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0392B1 -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392B1
KR102110392B1 KR1020190044864A KR20190044864A KR102110392B1 KR 102110392 B1 KR102110392 B1 KR 102110392B1 KR 1020190044864 A KR1020190044864 A KR 1020190044864A KR 20190044864 A KR20190044864 A KR 20190044864A KR 102110392 B1 KR102110392 B1 KR 10211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unit
information
parking space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2532A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ublication of KR2019004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5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9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모바일 장치 및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이 위치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서버를 구비한 중앙 관리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위치 센서를 구비한 주차 위치 감지부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여부를 센싱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로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device driving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nd an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is disclosed.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a predetermined place where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mobile devices are located, from a central management unit having a server; In the parking position detection unit having a position sensor, sensing whether or not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can be parked and transmitting the sensing result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And based on the sensing result, the central management un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parking available unit parking sp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to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Description

모바일 장치,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들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 시스템{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Mobile devic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hem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주차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장치,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들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arking inform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device, an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nd a parking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대형마트, 백화점과 같은 공공장소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은 다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을 마련된 주차장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주차장 별로 구조가 다양하여, 첫 이용자의 경우 주차장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워 주차 공간을 찾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차량들이 주차된 경우, 비어있는 단위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운전자는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Public places such as hy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or apartments such as apartments provide parking lots with multiple unit parking spaces. However, because the structure is different for each parking lot, it may be difficult for the first user to find the parking spa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vehicles are parked, a driver may waste unnecessary time in order to find an empty unit parking space.

이와 관련해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2145호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주차 안내 시스템")에서는 주차공간에 차량이 위치함을 감지하는 주차 인식센서와, 주차 인식센서의 감지동작에 기반하여 색을 변경하는 주차 표시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의 기재를 추가하였습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62145 (“Parking Guide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s based on a parking recogni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 vehicle in a parking space and a motion of the parking recognition sensor. System that includes a parking indicator that changes color. '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모바일 장치,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들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 정보 요청신호 및 주차 가능한 단위 공간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장치 및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obile device,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a parking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 mobile device and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at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about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and a parkingable unit space are provided.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이 위치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서버를 구비한 중앙 관리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위치 센서를 구비한 주차 위치 감지부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여부를 센싱하고 상기 중앙 관리부로 상기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peration method of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quests parking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lace where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mobile devices are located Receiving a signal from a central management unit having a server; In the parking position detection unit having a position sensor, sensing whether or not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can be parked and transmitting the sensing result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And based on the sensing result, the central management unit may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parking available unit parking sp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to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서버는 복수의 데이터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고, 상기 전송된 센싱 결과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storing a database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and storing the transmitted sensing result as the database.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중앙 관리부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 받는 관리자 콘솔, 및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서 저장된 상기 센싱 결과 및 상기 관리자 콘솔의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entral management unit further includes an administrator console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the central management unit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and a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stores the data stored as the databas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parking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location based on the sensing result and control of the administrator console.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부는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장치와 비콘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통신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 중 상기 비콘 통신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로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부에서, 상기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entral management unit further includes a beacon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beacon communication with a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the receiving step includes: among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in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tivation signal to a mobile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ing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i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can do.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신호에 기반하여,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이 위치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device for driving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for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Transmitting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a predetermined place where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are located to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activation signal; Receiv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parking sp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from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received parking space for one or more parking units to a user through an output uni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성 출력부 및 상기 화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음성 출력부 및 상기 화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output unit displays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received one or mor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by voice and information on the received one or mor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Including a scree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d providing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screen output uni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step; And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one or more parking spaces available for parking through the at least one of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screen output uni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모바일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 중 하나를 선택하는 주차 완료 신호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주차 완료 신호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차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출차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obile device further includes a memory, and the step of providing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includes: a parking comple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one or mor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to the user Receiving input through an interface; Stor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arking space available on the basis of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in the memory; And receiving an exit signal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available parking space based on the exit signal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예상 주차요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상기 예상 주차요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may include, in the application, for the selected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stored in the memory. Providing information on an estimated parking fe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estimated parking fee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운전자는 모바일 장치를 통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주차 공간 탐색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iver can improve the difficulty of searching for a parking space by grasping information about unit parking spaces located in a predetermined place through a mobile device.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운전자는 출차 시 모바일 장치를 통해 차량이 주차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주차 요금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iver can improv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of the unit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nd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fee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device when leaving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정보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위치센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단위 주차공간들에 대해 인식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si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formation that a server recognizes about unit parking spac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A and 9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or reduced than actual ones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정보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infor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정보 시스템(10)은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 및 모바일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이 위치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소정의 장소는, 예를 들어 대형마트, 백화점과 같은 공공장소에 위치한 주차장, 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위치한 주차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정의 장소는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이 위치한 다양한 장소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arking information system 10 may include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and a mobile device 200.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for example,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parking system for a predetermined place where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are located. The predetermined place may mean, for example, a parking lot locat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hypermarket or a department store, or a parking lot located in an apartment house like an apart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determined place may be various places where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are located.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주차 위치 감지부(110) 및 중앙 관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주차 위치 감지부(110)는 소정의 장소에서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여부를 센싱하고, 중앙 관리부(120)로 센싱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위치 감지부(110)는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parking position detection unit 110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120.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arking position sensing unit 110 may sense whether parking of each of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is possible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may transmit a sensing result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For example, the parking position detecting unit 11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dispos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중앙 관리부(120)는 주차 위치 감지부(110)의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관리부(120)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transmits information on one or mor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among the unit parking spaces to the mobile device 200 based on the sensing result of the parking position detection unit 110. Can be. For example,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may include a server.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을 구동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구비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이동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웨어러블 기기, 차량의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mobile device 200 may drive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device 200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AP) for driving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 The mobile device 200 includes, for exampl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enterprise digital assistant (E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PND), and a wearable device. It may be a user interface device of a vehi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200)는 외부로부터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에 대한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으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200 receives an activation signal for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 from the outside, and based on this, receives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a predetermined place from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Can transmit.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one or more available parking spaces from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and provide it to the user.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도 2는 도 1의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의 블록도일 수 있다. 이하,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FIG. 2 may be a block diagram of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of FIG. 1. Hereinafter,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주차 위치 감지부(110)는 위치 센서(112) 및 통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112)는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고,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서 차량의 주차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위치 센서(112)는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arking position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112 and a communication unit 114. The position sensor 112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and may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parked in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In other words, the position sensor 112 may sense whether parking of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is possible.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위치 센서(112)는 통신부(114)를 통해, 단위 주차공간들에 대한 센싱 결과(W_P_IF)를 중앙 관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 결과(W_P_IF)는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 대한 주차 가능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location sensor 112 may transmit the sensing result W_P_IF for unit parking spaces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4. As an example, the sensing result W_P_IF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whether parking is possible for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위치 센서(112)는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 여부에 더해,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 대한 주차 용이 정도를 더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용이 정도는, 센싱 대상인 단위 주차공간에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차량 주차 여부 및/또는 상기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주차된 차량의 위치에 기반하여 센싱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싱 대상인 단위 주차공간에 대해,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경우가, 차량이 주차된 경우보다 주차 용이 정도가 높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주차된 차량과 센싱 대상인 단위 주차공간간의 거리가 멀수록 주차 용이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osition sensor 112 may sense the degree of ease of parking for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in addition to the availability of parking for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For example, the degree of ease of parking may be sensed based on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unit parking spaces adjacent to a unit parking space that is a sensing target and / or a location of a vehicle parked in the adjacent unit parking spaces. For example, for a unit parking space that is a sensing target, when the vehicle is not parked in adjacent unit parking spaces, the degree of ease of parking may be higher than when the vehicle is parked. As another example,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a vehicle parked in adjacent unit parking spaces and a unit parking space to be sensed, the higher the degree of ease of parking.

중앙 관리부(120)는 서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2)는 모바일 장치(200)로부터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모바일 장치(200)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2)는 모바일 장치(200)와 무선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 및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송/수신 할 수 있다.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may include a server 122. The server 122 may receive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from the mobile device 200, and transmit information P_IF about a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to the mobile device 200 based on this. For example, the server 122 may transmit / receive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and information about a parking space in a parking unit (P_IF) through the mobile device 2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서버(122)는 통신부(114)를 통해 전송된 센싱 결과(W_P_IF)에 기반하여, 모바일 장치(200)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2)는 센싱 결과(W_P_IF)를 통해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을 인식하고, 이를 수집하여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로서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센싱 결과(W_P_IF)에, 각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주차 용이 정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서버(122)는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에 주차 용이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rver 122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to the mobile device 200 based on the sensing result W_P_IF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4. . For example, the server 122 recognizes one or mor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among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through a sensing result (W_P_IF), and collects them to collect mobile information as parking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Device 200. In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sensing result (W_P_IF)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ease of parking for each unit parking space, the server 122 is easy to park in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P_IF)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may be includ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200.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서버(122)는 센싱 결과(W_P_IF)를 통해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을 인식하고,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을 일반 주차공간, 장애인용 주차공간 및 여성 주차 공간 중 하나로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서버(122)는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에 상기 구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모바일 장치(200)로 출력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rver 122 recognizes one or mor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among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through a sensing result (W_P_IF), and one or mor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is a general parking space or a disabled person. It can be divided into either a parking space for women or a parking space for women. Thereafter, the server 122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in the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in which the parking unit is available, and output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200.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는 모바일 장치(200)에 대한 고유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정보 요청 신호(REQ)를 수신한 서버(122)는, 모바일 장치(200)에 대한 고유 식별자 정보에 기반하여 모바일 장치(200)의 사용자가 VIP 고객인지 일반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2)는 VIP 고객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VIP 고객의 고유 식별자 정보와 수신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모바일 장치(200)의 사용자가 VIP 고객인지 일반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22)가 모바일 장치(200)의 사용자가 VIP 고객이라고 판단한 경우, 중앙 관리부(120)는 VIP 전용 단위 주차공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모바일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may includ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mobile device 200. The server 122 receiving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200 is a VIP customer or a general customer based on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mobile device 200. For example, the server 122 stores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VIP customer, compares the stored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VIP customer with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and the mobile device 200 )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 VIP customer or a regular customer. For example, when the server 122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200 is a VIP customer,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for the VIP-only unit (P_IF) ) To the mobile device 200.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위치센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3은 도 2의 위치 센서(11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일 수 있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sition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FIG. 3 may be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position sensor 112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센서(112)는 단위 주차공간(PA)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센서(112)는 단위 주차공간(PA)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단위 주차공간(PA)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주차공간(PA)에 차량(VC)이 주차된 경우, 위치 센서(112)는 단위 주차공간(PA)에 차량(VC)이 주차되어 있음을 센싱할 수 있다. 위치 센서(112)는 단위 주차공간(PA)에 차량(VC)의 주차 여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통신부(도 2의 114)를 통해 중앙 관리부(도 2의 120)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osition sensor 112 may be disposed above the unit parking space PA. Specifically, the position sensor 112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unit parking space P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parking space PA.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vehicle VC is parked in the unit parking space PA, the position sensor 112 indicates that the vehicle VC is parked in the unit parking space PA. I can sense it. The position sensor 112 may sense whether the vehicle VC is parked in the unit parking space PA and transmit the sensing result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in FIG. 2)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4 in FIG. 2).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단위 주차공간들에 대해 인식하는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formation that a server recognizes about unit parking spac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소정의 장소(P)는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PA1~PA24)을 포함하고, 서버(예를 들어, 도 2의 122)는 수신한 센싱 결과(W_P_IF)에 기반하여,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PA1~PA24) 각각에 대한 주차 가능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단위 주차공간들의 개수가 24개인 것으로 설명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소정의 장소(P)의 구조가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소정의 장소(P)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4, a predetermined place P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PA1 to PA24, and a server (for example, 122 in FIG. 2) is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result W_P_IF. , It is possible to recognize whether parking is possib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PA1 to PA24.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unit parking spaces is described as 24,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structure of the predetermined place P is shown as a rectangl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edetermined place P may have various structures.

예를 들어, 위치 센서(112)를 통해,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PA1~PA24) 중 제7, 9, 14 및 24 단위 주차공간(PA7, PA9, PA14, PA24)이 주차가 가능한 것으로 센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예를 들어, 도 2의 122)는 제7, 9, 14 및 24 단위 주차공간(PA7, PA9, PA14, PA24)이 주차가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12, the 7th, 9th, 14th, and 24th unit parking spaces PA7, PA9, PA14, PA24 among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PA1 to PA24 are sensed to be parkingable. Can be. Accordingly, the server (for example, 122 in FIG. 2) includes parking information for the parking spaces of the 7th, 9th, 14th, and 24th units (PA7, PA9, PA14, PA24). Information about P_IF may be transmitted to a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도 5는 도 1의 모바일 장치(200)의 블록도일 수 있다. 이하, 도 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FIG. 5 may be a block diagram of the mobile device 200 of FIG. 1. Hereinafter,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0)는 유저 인터페이스(UI) 및 출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UI)는, 모바일 장치(200) 외부(예를 들어, 유저)로부터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에 대한 활성화 신호(ACT)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UI)는 터치 스크린, 물리적 버튼, 음성 인식 장치 및 모션 인식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obile device 200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UI) and an output unit 220. The user interface (UI) may receive an activation signal ACT for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 from the mobile device 200 outside (eg,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I)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screen, a physical button, a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a motion recognition device.

유저 인터페이스(UI)로부터 입력 받은 활성화 신호(ACT)에 기반하여,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이 구동되고,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으로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를 무선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Based on the activation signal ACT received from the user interface UI,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 is driven, and the mobile device 200 transmits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to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Can be.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 may transmit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to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는 무선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information (P_IF) about a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from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For example, information (P_IF) on a parking space that can be parked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모바일 장치(200)는 수신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출력부(220)를 통해 유저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출력부(220)는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출력부(220)와 유저 인터페이스(UI)를 별도의 구성으로 개시하였으나, 출력부(220)와 유저 인터페이스(UI)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유저 인터페이스(UI) 및 출력부(220)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200 may output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available parking space (P_IF)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220.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utput unit 220 displays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P_IF) about a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by voice and a screen for outputting information (P_IF) for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on a screen. An output unit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output unit 220 and the user interface (UI) are disclos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the output unit 220 and the user interface (UI) may be implemented as on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UI) and the output unit 22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integrated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s include, for example, liquid crystal displays,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s,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flexible displays, and three-dimensional displays.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3D display).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UI)는, 모바일 장치(200) 외부(예를 들어, 유저)로부터 선택 신호(SLT)를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선택 신호(SLT)는, 예를 들어 출력부(220)가 음성 출력부 및 화면 출력부를 구비하는 경우, 음성 출력부 및 화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신호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user interface UI may further receive a selection signal SLT from an external (eg, user) mobile device 200. The selection signal SLT may be, for example, a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screen output unit when the output unit 220 includes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screen output unit.

일 예로, 유저가 선택 신호(SLT)를 통해,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가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선택한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음성 신호로서 상기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저가 선택 신호(SLT)를 통해,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가 화면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선택한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이미지 신호로서 상기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유저가 선택 신호(SLT)를 통해,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가 음성 출력부 및 화면 출력부 모두를 통해 출력되도록 선택한 경우, 모바일 장치(200)는 음성 신호 및 이미지 신호로서 상기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information P_IF for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through the selection signal SLT to be output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the mobile device 200 provides the information as a voice signal to the user. Can b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information P_IF for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through the selection signal SLT to be output through the screen output unit, the mobile device 200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as an image signal. Can b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through the selection signal (SLT) through both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screen output unit, the mobile device 200 may display an audio signal and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s an image signal.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도 6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FIG. 6 can describe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00 shown in FIG. 2. Hereinafter, FIG. 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6을 참조하면,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모바일 장치(도 1의 200)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는, 예를 들어 서버(122)를 구비하는 중앙 관리부(120)에서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may receive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for a predetermined place transmitted from a mobile device (200 in FIG. 1) (S100).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may be received, for example, from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provided with the server 122.

다음,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상기 센싱은 주차 위치 감지부(110)에 구비된 위치 센서(112)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112)는 주차 가능 여부의 센싱 결과(W_P_IF)를, 주차 위치 감지부(110)에 구비된 통신부(114)를 통해 중앙 관리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00 may sense whether park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is possible (S110). For example, the sensing may be performed by the position sensor 112 provided in the parking position sensing unit 110. In addition, the location sensor 112 may transmit the sensing result (W_P_IF) of whether parking is possible or not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4 provided in the parking location detection unit 110.

본 실시 예에서는,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이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를 수신(S100)한 다음,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 여부를 센싱(S110)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 여부를 센싱(S110)한 다음,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를 수신(S100)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receives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S100) and then is described as sensing whether or not park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is possible (S110). It is not limited. That is,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00 may sense whether park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is possible (S110), and then receive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S100).

다음,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모바일 장치(도 1의 2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의 전송은, 주차 위치 감지부(110)로부터 전송된 센싱 결과(W_P_IF)에 기반하여, 중앙 관리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P_IF) on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the unit to the mobile device (200 in FIG. 1) (S120).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that can be parked may be performed by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 based on the sensing result (W_P_IF)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position detection unit 110.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이하, 도 7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FIG. 7 may describ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200 shown in FIG. 5. Hereinafter, FIG.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7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0)는 모바일 장치(200) 외부로부터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에 대한 활성화 신호(ACT)를 수신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통해 활성화 신호(ACT)를 유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an activation signal ACT for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 from outside the mobile device 200 (S20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the activation signal ACT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I.

다음,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도 1의 100)으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를 전송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를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도 1의 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device 200 may transmit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for a predetermined place to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100 in FIG. 1) (S21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 may transmit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 to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in FIG. 1)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다음,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도 1의 100)으로부터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수신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도 1의 100)으로부터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수신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from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in FIG. 1) (S22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 may receive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from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 in FIG. 1)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다음,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는 출력부(220)를 통해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device 200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in which the parking unit is available (S23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through the output unit 220.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출력부(220)는 음성 출력부 및 화면 출력부를 구비하고, 모바일 장치(200)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음성 출력부 및 화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SLT)를 유저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선택 신호(SLT)에 기반하여, 모바일 장치(200)는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음성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서 출력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output unit 220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and a screen output unit, and the mobile device 200 selects at least one of a voice output unit and a screen output unit through a user interface (UI) The step of receiving the signal SLT from the user may be further performed.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SLT, the mobile device 200 may output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as at least one of voice data and image data.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운전자는 모바일 장치를 통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주차 공간 탐색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대한 정보가 이미지 데이터뿐 아니라 음성 데이터로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운전 중에도 안전성을 도모하며 단위 주차공간들을 탐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iver can improve the difficulty of searching for a parking space by grasping information about unit parking spaces located in a predetermined place through a mobile device. In addition, since information on the unit parking spaces can be provided as voice data as well as image data,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unit parking spaces while driving for safety while driving.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 개시된 구성 중,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f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FIG. 8,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FIG. 2 will be avoided.

도 8을 참조하면, 중앙 관리부(120a)는 디스플레이부(126a) 및 관리자 콘솔(12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2a)에는 데이터 베이스(124a)가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a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26a and an administrator console 128a. Also, the database 124a may be stored in the server 122a.

서버(122a)는 주차 위치 감지부(110a)로부터 출력된 센싱 결과(W_P_IF)를 데이터 베이스(124a)로서 저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서버(122a)는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센싱 결과(W_P_IF)를 데이터 베이스(124a)로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2a)는 데이터 베이스(124a)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2a)는, 데이터 베이스(124a) 중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부(126a) 및 관리자 콘솔(128a)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The server 122a may store the sensing result W_P_IF output from the parking position detecting unit 110a as a database 124a.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rver 122a may sequentially store sensing results W_P_IF as a database 124a over time. For example, server 122a may include one or more memory devices that store database 124a. The server 122a may output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base 124a to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26a and the administrator console 128a.

디스플레이부(126a)는 센싱 결과(W_P_IFa) 및 관리자 콘솔(128a)의 제어에 기반하여,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6a)는 데이터 베이스(124a) 중 적어도 일부 및 관리자 콘솔(128a)의 제어에 기반하여,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현황 및 주차 통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6a)는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의 배치 구조도, 각 단위 주차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 각 단위 주차공간이 일반 주차공간, 장애인용 주차공간 및 여성 주차 공간 중 어느 것으로 구분되는 지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26a may display the information P_IF about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based on the sensing result W_P_IFa and control of the administrator console 128a.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6a may display parking status and parking statistics for a predetermined place ba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base 124a and control of the administrator console 128a.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26a is a layout diagram of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whether parking of each unit parking space is possible, and whether each unit parking space is divided into a general parking space, a parking space for a disabled person, and a female parking spac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관리자 콘솔(128a)은 서버(122a) 및 디스플레이부(126a) 중 적어도 하나를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콘솔(128a)은 서버(122a) 및 디스플레이부(126a)와 연결되는 각종 입출력 장치일 수 있고, 서버(122a) 및 디스플레이부(126a)에 대한 각종 제어가 가능한 조정용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a)의 관리자는, 관리자 콘솔(128a)을 통해 서버(122a) 및 디스플레이부(126a)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console 128a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server 122a and the display unit 126a. For example, the administrator console 128a may be various input / output devices connected to the server 122a and the display unit 126a, and may be a control device capable of various control of the server 122a and the display unit 126a. have. For example, an administrator of th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100a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server 122a and the display unit 126a through the administrator console 128a.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를, 도 9b는 도 9a의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9a 및 9b에 개시된 구성 중, 도 2 및 도 6과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9A and 9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ally, FIG. 9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9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FIG. 9A, respectively. . Of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FIGS. 9A and 9B,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FIGS. 2 and 6 will be avoided.

도 9a를 참조하면, 중앙 관리부(120b)는 비콘 통신부(1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콘 통신부(121b)는,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장치와 비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통신은 소정의 반경 내에 있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기술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중앙 관리부(120b)가 비콘 통신부(121b)를 구비하고, 비콘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다른 실시 예에서, 비콘 통신부(121b)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9A,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b may further include a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may perform beacon communication with a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or example, the beacon communication may be a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Bluetooth module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b is described as having a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and performing beacon communication,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perform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for performing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 May be replaced by a device.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비콘 통신부(121b)는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로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신호(ACTb)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신호(ACTb)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에 구비된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도 1의 210)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b)은 비콘 통신부(121b)를 통해, 비콘 통신부(121b)의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의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도 1의 210)을 구동시킬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may transmit an activation signal ACTb for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to a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or example, the activation signal ACTb for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may drive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eg, 210 in FIG. 1) provided in the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Accordingly,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b through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for example, 200 of FIG. 1) of a mobile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of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for example, 200) , 210 in FIG. 1.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서버(122b)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로부터 전송된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b)를 수신하고, 이에 기반하여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b)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b)는 비콘 통신부(121b)로부터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신호(ACTb)를 수신한 모바일 장치(도 1의 200)로부터 전송되고,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b)는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erver 122b receives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b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eg, 200 of FIG. 1), and based on this, the mobile device (eg, FIG. 1) 200),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P_IFb) about a unit parking space capable of parking. For example,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b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200 in FIG. 1) that has received the activation signal ACTb for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from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and for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Information P_IFb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b)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에 대한 고유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b)를 수신한 서버(122b)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에 대한 고유 식별자 정보에 기반하여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의 사용자가 VIP 고객인지 일반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22b)는 VIP 고객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VIP 고객의 고유 식별자 정보와 수신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REQb)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의 사용자가 VIP 고객인지 일반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122b)가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의 사용자가 VIP 고객이라고 판단한 경우, 중앙 관리부(120b)는 VIP 전용 단위 주차공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b)를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b may includ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for a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The server 122b that receives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b is a user of the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based on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s a VIP customer or a regular customer. For example, the server 122b stores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VIP customer, and compares the stored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VIP customer with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b, such as a mobile device (eg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of FIG. 1 200) is a VIP customer or a regular customer. For example, when the server 122b determines that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is a VIP customer,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b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VIP-only unit parking space, a parkingable unit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P_IFb may be transmitted to a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도 9b를 참조하면,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b)은,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신호(ACTb)를 송신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b)은 비콘 통신부(121b)를 통해, 비콘 통신부(121b)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로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신호(ACTb)를 전송할 수 있다.9B,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b may transmit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tivation signal ACTb (S300). For example,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b activates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through a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to a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121b. The signal ACTb can be transmitted.

다음,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b)은,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신호(ACTb)를 수신한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 정보 요청 신호(REQb)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주차 정보 요청 신호(REQb)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의 사용자가 VIP 고객인지 일반 고객인지 여부 판단에 기반이 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Next,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b may receive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b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eg, 200 of FIG. 1) that has received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tivation signal ACTb ( S310). For example,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Qb may includ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based o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eg, 200 in FIG. 1) is a VIP customer or a general customer.

다음,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100a)은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 여부를 센싱(S320)하고,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b)를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도 1의 20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예를 들어,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 여부의 센싱은 위치 센서(112b)를 구비한 주차 위치 감지부(110b)에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b)의 전송은 무선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중앙 관리부(120b)에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100a senses whether or not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can be parked (S320), and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200 of FIG. 1)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parking (P_IFb). It can be transmitted to (S330). For example, sensing whether or not parking of each of the unit parking spaces is possible is performed by the parking position detecting unit 110b equipped with the position sensor 112b, and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P_IFb about the parking available unit parking spac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Not shown) may be performed i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120b, respectively.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개시된 구성 중,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f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FIG. 10, descriptions overlapping with FIG. 5 will be avoided.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0a)는 유저 인터페이스(UIa)를 통해 주차 완료 신호(CMPa) 및 출차 신호(OTa)를 더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완료 신호(CMPa)는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P_IF)를 통해 제공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의 단위 주차공간을 선택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모바일 장치(200a)는 유저로부터 주차 완료 신호(CMPa)를 입력 받음으로써, 하나의 단위 주차공간에 주차를 완료됨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00a)는 유저로부터 출차 신호(OTa)를 입력 받음으로써, 주차 완료 신호(CMPa) 신호를 통해 인식된 단위 주차공간에서 차량이 출차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mobile device 200a may further receive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and the exit signal OTa through the user interface UIa. For example,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may be a signal for selecting one unit parking space among parking available unit parking spaces provided through information P_IF on the parking available unit parking spaces. That is, the mobile device 200a may recognize that parking is completed in one unit parking space by receiving a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from a user.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200a may recognize that the vehicle has been unloaded from the unit parking space recognized through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signal by receiving the exit signal OTa from the user.

모바일 장치(200a)는 메모리(2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0a)는, 예를 들어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일 수 있다. 메모리(230a)는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a) 구동 시 연산 또는 송/수신 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230a)는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a)을 저장하는 메모리 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obile device 200a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230a. The memory 230a may be, for example, a cache memory. The memory 230a may store various data that are calculated or transmitted / received when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a is driven. Alternatively, the memory 230a may be a memory storing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a.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200a)는, 주차 완료 신호(CMPa)에 기반하여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30a)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는, 주차 완료된 단위 주차공간의 고유 식별번호 및/또는 주차 완료 신호(CMPa)가 입력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200a may store information on a parking space in a parking unit selected based on a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in the memory 230a.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arking space for the available parking unit may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the time when the parking identification signal (CMPa) and / or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arking unit where the parking is completed is input.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200a)는 출차 신호(OTa)에 기반하여 메모리(230a)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220a)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200a)는 출차 신호(OTa) 및 메모리(230a)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출차 시 예상 주차요금에 관한 정보를 연산 후 이를 출력부(220a)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상 주차요금에 관한 정보는,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210a)을 구동하는 프로세서(미도시)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200a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stored in the memory 230a based on the exit signal OTa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220a. Can be.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200a calculates the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parking fee when leaving the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exit signal OTa and the selected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stored in the memory 230a, and outputs it after outputting the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parking fee ) To the user. 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parking fee may be performed by a processor (not shown) driving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210a.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운전자는 출차 시 모바일 장치를 통해 차량이 주차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주차 요금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driver can grasp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pace of the unit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and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fee in real time through the mobile device when leaving the vehicle, convenience of the driver may be improved.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200a)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FIG. 11 may describe the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200a illustrated in FIG. 10.

도 11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200a)는 모바일 장치(200a) 외부로부터 주차 완료 신호(CMPa)를 수신할 수 있다(S400).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a)는 유저 인터페이스(UIa)를 통해 유저로부터 주차 완료 신호(CMPa)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 완료 신호(CMPa)는, 유저에게 제공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의 단위 주차공간을 선택하고, 해당 단위 주차공간에 주차가 완료됨을 의미하는 신호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mobile device 200a may receive a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from outside the mobile device 200a (S40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a may receive a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Ia.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may be a signal that selects one unit parking space among the available parking unit parking spaces provided to the user, and indicates that parking is completed in the unit parking space.

다음, 모바일 장치(200a)는 주차 완료 신호(CMPa)를 통해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a)는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S230a)에 저장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device 200a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available for the selected unit through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CMPa (S41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a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arking space in the available parking unit in the memory S230a.

다음, 모바일 장치(200a)는 모바일 장치(200a) 외부로부터 출차 신호(OTa)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a)는 유저 인터페이스(UIa)를 통해 유저로부터 출차 신호(OTa)를 수신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device 200a may receive the exit signal OTa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200a (S420).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a may receive the exit signal OTa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Ia.

다음, 모바일 장치(200a)는 출차 신호(OTa)에 기반하여, 메모리(230a)에 저장된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S430).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200a)는 출차 신호(OTa) 및 메모리(230a)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출차 시 예상 주차요금에 관한 정보를 연산 후 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200a)는 출력부(220a)를 통해 상기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device 200a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stored in the memory 230a based on the exit signal OTa (S430). In an exemplary embodiment, after the mobile device 200a calculates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parking fee when leaving,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stored in the exit signal OTa and the memory 230a Thi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the mobile device 200a may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220a.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xemplary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inology in this specificatio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은 주차 위치 감지부 및 중앙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위치 감지부는 복수의 위치 센서들 및 통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위치 센서들 각각은 단위 주차공간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단위 주차공간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중앙 관리부는 서버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중앙 관리부의 상기 서버가,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이 위치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 위치 감지부의 상기 복수의 위치 센서들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제1 센싱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차 위치 감지부의 상기 복수의 위치 센서들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차량 주차 여부, 상기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주차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주차된 차량과 센싱 대상인 단위 주차공간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 대한 주차 용이 정도를 센싱함으로써 제2 센싱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차 위치 감지부의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중앙 관리부의 상기 서버로 상기 제1 센싱 결과 및 상기 제2 센싱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싱 결과 및 상기 제2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 관리부의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부의 상기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을 일반 주차공간, 장애인용 주차공간 및 여성 주차공간 중 하나로 구분함으로써 구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앙 관리부의 상기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구분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 관리부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구분 정보, 상기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현황 및 주차 통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은 적어도 하나의 VIP 전용 단위 주차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정보 요청신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VIP 고객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관리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 정보와 상기 VIP 고객의 고유 식별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VIP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가 VIP 고객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VIP 전용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부는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장치와 비콘 통신을 수행하는 비콘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중앙 관리부의 상기 비콘 통신부가 상기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 중 상기 비콘 통신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로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앙 관리부에서, 상기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중앙 관리부에 대한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관리자 콘솔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싱 결과, 상기 제2 센싱 결과 및 상기 관리자 콘솔의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소정의 장소에 대한 상기 주차 현황 및 상기 주차 통계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ng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arking position detection unit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the parking position det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It is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of the unit parking sp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it parking space, the central management unit includes a server and a display unit,
The operation method,
Receiving, by the server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a predetermined place where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are located from one or more mobile devices;
Generating first sensing results by sensing whether park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is possible in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of the parking position sensing unit;
In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of the parking position detecting unit,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unit parking spaces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a location of a vehicle parked in the adjacent unit parking spaces, and the adjacent unit parking Generating a second sensing result by sensing the degree of ease of park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based on a distance between a vehicle parked in the spaces and a unit parking space to be sensed;
Transmitting the first sensing result and the second sensing result from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parking position detection unit to the server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Based on the first sensing result and the second sensing result, the server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recognizes one or more available parking spaces among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Generating, by the server, the server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by dividing the at least on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into one of a general parking space, a parking space for disabled persons, and a female parking space;
Transmitting, by the server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t least one mobile device; And
And displaying, by the display unit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parking status of the predetermined location, and parking statistics,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VIP-only unit parking space,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further includes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The server stores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VIP customer,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of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is a VIP customer by comparing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with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VIP customer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of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is a VIP customer, the central management unit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VIP-only unit parking space to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The central management unit further includes a beacon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beacon communication with a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The operation method,
Before the step of receiving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o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transmits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ctivation signal to a mobile devic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beacon communication unit among the one or more mobile devices. Including more,
The step of receiving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a mobile device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The central management unit further includes an administrator console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the central management unit from outside the mobile device,
In the displaying step,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king status and the parking statistics for the predetermined place are displayed based on the first sensing result, the second sensing result, and control of the administrator console. How it work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 및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음성 출력부 및 화면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부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신호에 기반하여,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VIP 고객의 고유 식별자 정보와의 비교를 위한 상기 모바일 장치에 대한 고유 식별자 정보, 및 일반 주차공간, 장애인용 주차공간, 여성 주차공간 및 VIP 주차공간 중 하나로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이 위치한 소정의 장소에 대한 주차 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중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이 상기 일반 주차공간, 상기 장애인용 주차공간 및 상기 여성 주차공간 중 하나로 구분되는 구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와 상기 VIP 고객의 고유 식별자 정보 간 비교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VIP 전용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음성 출력부 및 상기 화면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구분 정보 및 상기 VIP 전용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부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의 주차 가능 여부를 센싱함으로써 생성된 제1 센싱 결과,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 대한 주차 용이 정도를 센싱함으로써 생성된 제2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 결과는, 상기 복수의 단위 주차공간들 각각에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차량 주차 여부, 상기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주차된 차량의 위치, 및 상기 인접한 단위 주차공간들에 주차된 차량과 센싱 대상인 단위 주차공간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생성되며,
상기 음성 출력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구분 정보 및 상기 VIP 전용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화면 출력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 상기 구분 정보 및 상기 VIP 전용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화면으로 출력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 중 하나인 제1 단위 주차공간을 선택하고 상기 제1 단위 주차공간에 주차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완료 신호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주차 완료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차 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출차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주차 가능한 단위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예상 주차요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유저에게 상기 예상 주차요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모바일 장치의 동작 방법.
As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device for driving a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the mobile device includes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a user interface and an output unit, and the output unit includes a voice output unit and a screen output unit,
The operation method,
Receiving an activation signal for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Based on the activation signal, as a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for the mobile device for comparison with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VIP customers stored in the integrate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and general parking spaces, parking spaces for the disabled, Transmitting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a predetermined place where a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divided into one of a female parking space and a VIP parking space are located;
Receiv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available parking spaces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from th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Receiving, from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e at least on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divided into one of the general parking space, the disabled parking space and the female parking space;
Receiving, from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on a parking space dedicated to a VIP unit provided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VIP customer;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audio output unit and the screen output uni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Based on the selection signal,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VIP-only unit parking space to the user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or the screen output unit and,
The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one or more parking spaces available for parking,
In the parking l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 first sensing result generated by sensing whether parking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is possible, and a second generated by sensing the degree of ease of park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generated based on a sensing result,
The second sensing result is whether a vehicle is parked in unit parking spaces adjacen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parking spaces, a location of a vehicle parked in the adjacent unit parking spaces, and a vehicle parked in the adjacent unit parking spaces. Is generat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parking space and the sensing target unit,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of the at least one parkingable unit,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for the VIP-only unit by voice,
The screen output unit outputs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of the at least one parkingable unit,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for the VIP-only unit on a screen,
The mobile device further includes a memory,
The operation method,
Selecting a first unit parking space, which is one of the one or more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s, and receiving a parking completion signal indicating that parking is completed in the first unit parking space through the user interface;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nit parking space in the memory based on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Receiving an exit signal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Based on the exit signal,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nit parking space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The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unit,
Providing, in the parking management application, information on an estimated parking fe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arkingable unit parking space stored in the memory; And
And providing, by the output unit,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parking fee to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44864A 2017-09-29 2019-04-17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Active KR10211039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328 2017-09-29
KR20170128328 2017-09-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576A Division KR20190038226A (en) 2017-09-29 2017-11-24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532A KR20190042532A (en) 2019-04-24
KR102110392B1 true KR102110392B1 (en) 2020-05-14

Family

ID=661643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576A Ceased KR20190038226A (en) 2017-09-29 2017-11-24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KR1020190044864A Active KR102110392B1 (en) 2017-09-29 2019-04-17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576A Ceased KR20190038226A (en) 2017-09-29 2017-11-24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3822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394A (en) 2020-06-17 2021-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guid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8639A (en) * 2016-02-01 2017-08-10 富士通株式会社 Parking lot search system, parking lot search method, parking lot search device, and parking lot search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3680A1 (en) * 2013-11-20 2015-05-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otor vehicle
KR101682281B1 (en) * 2014-12-01 2016-12-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arking lot automatic guide system
KR101714754B1 (en) * 2014-12-16 2017-03-22 조운대 System for managing on-street parking lot using smartphone
KR20160142216A (en)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마이티젠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position of vehicle using user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8639A (en) * 2016-02-01 2017-08-10 富士通株式会社 Parking lot search system, parking lot search method, parking lot search device, and parking lot search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394A (en) 2020-06-17 2021-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guid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226A (en) 2019-04-08
KR20190042532A (en) 201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4003B2 (en) Method, system and product for a parking auction
KR102109585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location based servic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TWI426233B (en) Parking lot space navigation device
US20170313353A1 (en) Parking Space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Parking Spac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KR20180083073A (en) Vehicl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n vehicl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ing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JP2019148928A (en) Rental cycle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63193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611081B2 (en) Navigation device
US10043388B1 (en) Parking system
CN111047907B (en) Parking space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EP311280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10392B1 (en) Mobile device,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having them
CN108917766B (en) Navig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201914906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article providing system
CN107833481A (en) Car searching method, device and vehicle location searching system
CN101660917B (en) Navigation device and expected-site setting method thereof
KR20060031772A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70034729A (en) Portable apparatus of recognition car parking position on real ti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00050322A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820215B1 (en) parking informat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N102620730B (en) Naviga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navigation system
KR102173522B1 (en) Parking location and path providing system using KIOSK
KR20160035709A (en) Method of searching the informations of electronic information lable and system thereof
US201802028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395945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1124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15857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9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