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672B1 - Train control method and train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Train control method and train contro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8672B1 KR102118672B1 KR1020167029153A KR20167029153A KR102118672B1 KR 102118672 B1 KR102118672 B1 KR 102118672B1 KR 1020167029153 A KR1020167029153 A KR 1020167029153A KR 20167029153 A KR20167029153 A KR 20167029153A KR 102118672 B1 KR102118672 B1 KR 1021186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in
- occlusion
- fixed
- moving
- at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PLAIAIKZKCZEQF-UHFFFAOYSA-N methyl 6-chloro-2-oxo-3h-1,2$l^{4},3-benzodithiazole-4-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l)=CC2=C1NS(=O)S2 PLAIAIKZKCZEQ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3/041—Obstacle de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40—Adaptation of control equipment on vehicle for remote actuation from a stationary place
-
- B61L27/003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 B61L2027/00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B61L2027/204—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using 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 [CB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와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열차 제어 방법으로서, 열차(3a)의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주행하는 열차가 일단 정차하는 일 없이, 운전 모드를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과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i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rain operation by performing a transfer between a driving mode of moving occlusion and a driving mode of fixed occlusion, when the driving mode of train 3a is switched from moving occlusion to fixed occlusion, immediately before The ATP pattern C1 of the moving occlusion of is effective to enable driving as it is. Thereby, the driving mode can be switched between the moving occlusion and the fixed occlusion without stopping the running train onc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train can be control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폐색(移動閉塞)의 운전 모드와 고정 폐색(固定閉塞)의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절체(切替)(switching)를 행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열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행하는 열차가 일단 정차하는 일 없이, 운전 모드를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과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열차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시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rain operation by performing switching between a driving mode of moving occlusion and a driving mode of fixed occlus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train operation by performing a transfer between a moving occlusion and a fixed occlusion without stopping the train traveling once, and a train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열차 제어 시스템은 물리적인 위치 검지 장치의 재선 정보(on-rail information)를 사용하여 열차 검지를 실시하고, 경로로서 백업 경로와 CBTC 경로를 설정하는 연동 장치와, 열차로부터의 무선 경유의 위치 정보에 의해 재선 검지를 행하는 ATP 지상 장치를 구비하여, 열차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무선 열차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비탑재차와 CBTC 제어 열차(무선 탑재차)가 주행하는 구간마다 설정하는 진로를 절체함으로써, 동일 선구 상에서 쌍방의 혼재 운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Conventional train control systems of this type perform train detection using on-rail information of a physical location detection device, and a linkage device for setting a backup route and a CBTC route as a route, and wireless from a train In a wireless train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an ATP terrestrial device for detecting re-elec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via a route, the wireless trai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rains is set for each section in which a wireless unloaded vehicle and a CBTC control train (wireless equipped vehicle) travel. By switching the course, it is possible to enable two-way mixed operation on the same pioneer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무선 열차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는, 열차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무선 경유로 수신함으로써, 열차의 재선 검지를 행하는 ATP 지상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무선 비탑재차와 무선 탑재차(CBTC 제어 열차)가 주행하는 구간마다 설정하는 진로를 절체함으로써, 동일 선구 상에서 쌍방의 혼재 운행을 가능하게 하고, 무선에 의한 위치 검지 불능인 무선 비탑재차와 무선 탑재차(CBTC 제어 열차)를 동시에 동일 선구 상에서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어느 무선 비탑재차와 다른 CBTC 제어 열차가 동일 선구 상에서 쌍방의 혼재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하나의 CBTC 제어 열차가 동일 선구 상에서,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와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주행하는 것은 아니다. The radio train control system described in
이에 대하여, 근래에는, 동일 선구 상에서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에 의한 복수의 열차를 주행시키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러나 종래에는, 열차가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로 주행 중에, 무선 시스템 또는 열차의 고장, 장해 등에 의하여,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의 주행으로 절체하는 경우, 그 운전 모드의 절체를 위하여 열차는 일단 정차하여야 했다. 이렇게 열차가 일단 정차하면, 운행 지연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졌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a plurality of trains are driven by the driving mode of movement occlusion on the same pioneer. 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train is moving in the driving mode of the moving occlusion, when the system is switched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de of the fixed occlusion due to a failure or failure of the wireless system or the train, the train must stop once for the switching of the driving mode. did. Once the train stopped like this, the probability of a delay in operation increased.
이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주행하는 열차가 일단 정차하는 일 없이, 운전 모드를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과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열차 제어 방법 및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n response to this problem,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i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rain operation by transferring a driving mode between a moving occlusion and a fixed occlusion without stopping the running train once. The aim is to provide a train control syst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본 발명에 의한 열차 제어 방법은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와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열차 제어 방법으로서,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 패턴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r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in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rain operation by switching between the driving mode of moving occlusion and the driving mode of fixed occlusion, wherein the driving mode is fixed from the movement occlusion. When it is switched to the occlusion, the 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 pattern of the previous movement occlusion is valid to enable driving as it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차 제어 시스템은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와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으로서, 궤도에 설치되고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의 정보를 포함하는 열차 운행 정보를 보내는 지상자와, 열차에 탑재되고, 상기 지상자와의 사이에 통신을 실시하는 차상자, 및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의 절체를 행함과 동시에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차상 장치, 및 열차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장치와 열차의 진행 방향 앞부분에 설치되어, 선행 열차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측하는 측거 수단을 가진 것이다. In addition,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in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the train operation by performing a transfer between the driving mode of the moving occlusion and the driving mode of the fixed occlusion, and is installed on the track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ATP pattern of the fixed occlusion. The ground and the train that transmits the train operation information, the car box that is mounted on the train and communicates with the ground, and the operation mode is changed while the transfer mode is switched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fixed occlusion is fixed. When it is transferred to the stationary occlusion, the on-board device that controls the train operation that enables the ATP pattern of the previous movement occlusion to be able to travel as it is, and a wireless device that transmits/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and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train direction. Therefore, it has a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tail position of the preceding train.
본 발명에 의한 열차 제어 방법에 의하면, 주행하는 열차의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함으로써, 주행하는 열차가 일단 정차하는 일 없이, 운전 모드를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과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하는 열차의 운행 지연이 발생할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r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mode of a traveling train is switched from a moving occlusion to a fixed occlusion, the ATP pattern of the previous moving occlusion is enabled and can travel as it is, so that the traveling train stops once. Without having to do this, the driving mode can be switched between the moving occlusion and the fixed occlusion to control the train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ability that the running delay of the traveling train will occu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열차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궤도에 설치된 지상자에 의하여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의 정보를 포함한 열차 운행 정보를 보내고, 열차에 탑재된 차상자에서 상기 지상자와의 사이에 통신을 하여, 상기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의 정보를 포함한 열차 운행 정보를 수신하고, 열차에 탑재된 차상 장치에 의하여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의 절체를 행함과 동시에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열차 운행의 제어를 실시하고, 열차에 탑재된 무선 장치로 열차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여, 열차의 진행 방향 앞부분에 설치된 측거 수단에 의하여 선행 열차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측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열차 제어 방법을 실시하여, 주행하는 열차가 일단 정차하는 일 없이, 운전 모드를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과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하는 열차의 운행 지연이 발생할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in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f a fixed occluded ATP pattern is transmitted by a grounder installed on a track,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grounder and the vehicle box mounted on the train is carried out. Then, the train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ATP pattern of the fixed occlusion is received,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movement occlusion and the fixed occlusion is switched by the onboard device mounted on the train, and the driving mode is changed from the movement occlusion to the fixed occlusion. When it is transferred, the ATP pattern of the previous movement occlusion is enabled to control train operation to enable driving as it i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 wireless device mounted on the train,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train direction The distance to the aft position of the preceding train can b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means. Thereby, by implementing the above train control method,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of train operation by switching the driving mode between the moving occlusion and the fixed occlusion without stopping the running train o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ability that the running delay of the traveling train will occur.
[도 1] 본 발명에 의한 열차 제어 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상기 열차 제어 시스템의 측거 장치에 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3] 본 발명에 의한 열차 제어 방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열차의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 상기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고정 폐색으로 절체된 후의 열차가 주행하여 신호기의 정지 현시에 의해 정지하는 패턴의 각종 상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상기 열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에서 미리 정한 속도까지 감속한 후, 그 속도를 유지하면서 주행하는 열차가 선행 열차와의 거리를 계측하여 정지하는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Fig. 2 is a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distance measuring device of the train control system.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mode of the train is switched from moving occlusion to fixed occlusion.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various situations of a pattern in which the train after moving to a fixed occlusion in the above train control method travels and stops due to the stoppage of the beacon.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attern in which the train traveling while decelerating to a predetermined speed in the ATP pattern of the previous occlusion in the train control method, while maintaining the speed, measures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train and stops. to b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ttached draw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차 제어 방법을 실시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열차 제어 시스템은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와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것이다. 우선, 열차의 운전 모드로서의 고정 폐색과, 이동 폐색에 대하여 설명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train control system for implementing a tr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train control system is to control the train operation by performing a transfer between the driving mode of moving occlusion and the driving mode of fixed occlusion. First, the fixed occlusion as the driving mode of the train and the moving occlusion will be described.
고정 폐색은 종래부터의 열차 제어 방식으로, 동시에 동일 구간을 서로 다른 열차가 점유할 수 없게 하여, 통상은 1개의 열차만이 하나의 구간(폐색 구간)에 진입하는 것이 허락된다. 이 구간은 신호기 사이에 설정되므로, 고정된 구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열차는 신호기가 진행을 현시할 때까지 그 구간에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 폐색의 구간이 길어지면, 선로 용량이 저하하여 운행 효율이 나빠진다. Fixed occlusion is a conventional train control method, which prevents different trains from occupying the same section at the same time, and usually only one train is allowed to enter one section (occlusion section). Since this section is set between signalers, it is set as a fixed section. In this case, the train is not allowed to enter the section until the signal signals the progress. Therefore, when the section of the fixed occlusion becomes longer, the line capacity decreases and the running efficiency deteriorates.
이동 폐색은 근년에 와서 도입된 열차 제어의 방식으로, 고정 폐색의 결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이동 폐색은 선로나 차 상에 구비된 각종 센서, 타코미터, 속도계 등에서 계측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열차의 현재의 정확한 위치, 속도, 진행 방향을 파악하고, 컴퓨터가 각 열차에 대하여 다른 열차의 진입을 허락하지 않는 범위를 계산하여 열차 운행의 지시를 열차에 직접 전달하는 것이다(신호기는 불필요해진다). 이 경우, 안전상 필요한 최저 한도의 열차 간격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열차를 접근시켜 주행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선로 용량의 증대가 가능해져서 운행 효율이 향상된다. Mobile occlusion is a method of train control introduced in recent years and aims to improve the defects of fixed occlusion. This movement obstruction is based on information measured by various sensors, tachometers, speedometers, etc. provided on a track or car, and the current exact position, speed, and direction of each train is determined, and the computer can detect the different trains for each train. By calculating the range that does not allow entry, the train's instructions are sent directly to the train (signaling becomes unnecessar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train as close a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minimum train interval required for safet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ine capacity, and thus the ope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본 발명에 의한 열차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궤도(1)에 설치된 지상자(2)와, 열차(3)에 탑재된 차상자(4)와, 열차(3)에 탑재된 차상 장치(5)와, 열차(3)에 탑재된 무선 장치(6)와, 열차(3)에 탑재된 속도 센서(7)와, 열차(3)의 진행 방향 앞부분에 설치된 측거 장치(8)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부호 9는 무선 장치(6)의 안테나를 나타내고, 부호 10은 열차(3)의 차륜을 나타내고 있다. The trai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the
지상자(2)는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의 정보를 포함한 열차 운행 정보를, 열차(3)의 차상자(4)에 보내는 것으로, 궤도(1)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ATP」란, 영어의 "Automatic Train Protection"의 약자이며, 일본어에서는 「자동 열차 보안 장치」라고 칭한다. 이 ATP는 운전기사가 잘못하여 제한 속도가 지켜지지 않은 경우에 강제적으로 브레이크를 걸어 열차의 안전을 지키고, 사고를 회피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ATP 패턴」이란, ATP의 시스템에 있어서, 열차가 정지하여야 하는 위치까지의 남은 거리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그 열차의 브레이크 성능으로 실현 가능한 것으로서 계산된 운전 곡선(브레이크 패턴)이다. 이 ATP 패턴보다 속도가 초과하지 않게 조사(체크)함으로써, 열차의 안전을 지켜진다. ATP 패턴에는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ATP 패턴인 고정 폐색의 ATP 패턴과,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ATP 패턴인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이 있다. The
차상자(4)는 상기 지상자(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하여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의 정보를 포함한 열차 운행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열차(3)에 탑재되어 있다. 또한, 열차 운행 정보는 상기 지상자(2)와 차상자(4)와의 사이에 전자적으로 통신된다. The
차상 장치(5)는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의 절체를 행함과 동시에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것으로, 동일한 열차(3)에 탑재되어 있다. 이 차상 장치(5)는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차상자(4), 후술하는 무선 장치(6), 속도 센서(7), 측거 장치(8) 등으로부터의 정보를 넣고 계산하여, 열차 운행의 제어를 실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차상 장치(5)는 이동 폐색의 ATP 패턴 및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의 양쪽을 모두 작성하여 보유하고 있다. The on-
무선 장치(6)는 열차(3)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동일한 열차(3)에 탑재되어 있다. 이 무선 장치(6)는 다른 열차와의 사이에서 각 열차의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송수신하면서 이동 폐색에 의한 열차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위치 이외의 속도, 진행 방향, 운전 모드 등의 열차 운행 정보를 송수신하여도 된다. The
속도 센서(7)는 자기의 열차(3)의 주행 속도를 계측하는 것으로, 동일한 열차(3)에 탑재되어 있다. The
열차(3)의 진행 방향 앞부분(열차의 선두)에는, 측거 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측거 장치(8)는 선행 열차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측하는 측거 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거리 계측의 매체로서 광 또는 전파를 사용하여 선행 열차의 후미부로부터의 반사를 수신하여 계측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의 열차(3a)의 진행 방향 앞부분에 발광 수광부 또는 전파의 송수신부를 포함한 측거 장치(8)을 설치하여, 측거 장치(8)로부터 광 또는 전파를 송신하고, 전방을 달리는 선행 열차(3b)의 후미 차체로부터 반사되는 광 또는 전파를 수신하여 선행 열차(3b)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측한다. A
또는, 상기 측거 장치(8)는 거리 계측의 매체로서 선행 열차(3b)의 후미부의 화상을 취득하고, 그 영상 해석을 실시하여 계측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 자기의 열차(3a)의 진행 방향 앞부분에 측거 장치(8)로서 촬상 장치를 설치하고, 이 촬상 장치로 전방을 달리는 선행 열차(3b)의 후미 차체의 화상을 촬영하여, 얻은 화상을 영상 해석하여 이미 알고 있는 크기의 선행 열차(3b)의 후미 차체가 보이는 각도를 계측하고, 이 각도의 대소로부터 계산에 의하여 선행 열차(3b)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를 구하여도 된다. Alternatively, the
또한, 상기 측거 장치(8)에 의한 선행 열차(3b)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의 계측은 광 또는 전파를 사용하거나, 또는 촬상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선행 열차(3b)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어떠한 수단을 사용하여도 된다. In addition, measurement of the distance to the aft position of the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열차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열차 제어 방법으로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열차 제어 방법은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와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절체를 행하여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것으로,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고, 그 이동 폐색의 ATP 패턴으로 미리 정한 속도까지 감속한 후, 그 속도를 유지하면서 주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Next, a train control method performed using the train control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his train control method is to control the train operation by switching between the driving mode of the moving occlusion and the driving mode of the fixed occlusion, and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moving occlusion to the fixed occlusion, the ATP pattern of the previous moving occlusion. To make it possible to run as it is, to decelerate to a predetermined speed with the ATP pattern of the movement obstruction, and then to be able to run while maintaining the speed.
도 3(a)은 궤도(1)의 구간 1 내지 구간 5를 자기의 열차(3a) (이하 단지 「열차(3a)」라고 한다)와 선행 열차(3b)가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열차(3a) 및 선행 열차(3b) 모두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로 주행하고 있는데, 열차(3a) 및 선행 열차(3b)의 재선 범위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열차(3a, 3b)의 선두로부터 말미까지의 열차의 길이 분만큼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열차(3a)는 선행 열차(3b)의 직근 후방까지 가까워질 수 있다. 파선으로 된 커브 C1은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로 주행하고 있는 열차(3a)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은 속도를 커브 C1에 따라서 변화시키면서 주행하고, 선행 열차(3b)의 직근 후방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3(a),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의 열차(3a)가 어떠한 장해에 의하여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로 주행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 열차(3a)의 차상 장치(5)의 제어에 의하여 그 운전 모드를 자동으로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열차(3a)는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가 되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간 2의 전체가 열차(3a)의 재선 범위가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의 설명에 있어서도 동일). 즉, 구간 2가 하나의 폐색 구간이 된다. 따라서, 열차(3a)의 후속 열차는 구간 2에 진입할 수 없으며, 열차(3a)는 구간 3에 진입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도 3(b)에서는, 구간 2의 말미에 설치된 신호기(11a)가 정지 현시(×표)가 되어 있다. 또한, 선행 열차(3b)는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인 상태이므로, 그 재선 범위는 이 선행 열차(3b)의 길이 분만큼으로 되어 있다. Fig. 3(b) is a view of the on-
그러나,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차(3a)의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이 바뀐 후의 고정 폐색의 ATP 패턴(열차(3a)이 구간 2의 말미까지 주행하여 정지하는 패턴)보다 먼 위치를 정지 목표로 하고 있어서, 상기 고정 폐색의 ATP 패턴에서는 정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하는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한다. 즉,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의 끝까지는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열차(3a)는 그대로 주행한다. 이 경우, 도 3(b)에 도시하는 다음의 구간 3에 진입 가능하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3(b), the ATP pattern of the fixed occlusion after the ATP pattern C 1 of the movement occlusion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도 4(a)는, 도 3(b)에 있어서의 열차(3a)가 구간 3에 진입하여 주행하고, 구간 3 말미의 신호기(11b)의 정지 현시에 의해 정지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열차(3a)가 구간 2로부터 구간 3에 진입할 때는,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을 유효로 하여 진입하고 있으므로, 구간 3 내를 주행하면서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을 갱신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운전 모드가 절체되었을 때에, 고정 폐색의 ATP 패턴에서는 정지할 수 없는 경우가 되어,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으로 미리 정한 속도까지 감속(임의의 특정의 속도)한 후에는, 그 속도를 유지한(속도 한계 도달 상태) 운전 곡선 C2에서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그 후, 열차(3a)가 구간 3의 말미 근처에 설치된 고정 폐색용의 지상자(2a) 위를 통과함으로써, 열차(3a)의 차상자(4)가 상기 지상자(2a)와 전자적으로 결합하여,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을 갱신한다. 그러면, 열차(3a)는 고정 폐색의 ATP 패턴에 따른 주행으로 절체되는데, 구간 4 내에 선행 열차(3b)가 재선하고 있으며, 구간 3 말미의 신호기(11b)가 정지 현시이므로, 상기 고정 폐색의 ATP 패턴에 의한 운전 곡선 C3을 따라서, 열차(3a)는 신호기(11b)의 앞에서 정지한다. Fig. 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4(b)는 도 3(b)에 있어서의 열차(3a)가 구간 3에 진입하여 주행하고, 구간 3 내에서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을 갱신하고, 그대로 주행하여 구간 4 말미의 신호기(11c)의 정지 현시에 의하여 정지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4(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선행 열차(3b)가 그 앞의 구간 5까지 진입하고 있다. 이 경우, 열차(3a)는 구간 3 내에서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으로 미리 정한 속도까지 감속한 후, 그 속도를 유지한 운전 곡선 C2으로 주행하면서 구간 3의 말미 가까이의 고정 폐색용의 지상자(2a)의 위를 통과함으로써, 열차(3a)의 차상자(4)와 지상자(2a)가 전자적으로 결합하여, 고정 폐색의 ATP 패턴 C4으로 갱신한다. 이때, 구간 4 내에는 열차는 재선하고 있지 않고, 구간 3 말미의 신호기(11b)는 진행 현시(○표)이므로, 열차(3a)는 갱신 후의 고정 폐색의 ATP 패턴 C4까지 속도를 증가시키면서 구간 4에 진입한다. 열차(3a)는, 구간 4 내를 그대로 고정 폐색의 ATP 패턴 C4에 따라서 주행하는데, 구간 5 내에 선행 열차(3b)가 재선하고 있으며, 구간 4 말미의 신호기(11c)가 정지 현시이므로, 상기 고정 폐색의 ATP 패턴 C4에 의한 정지 곡선 C5에 따라서, 열차(3a)는 신호기(11c)의 앞에서 정지한다. 4(b), the
도 5는, 도 3(b)에 있어서의 열차(3a)가 구간 3에 진입하고, 감속한 상태로 구간 3으로부터 구간 4에 진입하여 선행 열차(3b)와의 거리를 계측하고 정지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열차(3a)가 다음의 구간 3에 진입하여,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으로 미리 정한 속도까지 감속한 후, 그 속도를 유지하여 주행하면서 선행 열차(3b)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여, 상기 감속 주행 속도로부터 정지할 수 있는 거리까지 접근한 시점에서 브레이크를 걸어 정지하도록, 열차(3a)를 제어하는 것이다.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즉, 열차(3a)가 구간 2로부터 구간 3에 진입할 때에는,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하여 진입하고 있으므로, 구간 3 내를 주행하면서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을 갱신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도 4와 마찬가지로,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운전 모드가 바뀌었을 때에, 고정 폐색의 ATP 패턴에서는 정지할 수 없는 경우가 되어,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1으로 미리 정한 속도까지 감속(임의의 특정의 속도)한 후에는, 그 속도를 유지한(속도 한계 도달 상태) 운전 곡선 C2에서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속도 한계 도달의 운전 곡선 C2으로 주행하면서, 도 2에 도시하는 열차(3a)의 선두에 장착된 측거 장치(8)에 의하여 선행 열차(3b)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측하고, 운전 곡선 C2에 의한 속도 한계 도달의 주행 속도로부터 정지할 수 있는 거리까지 접근한 시점에서 브레이크를 건다. 그러면, 이 브레이크 조작에 의한 운전 곡선 C6을 따라서, 열차(3a)는 선행 열차(3b)의 후미 위치의 바로 앞에서 정지한다. 또한, 부호 2c는 구간 4의 말미 근처에 설치된 고정 폐색용의 지상자를 나타내고, 부호 11d는 구간 4 말미의 신호기(정지 현시)를 나타내고 있다. That is, when the
이상은, 열차(3a)의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경우의 열차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로 열차가 주행 중에, 이동 폐색의 운전 모드로의 절체가 가능하게 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차상 장치(5)는 자동적으로 운전 모드를 고정 폐색으로부터 이동 폐색으로 절체한다. 속도 조사에 사용하는 ATP 패턴도, 고정 폐색의 ATP 패턴으로부터 이동 폐색의 ATP 패턴으로 절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였을 경우에, 열차의 운전 모드는 고정 폐색으로부터 이동 폐색으로 절체 가능하게 된다. The above has described a train control method when the driving mode of the
조건 1: 이동 폐색을 위한 지상-차상간 통신이 복구되어,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이 작성되어 있을 것. Condition 1: The ground-to-car communication for mobile occlusion has been restored, and an ATP pattern of mobile occlusion has been prepared.
조건 2: 조건 1을 만족한 후, 해당 열차(열차 A로 한다)의 전방의 구간(구간 B로 한다)으로부터 일단 열차의 재선이 완전히 없어지고, 또한 열차 A와는 반대의 구간(구간 C로 한다)이 재선이 되어, 상기 구간 B에 열차 A만이 진입한 것(동일 구간내에 다른 열차가 없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조건).Condition 2: After satisfying
조건 3: 조건 2를 만족하였을 때, 상기 구간 B에 정지 요인이 없을 것(열차 A가 주행하여도 위험이 없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조건).Condition 3: When the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고, 운전 모드를 고정 폐색으로부터 이동 폐색으로 절체한 후에는 열차 A는 이동 폐색의 ATP 패턴에 따라서 주행한다. After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and switching the driving mode from fixed occlusion to mobile occlusion, train A travels according to the ATP pattern of the movement occlusion.
1 궤도
2, 2a, 2b, 2c 지상자
3 열차
3a 자기의 열차
3b 선행 열차
4 차상자
5 차상 장치
6 무선 장치
7 속도 센서
8 측거 장치
11a, 11b, 11c, 11d 신호기
C1 이동 폐색의 ATP 패턴
C2 감속한 속도를 유지한 운전 곡선
C4 고정 폐색의 ATP 패턴1 orbit
2, 2a, 2b, 2c grounders
3 trains
3a own train
3b preceding train
4 car box
5 onboard gear
6 wireless devices
7 speed sensor
8 Rangefinder
11a, 11b, 11c, 11d signal
ATP pattern of C 1 shift occlusion
C 2 Driving curve with reduced speed
ATP pattern of C 4 fixed occlusion
Claims (7)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제어 방법.Controlling train operation by performing switching between the moving-block operation mode and the fixed-block operation mode. As a train control method,
A train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from a moving occlusion to a fixed occlusion, the ATP pattern of the previous moving occlusion is valid, and driving is possible as it is.
궤도에 설치되고, 고정 폐색의 ATP 패턴의 정보를 포함한 열차 운행 정보를 보내는 지상자(地上子)와,
열차에 탑재되어 상기 지상자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하는 차상자(車上子), 및 이동 폐색과 고정 폐색의 운전 모드의 절체를 행함과 동시에 운전 모드가 이동 폐색으로부터 고정 폐색으로 절체되었을 때에, 직전의 이동 폐색의 ATP 패턴을 유효로 하여 그대로 주행 가능하게 하는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차상 장치, 및 열차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장치와,
열차의 진행 방향 앞부분에 설치되어 선행 열차의 후미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측하는 측거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제어 시스템.A trai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rain operation by performing a transfer between a driving mode of moving occlusion and a driving mode of fixed occlusion,
A ground ruler installed on a track and sending train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f a fixed occluded ATP pattern,
When the vehicle is mounted on a train and communicates with the above grounders, and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moving obstruction to the fixed obstru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moving obstruction and the fixed obstruction is performed. , An on-board device that controls the train operation to enable driving as it is by validizing the ATP pattern of the previous occlusion, and a wireless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Train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rain and has a measuring means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aft position of the preceding 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14-071612 | 2014-03-31 | ||
| JP2014071612A JP6228882B2 (en) | 2014-03-31 | 2014-03-31 | Train control method and train control system |
| PCT/JP2015/059466 WO2015152012A1 (en) | 2014-03-31 | 2015-03-26 | Train control method and train control syste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8155A KR20160138155A (en) | 2016-12-02 |
| KR102118672B1 true KR102118672B1 (en) | 2020-06-03 |
Family
ID=5424033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7029153A Active KR102118672B1 (en) | 2014-03-31 | 2015-03-26 | Train control method and train control system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JP (1) | JP6228882B2 (en) |
| KR (1) | KR102118672B1 (en) |
| CN (1) | CN106232453B (en) |
| WO (1) | WO201515201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6560372B (en) * | 2016-07-22 | 2018-11-20 | 卡斯柯信号有限公司 | A kind of occlusion mode adaptiv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Controller |
| CN110177725B (en) * | 2017-01-17 | 2021-07-13 | 三菱电机株式会社 | Access control device, wireless train control system, on-board device and access control method |
| JPWO2018142693A1 (en) * | 2017-02-01 | 2019-11-0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Train control system, ground device, and train control method |
| CN108177662B (en) * | 2017-12-22 | 2020-06-05 |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 ATP speed limit curve fusion method for different train operation modes |
| CN108372870B (en) * | 2018-03-21 | 2021-02-09 | 北京交大思诺科技股份有限公司 | General train control vehicle-mounted host |
| CN109278807B (en) * | 2018-09-05 | 2020-09-25 |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 Train jump stopping method based on train-vehicle communication train control system |
| EP3858705A4 (en) | 2018-09-26 | 2022-07-06 | Hitachi, Ltd. | TRAIN CONTROL DEVICE AND TRAIN CONTROL SYSTEM |
| CN109649449B (en) * | 2018-12-26 | 2021-01-26 |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 Transponder arrangement method for automatic switching of vehicle-mounted ATP (automatic train protection) and LKJ (LKJ) control power without stopping |
| CN110843863B (en) * | 2019-11-11 | 2021-10-08 | 通号城市轨道交通技术有限公司 | Fixed block train track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under mobile block system |
| CN113928382B (en) * | 2021-11-16 | 2024-09-10 |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urban railway train |
| CN114044033B (en) * | 2021-12-27 | 2023-12-01 | 卡斯柯信号有限公司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train blocking patterns based on train type information |
| CN116691776A (en) * | 2022-02-25 | 2023-09-05 |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 Blocking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locomotive automatic driving |
| CN115230774B (en) * | 2022-06-30 | 2025-03-25 | 上海电气泰雷兹交通自动化系统有限公司 | A method for continuous train tracking under ATP monitoring failure |
| CN115285181A (en) * | 2022-08-03 | 2022-11-04 | 国能朔黄铁路发展有限责任公司 | Train control right switch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5214747B (en) * | 2022-08-19 | 2024-08-13 |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 Automatic train driving system and automatic train driving control method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9139927A2 (en) | 2008-05-15 | 2009-11-19 | Ghaly Nabil N | Method & apparatus for a hybrid train control device |
| JP2013078212A (en) | 2011-09-30 | 2013-04-25 | Nippon Signal Co Ltd:The | On-vehicle device for train control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111712A (en) * | 1993-10-07 | 1995-04-2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Distance between moving objects |
| JPH11245820A (en) * | 1998-03-05 | 1999-09-14 | Mitsubishi Heavy Ind Ltd | High density operation system |
| JP5275962B2 (en) | 2009-12-02 | 2013-08-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Wireless train control system |
| CN102343923A (en) * | 2011-07-07 | 2012-02-08 | 北京和利时系统工程有限公司 | Automatic train supervision system and train tracking method |
| JP6296673B2 (en) * | 2011-09-30 | 2018-03-20 | 日本信号株式会社 | Train control system ground equipment |
-
2014
- 2014-03-31 JP JP2014071612A patent/JP6228882B2/en active Active
-
2015
- 2015-03-26 WO PCT/JP2015/059466 patent/WO201515201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26 KR KR1020167029153A patent/KR102118672B1/en active Active
- 2015-03-26 CN CN201580018322.1A patent/CN106232453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9139927A2 (en) | 2008-05-15 | 2009-11-19 | Ghaly Nabil N | Method & apparatus for a hybrid train control device |
| JP2013078212A (en) | 2011-09-30 | 2013-04-25 | Nippon Signal Co Ltd:The | On-vehicle device for train control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5152012A1 (en) | 2015-10-08 |
| CN106232453A (en) | 2016-12-14 |
| JP2015193296A (en) | 2015-11-05 |
| CN106232453B (en) | 2018-10-30 |
| KR20160138155A (en) | 2016-12-02 |
| JP6228882B2 (en) | 2017-11-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18672B1 (en) | Train control method and train control system | |
| CN107709136B (en) |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riving authorization for a rail vehicle | |
| JP4573864B2 (en) | On-orbit moving body control device and advance direction detection device | |
| CN104220318B (en) | train control device | |
| US20140209758A1 (en) | Train control system | |
| KR20190058376A (en) | Autonomous vehicle traction system and method | |
| JP6051092B2 (en) | Train control system | |
| EP2762353A1 (en) | Train control system | |
| US11385066B2 (en) | Vehicle navigation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 |
| US20130144484A1 (en) | Device for testing a safety and/or driver assistance system | |
| US10449983B2 (en) | Method for commanding a railway level crossing protection system | |
| DK3105103T3 (en) | Method and system configuration for repositioning a rail vehicle | |
| US11358618B2 (en) | Crossing obstruction detection system | |
| JP4121897B2 (en) | On-orbit moving body control device and advance direction detection device | |
| JP2019089373A (en) | Obstacle monitoring device and vehicl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 |
| CN112776855B (en) | Rail vehicle and train control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llision avoidance | |
| KR101339348B1 (en) | hybrid operating system for moving block and fixed block using track circuit and method thereof | |
| KR101279424B1 (en) | Hybrid operating system for moving block and fixed block and method thereof | |
| CN111163991B (en) | train control system | |
| KR101434309B1 (en) | Measuring method of distance between the train and the rail vehicle | |
| RU2288856C2 (en) | System to prevent collision of train or locomotive with arriving or departing train | |
| JP7132740B2 (en) | Object detection system | |
| CN113525453B (en) | Unmanned vehicle ground cooperative system with front obstacle detection function | |
| JP3915612B2 (en) | Driving suppor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 |
| CN213008149U (en) | Positioning control device, rail transit vehicle and position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