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755B1 -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0755B1 KR102100755B1 KR1020190042086A KR20190042086A KR102100755B1 KR 102100755 B1 KR102100755 B1 KR 102100755B1 KR 1020190042086 A KR1020190042086 A KR 1020190042086A KR 20190042086 A KR20190042086 A KR 20190042086A KR 102100755 B1 KR102100755 B1 KR 102100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connection
- fixing
- frame
- fl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상이나 외벽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징크패널의 시공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징크패널들 간의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함은 물론,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In more detail, the construction of a number of zinc panels installed on the roof or exterior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can be performed simply,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work process, and providing a solid fixing force between the zinc panels, as well as easy separation. It relates to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constructed for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및 공장 등과 같은 건축물에서는 다양한 외장패널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외장패널은 건물 외측에 프레임을 설치한 후, 이 프레임에 외장패널을 설치하는 건식공법(dry wall fixing)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exterior panels are being constructed in buildings such as buildings, apartments, and factories. For the exterior panel, a dry wall fixing method in which an exterior panel is installed on the frame after the frame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is mainly used.
종래에는 외장패널을 볼트나 너트 나사못 등의 결합구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직접 고정하거나 외장패널들을 연결하였으며, 또한 실리콘과 같은 마감재를 이용하여 연결부분을 마감 처리하여 외장패널의 연결부분에 이물질이 끼거나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다.Conventionally, the external panel was directly fixed to the frame using a coupling hole such as a bolt or a nut screw, or the external panels were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part was finished using a finishing material such as silicone, so that foreign matter was stuck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external panel. Or prevented water from penetrating.
그러나 결합구의 이용에 따라 미관상의 기능을 갖는 외장패널의 사용에 있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spoiling the aesthetics in the use of the exterior panel having an aesthetic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upling tool.
또한 연결부분의 마감처리를 위한 마감재의 사용으로 마감재 부분의 오염물질 점착과 풍화에 따라 상기 마감재 부분의 변색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결합구 및 마감재에 따른 별도의 공정이 더 필요함에 따라 공정의 복잡성 및 이로 인한 비용의 추가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se of a finishing material for the finish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caused a problem of discolora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portion due to adhesion and weathering of pollutants in the finishing material portion. Moreo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ditional processe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joining tool and the finishing material, and thus,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and the additional cost are caus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외벽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징크패널의 시공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by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and it is possible to simplify construction of a number of zinc panels installed on a rooftop or exterior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thereby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work proces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은 징크패널들 간의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체 후에도 재활이 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한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 rigid fixing force between the zinc panels and to be separ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it can be used for permanent rehabilitation even after dismantling, as well as providing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that can be easily moved to another place.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등에 시공시 못과 같은 부재의 노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됨은 물론, 옥상 등의 외적 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exposure of a member such as a nail during construction on the roof of a building, as well as to provide an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that can improve the external aesthetics of the roof.
또한, 본 발명은 빗물 등이 연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바닥 평면형으로 구성되어 옥상의 방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which is configured in a floor planar form so that rainwater and the like are discharged to both open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thereby maximiz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roof.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of course included in the object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 means or the embodiment of the subject even if not explicitly stated.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는 프레임 고정홈과, 건축물의 외벽이나 옥상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이 구성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 및 일측 단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고정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및 고정되는 패널 연결부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징크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rame fixed groov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support frame consisting of a fixed bracke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r roof of the building; A connection frame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a plurality of zinc panels comprising one panel end and a panel fix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 and a panel connec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and detachab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anel fixing part.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고정홈에 삽입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 플랜지와, 상기 연결바에 구성되고, 상기 패널 고정부가 삽입 및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결합되며,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패널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클립부재와, 상기 연결바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클립부재의 상부 및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클립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클립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frame is composed of a connecting bar inserted into the frame fixing groove, a connecting flang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and the connecting bar, and the panel fixing part is inserted and mounted. Mount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bar, and a clip member for fixing the panel fixing part b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connecting bar,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lip member are fixed,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ip fixing hole to be formed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lip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 고정부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재와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턱과, 상기 가압부의 타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패널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 연결부와 결합되는 패널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fix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clip member, and a fixing jaw forme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fixed with the clip member , It is formed to extend to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panel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nel engaging projection coupled to the panel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널 연결부는, 상기 징크패널의 타측부를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결합 플랜지와, 상기 결합 플랜지로부터 상향 수직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체결 지지부와, 상기 체결 지지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nel connection portion, a coupling flange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zinc panel to the connection frame, a coupling support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coupling flange, and the coupling support It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panel engaging projection is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패널 연결부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패널 연결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체결 지지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recessed inside the panel connec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support portion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anel conn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 플랜지는, 상기 연결 플랜지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1플랜지부의 끝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상부 내면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flange, the first flange portion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lange, the first flange portion is formed downwardly bent from the end portion, close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cond flang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징크패널의 전방 및 후방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과 다수개의 징크패널들의 연결 부분을 밀폐시키는 앤드캡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zinc panel are respectively detachably coupled, and an end cap is further configured to seal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zinc panel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의 옥상이나 외벽 구조물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징크패널의 시공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 공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struction of a plurality of zinc panels installed on the roof or exterior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can be performed simply, the operation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징크패널들 간의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해체 후에도 재활이 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igid fixing force between the zinc panels and being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t the same time, it can be rehabilitated even after dismantling, and can be used permanently, and has an effect of being easily moved to another place.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의 옥상 등에 시공시 못과 같은 부재의 노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됨은 물론, 옥상 등의 외적 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prevent exposure of a member such as a nail during construction on the roof of a building, and also has an effect of improving external aesthetics such as a ro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빗물 등이 연결 프레임의 개방된 양측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바닥 평면형으로 구성되어 옥상의 방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inwater, etc. are configured in a floor planar shape to discharge to both open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thereby maximiz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roof.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various and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의 징크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의 징크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의 징크패널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의 클립부재 및 연결 프레임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의 앤드캡을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이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par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zinc panel of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zinc panel of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zinc panel of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showing clip members and connection frames of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8 to 11 are views showing an end cap of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to 1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roof of a build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의 징크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의 징크패널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의 클립부재 및 연결 프레임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zinc panel of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zinc panel of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clip member and a connection frame of the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은 지지 프레임(100), 연결 프레임(200), 징크패널(300) 및 앤드캡(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the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지지 프레임(100)은 건축물의 외벽이나 옥상에 시공되는 것으로 사각의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된다. The supporting
지지 프레임(100)에는 연결 프레임(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 고정홈(110)이 형성된다. 프레임 고정홈(110)은 연결 프레임(200)에 구성된 연결바(21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The
프레임 고정홈(110)은 지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됨으로써, 다수개의 연결 프레임(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또한, 지지 프레임(100)에는 프레임 고정홈(110)의 상단부 양측으로 연결 프레임(200)과의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 등이 체결되는 프레임 체결공(12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지지 프레임(100)은 건축물의 외벽이나 옥상 등에 고정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 일면으로 앙카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다수개의 고정 브라켓(130)이 더 구성된다. The
즉, 지지 프레임(100)이 건축물의 외벽이나 옥상 등에 고정되게 설치가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상부면으로 연결 프레임(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연결 프레임(200)은 지지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며, 지지 프레임(100)과 격자 무늬를 이루도록 결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연결 프레임(200)은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상부로 징크패널(300)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연결바(210), 연결 플랜지(220) 및 클립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연결바(210)는 지지 프레임(100)의 프레임 고정홈(110)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연결 프레임(200)이 지지 프레임(1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The
이러한 연결바(210)는 그 대략적인 형상이 "U"자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구성되며, 징크패널(3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패널 고정부(310)가 삽입 및 장착되는 장착부(230)가 형성된다. The
또한, 연결바(210)에는 징크패널(300)에 형성되는 패널 고정부(3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클립부재(250)가 결합되는 클립 고정홀(240)이 더 구성된다. Further, the
클립 고정홀(240)은 장착부(23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클립부재(250)의 탄성편(252)이 장착부(230)의 내부 공간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된다. The
이러한 클립 고정홀(240)은 클립부재(250)의 상부가 고정되는 상부 고정홀(242)과, 클립부재(250)가 탄성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클립부재(250)의 하부가 고정되는 하부 고정홀(242)으로 이루어진다. The
또한, 연결 플랜지(220)는 연결바(210)의 상단 양측부에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 프레임(100)에 구성되는 프레임 체결공(120)의 상부에 안착되게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체결공(120)과 동축선상에 위치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고정볼트 등에 의해 지지 프레임(100)과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연결 플랜지(220)의 일측 끝단부에는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부에 밀착되도록 하향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받침패널(222)이 형성된다. 받침패널(222)은 연결 프레임(200)의 일측 끝단부가 지지 프레임(100)의 측면부에 밀착되게 구성되도록 하고, 프레임 체결공(120)과 관통공이 동일중심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이에, 연결 프레임(200)을 지지 프레임(100)에 결합할 때 고정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프레임 체결공(120) 및 관통공의 센터 정렬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쉽고 간편하게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클립부재(250)는 연결 프레임(200)의 클립 고정홀(2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장착부(230)로 삽입되는 징크패널(30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연결 프레임(200)의 연결바(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된다. The
이러한 클립부재(250)는 상기 클립 고정홀(240)의 상부 고정홀(242)에 삽입 및 고정되는 상부 고정편(256)과, 상기 상부 고정편(256)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편(254)과, 지지편(254)의 하부에 절곡 형성되며 하부 고정홀(244)에 배치되고, 징크패널(300)의 패널 고정부(310)를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탄성편(252) 및 탄성편(252)의 하단부에 절곡 형성되며 하부 고정홀(244)의 하단부에 안착되면서 클립부재(25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하부 고정편(258)으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탄성편(252)은 패널 고정부(3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압부(314)의 접촉시 하부 고정홀(244)의 내부로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인입이 이루어지고, 이후 가압부(314)가 탄성편(25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인입된 탄성편(252)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가압부(314)의 상단부를 이루는 고정턱(312)이 안착되면서 패널 고정부(310)가 장착부(230)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Here, the
징크패널(300)은 금속 재질의 패널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조립식 외장패널의 마감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연결 프레임(2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이러한 징크패널(300)은 일측 단부를 이루며 연결 프레임(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고정부(310)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징크패널(300)들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패널 연결부(320) 및 패널 고정부(310)와 패널 연결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상판(302)으로 구성된다. The
패널 고정부(310)는 상판(302)의 일측 단부에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 프레임(200)의 장착부(23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하단부가 장착부(230)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클립부재(250)의 탄성편(252)을 가압하는 가압부(314)와, 상기 가압부(314)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되며, 탄성편(252)의 하단부가 안착되면서 징크패널(300)의 일측 단부가 연결 프레임(2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턱(312)으로 구성된다. The
또한, 패널 고정부(310)는 가압부(314)의 타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패널 연결부(320)가 결합되어 징크패널(300)들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삽입부(316) 및 패널 결합돌기(318)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삽입부(316)는 가압부(314)의 타측부, 즉 고정턱(312)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가압부(314)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되 절곡 형성되어 패널 연결부(320)의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The
이러한 삽입부(316)는 전방 및 후방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패널 연결부(320)가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삽입부(316)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이때, 삽입부(316)의 끝단부에는 패널 연결부(320)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홈(328)에 결합되는 패널 결합돌기(318)가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패널 연결부(320)는 징크패널(300)의 타측 단부를 이루며, 패널 고정부(310)에 구성되는 삽입부(31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수개의 징크패널(300)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징크패널(300)의 타측부가 연결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징크패널(300)이 연결 프레임(200)으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 플랜지(322), 체결 지지부(326) 및 결합홈(328)으로 구성된다. The
결합 플랜지(322)는 패널 연결부(320)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연결 프레임(200)에 구성된 연결 플랜지(220)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연결 플랜지(220)를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100)과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패널 연결부(320)가 연결 프레임(200), 또는 지지 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와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체결 지지부(326)는 결합 플랜지(322)로부터 상향 수직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며, 체결수단의 용이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패널 연결부(320)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홈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패널 고정부(310)의 삽입부(316)의 내벽면과 체결 지지부(326)의 외벽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결합홈(328)은 체결 지지부(326)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패널 고정부(310)에 구성되는 패널 결합돌기(318)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이때, 결합홈(328)은 패널 연결부(320)를 패널 고정부(310)에 연결하기 위해 삽입부(316)의 내부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패널 결합돌기(318)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when the
이와 같은 패널 연결부(320)는 결합 플랜지(322)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200)의 연결 플랜지(220)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1플랜지부(322a)와, 상기 제1플랜지부(322a)의 끝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형성되며, 장착부(230)의 상부 내면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322b)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이때, 상기 결합 플랜지(322)가 제1 및 제2플랜지부(322a, 322b)로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부(316)의 단부, 다시말해 가압부(314)와 삽입부(316)의 경계면이 상기 결합 플랜지(322) 및 체결수단의 상부면을 덮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징크패널(300)들의 연결시 결합 플랜지(322) 및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또한, 상기 결합 플랜지(322)가 제1 및 제2플랜지부(322a, 322b)로 이루어지는 경우, 체결 지지부(326)는 평면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삽입부(316)의 내면과 밀착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앤드캡(400)은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316)의 전방 및 후방부를 밀폐시켜 패널 고정부(310)와 패널 연결부(320)의 연결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삽입부(316)의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나 빗물 등의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연결 부분의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징크패널(300)의 해체시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러한 앤드캡(4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삽입부(316)의 전방 및 후방측 선단부를 밀폐시키는 제1밀폐부(410)와, 상기 삽입부(316)와 상판(3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앤드캡(400)을 징크패널(300)에 고정시키는 제1캡 고정부(420)로 구성된다. 8 and 9, the
또한, 본 발명의 앤드캡(400)은 상기 결합 플랜지(322)가 제1 및 제2플랜지부(322a, 322b)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322a, 322b)를 밀폐시키는 제2밀폐부(430)와, 상기 패널 고정부(310)의 전,후방측 선단부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밀폐부(430)가 징크패널(3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캡 고정부(4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이때, 상기 제1 및 제2캡 고정부(420)는 징크패널(3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통상의 끼움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0)의 옥상 등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공시 연결 프레임(200)의 양끝단부에 각각 빗물 등을 배출하는 배출홀(512)이 형성된 물받이 부재(510)를 구성함으로써, 연결 프레임(200)의 개방된 양측 단부로 배출되는 빗물이 불받이 부재(510)를 통해 건축물(1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structed on the roof of the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The terms "comprise", "consist" or "have" as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the same meaning as that.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지지 프레임 110: 프레임 고정홈
120: 프레임 체결공 130: 고정 브라켓
200: 연결 프레임 210: 연결바
220: 연결 플랜지 230: 장착부
240: 클립 고정홀 250: 클립부재
300: 징크패널 310: 패널 고정부
320: 패널 연결부 400: 앤드캡
410: 제1밀폐부 420: 제1캡 고정부
430: 제2밀폐부 440: 제2캡 고정부100: support frame 110: frame fixing groove
120: frame fastener 130: fixing bracket
200: connecting frame 210: connecting bar
220: connection flange 230: mounting
240: clip fixing hole 250: clip member
300: zinc panel 310: panel fixing part
320: panel connection 400: end cap
410: first sealing portion 420: first cap fixing portion
430: second sealing portion 440: second cap fixing portion
Claims (7)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프레임; 및
일측 단부를 이루며, 상기 연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패널 고정부와,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 고정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및 고정되는 패널 연결부로 구성되는 다수개의 징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고정홈에 삽입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 플랜지와, 상기 연결바에 구성되고, 상기 패널 고정부가 삽입 및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연결바의 일측에 결합되며,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패널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클립부재와, 상기 연결바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클립부재의 상부 및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클립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클립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
A support frame comprising a frame fixing groov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redetermined spaces, and a fixing bracket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r roof of the building;
A connection frame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Containing one end, a plurality of zinc panels consisting of a panel fix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 and a panel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and detachab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anel fixing portion;
The connection frame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into the frame fixing groove, the connection flang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 is configured in the connection bar, the panel fixing part is inserted and mounted,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on bar, a predetermined Clip member for fixing the panel fixing por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and is configur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connection ba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lip member are fixed, and the clip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lip member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comprising a hole.
상기 패널 고정부는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일측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재와 고정이 이루어지는 고정턱과, 상기 가압부의 타측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패널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 연결부와 결합되는 패널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fixing part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clip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clip member and the fixing jaw is fixed, and is formed to extend to the oth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A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serting portion into which the panel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and an end portion of the inserting portion, and includes a panel engaging projection engaged with the panel connecting portion.
상기 패널 연결부는,
상기 징크패널의 타측부를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결합 플랜지와, 상기 결합 플랜지로부터 상향 수직하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체결 지지부와, 상기 체결 지지부와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패널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
According to claim 3,
The panel connection,
A coupling flange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zinc panel to the connection frame, a coupling support form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coupling flange, and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coupling support, the panel coupling protrusions being coupled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upling groove
상기 체결 지지부는, 상기 패널 연결부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패널 연결부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체결 지지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
According to claim 4,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the prefabricated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be recessed inside the panel connection portion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anel connection portion.
상기 결합 플랜지는,
상기 연결 플랜지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1플랜지부의 끝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상부 내면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외장패널.
According to claim 4,
The coupling flange,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flange portion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lange, and a second flange portion formed downwardly bent from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Exterior pane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42086A KR102100755B1 (en) | 2019-04-10 | 2019-04-10 |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42086A KR102100755B1 (en) | 2019-04-10 | 2019-04-10 |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00755B1 true KR102100755B1 (en) | 2020-04-14 |
Family
ID=7029140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42086A Active KR102100755B1 (en) | 2019-04-10 | 2019-04-10 |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00755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342718A (en) * | 2000-06-02 | 2001-12-14 | Joto Kikai Seizo Kk | Roof boards |
| KR20030042782A (en) | 2001-11-24 | 2003-06-02 | 김진웅 | Prefabricated sandwich panel for a structure |
| KR20100097815A (en) | 2009-02-27 | 2010-09-06 | 이윤재 | Structural roof sandwitch panel using zinc plate |
| KR101377647B1 (en) * | 2012-12-20 | 2014-03-25 | 주신기업(주) | Building exterior materials combined device |
-
2019
- 2019-04-10 KR KR1020190042086A patent/KR1021007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1342718A (en) * | 2000-06-02 | 2001-12-14 | Joto Kikai Seizo Kk | Roof boards |
| KR20030042782A (en) | 2001-11-24 | 2003-06-02 | 김진웅 | Prefabricated sandwich panel for a structure |
| KR20100097815A (en) | 2009-02-27 | 2010-09-06 | 이윤재 | Structural roof sandwitch panel using zinc plate |
| KR101377647B1 (en) * | 2012-12-20 | 2014-03-25 | 주신기업(주) | Building exterior materials combined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48118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finishing panel for building | |
| AU2019226990B2 (en)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ladding | |
| KR101874580B1 (en) | Connecting struture of curtain wall | |
| JP5946869B2 (en) | Outer wall mounting member and outer wall structure | |
| KR102100755B1 (en) | Exterior panel for construction | |
| JP6872314B2 (en) | Joinery and how to install joinery | |
| KR101697743B1 (en) | Connecting struture of curtain wall | |
| KR101057561B1 (en) | Building wall decoration | |
| KR102015433B1 (en) | Curtain wall | |
| KR101833232B1 (en) | Curtain wall assembly with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and having structure system for using capture type and hidden type curtain wall both | |
| KR20240114970A (en) | Hanger type pannel and overlap install structure for non-calking of the same | |
| JP6787377B2 (en) | Handrail mounting structure and handrail mounting method | |
| KR200405447Y1 (en) | Roof panels | |
| JPH1061033A (en) | Joint water drip metal tool of vertically attached external wall board | |
| JPH09195396A (en) | Connecting water drip metal fitting of vertically stretched exterior wall board | |
| JP2020045638A (en) | Handrail waterproof structure | |
| KR20250092960A (en) | Adhesive external panel and its seismic installation structure | |
| JP7287248B2 (en) | Watertight material retainer, waterproof structure for handrail provided with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waterproof structure | |
| JPH0315759Y2 (en) | ||
| JPH1162030A (en) | Junction and drainage metal fitting for vertically applied external wall panel,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 |
| JPH0460041A (en) | Finishing unit panels and tiled curtain walls | |
| JP4323933B2 (en) | Balcony lattice unit mounting structure | |
| JPH0453385Y2 (en) | ||
| JP2001288872A (en) | Work execution structure of exterior decorative member | |
| JPH0544403Y2 (e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