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170B1 - Smoke tube type boiler - Google Patents
Smoke tube type boi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6170B1 KR102136170B1 KR1020170183571A KR20170183571A KR102136170B1 KR 102136170 B1 KR102136170 B1 KR 102136170B1 KR 1020170183571 A KR1020170183571 A KR 1020170183571A KR 20170183571 A KR20170183571 A KR 20170183571A KR 102136170 B1 KR102136170 B1 KR 1021361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plate
- tube
- boiler
- bur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78—Cooling burner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24H1/3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the water chamber including one or more fire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24H8/006—Means for removing condensate from the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36—Dispositions against condensation of combustion pro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6—Connecting elements of a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1—Flame diffusing means characterised by surface shape
- F23D2203/1017—Flame diffusing means characterised by surface shape curv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 F23D2203/102—Flame diffusing means using perforated plates
- F23D2203/1026—Flame diffusing means using perforated plates with slotshaped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8—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믹스 챔버와 점화봉 조립체 사이의 틈새를 통한 혼합가스와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연관식 보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관식 보일러는, 연소용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 및 평판형 버너를 구비하고, 연소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믹스챔버;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연소실의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평판형 버너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점화봉 조립체; 및 상기 믹스챔버와 상기 점화봉 조립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혼합공간의 혼합가스와 상기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ociative boiler capable of preventing leakage of mixed gas and exhaust gas through a gap between a mix chamber and an ignition rod assembly.
Correlated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mplementing this, the mixing gas and the mixing space for mixing the air and a flat type burner, the mixing chamb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 ignition rod assembly that is assembled through one side of the mix chamber and extends across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lower side of the flat burner; And a sealing means for blocking the mixed gas of the mixing space and the exhaust gas of the combustion chamber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ix chamber and the ignition rod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관식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형 버너를 구비한 믹스챔버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점화봉 조립체를 결합함에 있어서 혼합가스와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고, 점화봉 조립체의 열적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응축수의 고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함과 아울러 응축수의 누수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연관식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ociative boiler, and more specifically, to prevent the leakage of mixed gas and exhaust gas when joining the ignition rod assembly through one side of the mix chamber with a flat type burner, and thermally igniting the ignition rod assembly. It relates to an associated boiler having a structure that prevents damage, prevents corrosion due to accumulation of condensate, and can reliably block leakage of condensate.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연소가스와 열매체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구비함으로써 가열된 열매체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거나 온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보일러는, 열교환기가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부와, 열교환부의 상부에 조립되는 버너, 버너와 열교환기 사이 내부에는 연소용 가스와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로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the boiler is provided with a heat exchanger that exchanges heat between the combustion gas and the heating medium by the combustion of fuel to perform heating or supply hot water using the heated heating medium. Such a boiler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heat exchanger, a burner assemb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and a combustion chamber in which combustion gas and air are supplied between the burner and the heat exchanger to perform combustion.
도 1은 종래 연관식 보일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ssociative boiler.
종래의 연관식 보일러는, 연소용 가스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0)와, 연소용 가스와 공기의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원통형 버너(20)와, 상기 버너(20)에 의한 혼합기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30)과, 연소실(3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와 열매체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40)와, 연소실(30)에서 발생된 열이 원통형 버너(20) 주변의 상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50), 및 상기 단열재(5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혼합기를 점화하는 점화봉(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onventional associative boilers, the
상기 열교환기(40)는 외통(41)과, 그 내부에 구비되어 연소실(3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내부를 통과하는 다수개의 튜브(42)와, 상기 튜브(42)의 외측으로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종래의 연관식 보일러의 구성에 의하면, 상하로 긴 형태의 원통형 버너(20)를 구비함에 따라서 보일러 전체의 높이가 크게 상승하여 보일러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없어 설치공간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ted art boil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ight of the entire boiler is greatly increased and thus the boiler cannot be manufactured in a compact manner due to the long and vertical
또한, 종래의 연관식 보일러는, 송풍기(10)와 원통형 버너(20) 사이에 마련되는 연소실 커버(12)를 관통하여 점화봉(60)을 설치할 경우 점화봉(60)에 대한 열전도를 막기 위해 단열재(50)를 적용하였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boiler, in order to prevent heat conduction to the
그러나, 상기 단열재(50)는 연소 중 열로 인한 크랙 발생 또는 작은 알갱이 형태로 부스러져 열교환기(40)의 연소가스 통로인 튜브(42)를 막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유지보수를 위해 연소실 커버(12)와 원통형 버너(20)를 포함하는 믹스챔버(11)를 분해하는 경우 단열재(50)의 손상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한편, 점화봉(60)을 열교환기(40) 측에 설치할 경우에는 불필요한 공정 및 부품 추가로 인해 제조 공정이 증가하며, 열매체 누설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와 같이 연소실 커버에 점화봉을 조립하는 구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등록특허 제10-0575187호, 등록특허 제10-0581580호에 개시되어 있다. Prior art related to the structure of assembling the ignition rod on the combustion chamber cover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in Patent Nos. 10-0575187 and 10-0581580.
또한, 원통형 버너(20)에 비해 연소성능이 우수한 평판형 버너를 적용하는 경우, 평판형 버너가 결합된 믹스 챔버와 믹스 챔버의 일측에 열교환기가 결합되어 믹스 챔버와 열교환기 사이에 연소실이 형성된다. 이때, 믹스 챔버에는 일측부를 관통하여 점화봉 조립체가 결합되는 경우, 믹스 챔버와 점화봉 조립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미연소 상태의 혼합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연소 상태의 혼합가스(생가스)가 외부로 누설될 경우에는 인체에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flat type burner having superior combus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이와 같은 혼합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설치할 경우, 연소실의 고온의 열이 실링수단에 전달되므로 실링수단이 열화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어, 실링수단을 열화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면서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When the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mixed gas is installed, since the high temperature heat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transmitted to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can be easily damaged by deterioration, so that the sealing means is installed while preventing damage due to deterio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asy.
한편, 유럽 공개특허공보 EP 2508834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EP2437022호에 개시된 연관식 열교환기에서 튜브의 외측에는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를 마련하기 위한 외통이 구비된다. 상기 튜브의 상단부에는 수조의 상면을 이루며 외통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관판이 결합되고, 상기 튜브의 하단부에는 수조의 바닥면을 이루며 외통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관판이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ssociated heat exchanger disclosed in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EP 2508834 and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EP2437022, an outer cylinder for providing a water tank in which a heat medium is accommodated is provided outside the tube. A correlated plat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supporting an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tube, and a lower tube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tube.
이와 같이 구성된 연관식 열교환기의 경우, 수조에 수용된 열매체는 하관판에 큰 수압을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하관판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압에 견딜 수 있는 내수압 성능이 요구된다.In the case of the heat exchang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 medium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exerts a large water pressure on the bottom tube, a water resistance performance capable of withstanding high water pressure is required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bottom tube.
그러나, 종래의 연관식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하관판은, 수압을 분산시킬 수 있는 구성이 미비하여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lower tube provided in the related art heat exchanger has a problem in that durability is weak due to a lack of a structure capable of dispersing water pressure.
또한, 종래의 연관식 보일러는, 상기 하관판의 하측으로 응축수받이가 구비되고, 하관판의 테두리부와 응축수받이의 테두리부 사이에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부재는 하관판의 측면부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oiler type boiler is provided with a condensate receiving vessel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tube plate, and has a structur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of condensate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pipe plate and the edge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er. , The sealing member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tube.
그러나, 이와 같은 하관판과 응축수받이 간에 실링부재의 결합구조에 의할 경우, 연관식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하관판의 측면부의 하단부와 실링부재 사이에 고이게 되어 하관판의 부식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링부재가 일반적으로 공지된 형태로 구성될 경우에는 응축수의 누수 현상을 확실하게 차단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종래 응축수받이의 실링구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공개특허 제10-2005-003615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However,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aling member between the lower tube plate and the condensate receiver, th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associated heat exchanger accumulates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wer tube plate and the sealing member, causing corrosion of the lower plate. There was, and when the sealing member is configured in a generally known form,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leakage of condensate. Prior art related to the seal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condensate receiv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3615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믹스 챔버와 점화봉 조립체 사이의 틈새를 통한 혼합가스와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연관식 보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n object to provide an associative boiler capable of preventing leakage of mixed gas and exhaust gas through a gap between a mix chamber and an ignition rod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믹스챔버를 관통하여 점화봉 조립체를 설치함에 있어서 단열재의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켜 단열재의 손상으로 인한 유로의 폐색을 방지하고, 점화봉 조립체 및 점화봉 조립체 인근의 점화봉 실링수단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구비한 연관식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ignition rod assembly through the mix chamber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insulating material to prevent the blockage of the flow path due to the damage to the insulation, ignition rod assembly and spark rod sealing near the ignition rod assembly It is to provide an associative boiler having a cooling means for blocking heat transfer by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관판의 내수압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관판에 응축수의 고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함과 아울러 응축수의 누수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연관식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water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lower tube plate, to prevent corrosion due to the accumulation of condensate on the lower tube plate, and to provide an associative boiler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reliably blocking leakage of condensat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보일러 대비 보일러의 높이를 줄이고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관식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ociative boiler capable of reducing the height of a boiler and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compared to an existing boile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관식 보일러는, 연소용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 및 상기 혼합공간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위치하는 평판형 버너를 구비하고, 연소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믹스챔버; 상기 평판형 버너의 일측으로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연소실의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평판형 버너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점화봉 조립체; 상기 믹스챔버와 상기 점화봉 조립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혼합공간의 혼합가스와 상기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실링수단; 및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소열이 상기 실링수단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ssociative boi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has a mixing space in which combustion gas and air are mixed, and a flat type burner loca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mixing space,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Mix chamber; An ignition rod assembly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flat burner through one side of the mix chamber, and extending across the top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bottom of the flat burner; Sealing means for blocking the mixed gas of the mixing space and the exhaust gas of the combustion chamber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ix chamber and the ignition rod assembly; And cooling means for blocking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ealing means.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는 상기 혼합공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를 관통하여 조립될 수 있다.A mix chamber flange and a burner flange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ix chamber to close the mixing space, and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to be assembled through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ixing space. Can.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제1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aling means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are in contact, and may include a first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mixed gas.
상기 제1실링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소열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종래기술과 달리 그 크기를 현저히 줄인 것이다.An insulating material for blocking heat transfer of combustion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Unlike the prior ar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significantly reduced in size.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에는 상기 점화봉 조립체가 관통되며 결합되는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와 상기 결합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coupling plate through which the ignition rod assembly penetrates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mix chamber, and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mix chamber side and the coupling plate to prevent leakage of the exhaust ga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ealing member for.
상기 제2실링부재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밀착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상기 점화봉 조립체는, 점화봉과 화염 감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에는, 상기 점화봉이 관통되며 결합되는 점화봉 결합판과, 상기 화염 감지봉이 관통되며 결합되는 화염 감지봉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와 상기 점화봉 결합판 사이, 및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와 상기 화염 감지봉 결합판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ignition rod assembly includes an ignition rod and a flame detection rod, and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mix chamber includes an ignition rod coupling plate through which the ignition rod is coupled and a flame detection rod coupling plate through which the flame detection rod is coupled. Is provided, the sealing mean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ix chamber side and the ignition rod coupling plate,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ix chamber side and the flame detection rod coupling plate.
삭제delete
상기 냉각수단은 공냉식 냉각수단과 수냉식 냉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oling means may include air-cooling means and water-cooling means.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는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상기 버너 플랜지를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공냉식 냉각수단은, 상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된 혼합가스에 의해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상기 버너 플랜지가 냉각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mix chamber flange and a burner flange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ix chamber to close the mixing space, and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assembled through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and the air-cooled cooling means comprises: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may be cooled by the mixed gas introduced into the mixing space.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는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상기 버너 플랜지를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수냉식 냉각수단은,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구비된 열교환기의 열매체에 접촉되는 상관판 플랜지가 상기 버너 플랜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버너 플랜지가 냉각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 mix chamber flange and a burner flange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ix chamber to close the mixing space,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assembled through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and the water-cooled cooling means comprises: The burner flang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urner flange is cooled by providing a corrugated plate flange contacting the heat medium of the heat exchanger provided below the combustion chamber to contact the burner flange.
상기 점화봉 조립체가 조립되는 믹스챔버의 일측부에는 상기 점화봉 조립체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방열핀이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x chamber in which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assembled.
연소가스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외측으로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의 외벽을 이루는 외통; 및 상기 튜브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조의 바닥면을 이루는 수평부와, 상기 외통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측단과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매체의 수압을 분산시키는 라운드부로 이루어진 경판 구조의 하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outer cylinder provided around the tube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passes, forming an outer wall of the water tank in which the heat medium is accommodated outside the tube; And a horizontal portion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tank,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ylinder, and connecting the out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and convex outward.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bottom plate of a hard plate structure consisting of a round portion to disperse the water pressure of the heat medium made of a curved shape.
상기 하관판의 수직부는 상기 외통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tube may be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상기 하관판의 수직부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외통의 외측면 간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A flange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ly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tube plate, and may be wel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상기 하관판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관판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받이; 및 상기 하관판의 테두리부와 상기 응축수받이의 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condensate receiver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tube plate to collect condensate generated in the lower tube plate; And a leakage preven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tube plate and the edge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ing portion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하관판의 라운드부와 수직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하관판의 수평부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의해 가로막혀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며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und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tube plate, the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ower tube plate is blocked by the leak preventing member to prevent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o the lower side. It may fall.
상기 응축수받이의 측벽은 상기 하관판의 수평부와 라운드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The side wall of the condensate receiver is provided to be locat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round portion of the lower tube plate to induce the drop of condensate.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관판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밀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n adhesive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tube plat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ct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plural at positions spaced up and d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ak prevention member.
상기 응축수받이의 테두리부에는, 응축수받이의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와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rim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er is provided with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condensate receiver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leak preventing member, and the leak preventing member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have corresponding positions. A fastening protrusion and a fastening groove that are fastened to each other may be formed.
상기 응축수받이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의 외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끼움되는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형성되어 응축수의 누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edge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ing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and a second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Inclu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the fitting protrusions and fitting grooves that are mutually fit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are formed to block the leakage of condensate and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is fixed Can be.
상기 응축수받이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구비된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상기 응축수받이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배기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condensate receiver may be provided with an exhaust guid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so that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discharged over the entire region of the condensate receiver.
상기 응축수받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기 가이드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응축수 배출구 측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계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응축수받이 내부에서 상기 응축수의 배출과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tep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receiver to guide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exhaust guide to flow toward the condensate outlet,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condensate and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condensate receiver face the same direction. Can be formed.
상기 믹스챔버는, 납작한 형상의 믹스챔버 몸체와, 상기 연소실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평판형 버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ix chamber may include a flat-shaped mix chamber body and the flat type burner disposed horizontally above the combustion chamber.
상기 믹스챔버 몸체의 저면과 상기 평판형 버너의 상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납작한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paced apart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x chamber body and the top surface of the flat plate burner may be formed in a flat disk shape.
상기 연소실의 연소열과 열매체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는, 열매체가 유입 및 배출되고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의 외벽을 이루는 외통과, 상기 외통과의 사이에 열매체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통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소실을 형성하는 경판 구조의 상관판과,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내부를 따라 유동하며 외부를 유동하는 열매체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납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 발생을 유도하는 터뷸레이터와, 상기 외통과 상기 튜브 사이에 구비되어 열매체의 유동 방향이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유도하는 다단의 격막과, 상기 튜브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조의 바닥면을 이루는 경판 구조의 하관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further comprises a heat exchanger in which heat is exchanged between the heat of combustion and the heat medium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such that a heat medium flow path is formed between an outer tube forming an outer wall of a water tank through which the heat medium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nd the heat medium is accommodated. A corrugated plate having a hard plate structure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and forms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plurality of tubes made of a flat shape to allow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flow and heat exchange with the heat medium flowing outside, A turbulator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ube to induce turbulence in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and a multi-stage diaphragm provided between the outer tube and the tube to alternately switch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 medium to the inside and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while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tube and may be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of a hard plate structure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상기 상관판의 플랜지는 라운드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관판의 플랜지의 외경과, 상기 라운드부 하단의 내경 간의 직경차 비율은 20% 이하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lange of the correlation plate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top of the round portion, the ratio of th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of the correlation plat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ottom of the round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20% or less.
상기 상관판에 삽입되는 상기 평판형 버너의 저면과 상기 상관판의 바닥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평판형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끝단이 상기 상관판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정되며, 바람직하게는 80mm 내외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The height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shaped burner inserted in the correlation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lation plate is set such that the end of the flame generated in the plate-shaped burner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lation plate, preferably. It can be set to a height of about 80mm.
상기 터뷸레이터는, 상기 연소실에 근접한 상기 튜브의 상부 내측에 상기 튜브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열전도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상부 터뷸레이터; 및 상기 상부 터뷸레이터의 하측으로 상기 튜브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하부 터뷸레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turbulator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close to the combustion cha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tube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induce turbulence in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And a lower turbulator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tub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urbulator to induce turbulence in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본 발명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에 의하면, 원통형 버너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뛰어난 평판형 버너를 적용하기 위해 믹스챔버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점화봉 조립체를 설치함에 있어서 혼합가스와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ssociated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pply a flat burne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has high productivity compared to a cylindrical burner, leakage of mixed gas and exhaust gas may be prevented by installing an ignition rod assembly through one side of the mix chamber. Can be prevented.
또한, 원통형 버너에 비해 연소 영역이 넓게 형성되는 평판형 버너를 사용함에 있어서, 연소 영역에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에 의해 믹스챔버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점화봉 조립체에 대한 냉각구조가 유리하고, 열화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using a flat type burner having a wider combustion area than a cylindrical burner, the cooling structure for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advantageously coupled through one side of the mix chamber by gas and air entering the combustion area, It is possible to improve durability by preventing damage due to deterioration.
또한, 하관판이 외통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하고, 하관판의 수평부와 수직부를 연결하는 코너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라운드부를 형성하여 열매체의 수압을 분산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하관판의 내수압 성능을 향상시켜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tube plate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and the corner connect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arts of the lower tube plate is configured to dispers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heat medium by forming a convexly curved round portion to the outside to dispers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lower tube. Durabili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performance and minimizing deformation.
또한, 연관식 열교환기의 하관판을 외통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하고,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하관판의 수직부의 하부와 라운드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함과 아울러 응축수받이의 측벽은 하관판의 수평부와 라운드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응축수의 낙하를 유도함으로써, 응축수의 고임에 의한 부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ipe of the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and the leak-preventing member is configured to wrap the lower portion and the round portion of the lower pipe and the side wall of the condensate receiver is horizontal to the lower pipe. Arranged to be locat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part and the round part to induce the condensate to fall,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due to condensation.
또한, 누수방지부재의 내측면에는 하관판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밀착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수압의 작용시 수압의 작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누수방지부재의 밀착돌기가 하관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응축수의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돌기를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할 경우에는 응축수의 누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contac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tube plat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the contact protrusion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ction direction of the water pressure when the water pressure is applied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vertically, leakage of condensate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또한, 납작한 형상의 믹스챔버 몸체와 평판형 버너를 구비하고, 경판 구조로 형성된 상관판을 혼합기의 완전연소가 가능한 최저의 높이로 낮춤과 아울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임으로써, 기존 보일러와 대비하여 보일러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고효율의 컴팩트한 연관식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has a flat-shaped mix chamber body and a flat burner, lowers the corrugated plate formed of a hard plate structure to the lowest possible height for complete combustion of the mixer, and increases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r. Since the height of the boiler can be lowere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highly efficient compact associative boiler.
도 1은 종래 연관식 보일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믹스챔버의 저면측 사시도,
도 4는 믹스챔버에 점화봉 조립체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A 선을 따르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열교환기를 구비한 보일러의 부분 투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열교환기를 구비한 보일러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1의 (a)는 누수방지부재의 평면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 및 확대도,
도 12는 도 1의‘A’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의 외관 사시도,
도 14는 믹스챔버의 사시도,
도 15는 믹스챔버의 저면측 사시도,
도 16은 믹스챔버에 점화봉과 화염감지봉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믹스챔버와 열교환기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C-C 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C-C 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
도 20은 상관판과 버너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은 열교환기의 투시 사시도,
도 22는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튜브 조립체와 다단 격막이 결합된 모습의 정면도,
도 24는 (a) 도 23의 평면도, (b) 도 23의 D-D 선을 따르는 단면도, (c) 도 23의 E-E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25는 열교환기의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F-F 선을 따르는 단면 사시도,
도 27은 튜브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투시 사시도,
도 28은 튜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9는 상부 터뷸레이터와 하부 터뷸레이터의 정면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상부 터뷸레이터의 확대 사시도,
도 31은 도 30의 평면도,
도 32는 도 31의 G-G 선을 따르는 (a) 단면도와, (b) 단면 사시도,
도 33은 도 30의 좌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의 투시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의 분해 사시도,
도 36의 (a)는 누수방지부재의 평면도, 도 36의 (b)는 도 36의 (a)의 H-H 선을 따르는 단면도 및 확대도,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의 실링구조 및 응축수 배출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ssociative boiler,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ssociat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ide of the mix chamber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coupled to the mix chamber,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gnition rod assembly coupling,
Figure 6 is a front view of Figure 2,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9 is a partially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 boiler having an associate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boiler having an associated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plan view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and FIG.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along the line BB of FIG. 11(a),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A' portion of FIG. 1,
1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associated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ix chamber,
15 is a bottom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mix chamber,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ignition rod and a flame detection rod are coupled to a mix chamber,
17 is a plan view of the mix chamber and the heat exchanger,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7;
1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7,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rrelator plate and the burner,
21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 exchanger,
23 is a front view of the tube assembly and the multi-stage diaphragm combined state,
FIG. 24 is (a) a top view of FIG. 23, (b) a sectional view along line DD of FIG. 23, (c) a sectional view along line EE of FIG. 23,
25 is a plan view of a heat exchanger,
2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FF of FIG. 25,
27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ube assembly,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ube assembly,
29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and lower turbulators,
3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turbulator shown in FIG. 29,
31 is a plan view of FIG. 30,
32 is a cross-sectional view (a) and (b)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GG in FIG. 31,
FIG. 33 is a left side view of FIG. 30,
34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n associated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ssociated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6 (a) is a plan view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Figure 36 (b)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nlarged view along the line HH of Figure 36 (a),
3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ling structure and a condensate discharge structure of an associative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1)는, 송풍기에 연결된 혼합기 유입구(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와 가스가 혼합되는 혼합공간(S)과,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평판형 버너(130)를 구비하고, 연소실(C)의 상측에 배치된 믹스챔버(100)와, 열매체와 연소가스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200)와, 상기 열교환기(200)를 통과하며 연소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발생하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응축수받이(300), 상기 열교환기(20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배기되도록 응축수받이(300)의 일측에 연결된 배기덕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8, the associated
또한, 상기 믹스챔버(100)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연소실(C)의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평판형 버너(13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점화봉 조립체(140), 및 상기 믹스챔버(100)와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혼합공간(S)의 혼합가스와 상기 연소실(C)의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실링수단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너는 평판형 버너(130)로서, 다수개의 염공(131a)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염공판(131)과, 상기 염공판(131)에 결합된 메탈 파이버(1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평판형 버너(130)는 혼합공간(S)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구비되므로, 평판형 버너(130)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에 의해 공냉식 구조에 유리하고, 연소 영역을 확장시켜 단위 면적당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CO, NOx와 같은 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켜 연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The burn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믹스챔버(100)의 일측부에는 점화봉 조립체(140)가 관통하여 조립된다.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는 제1점화봉(141)과 제2점화봉(142) 및 화염감지봉(1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점화봉(141)과 제2점화봉(142) 및 화염감지봉(143)의 외측면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애자(141a,142a,143a)가 결합되고, 상기 애자(141a,142a,143a)의 외측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부싱(141b,142b,143b)이 결합된다. The
상기 제1점화봉(141)과 제2점화봉(142) 및 화염감지봉(143)과, 그 외측면에 결합되는 애자(141a,142a,143a) 및 부싱(141b,142b,143b)은, 결합판(144)에 형성된 결합공(144a,144b,144c)을 관통하며 결합된다.The
상기 애자(141a,142a,143a)는 점화시 통전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수단이고, 상기 부싱(141b,142b,143b)은 애자(141a,142a,143a)의 외측면과 상기 결합공(144a,144b,144c)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insulators (141a, 142a, 143a) are insula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parks due to energization during ignition, and the bushings (141b, 142b, 143b) are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ors (141a, 142a, 143a) It is a structure for sealing the gap between the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믹스챔버(100)의 일측부에는 점화봉 조립체(140)를 조립하기 위한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150)는 상기 결합판(144)이 안착되도록 홈 형태로 이루어진 결합판 안착부(151)와, 상기 결합판 안착부(151)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제2실링부재(180)가 안착되는 제2실링부재 안착부(152)와, 상기 제1점화봉(141)과 제2점화봉(142) 및 화염감지봉(143)이 관통되는 관통구(1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150)의 둘레에는 연소열을 방열하기 위한 다수개의 방열핀(154)이 구비된다.4 and 5, an ignition rod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믹스챔버(100)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120)와, 평판형 버너(130)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며 연결되는 버너 플랜지(133)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S)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는 상기 혼합공간(S)과 이격된 위치에서 믹스챔버 플랜지(120)와 버너 플랜지(133)를 관통하여 조립된다.6 to 8, the
상기 실링수단은, 믹스챔버 플랜지(120)와 버너 플랜지(133)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S)으로 유입되는 혼합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실링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실링부재(160)는 내열성 그라파이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링부재(160)의 상부에는 연소실(C)에서 발생한 연소열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170)가 구비된다.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또한 상기 실링수단은, 믹스챔버(100) 일측부의 상부와 결합판(14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C)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실링부재(18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실링부재(18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재(180)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밀착돌기(181)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돌기(181)는 결합판(144)의 저면과 제2실링부재 안착부(152)의 상면에 밀착되어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ixing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에는 애자(141a,142a,143a)의 외측면에 부싱(141b,142b,143b)이 결합됨으로써 체결판(144)의 결합공(144a,144b,144c)을 통하여 배기가스 또는 혼합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다시 한번 차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이하,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실링수단에 연소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방열하기 위한 냉각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oling means for blocking and dissipating hea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ealing means will be described.
상기 냉각수단은 연소실(C)에서 발생한 연소열이 상기 믹스챔버(100)와 점화봉 조립체(14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수단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냉식 냉각수단과 수냉식 냉각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means is a structure for blocking heat transfer as a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the heat of combustion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C)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ix chamber (100) and the ignition rod assembly (140). However, it may include a water-cooled cooling mean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믹스챔버(100)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120)와 버너 플랜지(133)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S)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는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120)와 버너 플랜지(133)를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공냉식 냉각수단은 상기 혼합공간(S)으로 유입된 혼합가스에 의해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120)와 버너 플랜지(133)가 대류방식에 의해 냉각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mixing
한편, 상기 열교환기(200)는 연관식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통(210)과, 연소실(C)의 바닥면과 열교환기(200)의 상면을 이루는 상관판(220)과, 상기 상관판(220)에 형성된 튜브 삽입공(221)에 상단부가 관통되며 결합되며 연소가스가 내부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다수개의 튜브(230)와, 상기 튜브(230)의 외측으로 외통(210)의 내부에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는 난방용 또는 온수용으로 사용되는 난방수 또는 온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수냉식 냉각수단은, 상기 연소실(C)의 하측에 구비된 열교환기(200)의 열매체에 접촉되는 상관판 플랜지(222)가 상기 버너 플랜지(133)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버너 플랜지(133) 및 실링부재(190)가 전도방식에 의해 냉각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cooled cooling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가 조립되는 믹스챔버(100)의 일측부에는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방열핀(154)이 구비되며, 이 또한 냉각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평판형 버너(130)를 구비한 믹스챔버(100)의 일측부에 점화봉 조립체(140)을 관통시켜 조립함에 있어서 실링수단과 냉각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혼합가스와 배기가스의 누설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실링수단이 연소열에 의해 열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믹스챔버 하단 영역의 일측에 설치된 단열재로 인한 튜브 폐색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점화봉 조립체(140) 하단의 일부에만 단열재(170)를 사용하므로, 단열재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 점화봉 조립체(140)를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고, 실링수단의 손상으로 인한 혼합기 및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ealing means and a cooling means in assembling the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1)는, 전술한 열교환기(200)와 응축수받이(300)의 연결부에 결합되어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9 to 12, the associat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200)는, 열매체가 유입 및 유출되며 상기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S, 도 12 참조)의 외벽을 이루는 외통(210)과, 상기 믹스챔버(100)에서 버너의 점화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가 내부를 따라 유동하며 상기 열매체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복수의 튜브(220)와, 상기 튜브(220)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수조(S)의 상면을 이루는 상관판(230)과, 상기 튜브(22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수조(S)의 바닥면을 이루는 하관판(240), 및 상기 튜브(220)의 외측면에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어 튜브(220)의 위치를 고정함과 아울러 열매체의 이동통로가 형성된 지지판(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9, the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관판(240)은, 외통(210)의 하부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튜브(220)의 하단부가 관통되는 복수의 튜브 삽입공(241a)이 형성되어 튜브(220)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조(S)의 바닥면을 이루는 수평부(241)와, 상기 외통(210)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수직부(242)와, 상기 수평부(241)의 외측단과 상기 수직부(242)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조(S) 내부에 수용되는 열매체의 수압을 분산시키는 라운드부(243)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하관판(240)의 수직부(242)는 상기 외통(210)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관판(240)의 수직부(242)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플랜지부(244)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44)와 상기 외통(210)의 외측면 간에 용접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2, the
상기 열교환기(200)는 하관판(240)이 외통(210)의 하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관판(240)의 수평부(241)와 수직부(242)를 연결하는 코너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의 라운드부(243)를 형성함으로써, 열매체의 수압을 분산시킬 수 있어 하관판(240)의 내수압 성능을 향상시켜 하관판(240)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200)와 응축수받이(300) 및 누수방지부재(5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oupling structure of the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누수방지부재(500)는 하관판(240)의 테두리부와 응축수받이(300)의 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500)의 몸체(510)는 하관판(240)의 라운드부(243)와 수직부(242)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하관판(240)의 수평부(241)에 맺힌 응축수(CW)는 상기 몸체(510)의 하부(530)에 의해 가로막혀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며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11 and 12, the leak-preventing
상기 응축수받이(300)의 측벽(310)은 상기 하관판(240)의 수평부(241)와 라운드부(243)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누수방지부재(500)의 하부(530) 내측단과 응축수받이(300)의 측벽(310)이 하관판(240)의 수평부(241)와 라운드부(243)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관판(240)의 수평부(241)의 저면에 맺힌 응축수(CW)는 측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누수방지부재(500)의 하부(530) 내측단과 응축수받이(300)의 측벽(310)을 타고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려 응축수받이(300)에 집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응축수(CW)의 고임 현상 및 이에 따른 하관판(24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ner side of the
한편, 상기 누수방지부재(500)의 내측면(510a)에는 하관판(240)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밀착돌기(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돌기(520)는 상기 누수방지부재(500)의 내측면(510a)에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밀착돌기(521,522,523,524)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이와 같은 밀착돌기(520)의 구성에 의하면, 수압의 작용시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누수방지부재(500)의 밀착돌기(520)가 하관판(24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응축수(CW)가 하관판(240)과 누수방지부재(500) 사이의 틈새로 침투되어 누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돌기(520)를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할 경우, 응축수(CW)의 누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상기 응축수받이(300)의 테두리부에는, 응축수받이(300)의 측벽(3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누수방지부재(500)의 하부(530)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500)의 하부(530)와 제1플랜지부(32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돌기(321)와 체결홈(531)이 형성되어 응축수(CW)의 누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누수방지부재(5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300)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320)의 외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누수방지부재(50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연장부(330)와, 상기 연장부(330)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340)를 포함하고, 누수방지부재(500)의 상부(540)와 제2플랜지부(34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끼움되는 끼움돌기(541)와 끼움홈(341)이 형성되어 응축수(CW)의 누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누수방지부재(5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m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ing 300, a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1)에 의하면, 하관판(240)과 외통(210) 간의 결합구조 및 라운드부(243)를 포함하는 하관판(240)의 구조에 의해 내압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관판(240)의 테두리부와 응축수받이(300)의 테두리부에 개재되는 누수방지부재(500) 간의 위치관계에 의해 응축수(CW)의 고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누수방지부재(500)에 형성된 밀착돌기(520)의 구성에 의해 응축수(CW)의 누수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ssociated boil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이하, 도 13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1')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ssociative boiler 1'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3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관식 보일러(1')는, 연소용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혼합공간(S)과, 납작한 형상의 믹스챔버 몸체(1100), 및 연소실(C)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평판형 버너(1300)를 구비한 믹스챔버(1000); 열매체가 유입 및 배출되고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B)의 외벽을 이루는 외통(2100)과, 상기 외통(2100)과의 사이에 열매체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통(2100)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소실(C)을 형성하는 경판 구조의 상관판(2200)과, 상기 연소실(C)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내부를 따라 유동하며 외부를 유동하는 열매체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납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튜브(2300)와, 상기 튜브(2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 발생을 유도하는 터뷸레이터(2400,2500)와, 상기 외통(2100)과 상기 튜브(2300) 사이에 구비되어 열매체의 유동 방향이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유도하는 다단의 격막(2610,2620,2630)과, 상기 튜브(2300)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조(B)의 바닥면을 이루는 경판 구조의 하관판(2700)을 구비한 열교환기(2000); 및 상기 하관판(270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CW)를 집수하여 일측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구(310) 측으로 유도하고, 상기 튜브(2300)를 통과한 연소가스를 상기 응축수 배출구(3100)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통(2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배기덕트(4000) 측으로 유도하는 응축수받이(3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ociative boiler 1'includes a mixing space S in which combustion gas and air are mixed, a fla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믹스챔버(1000)에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와 가스가 예혼합되는 예혼합실(5000)과, 상기 예혼합실(5000)을 통과하는 공기와 가스의 흐름 통로를 개폐하여 혼합기의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혼합기 조절부(600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of the air and gas passing through the pre-mixing chamber (5000) and the pre-mixing chamber (5000) in which the combustion air and gas supplied to the mix chamber (1000) are pre-mixed. It further includes a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믹스챔버(1000)는, 상측으로 볼록하되 납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믹스챔버 몸체(1100)와, 상기 믹스챔버 몸체(1100)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연소실(C)의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평판형 버너(130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점화봉 조립체(1400), 및 상기 믹스챔버(1000)와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혼합공간(S)의 혼합가스와 상기 연소실(C)의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실링수단(1600,1700,1800)을 포함한다. 13 to 19, the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버너는 평판형 버너(1300)로서, 다수개의 염공(1310a)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염공판(1310)과, 상기 염공판(1310)에 결합된 메탈 파이버(1320)로 구성된다. 상기 믹스챔버 몸체(1100)의 저면과 상기 평판형 버너(1300)의 상면 사이의 이격된 혼합공간(S)은 납작한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믹스챔버(100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The burn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또한, 종래 원통형 버너와 달리, 상기 평판형 버너(1300)는 혼합공간(S)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구비되어 평판형 버너(1300)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평판형 버너(1300)의 가장지리부, 즉 실링수단(1600,1700,1800)이 구비된 위치와 근접한 위치까지 공급되므로 상기 가스와 공기에 의한 실링수단(1600,1700,1800)의 공냉식 냉각이 가능하고, 연소 영역을 확장시켜 단위 면적당 부하를 감소시킴으로써 CO, NOx와 같은 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켜 연소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cylindrical burner, the
상기 믹스챔버(1000)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점화봉 조립체(1400)는 점화봉(1410)과 화염감지봉(1420)을 포함하고, 상기 점화봉(1410)은 제1점화봉(1410-1)과 제2점화봉(14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화봉(1410)과 화염감지봉(1420)의 외측면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애자(1410a,1420a)가 결합되고, 상기 애자(1410a,1420a)의 외측면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부싱(1410b,1420b)이 결합된다.The
상기 점화봉(1410)과 애자(1410a) 및 부싱(1410b)은 점화봉 결합판(1430)에 고정되고, 상기 화염 감지봉(1420)과 애자(1420a) 및 부싱(1420b)은 화염 감지봉 결합판(1440)에 고정된다. 상기 애자(1410a,1420a)는 점화시 통전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수단이고, 상기 부싱(1410b,1420b)은 애자(1410a,1420a)의 외측면과 점화봉 결합판(1430) 및 화염 감지봉 결합판(144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믹스챔버(1000)의 일측부에는 점화봉 조립체(1400)를 조립하기 위한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1500)가 구비된다. 상기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1500)는, 상기 점화봉 결합판(1430)과 그 하측에 결합되는 제2실링부재(1700)가 안착되도록 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2실링부재 안착부(1510)와, 상기 화염 감지봉 결합판(1440)과 그 하측에 결합되는 제3실링부재(1800)가 안착되도록 홈 형태로 이루어진 제3실링부재 안착부(15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1500)의 둘레에는 연소열을 방열하기 위한 다수개의 방열핀(1530)이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16, an ignition rod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믹스챔버 몸체(1100)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1110)와, 평판형 버너(1300)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며 연결되는 버너 플랜지(1330)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S)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0)는 상기 혼합공간(S)과 이격된 위치에서 믹스챔버 플랜지(1110)와 버너 플랜지(1330)를 관통하여 조립된다.Referring to FIGS. 17 to 19, a
상기 실링수단은, 믹스챔버 플랜지(1110)와 버너 플랜지(1330)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S)으로 유입되는 혼합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실링부재(1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실링부재(1600)는 내열성 그라파이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aling means, a
또한 상기 실링수단은, 믹스챔버 플랜지(1110)와 점화봉 결합판(1430) 사이에 구비되어 연소실(C)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실링부재(1700)와, 믹스챔버 플랜지(1110)와 화염 감지봉 결합판(1440) 사이에 구비되어 연소실(C)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실링부재(18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실링부재(1700)와 제3실링부재(18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온에 의한 고무 재질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제2실링부재(1700)와 제3실링부재(1800)는 별개의 부품으로 분리 제작되어 조립된다.In addition,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또한, 상기 제2실링부재(1700)의 외측면과 제3실링부재(1800)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밀착돌기(1710)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돌기(1710)는 점화봉 결합판(1430)의 저면과 제2실링부재(1700)의 상면과, 화염 감지볼 결합판(1440)의 저면과 제3실링부재(1800)의 상면에 밀착되어 밀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0)에는 애자(1410a,1420a)의 외측면에 부싱(1410b,1420b)이 결합됨으로써 혼합가스와 혼합가스가 믹스챔버(1000)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다시 한번 차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mixing the
이하,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 실링수단에 연소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방열하기 위한 냉각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oling means for blocking and dissipating the heat of combustion is transmitted to the sealing means.
상기 냉각수단은 연소실(C)에서 발생한 연소열이 상기 믹스챔버(1000)와 점화봉 조립체(140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수단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냉식 냉각수단과 수냉식 냉각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means is a configuration for blocking heat transfer as a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combustion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C)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ix chamber (1000) and the ignition rod assembly (1400). However, it may include a water-cooled cooling mean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믹스챔버(1000)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1110)와 버너 플랜지(1330)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S)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0)는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1110)와 버너 플랜지(1330)를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공냉식 냉각수단은 상기 혼합공간(S)으로 유입된 혼합가스에 의해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1110)와 버너 플랜지(1330)가 대류방식에 의해 냉각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한편, 상기 열교환기(2000)는 연관식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통(2100)과, 연소실(C)의 바닥면과 열교환기(2000)의 상면을 이루는 상관판(2200)과, 상기 상관판(2200)에 형성된 튜브 삽입구(2210a)에 상단부가 관통되며 결합되며 연소가스가 내부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다수개의 튜브(2300)와, 상기 튜브(2300)의 외측으로 외통(2100)의 내부에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는 난방용 또는 온수용으로 사용되는 난방수 또는 온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수냉식 냉각수단은, 상기 연소실(C)의 하측에 구비된 열교환기(2000)의 열매체에 접촉되는 상관판 플랜지(2230)가 상기 버너 플랜지(1330)와 면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버너 플랜지(1330) 및 실링수단(1600,1700,1800)이 수조(B)에 저장된 열매체로부터 전도방식에 의해 냉각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cooled cooling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0)가 조립되는 믹스챔버 몸체(1100)의 일측부에는 상기 점화봉 조립체(140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방열핀(1530)이 구비되며, 이 또한 냉각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믹스챔버(1000)를 납작한 형상의 믹스챔버 몸체(1100)와 평판형 버너(130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원통형 버너를 구비한 구조와 비교하여 믹스챔버(1000)의 높이를 대폭 낮출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또한, 평판형 버너(1300)를 구비한 믹스챔버 몸체(1100)의 일측부에 점화봉 조립체(1400)을 관통시켜 조립함에 있어서 실링수단과 냉각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혼합가스 및 배기가스의 누설을 차단시킴과 아울러 실링수단이 연소열에 의해 열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판형 버너(1300)를 구비한 믹스챔버(1000)에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점화봉 조립체(1400)를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고, 실링수단의 열적 손상을 방지하여 혼합가스 및 배기가스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ealing means and a cooling means in assembling the
한편, 도 20을 참조하면, 상관판(2000)은, 연소실(C)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2210)와, 연소실(C)의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2220)와, 상기 버너 플랜지(1330)가 안착되는 상관판 플랜지(1330)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2220)의 상단과 상기 상관판 플랜지(1330)의 내측단을 연결하는 라운드부(2240)와, 상기 바닥부(2210)의 외측단과 상기 측벽부(2220)의 하단을 연결하는 라운드부(2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0, the
이와 같이 상관판(2000)에 라운드부(2240,22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조(B)에 저장된 열매체의 수압을 분산시켜 상관판(20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관판 플랜지(2230)의 외경(d1)과, 상기 라운드부(2240) 하단의 내경(d2) 간의 직경차 비율은 20% 이하가 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직경차 비율로 구성할 경우, 수조(B) 내부에 수용되는 물의 유량과 온도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us, by including the round portion (2240,2250) in the
또한, 상기 상관판(2200)에 삽입되는 평판형 버너(1300)의 저면과 상관판(2200)의 바닥면 사이의 높이(h)는, 상기 평판형 버너(1300)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끝단이 상기 상관판(2200)의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높이(h)는 평판형 버너(1300)의 화염의 길이를 고려할 때 80mm 내외의 치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염의 끝단이 상기 상관판(2200)의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이유는, 상기 평판형 버너(1300)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끝단과 상관판(2200)의 바닥면 사이에 일정공간이 확보되어야 질소산화물(NOx)과 일산화탄소(CO)가 실험적으로 최소화 되는 조건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height (h)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또한, 이와 같이 상관판(2200)의 높이(h)를 낮게 설계함으로써 연소실(C)의 높이가 낮아져 연관식 보일러(1')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원통형 버너를 적용한 경우에는 버너의 저면과 상관판의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190mm 정도임에 반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그 높이를 80mm 내외의 치수로 줄일 수 있어, 종래기술 대비 그 높이를 40% 가량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designing the height h of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봉 조립체(1400)는 믹스챔버(1000)에 혼합기가 공급되는 송풍기(7000)에 연결되는 혼합기 유입구(1200)의 일측으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작업자가 혼합기 유입구(1200)를 통하여 전극봉 조립체(1400)에 접근하기가 용이해져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다른 실시예로,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봉 조립체(1400)는 상기 혼합기 유입구(1200)와 대향된 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송풍기(700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기가 전극봉 조립체(1400)에 직접적으로 공급되므로 지연 착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the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2000)는, 열매체 유입구(2110)와 열매체 배출구(2120)가 형성되어 열매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외통(2100), 상기 외통(2100)과의 사이에 열매체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통(2100)의 내측에 결합되고, 평판형 버너(1300)가 안착되어 연소실(C)을 형성하는 상관판(2200), 상기 연소실(C)에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내부를 따라 유동하며 상기 열매체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납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튜브(2300) 및 상기 튜브(2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의 발생을 유도함과 아울러 튜브(2300)를 지지하는 터뷸레이터(2400,2500)를 구비한 튜브 조립체(10000), 상기 튜브 조립체(10000)를 지지하며 응축수받이(3000)에 결합되는 하관판(2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1 to 26, the
상기 튜브(2300)의 외측면에는 열매체의 유동 방향이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열매체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다단의 격막(2610,2620,2630)이 상하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다단의 격막(2610,2620,2630)은 지지대(264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상기 복수의 튜브(2300)는 상기 연소실(C)에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하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의 격막은,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격막(2610)과 중간부 격막(2620) 및 하부 격막(2630)으로 구성된다. 도 2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격막(2610)에는 튜브(2300)가 삽입되는 튜브 삽입구(2610a)와, 중앙에 열매체가 통과하는 개구부(2610b)가 형성된다. 도 2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부 격막(2620)에는 튜브 삽입구(2620b)가 튜브(2300)의 외측면과 유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튜브 삽입구(2620b)와 튜브(2300)에 형성된 유격을 통해 열매체가 유동하게 된다. 중간부 격막(2620)의 중앙부(2620b)는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튜브 삽입구(2620b)에는 두 개의 튜브(2300)가 양측으로 이격되어 삽입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격막(2630)은 상부 격막(2610)과 동일한 구조의 튜브 삽입구(2630a)와 중앙에 개구부(2630b)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ulti-stage diaphragm is composed of a plate-shaped
이와 같은 다단 격막(2610,2620,2630) 구조에 의하면, 도 25와 도 26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열매체 유입구(2110)를 통해 외통(2100)의 내부로 유입된 열매체는, 하부 격막(263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2630b)를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개구부(2630b)를 통과하여 하부 격막(2630)의 상측으로 유동하는 열매체는 중간부 격막(2620)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튜브 삽입구(2620b)의 유격 공간으로 분산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튜브 삽입구(2620b)를 통과하여 중간부 격막(2620)의 상측으로 유동하는 열매체는 상부 격막(261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2610b)를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개구부(2610b)를 통과하여 외통(2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열매체 배출구(2120)를 통하여 배출된다.According to this
이와 같이 열매체의 유동 방향이 반경방향의 내측과 외측으로 교대로 전환되므로, 열매체의 유동 거리가 길어져 열교환기(2000)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열교환기에 비하여 높이를 낮추더라도 고효율의 열교환 성능을 얻을 수 있어, 열교환기(20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매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열매체의 정체시 초래될 수 있는 국부적인 과열로 인한 비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 medium is alternately switched inward an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e flow distance of the heat medium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이하, 도 27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튜브 조립체(1000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튜브 조립체(10000)는, 연소실(C)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내부를 따라 유동하며 외부를 유동하는 열매체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납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2300)와, 상기 연소실에 근접한 상기 튜브(2300)의 상부 내측에 상기 튜브(2300)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열전도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상부 터뷸레이터(2400), 및 상기 상부 터뷸레이터(2400)의 하측으로 상기 튜브(23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하부 터뷸레이터(2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상부 터뷸레이터(2400)는, 튜브(2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튜브 접촉면(2410a,2410b ;2410)과, 상기 튜브 접촉면(2410a,2410b ;2410)의 절개된 부분(2430a,2430b ;2430)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압력지지부(2420a,2420b ;2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튜브 접촉면(2410)은 튜브(2300)의 일측부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는 제1 튜브 접촉면(2410a)과, 튜브(2300)의 타측부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는 제2 튜브 접촉면(2410b)이 대칭된 구조로 구성된다.The
상기 압력지지부(2420)는, 열매체의 수압에 의한 튜브(230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튜브 접촉면(2410a)의 제1절개부(2430a) 중 일부가 절곡되어 제2 튜브 접촉면(2410b)을 향하도록 돌출된 제1 압력지지부(2420a)와, 제2 튜브 접촉면(2410b)의 제2절개부(2430b) 중 일부가 절곡되어 제1 튜브 접촉면(2410a)을 향하도록 돌출된 제2 압력지지부(2420b)로 구성된다.The
상기 제1절개부(2430a)의 절개된 면적은 제2절개부(2430b)의 절개된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압력지지부(2420a)의 돌출된 단부는 제2 튜브 접촉면(2410b)에 접촉되고, 압력지지부(2420)를 튜브(2300)의 내측에 삽입하면 상기 제2 압력지지부(2420b)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제1절개부(2430a)를 관통하여 튜브(230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The incised area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압력지지부(2420a)는 수압의 작용시 제1 튜브 접촉면(2410a)과 제2 튜브 접촉면(2410b)의 형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상기 제2 압력지지부(2420b)는 제1 튜브 접촉면(2410a)과 제2 튜브 접촉면(2410b)에 의해 지지되는 튜브(2300)를 한층 더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그리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압력지지부(2420a)와 제2 압력지지부(2420b)는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압력지지부(2420a')와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압력지지부(2420a")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압력지지부(2420b')와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압력지지부(2420b") 또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부 터뷸레이터(2400)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구비된 제1 압력지지부(2420a)와 제2 압력지지부(2420b)에 의해 튜브(2300)에 작용하는 수압이 고르게 분산되어 튜브(2300)의 변형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33, the first
또한, 상기 제1 압력지지부(2420a)와 제2 압력지지부(2420b)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면적이 넓은 양측면이 연소가스의 유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도 32의 (a)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가스의 유동시 연소가스가 제1 압력지지부(2420a)와 제2 압력지지부(2420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동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ressure supporting portion (2420a) and the second pressure supporting portion (2420b) is made of a plate shape, but both sides having a large area are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arranged to form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combustion gas.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a), when the combustion gas flows, the flow resistance can be minimized in the process of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first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터뷸레이터(2500)는, 튜브(2300)의 내부공간을 양측으로 분할하며 상기 튜브(23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평면부(2510)와, 상기 평면부(251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교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제1가이드편(2520)과 제2가이드편(2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the
상기 제1가이드편(2520)은 상기 평면부(2510)의 일측면에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편(2530)은 상기 평면부(2510)의 타측면에 타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편(2520)과 제2가이드편(2530)으로 유입된 열매체는, 각각 상기 평면부(2510)의 반대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가이드편(2530)과 제1가이드편(2520)에 순차로 인계되어 상기 평면부(2510)의 양측 공간을 교대로 유동하게 된다.The
상기 제1가이드편(2520)의 열매체 유입단은 제1연결편(2520a)에 의해 상기 평면부(2510)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평면부(2510)의 일측단과 제1연결편(2520a) 및 제1가이드편(2520) 사이에 평면부(2510)의 양측 공간으로 유체 소통이 이루어지는 제1소통구(2520b)가 마련된다.The heating medium inlet end of the
상기 제2가이드편(2530)의 열매체 유입단은 제2연결편(2530a)에 의해 상기 평면부(2510)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평면부(2510)의 타측단과 제2연결편(2530a) 및 제2가이드편(2530) 사이에 평면부(2510)의 양측 공간으로 유체 소통이 이루어지는 제2소통구(2530b)가 마련된다.The heating medium inlet end of the
상기 제1가이드편(2520)과 제2가이드편(2530)은 상기 평면부(2510)의 일부가 절개되어 각각 상기 평면부(2510)의 양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평면부(2510)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상기 평면부(2510)의 양측 공간으로 유체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터뷸레이터(2500)의 양측면에는 각각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튜브(2300)의 대향하는 내측면에 맞닿는 지지대(2530a,2530b ;2530)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터뷸레이터(25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튜브(2300)의 양측면에 맞닿도록 상하로 이격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하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지지부(2550)와 제2지지부(25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the
한편, 도 34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연관식 보일러(1')는, 열교환기(2000)를 통과하며 연소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발생하는 응축수가 집수되어 배출되는 응축수받이(3000)와, 상기 열교환기(2000)의 하관판(2700)과 응축수받이(3000)의 연결부에 결합되어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재(3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4 to 37, the associated boiler 1'passes through the
도 2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하관판(2700)은, 상기 튜브(2300)의 하단부가 관통되는 복수의 튜브 삽입공(2710a)이 형성되어 튜브(2300)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수조(B)의 바닥면을 이루는 수평부(2710)와, 상기 외통(2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수직부(2720)와, 상기 수평부(2710)의 외측단과 상기 수직부(2720)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매체의 수압을 분산시키는 라운드부(2730)을 포함하여 경판 구조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22 together, the
상기와 같이 하관판(2700)의 수평부(2710)와 수직부(2720)를 연결하는 코너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의 라운드부(2730)를 형성함으로써, 열매체의 수압을 분산시킬 수 있어 하관판(2700)의 내수압 성능을 향상시켜 하관판(2700)의 변형을 최소화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이하, 응축수받이(3000) 및 누수방지부재(32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densate receiving 3000 and the
도 36과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누수방지부재(3200)는 하관판(2700)의 테두리부와 응축수받이(3000)의 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3200)의 몸체(3210)는 하관판(2700)의 라운드부(2730)와 수직부(2720)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하관판(2700)의 수평부(2710)에 맺힌 응축수(CW)는 상기 몸체(3210)의 하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바닥부(2330)에 의해 가로막혀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며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36 and 37, the
한편, 상기 누수방지부재(3200)의 내측면(3210a)에는 하관판(2700)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밀착돌기(3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돌기(3220)는 상기 누수방지부재(3200)의 내측면(3210a)에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의 밀착돌기(3220a,3220b,3220c,3220d,3220e,3220f)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이와 같은 밀착돌기(3220)의 구성에 의하면, 수압의 작용시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누수방지부재(3200)의 밀착돌기(3220)가 하관판(270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응축수(CW)가 하관판(2700)과 누수방지부재(3200) 사이의 틈새로 침투되어 누수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돌기(3220)를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할 경우, 응축수(CW)의 누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응축수받이(3000)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누수방지부재(3200)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부(3010)가 구비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3200)와 상기 제1플랜지부(301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돌기(3010a)와 체결홈(323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3000)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3010)의 외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320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연장부(3020)와, 상기 연장부(3020)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30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3200)의 상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3030)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끼움되는 끼움돌기(3240a)와 끼움홈(3240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응축수(CW)의 누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누수방지부재(320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A
한편,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수받이(300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200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상기 응축수받이(3000)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타공(3310a,3310b ;3310)이 형성된 배기 가이드(3300)가 구비된다. 상기 타공(3310)의 크기는 연소가스의 유동방향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35, the inside of the
또한, 상기 응축수받이(3000)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기 가이드(330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응축수받이(300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구(3100) 측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계단부(3040)가 형성되어, 도 37에서 응축수의 배출방향인 점선 화살표와 연소가스 유동방향인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받이(3000) 내부에서 상기 응축수의 배출과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응축수가 유도되어 응축수의 고임 현상에 의한 하관판(2700)의 부식을 방지함과 아울러 응축수를 응축수 배출구(3100) 측으로 유도하여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modified implementation obviou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송풍기 11 : 믹스챔버
12 : 연소실 커버 20 : 원통형 버너
30 : 연소실 40 : 열교환기
41 : 외통 42 : 튜브
43 : 수조 50 : 단열재
60 : 점화봉 1,1' : 연관식 보일러
100 : 믹스챔버 110 : 혼합기 유입구
120 : 믹스챔버 플랜지 130 : 평판형 버너
131 : 염공판 131a : 염공
132 : 메탈 파이버 133 : 버너 플랜지
140 : 점화봉 조립체 141 : 제1점화봉
142 : 제2점화봉 143 : 화염감지봉
141a,142a,143a : 애자 141b,142b,143b : 부싱
144 : 결합판 144a,144b,144c : 결합공
150 :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 151 : 결합판 안착부
152 : 제2실링부재 안착부 153 : 관통구
154 : 방열핀 160 : 제1실링부재
170 : 단열재 180 : 제2실링부재
181 : 밀착돌기 190 : 실링부재
200 : 열교환기 210 : 외통
220 : 상관판 221 : 튜브 삽입공
222 : 상관판 플랜지 230 : 튜브
240 : 수조 300 : 응축수받이
400 : 배기덕트 500 : 누수방지부재
510 : 몸체 510a : 실링부재의 내측면
520,521,522,523,524 : 밀착돌기 530 : 실링부재의 하부
531 : 체결홈 540 : 실링부재의 상부
541 : 끼움돌기 1000 : 믹스챔버
1100 : 믹스챔버 몸체 1110 : 믹스챔버 플랜지
1200 : 혼합기 유입구 1300 : 평판형 버너
1310 : 염공판 1330 : 버너 플랜지
1400 : 점화봉 조립체 1410 : 점화봉
1420 : 화염감지봉 1500 : 점화봉 조립체 결합부
1600 : 제1실링부재 1700 : 제2실링부재
1800 : 제3실링부재 1900 : 실링부재
2000 : 열교환기 2100 : 외통
2110 : 열매체 유입구 2120 : 열매체 배출구
2200 : 상관판 2240 : 라운드부
2300 : 튜브 10000 : 튜브 조립체
2400 : 상부 터뷸레이터 2500 : 하부 터뷸레이터
2610 : 상부 격막 2620 : 중간부 격막
2630 : 하부 격막 2640 : 지지대
2700 : 하관판 3000 : 응축수받이
3100 : 응축수 배출구 3200 : 누수방지부재
3300 : 배기 가이드 3310 : 타공
4000 : 배기덕트 5000 : 예혼합실
6000 : 혼합기조절부 7000 : 송풍기10: blower 11: mix chamber
12: combustion chamber cover 20: cylindrical burner
30: combustion chamber 40: heat exchanger
41: outer cylinder 42: tube
43: water tank 50: insulation
60:
100: Mix chamber 110: Mixer inlet
120: Mix chamber flange 130: Flat type burner
131:
132: metal fiber 133: burner flange
140: ignition rod assembly 141: first ignition rod
142: second ignition rod 143: flame detection rod
141a,142a,143a:
144:
150: ignition rod assembly coupling portion 151: coupling plate seating portion
152: second sealing member seating portion 153: through hole
154: heat radiation fin 160: first sealing member
170: insulating material 180: second sealing member
181: close projection 190: sealing member
200: heat exchanger 210: outer cylinder
220: correlation plate 221: tube insertion hole
222: corrugated plate flange 230: tube
240: water tank 300: condensate receiving
400: exhaust duct 500: leak prevention member
510:
520,521,522,523,524: Close protrusion 530: Lower part of sealing member
531: Fastening groove 540: Upper part of sealing member
541: fitting projection 1000: mix chamber
1100: Mix chamber body 1110: Mix chamber flange
1200: Mixer inlet 1300: Flat type burner
1310: salt plate 1330: burner flange
1400: ignition rod assembly 1410: ignition rod
1420: flame detection rod 1500: ignition rod assembly coupling
1600: first sealing member 1700: second sealing member
1800: Third sealing member 1900: Sealing member
2000: Heat exchanger 2100: External cylinder
2110: heat medium inlet 2120: heat medium outlet
2200: Correlation 2240: Round
2300: tube 10000: tube assembly
2400: upper turbulator 2500: lower turbulator
2610: upper septum 2620: middle septum
2630: lower diaphragm 2640: support
2700: Bottom plate 3000: Condensate tray
3100: Condensate outlet 3200: Leakage prevention member
3300: exhaust guide 3310: punching
4000: Exhaust duct 5000: Premix room
6000: Mixer control unit 7000: Blower
Claims (30)
상기 평판형 버너의 일측으로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조립되고, 상기 연소실의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평판형 버너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점화봉 조립체;
상기 믹스챔버와 상기 점화봉 조립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혼합공간의 혼합가스와 상기 연소실의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한 실링수단; 및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소열이 상기 실링수단으로 열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냉각수단;
을 포함하는 연관식 보일러.A mixing chamber in which a combustion gas and air are mixed and a flat type burner position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mixing space, and a mixing chamber disposed above the combustion chamber;
An ignition rod assembly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flat burner through one side of the mix chamber, and extending across the top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bottom of the flat burner;
Sealing means for blocking the mixed gas of the mixing space and the exhaust gas of the combustion chamber fro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ix chamber and the ignition rod assembly; And
Cooling means for blocking heat transfer from the combustion chamber to heat transfer to the sealing means;
Correlated boiler comprising a.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는 상기 혼합공간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를 관통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1,
A mixing chamber flange and a burner flange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x chamber to close the mixing space,
The spark rod assembly is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assembled through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mixing space.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혼합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제1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2,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abut the associated boiler comprising a first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mixed gas.
상기 제1실링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한 연소열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3,
An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an insulating material for blocking heat transfer of combustion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ealing member.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에는 상기 점화봉 조립체가 관통되며 결합되는 결합판이 구비되고,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와 상기 결합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3,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mix chamber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late through which the ignition rod assembly penetrates and is coupled,
The seal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ixing chamber on one side of the mix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includes a second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exhaust gas.
상기 제2실링부재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밀착돌기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5,
An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member.
상기 점화봉 조립체는, 점화봉과 화염 감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에는, 상기 점화봉이 관통되며 결합되는 점화봉 결합판과, 상기 화염 감지봉이 관통되며 결합되는 화염 감지봉 결합판이 구비되며,
상기 실링수단은,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와 상기 점화봉 결합판 사이, 및 상기 믹스챔버 일측부의 상부와 상기 화염 감지봉 결합판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ignition rod assembly includes an ignition rod and a flame detection rod,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of the mix chamber is provided with an ignition rod coupling plate through which the ignition rod is penetrated and a flame detection rod coupling plate through which the flame detection rod is penetrated and coupled,
The sealing means, an associate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ixing chamber and the ignition rod coupling plate, an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mixing chamber and the flame detection rod coupling plate.
상기 냉각수단은 공냉식 냉각수단과 수냉식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means is an associate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cooled cooling means and a water-cooled cooling means.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는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상기 버너 플랜지를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공냉식 냉각수단은, 상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된 혼합가스에 의해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상기 버너 플랜지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9,
A mixing chamber flange and a burner flange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x chamber to close the mixing space,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assembled through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The air-cooled cooling means, the associate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ing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is cooled by the mixed gas flowing into the mixing space.
상기 믹스챔버의 일측부에는 믹스챔버 플랜지와 버너 플랜지가 맞닿도록 구비되어 상기 혼합공간을 밀폐하고,
상기 점화봉 조립체는 상기 믹스챔버 플랜지와 상기 버너 플랜지를 관통하여 조립되며,
상기 수냉식 냉각수단은,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구비된 열교환기의 열매체에 접촉되는 상관판 플랜지가 상기 버너 플랜지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버너 플랜지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9,
A mixing chamber flange and a burner flange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x chamber to close the mixing space,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assembled through the mix chamber flange and the burner flange,
The water-cooled cooling means, the associate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urner flange is cooled so that the corrugated plate flange in contact with the heat medium of the heat exchang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in contact with the burner flange.
상기 점화봉 조립체가 조립되는 믹스챔버의 일측부에는 상기 점화봉 조립체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방열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1,
An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ng fin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x chamber in which the ignition rod assembly is assembled.
연소가스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외측으로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의 외벽을 이루는 외통; 및
상기 튜브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조의 바닥면을 이루는 수평부와, 상기 외통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의 외측단과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며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매체의 수압을 분산시키는 라운드부로 이루어진 경판 구조의 하관판;
을 포함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1,
An outer cylinder provided around the tube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passes, forming an outer wall of the water tank in which the heat medium is accommodated outside the tube; And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tube, the horizontal part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the vertical par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and the outer end of the horizontal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are convex outward. A bottom plate of a hard plate structure made of a curved shape and formed of a round portion for dispers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heat medium;
Correlated boiler comprising a.
상기 하관판의 수직부는 상기 외통의 하단부의 외측면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3,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tube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상기 하관판의 수직부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외통의 외측면 간에 용접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3,
A flange portion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out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tube plate,
An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wel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상기 하관판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관판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응축수받이; 및
상기 하관판의 테두리부와 상기 응축수받이의 테두리부 사이에 개재되어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3,
A condensate receiver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lower tube plate to collect condensate generated in the lower tube plate; And
A leakage preven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tube plate and the edge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ing plate to prevent leakage of condensate;
Correlated boiler comprising a.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하관판의 라운드부와 수직부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하관판의 수평부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의해 가로막혀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며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6,
The leak prevention member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und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lower tube,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on the horizontal part of the lower tube is blocked by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so that mov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is blocked and falls to the lower side.
상기 응축수받이의 측벽은 상기 하관판의 수평부와 라운드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의 낙하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7,
The side wall of the condensate receiver is provided so as to be located near the boundary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round portion of the lower tube plate to the associate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o induce the drop of condensate.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하관판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밀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6,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an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tube is formed.
상기 밀착돌기는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9,
An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rotrusions are formed in plural at positions spaced up and d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상기 응축수받이의 테두리부에는, 응축수받이의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와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체결되는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9,
A rim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er is provided with a first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condensate receiver to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The leakage preventing member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the associated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and fastening grooves are mutually fasten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상기 응축수받이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의 외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상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상호 끼움되는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형성되어 응축수의 누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21,
On the edge portion of the condensate receiving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first flange portion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and a second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Including,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fitting protrusions and fitting grooves that are mutually fitt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are formed to block leakage of condensate, and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of the leak-preventing member is fixed. Boiler.
상기 응축수받이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구비된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상기 응축수받이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배기 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6,
The interior of the condensate receiver is equipped with an exhaust guid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so that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uniformly distributed and discharg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ondensate receiver. .
상기 응축수받이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기 가이드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응축수 배출구 측으로 유동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계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응축수받이 내부에서 상기 응축수의 배출과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23,
A step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ensate receiver to guide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exhaust guide to flow toward the condensate outlet,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condensate and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in the condensate receiver face the same direction. An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상기 믹스챔버는, 납작한 형상의 믹스챔버 몸체와, 상기 연소실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평판형 버너를 포함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1,
The mix chamber, a flat-type mix chamber body, and an associative boiler comprising the flat type burner disposed horizontally above the combustion chamber.
상기 믹스챔버 몸체의 저면과 상기 평판형 버너의 상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납작한 원반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25,
An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d apart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x chamber body and the top surface of the flat burner is formed in a flat disk shape.
상기 연소실의 연소열과 열매체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는, 열매체가 유입 및 배출되고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조의 외벽을 이루는 외통과, 상기 외통과의 사이에 열매체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통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소실을 형성하는 경판 구조의 상관판과, 상기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내부를 따라 유동하며 외부를 유동하는 열매체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납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 발생을 유도하는 터뷸레이터와, 상기 외통과 상기 튜브 사이에 구비되어 열매체의 유동 방향이 반경방향 내측과 외측으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유도하는 다단의 격막과, 상기 튜브의 하단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수조의 바닥면을 이루는 경판 구조의 하관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in which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 of combustion and the heat medium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heat exchanger is a corrugated plate of a hard plate structur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and forming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a heating medium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and the outer cylinder forming the outer wall of the water tank in which the heating medium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nd the heating medium is accommodated. And, a plurality of tubes made of a flat shape to allow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flow along the inside and heat exchange with the heat medium flowing outsid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ube to induce turbulence in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A turbulator to be provided, a multi-stage diaphragm provid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and the tube to induce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ing medium to alternately switch radially inside and outside,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tub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Tube-typ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of a hard plate structure to form a.
상기 상관판의 플랜지는 라운드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관판의 플랜지의 외경과, 상기 라운드부 하단의 내경 간의 직경차 비율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27,
The flange of the correlation plat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round portion to the outside,
The associative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of the correlation plate and the inner diameter at the bottom of the round portion is 20% or less.
상기 상관판에 삽입되는 상기 평판형 버너의 저면과 상기 상관판의 바닥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평판형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끝단이 상기 상관판 바닥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27,
The height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shaped burner inserted in the correlation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lation plate is set such that the end of the flame generated in the plate-shaped burner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rrelation plate. Associated boiler.
상기 터뷸레이터는,
상기 연소실에 근접한 상기 튜브의 상부 내측에 상기 튜브와 면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열전도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상부 터뷸레이터; 및
상기 상부 터뷸레이터의 하측으로 상기 튜브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가스의 유동에 난류의 발생을 유도하는 하부 터뷸레이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식 보일러.The method of claim 27,
The turbulator,
An upper turbulator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close to the combustion chamber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ube to increase heat conduction and induce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in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And
A lower turbulator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tube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urbulator to induce turbulence in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The boil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7/015756 WO2018124824A1 (en) | 2016-12-30 | 2017-12-29 | Smoke tube boiler |
| CA3047961A CA3047961C (en) | 2016-12-30 | 2017-12-29 | Smoke tube boiler |
| US16/461,605 US11320173B2 (en) | 2016-12-30 | 2017-12-29 | Smoke tube boiler |
| RU2019123590A RU2737576C1 (en) | 2016-12-30 | 2017-12-29 | Boiler with fire tub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84243 | 2016-12-30 | ||
| KR20160184248 | 2016-12-30 | ||
| KR20160184243 | 2016-12-30 | ||
| KR20160183976 | 2016-12-30 | ||
| KR1020160183976 | 2016-12-30 | ||
| KR1020160184248 | 2016-12-30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79205A KR20180079205A (en) | 2018-07-10 |
| KR102136170B1 true KR102136170B1 (en) | 2020-07-21 |
Family
ID=629158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83571A Active KR102136170B1 (en) | 2016-12-30 | 2017-12-29 | Smoke tube type boiler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36170B1 (en) |
| CN (1) | CN109964088B (en) |
| CA (1) | CA3047961C (en) |
| RU (1) | RU2737576C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61023A (en) | 2021-10-28 | 2023-05-08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Combustion equipment for target ignition method |
| KR20230140787A (en) | 2022-03-30 | 2023-10-10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al fiber burner |
| KR20230162198A (en) | 2022-05-20 | 2023-11-28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al fiber burner |
| KR20230163709A (en) | 2022-05-24 | 2023-12-01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al fiber bur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69557B1 (en) * | 2019-01-31 | 2022-03-04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Burner and water heat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278517B1 (en) * | 2019-01-31 | 2021-07-19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Boiler |
| KR102372925B1 (en) * | 2019-05-03 | 2022-03-11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Oil boiler |
| CN112577096B (en) * | 2020-12-16 | 2022-01-28 | 福建易辰达机械有限公司 | Safety gas heating stov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81580B1 (en) * | 2004-06-30 | 2006-05-22 | 주식회사 롯데기공 | High pressure insulator coupling structure of boiler heat exchanger |
| US20120080172A1 (en) * | 2010-10-01 | 2012-04-05 | Aic S.A. | Heat Exchanger |
| KR101434978B1 (en) * | 2012-12-27 | 2014-08-27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Gas boiler which prevents overheat of a burner flange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27157Y2 (en) * | 1991-03-08 | 1994-07-27 | 憲 大島 | Dry distillation device for crude drugs |
| RU2187763C1 (en) * | 2001-09-28 | 2002-08-20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ткрытого типа "РУМО" | Hot-water boiler |
| RU84512U1 (en) * | 2009-02-24 | 2009-07-10 | Константин Альбертович Истомин | WATER BOILER, STEEL, FIRE TUBE WITH SMOKE PIPES |
| KR20110084725A (en) * | 2010-01-18 | 2011-07-26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Exhaust Guide Assembly Structure of Heat Exchanger |
| RU108568U1 (en) * | 2011-03-30 | 2011-09-20 | Олег Геннадьевич Родионов | HOT WATER BOILER WITH HOT WATER DISCHARGE |
| KR101504394B1 (en) * | 2012-01-19 | 2015-03-19 | 최성환 | Hot water storage type condensing boiler having multistage structure |
| CN204026979U (en) * | 2014-07-02 | 2014-12-17 | 巴音布尔克·肉孜扎瓦提 | Smoke tube vertical energy-saving boiler |
-
2017
- 2017-12-29 RU RU2019123590A patent/RU2737576C1/en active
- 2017-12-29 CN CN201780070818.2A patent/CN109964088B/en active Active
- 2017-12-29 CA CA3047961A patent/CA3047961C/en active Active
- 2017-12-29 KR KR1020170183571A patent/KR1021361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81580B1 (en) * | 2004-06-30 | 2006-05-22 | 주식회사 롯데기공 | High pressure insulator coupling structure of boiler heat exchanger |
| US20120080172A1 (en) * | 2010-10-01 | 2012-04-05 | Aic S.A. | Heat Exchanger |
| KR101434978B1 (en) * | 2012-12-27 | 2014-08-27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Gas boiler which prevents overheat of a burner flange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61023A (en) | 2021-10-28 | 2023-05-08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Combustion equipment for target ignition method |
| KR20230140787A (en) | 2022-03-30 | 2023-10-10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al fiber burner |
| KR20230162198A (en) | 2022-05-20 | 2023-11-28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al fiber burner |
| KR20230163709A (en) | 2022-05-24 | 2023-12-01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Metal fiber burn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RU2737576C1 (en) | 2020-12-01 |
| CN109964088B (en) | 2021-08-17 |
| CN109964088A (en) | 2019-07-02 |
| KR20180079205A (en) | 2018-07-10 |
| CA3047961C (en) | 2023-04-04 |
| CA3047961A1 (en) | 2018-07-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36170B1 (en) | Smoke tube type boiler | |
| US12025346B2 (en) | Smoke tube boiler | |
| US11624527B2 (en) | Smoke tube boiler | |
| CN113124563B (en) | Heat exchanger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unit | |
| US20100116226A1 (en) | Boiler with a combustion head cooling system | |
| ES2956778T3 (en) | Fin tube type heat exchanger unit using a heat transfer fin | |
| CN210123204U (en) | Latent heat exchanger and condensation type combustion device provided with same | |
| US11320173B2 (en) | Smoke tube boiler | |
| JP2018119744A (en) | Combustor and water heater including the same | |
| CN214665157U (en) | Gas water heating equipment and main heat exchanger thereof | |
| US20090025659A1 (en) | Boiler | |
| CN111649487B (en) | Heat exchange structure and gas water heater | |
| US6810836B1 (en) | Finned tube water heater | |
| CN216204376U (en) | Gas heat exchange device, combustion structure and combustion chamber | |
| CN215490303U (en) | Gas water heating equipment | |
| CN109724078B (en) | Distributor and combustor and water heater with same | |
| US20240410617A1 (en) | Heat exchanger assembly and water heater | |
| JPH10132202A (en) | Once-through boil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7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