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6874B1 -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874B1
KR102116874B1 KR1020120121285A KR20120121285A KR102116874B1 KR 102116874 B1 KR102116874 B1 KR 102116874B1 KR 1020120121285 A KR1020120121285 A KR 1020120121285A KR 20120121285 A KR20120121285 A KR 20120121285A KR 102116874 B1 KR102116874 B1 KR 102116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uation
user terminal
command
unit
displa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5037A (en
Inventor
신덕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874B1/en
Publication of KR2014005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0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87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황 인지 모드로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상황 인지 아이콘이 활성화하여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상황인지 동작 시에 상황인지 동작 상태를 의미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이 상황인지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 situation or a status,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status of a user terminal, which recognizes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while indicating that the user is operating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mode The cognitive icon is implemented to activate and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icon on the display screen that indicates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a situation or an operation state during a situa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at the user terminal is performing a situation or operation.

Description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A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the situation or status and a method of displaying the status of the user terminal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황인지 상태인지 여부와 더불어 상황인지에 의해 수행된 동작 내역을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 situation or a status,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situation or a status of a user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n operation history performed by whether or not a situation or a state is present. It is about how to display situational awareness.

상황인지(Context Awareness) 기술은 사용자가 운용하는 사용자 단말이 각종 센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 정보와 사용자의 이전 사용 이력이나 사용자 정보 등과 같은 기 저장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 및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공하는 기술을 일컫는다.The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collects and analyzes various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erminal operated by the user through various sensors and user interfaces, and pre-stored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previous usage history or user information, and then the user's situation. It refers to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and provides services suitable for the user and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in a desired form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상황 인지 기술은 다양한 시스템 및 서비스 등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대용량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 분석기술이나 센서 기술의 고도화에 힘입어 더욱 정밀하게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으며, 정보통신 기기들의 성능이 급속히 향상됨에 따라 각각의 개인들이 보유한 개인 사용자 단말에도 상황 인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Situational awareness technology is actively used in various systems and services, and has been developed to recognize the user's situation more precisely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data analysis technology or sensor technology such as large-capacity data, and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is rapidly increasing. As it improved, it became possible to apply situational awareness technology to individual user terminals owned by each individual.

예를 들어 미국 공개 특허 제2006-0234758호(공개일 2006.10.19)에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위치를 상황으로 인지하여 벨소리 모드 또는 진동 모드로 자동 변경하고, 벨소리 모드 또는 진동 모드에서의 볼륨(Volume) 값을 해당 장소에 적절한 값으로 자동으로 변경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in US Published Patent No. 2006-0234758 (published on October 19, 2006),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user's location as a situation and automatically changes to ringtone mode or vibration mode, in ringtone mode or vibration mode. Disclosed is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volume value of a to a suitable value for a corresponding place.

이와 같이, 상황인지 기술이 실질적으로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는 일 예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자동 통화 기능이나 음성 인식 기술 등이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의 자동 통화 기능과 음성 인식 기술은 사용자의 귀가 사용자 단말에 접근 또는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통화 연결을 수행하거나 음성 인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examples of situations in which situation awareness technology is practically applied and utilized include an automatic call function or a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in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automatic call function and th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in the user terminal may detect whether the user's ear has approached or touched the user terminal, and may automatically perform a call connection or perform voice recognition.

그러나 상황인지 기술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나 이전 기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 및 분석하고, 분석된 상황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의 상황을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파악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예외 상황을 접했을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상황인지에 의해 단말 상태의 변경이 자동으로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ituation recognition technology automatically recognizes and analyzes the user's situation by using data detected by various sensors or previously recorded data even if a user's command is not input, and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analyzed situation. You can do i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situation can be differently understood from the user's intention by the data collected unintentionally. In addition, although the user encounters an exceptional situation, a situation in which a change in the terminal state occurs automatically due to the situation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즉 상황인지 기술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이용 시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해 적용되는 기술이지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상황인지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지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상황인지 기술이 사용자 단말에 적용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일지라도 상황인지 기술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서 자동으로 수행한 작업(또는 동작) 내역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오히려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이용 편의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황인지 기술에 대해 이해가 부족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이 오동작한 것으로 오인하여 제조사나 서비스 제공업체에 애프터서비스를 요청하는 것과 같이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 낭비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In other words, the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is appli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when the user uses the user terminal, but the user does not recognize whether the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user terminal, or recognizes that the context awareness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user terminal. Even in the case of doing so, if the work (or operation) history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is not grasped by the situational awareness technology,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act as a factor that hinders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of unnecessary social cost wasting such as a user who lacks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awareness technology misunderstand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malfunctioning and requesting after-sales service from a manufacturer or service provider.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인지 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황인지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상황인지 상태에서 자동으로 수행한 작업 내역을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 only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e situation or status by displaying the situation or status on the display screen, but also a user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displaying the work history performed in the situation or status and a method for displaying the status or status thereof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명령을 인가 받는 인터페이스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의 기 설정된 기능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따라 상황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황 인지부; 및 상기 인가된 사용자 명령이 상황 인지 명령이면, 상황 인지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상황 인지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화면에 상황 인지부가 활성화된 상태인 상황 인지 모드로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상황 인지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user termina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a user comm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sensor and sensing a situ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func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or to output a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A situation recognition unit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recognizing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ext command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And if the authorized user command is a situation awareness command, activates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by generating a situation awareness mode signal,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command,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is activated on the screen.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that a situation recogni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device is operating in a cognitive mode is activated and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인지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에,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을 기 설정된 제1 색상으로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상황 인지 모드 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을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operating in the context recognition mode, the controller displays the context recognition icon on the screen in a first color, and when the context recognition mode operation is stopped, the context recognition ic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changing to a second col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이면, 이전 상기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한 동작 내역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ser command is a situation-aware operation confirmation command, displays at least one extended situation recognition bar including a history of operation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revious situation command on the scree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는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과 더불어 상기 동작이 수행된 시간이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at which the operation was performed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details of the operation perform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는 상기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추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content is additionally display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대개수 이상이면, 상기 확장 상태 인지바의 일측단에 슬라이드 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maximum number, the control unit displays a slide bar at one end of th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는 이전 상기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한 상기 동작 내역을 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 least one extended status recognition bar displays the operation history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revious status command in time.

상기 상황 인지부는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전처리부; 전처리 작업이 수행된 상기 감지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 복수개의 상황 상태와 상기 복수개의 상황 상태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황 저장부; 상기 분석 데이터와 상기 복수개의 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정보 데이터에 매칭된 상기 상황 상태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추론하는 상황 추론부; 및 상기 복수개의 상황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상기 상황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상황 추론부로부터 상기 매칭된 상황 상태가 수신되면, 대응하는 상황 명령을 검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is a pre-processing unit for performing a pre-processing operation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or of the sensor unit;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generating analysis data by analyzing information represented by each of the detection signals on which the pre-process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A situ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data respectively matching the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The user compares the analysis data with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ata, searches for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and when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is searched, the user from the situation state matched with the searched information data A situation reasoning unit that infers the situation of the terminal; And a command generator which stores a plurality of the situation command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and when the matched situation state is received from the situation inference unit, searches for a corresponding situation command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situation command to th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상황 저장부는 상기 복수개의 정보 데이터의 값을 기 설정된 구간 범위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tuation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ata is stored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section range.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상황 인지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상황 인지부를 활성화하여 상황 인지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화면에 상황 인지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상황 상태를 추론하고, 추론된 상황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행한 동작 내역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ther object, a method for displaying a situation awareness state of a user terminal includes: setting a situation awareness mode by activating the situation awareness unit when a user's situation awareness command is applied; Activating and displaying a situation awareness icon on the screen; Collecting situation information, inferring a situation stat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state; And displaying on the screen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including a history of operations performed.

여기서,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에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이 이미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면,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의 색상을 기 설정된 색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ep of activating and displaying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is already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lor of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is changed to a preset color.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황 인지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장 상황 인지바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 각각에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과 더불어 상기 동작이 수행된 시간이 함께 표시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situation recognition status of the user terminal, the step of displaying th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on the screen includes a tim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along with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erformed on each of 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Can be displayed.

또한, 상기 확장 상황 인지바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 각각에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과 상기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on the screen, each of 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may display a description of the performed operation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content.

또한, 상기 확장 상황 인지바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대개수 이상이면, 상기 확장 상태 인지바의 일측단에 슬라이드바를 더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playing of the extended status recognition bar on the screen, if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extended status recognition ba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maximum number, a slide bar may be further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extended status recognition bar.

또한, 상기 확장 상황 인지바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를 이전 상기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한 상기 동작 내역을 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extended context awareness bar on the screen may display the at least one extended context awareness bar by sorting the operation history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revious context command.

따라서, 본 발명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상황인지 동작 시에 상황인지 동작 상태를 의미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이 상황인지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상황인지에 의한 변경 사항이 발생할 수 있음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필요한 오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황인지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작업 내역이나 변경 내역을 추가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자동 변경 내역을 정확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the situation or the st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status or status of the user terminal display icons on the display screen indicating the situation or the operating status when the user terminal is the situation or the operation, so that the user is the user terminal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the situation is being performed. Therefore, the user can recognize in advance that a change may occur due to situational awareness in the user terminal,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of the user and providing practical convenience. In addition, the work history or change history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is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situation,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automatic change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황 인지부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상태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상태 표시의 확장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 situation or st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FIG. 1.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atus ind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panded example of status ind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status or status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a situation or st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10)은 인터페이스부(100), 센서부(200), 상황 인지부(300), 제어부(400), 통신부(500) 및 디스플레이부(6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user terminal 10 capable of displaying a situation awareness st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unit 100, a sensor unit 200, a situation recognition unit 300, a control unit 400, a communication unit 500, and It includes a display unit 600.

인터페이스부(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 단말의 종류에 따라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600)과 통합된 터치패널 또는 터치스크린이 인터페이스부(100)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0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and various devices such as a keyboard, mouse, and trackball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user terminal, and th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integrated with the display unit 600 may be used. It can be utilized as the interface unit 100.

센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은 기 설정된 기능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상황 인지부(30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는 타이머,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나침반(Compass),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카메라, 마이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가 활용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0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and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or detects a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function and outputs a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to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300. Here, at least one sensor includes a timer, an acceleration sensor, a gravity sensor, a gyroscope, a geo-magnetic sensor, a compass, and an illumination sensor. Cameras, microphones, etc. may be used, and various sensors may be used in addition.

상황 인지부(300)는 제어부(400)에서 인가되는 상황 인지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센서부(200)에서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상황을 인지한다. 상황 인지부(300)는 센서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인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 각각을 센서의 특성에 따라 노이즈 제거 및 필터링과 같은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고, 전처리 작업이 수행된 감지 신호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감지 신호와 사용자가 이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작업 내역인 로그(log)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복수개의 상황 중 대응하는 상황이 존재하는지 추론하고, 추론된 결과에 따라 인지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상황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한다.The context recognition unit 300 is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context recognition mode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400 to receive and analyze at least on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the sensor unit 200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Recognize.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300 performs at least one detection signal applied from at least one sensor of the sensor unit 20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to perform pre-processing tasks such as noise removal and filtering, and detecting that the pre-processing task has been performed. Analyze the signals. Then, using the analyzed detection signal and the log of the user's previous user terminal, the user infers whether a corresponding situation exists among a plurality of preset situations, and responds to the recognized situ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ferred result. Generates a situation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400.

제어부(400)는 인터페이스부(100)에서 인가되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사용자 명령이 상황인지 명령이면, 상황 인지 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상황 인지부(300)로 전송하여 상황 인지부(300)를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부(600)에 상황 인지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상황 인지부(300)로부터 상황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이 상황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의 각종 설정을 변경하거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0)에서 인가되는 사용자 명령이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이면 제어부(400)는 상황 명령에 따라 수행한 동작 내역을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한다.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user terminal 10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applied from the interface unit 100, and if the user command is a situation or command, generates a situation awareness mode signal to generate a situation awareness unit ( 300) to activate the context awareness unit 300, and display a context awareness icon on the display unit 60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a context command from the context recognition unit 300, changes various settings of the user terminal or controls components so that the user terminal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command. In addition, if the user command applied from the interface unit 100 is a situation recognition operation confirmation command, the control unit 400 displays the operation histor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command on the display unit 600.

통신부(500)는 사용자 단말(10)과 외부의 기기 사이에 통신을 제공한다. 통신부(500)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이나 위치 추적 시스템의 서버 및 상황 인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일 예로서, 상황 인지부(300)가 독립적으로 사용자 단말(10)의 상황을 인지하고, 인지된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명령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상황 인지부(300)의 일부 또는 모든 구성요소가 외부의 상황 인지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부(500)를 통해 외부의 상황 인지 서버로 감지 신호를 또는 상황 정보를 전송하고, 외부의 상황 인지 서버로부터 상황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500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an external device. The communication unit 500 may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of another user or a server of a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a situation awareness server. In FIG. 1, as an example,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300 independently recognizes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generates a situ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situation, but in some cases,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300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an external context-aware server.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or context information to an external context awareness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0 and receive a context command from the external context awareness server.

또한 사용자 단말(10)이 상황 인지를 위해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 통신부(50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 need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 to recognize the situation, the communication unit 50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server.

디스플레이부(6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특히 사용자 단말(10)이 상황 인지 모드인 경우, 상황 인지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이 상황 인지 모드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0)가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황 명령에 따라 수행한 동작 내역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600 configures a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and displays it to the user. In particular,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context awareness mode, the context awareness icon is displayed at a preset position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10) is a situation recognition mode.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a situation recognition operation confirmation command, it displays the operation histor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command.

상기에서는 상황 인지 모드의 상태를 상황 인지 아이콘의 표시 여부로 나타내었으나, 디스플레이부(600)에 상황 인지 아이콘을 항시 표시하고, 상황 인지 아이콘의 색상이나 형태를 변경하여, 상황 인지 모드의 상태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다.In the above, the state of the situation awareness mode is indicated as whether or not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is displayed, but the situation recognition icon is alway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0 and the color or shape of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is changed to display the state of the situation awareness mode. You can do it.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은 상황 인지 모드로 동작 시에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600)에 상황 인지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황 인지 아이콘의 표시 여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이 상황 인지 모드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황 명령에 따라 수행한 동작 내역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황 인지 동작에 의해 수행된 사용자 단말의 동작 내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의 설정이나 상태를 자신이 필요로 하는 구성으로 복구하기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 illustrated in FIG. 1 displays a context recognition icon on the display unit 600 at a preset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0 when operating in the context awareness mode.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10 is in the context awareness mode through whether the context awareness icon is displayed. In addition, when a command for confirming a situation-aware operation is received,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performed by the situation-aware operation is easily displayed by displaying the operation history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command, so that the user terminal 10 is set. It is easy to restore the ora state to the configuration you need.

도 2는 도 1의 상황 인지부(3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300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상황 인지부(300)는 전처리부(310), 정보 분석부(320), 로그 저장부(330), 상황 저장부(340), 상황 추론부(350) 및 명령 생성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ext recognition unit 300 includes a pre-processing unit 310,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320, a log storage unit 330, a context storage unit 340, a context inference unit 350, and a command generation unit It may include (360).

전처리부(310)는 센서부(31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노이즈 제거 및 필터링과 같은 전처리 작업을 수행한다.The pre-processing unit 31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at least one sensor of the sensor unit 310 and performs pre-processing tasks such as noise removal and filtering.

정보 분석부(320)는 전처리부(310)로부터 전처리 작업이 수행된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지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에서 송신된 감지 신호는 각 센서의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센서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는 사용자 단말(10)의 온도를 나타낼 것이며,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는 사용자 단말(10)의 이동 속도를 나타낼 것이다. 정보 분석부(320)는 이러한 서로 다른 의미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센서의 기능에 대응하여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20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which the pre-process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310, and analyzes information represented by each of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s to generate analysis data.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or may include differ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each sensor. For example,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will indicate the temperature of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will indicate the moving speed of the user terminal 10.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20 analyzes the detection signals including these different meanings in correspondence with the function of the sensor to generate analysis data.

로그 저장부(330)는 사용자 단말의 이전 작업 내역인 로그를 저장한다. 상황인지 기술은 단순히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사용자 단말(10)의 상태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작업 내역을 매칭하여 동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동일한 상황에서도 서로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를 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로그 저장부(330)은 인지된 상황과 사용자의 작업을 매칭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이전 작업 내역인 로그를 저장한다.The log storage unit 330 stores a log, which is a previous work history of the user terminal. The situation recognition technology is often operated by matching the user's work history as well as the state of the user terminal 10 detected from at least one sensor. This is because each of a plurality of users may want to perform different tasks even in the same situation. Accordingly, the log storage unit 330 stores the log of the user's previous work in order to match the recognized situation with the user's work.

상황 저장부(340)는 복수개의 상황 상태를 저장한다. 상황 저장부(340)는 상황 인지에 의해 설정된 동작이 수행될 복수개의 상황 상태가 저장되고, 복수개의 상황 상태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가 매칭되어 함께 저장된다. 즉 상황 저장부는 정보 분석부(320)에서 분석된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여 구성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를 상황 상태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정보 데이터는 특정 값으로 지정될 수도 있으며, 기 설정된 구간 범위를 나타내는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정보가 정보 데이터로 저장되는 경우에 오전 8시와 같이 특정 시간이 상황 상태와 매칭될 수도 있으나, 오후 3시 ~ 오후 5시와 같이 시간 구간 범위로 저장될 수도 있다.The situation storage unit 340 stores a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The situation storage unit 340 stores a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in which an operation set by situation recognition is to be performed, and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is matched and stored together. That is, the situation storage unit stores the information data that can be configu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nalysis data analyzed by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20 with the situation state. Here, the information data may be designated as a specific value, or may be stored in a form indicating a preset section range. For example, when the time information is stored as information data, a specific time may be matched to a situation state, such as 8 am, but may be stored in a time interval range such as 3 pm to 5 pm.

상황 추론부(350)는 정보 분석부(320)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황 저장부(340)에 수신한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정보 데이터가 검색되면, 정보 데이터에 매칭된 상황 상태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추론한다. 만일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황 상태가 존재한다면, 상황 추론부는 상황 상태를 추론하여 명령 생성부(360)로 전송한다. 이때, 상황 추론부(350)는 로그 저장부(330)에 저장된 사용자의 이전 작업 내역을 이용하여 상황 상태를 추론할 수도 있다.The situation inference unit 350 receives the analysis data from 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20, searches for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received in the situation storage unit 340, and when the information data is searched, information data Infers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situation state matched to. If there is a situation state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the situation inference unit infers the situation state and transmits it to the command generator 360. In this case, the situation inference unit 350 may infer the situation status using the user's previous work history stored in the log storage unit 330.

명령 생성부(360)는 복수개의 상황 상태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명령을 저장하고, 상황 추론부(350)에서 수신되는 상황 상태에 대응하는 상황 명령을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명령 생성부(360)는 복수개의 상황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 상태에 대한 상황 명령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The command generator 360 stores a plurality of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and transmits the situation commands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states received from the situation inference unit 350 to the control unit 400. Also, in some cases, the command generation unit 360 may directly designate and store a context command f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ext stat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황인지 상태 표시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status ind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사용자 단말(10)의 일 예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을 도시하였다. 사용자 단말 중 스마트 폰과 같은 고기능 고사양의 사용자 단말은 기존에 단순히 음성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에서는 수행할 수 없었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스코프, 지자기 센서, 나침반, 조도 센서, 카메라, 마이크와 같은 각종 센서를 구비하므로 센서의 추가 없이도 사용자가 처한 상황을 인지하기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스마트 폰에 설치 가능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황인지 기술이 적용되기에 매우 유용한 장치이다. 일예로 스마트폰은 상황 인지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상황 인지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In FIG. 3, an example of the user terminal 1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mong the user terminals, a user terminal having a high function and a high specification, such as a smart phone,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that cannot be perform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simply used for voice communication. In particular,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such as acceleration sensors, gravity sensors, gyroscopes, geomagnetic sensors, compasses, illuminance sensors, cameras, and microphones, so it is very easy to recognize the user's situation without adding sensors, as well as communication functions It is very useful to apply situation awareness technology in that i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required by users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various applications (hereinafter, apps) that can be installed on a smartphone through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Device. As an example, a smart phone may utilize a situation awareness technology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situation awareness app.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은 디스플레이부(600)의 상단에 스마트폰의 각종 설정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바(UB)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 표시바(UB)에 표시되는 단말의 설정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단말에서 동작 실행중인 다양한 기능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을 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상태 표시바(UB)에 표시되는 단말 설정 상태 정보 중 하나로서 상황 인지 아이콘(CAI)을 표시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user terminal 10 may display a status display bar UB displaying various se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on the top of the display unit 600. The se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isplayed on the status display bar UB displays icons corresponding to various functions being executed by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context recognition icon (CAI) as one of terminal setting statu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tatus display bar UB.

확대된 상태 표시바(UB)를 살펴보면, 상황 인지 아이콘(CAI)는 상태 표시바(UB)의 좌측에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황 인지 아이콘(CAI)의 표시 위치는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황 인지 아이콘은 상태 표시바(UB)와 별도로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황 인지 아이콘(CAI)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이 상황 인지 동작 중임을 용이하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Looking at the enlarged status display bar UB,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CAI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tatus display bar UB. However, the display position of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CAI may be changed. Also, in some cases, the situation recognition icon may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status display bar UB.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xt awareness icon (CAI) is a means for allowing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at the smartphone is in the context awareness operation, and thus can be freely placed in a location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도 3에서는 상황 인지 아이콘(CAI)의 형태 및 색상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황 인지 아이콘(CAI)는 상황 인지 동작 시에는 도3 과 같이 도시되지만 상황 인지 동작이 중지되면, 상황 인지 아이콘(CAI)이 상태 표시바(UB)에서 제거되어 사용자가 상황 인지 동작이 중지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면, 경우에 따라서는 상황 인지 동작이 중지 상태인 경우에도 상황 인지 아이콘(CAI)은 상태 표시바(UB)에 표시되지만 상황 인지 아이콘(CAI)의 색상이나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상황 인지 동작이 중지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FIG. 3, the shape and color of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CAI) may also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CAI) is shown in Figure 3 when the situation awareness operation, but when the situation awareness operation is stopped,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CAI) is removed from the status bar (UB), the user is the situation awareness operation is stopped Can be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in some cases, even when the situation awareness operation is stopped,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CAI) is displayed on the status bar UB, but the user may change the color or shape of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CAI) to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e situation. It can be made aware that it is in a stopped sta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상태 표시의 확장 예를 나타내며, 도 4의 예시도에서도 도 3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의 일예로 이동 통신 단말을 적용한다.FIG. 4 shows an expanded example of status ind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exemplary view of FIG. 4, as in FIG. 3,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pplied as an example of the user terminal 1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10)은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이 수신되면, 상황 명령에 따라 수행한 동작 내역을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10)에서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은 사용자가 상황 인지 아이콘(CAI)을 터치함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0)은 상태 표시바(UB)의 하단으로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ECAB)를 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ECAB)는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이 수신되기 이전에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된 동작의 내역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화면상에 표시되는 확장 상황 인지바(ECAB)의 개수는 최대개수가 미리 지정되고, 표시해야 할 확장 상황 인지바(ECAB) 개수가 지정된 최대개수 이내이면, 모든 확장 상황 인지바(ECAB)를 표시하고, 최대개수 이상이면, 최대개수의 확장 상황 인지바(ECAB)만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해야 할 확장 상황 인지바(ECAB)의 개수가 최대 개수 이상이면, 확장 상황 인지바(ECAB)의 우측 단에 슬라이드 바를 추가로 표시하여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은 확장 상황 인지바(ECAB)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 capable of displaying a situation awareness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history of operation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command when a situation recognition operation confirmation command is received. In the user terminal 10 as illustrated in FIG. 4, a context recognition operation confirmation command may be generated by a user touching a context awareness icon (CAI). In addition, when a situation recognition operation confirmation command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10 displays at least one extended situation recognition bar ECAB at the bottom of the status display bar UB. The at least one extended context recognition bar (ECAB) may sequentially display the details of the operation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context command before the context awareness operation confirmation command is received. At this time, the maximum number of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s (ECAB) displayed on the screen is predetermined, and if the number of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s (ECAB) to be displayed is within the specified maximum number, all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s (ECAB) are displayed. If it is displayed, and the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number, it can be set to display only the maximum number of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s (ECAB). In addition, if the number of extension context recognition bars (ECAB) to be display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a slide bar is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right end of the extension context awareness bar (ECAB) to expand the context awareness bar (ECAB) that is no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You can make the user can check.

여기서 표시해야 할 확장 상황 인지바(ECAB)는 사용자 단말(10)이 턴 온된 이후에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된 동작 내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현재 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2시간) 이전까지,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된 동작 내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 이외에도 표시해야 할 확장 상황 인지바(ECAB)는 사용자 단말(10)의 종류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extended context recognition bar (ECAB) to be displayed may be set as an operation history performed in response to a context command after the user terminal 10 is turned on, and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2 hours) from the current time. ) Until before, it may be set as a history of operations performed in response to a situation command. In addition, th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ECAB) to be displayed may be vari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10 or the user's setting.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ECAB)는 각각 수행된 동작의 내역과 더불어 동작이 수행된 시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각 동작의 동작 내역을 정확히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동작이 수행된 시간의 역순으로 확장 상황 인지바(ECAB)가 배치되었으나,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ECAB)의 정렬 순서는 다른 기준에 따라 변경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extension context recognition bar (ECAB) may display a time at which the operation was performed together with a description of each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operation history of each operation. In FIG. 4, the expansion status recognition bar ECAB is arrang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time at which the operation was performed, but the sort order of the at least one expansion status recognition bar ECAB may be changed according to other criteria.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ECAB)에서 동작 내역의 좌측에 동작 내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동작 내역을 읽지 않더라도 아이콘만 확인하여 동작 내역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동작 내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서로 다른 형태나 색상으로 표시되어도 무방하지만 동일한 동작 내역에 대해서는 동일한 색상 및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4, at least one extended context recognition bar (ECAB)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history on the left side of the operation history, so that even if the user does not read the operation history, only the icon is checked to recognize the operation history. I can make it possible. The ic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operation detail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forms or colors, but the same operation details are preferably displayed in the same color and form.

또한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ECAB)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확장 상황 인지바(ECAB)의 동작 내역의 세부 사항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selects one of the at least one extended context recognition bar (ECAB), details of the operation history of the selected extended context awareness bar (ECAB)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을 나타낸다.5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a state recognition status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이 구동된다(S110).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이 구동되면, 상황 인지 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별한다(S120). 여기서 상황 인지 명령은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로 입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5, a method of displaying the status or status of the user terminal 10 is described, first, the user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S110). Then, when the user terminal 10 is driven, it is determined whether a situation recognition command is input (S120). Here, the context recognition command may be input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0 using the interface unit 100.

상황 인지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황 인지 명령이 입력되는지 계속 판별하고, 만일 상황 인지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00)가 상황 인지모드 신호를 상황 인지부(300)로 전송하여, 상황 인지부(300)를 활성화한다. 상황 인지부(300)이 활성화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상황 인지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400)는 상황 인지 모드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6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600)에 상황 인지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표시한다(S130). 이때 상황 인지 아이콘은 디스플레이부(600)에서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되는 상태로 활성화 될 수도 있으며, 표시된 상태에서 색상이나 형태가 변경되어 활성화 될 수도 있다.If a situation awareness command is not input, it is continuously determined whether a situation awareness command is input, and if a situation awareness command is input, the controller 400 transmits a situation awareness mode signal to the situation awareness unit 300, the situation awareness unit ( 300). As the context recognition unit 300 is activated, the user terminal operates in the context recognition mod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400 transmits a context awareness mode signal and simultaneously controls the display unit 600 to activate and display the context awareness icon on the display unit 600 (S130). At this time, the context recognition icon may be activated in a state displayed in a state not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600, or may be activated by changing a color or shape in the displayed state.

한편, 상황 인지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상황 인지부(300)는 센서부(2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S140). 그리고 수신하는 감지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 및 필터링과 같은 전처리 작업을 수행한다(S150). 그리고 전처리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추론한다(S160).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상황을 추론하기 위해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석 데이터를 상황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상황 상태에 매칭된 복수개의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황 상태를 추론한다.Meanwhile, the context recognition unit 300 activated in response to the context recognition mode signal receives sensing signals from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in the sensor unit 200 and collects context information (S140). Then, pre-processing tasks such as noise removal and filtering are performed on the received detection signal (S150). And it analyzes the pre-processed detection signal to infer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S160). Here,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detection signal to infer the situation, generates analysis data, and compares the generated analysis data with a plurality of information data matched with the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stored in the situation storage unit to infer the situation state.

상황 상태 추론은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판별하며,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가 존재하면, 정보 데이터에 매칭된 상황 상태에 따른 상황 명령을 생성한다. 즉 정보 데이터로부터 상황 명령 생성 여부를 판별한다(S170). 만일 상황 명령이 생성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은 다시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S140). 그러나 상황 명령이 생성되면, 상황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80). 그리고 수행된 동작 내역을 저장한다(S190).The situation state inference determines whether or not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exists, and if th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exists, generates a situa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situation state matched to the information data.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a situation command is generated from the information data (S170). If the situation command is not generated, the user terminal collects the situation information again (S140). However, when a context command is generated,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command is performed (S180). Then, the performed operation history is stored (S190).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0)는 상황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수행한 동작 내역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를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과 함께 더 표시한다. 여기서 수행한 동작 내역을 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 각각에는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과 더불어 상기 동작이 수행된 시간이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과 상기 동작 내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대개수 이상이면, 상기 확장 상태 인지바의 일측단에 슬라이드바를 더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context command, the control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isplays at least one extended context recognition bar including the performed action history together with the context awareness icon. The operation history performed here may be displayed by sorting according to time. In addition, each of 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may display a history of the performed operation together with a time during which the operation is performed, and also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erformed operation and the operation contents. Can be displayed together.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maximum number, a slide bar may be further displayed on one end of th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아울러, 제어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상황 인지모드 종료 명령이 인가되는지 판별한다(S200). 상황 인지모드 종료 명령이 인가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은 다시 상황 정보를 수집한다(S140). 그러나 상황 인지모드 종료 명령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된 상황 인지 아이콘(CAI)를 비활성화한다(S210).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determines whether the command to end the situation recognition mode from the user is applied (S200). If the context recognition mode termination command is not applied, the user terminal collects context information again (S140). However, when the command to exit the context recognition mode is applied, the context recognition icon CAI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0 is deactivated (S210).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상황인지 상태 표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상황인지 동작 시에 상황인지 동작 상태를 의미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이 상황인지 동작을 수행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상황인지에 의한 변경 사항이 발생할 수 있음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필요한 오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The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the situation or the st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status or status of the user terminal display icons on the display scree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a situation or an operation state during operation, so that the user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a situation awareness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and the user can recognize in advance that a change due to situation awareness may occur in the user terminal,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of the user and providing practical convenience What can be done, there is a potential for industrial use.

10: 사용자 단말
100: 인터페이스부 200: 센서부
300: 상황 인지부 400: 제어부
500: 통신부 600: 디스플레이부
10: user terminal
100: interface unit 200: sensor unit
300: situation recognition unit 400: control unit
500: communication unit 600: display unit

Claims (15)

사용자 명령을 인가 받는 인터페이스부;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의 기 설정된 기능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한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정보 데이터에 매칭된 상황 상태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추론하고, 상기 상황 상태에 대응하는 상황 명령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황 인지부; 및
상기 인가된 사용자 명령이 상황 인지 명령이면, 상황 인지모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상황 인지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화면에 상황 인지부가 활성화된 상태인 상황 인지 모드로 동작 중임을 나타내는 상황 인지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이 상황 인지 동작 확인 명령이면, 이전 상기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한 동작 내역 및 상기 동작이 수행된 시간을 함께 표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상황 명령은,
상기 상황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시키는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An interface unit that receives a user comm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 sensor unit having at least one sensor and sensing a situ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func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or to output a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A situation recognition unit that retrieves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infers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situation state matched to the information data, and generates and outputs a context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state ; And
If the authorized user command is a situation awareness command, a situation awareness mode signal is generated to activate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command, and recognize whether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is activated on the screen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context-aware icon indicating that the mode is operating is activated and displayed,
The control unit
If the user command is a situation-aware operation check command, it is set to display a history of operation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revious situation command and a time when the operation was performed,
The above situation command,
A command to automatically execut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stat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2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was s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 인지 모드로 동작 중인 경우에,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을 기 설정된 제1 색상으로 상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상황 인지 모드 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을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operating in the context-aware mode, the context-aware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preset first color, and when the context-aware mode operation is stopped, the context-aware icon is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Change to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the screen.
삭제delete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4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ma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 및 상기 동작 수행 시간이 포함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에 함께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the history of the performed operation and the time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on at least one extension context recognition bar.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5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ma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는
상기 동작 내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추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 least one expansion situation recognition bar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history is additionally displayed.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6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ma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대개수 이상이면, 상기 확장 상황 인지바의 일측단에 슬라이드 바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maximum number,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slide bar at one end of th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7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ma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는 이전 상기 상황 명령에 응답하여 수행한 상기 동작 내역을 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is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history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revious situation command is sor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부는
상기 센서부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하는 전처리부;
전처리 작업이 수행된 상기 감지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보 분석부;
복수개의 상황 상태와 상기 복수개의 상황 상태에 각각 매칭되는 복수개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황 저장부;
상기 분석 데이터와 상기 복수개의 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데이터가 검색되면, 상기 정보 데이터에 매칭된 상기 상황 상태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추론하는 상황 추론부; 및
상기 복수개의 상황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상기 상황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상황 추론부로부터 상기 상황 상태가 수신되면, 대응하는 상기 상황 명령을 검색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situation recognition unit of claim 1
A pre-processing unit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sensor unit and performing a pre-processing operation;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information represented by each of the detection signals on which pre-processing is performed to generate the analysis data;
A situ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and a plurality of information data respectively matching the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Comparing the analysis data and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ata, search for th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and when the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is searched, from the situation state matched to the information data, A situation inference unit that infers a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ncluding a command generating unit for storing a plurality of the situ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ituation states, and when the situation state is received from the situation inference unit, retrieves the corresponding situation comman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9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ma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저장부는
상기 복수개의 정보 데이터의 값을 기 설정된 구간 범위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ituation storage unit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s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data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range form.
사용자의 상황 인지 명령이 인가되면, 상황 인지부를 활성화하여 상황 인지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화면에 상황 인지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상황 상태를 추론하고, 추론된 상황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행한 동작 내역 및 상기 동작이 수행된 시간을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감지한 감지 신호인 상기 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감지 신호를 분석한 분석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정보 데이터에 매칭된 상황 상태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상황을 추론하며, 상기 상황 상태에 대응하는 상황 명령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상황 인지 상태 표시 방법.
Setting a context awareness mode by activating the context awareness unit when the user's context awareness command is applied;
Activating and displaying a situation awareness icon on the screen;
Collecting situation information, inferring a situation stat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erred situation state; And
And displaying on the screen a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erformed and the time at which the operation was performed.
The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state,
Collect the situation information, which is a detection signal that detects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search for inform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data analyzing the detection signal, and infer the situ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situation state matched to the information data, ,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a situa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state
A method of displaying a situation awareness state of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1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ma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에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이 이미 표시되어 있는 상태이면, 상기 상황 인지 아이콘의 색상을 기 설정된 색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상황 인지 상태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activating and displaying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is
If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is already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situation awareness state of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color of the situation awareness icon to a preset color.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2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ma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 각각에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과 상기 동작이 수행된 시간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상황 인지 상태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ing on the screen
A method for displaying a situation recognition state of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istory of the performed operation and the time at which the operation was performed are displayed on each of the at least one extended situation recognition bar.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3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was se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 각각에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과 상기 동작 수행 시간 및 상기 동작 내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상황 인지 상태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ing on the screen
A method for displaying a situation awareness state of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at least one extended situation recognition bar displays a history of the performed operation,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execution time, and the operation history.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4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mad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행된 동작의 내역 및 상기 동작이 수행된 시간이 각각 함께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확장 상황 인지바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대개수 이상이면, 상기 확장 상황 인지바의 일측단에 슬라이드바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상황 인지 상태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ing on the screen
If the number of at least on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each displaying the history of the performed operation and the time at which the operation was perform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maximum number, a slide bar is further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status recognition bar. How to display the status recognition status of the user terminal.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5 was abandoned when payment of the registration fee was se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황 상태에 대응하여 수행한 동작 내역을 시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상황 인지 상태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ing on the screen
A method of displaying a situation awareness state of a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history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ituation state is sor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ime.
KR1020120121285A 2012-10-30 2012-10-30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 Active KR102116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285A KR102116874B1 (en) 2012-10-30 2012-10-30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285A KR102116874B1 (en) 2012-10-30 2012-10-30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037A KR20140055037A (en) 2014-05-09
KR102116874B1 true KR102116874B1 (en) 2020-05-29

Family

ID=5088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285A Active KR102116874B1 (en) 2012-10-30 2012-10-30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8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052B1 (en) * 2014-06-19 2020-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unction in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4645B2 (en) * 2006-02-27 2012-08-29 京セラ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54208A1 (en) * 2009-12-18 2011-06-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communication history
KR20110104622A (en) * 2010-03-17 201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Task switching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35529A (en) * 2010-10-06 2012-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gestur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1165537B1 (en) * 2010-10-27 2012-07-1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cogniting user stat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4645B2 (en) * 2006-02-27 2012-08-29 京セラ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037A (en)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592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ouch display
EP3695300B1 (en) Managing and mapping multi-sided touch
US9757861B2 (en) User interface device of remote control system for robot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355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 gestur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50128252A1 (en) Authentication control system,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30036377A1 (en) Controlling responsiveness to user inputs
KR20140112910A (en) Input controll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20007147A1 (en) Application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 scree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10908923B2 (en) Application start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100136649A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 using proximity sensor of mobile terminal
KR2020009482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f application list in electronic device
KR20140139241A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089224A (en)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operation based on touch-input
CN106292991A (en) A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equipment
KR201401399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f electronic device
US20140365199A1 (en) Pairing a physical device with a model element
KR10148059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tion call based on gaz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N105446838A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terminal
WO201715259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lacing wallpaper by shaking mobile terminal
KR20160148331A (en) Method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00061876A (en) Stylus-pen for controlling color attribute and method therefor
KR102116874B1 (en) User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context awareness state and context awareness state display method for user terminal
CN108932096A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of quick screenshotss
CN111796890B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CN105205101A (en)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information, an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03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718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1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0224

Appeal identifier: 2019101001266

Request date: 201904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2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15

Effective date: 20200224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0224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90415

Decision date: 20200224

Appeal identifier: 2019101001266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5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