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305B1 - Electro-penetrative dehydrator - Google Patents
Electro-penetrative dehyd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4305B1 KR102144305B1 KR1020140056306A KR20140056306A KR102144305B1 KR 102144305 B1 KR102144305 B1 KR 102144305B1 KR 1020140056306 A KR1020140056306 A KR 1020140056306A KR 20140056306 A KR20140056306 A KR 20140056306A KR 102144305 B1 KR102144305 B1 KR 1021443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upper electrode
- electrode part
- insulating plate
- slu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56—Electro-osmotic dewat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34—Energy carriers
- B01D2313/345—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장 바닥에 설치되는 기저 프레임; 상기 기저 프레임에 고정된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시 승강하는 승강 프레임; 상기 기저 프레임에 고정된 상전극부; 상기 상전극부와 마주하며 상기 상전극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된 하전극부;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상전극부와 하전극부 사이의 탈수영역을 통과하면서 무한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여과포; 및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탈수영역으로 이송될 슬러지를 상기 여과포로 공급하는 슬러지 공급부;를 포함하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base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shop; An elevating means fixed to the base frame; An elevating frame supported by the elevating means to elevate when the elevating means is operated; An upper electrode part fixed to the base frame; A lower electrode part facing the upper electrode part, located under the upper electrode part, and fixed to the lifting frame; A filter cloth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in the elevating frame and provided to rotate infinitely while passing through a dewatering region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art and the lower electrode part; And a sludge supply unit fixed to the elevating frame and supplying sludge to be transferred to the dewatering area to the filter cloth.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침투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판 형태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로 투입된 슬러지에 압력 및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osmotic dehyd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osmotic dehydrator for dewatering the sludge by applying pressure and voltage to the sludge introduced between the flat positive plate and the negative plate.
현재,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 후 처리되고 있다. 하수 처리 과정은 정수 과정과 슬러지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데, 정수 과정에서는 하수가 하천의 자정작용이 발동될 수 있는 범위까지 정화된 후 하천과 같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고,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농축, 탈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처리된다.Currently, sewage that is thrown away from homes or factories is being treated after being sent to a sewage treatment plant. The sewage treatment process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process and a sludge treatment process.In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the sewage is purified to the extent that the self-cleaning action of the river can be triggered, and then discharged into a public water area such as a river, and in the sludge treatment process, it occurs during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The sludge produced is treated through processes such as concentration and dehydration.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들 중 하나인 탈수기는 슬러지로부터 여액을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작동 원리에 따라 벨트 프레스, 필터 프레스, 스크류 프레스, 원심 탈수기, 전기침투 탈수기 등으로 분류된다. A dehydrator, one of the devices used in the sludge treatment process, separates the filtrate from the sludge, and is classified into belt presses, filter presses, screw presses, centrifugal dehydrators, electro-osmotic dehydrator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operating principle.
전기침투 탈수기는 슬러지에 압력을 가하면서 전압을 인가하여 슬러지를 탈수하는 장치로서, 서로 마주하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간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과, 무한회전을 하면서 슬러지를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의 영역인 탈수영역을 통과하는 여과포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The electro-osmotic dehydrator is a device that dehydrates sludge by applying voltage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sludge.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facing each other, the power supply for applying voltage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nd the sludge while rotating infinitely The filter cloth passing through the dehydration area, which is the area between, is the main composition.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이 탈수영역에 위치한 슬러지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전압을 인가하면, 모세관 현상, 전기영동 현상, 전기삼투 현상 및 쿨롱 열에 의해 슬러지가 탈수된다. 이때,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여액은 여과포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여액과 분리된 슬러지인 슬러지 케이크는 탈수영역에 남아있다가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pply pressure to the sludge located in the dewatering area and simultaneously apply voltage, the sludge is dehydrated by capillary phenomenon, electrophoresis, electroosmosis, and Coulomb heat. At this time, the filtrate separated from the sludge passes through a filter cloth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sludge cake, which is the sludge separated from the filtrate, remains in the dewatering area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현재 위와 같은 전기침투 탈수기의 한 유형인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가 알려져 있다.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에서는 평판 형태의 상전극판이 양극판으로 사용되고, 평판 형태로 마련되어 상전극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전극판이 음극판으로 사용되며, 여과포는 무한회전을 하면서 상전극판과 하전극판 사이의 공간인 탈수영역을 통과한다. 슬러지가 탈수영역에 놓이면 상전극판이 하강하여 슬러지를 가압하고 이때 상전극판과 하전극판 사이에 전압도 인가된다. 이러한 상태가 소정의 시간 동안 지속하면 슬러지는 탈수되어 슬러지 케이크로 된다. 탈수가 완료되면 상전극판이 상승하고, 슬러지 케이크는 회전하는 여과포에 받쳐져 탈수영역을 벗어난다. Currently, a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osmotic dehydrator, which is one type of electro-osmotic dehydrator, is known. In th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penetration dehydrator, the upper electrode plat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is used as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lower electrode plate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is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the filter cloth rotates infinitely an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lower electrode plate It passes through the phosphorus dehydration zone. When the sludge is placed in the dewatering area, the upper electrode plate descends to pressurize the sludge, and a voltage is also appli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lower electrode plate. If this condition persist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sludge is dehydrated and becomes a sludge cake. When the dehydration is completed, the upper electrode plate rises, and the sludge cake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filter cloth and leaves the dewatering area.
이와 같은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는 한국등록특허 제0981640호, 한국등록특허 제095661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Such a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penetration dehydrato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0981640, Korean Patent No. 0956613, and the lik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에 따르면 상전극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상전극판의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전극판의 교체시 상기 승강수단이 분리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osmotic dehydrato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upper electrode plate is located above the upper electrode plate, the lifting means must be separated when the upper electrode plate is replaced.
또한, 종래의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에 따르면 상전극판에 전압을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한 전도성 재질의 부재들(한국등록특허 제0981640호의 도 3b에서 241-4로 표기됨)도 상전극판의 교체시 분리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penetration dehydrator, members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venly distributing voltage to the upper electrode plate (indicated as 241-4 in FIG. 3B of Korean Patent No. 0981640) are also used when the upper electrode plate is replaced. There is a hassle to be sepa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함으로써 상전극판의 교체를 훨씬 쉽게 하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osmotic dehydrator that makes replacement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much easier by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작업장 바닥에 설치되는 기저 프레임; 상기 기저 프레임에 고정된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시 승강하는 승강 프레임; 상기 기저 프레임에 고정된 상전극부; 상기 상전극부와 마주하며 상기 상전극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된 하전극부;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상전극부와 하전극부 사이의 탈수영역을 통과하면서 무한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여과포; 및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탈수영역으로 이송될 슬러지를 상기 여과포로 공급하는 슬러지 공급부;를 포함하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base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shop; An elevating means fixed to the base frame; An elevating frame supported by the elevating means to elevate when the elevating means is operated; An upper electrode part fixed to the base frame; A lower electrode part facing the upper electrode part, located under the upper electrode part, and fixed to the lifting frame; A filter cloth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in the elevating frame and provided to rotate infinitely while passing through a dewatering region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art and the lower electrode part; And a sludge supply unit fixed to the elevating frame and supplying sludge to be transferred to the dewatering area to the filter cloth.
상기 상전극부는 상기 슬러지의 이송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단위 상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상전극부는, 절연체를 매개로 하여 상기 기저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측판 및 바닥판을 감싸는 내부 절연판; 상기 내부 절연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 절연판의 바닥판에 결합된 도전판; 상기 내부 절연판 및 상기 도전판을 감싸는 상전극판; 및 상기 상전극판의 측판을 감싸는 외부 절연판;을 포함한다.The upper electro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upper electrode units arrang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sludge, wherein the unit upper electrode unit includes: a support fixed to the base frame through an insulator; An inner insulating plate surrounding the side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A conductive plat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insulating plate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 inner insulating plate; An upper electrode plate surrounding the inner insulating plate and the conductive plate; And an external insulating plate surrounding the side plate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상기 단위 상전극부는, 상기 지지대의 바닥판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 절연판의 바닥판에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한다.The unit upper electro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bolts that pass through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and are fasten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insulating plate.
상기 단위 상전극부는, 상기 외부 절연판, 상기 상전극판의 측판 및 상기 내부 절연판의 측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지지대의 측판에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한다.The unit upper electrod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olts which are fastened to the side plate of the support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outer insulating plate, the side plate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side plate of the inner insulating plate.
상기 단위 상전극부는, 상기 내부 절연판의 바닥판과 상기 도전판 사이에 끼여 고정된 수밀판;을 포함한다.The unit upper electrode unit includes a watertight plate sandwiched between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insulating plate and the conductive plate and fixed.
상기 상전극판의 상단은 외측으로 꺾여 상기 외부 절연판의 상면을 덮는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에는 전원의 양극으로부터 연장하는 케이블이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is formed of a wing that is bent outwar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insulating plate, and a cable extending from the anode of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w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전극부가 기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전극판의 교체시 상전극부의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의 분리가 선행되어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해 상전극판을 교체하는 작업이 종래에 비해 훨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electrode part is fixed to the base frame, there is no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separation of the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upper electrode part is preceded when the upper electrode plate is replaced, and thus the work of replacing the upper electrode plate This can be done much easier than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전극판에 전압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한 부재(도전판)의 분리가 상전극판의 교체시 수반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전극판을 교체하는 작업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ion of the member (conductive plate) for evenly distributing the voltage to the upper electrode plate does not need to be accompanied when the upper electrode plate is replaced, the operation of replacing the upper electrode plate can be made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의 단위 상전극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osmotic dehyd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unit upper electrode part of th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osmotic dehydrator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osmotic dehyd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erms and words us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100)는 상전극부와 하전극부 사이의 영역(탈수영역)에 놓인 슬러지에 압력 및 전압을 가하여 상기 슬러지를 탈수하는 설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 프레임(110)과, 승강수단(120)과, 승강 프레임(122)과, 상전극부와, 하전극부(150)와, 여과포(160)와, 슬러지 공급부(170)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
상기 기저 프레임(110)은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100)의 골조를 이루는 부재로서,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다. The
상기 승강수단(120)은 승강 프레임(122)을 수평 상태로 유지키면서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 프레임(122)을 지지하면서 기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수단(120)이 작동하면 승강 프레임(122)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한편, 승강 프레임(122)에는 탈수영역의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후 여과포(160) 및 하전극부(150)를 통과하며 낙하하는 여액을 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여액 받이(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The lifting means 120 is for lifting the
상기 승강수단(12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수단(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122)의 여러 지점들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압 실린더들로 오일을 균등하고 공급하기 위한 유압 분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승강수단(120)은 모터의 작동시 승강 프레임(122)의 여러 지점을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스크류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승강 프레임(122)의 여러 지점들을 동시에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라면, 승강수단(120)은 위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lifting means 1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lifting means 12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hydraulic cylinders respectively supporting various points of the
상기 상전극부는 복수의 단위 상전극부들(130)을 포함하는데, 이 단위 상전극부들(130)은 전후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기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단위 상전극부들(130)의 상전극판(138)(도 2 및 도 3 참조)은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원(미도시)의 양극과 연결되어 있다.The upper electro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종래에는 단위 상전극부들(130)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하도록 마련되었고, 이 승강수단이 단위 상전극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기저 프레임(110)에 설치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위 상전극부들(130)의 상전극판이 교체되려면 먼저 기저 프레임(110)으로부터 위 승강수단이 분리되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단위 상전극부들(130)이 기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 상전극부들(13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마련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이 전혀 수반되지 않고, 이로 인해 단위 상전극부들(130)의 상전극판(138)(도 2 및 도 3 참조)을 교체하는 작업이 종래에 비해 훨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Conventionally, the unit
상기 하전극부(150)는 복수의 단위 하전극부들(미도시)을 포함하는데, 이 단위 하전극부들은 단위 상전극부들(130)과 마주하며 이들(130)의 하부에 위치하고, 탈수영역의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여액을 아래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단위 하전극부들의 하전극판(미도시)은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상기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있다. The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100)에서 탈수영역에 놓인 슬러지가 탈수되기 위해서는 상기 슬러지에 전압뿐만 아니라 압력도 가해져야 한다. 그리고 탈수가 종료되면 슬러지 케이크가 여과포(16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러지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100)에서는 상전극부와 하전극부(150) 간 거리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전극부가 기저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하전극부(150)의 승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하전극부(150)는 승강 프레임(122)에 고정된다.In order to dewater the sludge placed in the dewatering area in th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
상기 여과포(16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무한회전하는 부재로서, 다수의 롤러들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여과포(160)의 후단은 구동 롤러(162a)에 의해 지지되고, 여과포(160)의 전단은 텐션 롤러(162b)에 의해 지지되며, 하전극부(1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여과포(160)의 부위는 가이드 롤러들(162c)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여과포(160)는 구동 롤러(162a)와 연결된 모터(미도시)의 작동시 무한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하전극부(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포(160)의 부위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탈수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한편, 여과포(160)는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여액을 아래로 통과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The
상기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10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전극부(150)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롤러들(162a, 162b, 162c)이 기저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있으면 탈수영역에 놓인 여과포(160)의 부위가 하전극부(150)의 상승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포(160)도 하전극부(150)와 함께 승강할 필요가 있고, 이에 롤러들(162a, 162b, 162c)은 기저 프레임(110)이 아닌 승강 프레임(122)에 설치된다.In th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
상기 슬러지 공급부(170)는 탈수영역으로 유입될 여과포(160)의 부위에 탈수 대상인 슬러지를 일정한 속도로 낙하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러한 슬러지 공급부(170)는 여과포(16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 프레임(122)에 고정된다. 한편, 슬러지 공급부(170)의 구조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56614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는바,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한편, 상기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100)에서는 상전극부를 기저 프레임(110)에 고정하는 것 외에 상전극부의 구조 개선을 통해서도 상전극판(138) 교체 작업의 용이성을 꾀하고 있다. 이하, 상기 상전극부의 개선된 구조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
상기 상전극부에 포함된 단위 상전극부들(130) 각각은 지지대(132)와, 내부 절연판(134)과, 수밀판(135)과, 도전판(136)과, 상전극판(138)과, 외부 절연판(140)을 포함한다.Each of the unit
상기 지지대(132)는 바닥판과 측판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은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측판은 바닥판의 네 변으로부터 Z축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지지대(132)는 개방된 상면의 좌우측을 덮는 두 상판도 포함한다. 상기 두 상판은 좌우 방향(Y축 방향)으로 떨어져 있고, 절연체들(132a)을 매개로 하여 기저 프레임(110)에 고정된다.The
상기 내부 절연판(134)은 지지대(132)의 측판 및 바닥판을 감싸는 부재로서, 측판(134a) 및 바닥판(134b)을 포함한다. 내부 절연판(134)의 측판(134a)은 지지대(132)의 측판을 감싼다. 내부 절연판(134)의 바닥판(134b)은 지지대(132)의 바닥판 및 측판 하단을 감싸고, 복수의 제1볼트들(142)에 의해 지지대(132)의 바닥판에 고정된다. 상기 제1볼트들(142)은 지지대(132)의 바닥판을 통과하여 내부 절연판(134)의 바닥판(134b)에 체결된다.The inner insulating
상기 수밀판(135)은 수분에 의해 도전판(136)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 절연판(134)의 바닥판(134b)의 하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전판(136)은 상전극판(138)에 전압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리와 같이 도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수밀판(135)의 하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수밀판(135) 및 도전판(136)은 제3볼트들(146)에 의해 내부 절연판(134)의 바닥판(134b)에 고정된다. 상기 제3볼트들(146)은 도전판(136) 및 수밀판(135)을 통과하여 내부 절연판(134)의 바닥판(134b)에 체결된다.The
상기 상전극판(138)은 직사각형 형태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네 변으로부터 Z축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측판을 포함한다. 상전극판(138)의 바닥판은 도전판(136)의 하면을 덮도록 위치하고, 탈수 작업시 슬러지와 맞닿는다. 상전극판(138)의 측판은 내부 절연판(134)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날개(138a)로 이루어진 상단을 갖는다. 상기 날개(138a)는 외측으로 꺾여 외부 절연판(140)의 상면을 덮고, 외부 절연판(140)에 체결되는 제4볼트들(148)을 통과시킨다. 상기 제4볼트(148)는 전원의 양극으로부터 연장하는 케이블을 날개(138a)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날개(138a)를 외부 절연판(140)에 고정시킨다. The
상기 외부 절연판(140)은 상전극판(138)의 측판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제2볼트들(144, 144a)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제2볼트들(144, 144a) 중 일부(144)는 외부 절연판(140), 상전극판(138)의 측판 및 내부 절연판(134)의 측판(134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지지대(132)의 측판에 체결되고, 나머지(144a)는 외부 절연판(140) 및 상전극판(138)의 측판을 통과하여 내부 절연판(134)의 바닥판(134b)에 체결된다.The external insulat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단위 상전극부들(130)이 상전극부를 구성하면, 상전극판(138)의 교체를 위해 제2볼트(144, 144a) 및 제4볼트(148)가 해체되더라도 도전판(136)은 여전히 지지대(13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전극판(138)의 교체시 도전판(136)의 분리가 수반될 필요가 없다. 반면, 종래에는 도전판(136)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한국등록특허 제0981640호의 도 3b에서 241-4로 표기됨)가 먼저 분리되어야 상전극판의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전극판(138)의 교체가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unit
한편, 위와 같이 개선된 구조의 상전극부는 기저 프레임(110)에 고정되지 않고 종래와 같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할 수 있게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전극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의 분리가 상전극판(138)의 교체시 수반되어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되지 않으나, 상전극판(138)의 교체시 도전판(136)의 분리가 수반되지 않는 장점은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lectrode portion of the improv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fixed to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110 : 기저 프레임
120 : 승강수단 122 : 승강 프레임
130 : 단위 상전극부 132 : 지지대
132a : 절연체 134 : 내부 절연판
134a : 내부 절연판의 측판 134b : 내부 절연판의 바닥판
135 : 수밀판 136 : 도전판
138 : 상전극판 138a : 상전극판의 날개
140 : 외부 절연판 142, 144, 146, 148 : 볼트100: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penetration dehydrator 110: base frame
120: lifting means 122: lifting frame
130: unit upper electrode part 132: support
132a: insulator 134: inner insulation plate
134a: side plate of inner insulating
135: watertight plate 136: conductive plate
138:
140:
Claims (6)
상기 기저 프레임에 고정된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시 승강하는 승강 프레임;
상기 기저 프레임에 고정된 상전극부;
상기 상전극부와 마주하며 상기 상전극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된 하전극부;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롤러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상전극부와 하전극부 사이의 탈수영역을 통과하면서 무한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여과포; 및
상기 승강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탈수영역으로 이송될 슬러지를 상기 여과포로 공급하는 슬러지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전극부는 상기 슬러지의 이송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단위 상전극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상전극부는,
절연체를 매개로 하여 상기 기저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측판 및 바닥판을 감싸는 내부 절연판;
상기 내부 절연판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부 절연판의 바닥판에 결합된 도전판;
상기 내부 절연판 및 상기 도전판을 감싸는 상전극판; 및
상기 상전극판의 측판을 감싸는 외부 절연판;을 포함하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A base fram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shop;
An elevating means fixed to the base frame;
An elevating frame supported by the elevating means to elevate when the elevating means is operated;
An upper electrode part fixed to the base frame;
A lower electrode part facing the upper electrode part, located under the upper electrode part, and fixed to the lifting frame;
A filter cloth supported by a plurality of rollers installed in the elevating frame and provided to rotate infinitely while passing through a dewatering region between the upper electrode part and the lower electrode part; And
A sludge supply unit fixed to the lifting frame and supplying sludge to be transferred to the dewatering area to the filter cloth; and
The upper electrod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upper electrode parts arrang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ludge, wherein the unit upper electrode part,
A support fixed to the base frame via an insulator;
An inner insulating plate surrounding the side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A conductive plat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insulating plate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 inner insulating plate;
An upper electrode plate surrounding the inner insulating plate and the conductive plate; And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penetration dehydrator comprising; an outer insulating plate surrounding the side plate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상기 단위 상전극부는, 상기 지지대의 바닥판을 통과하여 상기 내부 절연판의 바닥판에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upper electrode portion, a plurality of bolts that pass through the bottom plate of the support and fasten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insulating plat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penetration dehydrator comprising.
상기 단위 상전극부는, 상기 외부 절연판, 상기 상전극판의 측판 및 상기 내부 절연판의 측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지지대의 측판에 체결되는 복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unit upper electrode part, a plurality of bolts that are fastened to the side plate of the support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outer insulating plate, the side plate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and the side plate of the inner insulating plate;
상기 단위 상전극부는, 상기 내부 절연판의 바닥판과 상기 도전판 사이에 끼여 고정된 수밀판;을 포함하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upper electrode unit, a watertight plate sandwiched between the bottom plate of the inner insulating plate and the conductive plate;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penetration dehydrator comprising a.
상기 상전극판의 상단은 외측으로 꺾여 상기 외부 절연판의 상면을 덮는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에는 전원의 양극으로부터 연장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수평이송형 전기침투 탈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n upper end of the upper electrode plate is formed of a wing that is bent outwar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insulating plate, and a cable extending from an anode of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w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56306A KR102144305B1 (en) | 2014-05-12 | 2014-05-12 | Electro-penetrative dehyd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56306A KR102144305B1 (en) | 2014-05-12 | 2014-05-12 | Electro-penetrative dehydra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29886A KR20150129886A (en) | 2015-11-23 |
| KR102144305B1 true KR102144305B1 (en) | 2020-08-14 |
Family
ID=5484445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56306A Active KR102144305B1 (en) | 2014-05-12 | 2014-05-12 | Electro-penetrative dehydra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4430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4019B1 (en) | 2018-09-20 | 2019-01-30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Weaving machine for making endless belt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56613B1 (en) * | 2009-08-18 | 2010-05-11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Electro-penetrative type sludge decrement apparatus having improving insulation safety electrode plate |
| KR100981640B1 (en) | 2010-02-23 | 2010-09-10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Electro-penetrative type sludge decrement apparatus |
| JP2012529985A (en) | 2009-06-15 | 2012-11-29 | ドンイルキャンバ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Electroosmotic sludge weight loss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06504B1 (en) * | 1991-12-10 | 1997-04-28 | 산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 Sludge dewatering device |
-
2014
- 2014-05-12 KR KR1020140056306A patent/KR10214430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2529985A (en) | 2009-06-15 | 2012-11-29 | ドンイルキャンバ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Electroosmotic sludge weight loss device |
| KR100956613B1 (en) * | 2009-08-18 | 2010-05-11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Electro-penetrative type sludge decrement apparatus having improving insulation safety electrode plate |
| KR100981640B1 (en) | 2010-02-23 | 2010-09-10 |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 Electro-penetrative type sludge decrement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29886A (en) | 2015-11-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4101400A (en) | Method for dewatering sludge | |
| US2740756A (en) | Electrical drying system | |
| FI77008B (en) | ELEKTRODENHET FOER ANVAENDNING VID RENING AV EMULSIONER OCH FOERORENADE VATTEN, SPECIELLT OLJEHALTIGA VATTEN, MED TILLHJAELP AV ELEKTROLYS. | |
| US8454814B2 (en) | Processes and apparatuses for treating and/or increasing dryness of a substance | |
| KR100894266B1 (en) | Electropenetrating Sludge Reduction Device | |
| JP5564877B2 (en) | Electroosmosis dehydrator | |
| KR20190039249A (en) | Complex dehydrator | |
| KR100926261B1 (en) | Electrode cleaning device of electro-osmotic sludge reduction device | |
| KR102144305B1 (en) | Electro-penetrative dehydrator | |
| KR101846826B1 (en) | Equipment for feeding sludge uniformly and adjusting thickness of the sluldge | |
| KR101425984B1 (en) | Sludge inlet device for electro-osmotic sludge dewatering equipment | |
| US20050016870A1 (en) |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sludge by the combined action of electro-osmosis and pressure | |
| FI126311B (en) | Or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
| WO2018021628A1 (en) | System for lifting upper electrode part of horizontal transfer type electroosmotic dehydrator | |
| CN103058486A (en) | Electrolytic squeezing device applied to dehydrator or deoiling machine | |
| KR100441168B1 (en) | Electro-dewatering system of filter press | |
| JPH0615706U (en) | Belt dehydrator | |
| KR100956613B1 (en) | Electro-penetrative type sludge decrement apparatus having improving insulation safety electrode plate | |
| KR970006504B1 (en) | Sludge dewatering device | |
| JPH042286B2 (en) | ||
| JPS6159164B2 (en) | ||
| CN205616742U (en) | Mud discharges drying device | |
| RU2085254C1 (en) | Disk vacuum filter | |
| US3719581A (en) | Apparatus for producing wet process ceramic bodies | |
| CN221190956U (en) | Fee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fuel fil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