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736B1 -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1736B1 KR102091736B1 KR1020180053773A KR20180053773A KR102091736B1 KR 102091736 B1 KR102091736 B1 KR 102091736B1 KR 1020180053773 A KR1020180053773 A KR 1020180053773A KR 20180053773 A KR20180053773 A KR 20180053773A KR 102091736 B1 KR102091736 B1 KR 102091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suction
- inlet
- air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5 lab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뒤집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외측의 유입구측에 에어백 쿠션의 공기주입구가 거치된 상태에서 흡입블로워의 흡입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뒤집어지며 유입구 내측의 에어백흡입공간부로 유입됨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에어백 쿠션이 뒤집어질 수 있는 에어백 뒤집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봉제가 수행된 에어백 쿠션을 뒤집기 위한 에어백 뒤집기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에어백흡입공간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이 외측에 거치되며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와 하우징 외측 간이 연통되도록 연통 공간을 부여하며 에어백흡입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백흡입공간부로 에어백 쿠션을 공기 흡입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 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블로워와; 상기 흡입블로워와 에어백흡입공간부 간을 연결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연결관과; 상기 흡입블로워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뒤집어진 상태로 흡입되는 에어백 쿠션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배출도어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개폐가 단속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lipping an airbag, and more specifically, as the airbag cushion is turned over by suction of the suction blower while the air inlet of the airbag cushion is mounted on the inlet side of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lows into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inside the inl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flipping device in which the airbag cush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turned ove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bag flipping device for flipping an airbag cushion on which sewing has been performed,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receiving space therein; An airbag suction space part formed inside the housing; The airbag cushion is mounted on the outside and provides a communication space so that the airbag suction space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bag suction space portion, and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bag cushion into the airbag suction space portion through the air intake; A suction blower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suck air in the air bag suction space part; A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air flows by connecting the suction blower and the air bag suction space part; It includes;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blower is discharged.
Here, a discharge door for discharging the airbag cushion sucked in an inverted state from the inle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and the discharg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an air cylin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 뒤집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외측의 유입구측에 에어백 쿠션의 공기주입구가 거치된 상태에서 흡입블로워의 흡입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뒤집어지며 유입구 내측의 에어백흡입공간부로 유입됨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에어백 쿠션이 뒤집어질 수 있는 에어백 뒤집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flipping an airbag, and more specifically, as the airbag cushion is turned over by suction of the suction blower while the air inlet of the airbag cushion is mounted on the inlet side of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flows into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inside the inl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flipping device in which the airbag cush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turned over.
일반적으로 에어백(airbag)이란, 자동차가 충돌했을 때 탑승자가 관성에 의해서 윈도우글라스(window glass) 등의 차체 내부구조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airbag is a device that prevents an occupant from hit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body such as window glass due to inertia when a vehicle crashes.
이러한 에어백에는 에어백 쿠션이 마련되는데, 자동차의 충돌 시에 에어백 쿠션은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부풀어진다. 이렇게 부풀어진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가 차체 내부구조에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An airbag cushion is provided in the airbag, an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airbag cushion is instantaneously inflated by receiving compressed air. The inflated airbag cushion prevents the occupant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the vehicle body structure.
이러한 에어백 쿠션은 여러 종류의 독립된 재봉물들이 재봉기에 의해 봉제되어 완성되는데, 봉제시에 제작되는 에어백 쿠션은 봉제가 완성되면 이를 뒤집는 것으로 에어백 쿠션 제작이 완성된다. In the airbag cushion, various types of independent sewing materials are sewn and completed by a sewing machine. When the sewing is completed, the airbag cushion is turned over to complete the airbag cushion production.
이때 봉제가 완성된 에어백 쿠션을 뒤집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에어백 쿠션의 공기주입부측으로 손을 집어 넣어 내측 반대편을 공기주입부측으로 잡아 당겨 인출시킴으로써 에어백 쿠션을 뒤집게 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turn over the airbag cushion in which the sewing is completed, the operator puts his hand toward the air injecting side of the airbag cushion and pulls the inner opposite side toward the air injecting side to pull out the airbag cushion.
하지만 에어백 쿠션의 공기주입부가 큰 직경으로 형성되지 않고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쿠션의 재질 특성상 신축성이 높지 않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에어백 쿠션을 뒤집는데 상당한 작업 시간과 작업 난이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air injection portion of the airbag cushion is not formed with a large diameter and is not highly elastic due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airbag cushion made of a fiber materi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work time and difficulty are caused for an operator to manually turn the airbag cushion over.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을 자동으로 뒤집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Accordingly, it is urgent to develop a device for automatically flipping the airbag cush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 외측의 유입구측에 에어백 쿠션의 공기주입구가 거치된 상태에서 흡입블로워의 흡입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뒤집어지며 유입구 내측의 에어백흡입공간부로 유입됨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에어백 쿠션이 뒤집어질 수 있는 에어백 뒤집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the airbag cushion is turned over by suction of the suction blower while the air inlet of the airbag cushion is mounted on the inlet side outside the housing and flows into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inside the inle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bag flipping device through which the airbag cush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turned over.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봉제가 수행된 에어백 쿠션을 뒤집기 위한 에어백 뒤집기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에어백흡입공간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이 외측에 거치되며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와 하우징 외측 간이 연통되도록 연통 공간을 부여하며 에어백흡입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백흡입공간부로 에어백 쿠션을 공기 흡입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 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블로워와; 상기 흡입블로워와 에어백흡입공간부 간을 연결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연결관과; 상기 흡입블로워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bag flip device for turning over the airbag cushion on which sewing is performed, the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receiving space therein; An airbag suction space part formed inside the housing; The airbag cushion is mounted on the outside and provides a communication space so that the airbag suction space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bag suction space portion, and an inlet for introducing the airbag cushion into the airbag suction space portion through the air intake; A suction blower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suck air in the air bag suction space part; A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air flows by connecting the suction blower and the air bag suction space part; It includes; a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blower is discharged.
여기서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뒤집어진 상태로 흡입되는 에어백 쿠션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배출도어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개폐가 단속된다.Here, a discharge door for discharging the airbag cushion sucked in an inverted state from the inle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and the discharg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an air cylinder.
아울러 상기 흡입블로워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구동제어부는 작업자의 발로 가압하여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는 풋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외측에서 에어백흡입공간부 내의 시각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창이 더 포함되며, 상기 에어실린더의 구동을 단속하는 구동버튼부가 하우징 일측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suction blower is further included, the drive control unit is composed of a foot switch that is driven by pressurization by the operator's foo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bag suction space portion and the air bag suction space portion from the outside. A see-through window that enables visual recognition of the inside is further included, and a driving button port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ir cylind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또한 거치되는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도록 하우징의 유입구 하부측에 연장형성되는 에어백지지판부가 포함된다. Also included is an airbag support plate portion extending on the lower side of the inlet of the housing to support the mounted airbag cushion.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수작업으로 봉제가 완료된 에어백 쿠션을 뒤집게 됨에 따라 작업 시간 및 작업 공수가 증대되는 문제를 흡입블로워의 흡입력으로 신속하게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perform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working time and the number of labors by inverting the airbag cushion, which has been manually sewn, by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blower.
아울러 유입구의 하부측 에어백지지판부에 의해 작업자가 별도로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지 않아도 흡입블로워의 흡입력에 의해 원활하게 유입구로 흡입되도록 하며 서브유입구가 유입구에 체결 또는 분리됨에 따라 유입구의 직경을 조절가능하여 에어백 쿠션의 크기에 따라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separately support the airbag cushion by the airbag supporting plate portion at the lower side of the inlet port, it is smoothly sucked into the inlet port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blow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ush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universal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의 배면측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의 에어백흡입공간부, 연결관, 흡입블로워 및 배출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 도어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측 하우징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bag fli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airbag fl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irbag suction space part, a connection pipe, a suction blower, and a discharge pipe of an airbag fli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in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n inlet-side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의 배면측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의 에어백흡입공간부, 연결관, 흡입블로워 및 배출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 도어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bag fli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airbag fli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of the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the connection pipe, the suction blower and the discharge pipe of the airbag fli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100)는 봉제가 완료된 에어백 쿠션을 뒤집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에어백 뒤집기장치(100)는 내측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에어백흡입공간부(20)와, 상기 에어백 쿠션이 외측에 거치되며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와 하우징(10) 외측 간이 연통되도록 연통 공간을 부여하며 에어백흡입공간부(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백흡입공간부(20)로 에어백 쿠션을 공기 흡입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30)와, 상기 하우징(1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 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블로워(40)와, 상기 흡입블로워(40)와 에어백흡입공간부(20) 간을 연결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연결관(50)과, 상기 흡입블로워(4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외형을 제공하며, 이러한 하우징(10)은 상기의 에어백흡입공간부(20), 흡입블로워(40), 연결관(50) 및 배출관(51)을 수용하고 외측으로 유입구(30)가 결합된다. Here, the
한편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는 일측으로는 유입구(3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타측으로는 연결관(50)과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연결관(50)에 연결된 흡입블로워(40)의 구동시 유입구(30) 측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연결관(50)을 통해 흡입블로워(40)측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Meanwhile, the air bag
이와 같은 에어백흡입공간부(20)는 공기의 유동 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흡입블로워(40)의 구동에 따라 유입구(30) 측에 거치되는 에어백 쿠션이 유입구를 통해 뒤집어지면서 인입될 때 충분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The airbag
아울러 일측으로 유입된 에어백 쿠션을 반출하기 위해 배출도어(6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배출도어(60)는 에어실린더(70)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이때 하우징(10)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에어실린더(70)의 구동을 단속하는 구동버튼부(71)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또한 에어백흡입공간부(20)에는 공간 내부에 에어백 쿠션이 정상적으로 뒤집어진 상태로 유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lso, the airbag
작업자는 이러한 투시창(21)을 통해 흡입블로워(40) 구동 후 유입된 에어백 쿠션의 수량과 정상적으로 뒤집어졌는지 등을 확인하여 적정 시점에 상기 배출도어(60)를 개방한 후 에어백 쿠션을 반출할 수 있게 된다. After driving the
한편 상기 유입구(30)는 상기 에어백 쿠션이 외측에 거치되며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와 하우징(10) 외측 간이 연통되도록 연통 공간을 부여하여 외측에서 거치된 에어백 쿠션이 흡입블로워(40)의 구동시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유입구(30)는 에어백 쿠션의 공기주입부측이 거치되는 평단부(30b)와, 상기 평단부(30b)로부터 연장되어 에어백 쿠션의 유입을 안내하는 경사부(30a)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경사부(30a)는 에어백흡입공간부(20)에서 평단부(30b)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아울러 상기 흡입블로워(40)는 상기 하우징(1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 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흡입블로워(40)는 일측으로 에어백흡입공간부(20)와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관(50)과 타측으로 하우징(10) 외측으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관(51)과 각각 연결되어 유입구(30) 외부측 공기를 유입하여 배출관(51)을 통해 하우징(10) 외부측으로 배출하는 경로로 공기 유동을 유도한다. In addition, the
공기 흡입량과 세기를 증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한 쌍의 흡입블로워(40)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3개소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order to increase the air intake amount and intensity, the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pair of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입블로워(4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동제어부(80)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구동제어부(8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발로 가압하여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는 풋 스위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이에 따라 풋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 제어를 통해 흡입블로워(40)의 구동 온/오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driving on / off control of the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동제어부(80)의 제어시 흡입블로워(40)의 회전방향 또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에어백 쿠션의 거치시에는 흡입블로워(40)의 회전 방향을 전술한 공기 이송 경로와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회전하고 거치가 완료된 경우 즉시 정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also control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이와 같이 흡입블로워(40)의 회전방향을 역방향과 정방향으로 제어하는 이유는 에어백 쿠션 거치시 공기주입부만이 유입구(30)에 거치됨에 따라 큰 사이즈의 에어백 쿠션은 거치된 공기주입부의 반대측이 하중에 의해 하강하고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이 전체적으로 꺾인 상태로 거치될 수 밖에 없게 된다. The reaso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이러한 상태로 흡입블로워(4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제대로 흡입력이 에어백 쿠션 전체로 전달되지 않아 뒤집어지면서 에어백흡입공간부(20)로 에어백 쿠션이 흡입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따라서 이러한 꺾인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작업자가 유입구(30)에 공기주입부를 거치함과 동시에 에어백 쿠션을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펴면서 흡입블로워(40) 구동을 수행하는데, 거치와 펴는 작업이 거의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의 불편을 초래한다. Therefore, in order to release the bent state, the operator mounts the air injection unit at the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블로워(40)의 회전방향으로 거치시에 역방향으로 일정 압력으로 약하게 회전하다가 거치가 완료되면 정방향으로 강한 압력을 통해 회전하면 에어백 쿠션이 펴진 상태에서 흡입블로워(40)의 흡입력이 전달되어 작업자가 일일히 에어백 쿠션을 펴는 동작이 생략될 수 있다.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when mount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n in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의 유입구(30)는 서브유입구(31)가 필요에 따라 유입구(30)에 연장되어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이러한 서브유입구(31)는 경사부(30a)와 평단부(30b)로 이루어지는 유입구(30)의 평단부(30b) 내연에 인입되어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서브유입구(31)와 유입구(30)는 나사결합된다. The sub-inlet 31 is coupled to the inner edge of the
이를 위해 유입구(30)의 평단부(30b) 내연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서브유입구(31)의 결합면 외연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To this end,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이와 같은 서브유입구(31)는 유입구(30)의 평단부(30b)와 결합하는 결합부(31a)와, 유입측 직경을 줄이기 위한 서브경사부(31b)와, 서브경사부(31b)의 단부측으로 연장되어 에어백 쿠션이 외측에서 거치되는 서브평단부(31c)로 이루어진다. Such a sub-inlet 31 is a coupling portion (31a) for engaging the
이와 같이 서브유입구(31)를 통해 유입구(30)의 직경을 조절하는 이유는 에어백 쿠션의 종류가 다양하고 공기가 주입되는 체적 또한 다양하여 큰 체적의 에어백 쿠션의 경우 유입구(30) 측 직경이 커야 흡입블로워(40)의 흡입시 원활하게 에어백흡입공간부(20) 측으로 뒤집어지면서 유입이 될 수 있다. The reason for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아울러 작은 체적의 에어백 쿠션의 경우 공기주입부가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큰 직경을 갖는 유입구(30)의 평단부(30b)에 원활하게 거치되기 힘들고 자칫 작업자가 제대로 거치하지 않은 경우 뒤집혀지며 에어백흡입공간부(20) 측으로 유입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mall-volume airbag cushion, the air injection portion is formed in a small size, so it is difficult to be smoothly mounted on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유입구(31)를 통해 다양한 사이즈의 에어백 쿠션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enable the use of airbag cushions of various sizes through at least one sub-inlet 3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측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inlet-side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뒤집기장치(100)는 유입구(30)측 하부에 유입구 반대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에어백지지판부(90)가 설치된다. The
이러한 에어백지지판부(90)는 유입구(30)에 거치되는 에어백 쿠션이 하중에 의해 꺾인 상태로 위치되면 흡입블로워(40)의 흡입시에 원활하게 에어백 쿠션이 에어백흡입공간부(20)로 뒤집어지면서 유입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한다. The airbag supporting
즉, 작업자는 에어백지지판부(90)의 상부측으로 안치하는 상태로 유입구(30)로 에어백 쿠션의 공기주입부가 위치되도록 하면 흡입블로워(40)의 흡입시 흡입력이 에어백 쿠션 내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if the operator is positioned so that the air injection portion of the airbag cushion to the
이러한 에어백지지판부(90)는 중앙부측이 함몰되고 양단이 돌출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에어백 쿠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다수개의 판체로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airba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can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하우징 20 : 에어백흡입공간부
30 : 유입구 40 : 흡입블로워
50 : 연결관 51 : 배출관
60 : 배출도어 70 : 에어실린더
80 : 구동제어부 90 : 에어백지지판부
100 : 에어백 뒤집기장치10: housing 20: air bag suction space
30: inlet 40: suction blower
50: connecting pipe 51: discharge pipe
60: exhaust door 70: air cylinder
80: drive control unit 90: airbag support plate unit
100: airbag flip device
Claims (5)
내측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에어백흡입공간부(20)와;
상기 에어백 쿠션이 외측에 거치되며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와 하우징(10) 외측 간이 연통되도록 연통 공간을 부여하며 에어백흡입공간부(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백흡입공간부(20)로 에어백 쿠션을 공기 흡입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유입구(30)와;
상기 하우징(1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 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블로워(40)와;
상기 흡입블로워(40)와 에어백흡입공간부(20) 간을 연결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연결관(50)과;
상기 흡입블로워(4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51);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30)는,
거치되는 에어백 쿠션을 지지하도록 하우징(10)의 유입구(30) 하부측에 연장형성되는 에어백지지판부(90); 가 더 포함되되,
상기 에어백지지판부(90)는 중앙부측이 함몰되고 양단이 돌출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30)에 거치되는 에어백 쿠션이 하중에 의한 꺾임이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뒤집기장치. In the airbag flip device for turning the airbag cushion is sewn,
A housing 10 hav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 airbag suction space part 20 formed inside the housing 10;
The airbag cushion is mounted on the outside, and a communication space is provid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20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20 to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20 An inlet 30 through which the airbag cushion is introduced inward through air intake;
A suction blower 40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to suck air in the air bag suction space part 20;
A connection pipe 50 through which the air is flowed by connecting the suction blower 40 and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20;
Includes; discharge pipe 51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uction blower 40 is discharged,
The inlet 30,
An airbag support plate portion 90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inlet 30 of the housing 10 to support the mounted airbag cushion; More included,
The airbag support plate portion 90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recessed and both ends are protruded so that the airbag cushion mounted on the inlet 30 is stably supported without bending due to load. Device.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30)로부터 뒤집어진 상태로 흡입되는 에어백 쿠션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도어(60)가 설치되되,
상기 배출도어(60)는 에어실린더(70)에 의해 개폐가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뒤집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charge door 60 for discharging the airbag cushion sucked in an inverted state from the inlet 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airbag suction space part 20,
The discharge door 60 is an airbag fli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is interrupted by the air cylinder (70).
상기 흡입블로워(4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80)가 더 포함되되,
상기 구동제어부(80)는
작업자의 발로 가압하여 구동 제어가 이루어지는 풋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뒤집기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drive control unit 8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uction blower 40 is further included,
The drive control unit 80
Airbag fli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foot switch that is pressed by the operator's foot to drive control.
상기 에어백흡입공간부(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외측에서 에어백흡입공간부(20) 내의 시각적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창(21)이 더 포함되며,
상기 에어실린더(70)의 구동을 단속하는 구동버튼부(71)가 하우징(10)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뒤집기장치.
According to claim 2,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bag suction space portion 20 and further includes a see-through window 21 to allow visual recognition within the air bag suction space portion 20,
The airbag flip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button unit 71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air cylinder 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53773A KR102091736B1 (en) | 2018-05-10 | 2018-05-10 |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53773A KR102091736B1 (en) | 2018-05-10 | 2018-05-10 |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29312A KR20190129312A (en) | 2019-11-20 |
| KR102091736B1 true KR102091736B1 (en) | 2020-03-20 |
Family
ID=687293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53773A Active KR102091736B1 (en) | 2018-05-10 | 2018-05-10 |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91736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17158A (en) * | 1999-05-14 | 2000-11-21 | Tachi S Co Ltd | Reversing device for bag-like trim cover |
-
2018
- 2018-05-10 KR KR1020180053773A patent/KR1020917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317158A (en) * | 1999-05-14 | 2000-11-21 | Tachi S Co Ltd | Reversing device for bag-like trim cov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29312A (en) | 2019-11-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443326B1 (en) |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apparatus | |
| US6694710B2 (en) | Vacuum bag-sealing machine | |
| KR102091736B1 (en) |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 |
| CN108526837A (en) | Automatic assembling device people for flow line production | |
| KR101039349B1 (en) | Pumps of the lumbar support system for the seat | |
| EP1690810A3 (en) | Collapsible container and emptying device | |
| EP2656968B1 (en) | Suction head for a vacuum cleaner or vacuum cleaner with a suction head and battery-powered vacuum cleaner | |
| CN106742322B (en) | Bagging mechanism and bagging machine with same | |
| JP2022178261A (en) | Airbag device for pedestrian | |
| CN218789457U (en) | Air blowing type fruit bag opening device | |
| US10272486B2 (en) | Fixing gun and loading device thereof | |
| KR102179640B1 (en) | Handler apparatus | |
| ATE444875T1 (en) | FUNCTIONAL DEVICE FOR A LOADING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 |
| JP2004025524A (en) |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agitator of concrete hopper | |
| JP2001146214A (en) | Heat welding device | |
| JP2005172447A5 (en) | ||
| JPH11179722A (en) | Hand cutter | |
| KR20100079596A (en) | A auto suction device for milk from breast | |
| CN222311135U (en) | Dustproof feed arrangement of powder raw materials | |
| JP3529067B2 (en) | Filling carrier and filling equipment | |
| CN111097750A (en) | Air suction and blower | |
| CN109480398A (en) | A button wrapping machine | |
| CN217707946U (en) | A mobile vacuum feeder | |
| CN119348936B (en) | A flour automatic packaging, conveying and packaging device | |
| KR100551236B1 (en) | Nozzle Vacuum Packaging Machi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