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011B1 - Imaging lens - Google Patents
Imaging le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9011B1 KR102109011B1 KR1020120144890A KR20120144890A KR102109011B1 KR 102109011 B1 KR102109011 B1 KR 102109011B1 KR 1020120144890 A KR1020120144890 A KR 1020120144890A KR 20120144890 A KR20120144890 A KR 20120144890A KR 102109011 B1 KR102109011 B1 KR 1021090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imaging lens
- conditional expression
- optical system
- ima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59 cover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95—Relay lenses or rod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양볼록인 제 1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2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렌즈 굴절율을 n3이라고 할 때, 1.6 < n3 <1.7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that is both convex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second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a third lens having negative (−) refractive power. When the third lens has a refractive index of n3, it i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a conditional expression of 1.6 <n3 <1.7.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lens.
근래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폰, 장난감(toy)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소형화된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작은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을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demands for a small camera module are increasing for various multimedia fields such as tablet computers, camera phones, PDAs, smart phones, and toys, and also for image input devices such as surveillance cameras or video tape recorder information terminals. In particular, smart phones are in a trend of developing small-sized camera modules according to an increase in demand from consumers who prefer a compact design.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의 이미지 센서 칩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이미지 센서 칩에 렌즈를 통하여 사물을 집광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사물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달한다.Such a camera module is manufactured using an image sensor chip of CCD or CMOS, condensing an object through a lens on the image sensor chip,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displaying the object on a display medium such as an LCD display device. So that the video is delivered.
카메라 모듈이 상(image)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는 상을 결상하는 렌즈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얇아지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고,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촬상 렌즈 광학계도 박형화를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를 기존의 보이스 코일 모터를 사용하는 대신 단렌즈 무빙 방식으로 변경할 경우,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에 유리하므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for the camera module to obtain an image is a lens that forms an image. In recent years, the thinning of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equired, and part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r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ly, various researches and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pursue the thinning of the imaging lens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if the actuator performing the autofocusing function is changed to a single lens moving method instead of using a conventional voice coil moto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is since it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of th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초박형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촬상 렌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ing lens for providing an ultra-thin camera module.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양볼록인 제 1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2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렌즈 굴절율을 n3이라고 할 때, 1.6 < n3 <1.7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that is both convex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second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a third lens having negative (−) refractive power. When the third lens has a refractive index of n3, it is characterized by satisfying a conditional expression of 1.6 <n3 <1.7.
상기 제 1 렌즈는 굴절률이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ens may have the smallest refractive index.
상기 제 2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lens may be provided in a meniscus shape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image side.
상기 제 3 렌즈는 물체측으로 양면이 볼록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third len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niscus having convex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object.
상기 제 2 및 제 3 렌즈의 굴절률이 1.6 이상의 고굴절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and third lenses may be formed of high refractive lenses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6 or more.
제 1 내지 제 3 렌즈는 모두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All of the first to third lenses may have an aspherical surface.
전체 광학계의 두께를 Σd,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라고 할 때, 0.5<Σd/f<1.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Σd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0.5 <Σd / f <1.5 can be satisfied.
전체 광학계의 두께를 Σd,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이라고 할 때, 0.5<f1/f<1.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Σ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and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is f1,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0.5 <f1 / f <1.5 can be satisfied.
제 1 렌즈의 중심 두께를 d1, 제 1 렌즈의 상측면과 제 2 렌즈의 물체측면과의 사이 거리를 d2라고 할 때, 0.70<d1/d2<0.9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center thickness of the first lens is d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d2, a conditional expression of 0.70 <d1 / d2 <0.95 can be satisfi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2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렌즈의 굴절율을 n3이라고 할 때, 1.6 < n3 < 1.7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second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a third lens having negative (−) refractive power.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ens is n3, a conditional expression of 1.6 <n3 <1.7 may be satisfied.
상기 제 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len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niscus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object.
상기 제 2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lens may be provided in a meniscus shape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image side.
상기 제 3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third len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niscus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object.
상기 제 2 및 제 3 렌즈의 굴절률이 1.6 이상의 고굴절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and third lenses may be formed of high refractive lenses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6 or more.
제 1 내지 제 3 렌즈는 모두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All of the first to third lenses may have an aspherical surface.
상기 제 1 렌즈는 스톱면이 물체측면 및 상측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ens may have a stop surface formed on any one of an object side surface and an image side surface.
상기 제 2 및 제 3 렌즈의 아베수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be numbers of the second and third lenses may be formed in the same way.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의 아베수를 v1, v2, v3라고 할 때, (v1-v2)/v3 > 1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Abbe numbers of the first to third lenses are v1, v2, and v3, a conditional expression of (v1-v2) / v3> 1 may be satisfied.
제 1 렌즈 물체측 면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ΣT,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할 때, 0.5 < ΣT/f < 1.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from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ing surface is ΣT,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0.5 <ΣT / f <1.5 can be satisfied.
전체 광학계의 두께를 Σd,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할 때, 0.5< Σd/f <1.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Σd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0.5 <Σd / f <1.5 can be satisfied.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이라고 할 때, 0.5 < f1/f < 1.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and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is f1, a conditional expression of 0.5 <f1 / f <1.5 can be satisfied.
제 1 렌즈의 중심 두께를 d1, 제 1 렌즈의 상측면과 제 2 렌즈의 물체측면과의 사이 거리를 d2라고 할 때, 0.70< d1/d2 <0.9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center thickness of the first lens is d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d2, a conditional expression of 0.70 <d1 / d2 <0.95 can be satisfied.
제 2 렌즈의 첫 번째 면의 곡률을 R3,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할 때, R3/f < -0.5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R3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R3 / f <-0.5 can be satisfied.
제 2 렌즈의 굴절율을 N2, 제 3 렌즈의 굴절률을 N3라고 할 때, 1.6 < N2, N3 < 1.7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is N2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ens is N3, a conditional expression of 1.6 <N2, N3 <1.7 can be satisfied.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유효구경을 D라고 할 때, FNO = f/D, 2.2< FNO < 3.0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When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and the effective diameter is D,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FNO = f / D, 2.2 <FNO <3.0 can be satisfied.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TL,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할 때, TL/f > 1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is TL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TL / f> 1 can be satisfied.
3매의 렌즈를 이용하여 초박형 카메라 모듈에 사용 가능한 촬상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aging lens usable for an ultra-thin camera module using three lense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le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graph showing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수차를 도시한 그래프 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ing le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graph showing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Th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graph showing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of the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촬상 렌즈는 복수개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촬상 렌즈가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렌즈의 두께, 크기,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은 일 실시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imaging len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ing lens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es may be disposed around an optical axis. At this time, the thickness, size, and shape of the lenses shown in FIGS. 1 and 3 are exaggerated for explanation, and the spherical or aspherical shape i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촬상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ing lens applied to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조리개, 제 1 렌즈(10),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 및 필터(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amera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perture, a
피사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광은 상기 제 1 렌즈(10),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 및 필터(40)를 통과하여, 미도시된 이미지 센서 측으로 입사될 수 있다.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ubject may pass through the
이하에서 각 렌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물체측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물체측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하며, "상측면"이라 함은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촬상면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each lens, the term “object side” refers to the surface of the lens facing the object sid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and the term “image side” refers to the lens facing the imaging surface based on the optical axis. It means the side of.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한 3매의 렌즈를 구성하여 초박형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를 형성하는 것에 있다.Th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optical system of the ultra-thin camera module by configuring the three lenses described above.
상기 제 1 렌즈(1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 2 렌즈(2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 3 렌즈(30)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제 1 렌즈(10)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양면이 볼록한 볼록렌즈이고, 상기 제 2 렌즈(20)는 상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렌즈(30)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이때, 상기 제 1 렌즈(10),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는 모든 면에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또한, 제 2 렌즈(20) 및 제 3 렌즈(30)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고굴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필터(40)는 적외선 차단 필터, 커버 글래스 등의 광학적 필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필터이다. 필터(40)로서, 적외선 차단 필터가 적용되는 경우,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이 이미지 센서(미도시)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하고, 적외선 파장 대역의 빛은 투과시키지 않는다.The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건식 및 실시예는 작용효과를 상승시키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반드시 이하의 조건들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건식들 중 일부의 조건식들만을 만족하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렌즈 구성은 상승된 작용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e conditional expressions and examples described below are preferred examples of increasing the effect of ac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composed of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even if only some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described below are satisfied, the len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creased effect.
[조건식 1] 0.5<Σd/f<1.5[Conditional Expression 1] 0.5 <Σd / f <1.5
[조건식 2] 0.5<f1/f<1.5[Conditional Expression 2] 0.5 <f1 / f <1.5
[조건식 3] 0.70<d1/d2<0.95
[Conditional Expression 3] 0.70 <d1 / d2 <0.95
여기서,here,
Σd는 total 광학계 두께Σd is the total optical system thickness
f는 total 광학계 초점거리f is the total optical system focal length
f1는 제 1 렌즈의 초점거리f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N2는 제 2 렌즈의 굴절률N2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d1는 제 1 렌즈의 중심 두께d1 is the center thickness of the first lens
d2는 제 1 렌즈의 상 측면과 제2 렌즈의 물체측 면과의 사이의 거리 이다.
d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다음 표 1은 상술한 조건식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Table 1 shows an example that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al expression.
여기서,here,
f는 광학계 초점거리,f is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f1, f2, f3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초점거리,f1, f2, and f3 are the first to third lens focal lengths,
ΣT는 제 1 렌즈 물체측 면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이다.ΣT i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object side surface to the imaging surface.
다음 표 2에서는 각 렌즈면의 렌즈 면 데이터를 보여준다.Table 2 below shows the lens surface data of each lens surface.
상기 표 2 및 이하 표 3에서 면 번호 옆에 병기된 *는 비구면을 나타낸다.In Table 2 and Table 3 below, * written next to the surface number indicates an aspherical surface.
다음 표 3은 상기 표 2의 실시예에서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을 나타낸다.Table 3 below shows the values of the aspheric coefficients of each lens in the embodiment of Table 2 abo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에서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된 수차도에서는 거의 모든 필드에서 상들의 값이 Y축에 인접하게 나타나므로,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가 모두 우수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2 is a graph showing aberration dia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graph measuring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c field curves, and distortion aberration in order from the left. In FIG. 2, it is interpreted that as the curves approach the Y-axis, the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is good. In the illustrated aberration diagram, since the values of the images appear in the vicinity of the Y axis in almost all fields,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aberration all show excellent values.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촬상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ing lens applied to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조리개, 제 1 렌즈(10),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 및 필터(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amera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perture, a
피사체의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광은 상기 제 1 렌즈(10),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 및 필터(40)를 통과하여, 미도시된 이미지 센서 측으로 입사될 수 있다.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subject may pass through the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차이는 각 렌즈의 굴절력 배치에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in the arrangement of the refractive power of each lens.
상기 제 1 렌즈(1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 2 렌즈(20)는 음(-)의 굴절력을 가지며, 상기 제 3 렌즈(30)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제 1 렌즈(10)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이고, 상기 제 2 렌즈(20)는 상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렌즈(30)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이때, 상기 제 1 렌즈(10), 제 2 렌즈(20), 제 3 렌즈(30)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인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 1 렌즈(10)는 가장 작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렌즈(20) 및 제 3 렌즈(30)는 굴절률이 1.6 이상인 고굴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및 제 3 렌즈(20)(30)는 동일한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The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건식 및 실시예는 작용효과를 상승시키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반드시 이하의 조건들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건식들 중 일부의 조건식들만을 만족하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렌즈 구성은 상승된 작용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e conditional expressions and examples described below are preferred examples of increasing the effect of action,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composed of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example, even if only some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described below are satisfied, the len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creased effect.
[조건식 4] (v1-v2)/v3 > 1[Conditional Expression 4] (v1-v2) / v3> 1
여기서, here,
V1는 제 1 렌즈의 아베수, V2는 제 2 렌즈의 아베수, V3는 제 3 렌즈의 아베수 이다.V1 is the Abbe number of the first lens, V2 is the Abbe number of the second lens, and V3 is the Abbe number of the third lens.
[조건식 5] 0.5 < ΣT/f < 1.5,[Conditional Expression 5] 0.5 <ΣT / f <1.5,
[조건식 6] 0.5 < Σd/f < 1.5,[Condition 6] 0.5 <Σd / f <1.5,
[조건식 7] 0.5 < f1/f < 1.5,[Conditional Expression 7] 0.5 <f1 / f <1.5,
[조건식 8] 0.70 < d1/d2 < 0.95,[Conditional Expression 8] 0.70 <d1 / d2 <0.95,
[조건식 9] R3/f < -0.5,[Conditional Expression 9] R3 / f <-0.5,
[조건식 10] 1.6 < N2, N3 < 1.7,[Conditional Expression 10] 1.6 <N2, N3 <1.7,
[조건식 11] FNO = f/D[Conditional Expression 11] FNO = f / D
[조건식 12] 2.2< FNO < 3.0,[Conditional Expression 12] 2.2 <FNO <3.0,
[조건식 13] TL/f > 1
[Conditional Expression 13] TL / f> 1
여기서, here,
R3는 제 2 렌즈의 첫 번째 면의 곡률,R3 is the curvature of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lens,
TL은 광학계의 총 길이,TL is the tot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ΣT는 제 1 렌즈 물체측 면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ΣT i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object side surface to the imaging surface,
f는 total 광학계 초점거리,f is the total optical system focal length,
f1는 제 1 렌즈의 초점거리,f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N2는 제 2 렌즈의 굴절률,N2 i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Σd는 total 광학계 두께,Σd is the total optical system thickness,
d1는 제 1 렌즈의 중심 두께,d1 is the center thickness of the first lens,
d2는 제 1 렌즈의 상 측면과 제2 렌즈의 물체측 면과의 사이의 거리 이다.d2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상기한 조건식을 만족해야 고해상력의 렌즈 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다.
Only when the above conditional expression is satisfied, a high resolution lens optical system can be formed.
다음 표 4는 상술한 조건식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Table 4 shows an example that satisfies the above conditional expression.
여기서,here,
F는 광학계 초점거리F is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f1, f2, f3는 제 1 내지 제 3 렌즈 초점거리f1, f2, and f3 are the first to third lens focal lengths
ΣT는 제 1 렌즈 물체측 면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이다.ΣT i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lens object side surface to the imaging surface.
다음 표 5에서는 각 렌즈의 렌즈 면 데이터를 보여준다.Table 5 below shows the lens surface data of each lens.
상기 표 5 및 이하 표 6에서 면 번호 옆에 병기된 *는 비구면을 나타낸다.In Table 5 and Table 6 below, * in the side of the surface number indicates an aspherical surface.
다음 표 6은 상기 표 5의 실시예에서 각 렌즈의 비구면 계수의 값을 나타낸다.The following Table 6 shows the values of the aspheric coefficients of each lens in the Example of Table 5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차도를 도시한 그래프로서, 좌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종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에서 곡선들이 Y축에 접근될수록 수차 보정기능이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도시된 수차도에서는 거의 모든 필드에서 상들의 값이 Y축에 인접하게 나타나므로, 구면수차, 비점수차, 왜곡수차가 모두 우수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4 is a graph showing aberration dia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graph measuring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c field curves, and distortion aberration in order from the left. In FIG. 4, it is interpreted that as the curves approach the Y-axis, the aberration correction function is good. In the illustrated aberration diagram, since the values of the images appear in the vicinity of the Y axis in almost all fields,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aberration all show excellent values.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nd modif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제 1 렌즈 20; 제 2 렌즈
30; 제 3 렌즈 40; 적외선 차단 필터10;
30;
Claims (26)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2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렌즈의 굴절률은 1.6과 1.7 사이이고,
상기 제 1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및 제 3 렌즈의 굴절률보다 작고,
상기 제 2 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인 촬상 렌즈.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second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It includes a third lens having a negative (-) refractive pow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ens is between 1.6 and 1.7,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is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and third lense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is 1.6 or more imaging lens.
양볼록인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lens,
Biconvex imaging lens.
상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인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lens,
An imaging lens in the form of a meniscus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image side.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인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lens,
An imaging lens in the form of a meniscus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object.
제 1 내지 제 3 렌즈는 모두 비구면을 가지는 촬상 렌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o third lenses all have an aspherical imaging lens.
전체 광학계의 두께를 Σd,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라고 할 때,
0.5<Σd/f<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Σd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0.5 <Σd / f <1.5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이라고 할 때,
0.5<f1/f<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and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is f1,
0.5 <f1 / f <1.5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제 1 렌즈의 중심 두께를 d1, 제 1 렌즈의 상측면과 제 2 렌즈의 물체측면과의 사이 거리를 d2라고 할 때,
0.70<d1/d2<0.9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center thickness of the first lens is d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d2,
0.70 <d1 / d2 <0.95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1 렌즈;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2 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 3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렌즈의 굴절률은 1.6에서 1.7 사이이고,
상기 제 1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 2 및 제 3 렌즈의 굴절률보다 작고,
상기 제 2 렌즈의 굴절률은 1.6 이상인 촬상 렌즈.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second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It includes a third lens having a negative (-) refractive pow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ens is between 1.6 and 1.7,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is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and third lense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is 1.6 or more imaging lens.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인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lens,
An imaging lens in the form of a meniscus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object.
상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인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cond lens,
An imaging lens in the form of a meniscus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image side.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가지는 메니스커스 형태인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hird lens,
An imaging lens in the form of a meniscus having a convex surface toward the object.
제 1 내지 제 3 렌즈는 모두 비구면을 가지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to third lenses all have an aspherical imaging lens.
스톱면이 물체측면 및 상측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lens,
An imaging lens in which a stop surface is formed on either an object side or an image side.
상기 제 2 및 제 3 렌즈의 아베수는 동일한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The Abbe number of the second and third lenses is the same imaging lens.
상기 제 1 내지 제 3 렌즈의 아베수를 v1, v2, v3라고 할 때,
(v1-v2)/v3 > 1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Abbe number of the first to third lenses is v1, v2, v3,
(v1-v2) / v3> 1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제 1 렌즈 물체측 면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ΣT,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할 때,
0.5 < ΣT/f < 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distance from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ing surface is ΣT,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0.5 <ΣT / f <1.5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전체 광학계의 두께를 Σd,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할 때,
0.5< Σd/f <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Σd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0.5 <Σd / f <1.5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이라고 할 때,
0.5 < f1/f < 1.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and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is f1,
0.5 <f1 / f <1.5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제 1 렌즈의 중심 두께를 d1, 제 1 렌즈의 상측면과 제 2 렌즈의 물체측면과의 사이 거리를 d2라고 할 때,
0.70< d1/d2 <0.9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center thickness of the first lens is d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d2,
0.70 <d1 / d2 <0.95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제 2 렌즈의 첫 번째 면의 곡률을 R3,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할 때,
R3/f < -0.5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curvature of the first surface of the second lens is R3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R3 / f <-0.5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제 2 렌즈의 굴절율을 N2, 제 3 렌즈의 굴절률을 N3라고 할 때,
1.6 < N2, N3 < 1.7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lens is N2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lens is N3,
1.6 <N2, N3 <1.7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 유효구경을 D라고 할 때,
FNO = f/D,
2.2< FNO < 3.0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and the effective diameter is D,
FNO = f / D,
2.2 <FNO <3.0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TL, 전체 광학계의 초점거리를 f라고 할 때,
TL/f > 1
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is TL and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f,
TL / f> 1
Imaging lens that satisfies the conditional expression of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44890A KR102109011B1 (en) | 2012-12-12 | 2012-12-12 | Imaging le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144890A KR102109011B1 (en) | 2012-12-12 | 2012-12-12 | Imaging len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53284A Division KR102244019B1 (en) | 2020-05-04 | 2020-05-04 | Imaging len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76409A KR20140076409A (en) | 2014-06-20 |
| KR102109011B1 true KR102109011B1 (en) | 2020-05-11 |
Family
ID=5112875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44890A Active KR102109011B1 (en) | 2012-12-12 | 2012-12-12 | Imaging len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09011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163340A (en) | 2004-12-03 | 2006-06-22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Optical system for high resolution using plastic lens |
| KR100791643B1 (en) | 2005-12-16 | 2008-01-03 |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 Imaging lens |
| JP2008139853A (en) | 2006-11-08 | 2008-06-19 | Fujinon Corp | Imaging lens having three-lens configuratio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ment |
| KR100862392B1 (en) | 2007-05-31 | 2008-10-13 | 주식회사 코렌 | Photographing lens optical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SG140461A1 (en) * | 2003-07-11 | 2008-03-28 | Konica Minolta Opto Inc |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uni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with this image pick-up unit |
| KR100627051B1 (en) * | 2004-08-20 | 2006-09-25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Lens system and portable mobile device having same |
| KR101215826B1 (en) * | 2010-06-16 | 2012-12-27 | 주식회사 코렌 |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
| KR101171517B1 (en) | 2010-06-24 | 2012-08-06 | 삼성전기주식회사 | Subminiature Optical System |
| KR101276534B1 (en) | 2011-02-17 | 2013-06-24 | 주식회사 코렌 |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
-
2012
- 2012-12-12 KR KR1020120144890A patent/KR1021090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6163340A (en) | 2004-12-03 | 2006-06-22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Optical system for high resolution using plastic lens |
| KR100791643B1 (en) | 2005-12-16 | 2008-01-03 | 마일스톤 가부시키가이샤 | Imaging lens |
| JP2008139853A (en) | 2006-11-08 | 2008-06-19 | Fujinon Corp | Imaging lens having three-lens configuratio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ment |
| KR100862392B1 (en) | 2007-05-31 | 2008-10-13 | 주식회사 코렌 | Photographing lens optical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40076409A (en) | 2014-06-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904623B2 (en) |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imaging lens | |
| US20200142157A1 (en) |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 |
| KR102380229B1 (en) | Photographing lens system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KR102270077B1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US9104013B2 (en) | Imaging lens | |
| US9235029B2 (en) |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aging lens | |
| CN107632366B (en) | Imaging mirror group,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 CN111443461A (en) | Optical system, lens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KR101980642B1 (en) | Imaging lens | |
| US9176302B2 (en) | Imaging lens | |
| KR102015852B1 (en) | Imaging lens | |
| JP2009069195A (en) | Imaging lens, camera module and imaging equipment | |
| JP2015222369A (en) |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provided with imaging lens | |
| CN212111955U (en) | Optical systems, lens modules and electronics | |
| KR20180070870A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CN111338063A (en) | Optical systems, lens modules and electronics | |
| KR20150012571A (en) | Imaging lens system and imag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 KR101724264B1 (en) | Photographing lens system | |
| KR102220638B1 (en) | Imaging lens | |
| KR101724265B1 (en) | Photographing lens system | |
| KR102216374B1 (en) | Imaging lens | |
| KR102109013B1 (en) | Imaging lens | |
| EP3933475A1 (en) | Optical system,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 KR20180071015A (en) | Image pickup lens, camera module and digital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KR101561819B1 (en) | Compact Imaging Len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3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5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