압으로만 충전물질(130)을 근관 내에 충전시키는 경우, 가압부(312)에 의한 가압과 흡입구(234)에 의한 근관 내 공기 흡입을 동시에 수행하며 충전물질(130)을 근관 내에 충전시키는 경우, 가압부(312)에 의한 가압과 흡입구에 의한 근관 내 공기 흡입 및 초음파 발진기(320)에 의한 초음파 인가를 동시에 수행하며 충전물질(130)을 근관 내에 충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치아의 근관 내 단면을 SEM 촬영으로 확대하여 보여준다. 도 3의 우측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312)에 의한 가압, 근관 내 공기의 흡입, 초음파 인가를 동시에 수행한 경우 충전물질(130)이 근관 내에 가장 밀하게 충전될 수 있다.The left, center, and right photographs of FIG. 3 show that the filling
초음파 인가에 의하여 충전 물질의 공극률을 낮추는 조건에 관한 실험의 수행Conducting experiments on the conditions for lowering the porosity of the filler material by ultrasonic application
도 4는 초음파 인가 하에서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낮출 수 있는 실험 수행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experimental performance conditions for lowering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nder ultrasonic application.
구체적으로,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근관 충전장치의 가압부(312)를 0.5 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였다. 또한, 초음파 발진기(320)가 40kHz의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하였고, 초음파 발진기(320)의 중간 부위와 노즐 사이의 간격은 30mm로 하였다.Specifically, the pressurizing
본 발명자들은 근관 충전물질로서 Calcium Silicate와 H2O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그 비율은 Calcium Silicate 38.0 중량%, H2O 62.0 중량%로 하였다. H2O는 두 가지 종류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하나는 기체가 포함된 일반적인 H2O로서 수돗물을 사용하였고, 다른 하나는 기체를 제거한 degassed H2O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초음파 출력을 0.275W/cm2 내지 1.650W/cm2의 세기로 조정하며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측정하였다. 그 실험 결과가 도 5의 그래프에 도시된다.We used a mixture of Calcium Silicate and H 2 O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The ratio was defined as Calcium Silicate 38.0% by weight, H 2 O 62.0% by weight. H 2 O was tested using two types. One used tap water as a general H 2 O gas, and the other used degassed H 2 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adjust the intensity of 0.275W / cm 2 to about 1.650W / cm 2, and the ultrasonic output was measured for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he graph of FIG.
도 5의 그래프에는 세 가지 초음파 출력에 대한 결과만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자들은 0.275W/cm2와 0.825W/cm2 사이의 도 5의 그래프에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초음파 출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0.825W/cm2에서의 실험 결과를 특징적으로 도 5에 도시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하는 이유는 이 세기의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에서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0.825W/cm2 이상의 초음파 출력에서는 최대 초음파 출력인 1.650W/cm2에 이르기까지 공통적으로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었으며, 공극률은 지속적인 감소 추이를 보였다.Has been shown only the results for the three ultrasonic output graph of Figure 5, the present inventors have carried out an experiment for a plurality of ultrasonic output, which is not shown in the graph of Figure 5 between 0.275W / cm 2 and 0.825W / cm 2 It was. The experimental results at 0.825 W / cm 2 are characteristically shown in FIG. 5 and explained here because the generation of bubbles was observed in H 2 O without degassing at the ultrasonic power of this intensity. At the ultrasonic power of 0.825W / cm 2 or more, bubbles were observed up to the maximum ultrasonic power of 1.650W / cm 2 , and the porosity continued to decrease.
구체적으로, 0.275W/cm2의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와 Calcium Silicate의 혼합물이 근관 충전물질로 사용된 경우에는 공극률이 22.98%로 측정되었다. 동일한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된 H2O와 Calcium Silicate의 혼합물이 근관 충전물질로 사용된 경우에는 공극률이 23.31%로 측정되었다. 두 경우 모두 기포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Specifically, the porosity was measured to be 22.98% when a mixture of H 2 O without degassing and Calcium Silicate was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t an ultrasonic power of 0.275 W / cm 2 . The porosity was measured to be 23.31% when a mixture of degassed H 2 O and Calcium Silicate was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t the same ultrasonic power. In both cases no bubbles were observed.
0.825W/cm2의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와 Calcium Silicate의 혼합물이 근관 충전물질로 사용된 경우에는 공극률이 19.22%로 측정되었다. 동일한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된 H2O와 Calcium Silicate의 혼합물이 근관 충전물질로 사용된 경우에는 공극률이 20.51%로 측정되었다.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에서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었고, 기체가 제거된 H2O에서는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The porosity was measured to be 19.22% when a mixture of degassed H 2 O and Calcium Silicate was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t an ultrasonic power of 0.825 W / cm 2 . The porosity was measured to be 20.51% when a mixture of degassed H 2 O and Calcium Silicate was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t the same ultrasonic power. Bubble generation was observed in H 2 O without degassing, and bubble generation was not observed in H 2 O without degassing.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와 Calcium Silicate의 혼합물이 근관 충전물질로 사용되고, 여기에 0.825W/cm2의 초음파 출력이 가해진 실험 조건에 대해서는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0.275W/cm2의 초음파 출력으로부터 0.825W/cm2의 초음파 출력에 이르기까지 복수의 초음파 출력 조건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0.825W/cm2의 초음파 출력 직전에는 기포가 관찰되지 않았다. 0.825W/cm2의 초음파 출력 직전까지 공극률은 선형적인 감소 양태를 보이다가, 0.825W/cm2의 초음파 출력에 이르러 이전에는 관찰되지 않았던 기포가 관찰되기 시작하였고 공극률의 비선형적인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A mixture of H 2 O and Calcium Silicate without degassing is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nd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ith an ultrasonic power of 0.825 W / cm 2 . The present inventors were not carrying out experiments for a plurality of ultrasonic output condition, the ultrasonic output immediately before the bubble 0.825W / cm 2 is not observed up to the ultrasound output of 0.825W / cm 2 from the ultrasonic output of 0.275W / cm 2 . Porosity until just before the ultrasonic output of 0.825W / cm 2 is a show a linear decrease mode, 0.825W / cm 2 reaches the output of the ultrasonic air bubbles began to be observed there was not observed prior to the abrupt decrease in porosity was observed nonlinear .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0.275W/cm2의 초음파 출력으로부터 0.825W/cm2의 초음파 출력에 이르기까지 0.05W/cm2의 간격으로 공극률을 측정하였고, 기포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초음파 출력 변화 간격은 0.825W/cm2 를 초과하는 구간에서의 초음파 출력 변화 간격보다 좁게 설정하여 기포의 발생 여부가 측정되기 전에는 기포의 발생 여부가 측정된 이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세밀한 구간 설정을 하였다. 0.825W/cm2의 초음파 출력 직전의 초음파 출력인 0.775W/cm2의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에서 측정된 공극률은 19.78%이고, 이 값은 0.825W/cm2의 초음파 출력에서의 측정된 공극률과 0.56%의 차이가 있다. 0.275W/cm2의 초음파 출력으로부터 0.825W/cm2의 초음파 출력까지 0.05W/cm2 간격의 총 11개 구간에서 이전 10개 구간에서의 1구간 당 공극률 하락은 대략 0.32%로 대동소이한 반면, 마지막 1구간, 즉 0.775W/cm2의 초음파 출력으로부터 0.825W/cm2의 초음파 출력까지의 구간에서는 0.56%의 공극률 하락을 보이며, 선형적인 공극률 하락 추이가 깨지고 비선형적인 공극률 하락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그 원인을 기포의 발생으로 파악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measured the porosity at an interval of 0.05W / cm 2 down to the ultrasound output of 0.825W / cm 2 from the ultrasonic output of 0.275W / cm 2, was observed whether the bubbling. The ultrasonic power change interval was set to be narrower than the ultrasonic power change interval in the section exceeding 0.825W / cm 2, and before the bubble was measured, a relatively fine section was set compared to after the measurement of the bubble occurrence. . The porosity measured in the H 2 O gas is not removed from the ultrasonic output of 0.825W / cm 2 ultrasound output ultrasonic output is 0.775W / cm 2 immediately before is 19.78%, and the value of ultrasonic output of 0.825W / cm 2 There is a difference of 0.56% from the measured porosity at. 0.275W / from the ultrasonic wave output from the 2 cm 0.825W / to the output of the ultrasonic cm 2 0.05W / cm 2 interval of one per segment porosity fell in the previous 10 sections in the total of 11 sections, while the aortic Soi to about 0.32% , the last one period, that is, showed a decline of 0.56% porosity in the interval from the output of the ultrasonic 0.775W / cm 2 to the ultrasound output of 0.825W / cm 2, a broken linear porosity falling trend occurred a non-linear fall porosity. The inventors have identified the cause as the generation of bubbles.
1.65W/cm2의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와 Calcium Silicate의 혼합물이 근관 충전물질로 사용된 경우에는 공극률이 12.28%로 측정되었다. 동일한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된 H2O와 Calcium Silicate의 혼합물이 근관 충전물질로 사용된 경우에는 공극률이 20.19%로 측정되었다.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에서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었고, 기체가 제거된 H2O에서는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The porosity was measured to be 12.28% when a mixture of degassed H 2 O and Calcium Silicate was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t an ultrasonic power of 1.65 W / cm 2 . The porosity was determined to be 20.19% when a mixture of degassed H 2 O and Calcium Silicate was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t the same ultrasonic power. Bubble generation was observed in H 2 O without degassing, and bubble generation was not observed in H 2 O without degassing.
도 6 내지 도 11에서는 도 5의 그래프에 표시된 총 6가지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실험에서 근관 충전물질로 사용된 물질을 SEM 촬영한 사진이 보여진다. 이 사진들을 보면,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가 사용되고 초음파 출력이 0.825W/cm2인 경우와 동일한 H2O가 사용되고 초음파 출력이 1.650W/cm2인 경우가 나머지 경우들에 비하여 근관 충전 물질이 밀해지고 공극의 크기가 감소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6 to 11 show SEM photographs of the material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n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six conditions shown in the graph of FIG. 5. In these pictures, the gas is not removed from H 2 O is used and the ultrasonic output is 0.825W / cm 2 in the same H 2 O and is used when filling the root canal as compared to the rest of the case, if the ultrasonic output 1.650W / cm 2 It can be seen that the material is dense and the pore size is reduced.
도 12는 초음파 출력이 0.825W/cm2일 때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가 사용된 근관 충전물질에서 발생된 기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에서는 근관 충전물질로서 Calcium Silicate 38.0 중량%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 62.0중량%가 사용된 경우로서, 기포의 발생 모습이 관찰된다. 도 12에서 원형 점선으로 표시된, 중앙과 10시 방향 주변부에 관찰되는 원형의 물체가 발생된 기포이다. FIG. 12 is a photograph of bubbles generated from a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sing H 2 O without degassing when the ultrasonic power is 0.825 W / cm 2 . In FIG. 12, when 38.0% by weight of Calcium Silicate and 62.0% by weight of H 2 O without degassing were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ubbles were observed. 12 is a bubble in which circular objects observed in the center and around the 10 o'clock direction are indicated by circular dotted lines.
반면, 도13은 동일한 초음파 출력에서 기체가 제거된 H2O가 사용된 근관 충전물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3에서는 근관 충전물질로서 Calcium Silicate 38.0 중량%와 기체가 제거된 H2O 62.0중량%가 사용된 경우로서, 기포의 발생 모습이 관찰되지 않는다. 도 12와 도 13은 각각 10배율의 현미경을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 is a photograph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sing the degassed H 2 O at the same ultrasonic power output. In FIG. 13, when 38.0% by weight of Calcium Silicate and 62.0% by weight of degassed H 2 O are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ubbles are not observed. 12 and 13 are images taken using a microscope of 10 magnification, respective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실험 결과로서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 사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s described above, the facts confirmed by the present invento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근관 충전물질로서 Calcium Silicate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가 사용된 실험 조건에서 초음파 출력 증가에 따라 공극률 감소가 상대적으로 크게 관찰되었다.1.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ere Calcium Silicate and H 2 O without degassing were used as root canal filling materials, the decrease in porosity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ultrasonic power.
2. 동일 조건에서 초음파 출력이 0.825W/cm2 이상일 때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었다.2. Bubbles were observed when the ultrasonic power was 0.825 W / cm 2 or more under the same conditions.
3. 근관 충전물질로서 Calcium Silicate와 기체가 제거된 H2O가 사용된 실험 조건에서 초음파 출력 증가에 따라 공극률 감소가 상대적으로 작게 관찰되었다.3.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here Calcium Silicate and degassed H 2 O were used a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the decrease in porosity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ultrasonic power.
4. 동일 조건에서 초음파 출력의 크기에 상관없이 기포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4. No bubbles were observed under the same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ultrasonic power output.
5. Calcium Silicate 기반 근관 충전재의 경우 물이 기체를 포함하는 지의 여부가 초음파 인가 시 기포의 발생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5. For Calcium Silicate based root canal filling, whether water contains gas has a direct effect on the generation of bubbles when ultrasonic is applied.
6.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초음파를 인가하고 출력을 높여도 공극률의 감소 효과를 얻기 어렵다.6. If no bubbles are generated,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porosity even if ultrasonic waves are applied and the output is increased.
7. 근관 충전재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술은 공극률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충전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7. The technique of generating bubbles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to the root canal filler reduces the porosity and consequently increases the filling ratio.
Calcium Silicate(CaSiO4) 시멘트 기반 근관 충전재의 경우 근관 신경치료 시술 후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높은 충전율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초음파 인가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는 근관 충전재에 교반 효과를 가져와 충전재 입자 사이 공간의 공동을 제거하여 공극률을 감소시키고 충전재의 충전율을 높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때 기체가 제거된 H2O 기반의 근관 충전재는 초음파를 인가하여도 기포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포 발생을 통한 교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로 제작된 근관 충전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특정 세기 이상의 초음파 출력이 필요하다.Calcium Silicate (CaSiO 4 ) cement-based root canal fillers need to have a high filling rate to prevent reinfection after root canal neurotherapy. Bubbles generated by ultrasonic application are believed to have a stirring effect on the root canal filler to remove voids in the spaces between the filler particles, thereby reducing the porosity and increasing the filler filling rate. In this case, since the H 2 O-based root canal filling material does not generate air bubbles even when ultrasonic waves are applied,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made of H 2 O without gas degassing must be used in order to obtain agitation effect through bubble generation. In order to generate bubbles, an ultrasonic power of a certain intensity or more is required.
실험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새로운 근관 충전방법 및 장치New root canal fill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본 발명자들은 위에 기술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근관 충전방법을 도출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derived the following new root canal filling metho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described above.
먼저, 근관 충전의 제1 단계로서 Calcium Silicate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를 포함하는 근관 충전물질을 준비한다.First, a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ncluding Calcium Silicate and H 2 O without degassing is prepared as a first step of root canal filling.
제2 단계로서 상기 근관 충전물질을 저장용기에 제공한다.As a second step,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s provided in a storage container.
제3 단계로서 상기 저장용기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근관 충전물질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근관 충전물질에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초음파 진동의 인가를 특정 세기 이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40kHz의 초음파 진동 조건에서 인가하는 초음파의 세기는 0.825W/cm2 이상으로 한다.As a third step, ultrasonic waves are applied to the reservoir to generate bubbles in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n order to generate bubbles in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vibration is at a specific intensity or more. Specifically, the intensity of the ultrasonic wave applied under the ultrasonic vibration condition of 40 kHz is 0.825 W / cm 2 or more.
제 4단계로서 기포가 발생된 근관 충전물질을 가압부로 가압하여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토출시키고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면서 근관으로부터의 흡입을 실시한다.In a fourth step, the canal filling material in which bubbles are generated is pressurized by a pressurizing unit, discharg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and sprayed through the nozzle to inhale from the root canal.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근관 충전방법을 실시함으로써 단순히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초음파 인가에 의하여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근관 충전물질의 근관으로의 높은 충전율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root canal filling method not only applies ultrasonic waves, but also lowers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y applying ultrasonic waves, and consequently achieves a high filling rate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nto the root canal. .
또한, 본 발명자들은 위에 기술한 실험 결과 및 도 2에 도시한 근관 충전장치 구조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근관 충전장치를 도출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derive the following new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described above and the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structure shown in FIG. 2.
이러한 근관 충전장치는, 근관을 충전하는 충전물질로서 Calcium Silicate와 기체가 제거되지 않은 H2O를 포함하는 근관 충전물질(130)이 저장되는 저장용기(310)와; 상기 저장용기(310)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충전물질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초음파 발진기(320)와; 상기 저장용기(310)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310)에 저장된 충전물질(130)이 상기 근관을 향해 토출되기까지 통과되는 분사구와; 상기 근관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충전물질을 가압하여 상기 충전물질을 상기 분사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가압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발진기(320)는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충전물질에 특정 세기 이상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상기 충전물질에 기포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40kHz의 초음파 진동 조건에서 인가하는 초음파의 세기는 0.825W/cm2 이상으로 한다. 초음파 발진기(320)가 근관 충전물질(130)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조건으로 동작하는 경우 이러한 초음파 발진기(320)는 근관 충전물질(130)의 공극률 감소 수단으로서 작동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The root canal filling apparatus includes: a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근관 충전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단순히 초음파를 인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초음파 인가에 의하여 근관 충전물질의 공극률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근관 충전물질의 근관으로의 높은 충전율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by using such a root canal filling device, not only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waves but also the application of ultrasonic waves can lower the porosity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and consequently achieve a high filling rate of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into the root canal. .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he scope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long to.
130: 충전물질
300: 근관 충전장치
310: 저장용기
312: 가압부
320: 초음파 발진기
330: 노즐130: filling material
300: root canal filling device
310: storage container
312: pressurization
320: ultrasonic oscillator
330: nozzle
Claims (4)
상기 저장용기(310)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근관 충전물질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초음파 발진기(320)와,
상기 저장용기(310)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310)에 저장된 상기 근관 충전물질(130)이 상기 근관을 향해 토출되기까지 통과되는 분사구와,
상기 근관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저장용기의 상기 근관 충전물질을 가압하여 이를 상기 분사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가압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진기(320)는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근관 충전물질에 40kHz의 초음파 진동 조건에서 0.825W/cm2 이상의 초음파를 인가하여 상기 근관 충전물질에 기포를 발생시키는,
근관 충전장치.A storage container 310 in which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130 including Calcium Silicate and H 2 O in which gas is not removed as a filling material for filling the root canal is stored;
An ultrasonic oscillator 320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310 and applying ultrasonic waves to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 injection hole connected to the storage container 310 and passing until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130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310 is discharged toward the root canal;
An inlet for sucking air in the root canal;
And a pressurizing part 312 which pressurizes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injection hole.
The ultrasonic oscillator 320 generates bubbles in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by applying an ultrasonic wave of 0.825 W / cm 2 or more to the root canal fill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at an ultrasonic vibration condition of 40 kHz.
Root canal fill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36195A KR102082848B1 (en) | 2019-03-28 | 2019-03-28 | Method for root canal fill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36195A KR102082848B1 (en) | 2019-03-28 | 2019-03-28 | Method for root canal fill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82848B1 true KR102082848B1 (en) | 2020-03-03 |
Family
ID=6993806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36195A Active KR102082848B1 (en) | 2019-03-28 | 2019-03-28 | Method for root canal fill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82848B1 (en)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200054A (en) * | 1991-10-18 | 1993-08-10 | Meditec Sa | Root canal filling device |
| KR20010017454A (en) * | 1999-08-11 | 2001-03-05 | 이노우에하쯔히로 |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of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
| KR20070034577A (en) * | 2004-06-11 | 2007-03-28 | 데이비드 웨일 | Simplified cleaning and filling device |
| US8506293B2 (en) * | 2005-12-28 | 2013-08-13 | Gary J. Pond | Ultrasonic endodontic dental irrigator |
| KR20140028079A (en) * | 2011-07-19 | 2014-03-07 | 각코 호징 쇼와 다이가쿠 | Flow-type ultrasonic oral cavity washing device and flow-type ultrasonic oral cavity washing method |
| KR20140145623A (en) * | 2012-04-15 | 2014-12-23 | 플루이드파일 엘티디. |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dontic treatment |
| KR101563430B1 (en) * | 2014-07-14 | 2015-10-26 |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leaning root canal of tooth |
-
2019
- 2019-03-28 KR KR1020190036195A patent/KR1020828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200054A (en) * | 1991-10-18 | 1993-08-10 | Meditec Sa | Root canal filling device |
| KR20010017454A (en) * | 1999-08-11 | 2001-03-05 | 이노우에하쯔히로 |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of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
| KR20070034577A (en) * | 2004-06-11 | 2007-03-28 | 데이비드 웨일 | Simplified cleaning and filling device |
| US8506293B2 (en) * | 2005-12-28 | 2013-08-13 | Gary J. Pond | Ultrasonic endodontic dental irrigator |
| KR20140028079A (en) * | 2011-07-19 | 2014-03-07 | 각코 호징 쇼와 다이가쿠 | Flow-type ultrasonic oral cavity washing device and flow-type ultrasonic oral cavity washing method |
| KR20140145623A (en) * | 2012-04-15 | 2014-12-23 | 플루이드파일 엘티디. |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dontic treatment |
| KR101563430B1 (en) * | 2014-07-14 | 2015-10-26 |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 Apparatus for cleaning root canal of tooth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01-017454호 (2001.03.15.자 공개) 1부.*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097086B2 (en) | Root canal cleaning device and root canal filling device | |
| JP5683938B2 (en) |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lyte injection device | |
| JP2002538886A (en) | Apparatus for sealing the pulp cavity of pulp destruction teeth | |
| CA2192700A1 (en) | Device for cleaning cavities | |
| KR102082848B1 (en) | Method for root canal fill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 US20210162321A1 (en) | Degassing Electrorheological Fluid | |
| RU2124551C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and dissolved gases from transformer oils and hydraulic liquids | |
| CN100494711C (en) | System and method for filling a hydrodynamic bearing with fluid | |
| CN109011717A (en) | A kind of device and method of ultrasonic in combination negative pressure enhancing degasification | |
| CN112403813B (en) | A vacuum glue injection device and glue injection method for capacitor | |
| JP4049342B2 (en) | Degassing method of coating liquid | |
| KR102035961B1 (en) | Apparatus for root canal treatment | |
| JP2000246007A (en) | Degassing method for high viscosity liquid | |
| RU2063827C1 (en) | Method of materials treatment by spray of liquid | |
| EP0318172A2 (en) | Method for densification of particulate masses | |
| RU98102482A (en) | METHOD FOR INJECTIVE DEAERATION AND INJET INSTALLATION FOR ITS IMPLEMENTATION | |
| KR20190120140A (en) | Apparatus for root canal treatment | |
| JP3268375B2 (en) | Bubble removal pump device | |
| JP2669917B2 (en) | Micro bubble generator | |
| JP2004174776A (en) | Apparatus for producing fiber-reinforced plastic | |
| JP2663538B2 (en) | Bubble generator | |
| JPH07255753A (en) | Method for injecting room temperature polymerizing resin | |
| JP2007203262A (en) | Deaeration and foreign substance removal device | |
| JP3423084B2 (en) | Filling method of blood tube collecting agent | |
| JP2000288499A (en) | Cleaning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0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