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0392B1 -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 - Google Patents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392B1
KR102090392B1 KR1020180101088A KR20180101088A KR102090392B1 KR 102090392 B1 KR102090392 B1 KR 102090392B1 KR 1020180101088 A KR1020180101088 A KR 1020180101088A KR 20180101088 A KR20180101088 A KR 20180101088A KR 102090392 B1 KR102090392 B1 KR 10209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ner wire
helical
push
alo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4431A (en
Inventor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1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392B1/en
Publication of KR2020002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4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39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2017/320733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a flexible cutting or scraping element, e.g. with a whip-like distal filament memb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는, 와이어 팁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 와이어, 내부 와이어의 외주면에 동축 결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푸쉬 와이어 및 푸쉬 와이어의 일측으로부터 와이어 팁의 하단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된 헬리컬 부재가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내부 와이어에 대한 푸쉬 와이어의 상대 이동에 따라 헬리컬 부재가 나선형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확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wire tip to the inner wir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axial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ire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rom one side of the push wire to the bottom of the wire tip Helical members spirally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and may include an expanding member in which the helical member expands or contracts in a spiral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ush wire with respect to the inner wire. .

Description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Wire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혈전제거기구가 접근하기 어려운 혈관 부위에 삽입되어 혈전을 제거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that is inserted into a region of a blood vessel in which a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mechanism is difficult to access.

혈전제거술(thrombectomy)은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제거하는 치료 방법으로, 주로 혈전 제거 장치를 혈관 내에 삽입하여 혈관 내벽에 형성된 혈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치료하고 있다.Thrombectomy is a treatment method that removes blood clots clogging blood vessels, and is mainly treated by removing blood clot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blood vessels by inserting blood clot removal devices into blood vessels.

혈전 제거 장치는 형태와 매커니즘에 따라 스텐트형과 흡인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이들 모두 공통적으로 미세관 형태의 카테터(catheter)를 폐색된 혈관에 접근시켜 폐색된 부위를 통과시킨 후 카테터의 후단에 구비된 확장 부재나 흡인형 카테터를 목표 위치에 위치시켜 혈전을 긁어내거나 흡인하는 시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The thrombus removal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stent type and an aspiration type according to the shape and mechanism, and all of them commonly have a microtubular catheter approaching the occluded blood vessel to pass the occluded region and then to the posterior end of the catheter. A surgical method is used to scrape or aspirate blood clots by placing the provided expansion member or the suction-type catheter at the target position.

하지만, 종래의 혈전 제거 장치는 관형의 카테타를 삽입하여, 이를 통해 스텐트나 혹은 흡인형 혈전 제거 장치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카테타의 접근이 어려운 원위부 혈관이나, 스텐트나 흡인형 혈전제거 기구보다 직경이 작은 혈관, 그리고, 위의 기구들의 접근이 어려운 해부학적 구조에서는 혈전 제거 치료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device has a smaller diameter than a distal blood vessel or a stent or aspiration thrombus removal device that is difficult to access because the stent or aspiration-type thrombus removal device must be moved through the insertion of a tubular catheter. In the anatomical structure in which blood vessels and the above instruments are difficult to acces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for the treatment of thrombus removal.

한국등록특허 제10-1729398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29398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748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07482

본 발명의 일측면은 종래의 카테터형 혈전 제거 장치가 접근하기 어려운 혈관 구조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간단한 조작 만으로도 혈관 내벽에 형성된 혈전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that easily accesses a blood vessel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access to a conventional catheter-type thrombus removal device and easily removes thrombu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with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는, 와이어 팁, 상기 와이어 팁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 와이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외주면에 동축 결합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푸쉬 와이어 및 상기 푸쉬 와이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팁의 하단까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된 헬리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헬리컬 부재가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 와이어에 대한 상기 푸쉬 와이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헬리컬 부재가 나선형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확장 부재를 포함한다.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 tip, an inner wir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wire tip, coaxial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ire to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A push wire and a helical member spirally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push wire to the bottom of the wire tip, wherein the helical member is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and the inner wire And an expansion member in which the helical member expands or contracts in a spiral shape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ush wire with respect to.

상기 푸쉬 와이어는, 상기 내부 와이어로 가해지는 길이 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팁 쪽으로 접근하는 이동 방향인 제1 이동 방향 또는 상기 와이어 팁과 이격되는 이동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와이어에 대하여 상대 슬라이딩할 수 있다.The push wire is a first moving direction that is a moving direction approaching toward the wire tip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inner wire by a longitudinal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inner wire or a second moving direc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wire tip. It can slide relative to the inner wire along the moving direction.

상기 헬리컬 부재는, 상기 내부 와이어가 상기 길이 방향의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푸쉬 와이어가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양 단에 가해지는 수축력에 의해 중심부가 직경 방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확장 부재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각각의 상기 헬리컬 부재의 만곡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사선 방향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helical member, when the push wire slides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as the inner wire is pulled backward by the longitudinal external force, the center portion is curv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ontracting force applied to both ends, The expansion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neighboring helical members at the time of bending of each of the helical members wound in a spiral shape, and a gap in a diagon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상기 헬리컬 부재는, 상기 내부 와이어가 당겨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푸쉬 와이어가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양 단에 가해지는 팽창력에 의해 중심부가 직경 방향으로 수축되고, 상기 확장 부재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각각의 상기 헬리컬 부재의 수축 시, 만곡된 상기 중심부가 상기 내부 와이어에 밀착되어 상기 헬리컬 부재의 확장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선 방향의 간극이 메워질 수 있다.In the helical member, when the push wire slides in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as the inner wire is pushed forward by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wire is pulled, the center portion is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expansion force applied to both ends. When the helical member contracts, each of the helical members wound in a spiral shape may be closed, and the curved central port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ire, thereby filling the gap in the oblique direction created by the expansion of the helical member. have.

상기 헬리컬 부재는, 소정 면적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이고, 수축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너비보다 긴 간격마다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helical member i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at interval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rectangular shape, so as not to overlap with neighboring helical members when contracted.

상기 헬리컬 부재는, 소정 면적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이고, 수축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소정 영역이 중첩되도록,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너비보다 짧은 간격마다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helical member i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at interval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rectangular shape so that a predetermined area overlaps with a neighboring helical member upon contraction.

상기 헬리컬 부재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푸쉬 와이어는, 상기 푸쉬 와이어 또는 상기 내부 와이어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헬리컬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The helical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fter the push wire is slid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ush wire or the inner wir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helical member is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helical member. It can be slid in the second moving direction.

상기 푸쉬 와이어가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이동 거리만큼만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내부 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ush wire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ire so that it slides only a predetermined movement distance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상기 헬리컬 부재는, 중심부에 비틀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쉬 와이어가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양 단에 가해지는 수축력에 의해 중심부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확장 부재는,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상기 비틀림부가 형성된 각각의 상기 헬리컬 부재의 확장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와류 형상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helical member, a torsion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when the push wire is slid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the center portion is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ontracting force applied to both ends, and the expansion member is wound in a spiral shape. When each of the helical members formed with the torsional part is expanded, a vortex-shaped gap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spaced apart from neighboring helical members.

상기 확장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되, 어느 하나의 확장 부재는 이웃하는 확장 부재와 상기 와이어 팁과 상기 푸쉬 와이어 사이에 형성된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expansion member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any one expansion member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through a neighboring expansion member and a connection member formed between the wire tip and the push wir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의 내부 와이어가 작은 직경을 가지게 되어 종래의 혈전 제거 장치가 접근하기 힘든 혈관에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나선형 구조의 확장 부재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혈전을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inner wire of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has a small diameter, so that the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apparatus can easily access blood vessels that are difficult to access,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elical expansion member Due to this, blood clots can be more easily rem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가 확장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가 수축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를 이용한 혈전제거술의 구체적인 과정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of FIG. 1 is contracted.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pecific operation process of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of FIG. 1.
5 and 6 are views showing a specific process of thrombectomy using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of FIG. 1.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xamples are described in detail enough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properti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plac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can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In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가 확장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가 수축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1 an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of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는 혈관 구조를 따라 관통 삽입되어 혈관을 폐색시키는 혈전을 제거하는 혈전제거술에 사용되는 의료 도구로, 특히 종래의 혈전 제거 장치가 접근하기 어려웠던 혈관에 삽입되어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긁어냄으로써 혈액 순환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al tool used for thrombectomy to remove a thrombus that is inserted through a blood vessel structure and occludes a blood vessel. In particular, a conventional thrombus removal apparatus approaches It is a device to smooth blood circulation by scraping blood clots that are inserted into difficult blood vessels and blocking blood vessel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는 와이어 팁(110), 내부 와이어(100), 푸쉬 와이어(200) 및 확장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 tip 110, an inner wire 100, a push wire 200, and an extension member 300.

내부 와이어(100)는 가요성(可撓性, flexibility)을 지닌 가느다란 와이어형 부재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내부 와이어(100)는 혈관에 삽입되면 혈관 구조에 따라 구부러지면서 혈관 내의 특정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종래의 관형(管形) 카테터가 접근하기 어려웠던 미세 혈관 또는 복잡한 구조의 혈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The inner wire 100 is a thin wire-like member having flexibility and flexibility. Due to this feature, the inner wire 100 can be bent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blood vessel when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and can move to a specific position within the blood vessel, and can be used to access a microvascular or complex blood vessel that was difficult to access to a conventional tubular catheter. Easy access.

와이어 팁(110)은 내부 와이어(100)의 말단 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부재로, 혈전에 의해 폐색된 혈관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원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 팁(110)의 직경은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보다는 크고, 후술하는 푸쉬 와이어(200)의 직경보다는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는 와이어 팁(110)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갖는 혈관 내부로 용이하게 접근하면서도, 후술하는 내부 와이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확장 부재(300)가 접혀진 상태에서 혈관 내벽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ire tip 110 is a member that extends to the distal end of the inner wire 100 and may be provided in a conical shape that can easily pass through blood vessels occluded by thrombus. The diameter of the wire tip 11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100 and smaller o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push wire 20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diameter of the wire tip 110 to facilitate access to the inside of a blood vessel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but of the inner wire 100 described later. In the folded member 30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푸쉬 와이어(200)는 가요성을 지닌 관형 부재이다. 푸쉬 와이어(200)는 길이 방향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형성된 통공을 통해 내부 와이어(100)와 동축(同軸) 결합될 수 있다. 즉, 푸쉬 와이어(200)의 직경은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push wire 200 is a flexible tubular member. The push wire 20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coaxially coupled to the inner wire 100 through the formed through hole. That is, the diameter of the push wire 200 may be provid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100.

푸쉬 와이어(200)의 길이는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보다 짧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푸쉬 와이어(200)는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push wire 200 is provid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inner wire 100, and accordingly, the push wire 200 can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확장 부재(300)는 푸쉬 와이어(200)의 일측으로부터 와이어 팁(110)까지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부재이다. 확장 부재(300)는 푸쉬 와이어(200)의 슬라이딩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복수의 헬리컬 부재(310)로 이루어져 있다. The extension member 300 is a member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from one side of the push wire 200 to the wire tip 110. The expansion member 3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lical members 310 that are folded or unfolded according to sliding of the push wire 200.

헬리컬 부재(310)는 푸쉬 와이어(200)의 일측으로부터 와이어 팁(110)까지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금속 재질의 부재이다. The helical member 310 is a member made of a metal material spirally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from one side of the push wire 200 to the wire tip 110.

복수의 헬리컬 부재(310)는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 둘레(예컨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를 따라 소정 간격 마다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는 동일한 면적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헬리컬 부재(310)의 배치 간격은 어느 하나의 헬리컬 부재(310)가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310)와 소정 면적이 중첩되도록, 헬리컬 부재(310)의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의 배치 간격은 확장 부재(300)의 수축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310)와 중첩되지 않도록, 헬리컬 부재(310)의 너비보다 긴 간격마다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helical members 310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100 (e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is case, each helical member 310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the same area, and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helical member 310 overlaps a predetermined area with the helical member 310 adjacent to any one helical member 310. Preferably, it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helical member 310. Alternatively, the arrangement interval of each helical member 310 does not overlap with the adjacent helical member 310 when the expansion member 300 contracts, so that the inner wire 100 is disposed at interval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helical member 310. It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ameter.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는 내부 와이어(100)에 대한 푸쉬 와이어(200)의 상대 이동에 따라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길이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헬리컬 부재(310)로 구성된 확장 부재(300)는 전체적으로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Each helical member 310 may be b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or un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ush wire 200 with respect to the inner wire 100,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helical members ( The expansion member 300 composed of 310) may be expanded or contracted as a whole.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ogether.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의 측면도이다.3 and 4 are side views of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shown in FIG. 1.

상술한 바와 같이, 확장 부재(300)의 확장 또는 수축은 푸쉬 와이어(200)의 슬라이딩에 의해 결정되며, 구체적으로는 내부 와이어(100)에 길이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가해진 외력의 방향에 따라 푸쉬 와이어(200)가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확장 부재(300)가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expansion member 300 is determined by sliding of the push wire 200. Specifically, when an extern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inner wire 100,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applied external force The extension member 300 may be expanded or contracted while the push wire 200 is advanced or rever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도 3은 확장 부재(300)가 수축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확장 부재(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헬리컬 부재(310)는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의 둘레를 따라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헬리컬 부재(310)는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310)와 소정 면적이 중첩된 상태로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3 is a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the expansion member 300 is contracted, and the plurality of helical members 310 constituting the expansion member 300 may maintain an expanded stat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100. . Specifically, any one of the helical members 310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100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overlaps with the neighboring helical members 31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는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있으므로, 확장 부재(300)의 수축 시 복수의 헬리컬 부재(310)는 우산이 접혀진 형상과 유사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장 부재(300)의 표면에는 사선 방향의 홈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each helical member 310 is spirally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when the expansion member 300 contracts, the plurality of helical members 310 are folded with umbrellas It can maintain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Accordingly, grooves in a diagon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f the expansion member 300.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와이어(100)를 후방으로 당기거나 푸쉬 와이어(200)를 와이어 팁(110) 방향으로 밀게 되면, 푸쉬 와이어(200)는 내부 와이어(100)에 대하여 와이어 팁(110)이 형성된 방향 쪽으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In this state, as illustrated in FIG. 4, when the inner wire 100 is pulled backward or when the push wire 200 is pushed toward the wire tip 110, the push wire 200 is with respect to the inner wire 100 The wire tip 110 is moved relative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form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부 와이어(100) 또는 푸쉬 와이어(200)에 외력이 가해져, 푸쉬 와이어(200)가 원래의 위치로부터 와이어 팁(110) 쪽으로 접근하는 이동 방향을 제1 이동 방향으로 정의하고, 내부 와이어(100) 또는 푸쉬 와이어(200)에 외력이 가해져 푸쉬 와이어(200)가 원래의 위치로부터 와이어 팁(110)과 이격되는 이동 방향을 제2 이동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wire 100 or the push wire 200, and the moving direction in which the push wire 200 approaches the wire tip 110 from the original position is the first moving direction. In the definitio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ner wire 100 or the push wire 200, and the moving direction in which the push wir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wire tip 110 from the original position is defined as a second moving direction. .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와이어(200)가 도 3에 도시된 최초 위치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되면, 확장 부재(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에는 수축력이 가해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push wire 200 slides along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3, a contraction force is applied to each helical member 310 constituting the expansion member 300. This is applied.

이러한 경우, 헬리컬 부재(310)의 양 단은 푸쉬 와이어(200) 및 와이어 팁(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헬리컬 부재(310)에 수축력이 가해지면 고정 결합된 양 단이 서로 접근하면서 중심부가 내부 와이어의 직경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both ends of the helical member 310 are fixed to the push wire 200 and the wire tip 110, when the contractive force is applied to the helical member 310, both ends of the fixedly coupled ends approach each other and the center is inside It can ris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wire.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의 중심부가 상승함에 따라, 확장 부재(300)는 양 단의 직경은 고정된 상태로 중심부가 볼록한 타원 구(럭비공)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As the central portion of each helical member 310 rises, the expansion member 300 may be expanded in the shape of an elliptical sphere (rugby ball) with a convex center portion with a fixed diameter at both ends.

한편, 헬리컬 부재(310)의 중심부가 수축력에 의해 만곡되어 상승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헬리컬 부재(310)와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310)의 중심부는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부재(300)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에 수축력이 가해지면,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사선 방향의 간극(D)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lical member 310 is curved and raised by the contracting for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lical member 310 adjacent to any one of the helical members 310 may be spaced apart. Accordingly, when the contractive force is applied to each helical member 310 wound in a spiral manner, the expansion member 300 is formed with a gap D in a diago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100. You can.

또한, 확장 부재(300)가 확장되면, 중심부의 외주면이 혈관의 내벽 방향으로 이동하여 혈관 내벽에 형성된 혈전과 접촉하게 되고, 사용자의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의 조작에 따라 혈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expansion member 300 is expand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to contact the thrombu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and the thrombus can be re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s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It becomes possible. Detail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후, 내부 와이어(100)를 전방으로 밀어 푸쉬 와이어(200)가 제2 이동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하게 되면, 확장 부재(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의 양 단에는 팽창력이 가해질 수 있다. Then, when the push wire 200 slides along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by pushing the inner wire 100 forward, an expansion force may be applied to both ends of each helical member 310 constituting the expansion member 300. have.

헬리컬 부재(310)는 양 단에 가해지는 팽창력에 의해 중심부가 만곡된 상태로부터 펼쳐지게 되며, 헬리컬 부재(31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확장 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돌아 감에 따라 확장 시 형성된 간극(D)이 다시 사라지게 된다.The helical member 310 is unfolded from the central portion by the expansion force applied to both ends, and when the helical member 310 is fully unfolded, the expanding member 300 returns to a shape as shown in FIG. 3. Accordingly, the gap D formed upon expansion disappears again.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는 푸쉬 와이어(2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not shown) that limit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ush wire 200.

스토퍼(미도시)는 푸쉬 와이어(200)가 제1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만 슬라이딩 되도록, 내부 와이어(100)의 소정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푸쉬 와이어(2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이동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면, 내부 와이어(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미도시)에 걸려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The stopper (not shown)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wire 100 so that the push wire 200 slides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In this case, when the push wire 200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further movement may be limited by a stopper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inner wire 100. .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푸쉬 와이어(200)의 이동 거리를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확장 부재(300)가 항상 일정한 형태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미도시)는 내부 와이어(100)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혈관의 구조, 피시술자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확장 부재(300)의 확장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medical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opper (not shown) to appropriately limit the moving distance of the push wire 200, so that the expansion member 300 can be always expanded in a certain shape. have. In addition, the stoppe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with the inner wire 100 to allow the expansion size of the expansion member 300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blood vessels, the health condition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또한, 푸쉬 와이어(200)는 다양한 외력에 의해 제2 이동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Further, the push wire 200 may be slid along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by various external forces.

일 예로, 푸쉬 와이어(200)는 탄성력을 가진 확장 부재(30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이동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부재(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는 탄성체 재질 또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ush wire 200 may slide along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expansion member 300. That is, each helical member 310 constituting the expansion memb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a structure capable of having an elastic force.

이러한 경우, 확장 부재(300)는 푸쉬 와이어(200)가 외력에 의해 제1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수축력을 받아 확장되다가, 푸쉬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사라지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푸쉬 와이어(200)를 외력을 받기 전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pansion member 300 is expanded by receiving the contraction force as the push wire 200 moves along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ush wire 200 disappears, the push wire 200 pushes it. The wire 200 may be moved to a position before receiving external force.

다른 예로, 푸쉬 와이어(20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1 이동 방향 또는 제2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일 예로, 사용자가 내부 와이어(100)를 당기거나 푸쉬 와이어(200)를 밀게 되면, 푸쉬 와이어(200)는 내부 와이어(100)에 대하여 와이어 팁(110) 방향과 가까워지는 제1 이동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한 손으로 푸쉬 와이어(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내부 와이어(100)를 밀거나, 한 손으로 내부 와이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푸쉬 와이어(200)를 당기게 되면, 푸쉬 와이어(200)는 내부 와이어(100)에 대하여 와이어 팁(110)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이동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ush wire 200 may be slid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or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by user manipulation. 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user pulls the inner wire 100 or pushes the push wire 200, the push wire 200 is in a first movement direction closer to the wire tip 110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wire 100 Can move relative. Thereafter, the user pushes the inner wire 100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push wire 200 with one hand, or push the wire 200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inner wire 100 with one hand. When pulling, the push wire 200 may move relative to the inner wire 100 along a second movement direction away from the wire tip 110.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를 이용하여 혈전제거술을 수행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performing a thrombectomy using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shown in FIG. 1.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를 혈전이 형성된 혈관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 the operator can move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1 to the location of the blood vessel where the thrombus is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와이어(100) 및 푸쉬 와이어(200)는 가요성이 있는 관형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 혈관 구조에 대응되어 구부러지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확장 부재(300)는 양쪽으로 최대한 팽창되어 수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혈관 내부 조직이 삽입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확장 부재(300)가 탄성체로 마련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혈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도 확장 부재(300)의 최대 수축을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wire 100 and the push wire 200 are formed of a flexible tubular member and can be inserted while being bent corresponding to a blood vessel structure. At this time, the expansion member 300 is expanded to both sides as much as possible and inserted in a contracted state to prevent the blood vessel internal tissue from being damaged in the insertion process. In addition, when the expansion member 30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the maximum contraction of the expansion member 300 can be maintained even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by the restoring force.

치료가 필요한 혈관까지 도달된 후, 시술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와이어(100) 또는 푸쉬 와이어(200)를 조작하여 확장 부재(300)가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After reaching the blood vessel in need of treatment, the operator may operate the inner wire 100 or the push wire 200 as shown in FIG. 6 to allow the expansion member 300 to expand.

즉, 시술자가 내부 와이어(100)를 당기거나 푸쉬 와이어(200)를 미는 경우, 푸쉬 와이어(200)가 와이어 팁(110) 방향인 제1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확장 부재(300)의 양 단에 수축력이 가해질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perator pulls the inner wire 100 or pushes the push wire 200, the push wire 200 moves in the first moving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wire tip 110, and accordingly, the expansion member 300 Shrinking force may b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이러한 경우, 확장 부재(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헬리컬 부재(310)의 양 단은 외력에 의해 중심부가 만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헬리컬 부재(310)의 중심부는 내부 와이어(100)로부터 팽창되어 혈관 내벽까지 확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both ends of each helical member 310 constituting the expansion member 300 may be curv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center of the helical member 310 is expanded from the inner wire 100 It can extend to the inner walls of blood vessels.

확장 부재(300)가 충분히 확장된 후, 시술자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를 조작하여 혈관 내벽에 형성된 혈전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술자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내부 와이어(100)를 혈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혈전을 긁어낼 수 있다.After the expansion member 300 is sufficiently expanded, the operator can remove the thrombu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by operating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1. For example, the operator may scrape the thrombus while rotating or moving the inner wire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ood vessel while rotating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1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는 확장 부재(300)의 확장 시 소정 간격마다 나선형의 간극(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술자의 조작 과정에서 혈관 내벽으로부터 이탈된 혈전은 확장 부재(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와이어(100)를 당기는 정도에 따라서, 확장 부재(300)의 크기 및 헬리컬 부재(310)의 반경 방향의 힘(radial force)을 조절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iral gap D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the expansion member 300 is expanded, it deviat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during the operator's manipulation. The thrombus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expansion member 300. Furth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ling the inner wire 100, the size of the expansion member 300 and the radial force of the helical member 310 can be adjusted, so that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the procedure can be improved. .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I will do it.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2)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2)는 와이어 팁(110), 내부 와이어(100), 푸쉬 와이어(200), 확장 부재(301, 302) 및 연결 부재(40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tip 110, an inner wire 100, a push wire 200, an expansion member 301, 302, and a connecting member 400 ).

이때,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2)를 구성하는 와이어 팁(110), 내부 와이어(100) 및 푸쉬 와이어(20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의 와이어 팁(110), 내부 와이어(100) 및 푸쉬 와이어(2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wire tip 110, the inner wire 100 and the push wire 200 constituting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are shown in FIG. Since the wire tip 110, the inner wire 100 and the push wire 200 of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2)는 복수의 확장 부재(301, 302)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확장 부재(301, 302)가 두 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 부재가 세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pansion members (301, 30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xpansion members 301 and 302 are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w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ree or more expansion members may be provided.

각각의 확장 부재(301, 302)는 도 1에 도시된 확장 부재(310)와 동일한 구조 및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2)를 구성하는 제1 확장 부재(301) 및 제2 확장 부재(302)는 각각 복수의 헬리컬 부재(311, 312)가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어느 하나의 헬리컬 부재(311, 312)는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될 수 있다.Each of the expansion members 301 and 302 has the same structure and features as the expansion member 310 shown in FIG. 1. That is, the first expansion member 301 and the second expansion member 302 constituting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lurality of helical members 311 and 312, respectively. It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ameter of 100, and any one of the helical members 311 and 312 may be spirally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다른 예로, 제1 확장 부재(301)와 제2 확장 부재(302)를 구성하는 헬리컬 부재(311)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취될 수 있다. 즉, 제1 확장 부재(301)를 구성하는 제1 헬리컬 부재(311)들은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시계 방향의 나선형으로 권취되고, 제2 확장 부재(302)를 구성하는 제2 헬리컬 부재(312)들은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시계 방향의 나선으로 권취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helical members 311 constituting the first expansion member 301 and the second expansion member 302 may be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first helical members 311 constituting the first expansion member 301 are wound in a clockwise spi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and the second constituting the second expansion member 302 The helical members 312 may be wound in a counterclockwise spi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이때, 제1 확장 부재(301)와 제2 확장 부재(302)는 연결 부재(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xpansion member 301 and the second expansion member 302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member 400.

연결 부재(400)는 내부 와이어(100)와 동축 결합되는 관형 부재이며,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팁(110)과 푸쉬 와이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00 is a tubular member that is coaxially coupled to the inner wire 100, and may be specifically disposed between the wire tip 110 and the push wire 200.

즉, 제1 확장 부재(301)는 연결 부재(400)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2 확장 부재(302)는 연결 부재(400)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1 확장 부재(301) 및 제1 확장 부재(301)와 이웃하는 제2 확장 부재(302)는 내부 와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expansion member 301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the second expansion member 302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400, the first expansion member 301 and the first The second expansion member 302 adjacent to the expansion member 301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2)는 복수 개의 확장 부재(301, 302)가 구비되어 더욱 넓은 면적의 혈전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erefore,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pansion members 301 and 302, which has an effect of rapidly removing a thrombus in a larger area.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3)가 도시된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3)는 와이어 팁(110), 내부 와이어(100), 푸쉬 와이어(200) 및 확장 부재(303)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tip 110, an inner wire 100, a push wire 200, and an extension member 303.

이때,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3)를 구성하는 와이어 팁(110), 내부 와이어(100) 및 푸쉬 와이어(20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의 와이어 팁(110), 내부 와이어(100) 및 푸쉬 와이어(2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wire tip 110, the inner wire 100 and the push wire 200 constituting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are illustrated in FIG. 1. Since the same as the wire tip 110, the inner wire 100, and the push wire 200 of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3)에 구비된 확장 부재(303)를 구성하는 헬리컬 부재(313)는 중심부에 비틀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lical member 313 constituting the expansion member 303 provided in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 torsion in the center.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3)에 구비된 헬리컬 부재(313)는 와이어 팁(110)에 연결된 일단과 푸쉬 와이어(200)에 연결된 타단이 적어도 한 번 꼬인 형태로 나선 권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헬리컬 부재(313)는 일측에 꼬임 구조에 따른 비틀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helical member 313 provided in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connected to the wire tip 1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ush wire 200 are twisted at least once. It can be wound in a spiral. Accordingly, each of the helical members 313 may be formed with a twist portion according to the twist structure on one side.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1)는 헬리컬 부재의 상변 및 하변의 모든 부분이 와이어 팁(110) 및 푸쉬 와이어(200)와 결합되는 반면,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3)의 헬리컬 부재는(313)는 일단 및 타단의 일부만 와이어 팁(110) 및 푸쉬 와이어(2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in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ll part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elical member are combined with the wire tip 110 and the push wire 200 , The helical member 313 of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apparatus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is coupled to the wire tip 110 and the push wire 200 only at a part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It is characterized by.

이러한 경우, 푸쉬 와이어(200)가 제1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헬리컬 부재(313)는 양 단에 가해지는 수축력에 의해 중심부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비틀림부를 중심으로 근위부와 원위부가 서로 다른 각도로 만곡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push wire 200 is slid in the first moving direction, the helical member 313 expands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enter portion by the contracting force applied to both ends, and the proximal portion and the distal portion are different angles around the torsional portion. Can be curved into.

따라서, 확장 부재(303)는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비틀림부가 형성된 각각의 헬리컬 부재(313)의 확장 시, 어느 하나의 헬리컬 부재가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이격되어 내부 와이어(100)의 직경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와류 형상의 간극(D')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xpansion member 303 is wound in a spiral shape, and when the helical member 313 is formed, the torsional part is formed, and any one helical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adjacent helical member along the diame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100. A vortex-shaped gap D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to.

1, 2, 3: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100: 내부 와이어
110: 와이어 팁
200: 푸쉬 와이어
300, 301, 302, 303: 확장 부재
310, 311, 312, 313: 헬리컬 부재
400: 연결 부재
1, 2, 3: Wire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100: inner wire
110: wire tip
200: push wire
300, 301, 302, 303: expansion member
310, 311, 312, 313: no helical
400: connecting member

Claims (10)

와이어 팁;
상기 와이어 팁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 와이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외주면에 동축 결합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푸쉬 와이어; 및
상기 푸쉬 와이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팁의 하단까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된 헬리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헬리컬 부재가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 와이어에 대한 상기 푸쉬 와이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헬리컬 부재가 나선형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확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헬리컬 부재는,
소정 면적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이고,
수축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너비보다 긴 간격마다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Wire tip;
An inner wir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wire tip;
A push wire coaxial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ire a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And
And a helical member spirally woun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push wire to the bottom of the wire tip, wherein the helical member is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and The helical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ush wire includes an expansion member that expands or contracts in a spiral,
The helical member,
It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certain area,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ire at interval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rectangular shape, so as not to overlap with neighboring helical members upon contraction.
와이어 팁;
상기 와이어 팁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부 와이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외주면에 동축 결합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푸쉬 와이어; 및
상기 푸쉬 와이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이어 팁의 하단까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된 헬리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헬리컬 부재가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내부 와이어에 대한 상기 푸쉬 와이어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헬리컬 부재가 나선형으로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확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헬리컬 부재는,
소정 면적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이고,
수축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소정 영역이 중첩되도록,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너비보다 짧은 간격마다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Wire tip;
An inner wir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wire tip;
A push wire coaxial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ire a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And
And a helical member spirally wou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push wire to the bottom of the wire tip, wherein the helical member is continuously disposed along the diameter of the inner wire, and the inner wire is The helical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ush wire includes an expansion member that expands or contracts in a spiral,
The helical member,
It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certain area,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i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wire at intervals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rectangular shape, so that a predetermined area overlaps with a neighboring helical member upon contra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와이어는,
상기 내부 와이어로 가해지는 길이 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내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팁 쪽으로 접근하는 이동 방향인 제1 이동 방향 또는 상기 와이어 팁과 이격되는 이동 방향인 제2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와이어에 대하여 상대 슬라이딩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ush wire,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which is a movement direction approaching the wire tip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ner wire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pplied to the inner wire, or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which is a movement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wire tip, is A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sliding relative to the inner wi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부재는, 상기 내부 와이어가 상기 길이 방향의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푸쉬 와이어가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양 단에 가해지는 수축력에 의해 중심부가 직경 방향으로 만곡되고,
상기 확장 부재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각각의 상기 헬리컬 부재의 만곡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사선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3,
In the helical member, when the push wire slides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as the inner wire is pulled backward by the longitudinal external force, the center portion is curv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ontracting force applied to both ends,
The extension member, when bending each of the helical members wound in a spiral, spaced apart from neighboring helical members to form a gap in a diago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ame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the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부재는, 상기 내부 와이어가 당겨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푸쉬 와이어가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양 단에 가해지는 팽창력에 의해 중심부가 직경 방향으로 수축되고,
상기 확장 부재는, 나선형으로 권취된 각각의 상기 헬리컬 부재의 수축 시, 만곡된 상기 중심부가 상기 내부 와이어에 밀착되어 상기 헬리컬 부재의 확장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선 방향의 간극이 메워지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4,
In the helical member, when the push wire is slid in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as the inner wire is pushed forward by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wire is pulled, the center portion is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expansion force applied to both ends. Shrinking,
In the expansion member, when the respective helical members wound in a spiral are contracted, the curved central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ire to fill in the gap in the diagonal direction created by the expansion of the helical member, a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부재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푸쉬 와이어는, 상기 내부 와이어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헬리컬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helical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push wire, after sliding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inner wir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sliding in the second movement direc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helical member,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와이어가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이동 거리만큼만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내부 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nd a stopp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ire so that the push wire slides only by a predetermined movement distance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부재는,
중심부에 비틀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쉬 와이어가 상기 제1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양 단에 가해지는 수축력에 의해 중심부가 직경 방향으로 확장되고,
상기 확장 부재는, 나선형으로 권취되면서 상기 비틀림부가 형성된 각각의 상기 헬리컬 부재의 확장 시, 이웃하는 헬리컬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내부 와이어의 직경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와류 형상의 간극이 형성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helical member,
The torsion is formed in the center,
When the push wire is slid in the first movement direction, the center portion is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ontracting force applied to both ends,
When the expansion member is wound in a spiral shape and the respective helical members are formed while the torsion is formed, the helical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neighboring helical members to form a vortex-shaped gap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ame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Type thrombus removal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되, 어느 하나의 확장 부재는 이웃하는 확장 부재와 상기 와이어 팁과 상기 푸쉬 와이어 사이에 형성된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형 혈전 제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xpansion member is provided in plural, and any one expansion member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wire through a connecting member formed between a neighboring expansion member and the wire tip and the push wire, a wire-type thrombus removal device .
KR1020180101088A 2018-08-28 2018-08-28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 Active KR1020903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88A KR102090392B1 (en) 2018-08-28 2018-08-28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088A KR102090392B1 (en) 2018-08-28 2018-08-28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31A KR20200024431A (en) 2020-03-09
KR102090392B1 true KR102090392B1 (en) 2020-03-17

Family

ID=6980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088A Active KR102090392B1 (en) 2018-08-28 2018-08-28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3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13375A (en) * 2020-07-27 2023-05-12 苏州徕瑞医疗技术有限公司 A thrombus removal device
CN115624369A (en) * 2022-10-31 2023-01-20 江苏省中医院 A hemodialysis semi-permanent venous catheter thrombus removal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6871A (en) 2001-10-19 2005-03-10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Embolic extraction tool
US10016206B1 (en) * 2013-05-17 2018-07-10 Yi Yang Expandable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9651B2 (en) * 2006-02-13 2015-09-01 Retro Vascular, Inc. Recanalizing occluded vessels using controlled antegrade and retrograde tracking
JP4510125B1 (en) * 2009-02-20 2010-07-21 株式会社ウィルファイン Intravascular thrombus trap
ES2577288B8 (en) 2015-01-13 2019-01-10 Anaconda Biomed S L Device for thrombectomy
KR101729398B1 (en) 2015-06-19 2017-04-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tent Device Capable of Voluntary Expansion-Collapse Control for Thrombus Retrieval and Flow Restoration
US20200008822A1 (en) * 2015-12-16 2020-01-09 Rapid Medical Ltd. Intralu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6871A (en) 2001-10-19 2005-03-10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Embolic extraction tool
US10016206B1 (en) * 2013-05-17 2018-07-10 Yi Yang Expandable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431A (en)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1091B2 (en) Vascular obstruction removal device and method
EP2661288B1 (en) Variable loop snare
US10265085B2 (en) System and device for engulfing thrombi
ES2906989T3 (en) Clot retrieva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ischemic stroke
EP1861156B1 (en) Access catheter having dilation capability
US10016206B1 (en) Expandable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AU2008323762B2 (en) Tethered coil for treatment of body lumens
CN112384152A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substance from a patient
US200701795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an occlusion
US9943322B2 (en)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methods
CN115192128A (en) Thrombectomy device and system for removing vascular thrombi from blood vessels
KR102090392B1 (en) Wire type thrombectomy apparatus
US12408942B2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embolic protection device
US11751894B2 (en) Obstruction retrieval devices
KR102176732B1 (en) Stent-type catheter to be used like balloon catheter
CN120379603A (en) Thrombus taking-out device
US20160089170A1 (en) Invertable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methods
CN106999197A (en) Without sophisticated retrieval device
US20130066329A1 (en) Medical Retrieval Devices
CN105813584A (en) Resection device having support elements and rel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WO2017168614A1 (en) Tissue collector
US20150157344A1 (en)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6203034B2 (en) Medical treatment tool
KR102541457B1 (en) Device for removing blood clots in the form of a 3D noose
US20220378566A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embolic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