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025B1 - Storage tank - Google Patents
Storage 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8025B1 KR102098025B1 KR1020180085408A KR20180085408A KR102098025B1 KR 102098025 B1 KR102098025 B1 KR 102098025B1 KR 1020180085408 A KR1020180085408 A KR 1020180085408A KR 20180085408 A KR20180085408 A KR 20180085408A KR 102098025 B1 KR102098025 B1 KR 1020980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means
- panel
- plate
- storage tank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8—Foundations for large tanks, e.g. oi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된 복수 개의 패널수단이 결합되면서 바닥부, 벽체부, 천장부 중 적어도 벽체부를 구성하는 저장탱크이고, 적어도 상기 벽체부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수단은, 상기 패널수단을 보강하도록 상기 패널수단의 외면을 가로질러서 교차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제1 패널수단으로 구성되는 저장탱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tank constituting at least a wal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the wall portion, the ceiling portion as a plurality of modular panel means are combined, the panel means constituting at least the wall portion, the panel means of reinforcing the panel means It provides a storage tank consisting of a first panel means that cross plates are installed across the outer surf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중성능이 크게 향상된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tank with greatly improved load performanc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생활용수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며 열경화성수지(SMC) 혹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소재로 한 사각형 형태의 단위 패널들을 서로 조립하여 시공한다. In general, water tanks are used to store living water in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nd apartments, and are constructed by assembling unit panels of square shapes made of thermosetting resin (SMC) or stainless steel.
기존의 물탱크 구조시스템은 수압에 저항할 뿐 아니라 이로 인한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 단위 패널의 중심이 원형 형태로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볼록 튀어나오도록 제작하고 있으나, 물탱크 내부 수위가 높거나 높은 내진 성능을 지니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성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The existing water tank structural system is manufactured to protrude convexl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side unit panel in order to not only resist water pressure but also prevent excessive deformation caused by this, but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 tank is high. Or, if you want to have high seismic performa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is insufficient.
따라서, 기존의 제품보다 더 뛰어난 단면 성능을 지닌 벽체 단위 패널을 사용하거나 혹은 추가적인 보강재를 함께 설치하여 물탱크의 수압 및 지진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water tank's resistance to water pressure and seismic loads by using a wall unit panel with superior cross-section performance or by installing additional reinforcing materials together.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저장유체의 압력 및, 지진하중에 대해 높은 저항성능을 가지는 저장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tank having a high resistance to the pressure of the storage fluid and earthquake loa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모듈화된 복수 개의 패널수단이 결합되면서 바닥부, 벽체부, 천장부 중 적어도 벽체부를 구성하는 저장탱크이고, 적어도 상기 벽체부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수단은, 상기 패널수단을 보강하도록 상기 패널수단의 외면을 가로질러서 교차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제1 패널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수단은 횡방향이 장변이고 종방향이 단변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수단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교차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벽체부의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을 지지하는 외부수직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수직보강재의 수직보강본체는, 인접한 상기 교차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를 제공한다.As one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tank constituting at least the wal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wall portion, ceiling portion while a plurality of modular panel means are combined, the panel means constituting at least the wall portion Silver is composed of first panel means that cross plates are installed a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means to reinforce the panel means, and the first panel means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side and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 The first panel mean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ross plates are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wall portion, the external vertical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rst panel means; further comprises , The vertical reinforcing body of the external vertical stiffener provide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cross plates and installed across a plurality of the first panel mean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제1 패널수단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교차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cross plates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means.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제1 패널수단은,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패널본체; 상기 패널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인접한 상기 제1 패널수단과의 결합부분을 제공하는 패널플랜지; 및, 상기 패널본체의 외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패널플랜지에 고정되는 교차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panel means comprises: a panel body composed of a plate-like member; A panel flang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panel body and providing a coupling portion with the adjacent first panel means;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body, at least a cross plate fixed to the panel flange;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 교차플레이트는, 사각형 형상의 상기 패널본체의 대향되는 모서리를 교차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본체;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패널플랜지에 고정되는 절곡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ross plate includes a pair of plate bodies which are installed to cross opposite edges of the panel body in a square shape; And, it is provided in each of the bent shape at both ends of the plate body, at least a bending flange fixed to the panel flange; may include.
바람직하게, 교차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본체와, 상기 제1 플레이트본체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의 한 쌍의 제1 절곡플랜지를 포함하여 'Z'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1 교차유닛; 및, 제2 플레이트본체와, 상기 제2 플레이트본체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는 형상의 한 쌍의 제2 절곡플랜지를 포함하여 좌우가 반전된 'Z'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2 교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rossing plate includes a first crossing unit comprising a first plate main body and a pair of first bending flanges of a shape bent at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main body in a 'Z' shape; And a second crossing unit comprising a second plate main body and a pair of second bending flanges having a shape bent at both ends of the second plate main body and having an inverted left and right 'Z' shape. can do.
바람직하게, 제1 플레이트본체와 제2 플레이트본체에는 길이방향 중앙영역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삽입홈이 서로 끼워지면서 제1 교차유닛과 제2 교차유닛의 결합되면서 X'자 형상으로 교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plate body and the second plate body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insertion grooves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insertion grooves on both sides are fitted with each other, while the first crossing unit and the second crossing unit are combined, the X'-shape is formed. Can be crossed.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외부수직보강재는,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에 걸쳐서 설치되는 수직보강본체; 상기 수직보강본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 패널수단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고정하는 연결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xternal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the vertical reinforcement body is installed across a plurality of the first panel mean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xing bracket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body; And a connecting material for fixing the fixing bracket to the first panel means.
바람직하게, 외부수직보강재는,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기초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수직보강재의 외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측면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xternal vertical stiffener, a side support frame provided to support the outside of the external vertical stiffener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ortion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may further include.
바람직하게, 바닥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의 지지부분을 형성하는 기초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프레임부는, 저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기초; 상기 콘크리트기초 상에 설치되는 제1 기초프레임; 및, 제2 기초프레임은 제1 기초프레임과 연계되면서 바닥프레임을 형성하는 제2 기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초프레임과 상기 제2 기초프레임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의 설치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2 기초프레임과 상기 벽체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패널수단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 기초프레임과 측면이 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Preferably,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the base frame portion forming a support portion of the storage tank; further comprising, the base frame portion, the concrete base forming the bottom; A first foundation frame installed on the concrete foundation; And, the second base frame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frame and a second base frame forming a bottom frame; including, the first base frame and the second base frame is installed with a height difference to install the bottom portion A space is secured, and the bottom part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base frame and the first panel means constituting the wall part, and the bottom part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frame.
바람직하게,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내부수평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수평보강재는,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의 제1 패널수단에 고정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에 설치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inner horizontal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posing wall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inner horizontal reinforcement, horizontal plate fixed to the first panel means of the opposing wall portion; And a horizontal bar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plates installed on the opposite wall parts.
바람직하게, 벽체부의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을 지지하는 외부수직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상기 제1 패널수단의 패널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수직보강재에 고정될 수 있다.Preferably, it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wall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vertical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the first panel means, the horizontal plate is the outside of the panel body of the first panel means between It can be fixed to the vertical reinforcement.
바람직하게, 바닥부와 상기 천장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내부수직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수직보강재는,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천장부의 패널수단에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 및, 대향되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장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봉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inner vertical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ceil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the inner vertical reinforcement, the vertical plate fixed to the panel means of the bottom portion or the ceiling portion; And a vertical bar member connecting the opposing bottom portion to the vertical plate provided on the ceiling portion.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유체의 압력 및, 지진하중에 대해 높은 저항성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have a high resistance performance against the pressure and the seismic load of the storage flui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장탱크의 제1 패널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저장탱크의 벽면부를 구성하는 일측 벽면에 외부수직보강재가 설치되기 전과 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저장탱크의 외면의 일부분을 제거한 저장탱크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제1 패널수단에 외부수직보강재가 설치된 부분의 정면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제1 패널수단에 외부수직보강재가 설치된 부분의 측면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제1 패널수단에 외부수직보강재가 설치된 부분의 측면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기초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제1 패널수단, 외부수직보강재, 기초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first panel means of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before and after the external vertical stiffen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ll constituting the wall portion of the storage tank.
5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storage tank with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d.
6A is a view showing the front detail of a portion in which an external vertical stiffener is installed in a first panel means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view showing side details of a portion in which an external vertical stiffener is installed in a first panel means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C is a view showing side details of a portion in which an external vertical stiffener is installed in a first panel means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basic frame portion of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details of the first panel means of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vertical stiffener, the part to which the base frame is coup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a more clear descrip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바닥부(30), 벽체부(10), 천장부(2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기초프레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모듈화된 복수 개의 패널수단이 결합되면서 바닥부(30), 벽체부(10), 천장부(20) 중 적어도 벽체부(10)를 구성하는 저장탱크이고, 적어도 상기 벽체부(10)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수단은, 상기 패널수단을 보강하도록 상기 패널수단의 외면을 가로질러서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되는 제1 패널수단(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1,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tank constituting at least the
일례로,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모듈화된 복수 개의 패널수단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결합되면서 벽체부(10), 바닥부(30), 천장부(20)를 구성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titute a
다른 일례로, 벽체부(10)만 모듈화된 복수 개의 패널수단이 결합되면서 벽체부(10)를 형성하고, 바닥부(30)와 천장부(20)는 모듈화된 복수 개의 패널수단이 결합되는 구성이 아닐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본 발명의 저장탱크를 구성하는 패널수단은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Panel means constituting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이때, 패널수단에는 다양한 종류의 금속이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various types of metal may be applied to the panel means.
일례로, 패널수단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틸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anel means may be made of steel such as steel or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벽체부(10)는 모듈화된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이 서로 연결되면서 측면방향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2 and 3, the
교차플레이트(130)는 벽체부(10)를 구성하는 제1 패널수단(100)의 외면에 교차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제1 패널수단(100)을 보강할 수 있다.The
벽체부(10)는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이 종방향인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The
벽체부(10)를 구성하는 패널수단은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되는 제1 패널수단(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anel means constituting the
물론, 벽체부(10), 바닥부(30), 천장부(20)를 구성하는 패널수단은 모두 제1 패널수단(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Of course, all the panel means constituting the
다만, 천장부(20)의 경우는 저장된 유체의 압력이 적게 작용하고, 천장부(20)의 패널수단의 사이를 통해 유체가 누설될 가능성이 적은바,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된 제1 패널수단(100)으로 구성될 필요성이 가장 작을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저장탱크는 바닥부(30), 벽체부(10), 천장부(20)로 둘러싸이는 내부공간에는 유체가 저장될 수 있다.In the storage tank, fluid may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일례로,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바닥부(30), 벽체부(10), 천장부(2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저장탱크의 내부로 저장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미도시) 및, 저장유체를 배출하는 배출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ide of the
그리고, 바닥부(30)는 하측에 위치한 기초프레임부(40)에 의해 고정되면저 지지되는바,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된 제1 패널수단(100)으로 구성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장탱크의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바닥부(30), 벽체부(10), 천장부(20) 중 벽체부(10)를 구성하는 패널수단만을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되는 제1 패널수단(100)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refore, more preferably,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torage tank, etc., only the panel means constituting th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30)와, 저장탱크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체부(10) 및, 저장탱크의 천장부(20)을 형성하는 천장부(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바닥부(30), 상기 벽체부(10), 상기 천장부(20) 중 적어도 상기 벽체부(10)는, 모듈화된 복수 개의 패널수단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the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상기 벽체부(10)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수단은, 상기 패널수단을 보강하도록 상기 패널수단의 외면을 가로질러서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되는 제1 패널수단(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at least the panel means constituting the
도 1을 참조하면, 저장탱크의 천장부(20)는 복수 개의 천장패널판(21)이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1, the
천장부(20)는 중앙에 볼록한 압력보강부분(23)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천장패널판(21)과, 천장패널판(21)의 4개 모서리에서 절곡 형성된 플랜지 타입의 결합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저장탱크의 바닥부(30)도 천장부(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복수 개의 패널수단이 간이한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어 작업자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anel means can be connected by a simple method,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worker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모듈화된 복수 개의 패널수단이 연결되면서, 저장탱크의 구성요소인 패널수단이 규격화되어 시공성이 향상되고 시공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In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urality of modular panel means are connected, the panel mean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storage tank, are standardiz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reduce construction cost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널수단(100)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교차플레이트(13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2 and 3, a plurality of the
제1 패널수단(100)은 횡방향이 장변이고 종방향이 단변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수단(100)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교차플레이트(130)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panel means 100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side and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and the first panel means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제1 패널수단(100)에 복수 개의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되고, 인접한 교차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외부수직보강재(200)의 수직보강본체(210)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일례로, 하나의 제1 패널수단(100)에 3개의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되고, 인접한 교차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외부수직보강재(200)의 수직보강본체(210)가 설치되면서 2 개의 수직보강본체(210)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re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널수단(100)은, 벽체부(10)의 일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횡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2 and 3, the first panel means 100 may be installed over the entire lateral direction forming the wall surface of one side of the
이와 같이, 제1 패널수단(100)을 벽체부(10)의 일측의 벽면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함으로써, 제1 패널수단(100)의 체결부분의 수가 감소되어 작업자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first panel means 100 over the entire lateral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of one side of the
제1 패널수단(100)을 벽체부(10)의 일측 벽면의 횡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면서 제1 패널수단(100)은 횡방향 길이가 길어질 경우, 제1 패널수단(100)에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first panel means 100 is installed across the entire lateral direction of one wall surface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패널수단(100)의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교차플레이트(130)로 보강하여 저장유체의 압력 및, 지진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향상시켰다.Therefore,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reinforced with a plurality of
벽체부(10)의 일측 벽면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된 패널본체(110)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교차플레이트(130)가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벽체부(10)의 벽면을 형성하는 인접한 2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은 모서리부분에서 90도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벽면을 형성하는 인접한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플랜지(120) 상호 간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two adjacent first panel means 100 forming the wall surfac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널수단(100)은 벽체부(10)의 일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횡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고, 벽체부(10)의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종방향의 일부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panel means 100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lateral direction forming the wall surface of one side of the
이때,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이 종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벽체부(10)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panel means 100 may b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이는, 벽체부(10)의 벽면 전체를 하나의 패널수단으로 구성할 경우, 제1 패널수단(100)이 너무 과대해져서 시공성이 저하되는바, 일정한 하중성능의 확보와 시공성을 향상을 동시에 도모하기 위함이다.This, when the entire wall surface of the
물론, 인접한 제1 패널수단(100)의 종방향 연결부분은 후술할 외부수직보강재(200) 및, 내부수평보강재(300)에 의해 보강되는바, 하중성능의 확보와 시공성을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Of course,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first panel means 100 is reinforced by the external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패널수단(100)은,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패널본체(110)와, 상기 패널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인접한 상기 제1 패널수단(100)과의 결합부분을 제공하는 패널플랜지(120) 및, 상기 패널본체(110)의 외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패널플랜지(120)에 고정되는 교차플레이트(130)를 구비할 수 있다.2 to 4, the first panel means 100 is formed along a border of the
패널본체(110)는 사각형 형상의 판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패널본체(110)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패널본체(110)의 테두리 부분의 각 변에서 외측으로 패널플랜지(120)가 절곡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패널플랜지(120)는 패널본체(110)의 테두리에서 절곡 형성될 수 있고, 패널플랜지(120)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한 2개의 제1 패널수단(10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경우, 상측에 배치되는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플랜지(120), 절곡플랜지(133) 및,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플랜지(120), 절곡플랜지(133)는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3 and 4, when two adjacent first panel means 100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패널플랜지(120)에는 외부수직보강재(200)의 수직보강본체(210)가 삽입되는 절개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절개부분에는 수직보강본체(210)의 횡단면의 일부가 삽입되고, 수직보강본체(210)의 나머지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교차플레이트(130)는, 상기 패널본체(110)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본체(131)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131)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절곡플랜지(133)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절곡플랜지(133)는 플레이트본체(13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ending
플레이트본체(131) 및, 한 쌍의 절곡플랜지(133)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길이에 비해 폭이 상당히 좁은 띠형의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띠형의 금속판이 절곡되면서 플레이트본체(131)와 절곡플랜지(133)를 형성할 수 있다.The
절곡플랜지(133)가 플레이트본체(131)의 일측 단부에서 좌측으로 절곡될 경우, 플레이트본체(131)의 타측단부에서는 반대방향인 우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When the bendin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교차플레이트(130)는, 사각형 형상의 상기 패널본체(110)의 대향되는 모서리를 교차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본체(131)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131)의 양단부에서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패널플랜지(120)에 고정되는 절곡플랜지(133)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the
일례로, 절곡플랜지(133)는 플레이트본체(131)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패널플랜지(120)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ending
다른 일례로, 인접한 2개의 제1 패널수단(100)이 상하방향으로 연결될 경우, 상측에 배치되는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플랜지(120), 절곡플랜지(133) 및,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플랜지(120), 절곡플랜지(133)는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wo adjacent first panel means 100 ar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도 2를 참조하면, 교차플레이트(130)는, 제1 플레이트본체(131)와, 상기 제1 플레이트본체(131)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의 한 쌍의 제1 절곡플랜지(133)를 포함하여 'Z'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1 교차유닛(130-1) 및, 제2 플레이트본체(131)와, 상기 제2 플레이트본체(131)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는 형상의 한 쌍의 제2 절곡플랜지(133)를 포함하여 좌우가 반전된 'Z'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2 교차유닛(130-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교차플레이트(130)는 제1 교차유닛(130-1)과 제2 교차유닛(130-2)이 교차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교차유닛(130-1)과 제2 교차유닛(130-2)은 각각 플레이트본체(131)와, 플레이트본체(131)의 양단부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플랜지(133)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crossing unit 130-1 and the second crossing unit 130-2 may each include a
제1 교차유닛(130-1)은 하나의 플레이트본체(131)와, 플레이트본체(131)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의 한 쌍의 절곡플랜지(133)를 포함하여 'Z'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crossing unit 130-1 includes a
일례로, 제1 교차유닛(130-1)의 절곡플랜지(133)가 플레이트본체(131)의 상측 단부에서 좌측으로 절곡될 경우, 플레이트본체(131)의 하측 단부에서는 반대방향인 우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ending
제2 교차유닛(130-2)은 하나의 플레이트본체(131)와, 플레이트본체(131)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는 형상의 한 쌍의 절곡플랜지(133)를 포함하여 좌우가 반전된 'Z'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crossing unit 130-2 includes a
일례로, 제2 교차유닛(130-2)의 절곡플랜지(133)가 플레이트본체(131)의 상측 단부에서 우측으로 절곡될 경우, 플레이트본체(131)의 하측 단부에서는 반대방향인 좌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bending
이때, 제1 교차유닛(130-1)과 제2 교차유닛(130-2)의 절곡플랜지(133)의 길이는 플레이트본체(131)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engths of the bendin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본체(131)와 제2 플레이트본체(131)에는 길이방향 중앙영역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삽입홈이 서로 끼워지면서 제1 교차유닛(130-1)과 제2 교차유닛(130-2)의 결합되면서 X'자 형상으로 교차될 수 있다.
2 and 3,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장탱크는 벽체부(10)의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100)을 지지하는 외부수직보강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storage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외부수직보강재(200)는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을 연결하고,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의 외측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external
벽체부(10)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100)이 적어도 종방향(높이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이때, 외부수직보강재(200)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100)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벽체부(10)의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ternal
도 4를 참조하면, 벽체부(10)는 3개의 제1 패널수단(100)이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2개의 외부수직보강재(200)가 종방향으로 연결된 3개의 제1 패널수단(100)을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state in which three first panel means 10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즉,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이 종방향(높이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벽체부(10)의 일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while the plurality of first panel means 100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ight direction), one wall surface of the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벽체부(10)의 일측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plurality of first panel mean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one side wall surface of the
외부수직보강재(200)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10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100)을 종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external vertical reinforcin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부수직보강재(200)는,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100)에 걸쳐서 설치되는 수직보강본체(210)와, 상기 수직보강본체(2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30) 및, 상기 제1 패널수단(100)에 상기 고정브라켓(230)을 고정하는 연결재(250)를 구비할 수 있다. 3 and 4, the external vertical reinforcing
하나의 수직보강본체(210)는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One
하나의 제1 패널수단(100)에 복수 개의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되고, 인접한 교차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외부수직보강재(200)의 수직보강본체(210)가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일례로, 하나의 제1 패널수단(100)에 3개의 교차플레이트(130)가 설치되고, 인접한 교차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외부수직보강재(200)의 수직보강본체(210)가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ree
수직보강본체(210)는 횡방향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수직보강본체(210)는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플랜지(120)에 형성된 절개부분에 삽입된 상에서 고정브라켓(230)과 연결재(250)를 매개로 제1 패널수단(100)에 고정되면서 복수 개의 제1 패널수단(100)을 지지할 수 있다.The vertical reinforcing
제1 패널수단(100)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패널플랜지(120)에는 수직보강본체(210)가 삽입 가능한 절개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anel means 100 may be formed in a cutout portion in which the
절개부분은 수직보강본체(210)가 삽입되는 부분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The incision may be inci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수직보강본체(210)는 절개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패널플랜지(120)의 높이보다 높게 외측으로 돌출되고, 고정브라켓(230)과 연결재(250)를 매개로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물론, 절개부분에 수직보강본체(2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양자는 미세한 공차를 가질 수 있다.Of course, in the state where the
수직보강본체(210)는 패널플랜지(120)의 절개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고정브라켓(230)은 수직보강본체(2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ㄷ'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커버브라켓(231) 및, 커버브라켓(231)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재(250)와의 결합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고정플랜지(233)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xing
일례로, 도 6a를 참조하면, 고정브라켓(230)은 고정플랜지(233)의 높이방향 중앙부분의 저면이 패널플랜지(120)에 접한 상태에서, 접촉된 부분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재(250)가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ure 6a, the fixing
고정브라켓(230)과 패널본체(1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고정브라켓(230)의 고정플랜지(233)와 패널본체(110)의 사이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연결재(250)가 설치될 수 있다.The fixed
수직보강본체(210)는 고정브라켓(230)과 연결재(250)를 매개로 패널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연결재(250)는 연결하우징(251), 연결봉강(253) 및, 고정구(255)를 구비할 수 있다.6A and 6B, the connecting
연결재(250)는 패널본체(110)와 고정브라켓(2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하우징(251)과, 패널본체(110)에 연결된 연결하우징(25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고정구(255)를 매개로 고정브라켓(230)과 체결되는 연결봉강(253)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연결하우징(251)은 내부에 내부나사산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연결봉강(253)은 일측의 외부나사산이 연결하우징(251)의 내부나사산에 체결되고, 타측의 외부나사산이 고정브라켓(230)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부재 등의 고정구(255)가 체결되면서 연결재(250)가 외부수직보강재(200)를 제1 패널수단(100)에 고정할 수 있다.The connecting
도 8을 참조하면, 외부수직보강재(200)는, 상기 바닥부(30)의 하측에 설치되는 기초프레임부(40)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수직보강재(200)의 외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측면지지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external
도 8을 참조하면, 측면지지프레임(500)은 기초프레임부(40)의 제1 기초프레임(43) 및, 외부수직보강재(200)의 수직보강본체(21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측면지지프레임(500)은 제1 기초프레임(43)의 상면과 체결되는 기초체결판(510)과, 수직보강본체(210)의 하단과 체결되는 수직체결판(530) 및, 기초체결판(510)과 수직체결판(530)의 사이를 보강하도록 기초체결판(510)과 수직체결판(53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수직지지판(550)을 구비할 수 있다.The
수직보강본체(210)의 하단은 기초프레임부(40)의 제1 기초프레임(43)에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저장탱크는 상기 바닥부(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의 지지부분을 형성하는 기초프레임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프레임부(40)는, 저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기초(41)와, 상기 콘크리트기초(41) 상에 설치되는 제1 기초프레임(43) 및, 제2 기초프레임(45)은 제1 기초프레임(43)과 연계되면서 바닥프레임을 형성하는 제2 기초프레임(45)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초프레임(43)과 상기 제2 기초프레임(45)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30)의 설치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7 and 8, the storage tank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도 7을 참조하면, 기초프레임부(40)는 콘크리트기초(41), 제1 기초프레임(43), 제2 기초프레임(45)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콘크리트기초(41)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길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저장탱크의 설치부분의 하측에 폭방향인 제2 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제1 기초프레임(43)은 콘크리트기초(41)의 상측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기초프레임(43)은 콘크리트기초(41)의 상측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기초프레임(45)은 제1 기초프레임(43)과 교차되도록 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상기 제1 기초프레임(43)과 평행하게 상기 제1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제1 기초프레임(43)과 제2 기초프레임(45)이 서로 연결되면서 함께 격자형의 프레임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s the
제1 기초프레임(43), 제2 기초프레임(45)은 H형강 등의 형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제2 기초프레임(45)은 제1 기초프레임(43)과 연계되면서 프레임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제2 기초프레임(45)은 제1 기초프레임(43)과 교차되거나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기초프레임(43)과 함께 격자형의 프레임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제2 기초프레임(45)의 일부는 제1 기초프레임(43)과 교차되면서 연결되고, 제1 기초프레임(43)과 제2 기초프레임(45)이 서로 교차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호 연결되면서 바닥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A part of th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기초프레임(43), 제2 기초프레임(45)은 높이방향인 제3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의 형강부재(일례로, H형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제2 기초프레임(45)의 일부와 제1 기초프레임(43)은 서로 교차되게 접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A part of the
도 8을 참조하면, 바닥부(30)는 제2 기초프레임(45)과 벽체부(10)를 구성하는 제1 패널수단(10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바닥부(30)는 제1 기초프레임(43)과 측면이 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8, the
도 5를 참조하면, 저장탱크는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10)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내부수평보강재(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수평보강재(300)는,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10)의 제1 패널수단(100)에 고정되는 수평플레이트(310) 및,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10)에 설치된 상기 수평플레이트(3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봉부재(33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torage tank further includes an inner
수평플레이트(310)는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수평플레이트(310)는 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패널수단(100)의 경계부분에 설치되어, 인접한 제1 패널수단(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연결되는 인접한 제1 패널수단(100)의 연결부분을 지지할 수 있어 제1 패널수단(100)의 연결부분을 통해 저장된 유체(일례로, 물)의 압력에 의해 제1 패널수단(100)의 연결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adjacent first panel means 100 to be connected so that the first panel means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eg, water) stored through the connecting part of the first panel means 100 ( 100) can prevent the connection part from opening.
일례로, 수평플레이트(310)는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2 개의 제1 패널수단(10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일례로, 도 6a 및, 도 6c를 참조하면, 내부수평보강재(300)의 수평플레이트(310)는 볼트타입의 연결재(250)를 매개로 패널본체(110)를 및, 고정브라켓(230)과 고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S. 6A and 6C, the
다른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평플레이트(310)는 연결되는 2개의 제1 패널수단(100)의 내면에 용접 접합되어 2개의 제1 패널수단(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도 4 및, 저장탱크는 벽체부(10)의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100)을 지지하는 외부수직보강재(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310)는 상기 제1 패널수단(100)의 패널본체(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수직보강재(200)에 고정될 수 있다.4 and, the storage tank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도 6c를 참조하면, 내부수평보강재(300)의 수평플레이트(310)는 패널본체(110)를 사이에 두고, 외부수직보강재(200)의 연결재(250) 및, 고정브라켓(230)를 매개로 수직보강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c, the
연결재(250)는 패널본체(110)와 고정브라켓(2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하우징(251)과, 상기 연결하우징(251)에 설치되고, 수평플레이트(310), 패널본체(110) 연결하우징(251) 및, 고정브라켓(230)을 관통한 상태에서 체결되는 연결봉강(253)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연결봉강(253)은 봉상으로 부재로 형성되고, 수평플레이트(310), 패널본체(110), 연결하우징(251) 및, 고정브라켓(230)을 관통한 상태에서 양측 단부에 너트부재 등의 고정구(255)가 체결되면서 연결재(250)는 수평플레이트(310), 패널본체(110) 및, 고정브라켓(230)과 체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봉강(253)은 헤드부가 형성된 볼트부재로 구비되고, 헤드부의 반대측은 너트부재 등의 고정구(255)가 체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ng
연결봉강(253)은 수평플레이트(310), 패널본체(110), 연결하우징(251) 및, 고정브라켓(230)을 관통한 상태에서 헤드부의 반대측에 너트부재 등의 고정구(255)가 체결되면서 연결재(250)는 수평플레이트(310), 패널본체(110) 및, 고정브라켓(230)과 체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도 5를 참조하면, 저장탱크는 바닥부(30)와 상기 천장부(20)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내부수직보강재(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수직보강재(400)는, 상기 바닥부(30) 또는 상기 천장부(20)의 패널수단에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410) 및, 대향되는 상기 바닥부(30)와 상기 천장부(20)에 설치된 상기 수직플레이트(410)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봉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torage tank further includes an inn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10: 벽체부 20: 천장부
21: 천장패널판 23: 압력보강부분
30: 바닥부 40: 기초프레임부
41: 콘크리트기초 43: 제1 기초프레임
45: 제2 기초프레임 100: 제1 패널수단
110: 패널본체 120: 패널플랜지
130: 교차플레이트 130-1: 제1 교차유닛
130-2: 제2 교차유닛 131: 플레이트본체
133: 절곡플랜지 200: 외부수직보강재
210: 수직보강본체 230: 고정브라켓
231: 커버브라켓 233: 고정플랜지
250: 연결재 251: 연결하우징
253: 연결봉강 255: 고정구
300: 내부수평보강재 310: 수평플레이트
330: 수평봉부재 400: 내부수직보강재
410: 수직플레이트 430: 수직봉부재
500: 측면지지프레임 510: 기초체결판
530: 수직체결판 550: 수직지지판10: wall part 20: ceiling part
21: Ceiling panel plate 23: Pressure reinforcement part
30: bottom portion 40: foundation frame portion
41: concrete foundation 43: first foundation frame
45: second base frame 100: first panel means
110: panel body 120: panel flange
130: cross plate 130-1: first cross unit
130-2: Second crossing unit 131: Plate body
133: bending flange 200: external vertical reinforcement
210: vertical reinforcement body 230: fixed bracket
231: cover bracket 233: fixed flange
250: connecting material 251: connecting housing
253: connecting bar 255: fixture
300: inner horizontal reinforcement 310: horizontal plate
330: horizontal bar member 400: internal vertical reinforcement
410: vertical plate 430: vertical rod member
500: Side support frame 510: Basic tightening plate
530: vertical fastening plate 550: vertical support plate
Claims (14)
적어도 상기 벽체부를 구성하는 상기 패널수단은,
상기 패널수단을 보강하도록 상기 패널수단의 외면을 가로질러서 교차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제1 패널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수단은 횡방향이 장변이고 종방향이 단변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패널수단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교차플레이트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벽체부의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을 지지하는 외부수직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수직보강재의 수직보강본체는,
인접한 상기 교차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It is a storage tank constituting at least a wall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the wall portion, the ceiling portion as a plurality of modular panel means are combined,
The panel means constituting at least the wall portion,
It is composed of a first panel means that cross plates are installed a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means to reinforce the panel means,
The first panel means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shape with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panel mean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ross plates are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wall portion, the outer vertical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the first panel means; further comprises,
The vertical reinforcement body of the external vertical reinforcement,
A storage tank,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cross plates and is installed across a plurality of the first panel mean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1 패널수단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교차플레이트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According to claim 1,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cross plates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anel means.
판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패널본체;
상기 패널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인접한 상기 제1 패널수단과의 결합부분을 제공하는 패널플랜지; 및,
상기 패널본체의 외면에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패널플랜지에 고정되는 교차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panel means,
A panel body composed of a plate-shaped member;
A panel flange formed along an edge of the panel body and providing a coupling portion with the adjacent first panel means; And,
A storage tank provided with a cross plate which is installed to 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body and is fixed to at least the panel flange.
사각형 형상의 상기 패널본체의 대향되는 모서리를 교차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본체;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의 양단부에서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패널플랜지에 고정되는 절곡플랜지;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According to claim 4, The cross plate,
A pair of plate bodies that are installed to cross opposite edges of the panel body in a square shape; And,
A storage tank including; a bent flang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late body in a bent shape and fixed to at least the panel flange.
제1 플레이트본체와, 상기 제1 플레이트본체의 양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의 한 쌍의 제1 절곡플랜지를 포함하여 'Z'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1 교차유닛; 및,
제2 플레이트본체와, 상기 제2 플레이트본체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는 형상의 한 쌍의 제2 절곡플랜지를 포함하여 좌우가 반전된 'Z'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2 교차유닛;을 포함하는 저장탱크.
According to claim 1, The cross plate,
A first crossing unit including a first plate main body and a pair of first bending flanges having a shape bent at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main body in a 'Z'shape; And,
A second plate unit and a second crossing unit comprising a pair of second bending flanges of a shape that is bent at both ends of the second plate body and configured to have an inverted left and right 'Z' shape. Tank.
상기 제1 플레이트본체와 제2 플레이트본체에는 길이방향 중앙영역에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양측의 상기 삽입홈이 서로 끼워지면서 제1 교차유닛과 제2 교차유닛의 결합되면서 X'자 형상으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plate body and the second plate body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insertion grooves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grooves on both sides are intersected in an X'-shape while the first crossing unit and the second crossing unit are engaged while being inserted into each other.
종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에 걸쳐서 설치되는 수직보강본체;
상기 수직보강본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 패널수단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고정하는 연결재;를 구비하는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vertical reinforcement,
A vertical reinforcement body installed across a plurality of the first panel mean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xing bracket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vertical reinforcement body; And,
Storage tank having a; connecting member for fixing the fixing bracket to the first panel means.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기초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수직보강재의 외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측면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vertical reinforcement,
A storage tank further comprising; a side support frame which is installed on the base frame part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art and is provided to support the outside of the external vertical stiffener.
상기 바닥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의 지지부분을 형성하는 기초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프레임부는,
저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기초;
상기 콘크리트기초 상에 설치되는 제1 기초프레임; 및,
상기 제1 기초프레임과 연계되면서 바닥프레임을 형성하는 제2 기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초프레임과 상기 제2 기초프레임은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의 설치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2 기초프레임과 상기 벽체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패널수단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제1 기초프레임과 측면이 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the base frame portion forming a support portion of the storage tank; further includes,
The basic frame portion,
A concrete base forming the bottom;
A first foundation frame installed on the concrete foundation; And,
Including, a second base frame forming a floor frame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base frame; The first base frame and the second base frame are installed with a height difference to secur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bottom portion,
The bottom por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base frame and the first panel means constituting the wall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ase frame and the side is installed in contact.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내부수평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수평보강재는,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의 제1 패널수단에 고정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대향되는 상기 벽체부에 설치된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봉부재;를 구비하는 저장탱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ner horizontal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posing wall portion;
The inner horizontal reinforcement,
A horizontal plate fixed to the first panel means of the opposite wall portion; And,
A storage tank having a; horizontal bar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plates installed on the opposite wall portion.
상기 벽체부의 외측에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패널수단을 지지하는 외부수직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는 상기 제1 패널수단의 패널본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수직보강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The method of claim 12,
It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wall portion, the outer vertical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the first panel means; further comprises,
The horizontal plate is a stora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external vertical stiffener with the panel body of the first panel means therebetween.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장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내부수직보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수직보강재는,
상기 바닥부 또는 상기 천장부의 패널수단에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 및,
대향되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천장부에 설치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봉부재;를 구비하는 저장탱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ner vertical reinforcement to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ceiling portion,
The inner vertical reinforcement,
A vertical plate fixed to the floor or ceiling panel means; And,
A storage tank having; a vertical rod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opposed bottom portion and the vertical plate installed on the ceil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85408A KR102098025B1 (en) | 2018-07-23 | 2018-07-23 | Storage t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85408A KR102098025B1 (en) | 2018-07-23 | 2018-07-23 | Storage tank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10842A KR20200010842A (en) | 2020-01-31 |
| KR102098025B1 true KR102098025B1 (en) | 2020-05-26 |
Family
ID=6936943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85408A Active KR102098025B1 (en) | 2018-07-23 | 2018-07-23 | Storage tan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9802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31345B1 (en) * | 2021-11-09 | 2022-08-11 | (주)엔아이씨이 | Water STorage Tank for Earthquake-proof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Tan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776427A (en) * | 2020-07-05 | 2020-10-16 | 无锡市华跃金属科技有限公司 | A special ground placement cabinet for early warning aircraft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70441Y1 (en) | 1999-09-08 | 2000-02-15 | 한치근 | Assembling water tank using stainless steel |
| KR101612081B1 (en) * | 2015-11-13 | 2016-04-12 | 박연우 | Prefabricated tanks formed of a plurality of channel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44121Y1 (en) | 1998-10-20 | 2002-10-25 | 박현숙 | Assembly device of water supply tank |
| KR100993528B1 (en) * | 2008-03-31 | 2010-11-10 | (주)럭키공조 | Panel structure of prefabricated water tank |
-
2018
- 2018-07-23 KR KR1020180085408A patent/KR1020980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70441Y1 (en) | 1999-09-08 | 2000-02-15 | 한치근 | Assembling water tank using stainless steel |
| KR101612081B1 (en) * | 2015-11-13 | 2016-04-12 | 박연우 | Prefabricated tanks formed of a plurality of channel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31345B1 (en) * | 2021-11-09 | 2022-08-11 | (주)엔아이씨이 | Water STorage Tank for Earthquake-proof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Tank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10842A (en) | 2020-01-3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83762B1 (en) | Water tank with seismic function reinforced outside | |
| KR101238030B1 (en) | Water Tank having a Reinforcement Frame Assembly | |
| KR101640229B1 (en) | The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n internal non-reinforcement and water breaker device | |
| KR101238031B1 (en) | Reinforcement Frame Assembly for water tank | |
| KR102098025B1 (en) | Storage tank | |
| US10400450B2 (en) | Deck panel for construction | |
| KR102638239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using guide-pin | |
| KR20190007264A (en) | A seismatic structure of assembly-type water tank | |
| KR100821972B1 (en) | Prefabricated water tank with ex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 |
| KR101321497B1 (en) | Fabricated water tank | |
| KR101760763B1 (en) | Seismic features with collapsible water tanks | |
| KR101321498B1 (en) | Fabricated water tank | |
| KR100878184B1 (en) | Foundation frame for water tank | |
| KR100841251B1 (en) | Storage tank | |
| KR101613280B1 (en) | Prefabricated water tank | |
| JP5128313B2 (en) | Unit building | |
| KR100878183B1 (en) | Foundation frame for water tank | |
| JP5371390B2 (en) | Building unit reinforcement structure and unit building | |
| KR20180047720A (en) | Water tank structure having easy assembling and improving earthquake-proof efficiency | |
| KR20250006587A (en) | Water Tank with Horizontal Waveform Panel | |
| KR20250006586A (en) | Water Tank with Horizontal Waveform Panel | |
| KR19980061672U (en) | Water Storage Tank Using Square Panel | |
| KR101465239B1 (en) | A foundation supporting apparatus for storehouse | |
| JPS5931597Y2 (en) | Lower stator of internal column in panel aquarium | |
| KR100820925B1 (en) | Turnbuckle coupling structure of large capacity water tank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