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768B1 -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3768B1 KR102113768B1 KR1020130122858A KR20130122858A KR102113768B1 KR 102113768 B1 KR102113768 B1 KR 102113768B1 KR 1020130122858 A KR1020130122858 A KR 1020130122858A KR 20130122858 A KR20130122858 A KR 20130122858A KR 102113768 B1 KR102113768 B1 KR 1021137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pressure
- vehicle
- absorber
- pedestrian pro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44 Gore-Tex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상기 범퍼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백빔 및 일측에 압력센서가 실장되고, 타측에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도록 압력센싱부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백빔사이에 배치되는 업소버를 포함하고, 상기 업소버는 일측에 상기 압력센서가 실장되도록 센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홈의 일면에 전원커넥터와 연결되도록 커넥터홀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압력센싱부와 연결되도록 센서홀이 형성되는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mper, a back beam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umper, and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one side, and a pressure sensing unit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on the other side, and an absorber disposed between the bumper and the back beam, wherein the The absorber is a pedestrian of a vehicle in which a sensor groove is formed to mount the pressure sensor on one side, a connector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ower connector on one surface of the sensor groove, and a sensor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on the other surface. It relates to a protective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보행자를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보행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installed to protect the pedestrian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본 발명은 압력센서를 보행자 보호 장치에 설치하여 차량과 충돌하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tect a pedestrian colliding with a vehicle by installing a pressure sensor on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는 종래에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하도록 제안되어 왔으며, 주로 차량의 범퍼나 펜더(fender)의 안과 같은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었다.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has been conventionally proposed to detect in various ways, and is mainly mounted in front of a vehicle, such as a bumper or a fender.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는 튜브와 연결된 압력센서가 공기압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보행자의 충돌시 보행자 보호 충돌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에어백이 전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vehicle's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the pressure sensor connected to the tube detects the amount of change in air pressure, and when the pedestrian crashes, the pedestrian protection collision detection sensor operates to allow the airbag to deploy.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보행자 보호 장치를 살펴보면, 보행자 보호 센서를 차량(1) 범퍼 스킨에 장착되는 에너지 업소버는 스티로폼 재질로 구비되고, 에너지 업소버에 홈을 내어 튜브(2)를 설치하고,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압력센서(10)는 범퍼 스킨에 체결한다. 장착된 압력센서(10)는 충돌에 의해 에너지 업소버가 눌려질때 압력의 튜브안의 변형된 공기량을 센싱하도록 한다. 다음, 압력 센서는 기압의 변형량을 데이터로 출력하고, 보행자보호센서의 튜브내 공기는 압력센서(10)와 튜브(2)에 의해 밀폐된다.Referring to Figure 1, looking at the conventional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the energy absorber mounted on the bumper skin of the vehicle (1) pedestrian protection sensor is provided with a styrofoam material, the groove in the energy absorber to install the tube (2), A plurality of
그러나 이러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는 보행자 보호 센서용 튜브(2) 장착을 위해 에너지 업소버등에 구조를 이루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으며, 스티로폼 타입의 에너지 업소버에는 압력센서를 고정하기 어려워 차체에 볼트로 체결이 필요하게 되므로 결합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such a vehicle had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construct a structure in an energy absorber for mounting the
또, 에너지 업소버가 변형될 때 튜브(2)를 누르지 않으면 압력 변화 센싱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energy absorber is de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essure change is not sensed unless th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리콘 타입의 에너지 업소버를 적용하면 튜브의 삭제가 가능하며, 업소버의 센싱영역이 넓게 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측정을 하는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accurately and accurately measure a tube by removing a tube by applying a silicon-type energy absorber and having a wide sensing area of the absorb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는, 범퍼, 상기 범퍼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백빔 및 일측에 압력센서가 실장되고, 타측에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도록 압력센싱부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백빔사이에 배치되는 업소버를 포함하고, 상기 업소버는, 일측에 상기 압력센서가 실장되도록 센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홈의 일면에 전원커넥터와 연결되도록 커넥터홀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압력센싱부와 연결되도록 센서홀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센싱부는 외측면에 상기 업소버 내부와 대기압과의 압력을 유지하여 온도에 따라 상기 업소버의 팽창 및/또는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기압유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압유지홀은 고어텍스 재질로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mper, a back beam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umper, and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one side, and pressure sensing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on the other side. An additionally formed absorber disposed between the bumper and the back beam, wherein the absorber has a sensor groove formed to mount the pressure sensor on one side, and a connector hole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ower connector on one surface of the sensor groove. The sensor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maintains a pressure between the inside of the absorber and atmospheric pressure on an outer surface to prevent the expansion and/or contraction of the absorber according to temperature. A holding hole is formed, and the air pressure maintaining hole is formed of a Gore-Tex material.
또한, 상기 업소버는 센서홈에 상기 압력센서가 실장되고, 타측에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도록 압력센싱부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백빔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sor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umper and the back beam by forming a pressure sensing unit so that the pressure sensor is mounted in the sensor groove and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o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업소버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백빔 양측단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bsorbers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bumper and the back beam.
또한, 상기 업소버는 충돌시 충격 흡수 및 업소버 수축으로 압력을 센싱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sorber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sense the pressure through shock absorption and absorber contracti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또한, 상기 압력센서가 실장되도록 상기 업소버의 일측에 센서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nsor groov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absorber so that the pressure sensor is mounted.
또한, 상기 압력센서는, 일측에 커넥터부의 형성으로 상기 커넥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커넥터에 연결되고, 타측에 센서부가 형성되어 상기 센서홀로 삽입되어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홀은 상기 센서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e through the formation of a connector portion on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and a sensor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to be inserted into the sensor hole to measure pressure.
In addition, the sensor portion is fixed by the sensor hole, the connector hole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sensor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기압유지홀은 상기 백빔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pressure maintaining hole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beam.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는 압력 센싱 영역을 증대하게 되어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ressure sensing area and making precise measurement.
둘째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는 압력센서를 업소버 내부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체결 과정 없이 고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감소되어 공정이 단순화되며 이에 따라 원가절감에 효과가 있다.Second,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absorber, so it can be fixed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process, so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and the process is simplified, thereby reducing cost. .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라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은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차량 충돌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vehicl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G. 3 from another direc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bsorber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of FIG. 2,
6 is a side view showing a change in a vehicle's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when a vehicle crashe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라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6은 차량 충돌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a vehicl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and FIG. 3 is a pedestrian of the vehicle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tection devic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g. 3 from another direc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bsorber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of Fig. 2, and Fig. 6 is a change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rashes It is a side view showing.
바람직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인 경우이다.The preferred vehicl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may be chang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ehicl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도 2는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unting of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in FIG. 2,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G. 3 from another direction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범퍼(3)와 상기 범퍼(3)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백빔(4) 및 일측에 압력센서(20)가 실장되고, 타측에 상기 압력센서(20)와 연결되도록 압력센싱부(12)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3)와 상기 백빔(4) 사이에 배치되는 업소버(10)를 포함한다.2 to 4, a
범퍼(3)는 일반적으로 차체의 전방, 후방에 장착되어 차체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백빔(4)은 범퍼(3)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범퍼(3)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체 전방에 범퍼가 설치되고, 후방을 향하여 범퍼(3)에 장착되어 범퍼(3)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시 범퍼(3) 내에서 외부 충격을 흡수한다.The
업소버(10)는 충돌시 충격 흡수 및 업소버(10)의 수축으로 압력을 센싱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업소버(1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범퍼(3)와 상기 백빔(4)사이의 양측단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업소버(10)는 일측에 압력센서(20)가 실장되도록 센서홈(14)이 형성되고, 타측에 압력센싱부(12)가 형성된다. The
업소버(10)는 일측의 상기 센서홈(14)에 압력센서(20)가 실장되고, 타측에 상기 압력센서(20)와 연결되도록 압력센싱부(12)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3)와 상기 백빔(4) 사이에 배치된다.In the
압력센싱부(12)는 상기 업소버(10) 내부와 대기압과의 압력을 유지하여 온도에 따라 상기 업소버(10)의 팽창 및/또는 수축을 방지하도록 외측면에 기압유지홀(30)이 형성된다.The
센서홈(14)의 일면에 전원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커넥터홀(16)이 형성된다. 센서홈(14)의 타면에는 압력센싱부(12)와 연결되도록 센서홀(18)이 형성된다. 즉, 센서홀(18)은 커넥터홀(16)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발명의 일실시예로 센서홈(14)에 압력센서(20)가 실장되어, 커넥터홀(16)에 압력센서(20)의 커넥터부(26)가 삽입되고, 센서홀(18)에 센서부(28)가 삽입된다.A
도 5는 도 2의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bsorber of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of FIG. 2.
도 5를 참조하면, 압력센서(20)는, 일측에 커넥터부(26)의 형성으로 커넥터홀(16)에 삽입되어 전원커넥터와 연결된 와이어(미도시)에 연결된다. 압력센서(20)는 타측에 센서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센서홀(18)로 삽입되어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센서부(28)는 센서홀(18)에 의해 고정되고, 커넥터홀(16)이 센서홀(18)보다 크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본발명의 실시예로, 압력센서(20)의 커넥터부(26)는 업소버의 커넥터홀(14)에 삽입되어 와이어(미도시)와 연결되고, 압력센서(20)의 센서부(28)는 센서홀(16)에 삽입되어 압력센싱부와 연통되어 충격시의 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기압유지홀(30)은 고어텍스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백빔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압유지홀(30)은 업소버(10)의 압력센싱부(12)에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기압유지홀(30)이 백빔(4)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충격시 업소버가 수축하면서 기압유지홀(30)이 백빔(4)에 충격하게 되어 압력변화를 감지한다.The ai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2는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장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업소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차량 충돌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mounting of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bsorber of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in FIG. 2, and FIG. 6 is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when a vehicle crashes It is a side view showing the change of.
도 2 및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차량의 전방에 장착되는 범퍼(3)와 상기 범퍼(3)에 장착되는 백빔의 양측단 사이에 업소버(10)를 설치한다.2 and 5 to 6, an
차량 전방의 충돌시 상기 범퍼(3)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상기 범퍼(3)와 상기 백빔(4) 사이의 업소버(10)가 상기 백빔(4)으로 밀리게 되어 업소버(10)의 기압유지홀(30)이 접하므로 막히게 된다.In the event of a collision in front of the vehicle, an impact is applied to the
이때, 상기 업소버(10)는 축소하게 되면, 압력센싱부(12)의 기압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압력센싱부(12) 내부의 기압을 배출하지 못하여 상기 압력센싱부(12)의 압력이 상승함을 센서부(28)에서 측정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상기 센서부(28)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와이어에 연결된 커넥터부(26)를 통하여 차량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에 전송하게 되면 해당하는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어 보행자를 보호하게 된다.When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In the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 업소버 12: 압력센싱부
14: 센서홈 16: 커넥터홀
18: 센서홀 20: 압력센서
26: 커넥터부 28: 센서부
30: 기압유지홀<Detailed description of major drawing symbols>
10: absorber 12: pressure sensing unit
14: sensor groove 16: connector hole
18: sensor hole 20: pressure sensor
26: connector unit 28: sensor unit
30: air pressure maintenance hall
Claims (10)
상기 범퍼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백빔; 및
일측에 압력센서가 실장되고, 타측에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도록 압력센싱부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백빔사이에 배치되는 업소버를 포함하고,
상기 업소버는,
일측에 상기 압력센서가 실장되도록 센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홈의 일면에 전원커넥터와 연결되도록 커넥터홀이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압력센싱부와 연결되도록 센서홀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센싱부는 외측면에 상기 업소버 내부와 대기압과의 압력을 유지하여 온도에 따라 상기 업소버의 팽창 또는 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기압유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기압유지홀은 고어텍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bumper;
A back beam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bumper; And
A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one side, a pressure sensing uni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on the other side, and an absorber is disposed between the bumper and the back beam,
The absorber,
A sensor groove is formed to mount the pressure sensor on one side, a connector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ower connector on one surface of the sensor groove, and a sensor hol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on the other surface.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formed with an air pressure holding hole for preventing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absorber according to temperature by maintaining the pressure between the inside of the absorber and atmospheric pressure on the outer surface,
The air pressure maintenance hole is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that is formed of a Gore-Tex material.
상기 업소버는 센서홈에 상기 압력센서가 실장되고, 타측에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도록 압력센싱부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백빔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bsorber is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in which the pressure sensor is mounted in a sensor groove, and a pressure sensing un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be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and disposed between the bumper and the back beam.
상기 업소버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범퍼와 상기 백빔 양측단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bsor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bumper and th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the vehicle tha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back beam.
상기 업소버는 충돌시 충격 흡수 및 업소버 수축으로 압력을 센싱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bsorber is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sense the pressure by absorbing shock and contracting the absorber during a collision.
상기 압력센서가 실장되도록 상기 업소버의 일측에 센서홈이 형성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having a sensor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absorber so that the pressure sensor is mounted.
상기 압력센서는 일측에 커넥터부의 형성으로 상기 커넥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커넥터에 연결되고, 타측에 센서부가 형성되어 상기 센서홀로 삽입되어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sens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e by the formation of a connector portion on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a sensor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sensor hole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vehicle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센서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홀은 상기 센서홀보다 크게 형성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ensor unit is fixed by the sensor hole, the connector hole is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 formed larger than the sensor hole.
상기 기압유지홀은 상기 백빔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차량의 보행자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pressure maintenance hole is a pedestrian protection device for a vehicl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bea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22858A KR102113768B1 (en) | 2013-10-15 | 2013-10-15 |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22858A KR102113768B1 (en) | 2013-10-15 | 2013-10-15 |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43885A KR20150043885A (en) | 2015-04-23 |
| KR102113768B1 true KR102113768B1 (en) | 2020-06-02 |
Family
ID=530362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22858A Active KR102113768B1 (en) | 2013-10-15 | 2013-10-15 |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13768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9023409A (en) * | 2007-07-17 | 2009-02-05 | Denso Corp | Collision detector |
| JP2010260516A (en) * | 2009-05-11 | 2010-11-18 | Honda Motor Co Ltd | Bumper structure for vehicles |
-
2013
- 2013-10-15 KR KR1020130122858A patent/KR10211376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9023409A (en) * | 2007-07-17 | 2009-02-05 | Denso Corp | Collision detector |
| JP2010260516A (en) * | 2009-05-11 | 2010-11-18 | Honda Motor Co Ltd | Bumper structure for vehicl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43885A (en) | 2015-04-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RU2658531C2 (en) | System for minimizing injury of object during collision with vehicle | |
| JP6098897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EP1923274B1 (en) | Front bumper structure for vehicle | |
| KR101428243B1 (en) | External air bag apparatus | |
| CN108698549A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JP6162317B2 (en) | Compression sensor packaging method | |
| JP4678001B2 (en) | Collision detection means,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means, and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 |
| KR102131448B1 (en) | Apparatus for protecting a passenger of an autombile | |
| JP6233651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JP6375978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JP6375907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US20180079381A1 (en) | Collisio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 |
| KR20140134483A (en) | An airbag of a pedestrian protection | |
| WO2016170733A1 (en) | Collisio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 |
| JP5862065B2 (en) |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 |
| JP6201909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KR102113768B1 (en) | A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of a vehicle | |
| JP6294066B2 (en) |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JP6500532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or | |
| US8861901B2 (en) | Impact sensor of active hood system | |
| JP2006272988A (en) |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of vehicle | |
| KR20130126355A (en) | Bumper assembly for vehicle | |
| JP6212368B2 (en) |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JP5381906B2 (en) | Vehicle collision detection device | |
| WO2011024202A3 (en) | Passive collision sensing and protection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0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7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