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394B1 -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6394B1 KR102126394B1 KR1020180139933A KR20180139933A KR102126394B1 KR 102126394 B1 KR102126394 B1 KR 102126394B1 KR 1020180139933 A KR1020180139933 A KR 1020180139933A KR 20180139933 A KR20180139933 A KR 20180139933A KR 102126394 B1 KR102126394 B1 KR 1021263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 feature data
- feature
- accelerometer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06—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 G01P13/0073—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by using vibrations generated by the flu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97—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vibratory el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6—Matrix or vector computation, e.g. matrix-matrix or matrix-vector multiplication, matrix factoriz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파이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동 모니터링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특징 추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계학습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의 유동 모니터링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의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의 분류하도록 학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의 가속도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00: 가속도계
300: 유동 모니터링부
400: 위치 변경부
Claims (20)
-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관형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 내부의 유체의 이동으로부터 유발되는 진동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유동 유발 진동 신호로 측정하는 가속도계;
상기 유동 유발 진동 신호로부터 상기 유체의 유동의 안정성 및 유동의 불안정성을 판단하는 유동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모니터링부는,
상기 유동 유발 진동 신호로부터 평균, 분산, 왜도, 첨도 또는 제곱 평균 제곱근을 이용하여 통계량을 산출하여 이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 및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들 간의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상기 특징 데이터를 안정적인 유동 그룹 및 불안정적인 유동 그룹으로 분류하도록 학습하는 기계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모니터링부는 상기 특징 데이터를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저차원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학습부는 상기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된 특징 데이터로부터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가속도계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특징 추출부는,
상기 가속도계별로 상기 유동 유발 진동 신호로부터 평균, 분산, 왜도, 첨도 또는 제곱 평균 제곱근을 이용하여 통계량을 산출하여 이로부터 제1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제1 특징 벡터 생성부; 및
상기 가속도계별로 추출한 상기 제1 특징 벡터들로부터 제2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제2 특징 벡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 벡터는 사용된 상기 통계량을 산출하는 방법의 개수와 상기 가속도계의 개수를 곱한값과 동일한 차원의 수를 갖고,
상기 특징 데이터는 상기 제2 특징 벡터이고,
상기 유동 유발 진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특징 벡터는 1×a로 구성된 벡터이고, 상기 가속도계의 개수(b)는 두개인 경우, 상기 제2 특징 벡터는 1×(a*b)로 구성된 벡터(여기서 a는 사용된 통계량 산출 방법의 개수이고, b는 가속도계의 개수)이고,
상기 저차원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특징 데이터로부터 변동 누적 백분율을 계산하여 이로부터 상기 차원 중 주성분의 차원을 선택하고, 상기 특징 데이터를 상기 주성분의 차원을 갖는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차원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 누적 백분율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고,
여기서, 은 변동 누적 백분율이고, m은 주성분의 개수이고, p는 고유벡터(eigenvalue)들의 총 개수이고, 는 i번째로 큰 고유벡터임.
상기 저차원 특징 데이터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고,
여기서, 은 저차원 특징 데이터이고, x는 특징 데이터이고, 은 m차원의 주성분으로 구성된 변환 행렬임.
상기 기계학습부는,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로부터 초평면(hyper-plane)을 구축하는 초평면 생성부; 및
상기 초평면으로부터 도출된 출력값이 양수인 경우 유동이 안정적이라고 판단하고, 출력값이 음수인 경우 유동이 불안정적이라고 판단하는 유동 안정성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학습은 서포트 벡터 머신(SVM: Support Vector Machine)이고,
상기 초평면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단, )
여기서, y는 서포트 벡터 머신의 결정함수이고, w는 초평면의 법선 벡터이고, 는 가중치 벡터의 전치행렬이고, z는 저차원 특징 데이터이고, i는 클래스이고, b는 바이어스 가중치임.
상기 저차원 데이터 변환부는 데이터를 한 개의 축으로 사상시켰을 때 그 분산이 가장 커지는 축을 첫번째 주성분, 두번째로 커지는 축을 두번째 주성분으로 놓이도록 새로운 좌표계로 데이터를 선형 변환하여 고차원의 데이터를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주성분 분석(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로부터 상기 저차원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가속도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변경부는 상기 가속도계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변경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을 따라서 설치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계는 상기 라인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위치 변경부는 상기 가속도계가 상기 라인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동 모니터링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석유이고,
상기 파이프는 수직 라이저 및 상기 수직 라이저와 연결되는 파이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의 유동의 불안정성은 슬러깅을 포함하는 유동 모니터링 시스템.
- 삭제
- 가속도계가 파이프 내부의 유체의 이동으로부터 유발되는 진동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유동 유발 진동 신호로 측정하는 단계; 및
유동 모니터링부가 상기 유동 유발 진동 신호로부터 상기 유체의 유동의 안정성 및 불안정성을 판단하는 유동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모니터링 단계는,
특징 추출부가 상기 유동 유발 진동 신호로부터 평균, 분산, 왜도, 첨도 또는 제곱 평균 제곱근을 이용하여 통계량을 산출하여 이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기계학습부가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들 간의 값의 차이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상기 특징 데이터를 안정적인 유동 그룹 및 불안정적인 유동 그룹으로 분류하도록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모니터링 단계는 저차원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특징 데이터를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하도록 학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된 특징 데이터로부터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상기 가속도계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제1 특징 벡터 생성부가 상기 가속도계별로 상기 유동 유발 진동 신호로부터 평균, 분산, 왜도, 첨도 또는 제곱 평균 제곱근을 이용하여 통계량을 산출하여 이로부터 제1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특징 벡터 생성부가 상기 가속도계별로 추출한 상기 제1 특징 벡터들로부터 제2 특징 벡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징 벡터는 사용된 상기 통계량을 산출하는 방법의 개수와 상기 가속도계의 개수를 곱한값과 동일한 차원의 수를 갖고,
상기 특징 데이터는 상기 제2 특징 벡터이고,
상기 유동 유발 진동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특징 벡터는 1×a로 구성된 벡터이고, 상기 가속도계의 개수(b)는 두개인 경우, 상기 제2 특징 벡터는 1×(a*b)로 구성된 벡터(여기서 a는 사용된 통계량 산출 방법의 개수이고, b는 가속도계의 개수)이고,
상기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특징 데이터로부터 변동 누적 백분율을 계산하여 이로부터 상기 차원 중 주성분인 저차원을 선택하고, 상기 특징 데이터를 상기 주성분의 차원을 갖는 저차원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차원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변동 누적 백분율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정의되고,
여기서, 은 변동 누적 백분율이고, m은 주성분의 개수이고, p는 고유벡터(eigenvalue)들의 총 개수이고, 는 i번째로 큰 고유벡터임.
상기 저차원 특징 데이터는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산출되고,
여기서, 은 저차원 특징 데이터이고, x는 특징 데이터이고, 은 m차원의 주성분으로 구성된 변환 행렬임.
상기 분류하도록 학습하는 단계는,
초평면 생성부가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로부터 초평면(hyper-plane)을 구축하는 단계; 및
유동 안정성 판단부가 상기 초평면으로부터 도출된 출력값이 양수인 경우 유동이 안정적이라고 판단하고, 출력값이 음수인 경우 유동이 불안정적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학습은 서포트 벡터 머신(SVM: Support Vector Machine)이고,
상기 초평면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정의되고,
(단, )
여기서, y는 서포트 벡터 머신의 결정함수이고, w는 초평면의 법선 벡터이고, 는 가중치 벡터의 전치행렬이고, z는 저차원 특징 데이터이고, i는 클래스이고, b는 바이어스 가중치임.
상기 위치 변경부가 상기 가속도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변경부는 상기 가속도계의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변경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측면을 따라서 설치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계는 상기 라인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위치 변경부는 상기 가속도계가 상기 라인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동 모니터링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석유이고,
상기 파이프는 수직 라이저 및 상기 수직 라이저와 연결되는 파이프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의 유동의 불안정성은 슬러깅을 포함하는 유동 모니터링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39933A KR102126394B1 (ko) | 2018-11-14 | 2018-11-14 |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39933A KR102126394B1 (ko) | 2018-11-14 | 2018-11-14 |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56063A KR20200056063A (ko) | 2020-05-22 |
| KR102126394B1 true KR102126394B1 (ko) | 2020-06-24 |
Family
ID=709139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39933A Active KR102126394B1 (ko) | 2018-11-14 | 2018-11-14 |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2639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9151519B (zh) * | 2024-11-15 | 2025-03-18 | 山东科源供排水设备工程有限公司 | 一种市政管网进水压力低压预警方法及系统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807589B (zh) * | 2015-04-17 | 2017-03-01 | 西安交通大学 | 一种集输-立管系统内气液两相流流型的在线识别方法 |
| WO2018170323A1 (en) * | 2017-03-16 | 2018-09-20 | Chevron U.S.A. Inc. | Fluid characterization using acoustics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490705B2 (en) | 2009-10-28 | 2013-07-23 | Diamond Offshore Drilling, Inc. | Hydraulic control system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1127862B1 (ko) * | 2010-04-28 | 2012-03-21 | 한국원자력연구원 | 튜브 유체유발진동 측정용 삽입형 가속도센서 |
| US9593568B1 (en) * | 2015-10-09 | 2017-03-14 | General Electric Company | System for estimating fatigue damage |
-
2018
- 2018-11-14 KR KR1020180139933A patent/KR10212639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807589B (zh) * | 2015-04-17 | 2017-03-01 | 西安交通大学 | 一种集输-立管系统内气液两相流流型的在线识别方法 |
| WO2018170323A1 (en) * | 2017-03-16 | 2018-09-20 | Chevron U.S.A. Inc. | Fluid characterization using acoustic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56063A (ko) | 2020-05-2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Ye et al. | Multiphase flow pattern recognition in pipeline–riser system by statistical feature clustering of pressure fluctuations | |
| Cifuentes et al. | Hydrodynamic response of a cage system under waves and currents using a Morison-force model | |
| CN110470729A (zh) | 一种基于电涡流的油田套管缺陷无损检测方法 | |
| KR101178235B1 (ko) | 에프에스브이알과 지엘알티를 이용한 발전소 계측기 성능감시 방법 및 시스템 | |
| CA3042035A1 (en) | Plunger lift state estimation and optimization using acoustic data | |
| Xu et al. |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of flow regimes in a long pipeline-riser system with differential pressure signal | |
| CN104807589B (zh) | 一种集输-立管系统内气液两相流流型的在线识别方法 | |
| Xu et al. | Intelligent recognition of severe slugging in a long-distance pipeline-riser system | |
| KR102126394B1 (ko) | 가속도계를 이용한 유동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
| CN106940808A (zh) | 一种基于改进型主元分析模型的故障检测方法 | |
| CN108804740A (zh) | 基于集成改进ica-krr算法的长输管道压力监测方法 | |
| CN118481604A (zh) | 一种智能钻探系统及其异常状态检测方法及其介质 | |
| Xu et al. | Identification of flow regimes using platform signals in a long pipeline with an S-shaped riser | |
| Sestito et al. | Vibration-based multiphase-flow pattern classification via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
| CN117435969A (zh) | 开关柜健康状态评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 CN112114047A (zh) | 基于声发射-ga-bp神经网络的气液流动参数检测方法 | |
| Baek et al. | Impact load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submerged floating tunnel under collision | |
| Khan et al. | Identification of horizontal gas-liquid two-phase flow regime using deep learning | |
| Zhu et al. | Identification of flow regimes in boiling flow with clustering algorithms: An interpretable machine-learning perspective | |
| Wu et al. | A comparison of gas-liquid two-phase flow behaviors between two offshore pipeline-riser systems with different geometric parameters: From view of flow pattern identification | |
| CN120372166A (zh) | 一种油井运行状态分析系统及方法 | |
| Hou et al. | A predicting method for the mechanical property response of the marine riser based on the simulation and data-driven models | |
| Ge et al. |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 approaches for damage identification in drilling risers | |
| KR102379695B1 (ko) | 지도학습을 이용한 이상유동의 형태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 |
| Ni et al. | Application of adaptive probabilistic neural network to damage detection of Tsing Ma suspension bridg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6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5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