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822B1 - 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2822B1 KR102112822B1 KR1020190101402A KR20190101402A KR102112822B1 KR 102112822 B1 KR102112822 B1 KR 102112822B1 KR 1020190101402 A KR1020190101402 A KR 1020190101402A KR 20190101402 A KR20190101402 A KR 20190101402A KR 102112822 B1 KR102112822 B1 KR 102112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vocabulary
- information
- vo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 H04M1/72588—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전용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상징카드,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를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장애우 대 장애우 또는 장애우 대 일반인 간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부터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handicapped person with a disability, who has a large or small disability in speech and languag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inputs a vocabulary including a symbol card, letters, or numbers through a dedicated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by outputting a voice to be output, but when there is an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reques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communication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or a guardian terminal It is about an improv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sup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전용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상징카드,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를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장애우 대 장애우 또는 장애우 대 일반인 간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부터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a handicapped person with a disability, who has a large or small disability in speech and languag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inputs a vocabulary including a symbol card, letters or numbers through a dedicated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ponds. Performs a function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by outputting a voice to be output, but when there is an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reques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communication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or a guardian terminal It is about an improv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support.
일반적으로, 언어(language)는 두뇌 안에 존재하는 낱말, 문법적 지식 등의 추상적 규칙체계를 의미하고, 말(speech)은 호흡기관, 발성기관 및 조음기관을 통한 언어의 외형적 표현을 뜻하며, 이와 같은 언어에 대해서 여러 형태로 장애(language disorders)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유형으로는 크게 언어발달지체, 단순언어장애, 신경언어장애가 있다. In general, the language (language) means an abstract rule system such as words and grammatical knowledge existing in the brain, and speech refers to the external expression of language through the respiratory, vocal, and articulatory organs. There can be various forms of language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and the types are language development delay, simple language disorder, and neurological disorder.
상기 언어발달지체(developmental language delay)는 자기 나이에 비해 어린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상징체계를 보이는 경우로, 원인은 선천적으로 신경 또는 신체적인 결함(정신지체, 뇌성마비, 자폐, 난청 등)에 기인할 수 있고, 환경적 요인으로 언어발달이 지체될 수도 있다. The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is a case in which a symbolic system appears in a child younger than his age, and the cause may be due to a congenital neurological or physical defect (mental retardation, cerebral palsy, autism, hearing loss, etc.). Language development may be delayed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한편, 단순언어장애(specific language impairment)는 언어 이외의 다른 영역 즉, 사회성이나 인지에 문제가 없으나 언어 규칙과 언어 상징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첫 낱말과 이후의 어휘발달이 느리고 낱말 조합이 늦으며 조음장애를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On the other h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refers to a case other than language, that is, there is no problem in sociality or cognition, but has difficulty understanding language rules and language symbols. Vocabulary development of the first word and later is slow, word combination is slow, and there are cases with articulation disorder.
한편, 신경언어장애(neurogenic language disorders)는 뇌졸중, 뇌종양, 교통사고 등으로 인해 언어를 담당하는 두뇌부위에 손상을 입어 나타나는 후천적인 언어장애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실어증을 들 수 있다. 손상은 언어의 전 영역 즉, 말하기, 듣고 이해하기, 읽기, 쓰기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is a acquired language disorder that appears injured in the brain area responsible for language due to stroke, brain tumor, traffic accident, etc.,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phasia. Damage can occur in all areas of language: speaking, listening, understanding, reading, and writing.
상기와 같은 언어장애를 최근에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통해 극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 language disorders throug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보완 대체 의사소통이란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에게 의사소통 가능한 기회를 주고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말을 보완하거나(Augment) 대체적인(Alternative)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refers to the provision of augmented or alternative method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large or small disabilities in speech and languag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장애우들은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을 하면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것으로 인한 문제행동의 감소, 정서적 성장, 학습활동 참여, 독립적인 생활의 촉진과 말과 언어발달의 촉진까지 이룰 수 있는 것이다.People with disabilities who us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an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others, reducing problem behavior due to inability to communicate, emotional growth,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promoting independent living and promoting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This is what you can achieve.
보완 대체 의사소통은 대체적인 의사소통 수단이 필요한 장애우(예: 말 운동장애, 심한 조음장애), 일상적인 생활언어를 사용하기 어려워 좀 더 직접적이고 쉬운 의사소통 방법이 필요한 장애우(예: 지적장애, 자폐성장애)에게 적용이 필요하다.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i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need alternative means of communication (e.g. speech movement disorder, severe articulation disorder),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need a more direct and easy way of communication (eg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tic disorder).
이러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의 사용은 일시적으로 대체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거나 영구적인 결함으로 인해 아예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하나의 언어처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은 다양한 유형의 장애우에게 현재 수준과 미래 잠재력 등에 따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The use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is that tempor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is necessary or permanent defects may make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vailable as a language.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can be used at various levels of disability.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depending on future potential.
한편, 말 실행증이란 근육마비나 약화 현상이 없는데도 말소리를 내는데 어려움을 나타내는 증상인데, 말 실행증 장애우는 말 명료도가 심한 장애우부터 경도의 장애우까지 보완 대체 의사소통으로부터 통해 의사소통의 보완 및 대체 뿐만 아니라 언어발달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equine ataxia is a symptom that indicates difficulty in making speech even though there is no muscle paralysis or weakness. You can also help development.
또한, 지적장애우도 보완 대체 의사소통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지적 능력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 구조화된 문맥속에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가르치다가 점차 일반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학계에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다.In additio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also benefit from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It is generally reported to academics that it is desirable to induce generalization after teach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in a structured context when intellectual ability is poor.
그러나, IT 분야에서 이러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매우 적어 장애우들이 시스템으로 구성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이용하여 의사소통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IT field, there are very few systems that support such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it is difficult for the disabled to communicate using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composed of the system.
일부에 그림카드 또는 글자카드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을 IT 기기와 어플리케이션으로 옮긴 정도의 보완 대체 의사소통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기는 하나, 발화장애, 지적장애 또는 뇌성마비 장애를 갖는 장애우들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과 입력 장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Although some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applications have emerged to the extent that traditional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using picture cards or letter cards has been transferred to IT devices and applications, people with disabilities with speech disorders, intellectual disorders, or cerebral palsy disorders may simply use them. There is a very shortage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and input devices.
또한, 의사소통 또는 언어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의사소통 과정에서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긴급 상황이 있는 경우, 자체적으로 해결 불가능하여 당황하거나 의사소통을 포기하는 등 긴급한 상황에서 의사소통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사용자가 심적인 부담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a user with communication or speech impairment does not have smooth communication dur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or there is an emergency, communication cannot be done in an urgent situation, such as embarrassment or abandonment of communication because it cannot be resolved by itsel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feels a mental burden.
상기와 같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과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2293호(명칭 : 장애인용 보완대체 의사 소통 단말기 ; 출원일 : 2004년 03월 15일)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92293 (name: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disabled; filing date: March 15, 2004)
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1865호(명칭 : 청각장애인용 휴대용 대화 장치 ; 출원일 : 2010년 11월 24일)Document 2: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51865 (name: portable conversation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filing date: November 24, 2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전용 의사소통 단말기를 통해 상징카드,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를 입력하면, 대응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장애우 대 장애우 또는 장애우 대 일반인 간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의사소통 단말기로부터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서비스제공장치 또는 보호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who has a small or large obstacle to speech and languag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inputs a vocabulary including a symbol card, letters or numbers through a dedicated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that enables a corresponding voice to be output and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or a person with a disability, but when there is an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request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remote doctor from a service providing device or a guardian terminal The aim is to provide an improved and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communication support.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100)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의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선택 입력하거나 직접 문장을 입력하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음성 또는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을 출력하여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ymbol in the complementary
본 발명 중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는 통신망(N)과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과 운용을 처리하는 운용시스템으로서, 서비스가입을 유도하는 서비스가입처리부(111); 이미지와 문자가 표기된 카드와 상기 이미지와 문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저장한 NFC를 포함한 RFID태그가 탑재된 상징카드(10)를 제작하여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제공하는 상징카드제작부(112);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휘를 분석하여 장소 및 동선별로 카테고리화 하는 어휘카테고리생성부(113);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사용하는 상징카드(10) 및 어휘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상징카드(10) 및 어휘정보를 산출하여 분류하는 최우선어휘분류부(114); 상기 각 상징카드(10) 및 어휘에 속하는 문자 및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음성신호저장부(115);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 위치할 경우, 상기 어휘카테고리생성부(113)와 최우선어휘분류부(114)에서 생성 및 분류된 어휘를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고,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어휘에 속한 문자 또는 숫자가 입력 전송되면,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 서비스가입과,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인식 및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운용하는 실행모듈(20)을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여 활성화시키는 실행모듈제공부(117);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긴급소통연결부(1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 중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이 탑재되고, 통신망(N)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110)와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 후 실행모듈(20)을 전송받아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인식 및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의사소통 전용 무선통신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 중 상기 상징카드(10)는 각 장소 또는 상황에 따라 도형, 그림, 사진과 이에 대한 단어와 같은 문자 또는 숫자가 전면에 표기되어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다수의 카드로서, 해당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디지털 정보가 입력된 NFC를 포함한 RFID태그가 탑재된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 중 상기 실행모듈(20)은 서비스 가입을 위한 인증 절차와 가입 후 접속을 위한 승인 절차를 진행하고, 인식된 상징카드(10)의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과,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 및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운용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다른 대화상대와 의사를 주고받기 위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실행모듈(20)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 제공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전송하면, 해당 어휘정보 중, 원하는 생성카드(10) 또는 문자 또는 숫자를 선택하여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에서 해당 생성카드(10) 또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여 음성을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ctivates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장애우들에게 규칙을 정하고 바르고 긍정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올바른 행동을 유도함은 물론, 장애우가 대화상대를 마주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의 중재를 통해 부드러운 의사소통 결과를 유도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rules for disabled people and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act correctly and positively, induce correct actions, an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communic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disabled face a conversation partner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communication results.
또한, 본 발명은 장애우가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에서 긴급소통요청버튼을 눌러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긴급한 의사소통을 요하는 경우 신속히 장애우와 장애우 간에 또는 장애우와 일반인 간에 막힘없는 의사소통의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does not communicate smoothly with a conversation partner, if there is an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request by pressing the emergency communication request button 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긴급 의사소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인 장애우가 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 심적인 안정을 유지한 가운데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n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in order to communicate in the life of a disabled person who is a service user, maintains a mental stability, through which a conversation is made, and through this, active with confidence It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you to live.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특정 장소들을 도시한 사용처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중 상징카드의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이 장소별 상황별로 카테고리화되어 실행모듈로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이 특정 장소에 접근하였을 때 비컨에 의해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특정 장소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어휘의 문자 내지 숫자를 표출시켜 선택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 신속한 대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도시한 구성도.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brief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ure 3 is an example of u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specific places used.
4 and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ymbol card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categorized by place and situation and displayed as an execution module.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mediately recognized by the beacon when the approach to a specific place to communicate.
Figure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that allows the present invention to express a letter or a number of vocabulary frequently used in a particular place, the selection is made immediately to induce a quick conversation.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sented as above.
본 발명인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100)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완 대체 의사소통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100)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의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선택 입력하거나 직접 문장을 입력하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음성 또는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을 출력하여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s supplementary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는 통신망(N)과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과 운용을 처리하는 운용시스템으로서, 서비스가입을 유도하는 서비스가입처리부(111); 이미지와 문자가 표기된 카드와 상기 이미지와 문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저장한 NFC를 포함한 RFID태그가 탑재된 상징카드(10)를 제작하여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제공하는 상징카드제작부(112);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휘를 분석하여 장소 및 동선별로 카테고리화 하는 어휘카테고리생성부(113);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사용하는 상징카드(10) 및 어휘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상징카드(10) 및 어휘정보를 산출하여 분류하는 최우선어휘분류부(114); 상기 각 상징카드(10) 및 어휘에 속하는 문자 및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음성신호저장부(115);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 위치할 경우, 상기 어휘카테고리생성부(113)와 최우선어휘분류부(114)에서 생성 및 분류된 어휘를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고,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어휘에 속한 문자 또는 숫자가 입력 전송되면,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 서비스가입과,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인식 및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운용하는 실행모듈(20)을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여 활성화시키는 실행모듈제공부(117);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긴급소통연결부(118);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에서, 서비스가입처리부(111) 내지 긴급소통연결부(118)를 포함한 각 부는 해당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이러한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운용되는 서버 및 컴퓨터장치일 수 있다.In the above, each unit including the service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이 탑재되고, 통신망(N)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110)와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 후 실행모듈(20)을 전송받아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인식 및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의사소통 전용 무선통신기기인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에서, 의사소통단말기(120)는 하나 이상의 상징카드(10)가 세팅된 상태에서 터치가 이루어지면, 해당 상징카드(10)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상징카드정보처리부(121); 현재 위치에 따라 서비스제공장치(110)에서 전송되는 어휘카테고리 또는 최우선어휘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어휘 정보 중 문자 또는 숫자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어휘정보처리부(122); 문자 또는 숫자 입력창을 실행모듈(20)을 통해 표출시키고, 문자 또는 숫자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여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실행모듈(20)을 통해 음성 출력시키는 직접입력정보처리부(123); 긴급소통요청버튼을 실행모듈(20)에 표출시켜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와 직접 또는 상기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연계 통신 접속시켜, 대화상대와 서비스제공장치(110) 운용자 간 직접 연결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원받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설정 저장된 통신단말번호의 보호자단말기(130)와 통신 접속시키면, 대화상대와 보호자단말기(130) 간 직접 연결을 통해 의사소통을 지원받도록 유도하는 긴급소통유도부(124);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the above, the
이때,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와 기타통신단말기(12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포함한 음성 및 영상 통신 가능한 기타 무선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상징카드(10)는 각 장소 또는 상황에 따라 도형, 그림, 사진과 이에 대한 단어와 같은 문자 또는 숫자가 전면에 표기되어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다수의 카드로서, 해당 문자 또는 숫자에 대한 디지털 정보가 입력된 NFC를 포함한 RFID태그가 탑재된 것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실행모듈(20)은 서비스 가입을 위한 인증 절차와 가입 후 접속을 위한 승인 절차를 진행하고, 인식된 상징카드(10)의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과,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 및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운용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발명은 보완 대체 의사소통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100)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의사소통단말기(120)의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선택 입력하거나 직접 문장을 입력하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음성 또는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을 출력하여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100)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plementary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말과 언어 표현 및 이해에 크고 작은 장애를 보이는 장애우가 다른 대화상대와 의사를 주고받기 위해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실행모듈(20)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사전에 제작 제공한 상징카드(10) 정보 또는 자주 가는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정보 또는 현재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어휘정보를 전송하면, 해당 어휘정보 중, 원하는 생성카드(10) 또는 문자 또는 숫자를 선택하여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에서 해당 생성카드(10) 또는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여 음성을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ervice in a state in which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장애우들에게 규칙을 정하고 바르고 긍정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올바른 행동을 유도함은 물론, 장애우가 대화상대를 마주하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의 중재를 통해 부드러운 의사소통 결과를 유도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rules for disabled people and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act correctly and positively, induce correct actions, an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communic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disabled face a conversation partner Induce communication results.
또한, 본 발명은 장애우가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에서 긴급소통요청버튼을 눌러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긴급한 의사소통을 요하는 경우 신속히 장애우와 장애우 간에 또는 장애우와 일반인 간에 막힘없는 의사소통의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does not communicate smoothly with a conversation partner, if there is an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request by pressing an emergency communication request button 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긴급 의사소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사용자인 장애우가 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을 함에 있어, 심적인 안정을 유지한 가운데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n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in order to communicate in the life of a disabled person who is a service user, maintains a mental stability, through which a conversation is made, and through this, active with confidence Induce them to live.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서비스제공장치(110)와 의사소통단말기(120)와 기타통신단말기(120') 및 보호자단말기(130)는 블루투스, 로라망(LoRa), z wave 통신, 비컨(beacon) 통신, 와이파이 통신, 이동 통신(예를 들어, 3G, 4G, 또는 5G 통신) 및 기타 근거리 통신과 같은 통신망(N)을 통해 상호 통신 접속된다.The
또한, 상기 장소 내지 이동동선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 장애우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10)를 휴대하고 다니는 장소 예컨대, 학교, 체육관, 학교식당, 특별교실, 병원, 마트, 대중교통 등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영역이며, 이러한 장소 내지 이동동선에 실시예적으로 비컨 통신 장치가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의 장애우들이 휴대한 의사소통단말기(120) 각각을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원격적으로 감지 인식하여 위치 확인과 함께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oving line is a place where a handicapped person carrying a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장소에 위치하거나 이동동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에서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을 하여야 할 경우,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징카드(10)를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에 접촉시키거나 디스플레이창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터치를 하면, 상기 상징카드정보처리부(121)가 해당 상징카드(10) 정보를 수신하여 문자 또는 숫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실행모듈(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의 실행모듈(20)이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대화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ecessary to communicate with a conversation partner while being located in the place or moving along a moving line,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a
또한, 본 발명은 자주 가는 장소나 상황에 따라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별로 어휘가 저장되어 있어, 해당 장소나 상황을 선택하면, 해당 카테고리의 어휘에 포함된 문자(단어)나 숫자가 출력되며, 원하는 문자나 숫자를 선택하면, 상기 어휘정보처리부(122)가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10)의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가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의 실행모듈(20)이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대화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6, the vocabulary is stored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a frequently going place or situation. When a corresponding place or situation is selected, characters (words) or words included in the vocabulary of the corresponding category or When a number is output, and a desired letter or number is selected, the vocabulary
또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 장애우가 의사소통단말기(120)를 휴대한 상태에서 특정 장소 예컨대, 재활치료실에 접근하거나 입실하게 되면, 통신망(N)을 형성하는 비컨이 의사소통단말기(120)를 인식하고, 재활치료실에서 주로 사용하게 되는 문자(단어)와 숫자를 실행모듈(20)을 통해 출력시키고, 출력되는 문자(단어)와 숫자를 선택하면, 상기 어휘정보처리부(122)가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10)의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가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문자 또는 숫자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의 실행모듈(20)이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대화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a user with a disability has access to or entering a specific place, for example, a rehabilitation treatment room while carrying the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에 포함된 문자(단어)나 숫자를 출력하여 손쉽게 즉각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8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immediately select a character or word included in a vocabulary with high use frequency in a specific place.
또한,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에 활성화된 실행모듈(2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를 통해 문장을 입력하면, 상기 직접입력정보처리부(123)가 서비스제공장치(110)로 입력된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서비스제공장치(110)의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가 문장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되며, 해당 문장 정보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0)의 실행모듈(20)이 음성을 출력시킴으로써, 대화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llustrated, when a sentence is input through the keyboard displayed on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장애우가 대화상대와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의 실행모듈(20)에 표시되는 긴급소통요청버튼을 눌러 긴급 의사소통 지원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의 긴급소통연결부(118)가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를 통해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 접속하여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하거나,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원격 의사소통을 지원함으로써, 긴급한 의사소통을 요하는 경우 신속히 장애우와 장애우 간에 또는 장애우와 일반인 간에 막힘없는 의사소통의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when a person with a disability does not communicate smoothly with a conversation partner, an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request is made by pressing the emergency communication request button displayed on the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described and described as such.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110 : 서비스제공장치
111 : 서비스가입처리부 112 : 상징카드제작부
113 : 어휘카테고리생성부 114 : 최우선어휘분류부
115 : 음성신호저장부 116 : 어휘대응음성처리부
117 : 실행모듈제공부 118 : 긴급소통연결부
120 : 의사소통단말기 121 : 상징카드정보처리부
122 : 어휘정보처리부 123 : 직접입력정보처리부
124 : 긴급소통유도부 120' : 기타통신단말기
130 : 보호자단말기 10 : 상징카드
20 : 실행모듈 100: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110: service provision device
111: service subscription processing unit 112: symbol card production unit
113: Vocabulary category generation unit 114: Highest priority vocabulary classification unit
115: audio signal storage unit 116: vocabulary-compatible speech processing unit
117: execution module providing unit 118: emergency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20: communication terminal 121: symbol car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2: vocabular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3: direct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4: Emergency Communication Guidance Department 120 ': Other communication terminals
130: guardian terminal 10: symbol card
20: execution module
Claims (5)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는 통신망(N)과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과 운용을 처리하는 운용시스템으로서, 서비스가입을 유도하는 서비스가입처리부(111); 이미지와 문자가 표기된 카드와 상기 이미지와 문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저장한 NFC를 포함한 RFID태그가 탑재된 상징카드(10)를 제작하여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제공하는 상징카드제작부(112);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휘를 분석하여 장소 및 동선별로 카테고리화 하는 어휘카테고리생성부(113);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사용하는 상징카드(10) 및 어휘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장소 및 이동동선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상징카드(10) 및 어휘정보를 산출하여 분류하는 최우선어휘분류부(114); 상기 각 상징카드(10) 및 어휘에 속하는 문자 및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음성신호저장부(115);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가 특정 장소 및 이동동선에 위치할 경우, 상기 어휘카테고리생성부(113)와 최우선어휘분류부(114)에서 생성 및 분류된 어휘를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고,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어휘에 속한 문자 또는 숫자가 입력 전송되면, 전송된 문자 또는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을 음성신호저장부(115)에서 로딩 후, 해당 의사소통단말기(10)로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어휘대응음성처리부(116); 서비스가입과,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인식 및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운용하는 실행모듈(20)을 의사소통단말기(120)로 전송하여 활성화시키는 실행모듈제공부(117);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로부터 긴급소통 지원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의사소통단말기(120)와 통신 접속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통신 접속하여 서비스 운용자가 사용자와 의사소통 대상인 타인과 원격적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거나, 상기 서비스제공장치(110)가 의사소통단말기(120) 또는 기타통신단말기(120')와 보호자단말기(130)를 통신 연결시켜, 사용자의 보호자가 사용자와 의사소통 대상인 타인과 원격적으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긴급소통연결부(118); 를 포함하고,
상기 의사소통단말기(120)는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모듈이 탑재되고, 통신망(N)을 통해 서비스제공장치(110)와 통신 연결되어, 서비스 가입에 필요한 인증/승인 후 실행모듈(20)을 전송받아 상징카드(10) 인식,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확인/선택에 대한 UI를 제공하면서 인식 및 선택에 따른 음성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의사소통 전용 무선통신기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is used in advance at the location where the symbol card 10 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frequently produced or i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or vocabulary information that is frequently used in a mobile line. By providing possible vocabulary information, when the user selects and input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or directly inputs a sente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outputs an image including voice or image to communicate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In the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100 to enable communica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N), and is an operating system that processes authentication / approval and operation required for service subscription, and includes a service subscription processing unit 111 for inducing service subscription; A symbol card production unit 112 for producing a symbol card 10 equipped with an RFID tag including NFC, which stores a card in which images and characters are marked and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mage and character, and provid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 A vocabulary category generating unit 113 that analyzes vocabulary mainly used in a specific place and moving line and categorizes each place and line;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collects the symbol card 10 and vocabulary information used in a specific place and mobile line, and calculates and classifies the symbol card 10 and vocabulary information frequently used in the corresponding place and mobile line. The highest priority vocabulary classification unit 114; A voice signal storage unit 115 for matching and storing voice signals corresponding to letters and numbers belonging to each symbol card 10 and vocabulary;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located in a specific place and moving line, the vocabulary generated and classified by the vocabulary category generation unit 113 and the highest priority vocabulary classification unit 114 ar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 When a letter or a number belonging to a vocabulary is input and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voic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letter or number are loaded from the voice signal storage unit 115,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terminal 10 A vocabulary-corresponding speech processing unit 116 for transmission and output;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execution module 20 that operates the voice output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and selection while providing the UI for signing up for the service and recognizing / selecting the symbol card 10, and checking / selecting vocabularies including letters or numbers, as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 execution module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activating; When an emergency communication support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the service operator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or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120 ', and the service operator remotely communicates with the user and another person. To support communication, o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or other communication terminal 120 'and the guardian terminal 130, so that the guardian of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user An emergency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18 supporting remote communication with the targeted person; Inclu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120 is equipped with a GPS module that provi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 and then executes the authentication / approval module 20 required for service subscription. It is a communication-only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performs a voice output opera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and selection while receiving a symbol card (10) recognition, and providing a UI for vocabulary checking / selection including letters or numbers,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상기 실행모듈(20)은 서비스 가입을 위한 인증 절차와 가입 후 접속을 위한 승인 절차를 진행하고, 인식된 상징카드(10)의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과,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정보를 처리하고 출력하는 과정 및 문자 또는 숫자를 포함한 어휘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운용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ecution module 20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service subscription and an approval procedure for connection after joining, and processes and outputs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symbol card 10, and provides vocabulary information including letters or numbers. An application that includes an operation algorithm or a program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 process and output process and vocabulary information including letters or numbers,
Complementary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01402A KR102112822B1 (en) | 2019-08-19 | 2019-08-19 | 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01402A KR102112822B1 (en) | 2019-08-19 | 2019-08-19 | 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12822B1 true KR102112822B1 (en) | 2020-05-19 |
Family
ID=7091323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01402A Active KR102112822B1 (en) | 2019-08-19 | 2019-08-19 | 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12822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09505B1 (en) * | 2021-02-10 | 2021-10-06 | 김재성 | User-customiz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
| KR102526772B1 (en) | 2021-11-26 | 2023-04-26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of contex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 KR102735664B1 (en) * | 2023-12-29 | 2024-11-28 | 주식회사 피씨티 |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Multiple Air Conditioners in Spac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50188A (en) * | 2001-08-31 | 2003-05-23 | Hiraiwa Tekkosho:Kk | Dialogue support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
| KR20090054883A (en) * | 2007-11-27 | 2009-06-01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Q & A Educational Toys |
| KR101669202B1 (en) * | 2015-08-13 | 2016-11-09 | 박정은 | Communicatio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
| KR20170111875A (en) * | 2016-03-30 | 2017-10-12 | 얄리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doll control using app |
| KR101965103B1 (en) * | 2018-06-21 | 2019-04-02 | 강인학 | Smar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
-
2019
- 2019-08-19 KR KR1020190101402A patent/KR1021128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150188A (en) * | 2001-08-31 | 2003-05-23 | Hiraiwa Tekkosho:Kk | Dialogue support de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
| KR20090054883A (en) * | 2007-11-27 | 2009-06-01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Q & A Educational Toys |
| KR101669202B1 (en) * | 2015-08-13 | 2016-11-09 | 박정은 | Communication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
| KR20170111875A (en) * | 2016-03-30 | 2017-10-12 | 얄리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doll control using app |
| KR101965103B1 (en) * | 2018-06-21 | 2019-04-02 | 강인학 | Smart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09505B1 (en) * | 2021-02-10 | 2021-10-06 | 김재성 | User-customiz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
| KR102526772B1 (en) | 2021-11-26 | 2023-04-26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of contex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 KR102735664B1 (en) * | 2023-12-29 | 2024-11-28 | 주식회사 피씨티 |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Multiple Air Conditioners in Spa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12822B1 (en) | 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system | |
| US9111545B2 (en) | Hand-held communication aid for individuals with auditory, speech and visual impairments | |
| KR101777807B1 (en) | Sign language translator, system and method | |
| Lee et al. | The emerging professional practice of remote sighted assistance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
| Baldauf et al. | Exploring requirements and opportunities of conversational user interfaces for the cognitively impaired | |
| JP6291303B2 (en) | Communication support robot system | |
| US20220284254A1 (en) | Reconfigurable interaction badge | |
| Shuler et al. | More than signing: Communicating with the deaf | |
| Dhanjal et al. | Tools and techniques of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 impaired people | |
| KR101846218B1 (en) | Language interpreter, speech synthesis server, speech recognition server, alarm device, lecture local server, and voice call support application for deaf auxiliaries based on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 Kapur | The types of communication | |
| Chuckun et al. | Enabling the Disabled using mHealth | |
| KR102408941B1 (en) | Two-way conversation system that provide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 |
| Samim | A new paradigm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disabilities | |
| KR101017421B1 (en) |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deaf | |
| Shanmugam et al. | A critical analysis and review of assistive technology: advancements, laws, and impact on improving the rehabilitation of dysarthric patients | |
| Kemper et al. | Addressing the communication needs of an aging society | |
| KR102094906B1 (en) | 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device | |
| Suvika et al. | Soft support: Specially abled communication | |
| KR10257236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bot for rehabilitation education for hearing loss patients | |
| Bakken et al. | Smart universities: Assistive technologie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 |
| US12260863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ssistance for cognitively impaired users by utilizing artifical intelligence | |
| KR10248784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 |
| JP7057029B1 (en) | Computer systems, method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way you interact with individuals in bilateral communication | |
| JP2023004866A (en) | Computer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improving manner how to relate to each other in one-to-one communic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3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3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4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3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1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