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456B1 -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 Google Patents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20456B1 KR102120456B1 KR1020190160859A KR20190160859A KR102120456B1 KR 102120456 B1 KR102120456 B1 KR 102120456B1 KR 1020190160859 A KR1020190160859 A KR 1020190160859A KR 20190160859 A KR20190160859 A KR 20190160859A KR 102120456 B1 KR102120456 B1 KR 1021204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s
- frame
- horizontal
- protrusion
- furni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28—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 F16B12/3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metal furniture parts using threaded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의 가구를 구성하는 가구용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combining furniture frames constituting furniture such as a desk or table or dining table.
예컨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을 구성하는 가구용 프레임을 상호 결합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프레임을 용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임 결합방법은 용접기와 숙련된 용접공이 필요한 전문기술로서, 비숙련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For example, one method for mutually joining a furniture frame constituting a desk or a table or a dining table is to weld the frame. However, this frame joining method is a specialized technique requiring a welding machine and an experienced welder, and it is difficult for an unskilled person to access.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는 통상의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프레임을 상호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방법은 결합력이 약해 작은 충격에도 가구용 프레임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Another method is to fasten the frames to each other using bolts and nuts, which are conventional fastening means. However, such a coupl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furniture frame is easily separated even with a small impact due to a weak coupling force.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돌기가 체결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며, 이를 통해 조립식 금속재 지지다리가 구비된 테이블을 구성토록 하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o form a protrusion on one frame and to form a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is fastened to the other frame, thereby mutually coupling, through which a prefabricated metal support leg is provided. The table is organized.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일종의 매개체인 연결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쉽게 조립식 금속재 지지다리가 구비된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음을 공지하고 있다.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use a connector, which is a kind of medium, through which a table with a prefabricated metal support leg can be easily constructed.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의 결합구조는 각각의 프레임마다 연결구와 브래킷을 각기 결합해야 하는 구조인데, 이는 구조적 강성 측면에서 결합력이 약할 수 있다.Howev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urni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or and the bracket must be coupled to each frame, which may have a weak coupling force in terms of structural rigidit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 등의 가구를 구성하기 위하여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수평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하고, 이에 수직프레임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combine the two horizontal frames arranged in the cross direction to each other in order to construct a furniture such as a desk or table or t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the vertical frame, as well 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for furniture It is to provide a frame combining syst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공간부를 둘러싼 수평상판부, 상기 수평상판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 수평하판부, 상기 수평상판부의 양측에 배치된 수직측판부 및 상기 수직측판부와 수평하판부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하는 사선측판부를 포함하는 육각형의 제1 수평프레임(Horizontal Frame);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therein, a horizontal top plate portion surrounding the space portion, a horizontal bottom plate portion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horizontal top plate portion, an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top plate portion. A first horizontal frame of a hexagon including an arranged vertical side plate portion and a diagonal side plate portion connecting the vertical side plate portion and the horizontal lower plate portion in a diagonal direction;
상기 수평상판부의 외면에 하면이 밀착고정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수직측판부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측부고정부, 상기 사선측판부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Body) 및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칭 형성되어 상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결합용 브래킷(Bracket);A body (Body) including an upper fixing part having a low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op plate portion, a side fixing portion having a side surface closel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plate portion, and a lower fixing portion having side surfaces closel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diagonal side plate portion ) And a fixed block comprising a first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protrusion. Bracket;
상기 제1 수평프레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며,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형의 제2 수평프레임;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과 함께 가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다면체로 형성된 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기부, 상기 제1 돌기부와 대칭 형성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블록과 상기 본체의 하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기부, 상기 제3 돌기부와 대칭 형성된 제4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블록 및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공간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제1 고정블록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5 돌기부, 상기 제5 돌기부와 대칭 형성된 제6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3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
상기 제1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3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형의 제3 수평프레임;
상기 제2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4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제1,2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지는 보드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프레임(Vertical Frame);A second horizontal frame arranged in a crossing direction with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o accommodate a fixed block therein;
A first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formed of a polyhedron so as to form a furniture together with the frame coupling bracket, the first protrusion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protrusion 1 A second fixed block including a third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fixed block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ide surfac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fourth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third protrusion, and a space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It is arranged in the crossing direction with the first fixing block so as to be able to enter the third fixing including a fifth protrusion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 sixth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fth protrusion. Multi-directional frame coupling bracket consisting of a block;
A third rectangular horizontal frame having a third receiving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first fixing block therein;
A fourth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inside to accommodate the second fixed block therein, and a vertical frame supporting a board placed on top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2 돌출부, 제1,2 돌기부, 제3,4 돌기부 및 제5,6 돌기부 사이에 각기 배치되도록 몸체 또는 다면체의 본체를 관통하게 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또는 다면체의 본체에 걸려 단속되는 머리부로 구성된 리드스크루(Lead Screw); 및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and the fifth and six protrusions penetrate the body of the body or polyhedron so as to be disposed respectively, and the pillar portion and the pillar portion formed with threa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lead screw composed of a head portion that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and is intermittently caught by the body of the body or polyhedron; And
상기 제1,2 돌출부, 제1,2 돌기부, 제3,4 돌기부 및 제5,6 돌기부 사이에 각기 개재되며, 기둥부에 나사 체결되어 리드스크루의 회전시 상기 기둥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2 돌출부, 제1,2 돌기부, 제3,4 돌기부 및 제5,6 돌기부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슬라이드블록(Slide Block);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and the fifth and six protrusions, screwed to the pillars, and slide first along the pillars when the lead screw is rotated. , Slide blocks that open the gap between the two protrusion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and the fifth and six protrusions;
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용 상판이며, 원판형 또는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rd is a desk or a table or a table top, and may be formed in a disc-shaped or rectangular hexahedron.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수평프레임과의 밀착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고정부 및 하부고정부의 양측에 각기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urniture frame combining system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with extens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sections so as to increase the contact range with the first horizontal frame.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2 돌출부는 상면과 하면에 각기 공간감소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may have grooves for reducing spaces on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2 돌출부, 제1,2 돌기부, 제3,4 돌기부 및 제5,6 돌기부 사이에 각기 개재되는 슬라이드블록은 쐐기형으로 형성되거나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urniture frame coupling system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protrusions, first, second protrusions, third, fourth protrusions and fifth, six protrusions interposed between each The block may be wedge-shaped or spheric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se solution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following inven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lexical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being able to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과 리드스크루 및 슬라이드블록을 통해 제2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결합 가능함으로써, 우수한 결합력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를 구성하기 위한 제1,2 수평프레임의 결합이 용이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orizontal frame can be firmly coupled through a frame coupling bracket, a lead screw, and a slide block, so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furniture frame can be easily improved through excellent coupling force. It is easy to combine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to construct furnitur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을 통해 2방향 또는 3방향으로 프레임들을 용이하게 결합 가능함으로써, 우수한 결합력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구성이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can be easily combined in two or three directions through a bracket for multi-directional frame combining, thereby easily improving structural rigidity of a furniture frame through excellent bonding force. Not easy to organize furni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프레임결합용 브래킷과 슬라이드블록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가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가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cket and a slide block for the frame coupling of the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rame bond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rniture configured through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with excellent bo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frame coupl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good frame bonding system for furniture according to Figure 7 combined.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furniture frame combining system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FIG. 9.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urniture configured through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pecific aspects and specif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specific contents an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addition to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structures or function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된 제1 수평프레임(10)의 측면에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이 밀착고정되고,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제1 수평프레임(10)의 교차방향으로 제2 수평프레임(30)이 배치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urniture frame combining system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or combining frames on the side of the firs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 슬라이드블록(50)을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고정부(21a), 측부고정부(21b) 및 하부고정부(21c)로 구성된 몸체(21)의 일 측면에 제1,2 돌출부(22a)(22b)로 구성된 고정블록(22)이 구비되고, 상기 제1,2 돌출부(22a)(22b) 사이에 삽입되어 개재되는 슬라이드블록(50)과 나사 체결되는 리드스크루(40)가 상기 몸체(21)에 체결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 슬라이드블록(50)을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고정부(21a), 측부고정부(21b) 및 하부고정부(21c)로 구성된 몸체(21)의 상부와 하부에 확장부(21d)가 각기 형성되고, 상기 몸체(21)의 일 측면에 제1,2 돌출부(22a)(22b)로 구성된 고정블록(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2 돌출부(22a)(22b) 사이에 삽입되어 개재되는 슬라이드블록(50)과 나사 체결되는 리드스크루(40)가 상기 몸체(21)에 체결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상부에 보드(2)가 얹혀지는 제2 수평프레임(30)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제1 수평프레임(10)의 일 측면에 고정결합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하부에 다리프레임(60)이 구비되는 제1 수평프레임(10)의 양측에 제2 수평프레임(30)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고정결합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furniture frame joining system having excellent join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on both sides of the first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가구(1)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양측 하부에 다리프레임(60)이 구비된 한 쌍의 제1 수평프레임(10) 사이에 제2 수평프레임(30)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통해 고정결합되어 가구(1)를 구성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urniture (1) configured through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rst horizontal frame provided with a
도 1 내지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서는 예컨대, 책상이나 테이블(Table) 또는 식탁으로 활용 가능한 가구(1)를 구성토록 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through the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desk or a table (Table) or furniture that can be used as a table to be configur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지지하게 되는 보드(2) 역시 예컨대, 책상이나 테이블 또는 식탁용 상판으로 해석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보드(2)는 원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하부를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수평프레임(10)(30) 및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구성되어 예컨대, 용접을 통해 각기 고정결합되는 다리프레임(60)이 지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상기 다리프레임(60)은 보드(2)의 수평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높낮이조절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은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을 위하여 속이 비어 있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되는데,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상판부(12), 수평하판부(13), 수직측판부(14) 및 사선측판부(15)를 통해 상기 공간부(11)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The first
여기서 상기 수평하판부(13)는 수평상판부(1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상판부(12)의 양측에 수직측판부(14)가 배치되며, 상기 수직측판부(14)와 수평하판부(13)를 사선측판부(15)로 연결하게 된다.Here, the horizontal
즉 상기 사선측판부(15)를 통해 수직측판부(14)와 수평하판부(13)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부가 쐐기형으로 이루어진 육각형의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게 된다.That is, by connecting the vertical
이러한 제1 수평프레임(10)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프레임(30)은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을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31)이 마련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공간(31)을 통해서는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의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second
예컨대, 제1,2 수평프레임(10)(30) 및 다리프레임(60)은 통상적으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나, 고강도 합성수지를 통한 성형도 가능하므로, 반드시 금속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매개체로써,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에 나사 체결되는 리드스크루(40) 및 상기 리드스크루(40)에 나사 체결되는 슬라이드블록(5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furniture combining frame system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ind of medium for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은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는 수평상판부(12)의 외면에 하면이 밀착고정되는 상부고정부(21a),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는 수직측판부(14)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측부고정부(21b) 및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는 사선측판부(15)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하부고정부(21c)를 포함하는 몸체(21) 및 상기 몸체(21)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수용공간(31)에 수용되는 고정블록(22)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고정블록(22)은 몸체(21)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출부(22a) 및 상기 제1 돌출부(22a)와 대칭 형성된 제2 돌출부(22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돌출부(22b)는 상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The fixing
여기서 상기 몸체(21)는 제1 수평프레임(10)에 밀착된 상태에서 통상의 볼트나 나사 등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과의 밀착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고정부(21a) 및 하부고정부(21c)의 양측에 각기 반원형의 확장부(21d)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몸체(21)와 일체로 형성된 제1,2 돌출부(22a)(22b)는 상면과 하면에 각기 공간감소용 홈(22c)이 형성되어 도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예컨대 합성수지를 통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성형하는데 따른 재료절감이 이루어져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중량감소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상기 리드스크루(40)는 금속재질의 원형 봉 형상으로 구성되어 몸체(21)를 관통한 후 제1,2 돌출부(22a)(22b) 사이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41) 및 상기 기둥부(41)와 일체로 형성되고, 기둥부(41)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몸체(21)에 걸려 단속되는 머리부(42)로 구성된다.The
예컨대, 상기 리드스크루(40)는 L렌치나 드라이버 등을 통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머리부(42)에 드라이버홈이나 렌치홈이 형성되어 제공된다.For example, the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은 구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어 제1,2 돌출부(22a)(22b) 사이에 개재되며, 기둥부(41)에 나사 체결되어 리드스크루(40)의 회전시 상기 기둥부(4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2 돌출부(22a)(22b)의 간격을 벌리게 된다.The
즉 슬라이드블록(50)은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나사홀(51)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나사홀(51)을 통해 기둥부(41)와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면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록(50)은 제1,2 돌출부(22a)(22b)와 면접하는 상면과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드블록(50)을 제1,2 돌출부(22a)(22b)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시키고, 몸체(21)에 리드스크루(40)의 기둥부(41)를 나사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돌출부(22a)(22b)를 제2 수평프레임(30)의 수용공간(31)에 진입시키고, 머리부(42)를 통해 상기 기둥부(41)를 회전시키면, 상기 기둥부(41)를 따라 슬라이드블록(50)이 상기 머리부(42)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2 돌출부(22a)(22b)의 간격을 벌리게 됨으로써, 고정블록(22)의 외면과 제2 수평프레임(30)의 내면이 면접하게 되어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 제2 수평프레임(30)이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후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의 몸체(21)를 제1 수평프레임(10)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나 나사 등을 통해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Thereafter, by fastening and fixing the
여기서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의 양측에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수평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하는 방법으로 대형의 가구(1)를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10) (30) by a method of installing the frame coupling brackets (20)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10)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connecting the large furniture ( 1) can be configured.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과 리드스크루(40) 및 슬라이드블록(50)을 통해 제2 수평프레임(3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이를 통해 구성되는 가구(1)의 구조적 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서로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수평프레임(10)(30)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가구(1)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That is, the furniture frame combining system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mly couple the secon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의 측면과 하면에 형성된 제1,2 고정블록(72)(73)을 통한 제3 수평프레임(80) 및 수직프레임(9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furniture frame joining system having excellent joining fo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locks 72 formed on the side and bottom surfaces of the multi-directional
도 8은 도 7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로서, 상부에 얹혀진 보드(2)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에 제3 수평프레임(80) 및 수직프레임(90)이 서로 교차방향에서 고정결합되는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frame joining system for furniture having excellent joining force according to FIG. 7, and a third
도 7 내지 8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 및 이에 서로 다른 방향에서 고정결합되는 제3 수평프레임(80)과 수직프레임(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을 서로 고정결합하기 위한 리드스크루(40) 및 슬라이드블록(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7 to 8, the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directional
상기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제3 수평프레임(80)과 수직프레임(9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매개체로써, 다면체로 형성된 본체(71) 및 상기 본체(71)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1,2 고정블록(72)(73)을 포함한다.The multi-directional
상기 제1 고정블록(72)은 도면상 육면체로 형성된 본체(71)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기부(72a) 및 상기 제1 돌기부(72a)와 대칭 형성된 제2 돌기부(72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돌기부(72b)는 상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제2 고정블록(73)은 본체(71)의 하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기부(73a) 및 상기 제3 돌기부(73a)와 대칭 형성된 제4 돌기부(73b)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제1,2,3,4 돌기부(72a)(72b)(73a)(73b)는 외면에 각각 공간감소용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컨대 합성수지를 통해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을 성형하는데 따른 재료절감이 이루어져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중량감소효과가 있다.Here, the first, second, third, and
상기 리드스크루(40)는 금속재질의 원형 봉 형상으로 구성되어 본체(71)를 관통한 후 제1,2 돌기부(72a)(72b)와 제3,4 돌기부(73a)(73b) 사이에 각기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41) 및 상기 기둥부(41)와 일체로 형성되고 기둥부(41)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71)의 내측에서 단속되는 머리부(42)로 구성된다.The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은 구형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어 제1,2 돌기부(72a)(72b)와 제3,4 돌기부(73a)(73b) 사이에 각기 개재되며, 기둥부(41)에 나사 체결되어 리드스크루(40)의 회전시 상기 기둥부(4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2 돌기부(72a)(72b)와 제3,4 돌기부(73a)(73b)의 간격을 각기 벌리게 된다.The
즉 슬라이드블록(50)은 중심부에 수평방향으로 나사홀(51)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나사홀(51)을 통해 기둥부(41)와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면체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블록(50)은 예컨대, 상면과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슬라이드블록(50)을 제1,2 돌기부(72a)(72b)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시키고, 본체(71)에 리드스크루(40)의 기둥부(41)를 나사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돌기부(72a)(72b)를 제3 수평프레임(80)의 제3 수용공간(81)에 진입시키고, 머리부(42)를 통해 상기 기둥부(41)를 회전시키면, 상기 기둥부(41)를 따라 슬라이드블록(50)이 상기 머리부(42)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2 돌기부(72a)(72b)의 간격을 벌리게 됨으로써, 제1 고정블록(72)의 외면과 제3 수평프레임(80)의 내면이 면접하게 되어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과 제3 수평프레임(30)이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어서 또 다른 슬라이드블록(50)을 제3,4 돌기부(73a)(73b) 사이에 삽입하여 개재시키고, 본체(71)의 내부에 리드스크루(40)의 기둥부(41)를 나사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3,4 돌기부(73a)(73b)를 수직프레임(90)의 제4 수용공간(91)에 진입시키고, 머리부(42)를 통해 상기 기둥부(41)를 회전시키면, 상기 기둥부(41)를 따라 슬라이드블록(50)이 상기 머리부(42)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3,4 돌기부(73a)(73b)의 간격을 벌리게 됨으로써, 제2 고정블록(73)의 외면과 수직프레임(90)의 내면이 면접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과 수직프레임(90)이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another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을 통해 2방향 프레임결합이 가능함으로써, 가구(1)의 구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결합력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way frame coupling is possible through the multi-directional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에 형성된 제1,2,3 고정블록(72)(73)(74)을 통한 제3 수평프레임(80)과 수직프레임(90) 및 제1 수평프레임(1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a frame coupling system for furniture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xing blocks 72 and 73 formed on the
도 10은 도 9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결합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의 본체(71)를 중심으로 제3 수평프레임(80)과 수직프레임(90) 및 제1 수평프레임(10)이 3방향에서 고정결합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frame joining system for furniture having excellent joining force according to FIG. 9, centering on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을 통해 구성된 가구를 사시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을 통해 제1 수평프레임(10)에 수직프레임(90) 및 제3 수평프레임(80)이 연결되어 구성된 가구(1)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urniture constructed through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ertical frame to the first
도 9 내지 1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제1 고정블록(72)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71)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제3 고정블록(74) 및 상기 제3 고정블록(74)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되며, 제3 수평프레임(80)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9 to 11,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with the
상기 제3 고정블록(74)은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5 돌기부(74a) 및 상기 제5 돌기부(74a)와 대칭 형성된 제6 돌기부(74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6 돌기부(74b)는 상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은 중량감소 및 재료절감을 위하여 속이 비어 있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1)가 마련되는데,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상판부(12), 수평하판부(13), 수직측판부(14) 및 사선측판부(15)를 통해 상기 공간부(11)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The first
여기서 상기 수평하판부(13)는 수평상판부(12)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상판부(12)의 양측에 수직측판부(14)가 배치되며, 상기 수직측판부(14)와 수평하판부(13)를 사선측판부(15)로 연결하게 된다.Here, the horizontal
즉 상기 사선측판부(15)를 통해 수직측판부(14)와 수평하판부(13)를 사선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부가 쐐기형으로 이루어진 육각형의 제1 수평프레임(10)을 구성하게 된다.That is, by connecting the vertical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5,6 돌기부(74a)(74b) 사이에 슬라이드블록(50)을 삽입하여 개재시키고, 본체(71)의 내부에 리드스크루(40)의 기둥부(41)를 나사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5,6 돌기부(74a)(74b)를 제1 수평프레임(10)의 공간부(11)에 진입시키고, 머리부(42)를 통해 상기 기둥부(41)를 회전시키면, 상기 기둥부(41)를 따라 슬라이드블록(50)이 상기 머리부(42)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5,6 돌기부(74a)(74b)의 간격을 벌리게 됨으로써, 제3 고정블록(74)의 외면과 제1 수평프레임(10)의 내면이 면접하게 되어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과 제1 수평프레임(10)의 고정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을 통해 3방향 프레임결합이 가능함으로써, 가구(1)의 구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결합력을 통해 가구용 프레임의 구조적 강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furniture combining frame system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ree-way frame combining through the multi-directional
여기서 복수의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70)을 통해 제1 수평프레임(10)과 제3 수평프레임(80) 및 수직프레임(90)을 연속해서 설치하는 방법으로 가구(1)를 구성하게 되며, 제2 수평프레임(30)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제1 수평프레임(10)의 측면에 프레임결합용 브래킷(20)이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 but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having excellent bond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as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her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excluding other components Howev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It has the same meaning as being.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가구 2: 보드
10: 제1 수평프레임 11: 공간부
12: 수평상판부 13: 수평하판부
14: 수직측판부 15: 사선측판부
20: 프레임결합용 브래킷 21: 몸체
21a: 상부고정부 21b: 측부고정부
21c: 하부고정부 21d: 확장부
22: 고정블록 22a: 제1 돌출부
22b: 제2 돌출부 22c: 공간감소용 홈
30: 제2 수평프레임 31: 수용공간
40: 리드스크루 41: 기둥부
42: 머리부 50: 슬라이드블록
51: 나사홀 60: 다리프레임
70: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 71: 본체
72: 제1 고정블록 72a: 제1 돌기부
72b: 제2 돌기부 73: 제2 고정블록
73a: 제3 돌기부 73b: 제4 돌기부
74: 제3 고정블록 74a: 제5 돌기부
74b: 제6 돌기부 80: 제3 수평프레임
81: 제3 수용공간 90: 수직프레임
91: 제4 수용공간1: furniture 2: board
10: first horizontal frame 11: space
12: horizontal upper plate portion 13: horizontal lower plate portion
14: vertical side plate portion 15: diagonal side plate portion
20: frame coupling bracket 21: body
21a: Upper fixing 21b: Side fixing
21c:
22: fixing
22b:
30: second horizontal frame 31: accommodation space
40: lead screw 41: pillar
42: head 50: slide block
51: screw hole 60: leg frame
70: bracket for multi-directional frame coupling 71: main body
72: first fixing
72b: second protrusion 73: second fixing block
73a:
74: third fixing
74b: 6th protrusion 80: 3rd horizontal frame
81: third receiving space 90: vertical frame
91: 4th accommodation space
Claims (10)
상기 수평상판부의 외면에 하면이 밀착고정되는 상부고정부, 상기 수직측판부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측부고정부, 상기 사선측판부의 외면에 측면이 밀착고정되는 하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칭 형성되어 상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프레임결합용 브래킷;
상기 제1 수평프레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며,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형의 제2 수평프레임;
상기 프레임결합용 브래킷과 함께 가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다면체로 형성된 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1 돌기부, 상기 제1 돌기부와 대칭 형성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블록과 상기 본체의 하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측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3 돌기부, 상기 제3 돌기부와 대칭 형성된 제4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블록 및 상기 제1 수평프레임의 공간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제1 고정블록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어 본체의 일 측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하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제5 돌기부, 상기 제5 돌기부와 대칭 형성된 제6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3 고정블록으로 구성된 다방향 프레임결합용 브래킷;
상기 제1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3 수용공간이 마련된 사각형의 제3 수평프레임;
상기 제2 고정블록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4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제1,2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얹혀지는 보드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프레임;
상기 제1,2 돌출부, 제1,2 돌기부, 제3,4 돌기부 및 제5,6 돌기부 사이에 각기 배치되도록 몸체 또는 다면체의 본체를 관통하게 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 또는 다면체의 본체에 걸려 단속되는 머리부로 구성된 리드스크루;
상기 제1,2 돌출부, 제1,2 돌기부, 제3,4 돌기부 및 제5,6 돌기부 사이에 각기 개재되며, 기둥부에 나사 체결되어 리드스크루의 회전시 상기 기둥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1,2 돌출부, 제1,2 돌기부, 제3,4 돌기부 및 제5,6 돌기부 사이의 간격을 벌리는 슬라이드블록;
을 포함하는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A space portion is provided inside, a horizontal top plate portion surrounding the space portion, a horizontal bottom plate portion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horizontal top plate portion, a vertical side plate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top plate portion, and the vertical side plate portion and the horizontal bottom plate portion in a diagonal direction. A first horizontal frame of a hexagon including a diagonal side plate portion connected to;
A body including an upper fixing portion having a low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op plate portion, a side fixing portion having a side surface closel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side plate portion, and a lower fixing portion having side portions fixedly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diagonal side plate portion and the Frame coupling bracket consisting of a fixed block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protrusion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 second horizontal frame arranged in a crossing direction with the first horizontal fram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o accommodate a fixed block therein;
A first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formed of a polyhedron so as to form a furniture together with the frame coupling bracket, the first protrusion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protrusion 1 A second fixed block including a third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fixed block and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ide surface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fourth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third protrusion, and a space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It is arranged in a cross direction with the first fixing block to be able to enter the third fixing including a fifth protrusion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nd a sixth protrus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fth protrusion. Multi-directional frame coupling bracket consisting of a block;
A rectangular third horizontal frame having a third receiving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first fixing block therein;
A fourth accommodating space is provided inside to accommodate the second fixed block therein, and a vertical frame supporting a board placed on top of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s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and the fifth and six protrusions penetrate the body of the body or polyhedron so as to be disposed respectively, and the pillar portion and the pillar portion formed with threa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lead screw composed of a head portion that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and is intermittently caught by the body of the body or polyhedron;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and the fifth and six protrusions, and screwed into the pillars, the slide screw moves along the pillars when the lead screw is rotated. , A slide block that opens a gap between the two protrusion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and the fifth and six protrusions;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excellent in bonding strength including a.
상기 몸체는 제1 수평프레임과의 밀착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고정부 및 하부고정부의 양측에 각기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a frame combining system for furniture with excellent bonding strength,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fixing portions to increase the contact range with the first horizontal frame.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2 돌출부는 상면과 하면에 각기 공간감소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have a space-reduc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상기 제1,2 돌출부, 제1,2 돌기부, 제3,4 돌기부 및 제5,6 돌기부 사이에 각기 개재되는 슬라이드블록은 쐐기형으로 형성되거나 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력이 우수한 가구용 프레임 결합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the third and fourth protrusions, and the slide blocks interposed between the fifth and six protrusions are formed in a wedge shape or a spherical shape, thereby combining furniture frames having excellent binding force.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60859A KR102120456B1 (en) | 2019-12-05 | 2019-12-05 |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60859A KR102120456B1 (en) | 2019-12-05 | 2019-12-05 |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20456B1 true KR102120456B1 (en) | 2020-06-09 |
Family
ID=710822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60859A Active KR102120456B1 (en) | 2019-12-05 | 2019-12-05 |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20456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580305A (en) * | 2021-08-04 | 2021-11-02 | 漳州市龙文区悦丰木业有限公司 | Numerical control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for wooden chair |
| CN113601620A (en) * | 2021-08-04 | 2021-11-05 | 漳州市龙文区悦丰木业有限公司 | A kind of wood furniture high numerical control environmental protection plan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230041234A (en) | 2021-09-17 | 2023-03-24 | 주식회사 센스 | System furniture assembly member and system furni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587725B1 (en) * | 2022-09-27 | 2023-10-11 |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 Support assembly for back board and side board of furnitur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62074B1 (en) | 2016-08-04 | 2017-07-26 | 이준구 | A table |
| KR101825913B1 (en) * | 2017-07-27 | 2018-03-22 | 주식회사 우드메탈 | Furniture support device |
| KR20190058140A (en) * | 2017-11-21 | 2019-05-29 | 주식회사 중앙산업 | Furniture frame connector structure |
| KR102010554B1 (en) * | 2019-02-13 | 2019-08-13 | (주) 투템디자인 |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
-
2019
- 2019-12-05 KR KR1020190160859A patent/KR1021204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62074B1 (en) | 2016-08-04 | 2017-07-26 | 이준구 | A table |
| KR101825913B1 (en) * | 2017-07-27 | 2018-03-22 | 주식회사 우드메탈 | Furniture support device |
| KR20190058140A (en) * | 2017-11-21 | 2019-05-29 | 주식회사 중앙산업 | Furniture frame connector structure |
| KR102010554B1 (en) * | 2019-02-13 | 2019-08-13 | (주) 투템디자인 |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580305A (en) * | 2021-08-04 | 2021-11-02 | 漳州市龙文区悦丰木业有限公司 | Numerical control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for wooden chair |
| CN113601620A (en) * | 2021-08-04 | 2021-11-05 | 漳州市龙文区悦丰木业有限公司 | A kind of wood furniture high numerical control environmental protection plan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113580305B (en) * | 2021-08-04 | 2022-08-09 | 漳州市龙文区悦丰木业有限公司 | Numerical control assembly system and assembly method for wooden chair |
| CN113601620B (en) * | 2021-08-04 | 2022-08-09 | 漳州市龙文区悦丰木业有限公司 | High numerical control environment-friendly planing system for wooden furni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230041234A (en) | 2021-09-17 | 2023-03-24 | 주식회사 센스 | System furniture assembly member and system furni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587725B1 (en) * | 2022-09-27 | 2023-10-11 |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 Support assembly for back board and side board of furnitur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20456B1 (en) |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 |
| JP5398933B1 (en) | Load-bearing panel structure | |
| KR20140105643A (en) | Coupling structure for beam to column connection | |
| KR101335801B1 (en) | Connector for aluminium profile | |
| KR101403211B1 (en) | Modular unit for super high-rise structure | |
| US20070227994A1 (en) | Build-Up Furniture | |
| KR102010554B1 (en) | Frame assembly system for furniture | |
| JP6420954B2 (en) | Support legs for double floor and double floor equipment | |
| KR101894269B1 (en) | Frame connector | |
| US20030152421A1 (en) | Table corner strengthener | |
| JP6774142B2 (en) | Mounting brackets, timber connecting brackets, wood connecting methods and buildings | |
| JP6307342B2 (en) | Fence or handrail structure | |
| KR101900054B1 (en) | Frame system for furniture | |
| KR102095958B1 (en) | A table | |
| KR101443044B1 (en) | bracket for Roof truss structure | |
| JP6977313B2 (en) | Damping structure of the structure | |
| KR100484390B1 (en) | Apparatus for combinbing assembly type furniture | |
| KR101876192B1 (en) | Frame connector | |
| KR20130005638A (en) | Components for knockdown frame | |
| JP6666146B2 (en) | Horizontal brace structure, horizontal brace support device, and space structure | |
| KR200291212Y1 (en) | Apparatus for combinbing assembly type furniture | |
| KR101313415B1 (en) | Support profile for a device to fasten an element | |
| KR102349998B1 (en) | Furniture frame | |
| KR102679501B1 (en) | Furniture main frame coupling device with torsion and distortion prevention function | |
| KR200474075Y1 (en) | structure of joining the furniture fr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