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166B1 - SENSOR NETWORK, IoT APPARATUS FOR THE SENSOR NETWORK AND WAKE-UP METHOD BY THE IoT APPARATUS - Google Patents
SENSOR NETWORK, IoT APPARATUS FOR THE SENSOR NETWORK AND WAKE-UP METHOD BY THE Io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7166B1 KR102117166B1 KR1020180146574A KR20180146574A KR102117166B1 KR 102117166 B1 KR102117166 B1 KR 102117166B1 KR 1020180146574 A KR1020180146574 A KR 1020180146574A KR 20180146574 A KR20180146574 A KR 20180146574A KR 102117166 B1 KR102117166 B1 KR 1021171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iot device
- sequence number
- iot
- wak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IoT 장치는, LF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LF 수신부;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정보 처리부; 및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LF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해당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미리 설정된 순번 및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oT device includes: a second LF receiver that receives a signal in the LF band; A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And a second L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the LF band, wherein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er includes a preset sequence number and a wake-up signal of an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 그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IoT 장치 및 그 IoT 장치의 웨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다수의 IoT 장치 사이에서의 웨이크업을 릴레이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그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IoT 장치 및 그 IoT 장치의 웨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network, an IoT device for the sensor network, and a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wake-up between a plurality of IoT devices for the sensor network can be performed in the form of a relay. A sensor network, an IoT device for the sensor network, and a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전원선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로 운용되는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의 경우, 긴 배터리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 메인 MCU, 전원부, 주변(Peripheral) 부품들까지 슬립(Sleep) 및 웨이크업(Wakeup)을 수행하는 PSM(Power Save Mode)을 운용하게 된다.For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s that are battery-powered without using a power cord, sleep and wake up the main MCU, power supply, and peripheral parts to ensure long battery life. PSM (Power Save Mode) is performed.
아울러, 처리된 정보를 송신하는 간격이 일정한 폴링(Polling) 타입의 IoT 장치들은 PSM 운용만으로 저전력 운용이 가능해 지지만, 실시간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반대로 실시간성이 강조되는 이벤트 드리븐(Event Driven) 형태의 IoT 장치들의 경우, 폴링 프로세스를 적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웨이크업으로 전류 소모가 심해지고,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해 폴링 사이클(Polling Cycle)을 늘이면 실시간성을 잃게 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개별 IoT 장치 수준이 아니라 군집형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더욱 극심하게 나타나게 된다.In addition, polling type IoT devices having a constant interval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information can operate at a low power level only by using PSM, but suffer from real-time processing. Conversely, in the case of event driven IoT devices that emphasize real-time performance, when the polling process is applied, current consumption becomes severe due to unnecessary wake-up, and when polling cycles are increased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real-time This results in losing sex. This phenomenon is more severe in clustered sensor networks, not at individual IoT device levels.
따라서, IoT 센서 네트워크에서 산개된 IoT 장치들의 웨이크업 시점을 특정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IoT 장치들은 초저전력으로 운용되면서도 정보 표현의 실시간성을 담보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wake-up point of the IoT devices scattered in the IoT sensor network, and through this, the IoT devices need to secure real-time information expression while operating at ultra-low power.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IoT 센서 네트워크에서 산개된 IoT 장치들의 웨이크업 시점을 특정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IoT 장치들은 초저전력으로 운용되면서도 정보 표현의 실시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센서 네트워크, 그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IoT 장치 및 그 IoT 장치의 웨이크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aimed at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llows the wake-up time point of IoT devices scattered in the IoT sensor network to be specified. Through this, the IoT devices are operated with ultra-low power and express inform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 network capable of guaranteeing the real-time performance of, an IoT device for the sensor network, and a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본 발명의 IoT 장치는, LF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LF 수신부;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정보 처리부; 및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LF 송신부;를 포함한다.Io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in the LF band; A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And a second L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the LF band.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해당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미리 설정된 순번 및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set sequence number and a wake-up signal of another device that transmits the signal.
아울러,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신호가 수신된 경우, 본 발명의 IoT 장치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고, 상기 제 2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인 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a signal is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the Io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akes up in a sleep mode, and th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ransmits a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equence number of the device is the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IoT 장치는, 상기 제 2 정보 처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인 경우, 상기 제 2 LF 송신부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o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is the front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the second LF transmitting unit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 signal b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LF 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는, 본 발명의 IoT 장치의 순번 및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LF transmi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quence number and a wake-up signal of the Io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IoT 장치는, 상기 제 2 정보 처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해당 IoT 장치의 앞 순번인 경우, 미리 지정된 제 1 이벤트를 처리한 후,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IoT 장치는, 상기 제 2 정보 처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해당 IoT 장치의 앞 순번이 아닌 경우,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o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f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er is the sequenc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the first predetermined event After processing,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sleep mode. In addition, the Io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f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er is not the preceding sequenc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the IoT device returns to the sleep mode. It is characterized by.
아울러, 본 발명의 IoT 장치는, 미리 설정된 폴링(Polling) 타임이 만료되면, 미리 지정된 제 2 이벤트를 처리한 후, 폴링 타임을 초기화하고,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preset polling time expires, the Io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processes the second predetermined event, initializes the polling time, and returns to the sleep mode.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는, 상술한 본 발명의 IoT 장치; 및 트리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o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o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 trigger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트리거 장치는,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LF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 장치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장치와 비교하여 가장 앞선 순번의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trigger device includes a first LF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the LF band; however, the trigger device is preferably the most advanced device in comparison with other devices constituting the sensor network.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IoT 장치의 웨이크업 방법은, (a) LF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완료 후, 상기 IoT 장치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wake-up method of an IoT device constituting the senso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a signal in an LF band; And (b) after completion of the step (a), the IoT device wakes up in a sleep mod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ed in the step (a) is the front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Step; includes.
아울러,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이 아닌 경우, 상기 IoT 장치는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b), when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in step (a) is not the preceding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the IoT device returns to the sleep mode. .
또한, 본 발명의 웨이크업 방법은,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인 경우, (c)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d) 미리 지정된 제 1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ke-up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b),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in step (a) is the front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c) LF band Transmitting a signal of; And (d) processing the first pre-specified event.
아울러, 상기 (d) 단계의 완료 이후, 상기 IoT 장치는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completion of step (d), the Io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turns to the sleep mode.
또한, 본 발명의 웨이크업 방법은, 미리 설정된 폴링(Polling) 타임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폴링 타임이 만료된 경우, 미리 지정된 제 2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ke-up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determining whether a preset polling time has expired; And when the preset polling time expires, processing a second predetermined event.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 그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IoT 장치 및 그 IoT 장치의 웨이크업 방법에 따르면, IoT 센서 네트워크에서 산개된 IoT 장치들의 웨이크업 시점을 특정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IoT 장치들은 초저전력으로 운용되면서도 정보 표현의 실시간성을 담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nso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device for the sensor network and the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wake-up time of the IoT devices scattered in the IoT sensor network, through which the IoT devices are ultra-low power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real-time performance of information expression while being opera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IoT 장치의 웨이크업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설명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wake-up method of an IoT device constituting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ransmission of a wake-up signal in the entire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그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IoT 장치 및 그 IoT 장치의 웨이크업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device for the sensor network, and a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ollowing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intended to embody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exper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100)의 구성도이다.First,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100)는, 트리거 장치(10) 및 다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20_1, 20_2, 20_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 the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LF 주파수를 활용한 트리거 장치(10)가 주변의 IoT 장치(20_1, 20_2, 20_N)를 웨이크업 시키고, 웨이크업된 IoT 장치(20_1, 20_2, 20_N)가 주변의 다른 IoT 장치(20_1, 20_2, 20_N)를 다시 웨이크업 시키는, 릴레이(Relay) 구조를 나타내게 된다. 아울러, 트리거 장치(10)는 원격으로부터 이벤트를 받아 트리거되어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Looking at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트리거 장치(10)에 포함된 제 1 LF 송신부(12)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채택하고 있어 인근 사방에 존재하는 IoT 장치(20_1, 20_2, 20_N)를 깨우게 되는데, LF의 거리가 5m 정도로 짧아 원거리의 장치들을 모두 깨울 수 없다. 이 경우 선두의 IoT 장치(20_1)가 다시 제 2 LF 송신부(23)를 통해 인근의 IoT 장치(20_2)를 깨우게 되고, 다시 2번째 IoT 장치(20_2)가 인근의 IoT 장치(20_N)로 릴레이 형태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The
릴레이 도중 LF 대역의 신호는 인근의 슬립 중인 IoT 장치(20_1, 20_2, 20_N)로만 송신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웨이크업 되어 있는 IoT 장치(20_1, 20_2, 20_N)에도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신호의 역류를 막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미리 설정된 장치의 순번을 비교하게 된다.During the relay, the signal of the LF band is not only transmitted to the nearby sleeping IoT devices 20_1, 20_2, 20_N, but also reaches the already waked-up IoT devices 20_1, 20_2, 20_N. In order to prevent such a backflow of the sign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quence numbers of the preset devices are compared.
트리거 장치(10)는, 서버를 예로 들 수 있다. 트리거 장치(10)는, 원격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제 1 원격 수신부(11); 및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LF 송신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igger device 10 may be, for example, a server. The trigger device 10 includes: a first
트리거 장치(10)는, 센서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다른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와 비교하여 가장 앞선 순번의 장치로,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를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으로의 전환을 트리거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igger device 10 is the most advanced device in comparison with other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constituting the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 각각은, LF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LF 수신부(21); 제 2 LF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정보 처리부(22); 및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LF 송신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 각각은, 센서 네트워크(100) 상에서 노드에 위치하게 된다.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 각각은 화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 각각은, 화재를 감지한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LTE 등의 원격 통신에 의해 서버인 트리거 장치(10)로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원격 신호 송수신기는 도시하지 않았다.Each of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includes: a
또한, 제 2 정보 처리부(22)는 MCU, CPU 등의 프로세서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Also, the second
아울러, IoT 장치들(20_1, 20_2, 20_N)은 서로 LF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적절한 근거리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need to be located at an appropriate short distanc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the LF band to each other.
하기에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적어도 하나의 IoT 장치(20_1, 20_2, 20_N)가 예를 들어 화재를 감지한 경우, 서버인 트리거 장치(10)가 제 1 LF 송신부(12)를 통해, 트리거 장치(10)의 순번과 웨이크업 신호를 IoT 장치(20_1, 20_2, 20_N)로 송신하게 된다. 이후 IoT 장치(20_1, 20_2, 20_N) 사이에서의 웨이크업 신호의 전파가 이루어지게 된다.When at least one IoT device (20_1, 20_2, 20_N) detects a fire, for example, the trigger device 10, which is a server, through the
제 2 LF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해당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미리 설정된 순번 및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received by the
제 2 LF 수신부(21)에 의해 신호가 수신된 경우, IoT 장치(20_1, 20_2, 20_N)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게 된다. IoT 장치(20_1, 20_2, 20_N)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함에 따라, IoT 장치(20_1, 20_2, 20_N)를 구성하는 적어도 일부의 기능 블록이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ignal is received by the
즉, IoT 장치(20_1, 20_2, 20_N)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함에 따라, 제 2 정보 처리부(22)는, 제 2 LF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앞 순번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wake up in the sleep mode, the second
제 2 정보 처리부(22)의 판단 결과, 제 2 LF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앞 순번인 경우, IoT 장치(20_1, 20_2, 20_N)는, 제 2 LF 송신부(23)에 의해 신호를 송신한다. 아울러, 제 2 정보 처리부(22)의 판단 결과, 제 2 LF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해당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앞 순번이 아닌 경우, IoT 장치(20_1, 20_2, 20_N)는,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second
제 2 정보 처리부(22)의 판단 결과, 제 2 LF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해당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앞 순번인 경우, IoT 장치(20_1, 20_2, 20_N)는, 미리 지정된 제 1 이벤트를 처리한 후, 슬립 모드로 돌아가게 된다. 제 1 이벤트는 예를 들면, 대피 경로의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즉, IoT 장치(20_1, 20_2, 20_N)가 대피 경로의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면, 대피 경로 표시기(미도시)가 이를 수신하여 대피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IoT 장치(20_1, 20_2, 20_N)와 대피 경로 표시기 사이의 통신은 LTE와 같은 원격 통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second
또한, 제 2 LF 송신부(23)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는,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순번 및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들은 미리 지정된 순번에 따라, 순방향으로 LF 대역의 신호를 전파하게 된다.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 사이에서, 역방향의 순번에 의한 LF 대역의 신호를 전파는 방지되므로, 트리거 장치(10)에서 송신된 신호의 끊임없는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 사이에서의 전파를 방지될 수 있어, 쓸데없는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 각각의 웨이크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constituting the
또한, IoT 장치(20_1, 20_2, 20_N)는, 미리 설정된 폴링(Polling) 타임이 만료되면, 미리 지정된 제 2 이벤트를 처리한 후, 폴링 타임을 초기화하고,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이벤트의 예로는, IoT 장치(20_1, 20_2, 20_N)에 연결된 LED의 점등을 위한 제어 신호의 출력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determined polling time expires,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preferably process the second predetermined event, initialize the polling time, and return to the sleep mode. As an example of the event, an output of a control signal for lighting of the LED connected to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may be mention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웨이크업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2 is a flowchart of a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constituting the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웨이크업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100)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센서 네트워크(100)의 모든 특징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the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constituting the
도 2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100)를 구성하는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웨이크업 방법에 대해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constituting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웨이크업 방법은, IoT 장치(20_1, 20_2, 20_N)가 부팅하는 단계(S10); IoT 장치(20_1, 20_2, 20_N)가 LF 수신을 준비(Ready) 하는 단계(S20); 및 IoT 장치(20_1, 20_2, 20_N)가 슬립 상태로 들어가는 단계(S30);를 포함한다.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20_1, 20_2, 20_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T device (20_1, 20_2, 20_N) booting step (S10); The IoT device (20_1, 20_2, 20_N) is ready (Ready) for receiving the LF (S20); And the IoT device 20_1, 20_2, 20_N entering a sleep state (S30).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웨이크업 방법은, S30 단계 이후, 미리 설정된 폴링(Polling) 타임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0); 및 S40 단계의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폴링 타임이 만료된 경우, 미리 지정된 제 2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50 단계의 완료 후, S30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In addition, the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20_1, 20_2, 20_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preset polling time has expired after step S30 (S40); And processing the predetermined second event (S50) when the preset polling time expire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 After completion of step S5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웨이크업 방법은, S40 단계의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폴링 타임이 만료되지 않은 경우, LF 대역의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0); 및 S60 단계의 판단 결과, LF 대역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 IoT 장치(20_1, 20_2, 20_N)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앞 순번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20_1, 20_2, 20_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0, if a preset polling time has not expired, whether to receive a signal in the LF band Determining (S6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 when a signal in the LF band is received,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wake up in the sleep mode, and the sequence number of the other devices that transmitted the received signal is the IoT devices 20_1, 20_2 , 20_N) (S70) to determine whether it is the preceding sequence number.
S70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앞 순번이 아닌 경우, S30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0, if the sequence number of the other device that transmitted the received signal is not the preceding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웨이크업 방법은, S70 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앞 순번인 경우,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80); 및 미리 지정된 제 1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90 단계의 완료 후, S30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In addition, in the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20_1, 20_2, 20_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0,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transmitted the received signal is the IoT device 20_1, 20_2, 20_N), the step of transmitting a signal in the LF band (S80); And processing the predetermined first event (S90). After completion of step S9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3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100) 전체에서의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설명도를 나타낸다.3 shows an explanatory diagram of transmission of a wake-up signal in the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격으로부터 이벤트를 신호를 수신한 트리거 장치(10)는 LF 대역의 웨이크업 신호를 제 1 LF 송신부(12)를 통해 송신하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FIG. 3, the trigger device 10 that receives an event signal from a remote device transmits a wake-up signal in the LF band through the
아울러, 다수의 IoT 장치(20_1, 20_2, 20_N)는 부팅 후, 슬립 모드에 들어가 있는 데, 제 1 IoT 장치(20_1)가 트리거 장치(10)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송신하게 되고, 제 1 이벤트를 처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enter a sleep mode after booting. The first IoT device 20_1 receives and transmits a wake-up signal from the trigger device 10, and the first Event will be processed.
다만, 제 1 IoT 장치(20_1)로부터 송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된 제 2 IoT 장치(20_2)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다만, 제 2 IoT 장치(20_2)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를 제 1 IoT 장치(20_1)가 수신한 경우, 장치의 순번의 비교에 의해, 제 1 IoT 장치(20_1)는 슬립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아울러, 제 2 IoT 장치(20_2)로부터 송신된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된 제 N IoT 장치(20_N)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아울러, 제 N IoT 장치(20_N)에 의한 웨이크업 신호를 제 2 IoT 장치(20_2)가 수신한 경우, 장치의 순번의 비교에 의해, 제 2 IoT 장치(20_2)는 슬립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However, the second IoT device 20_2 waked up by the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IoT device 20_1 transmits a wake-up signal. However, when the first IoT device 20_1 receives the wake-up signal by the second IoT device 20_2, the first IoT device 20_1 is returned to the sleep state by comparing the order of the devices. In addition, the N-th IoT device 20_N waked up by the wake-up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IoT device 20_2 transmits a wake-up signal. In addition, when the wakeup signal by the Nth IoT device 20_N is received by the second IoT device 20_2, the second IoT device 20_2 returns to the sleep state by comparison of the sequence numbers of the devices.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역방향의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저전력으로 IoT 장치(20_1, 20_2, 20_N)들을 위한 웨이크업이 가능하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FIG. 3, the reverse transmission is not performed, and wake-up for the IoT devices 20_1, 20_2, and 20_N is enabled with low pow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 네트워크(100), 그 센서 네트워크(100)를 위한 IoT 장치(20_1, 20_2, 20_N) 및 그 IoT 장치(20_1, 20_2, 20_N)의 웨이크업 방법에 따르면, IoT 센서 네트워크(100)에서 산개된 IoT 장치(20_1, 20_2, 20_N)들의 웨이크업 시점을 특정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IoT 장치(20_1, 20_2, 20_N)는 초저전력으로 운용되면서도 정보 표현의 실시간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100 : 센서 네트워크
10 : 트리거 장치
20_1, 20_2, 20_N : IoT 장치
11 : 제 1 원격 수신부
12 : 제 1 LF 송신부
21 : 제 2 LF 수신부
22 : 제 2 정보 처리부
23 : 제 2 LF 송신부100: sensor network
10: trigger device
20_1, 20_2, 20_N: IoT device
11: first remote receiver
12: 1st LF transmitter
21: second LF receiver
22: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3: second LF transmitter
Claims (16)
상기 IoT 장치는,
LF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LF 수신부;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정보 처리부; 및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LF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해당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미리 설정된 순번 및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IoT 장치는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고, 상기 제 2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인 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정보 처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인 경우, 상기 제 2 LF 송신부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LF 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IoT 장치의 순번 및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정보 처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해당 IoT 장치의 앞 순번인 경우, 상기 IoT 장치는, 미리 지정된 제 1 이벤트를 처리한 후, 슬립 모드로 돌아가고,
상기 제 2 정보 처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 2 LF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해당 IoT 장치의 앞 순번이 아닌 경우, 상기 IoT 장치는,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In the IoT device,
The IoT device,
A second LF receiver that receives a signal in the LF band;
A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LF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the LF band; includes,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er includes a preset sequence number and wakeup signal of an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When a signal is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the IoT device wakes up in a sleep mode, and th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IoT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ing unit. Determine if it is the front turn of the devi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ption unit is the forward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the second LF transmission unit transmits a signal,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LF transmitter includes the sequence number and wakeup signal of the IoT devi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f the sequence number of the 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er is the preceding sequenc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the IoT device processes the predetermined first event. , Go back to sleep mod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f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LF receiver is not the preceding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the IoT device returns to the sleep mode. IoT devices.
상기 IoT 장치는,
미리 설정된 폴링(Polling) 타임이 만료되면,
미리 지정된 제 2 이벤트를 처리한 후, 폴링 타임을 초기화하고,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IoT device,
When the preset polling time expires,
The I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processing the second predetermined event, the polling time is initialized and the system returns to the sleep mode.
상기 센서 네트워크는,
트리거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 장치는,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LF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 장치는, 상기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장치와 비교하여 가장 앞선 순번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or network,
Trigger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trigger device,
The first LF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the LF band; includes,
The trigger device is a senso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ost advanced device in comparison with other devices constituting the sensor network.
(a) LF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완료 후, 상기 IoT 장치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이 아닌 경우, 상기 IoT 장치는 슬립 모드로 돌아가고,
상기 웨이크업 방법은,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상기 IoT 장치의 앞 순번인 경우, (c) LF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업 방법은, 상기 (b)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송신한 다른 장치의 순번이 해당 IoT 장치의 앞 순번인 경우, (d) 미리 지정된 제 1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의 완료 이후, 상기 IoT 장치는 슬립 모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크업 방법.In the wake-up method of the IoT device constituting the sensor network,
(a) receiving a signal in the LF band; And
(b) after completion of the step (a), the IoT device wakes up in a sleep mod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ed in the step (a) is the front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Contain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b), if the sequence number of the other device that transmitted the signal received in step (a) is not the preceding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the IoT device returns to the sleep mode,
In the wake-up metho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b), when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in step (a) is the front sequence number of the IoT device, (c) transmits a signal in the LF band Further comprising;
In the wake-up metho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b), when the sequence number of another device that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in step (a) is a sequence number in front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d) a predetermined first event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After completion of the step (d), the IoT device wakes up, characterized in that the sleep mode.
상기 웨이크업 방법은,
미리 설정된 폴링(Polling) 타임의 만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폴링 타임이 만료된 경우, 미리 지정된 제 2 이벤트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크업 방법.The method of claim 11,
The wake-up method,
Determining whether a preset polling time has expired; And
And if the preset polling time expires, processing a second predetermined eve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46574A KR102117166B1 (en) | 2018-11-23 | 2018-11-23 | SENSOR NETWORK, IoT APPARATUS FOR THE SENSOR NETWORK AND WAKE-UP METHOD BY THE Io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46574A KR102117166B1 (en) | 2018-11-23 | 2018-11-23 | SENSOR NETWORK, IoT APPARATUS FOR THE SENSOR NETWORK AND WAKE-UP METHOD BY THE IoT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17166B1 true KR102117166B1 (en) | 2020-06-09 |
Family
ID=7108282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46574A Active KR102117166B1 (en) | 2018-11-23 | 2018-11-23 | SENSOR NETWORK, IoT APPARATUS FOR THE SENSOR NETWORK AND WAKE-UP METHOD BY THE Io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17166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32724B1 (en) * | 2009-05-13 | 2011-05-0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for wireless multi-hop network |
| JP2015177283A (en) * | 2014-03-14 | 2015-10-05 |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 Wireless multi-hop network |
| JP2017175425A (en) * | 2016-03-24 | 2017-09-28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Radio system, communication route set method and radio terminal device |
-
2018
- 2018-11-23 KR KR1020180146574A patent/KR1021171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32724B1 (en) * | 2009-05-13 | 2011-05-06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for wireless multi-hop network |
| JP2015177283A (en) * | 2014-03-14 | 2015-10-05 |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 Wireless multi-hop network |
| JP2017175425A (en) * | 2016-03-24 | 2017-09-28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Radio system, communication route set method and radio terminal devi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98110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ed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s | |
| US8594720B2 (en) |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detection of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in a used condition or an unused condition function, and shifting the electronic device to a power-saving mode function | |
| US11115926B2 (en) | User node, a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 RU2011139361A (en) |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
| US9037181B2 (en) | Multi-tone wakeup mechanism for a wireless network | |
| CN114080065A (en) | Discontinuous transmission metho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 |
| KR20160020521A (en) | Method for detecting electric quantity of device, device and system | |
| CN110071789B (en) | Ultra-low power consumption passive awakening method and system | |
| WO2016082109A1 (en) | User equipment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device | |
| RU2015107042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ING OVER SIGNAL TRANSMISSION IN TRANSMITTER MESSAGES | |
| CN108712740B (en) | Bluetooth low-power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 |
| US12309102B2 (en) |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 |
| CN114375597A (en) | Energy-saving signal receiving method, energy-saving signal sending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 |
| US8010091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tone and/or tone patterns to indicate the message typ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 CN100423502C (en) | Energy saving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and terminal station having energy saving function | |
| CN111698673A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in low-power-consumption wide area network | |
| US11139848B2 (en) |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 |
| KR102117166B1 (en) | SENSOR NETWORK, IoT APPARATUS FOR THE SENSOR NETWORK AND WAKE-UP METHOD BY THE IoT APPARATUS | |
| CN114167396B (en) |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based on ultra-wideband ranging | |
| US7720465B2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tones and/or tone patterns to indicate the message typ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 CN105453682B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WO2024045691A1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 |
| CN109802776B (en) | A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eliminating fuzzy period | |
| CN114679764B (en) | Paging indic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 |
| EP3312997B1 (en) |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