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8177B1 -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 Google Patents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177B1
KR102098177B1 KR1020180104532A KR20180104532A KR102098177B1 KR 102098177 B1 KR102098177 B1 KR 102098177B1 KR 1020180104532 A KR1020180104532 A KR 1020180104532A KR 20180104532 A KR20180104532 A KR 20180104532A KR 102098177 B1 KR102098177 B1 KR 102098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nformation
individual
door
dou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5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6511A (en
Inventor
김창수
정성호
이광복
정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80104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177B1/en
Publication of KR2020002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5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17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보안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일면이 개구되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가 구획되어 이중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금고본체; 상기 이중수납공간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1락킹부가 구비되는 이중도어; 상기 금고본체의 개구된 일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외부도어; 상기 외부도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2락킹부가 구비되는 전자락; 상기 외부도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도어 및 상기 이중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식별번호데이터 및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된 제1기억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락킹부 및 상기 제2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구비된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매칭되는 개별식별정보가 기저장되는 제2기억장치가 구비되는 지문모듈을 포함하는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를 제공한다. In order to improve security and ease of u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 body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an inside of the storage space is partitioned to form a double storage space; A double door having a first lock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ouble storage space; An external do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afe body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 electronic lock provided on the external door and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xternal door; The first memory device is provided in the external door,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memory device in which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for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door and the double door are pre-stored, and the first locking part and the second A control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an ope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locking units; And a fingerprint modul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the fingerprint module including a second memory device in which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pre-stored. Provides a smart double safe used.

Description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본 발명은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with improved security and usability.

일반적으로 금고장치는 귀중품 또는 보안이 요구되는 서류, 금전 등과 같은 사유물에 대한 보관을 목적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금고장치에는 외부인이 쉽게 열 수 없도록 열쇠나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도어를 잠금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Generally, a safe device is used for the storage of valuables or private items such as documents and money that require security. Such a safe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k that locks the door according to the input of a key or password so that an outsider cannot easily open it.

여기서, 종래의 금고장치는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의 외측부에 열쇠식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열쇠를 통해 금고장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귀중품 및 금전 등을 보관하였다.Here, the conventional safe device is provided with a key-type lock on the outside of the door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afe device through the key to store valuables and money.

그러나, 열쇠식 금고장치는 열쇠 분실 또는 손실시 금고장치를 개폐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열쇠를 복사만 하면 누구나 쉽게 금고장치를 개폐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밀번호 버튼식 등의 잠금장치가 구비된 금고장치가 개발되었다.  However, the key-type vault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when the key is lost or lost, the vault device cannot be opened and closed, and anyone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vault device by simply copying the ke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afe device having a locking device such as a password button type has been developed.

한편, 종래의 금고장치에는 금고 도어가 개방되면 금고 내부에 형성된 귀중품 수납공간의 크기에 비례하여 귀중품과 현금이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금고장치는 침입자에 의해 금고가 개방되는 경우 금고 안에 보관된 귀중품이 그대로 육안으로 노출되므로 금고사용자의 재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safe device, when the safe door is opened, valuables and cash can be stor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valuables storage space formed inside the safe. When the safe is opened by an intruder, such a safe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valuables stored in the safe cannot be effectively protected because the valuables stored in the safe are exposed to the naked ey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침입자가 예상할 수 없는 금고 내부에 비밀의 저장공간을 확보하여 금고 사용자의 재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금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o solve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afe that can effectively protect the property of a safe user by securing a secret storage space inside the safe that an intruder cannot predict.

그러나, 비밀 저장공간은 발견이 어렵지만 한번 발견된 이후에는 비밀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밀저장 공간은 기존의 일반 금고장치와 동일한 잠금 방식으로 잠금되는 경우 잠금 해제가 용이하여 보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ecret storage space is difficult to find, but once fou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secret storage space. In addition, when the secret storage space is locked by the same locking method as the existing general safe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ecurity is deteriorated due to easy unlocking.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5337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5337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안성 및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to improve the security and ease of us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이 개구되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가 구획되어 이중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금고본체; 상기 이중수납공간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1락킹부가 구비되는 이중도어; 상기 금고본체의 개구된 일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외부도어; 상기 외부도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2락킹부가 구비되는 전자락; 상기 외부도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도어 및 상기 이중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식별번호데이터 및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된 제1기억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락킹부 및 상기 제2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구비된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매칭되는 개별식별정보가 기저장되는 제2기억장치가 구비되는 지문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번호데이터 및 상기 개별식별정보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 및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와 비교 매칭되는 개별지문정보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이중도어 및 상기 외부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과 회로 연결되며, 상기 개별식별정보는 각 상기 지문모듈마다 개별로 상이하게 구비되되, 상기 식별번호데이터는 상기 개별식별정보와의 비교 매칭을 위해 상기 제어부에 등록 및 기저장된 데이터 집합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억장치에는 금고사용자의 지문정보가 데이터화된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지문모듈에는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되도록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된 상기 지문모듈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접촉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비교 대조되되,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지문인증데이터 및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비교 대조되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대응되는 개방신호가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중도어의 제1락킹부 및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제2마스터사용자정보, 제1일반사용자정보, 제2일반사용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제2마스터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중도어의 제1락킹부 및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에 개방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며,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제1일반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에 개방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제2일반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중도어의 제1락킹부에 개방신호가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 body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one surface is opened,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is divided to form a double storage space; A double door having a first lock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ouble storage space; An external do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afe body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 electronic lock provided on the external door and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xternal door; The first memory device is provided in the external door,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memory device in which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for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door and the double door are pre-stored, and the first locking part and the second A control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an ope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locking units; And a fingerprint modul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wherein a second memory device in which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pre-stored is provided. Sequentially compares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that is compared and matched with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to selectively open an ope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double door and the external door.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is circuit-connected to transmit,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fingerprint module,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registered and registered with the control unit for comparison and matching with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rovided as a collection of stored data, and the first storage device has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vault user.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which is data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fingerprint module is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so that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obtained, and when the fingerprint module obtained with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contacts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the fingerprint Whe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contrasted by a module identification means,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are compared by the fingerprint module identification means. In contrast, if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n ope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among the first locking portion of the double door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external door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It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It includes any one of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and when the second fingerprint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the first locking part of the double door and the second locking part of the external door are opened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simultaneously and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external door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and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Provides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of the double door.

여기서,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마스터사용자정보 및 일반사용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마스터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중도어의 제1락킹부 및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에 개방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며,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일반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에 개방신호가 전송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f the master user information and the general user information, and when the master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the first locking unit and the external door of the double door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 signal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and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s general user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external door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된 휴대용 지문모듈 및 전자락 간의 접촉을 통해 지문 인증된 각 금고사용자마다 상이한 금고사용권한이 부여되어 이중도어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므로 보안성 및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First, the security and convenience of use can be remarkably improved since a double door is selectively opened because each safe user who is fingerprint-authenticated through contact between a portable fingerprint module equipp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an electronic lock is selectively opened. .

둘째, 상기 지문모듈이 상기 전자락에 접촉시 기등록된 시리얼번호 데이터 및 기등록된 지문정보가 동시에 일치되는 경우에만 도어가 개방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시리얼번호 및 지문 중 어느 하나의 수단만으로 상기 외부도어 및 상기 이중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Second, when the fingerprint module contacts the electronic lock, the door is opened only when the pre-registered serial number data and pre-registered fingerprint information coincide at the same time. Since the opening of the door and the double door is prevented,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셋째, 상이한 개별지문정보가 포함된 지문모듈을 소지한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일반 금고사용자가 동시에 금고 사용을 위한 인증절차를 거치는 경우에 상기 외부도어 및 상기 이중도어 전체가 개방되므로 독단적인 행동에 의해 상기 이중도어의 개방이 방지되어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Third, when at least two or more normal vault users who have fingerprint modules containing different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go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using the vault at the same time, the entire external door and the double door are opened. The opening of the double door is prevented, and the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외부도어 및 이중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외부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전자락 및 지문모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제어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낸 흐름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door and the double door of the smart double safe using the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pened.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external door of the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lectronic lock and the fingerprint module of the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외부도어 및 이중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외부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전자락 및 지문모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door and a double door of a smart double safe are open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mart devic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xternal door of the double safe is open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inger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lectronic lock and the fingerprint module of the smart double safe using the module,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mart double safe using the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100)는 금고본체(10), 이중도어(20), 외부도어(30), 전자락(40), 지문모듈(50), 그리고 제어부(60)를 포함한다. 1 to 5, the smart double safe 100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 body 10, a double door 20, an external door 30, an electronic lock ( 40), a fingerprint module 50, and a control unit 60.

먼저, 상기 금고본체(10)는 일면이 개구되되 내부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부가 구획되어 이중수납공간(1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은 상기 금고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이중도어(20)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First,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 body 10 has one surface open, but a storage space 11 is formed therein, and an interior of the storage space 11 is divided to form a double storage space 12. Here, the double storage space 1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safe body 10, but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space selectively partitioned from the storage space 11 by the double door 20.

여기서, 상기 금고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되 귀중품, 보안서류, 약품류 등의 금고수용물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도난/파손 등으로부터 보호 및 보존될 수 있도록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afe body 10 is formed so that the receiving space 11 is formed therein, so that valuables such as valuables, security documents, and chemicals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o that they can be protected and preserved from theft / damage.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strength and durability.

그리고, 상기 금고본체(10)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귀중품, 보안서류, 약품류 등 금고수용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11)에는 상기 금고수용물이 수용되도록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선반 내지는 서랍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fe body 10 has an opening formed on one surface, and a storage space 11 for storing valuables, such as valuables, security documents, and medicines, is provided inside the opening. Here, the storage space 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efabricated shelf or drawer device that is adjustable in height to accommodate the safe storage.

또한,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은 상기 수납공간(11)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되, 상기 수납공간(11)에 보관되는 상기 금고수용물과는 별개의 제2금고수용물이 보관되도록 상기 수납공간(11) 내부가 구획된 상기 금고본체(10)의 어느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금고수용물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귀중품, 보안서류, 약품류 등을 포함하는 금고수용물 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상기 금고수용물과는 별도로 보관되는 수용물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ouble storage space 12 is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the storage space 11, the storage space so that a second storage box is stored separately from the safe storag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11)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is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safe body 10 in which the inside is divided. At this time, the second safe deposit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safe deposits containing valuables, security documents, drugs, etc. by the user, so it is preferable to mean the storages separately from the safe deposits. Do.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은 상기 수납공간(11)에 구비된 선반의 상측에 형성됨으로 도시 및 설명된다. 이때,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은 상기 수납공간(11)에 구비된 선반의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Here, referring to FIG. 1, the double storage space 12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an upper side of a shelf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 At this time, the double storage space 12 may be formed under the shelf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은 상기 수납공간(11)과 연통되되,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수납공간은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 중 하면 일측에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중수납공간은 상기 수납공간(11)의 하면 일측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11)의 하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 중 측면부에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n some cases, the double storage space 12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pace 11, but may be recessed in an outward direction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storage space 11. Here, the double storage space may be recess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At this time, the double storage space may be recess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and in some cases,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storage space 11 of the It is also possible to be recessed in the outer side por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한편, 상기 이중도어(20)는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을 커버하여 상기 수납공간(11) 및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을 구획하되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수납공간(11) 및 상기 이중수납공간(12) 사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중도어(20)는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의 형성 개수에 대응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uble door 20 covers the double storage space 12 to divide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double storage space 12 but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space 11 and the double storage It is provided between the spaces (12). Here, the double door 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formation of the double storage space 12.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이 상기 수납공간(11)에 구비된 선반의 상측에 형성된 경우에 상기 이중도어(20)는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중도어(20)의 일측 테두리가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에 힌지 연결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중도어(20)가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개폐될 수 있다.1 to 2, when the double storage space 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elf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11, the double door 20 is located in the area of the double storage space 12.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in a corresponding size. At this time, one edge of the double door 20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by a hinge connection or the like, so that the double door 20 is selectively rotated and opened and closed.

그리고, 상기 이중도어(20)의 개폐를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송신되는 개방신호가 발생시 상기 이중도어(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중도어(20)가 닫힘 상태인 경우 상기 이중도어(20)는 손잡이 등이 구비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중도어(20)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외력을 통한 강제 개방이 실질적으로 어려우므로 보안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a driving moto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uble door 2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is time, the driving mo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ouble door 20 when an ope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60 occurs. Accordingly, when the double door 20 is in the closed state, the double door 20 may be selectively opened through the driving motor (not shown) even when a handle or the like is not provided. Therefore, when the double door 20 is in a closed state, forcibly opening through external force is substantially difficult, so security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이중도어(20)의 상기 이중수납공간(12)측을 향하여 배치된 타면에는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해 상기 금고본체(10)의 내부 일측에 걸림 잠금되는 제1락킹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ther side disposed toward the double storage space 12 side of the double door 20 is locked to the inner side of the safe body 10 for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uble storage space 12 One locking portion 21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1락킹부(21)는 상기 이중도어(2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상기 이중도어(20)에 설치되는 잠금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1락킹부(21)는 상기 이중도어(20)의 측면부 및 내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되 잠금삽입홈이 형성되는 잠금몸체와, 상기 잠금삽입홈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원주 형상 등으로 구비되는 상기 걸림락킹부와, 상기 걸림락킹부가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locking portion 21 means a locking device installed on the double door 20 so that the double door 20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t this time, the first locking portion 21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ide and inner surfaces of the double door 20, the locking body is formed with a locking insertion groove, and to be selectively inserted and withdrawn from the locking insertion groove The locking locking part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and the driving motor (not shown) provided to drive the locking locking par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제1락킹부(21)는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상기 이중도어(20)에 송출되는 개방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이중도어(20)가 개방되도록 상기 전자락(40)에 회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이중도어(20)의 외부에 상기 외부도어(30)에 구비된 상기 전자락(40)과는 별도로 제2전자락(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락킹부(21)와 회로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전자락(미도시)는 후술되는 상기 전자락(40)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locking unit 21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lock 40 so that the double door 20 is opened in response to an ope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60 to the double door 20. have. Of course, a second electromagnetic lock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lectronic lock 40 provided on the external door 30 outside the double door 20, depending on the case. 2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second electronic lock (not shown) is provid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lectronic lock 40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11)으로 노출된 상기 이중도어(2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이중도어(20)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uble door 20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ouble door 20 exposed to the storage space 11.

물론, 경우에 따라 이중수납공간이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경우에는 이중도어의 상기 수납공간(11)측으로 노출된 일면이 상기 이중도어가 닫힘 상태인 경우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중도어에 기설정된 무게 이상의 금고수용물이 배치된 경우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의 오작동에 의한 고장이 방지되도록 상기 이중도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금고수용물 배치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신호를 전송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중도어는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므로 침입자가 상기 이중수납공간의 존재여부를 모르는 경우에 단순한 내벽면으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개선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double storage space is recessed in an outward direction on at least one of the inner wall surfaces of the storage space 11, the double door is closed on one side exposed to the storage space 11 of the double door. In this case, it may be formed of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At this time, when the safe container having a weigh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weight is disposed on the double door, it is detected whether or not the safe container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ouble door so as to prevent failure due to malfunction of the driving motor (not shown). A sensing sensor (not shown)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60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ly, since the double door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security can be improved because an intruder may be mistaken for a simple inner wall surface if the user does not know whether the double storage space exists. Can be.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이중수납공간이 상기 수납공간(11)의 어느 일측에 함몰 형성된 경우, 상기 이중도어가 슬라이드 개폐되도록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의 측면부 일측에 상기 이중도어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는 슬라이드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중도어가 상기 슬라이드삽입홈(미도시)에 삽입 및 인출되도록 상기 이중도어의 어느 양측면에 가이드레일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중도어가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삽입홈(미도시)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이중수납공간(12)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중수납공간이 상기 수납공간(11)의 하면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이중도어의 일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으로 이용되되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ome cases, when the double storage space is recess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space 11, the size and shape of the double door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double storage space 12 is such that the double doors slide open and close. A corresponding slide insertion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is time, guide rails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double door so that the double door is inserted and withdrawn from the slide insertion groove (not shown). Accordingly, the double storage space 12 may be opened and closed as the double door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lide insertion groove (not shown) by the driving motor (not shown). In addition, when the double storage space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one surface of the double door is substantially used as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 but provides a function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You can.

한편, 상기 외부도어(30)는 상기 금고본체(10)의 개구된 일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부도어(30)는 상기 수납공간(11)의 개구 테두리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힌지식, 상기 금고수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1)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서랍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부도어(30)는 힌지식으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rnal door 30 is provided on an opened surface of the safe body 10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e external door 30 may be provided with a hinged type connected to an opening rim of the storage space 11 and rotated, a drawer type slide-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 in the state in which the safe deposit is stored, and the like.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oor 30 is preferably understood a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a hinged manner.

그리고, 상기 외부도어(30)는 상기 금고본체(10)와 동일하게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도어(30)는 상기 금고본체(10)의 개구부와 접하는 일측 테두리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연결되어 구비되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외부도어(30)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부(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uter door 3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the same high strength and durability as the safe body 10. Here, the outer door 30 is provided with a hinged connection so as to be rotated based on a rim of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opening of the safe body 10, and on the outer side, a handle portion 3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er door 30 is provided. ) Is preferably provided.

또한, 상기 외부도어(30)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도어(30)의 개폐를 제한하도록 선택적으로 상기 금고본체(10)의 내부 일측에 걸림 잠금되는 제2락킹부(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locking portion 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door 30 to selectively lock and lock on the inner side of the safe body 10 so as to limit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ternal door 30. .

여기서, 상기 제2락킹부(31)는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금고본체(10)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상기 외부도어(30)의 개폐를 제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Here, the second locking portion 31 is install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outer door 30 and the safe body 10 means a device that limi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er door 30 do.

이때, 상기 제2락킹부(31)는 상기 외부도어(30)의 측면부 및 내면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되 잠금삽입홈이 형성되는 잠금몸체와, 상기 잠금삽입홈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원주 형상 등으로 구비되는 상기 걸림락킹부와, 상기 걸림락킹부가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잠금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locking portion 31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door 30, but the locking body is formed with a locking insertion groove, and to be selectively inserted and withdrawn from the locking insertion groove The locking locking part provid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or the like and a locking motor (not shown) provided to drive the locking locking par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제2락킹부(31)는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상기 외부도어(30)에 송출되는 개방신호에 대응되어 상기 외부도어(30)가 개방되도록 상기 전자락(40)에 회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locking unit 31 may be circuit-connected to the electronic lock 40 so that the external door 30 is opened in response to an ope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60 to the external door 30. have.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락(40)은 상기 외부도어(30)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2락킹부(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s 3 to 4, the electromagnetic lock 4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door 30, the second locking unit 31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xternal door is provided. desirable.

또한, 상기 외부도어(30)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식별번호데이터 및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된 제1기억장치(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락킹부(21) 및 상기 제2락킹부(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제어부(60) 및 상기 제어부(60)와 회로 연결되는 지문모듈인식수단(41)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first memory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external door 30, in which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for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are pre-stored City) is provided, the first locking unit 21 and the second locking unit 31, the control unit 60 and the control unit 60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 open signal to the circuit is connected to the circui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전자락(40)은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과, 디스플레이부(42)와, 버튼부(43)와, 전원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은 식별번호데이터 및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되어, 개별식별정보 및 개별지문정보가 저장된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접촉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electronic lock 40 may include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a display unit 42, a button unit 43, and a power supply unit 44. In detail,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stores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so that the fingerprint module 50 storing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contacts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t is preferably provided.

여기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는 상기 전자락(40)의 일측에 상기 지문모듈(5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문모듈(5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함몰 형성되는 삽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함몰 형성된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는 상기 지문모듈(50)의 커넥터부(52)와 접촉되는 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은 상기 제1락킹부(21) 및 상기 제2락킹부(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제어부(60)에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that is recess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ngerprint module 50 so that one end of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electronic lock 40. Can be. At this time, a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or portion 52 of the fingerprint module 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cessed recess. In addition,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s preferably circuit-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an ope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king unit 21 and the second locking unit 31 Do.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은 상기 지문모듈(50)과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사용되도록 상기 삽입구 대신에 평판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평판부 내부에 RF 통신을 위한 모듈인식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 및 상기 지문모듈(50) 간에 전자기 방식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s provided with a flat plate portion (not shown) instead of the insertion hole to be used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the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with the fingerprint module 50, the flat plate portion A module recognition unit (not shown) for RF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inside, and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n electromagnetic manner between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and the fingerprint module 50.

그리고,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는 상기 개별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상기 개별지문정보 및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의 비교를 위해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되도록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기억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은 상기 지문모듈(5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제1기억장치(미도시)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flash memory so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re pre-stored for comparison of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The first memory device (not shown) provided with the like may be provid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s understood as a concept encompassing an insertion hole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ngerprint module 50 and the first memory device (not shown).

여기서, 상기 개별식별정보는 각 상기 지문모듈(50)마다 개별로 상이하게 구비되는 시리얼번호 데이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상기 지문모듈(50)을 통해 획득 또는 기저장된 각 금고사용자의 개별 지문(f)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serial number data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fingerprint module 50,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obtained or previously stored through the fingerprint module 50 for each safe user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e data including the individual fingerprint (f) information of.

또한, 상기 식별번호데이터는 각 상기 지문모듈(50)마다 개별로 상이하게 구비되는 상기 개별식별정보와의 비교 매칭을 위해 등록 및 기저장된 데이터 집합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문인증데이터는 모든 금고사용자의 개별지문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 개별지문정보와의 비교 매칭을 위해 등록 및 기설정된 데이터의 집합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는 상기 제어부(60)에 기저장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preferably understood as a collection of registered and pre-stored data for comparison matching with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fingerprint module 50, an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is all safe As a concept including the user's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it as a collection of registered and preset data for comparison matching with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Of course, in some cases,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may be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60.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개폐안내정보 및 숫자가 표시되도록 FND(flexible numeric disply)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안내정보는 상기 이중도어(20) 및 상기 외부도어(30)의 개방시 표시되는 개방표시정보와, 암호의 일치 및 불일치시 표시되는 암호입력결과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금고사용자가 상기 전자락(40)을 조작함에 따라 도출되는 각종 결과가 상기 개폐안내정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2)에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42 may be provided with a flexible numeric disply (FND) or the like to display opening and closing guide information and numbers. Here, the opening / closing guide information may include open display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double door 20 and the external door 30 are opened, and password input result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password is matched or disagreeed. Through this, various results derived as the safe user operates the electronic lock 4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2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guide informa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2)에는 상기 버튼부(43)의 숫자 입력에 따른 입력된 숫자값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고사용자가 상기 전자락(40)을 조작함에 따라 도출되는 각종 결과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2)에 도시되므로 금고사용자가 금고의 각종 상태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Also, an input numeric value according to a numeric input of the button unit 43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2. Accordingly, since various results derived from the safe user operating the electronic lock 40 are shown on the display unit 42, the user of the safe can easily grasp the various statuses of the saf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You can.

그리고, 상기 버튼부(43)는 디지타이저, 기계식 버튼, 다이얼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금고사용자에 의해 터치, 가압, 회전 등의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43)에 입력된 비밀번호, 패턴 등의 개방신호정보에 따라 상기 제2락킹부(31)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가 전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utton unit 43 may be provided with a digitizer, a mechanical button, a dial, and the like, and may be operated by a safe user in a manner such as touch, pressure, rotation. Here,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of the second locking part 31 may be switched according to the open signal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or pattern input to the button part 43.

여기서, 상기 버튼부(43)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폐하기 위해 비밀번호와 비교 매칭되는 비밀번호인증정보가 상기 전자락(40) 또는 상기 제어부(60)에 기저장될 수 있다. Here, in order to open and close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ssword input through the button unit 43,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password is compared to the electronic lock ( 40) or pre-stored in the controller 60.

이에 따라, 금고사용자가 상기 버튼부(43)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비밀번호와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가 비교 매칭되고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응되어 상기 외부도어 및 상기 이중도어(20)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도록 개방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중도어(20)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 및 상기 외부도어(30)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되어 입력된 비밀번호에 대응되는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when the user of the safe enters the password through the button unit 43, the password and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matched, 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ssword, one of the external door and the double door 20 is opened. The open signal can be transmitted as much as possible. That is, the password for opening the double door 20 and the password for opening the external door 30 are set differently, so that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ssword can be open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is maintained when the input password does not match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접촉되어 후술되는 인증절차를 거쳐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가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부(43)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절차를 거쳐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가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술된 두 가지 인증절차를 모두 만족시에만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가 개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Here,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may be opened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described below, the button unit 43 ),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may be opened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through a password input. In addition,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may be opened only when both authentication procedures described above are satisfied.

또한, 상기 버튼부(43)의 내측에 백라이트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전자락(40)에 접촉되어 인증되거나, 상기 버튼부(43)의 버튼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는 경우 상기 전자락(40)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백라이트부(미도시)가 작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a backlight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button unit 43. Accordingly, when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authenticated by contact with the electronic lock 40, or when one of the buttons of the button 43 is operated, the backlight unit is activated as the electronic lock 40 is activated. (Not shown) can be activated.

그리고, 상기 전원부(44)는 상기 전자락(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건전지 등이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전원부(44)는 집 또는 사무실 등에 배치된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콘센트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태양광 패널 등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44 may be provided with a built-in battery or the like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onic lock 40. Of course, in some cases, the power source 44 may be provided as an outlet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disposed in a house or office, or may be provided connected to a solar panel.

한편, 상기 지문모듈(50)은 상기 제어부(60)에 회로 연결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접촉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매칭되는 개별식별정보가 기저장되며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와 매칭되는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to be selectively connected or contacted to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circuit-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It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stored and matches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여기서, 상기 지문모듈(50)은 휴대용 카드 또는 열쇠고리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에 IC(integrated circuit) 칩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 등으로 구비되는 상기 커넥터부(52)가 설치되어 접속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RF(radio frequency) 통신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문모듈(50)의 일단부가 삽입구 형태로 함몰 형성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부(52)가 상기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문모듈(50)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부(52)가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형성된 상기 접속단자(미도시)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전자락(4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활성화라 함은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시작되기 위한 준비단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고 도어라 함은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ngerprint module 50 may be provided with a portable card or a key ring, and the connector portion 52 provided with an integrated circuit (IC) chip or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or is installed on one side. It may be used as a connection type, or may be provided to be used non-contactly throug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 this case, one end of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inserted into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formed in the form of an insertion hole, so that the connector 52 may contact the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Accordingly, the electronic lock 40 may be activated as the connector portion 52 formed on the fingerprint module 50 contacts the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formed on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at activation is a preparation step for starting an algorithm for opening a safe door.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safe door is meant to encompass the outer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이 RF 통신을 통한 비접촉식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의 평판부(미도시)에 근접하게 접근됨에 따라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모듈인식부(미도시)과 전자기적 반응을 통해 동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when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s provided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RF communication,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approached to a flat portion (not shown) of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Accordingly, the fingerprint module 50 may be provided to operate through an electromagnetic reaction with the module recognition unit (not shown).

그리고, 상기 지문모듈(50)은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과의 연결을 매개하는 상기 커넥터부(52)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와 비교 매칭되는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되도록 구비되는 지문인식센서(51)와, 상기 지문모듈(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모듈(50)은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기저장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저장되도록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비되는 제2기억장치(미도시)와, 상기 지문모듈(50)에 입력되는 각종 신호 송수신 등을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hat is provided so that the connector unit 52 for mediating the connection with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that is compared and matched with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is obtained. 51 and a batter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ngerprint module 50. In addition,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a second memory device (not shown) provided with a flash memory or the like so that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stored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input to the fingerprint module 50. A module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various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지문인식센서(51)는 상기 지문모듈(50)의 타측에 구비되되, 금고사용자의 지문(f)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지문(f) 정보가 획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고사용자의 지문(f)이 상기 지문인식센서(51)에 접촉되면 상기 지문(f)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상기 지문모듈(5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상기 지문인식센서(51)에 금고사용자의 지문(f)이 접촉됨에 따라 지문(f)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저장된 데이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ngerprint module 50, it may be provided to obtain the fingerprint (f) information as the fingerprint (f) of the vault user is contacted. Accordingly, when the fingerprint (f) of the vault user contact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the fingerprint (f) information may be dataized and stored in the fingerprint module 50. That is, as the fingerprint (f) of the vault user contact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gerprint (f)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data and stored.

이때, 상기 지문모듈(50)은 금고사용자의 지문(f)이 상기 지문인식센서(51)에 접촉되는 순간에만 금고사용자의 지문(f) 정보가 포함된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지문모듈(50)에는 하나의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되어 기저장된 상태로 구비되는 구성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ingerprint module 50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ing the fingerprint (f) information of the vault user only when the vault user's fingerprint (f) contact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have. Of course, in some cases, the fingerprint module 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obtained and provided in a pre-stored state.

이에 따라, 상기 지문인식센서(51)가 구비된 상기 지문모듈(50)이 휴대용으로 구비되어 금고사용자가 금고를 이용시에만 사용될 수 있으며, 침입자가 금고사용자의 지문(f)을 획득한 경우에도 시리얼번호 데이터를 포함한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금고를 개방할 수 없으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ngerprint module 50 equipped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is provided as a portable device so that a safe user can use it only when using a safe, even when an intruder acquires the fingerprint f of the safe user. Since the device including the number data is not provided, the security cannot be opened, so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여기서,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등록 제10-1882195호) '지문인식 전자카드의 제조방법'에는, 전자카드에 지문인식센서가 탑재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Here, the conventional 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882195) 'Fingerprint Recognition Electronic Card Manufacturing Method' discloses that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is mounted on an electronic car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한편,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식별번호데이터 및 상기 개별식별정보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 및 상기 개별지문정보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이중도어(20) 및 상기 외부도어(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과 회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금고본체(10)의 내부 일측 또는 상기 전자락(4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60 sequentially compares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double door 20 and the external door 30 In order to selectively transmit an open signal,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may be provided in circuit connection. Here, the control unit 60 may be disposed on one inner side of the safe body 10 or on one inner side of the electronic lock 40.

그리고,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을 거쳐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상기 이중도어(20) 및 상기 외부도어(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개방신호가 전송되면, 개방신호가 전송된 상기 이중도어(20)를 개폐하는 상기 구동모터(미도시) 또는 제1락킹부(21), 및 개방신호가 전송된 상기 제2락킹부(31)의 걸림락킹부를 개폐하는 잠금모터(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동작됨에 따라 상기 이중도어(20) 및 상기 외부도어(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될 수 있다.Then, when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double door 20 and the external door 30 from the control unit 60 via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the double door to which the open signal is transmitted At least one of the driving motor (not shown) or the first locking part 21 that opens and closes (20), and a locking motor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locking part of the second locking part 31 to which the open signal is transmitted. As either one is operated, at least one of the double door 20 and the outer door 30 may be opened.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기저장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된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식별번호데이터 및 상기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접촉된다(s10).As illustrated in FIG. 6,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re pre-stored by the fingerprint module 50 in which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stored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obtained Contact (s10).

여기서,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접촉된다 함은 삽입식 또는 접촉식 등으로 구비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상기 지문모듈(50)이 삽입 또는 접촉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inserted or contacted with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provided with an insertion type or a contact typ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그리고, 상기 지문모듈(50)에 구비된 상기 지문인식센서(51)에 금고사용자의 지문(f)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지문(f) 정보가 데이터화된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모듈(50)에 저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n, as the fingerprint (f) of the safe user contact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provided in the fingerprint module (50),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 which the fingerprint (f) information is data is the fingerprint module (50). Steps to be stored in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개별식별정보는 각 상기 지문모듈(50)마다 개별로 상이하게 구비되는 시리얼번호 데이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상기 지문모듈(50)을 통해 획득 또는 기저장된 각 금고사용자의 개별 지문(f)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serial number data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fingerprint module 50,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obtained or previously stored through the fingerprint module 50 for each safe user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e data including the individual fingerprint (f) information of.

또한,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마스터사용자정보 및 일반사용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문인식센서(51)에 금고사용자의 지문(f)이 접촉됨에 따라 마스터사용자 및 일반사용자가 포함된 상기 금고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모듈(50)에 저장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마스터사용자 및 일반사용자가 포함된 상기 금고사용자에 대응되는 데이터화된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모듈(50)에 기저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s one of master user information and general user information. That is, as the fingerprint (f) of the safe user contact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it is understood that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afe user including the master user and the general user is stored in the fingerprint module 50. This is preferred. Of course, in some cases,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which is data corresponding to the safe user including the master user and the general user, may be pre-stored in the fingerprint module 50 and provided.

그리고, 상기 식별번호데이터는 각 상기 지문모듈(50)마다 개별로 상이하게 구비되는 상기 개별식별정보와의 비교 매칭을 위해 등록 및 기저장된 데이터 집합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문인증데이터는 모든 금고사용자의 개별지문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상기 개별지문정보와의 비교 매칭을 위해 등록 및 기설정된 데이터의 집합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understood as a collection of registered and pre-stored data for comparison matching with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vided separately for each fingerprint module 50, an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is all safes. As a concept including the user's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it as a collection of registered and preset data for comparison matching with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한편,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접촉되면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11)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a step (s11)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변번호데이터와 불일치되는 경우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종료된다.Here,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that is,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the algorithm for opening the safe door ends.

이에 따라, 상기 지문인식센서(51)가 구비된 휴대용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전자락(40)과 별도로 구비되므로 침입자가 금고사용자의 지문(f) 정보를 획득하더라도 기등록된 식별번호데이터에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의 개방이 방지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전자락(40)에 기등록된 시리얼번호 데이터 및 기등록된 지문(f) 정보와 동시에 일치되는 경우에 금고 도어가 개방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시리얼번호 및 지문(f)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수단만으로 금고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portable fingerprint module 50 provided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lectronic lock 40, even if an intruder acquires fingerprint (f) information of the vault user, the previously registered identification number data If it does not match, the opening of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is prevented, and thus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That is, when the fingerprint module 50 coincides with the pre-registered serial number data and the pre-registered fingerprint (f) information in the electronic lock 40, the serial number and fingerprint is a double security structure in which the safe door is opened. (f) Since the opening of the safe door is prevented by only one means of information,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에 포함되는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12)가 수행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버튼부(43)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된 비밀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가 비교 대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마스터사용자정보인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13)가 수행되되,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는 상기 외부도어(30)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와 상기 이중도어(20)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 및 저장될 수 있으며, 통합된 비밀번호로 설정 및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문모듈(50)을 통해 시리얼번호 및 지문(f)을 비교 대조하는 인증절차 및 상기 버튼부(43)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절차를 포함하는 삼중 구조의 인증절차를 모두 만족시에만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가 개방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 step (s12)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is performed. In addition, in some cases,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 step of inputting a password through the button unit 43 and a step of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input password and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further included. You may. Here, if the entered password is included in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step (s13)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master user information is performed. If the entered password is not included in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door of the safe is opened. The algorithm for can be terminated. At this time,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set and stored differently for the password for opening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password for opening the double door 20, and may be set and stored as an integrated password. have. Accordingly,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of the triple structure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omparing and comparing the serial number and the fingerprint (f) through the fingerprint module 50 an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through the password input of the button unit 43 is satisfied. Only when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is opened,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경우에 따라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자락(40)이 활성화되어 상기 버튼부(43)의 내측에 구비된 백라이트부(미도시)가 구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Moreover, in some cases,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the electronic lock 40 is activated to further drive a backlight unit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button unit 43. It may include.

반면,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와 불일치되는 경우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종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the algorithm for opening the safe door ends.

그리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마스터사용자정보인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13)가 수행된다.Then,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 step (s13)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master user information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마스터사용자정보인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마스터사용자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외부도어(30)의 제2락킹부(31) 및 상기 이중도어(20)의 제1락킹부(21)에 개방신호가 동시에 전송된다(s14). Here,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master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matches the master user information, the second locking unit 31 and the double door 20 of the external door 30 The open signal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first locking unit 21 (s14).

반면,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마스터사용자정보가 아닌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마스터사용자정보와 불일치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일반사용자정보인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15)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not the master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master user information, a step (s15)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general user information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일반사용자정보인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일반사용자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외부도어(30)의 제2락킹부(31)에 개방신호가 전송된다(s16). 이때, 상기 이중도어(20)의 제1락킹부(21)가 잠금되어 닫힘 상태가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en,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general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matches the general user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31 of the external door 30 (s16).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first locking portion 21 of the double door 20 is locked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반면,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일반사용자정보가 아닌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일반사용자정보와 불일치되는 경우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종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not the general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general user information, the algorithm for opening the safe door ends.

이에 따라, 마스터사용자정보 및 일반사용자정보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된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접촉되면 각 사용자정보에 대응되는 도어가 개방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ngerprint module 50 in which one of the master user information and the general user information is stored contacts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the door corresponding to each user information is opened,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have.

또한, 상기 지문인식센서(51)가 구비된 휴대용 상기 지문모듈(50) 및 상기 전자락(40) 간의 접촉을 통해 인증된 각 금고사용자마다 상이한 금고사용권한이 부여되어 상기 수납공간(11)의 내벽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된 상기 이중도어(20)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fferent vault user permission is granted to each vault user authenticated through the contact between the portable fingerprint module 50 and the electronic lock 40 provided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so that the storage space 11 of the storage space 11 is provided. Since the double door 20 formed of an inner wall surface and a substantially continuous profile is selectively opened,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의 제어방법의 변형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개별지문정보에 포함되는 제2마스터사용자정보, 제1일반사용자정보, 제2일반사용자정보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modification, the basic configuration excluding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preferably understood 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기저장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된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식별번호데이터 및 상기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접촉된다(s20).As shown in FIG. 7,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stored and the fingerprint module 50 in which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obtained is pre-stor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Contact (s20).

여기서, 상기 지문모듈(50)에 구비된 상기 지문인식센서(51)에 금고사용자의 지문(f)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지문(f) 정보가 데이터화된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모듈(50)에 저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제2마스터사용자정보, 제1일반사용자정보, 제2일반사용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as the fingerprint (f) of the safe user contact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51) provided in the fingerprint module (50),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 which the fingerprint (f) information is data is the fingerprint module (50). Steps to be stored i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case,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any one of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지문모듈(50)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41)에 접촉되면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21)가 수행된다.Then, when the fingerprint module 50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1, a comparison (s21) of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변번호데이터와 불일치되는 경우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종료된다.Here,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that is,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the algorithm for opening the safe door ends.

한편,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에 포함되는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22)가 수행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버튼부(43)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된 비밀번호 및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가 비교 대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마스터사용자정보인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13)가 수행되되,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에 포함되지 않으면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종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밀번호인증정보는 상기 외부도어(30)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와 상기 이중도어(20)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가 각각 상이하게 설정 및 저장될 수 있으며, 통합된 비밀번호로 설정 및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문모듈(50)을 통해 시리얼번호 및 지문을 비교 대조하는 인증절차 및 상기 버튼부(43)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인증절차를 모두 만족시에만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가 개방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 step (s22)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is performed. In addition, in some cases,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 step of inputting a password through the button unit 43 and a step of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input password and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further included. You may. Here, if the entered password is included in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step (s13)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master user information is performed. If the entered password is not included in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door of the safe is opened. The algorithm for can be terminated. At this time, the password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set and stored differently for the password for opening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password for opening the double door 20, and may be set and stored as an integrated password. have. Accordingly,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are satisfied only when both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omparing and comparing the serial number and the fingerprint through the fingerprint module 50 and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through the password input of the button unit 43 are satisfied. Since (20) is open,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더욱이, 경우에 따라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자락(40)이 활성화되어 상기 버튼부(43)의 내측에 구비된 백라이트부(미도시)가 구동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Moreover, in some cases, when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the electronic lock 40 is activated to further drive a backlight unit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button unit 43. It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와 불일치되는 경우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종료된다.Then,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the algorithm for opening the safe door ends.

한편,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마스터사용자정보인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23)가 수행된다.Meanwhile,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 step (s23) of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마스터사용자정보인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마스터사용자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외부도어(30)의 제2락킹부(31) 및 상기 이중도어(20)의 제1락킹부(21)에 개방신호가 동시에 전송된다(s24). Here,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matches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the second locking unit 31 and the double door of the external door 30 An open signal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21 of (20) (s24).

반면,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마스터사용자정보가 아닌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마스터사용자정보와 불일치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1일반사용자정보인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25)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not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that is,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 s25)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1일반사용자정보인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1일반사용자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외부도어(30)의 제2락킹부(31)에 개방신호가 전송된다(s26). 이때, 상기 이중도어(2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matches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applied to the second locking unit 31 of the external door 30. It is transmitted (s26).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closed state of the double door 20 is maintained.

한편,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1일반사용자정보가 아닌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1일반사용자정보와 불일치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일반사용자정보인지 비교 판단하는 단계(s27)가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not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comparin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 s27) is performed.

여기서,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일반사용자정보인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일반사용자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상기 이중도어(20)의 제1락킹부(21)에 개방신호가 전송된다(s28). Here,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matches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locking unit 21 of the double door 20. It is transmitted (s28).

반면,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일반사용자정보가 아닌 경우, 즉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일반사용자정보와 불일치되는 경우 금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알고리즘이 종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not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onsistent with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the algorithm for opening the safe door ends.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1일반사용자정보인 경우 상기 이중도어(20)의 제1락킹부(21)에 개방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제2일반사용자정보인 경우 상기 외부도어(30)의 제2락킹부(31)에 개방신호가 전송되는 구성도 가능하다.Of course, in some cases,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locking unit 21 of the double door 20,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In this case, an ope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locking part 31 of the external door 30.

즉, 본 변형예는 상술된 일실시예의 개별지문정보가 일반사용자정보인 경우 상기 외부도어(30)에 개방신호가 전달되는 구성과 달리, 각 제1일반사용자정보 및 제2일반사용자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외부도어(30)의 제2락킹부(31) 및 상기 이중도어(20)의 제1락킹부(21) 중 어느 하나에 개방신호가 전송되는 구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unlik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oor 30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general user information, this modification corresponds to each of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in which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any one of the second locking part 31 of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first locking part 21 of the double door 20.

이에 따라, 상이한 개별지문정보가 포함된 상기 지문모듈(50)을 소지한 적어도 두 명 이상의 일반 금고사용자가 동시에 금고 사용을 위한 인증절차를 거치는 경우에만 상기 외부도어(30) 및 상기 이중도어(20) 전체가 개방되므로 독단적인 행동에 의해 상기 이중도어(20)의 개방이 방지되어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xternal door 30 and the double door 20 only when at least two or more ordinary safe users who have the fingerprint module 50 containing different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go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using the safe at the same time ) Since the whole is opened, the opening of the double door 20 is prevented by an arbitrary action, so that securit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물론, 경우에 따라 상이한 개별지문정보가 포함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문모듈을 소지한 일반 금고사용자가 금고 사용을 위한 인증절차를 거치는 경우에 상기 외부도어 및 상기 이중도어 전체가 개방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some cases, when the general safe user who has at least two or more fingerprint modules containing different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undergoe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using the safe, the external door and the double door may be entirely opened.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이중수납공간 및 상기 이중도어가 복수개소 구비되는 경우에는 일반사용자정보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 일반사용자정보에 대응되어 외부도어 및 복수개의 이중도어 중 어느 하나에 개방신호가 전송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외부도어가 개방된 후 각 일반사용자정보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이중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므로 공간별 상호간 상이한 목적으로 수용공간 및 각 이중수납공간이 사용 가능하여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double storage space and the double doors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the general user information is provided in a plurality, and corresponding to each general user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either the external door or the plurality of double doors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configuration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after the external door is opened, one of the plurality of double doors is selectively opened corresponding to each general user information, so that the storage space and each double storage space can b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for each space, so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It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prepare" as described above means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trinsic, unless otherwise stated, except for othe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ementation of such modifications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 10: 금고본체
11: 수납공간 12: 이중수납공간
20: 이중도어 30: 외부도어
31: 잠금장치 32: 손잡이
40: 전자락 41: 지문모듈인식수단
42: 디스플레이부 43: 버튼부
44: 전원부 50: 지문모듈
51: 지문인식센서 60: 제어부
100: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10: safe body
11: Storage space 12: Double storage space
20: double door 30: external door
31: lock 32: handle
40: electronic lock 41: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42: display unit 43: button unit
44: power supply 50: fingerprint module
51: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60: control unit

Claims (5)

일면이 개구되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가 구획되어 이중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금고본체;
상기 이중수납공간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1락킹부가 구비되는 이중도어;
상기 금고본체의 개구된 일면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외부도어;
상기 외부도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제2락킹부가 구비되는 전자락;
상기 외부도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도어 및 상기 이중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식별번호데이터 및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된 제1기억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1락킹부 및 상기 제2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구비된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매칭되는 개별식별정보가 기저장되는 제2기억장치가 구비되는 지문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번호데이터 및 상기 개별식별정보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 및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와 비교 매칭되는 개별지문정보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이중도어 및 상기 외부도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과 회로 연결되며, 상기 개별식별정보는 각 상기 지문모듈마다 개별로 상이하게 구비되되, 상기 식별번호데이터는 상기 개별식별정보와의 비교 매칭을 위해 상기 제어부에 등록 및 기저장된 데이터 집합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기억장치에는 금고사용자의 지문정보가 데이터화된 지문인증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지문모듈에는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되도록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획득된 상기 지문모듈이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접촉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와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비교 대조되되, 상기 개별식별정보가 상기 식별번호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에 의해 상기 지문인증데이터 및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비교 대조되며, 상기 개별지문정보가 상기 지문인증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대응되는 개방신호가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중도어의 제1락킹부 및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제2마스터사용자정보, 제1일반사용자정보, 제2일반사용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제2마스터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중도어의 제1락킹부 및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에 개방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며,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제1일반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에 개방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제2일반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중도어의 제1락킹부에 개방신호가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
A safe body in which one side is opened but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is divided to form a double storage space;
A double door having a first locking portio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ouble storage space;
An external door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afe body and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 electronic lock provided on the external door and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part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external door;
A first memory device provided in the external door, wherein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for selective opening and closing of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door and the double door are pre-stored, and the first locking unit and the second A control unit selectively transmitting an ope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locking units; And
At least one or mor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including a fingerprint module provided with a second memory device for storing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compares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that is compared and matched with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thereby selectively opening to at least one of the double door and the external door.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is circuit-connected to transmit a signal,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fingerprint module,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is registered in the control unit for comparison and matching with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pre-stored data collection,
In the first memory devic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in which fingerprint information of a safe user is stored is pre-stored, and the fingerprint module is provided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o obta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When the fingerprint module in which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obtained contacts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compared by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and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data. When included,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nd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are compared and compared by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and whe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fingerprint authentication data, an ope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s the fingerprint module. It is transmitted from the recognition means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of the double door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external door,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s any one of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and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and when the second master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the fingerprint is recognized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The opening signal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first locking part of the door and the second locking part of the external door,
When the first general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external door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and when the second general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the fingerprint module Smart double safe using a fingerprin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of the double door from the recognition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지문정보는 마스터사용자정보 및 일반사용자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마스터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중도어의 제1락킹부 및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에 개방신호가 동시에 전송되며,
상기 개별지문정보에 일반사용자정보가 포함시 상기 지문모듈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외부도어의 제2락킹부에 개방신호가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모듈을 이용한 스마트 이중금고.
According to claim 1,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s either master user information or general user information,
When the master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of the double door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external door,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dividual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s general user information, an ope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of the external door from the fingerprint module recognition means.
삭제delete
KR1020180104532A 2018-09-03 2018-09-03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Active KR1020981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32A KR102098177B1 (en) 2018-09-03 2018-09-03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32A KR102098177B1 (en) 2018-09-03 2018-09-03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11A KR20200026511A (en) 2020-03-11
KR102098177B1 true KR102098177B1 (en) 2020-04-07

Family

ID=6980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532A Active KR102098177B1 (en) 2018-09-03 2018-09-03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17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333Y1 (en) 2000-09-08 2001-02-15 구홍식 Fingerprints recognition electronic card ke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530A (en) * 2001-03-26 2002-10-05 김영제 Door Opening/Closing System Us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KR20100038610A (en) * 2008-10-06 2010-04-15 케이아이씨시스템즈 (주) Opening and shutting system
KR20100053376A (en) 2008-11-12 2010-05-20 황돈영 A hidden double wall- safe
KR101824887B1 (en) * 2016-03-23 2018-02-02 주식회사 선일 Smart safe with a built-in fingerprint recognition type case for keeping valuab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333Y1 (en) 2000-09-08 2001-02-15 구홍식 Fingerprints recognition electronic card k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11A (en)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56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nattended access to safe deposit boxes
JP4925852B2 (en) Authentication system, terminal device, authority writing device, and authentication lock device
US20030023855A1 (en) High security storage unit and biometric entry system
WO2007043667A1 (en) Double key structure
KR102098177B1 (en) smart double safe using fingerprint module
KR102319726B1 (en) smart double safe using time setting
KR100564996B1 (en) Door locks with multiple authentications
WO2018233362A1 (en) Minimalist method and application for protecting personal item safety and performing personal duties based on uniqueness of biometrics
JP4393438B2 (en) Collective valuable storage device
CN106296942A (en) Key, coded lock and combined lockset
KR20080005303U (en) Digital door lock with various electronic key input means on the indoor side
KR200453384Y1 (en) Radio frequency furniture switchgear
JPH062456A (en) Electronic lock device
JP6057523B2 (en) Collective valuable storage device
JP6839503B2 (en) Key management device, key management method and key management system
KR101726078B1 (en) Door locking apparatus and cash box
US20050015630A1 (en) Personal authentication processing device, locking/unlocking management apparatus, and locking/unlocking management system
KR100728656B1 (en) Digital door lock with control panel and lock separated
KR100380005B1 (en) Deposit boxes security system
US11538301B2 (en) Privileged access and anti-theft protection for premises using lock box
WO2008069210A1 (en) Storehouse with key
WO2015037146A1 (en) Aggregate-type valuables storing device
JP6839502B2 (en) Key management device, key management method and key management system
KR200327501Y1 (en) Lock for a sefe
KR200257691Y1 (en) Electronic loc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