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25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6025B1 KR102146025B1 KR1020120137384A KR20120137384A KR102146025B1 KR 102146025 B1 KR102146025 B1 KR 102146025B1 KR 1020120137384 A KR1020120137384 A KR 1020120137384A KR 20120137384 A KR20120137384 A KR 20120137384A KR 102146025 B1 KR102146025 B1 KR 1021460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panel
- delete delete
- cover
- camera
- video c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본체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과, 영상통화유닛의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과, 영상통화유닛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영상통화유닛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main body, a display panel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video commun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and a cable connecting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and the circuit board. As a result, since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can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video communication can be made through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통화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통화유닛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video call unit for performing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video calls.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장치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가 포함된다.In general,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s a television or a monitor.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 기능인 화상을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 영상통화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영상통화유닛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Recent display devices include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video call unit to provide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video calls in addition to a function of providing an image, which is a basic function.
영상통화유닛은 음파를 전달받아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 모듈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ideo call unit may include a microphone module that receives sound waves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and a camera module that photographs an imag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영상통화유닛의 설치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having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video call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과, 상기 영상통화유닛의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과, 상기 영상통화유닛과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panel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video call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video call unit, the video call unit and the Includes a cable connecting the circuit board.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video call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영상통화유닛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case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case forming a rear surface, and any one of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includes an installation part in which the video call unit is installed.
또한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영상통화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영상통화유닛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려 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ther of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includes a locking part for supporting the video call unit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part, and the video call unit protrudes from the video call unit and is supported by the locking part. Includes.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과,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video call unit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nd a microphone module to which sound is input.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마이크 모듈이 수용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video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camera module and the microphone module are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the housing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is installed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측에 마련되는 비활성부를 가리는 베젤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베젤의 후방측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case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case forming a rear surface, the front case includes a bezel covering an inactive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video call unit includes the bezel It is placed on the rear side of.
또한 상기 본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panel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video call unit is disposed behind the front panel.
또한 상기 본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includes a front panel forming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panel includes a through hol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icrophone module.
또한 상기 본체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front panel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video call unit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nel.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영상통화유닛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video calling unit is dispos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through hol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calling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includes an active are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n inactive area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and the video call unit is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non-display area.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비활성영역을 가리는 베젤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베젤의 후방에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bezel covering the inactive area, and the video call unit is disposed behind the bezel.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과,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베젤은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video call unit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nd a microphone module to which sound is input, and the bezel includes a through hol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module and the microphone modul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비활성영역을 가리는 블랙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블랙 매트리스부 후방측에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film further includes a film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film includes a black mattress that covers the inactive area, and the video call unit is disposed behind the black mattress.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과,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블랙 매트리스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와, 상기 마이크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소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video call unit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and a microphone module to which sound is input, and the black mattress part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module to transmit light,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icrophone module It is provided in and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sound passes.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panel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 video call unit installed outside the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panel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a video call unit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에 영상통화유닛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device is capable of installing a video call unit on the main body, a video call can be made through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영상통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영상통화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영상통화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deo call unit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video call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deo call unit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video call unit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video call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video call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video call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video call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또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The display panel 120 may be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120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본체(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외곽 테두리를 지지하는 베젤(111a)을 포함하여 본체(110)의 전방측 단부를 형성하는 전면 케이스(111)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후방측을 덮어 본체(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112)를 포함하여, 전면 케이스(111)와 후면 케이스(112) 사이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배치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과, 활성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이 마련되며 베젤(111a)에 의해 가려지는 비활성영역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110 includes a
본체(1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통해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통화유닛(14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통화유닛(140)은 본체(110)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본체(110) 상측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외측에 설치된다. The main body 110 is provided with 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유닛(140)의 설치를 위해 후면 케이스(112)의 상단 중앙부에는 영상통화유닛(14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상통화유닛(140)이 설치되는 설치부(112a)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부(112a)는 후면 케이스(11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설치부(112a)는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영상통화유닛(140)의 전면이 전방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설치부(112a)의 후면에는 후술할 조절 휠(144)이 후방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홀(112b)이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2, for the installation of the
영상통화유닛(140)은 MoIP(Multimedia over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한 유닛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인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41)과, 카메라 모듈(141)의 양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되는 한 쌍의 마이크 모듈(142)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통화유닛(140)은 영상통화유닛(14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카메라 모듈(141)과 마이크 모듈(142)이 수용되는 하우징(143)을 포함하며, 하우징(143)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여 전면 하우징(143F) 및 후면 하우징(143R)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통화유닛(1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미도시)이나 3D TV의 시청에 사용되는 셔터 글래스(미도시) 등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45)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따라서, 사용자의 모습은 영상통화유닛(140)의 카메라 모듈(141)에 의해 촬영되고, 사용자의 소리는 마이크 모듈(142)을 통해 입력되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s image is photographed by the
또한 영상통화유닛(140)은 카메라 모듈(141)의 틸트 각도 조절을 위해 카메라 모듈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 휠(144)과, 조절 휠(144)의 회전을 카메라 모듈(141)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144a)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 휠(144)에 힘을 가해 조절 휠(144)을 회전시키면 조절 휠(144)의 회전 운동이 기어(144a)들을 통해 카메라 모듈(141)에 전달되어 카메라 모듈(141)이 회전한다. 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41)의 회전 각도에 따라 마이크 모듈의 동작이 온(ON)/오프(OFF)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카메라 모듈(141)이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41)의 렌즈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을 향할 경우에는 마이크 모듈(142)이 온(ON)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영상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카메라 모듈(141)이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41)의 렌즈가 전방을 향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이크 모듈(142)의 동작이 오프(OFF)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한 영상통화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microphone module can be turned on/off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영상통화유닛(14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유닛(140)에서 생성되는 각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146)들의 일단이 연결되며, 케이블(146)의 타단에는 영상통화유닛(140)의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150)이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2, one end of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146)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 circuit board)로 이루어져 카메라 모듈(141)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회로기판에 전달하는 카메라 케이블(146a)과, 전선으로 이루어져 마이크 모듈(142)에서 입력된 소리 정보를 회로기판(150)에 전달하는 마이크 케이블(146b)과, 통신부(145)와 회로기판(150)을 연결하여 각종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선(146c)등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회로기판(150)은 본체(110) 내에 설치되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후면 케이스(112) 사이에 배치된다. The
이러한 영상통화유닛(14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111)의 상단 중앙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영상통화유닛(140)에는 전면 하우징(143F)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고정부(143a)가 마련되며, 전면 케이스(111)에는 그 상부 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 1 고정부(143a)와 대응하는 제 2 고정부(111b)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 1 고정부(143a)를 제 2 고정부(111b)에 스크류(S)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영상통화유닛(140)이 전면 케이스(111)에 고정된다. This
제 1 고정부(143a)에는 스크류(S)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결합홀(143b)이 마련되며, 제 2 고정부(111b)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공(111c)이 마련된다. 이때, 결합홀(143b)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147)가 설치된다. The first fixing part (143a)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143b) through which the screw (S) is installed,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1b)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111c) through which the screw (S) is fastened. At this time, a
완충부재(147)는 스크류(S)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완충부재(147)의 양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부(147a)가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완충부재(147)를 결합홀(143b)에 설치하되, 두 완충부(147a)가 결합홀(143b)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한 후, 결합홀(143b)에 스크류를 설치하여 영상통화유닛(140)을 전면 케이스(111)에 고정하면, 영상통화유닛(140)과 전면 케이스(111)는 완충부재(147)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The
이러한 상태에서는 본체(110)측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진동이 완충부재(147)에 의해 상당 부분 흡수되어 영상통화유닛(140)에는 진동이 전달되지 않거나 전달되더라도 매우 작게 전달된다. 따라서 영상통화유닛(140), 특히 진동에 민감한 영상통화유닛(140)의 카메라 모듈(141)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In this state, even if vibration occurs on the main body 110 side, such vibration is absorbed by the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147)를 통해 영상통화유닛(140)이 본체(110)의 전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유닛(140)이 본체(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영상통화유닛(140)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43c)를 형성하고, 전면 케이스(111)의 상단 중앙부에는 돌출부(143c)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111d)를 형성하여, 돌출부(143c)가 걸림부(111d)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영상통화유닛(140)의 전방측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면 케이스(111)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영상통화유닛(140)의 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같이 본체(21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2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13)을 구비하도록 하고, 영상통화유닛(240)이 전면 패널(213)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영상통화유닛(240)이 전면패널(213)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110 of the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체(210)는 전면 케이스에 대응하는 구성 없이 전면패널(213)이 후면 케이스(212)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가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하고, 전면 케이스의 전면에 전면패널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광은 전면패널(213)을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으나, 소리는 전면패널(213)에 의해 차단되어 마이크 모듈(미도시)에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전면패널(213)에는 영상통화유닛(140)에 내장된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213a)이 마련되어 소리가 관통공(213a)을 통해 마이크 모듈에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light may pass through the
상기에서 영상통화유닛(240)은 전면패널(213)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전면패널(213)에 의해 가려지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통화유닛을 전면패널의 전면 외곽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와 같이 적용할 경우 기존에 존재하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를 변경하지 않고도 영상통화유닛을 간단히 적용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유닛(340)을 디스플레이 패널(320)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20)에 영상통화유닛(340)과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공(321)을 형성하여, 관통공(321)을 통해 광과 소리가 영상통화유닛(34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41)은 사용자가 조절 휠(144)을 통해 카메라 모듈(141)에 힘을 가해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등의 구동장치(미도시)를 통해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것도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동장치와 함께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도록 하거나 리모컨 조작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버튼 조작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 모듈(142)은 전방측으로부터만 소리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 모듈이 전방 및 후방측으로부터 소리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마이크로 형성되도록 하고,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된 튜브(미도시) 내에 마이크 모듈을 설치하여 마이크 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소리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튜브의 양측,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의 소리가 튜브에 의해 안내되어 마이크 모듈의 전면 및 후면측으로 전달되므로, 영상통화유닛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에 관계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측으로부터 전달된 소리와 후방측으로부터 전달된 소리가 위상차 없이 입력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since sound from both sides of the tube, that is,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isplay device, is guided by the tube and transmit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icrophone module, it is related to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video call unit is applied. Without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rear side can be input without a phase difference.
본 실시예에서 영상통화유닛(140)이 설치되는 설치부(112a)는 후면 케이스(112)에 마련되어 있으며 걸림부(111d)는 전면 케이스(111)에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으로 설치부가 전면 케이스에 마련되고 걸림부가 후면 케이스에 마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as a display panel will be described.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측면 테두리를 감싸는 미들 커버(42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430)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440)을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후면 케이스(43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440)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에 부착되나, 후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411)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412)으로 구분된다. 비활성영역(412)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활성영역(411)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 또는 배선 등의 패턴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필름(440)의 외곽측에는 패턴과 대응하는 영역, 즉,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영역(412)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패턴을 가리는 블랙 매트리스부(44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랙 매트리스부(441)는 비활성영역(412)과 대응하는 필름(440)의 일부 부위를 검게 처리하여 형성된다. The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영상통화를 위한 카메라 모듈()과 마이크 모듈(1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카메라 모듈(450)과 마이크 모듈(460)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 영역, 즉, 블랙 매트리스부(441)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광과 소리가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450) 및 마이크 모듈(4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영역에는 한 쌍의 홈(413)이 마련된다. 필름(440)의 블랙 매트리스부(441)에는 광이 블랙 매트리스부(441)를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14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투명하여 형성된 투과부(442)와, 소리가 블랙 매트리스부(441)를 통과하여 마이크 모듈(4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443)이 각각 마련된다. A pair of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50)과 마이크 모듈(460)은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영역(412)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과 마이크 모듈이 하나의 영상통화유닛 내에 포함되도록 하고, 영상통화유닛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영역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영역(4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440)의 블랙 매트리스부(441)에 의해 가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젤에 의해 비활성영역이 가려지도록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통화유닛(카메라 모듈 및 마이크 모듈)은 베젤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젤에는 영상통화유닛의 카메라 모듈 및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마련되도록 하여, 관통공을 통해 광과 소리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베젤의 폭이 충분히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통화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에 디스플레이 패널과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베젤에는 카메라 모듈 및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마련된다.In addition, in a display device having a sufficiently wide bezel, the video call uni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display panel and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Even in this case, a through hole is provided on the beze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module and the microphone module.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said that modifications or variations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본체
111: 전면 케이스 112: 후면 케이스
120: 디스플레이 패널 130: 스탠드
140: 영상통화유닛 141: 카메라 모듈
142: 마이크 모듈 144: 조절 휠
145: 통신부 146: 케이블
147: 완충부재 150: 회로기판100: display device 110: main body
111: front case 112: rear case
120: display panel 130: stand
140: video call unit 141: camera module
142: microphone module 144: adjustment wheel
145: communication unit 146: cable
147: buffer member 150: circuit board
Claims (28)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비활성영역을 가리도록 상기 비활성영역에 대응되는 부위가 검게 처리되어 형성되는 매트릭스부를 포함하는 필름;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카메라 모듈; 및
소리가 입력되도록 마련되는 마이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기 필름은 상기 마이크 모듈로 소리가 전달되도록 상기 비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panel including an inactive area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A cove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 film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matrix portion formed by blacken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active area to cover the inactive area;
A camera module provided to photograph; And
A microphone module provided to input sound; Including,
At least one accommodating por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camera module is installed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The film further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non-active area so that sound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module.
상기 수용부는 홈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is a display device formed as a groove.
상기 마이크 모듈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함께 상기 공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icrophone module is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space together with the camera module.
상기 필름은 상기 카메라 모듈로 광이 전달되도록 투과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ve portion to transmit light to the camera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함몰된 영역을 커버하도록 상기 함몰된 영역에 대응되는 검게 처리된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카메라; 및
마이크;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함몰된 영역은 상기 카메라와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마이크로 소리가 전달되도록 상기 함몰된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panel in which a concave area in which an image is not displayed is formed on an edge;
A cove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 cov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blacke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area to cover the recessed area;
camera; And
MIC; Including,
The recessed area of the display panel forms a space in which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are installed,
The cover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area so that the micro sound is transmitted.
상기 커버는 상기 카메라로 광이 전달되도록 투과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ve part to transmit light to the camera.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홈을 커버하도록 상기 홈에 대응되는 검게 처리된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카메라; 및
마이크;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홈은 상기 카메라와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마이크에 소리가 전달되도록 상기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panel in which a groove is formed on the edge;
A cove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 cov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blacke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to cover the groove;
camera; And
MIC; Including,
The groove of the display panel forms a space in which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are installed,
The cover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so that sound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상기 커버는 상기 카메라에 광이 전달되도록 투과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7,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ve portion to transmit light to the camera.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검게 처리된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카메라; 및
마이크;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마이크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마이크에 소리가 전달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panel in which an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on an edge;
A cove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 cov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including a blackened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unit to cover the receiving unit;
camera; And
MIC; Including,
The accommodation part forms a space in which the camera and the microphone are installed,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rtion so that sound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상기 수용부는 홈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9,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as a groove.
상기 커버는 상기 카메라에 광이 전달되도록 투과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transmissive portion to transmit light to the camera.
Priority Applications (9)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EP18201068.6A EP3454169B1 (en) | 2011-12-30 | 2012-12-27 | Display apparatus |
| PCT/KR2012/011533 WO2013100611A1 (en) | 2011-12-30 | 2012-12-27 | Display apparatus |
| EP12199459.4A EP2611146A1 (en) | 2011-12-30 | 2012-12-27 | Display apparatus with camera |
| EP18201067.8A EP3457249B1 (en) | 2011-12-30 | 2012-12-27 | Display apparatus |
| CN2012105852403A CN103187011A (en) | 2011-12-30 | 2012-12-28 | Display apparatus |
| JP2012289027A JP6312982B2 (en) | 2011-12-30 | 2012-12-28 | Display device |
| US13/730,512 US8994773B2 (en) | 2011-12-30 | 2012-12-28 | Display apparatus |
| US14/635,334 US9503679B2 (en) | 2011-12-30 | 2015-03-02 | Display Apparatus |
| KR1020200101147A KR102257484B1 (en) | 2011-12-30 | 2020-08-12 |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10147856 | 2011-12-30 | ||
| KR1020110147923 | 2011-12-30 | ||
| KR1020110147260 | 2011-12-30 | ||
| KR20110147260 | 2011-12-30 | ||
| KR1020110147195 | 2011-12-30 | ||
| KR1020110147924 | 2011-12-30 | ||
| KR1020110147854 | 2011-12-30 | ||
| KR20110147923 | 2011-12-30 | ||
| KR20110147924 | 2011-12-30 | ||
| KR20110147856 | 2011-12-30 | ||
| KR20110147195 | 2011-12-30 | ||
| KR20110147854 | 2011-12-30 | ||
| KR20110147531 | 2011-12-30 | ||
| KR1020110147531 | 2011-12-30 | ||
| KR20110147996 | 2011-12-31 | ||
| KR1020110147996 | 2011-12-31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01147A Division KR102257484B1 (en) | 2011-12-30 | 2020-08-12 |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79152A KR20130079152A (en) | 2013-07-10 |
| KR102146025B1 true KR102146025B1 (en) | 2020-08-20 |
Family
ID=48991946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137384A Active KR102146025B1 (en) | 2011-12-30 | 2012-11-29 | Display apparatus |
| KR1020200101147A Active KR102257484B1 (en) | 2011-12-30 | 2020-08-12 | Display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01147A Active KR102257484B1 (en) | 2011-12-30 | 2020-08-12 |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JP (1) | JP6312982B2 (en) |
| KR (2) | KR1021460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5430513U (en) * | 2016-03-30 | 2016-08-03 |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 Intelligence TV external device connecting piece |
| CN111511143A (en) * | 2020-05-18 | 2020-08-07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Integrated module and display device |
| JP2025033274A (en) * | 2023-08-29 | 2025-03-13 | Nec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株式会社 | Electronic equipment and camera units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77171B1 (en) * | 1998-06-30 | 2007-02-02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8294030A (en) * | 1995-04-19 | 1996-11-05 | Hitachi Ltd | Mobile phone integrated video camera |
| JPH1051665A (en) * | 1996-04-15 | 1998-02-20 | Sony Corp |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and electronic camera |
| US6847403B1 (en) * | 1997-11-05 | 2005-01-25 | Polycom, Inc. | Integrated portable videoconferencing unit |
| JP4390887B2 (en) * | 1999-01-25 | 2009-12-2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Imaging equipment |
| US7728906B2 (en) * | 2006-01-04 | 2010-06-01 | Apple Inc. | Embedded camera with privacy filter |
| KR101378880B1 (en) * | 2007-07-13 | 2014-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
| KR101265040B1 (en) * | 2010-04-27 | 2013-05-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
2012
- 2012-11-29 KR KR1020120137384A patent/KR102146025B1/en active Active
- 2012-12-28 JP JP2012289027A patent/JP6312982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8-12 KR KR1020200101147A patent/KR1022574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77171B1 (en) * | 1998-06-30 | 2007-02-02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79152A (en) | 2013-07-10 |
| JP2013141248A (en) | 2013-07-18 |
| JP6312982B2 (en) | 2018-04-18 |
| KR102257484B1 (en) | 2021-05-31 |
| KR20200099510A (en) | 2020-08-2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457249B1 (en) | Display apparatus | |
| KR102257484B1 (en) | Display apparatus | |
| CN106101502B (en) | Camera gun structure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display device structure | |
| KR102435650B1 (en) | mobile terminal | |
| JP2013179574A (en) | Imaging apparatus | |
| JP6550309B2 (en) | Intercom equipment | |
| EP2533516B1 (en) | Television | |
| JP2004135275A (en) | Displ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ed visual line | |
| JP2020020977A (en) | Electronics | |
| JP2007212775A (en) | Portable device | |
| JP5567075B2 (en) | Electronics | |
| JP5754213B2 (en) | Hinge unit and electronic device | |
| CN112904647A (en) | Motion camera | |
| KR20130078566A (en) | Multimedia unit and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 |
| KR101363046B1 (en) | camera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 KR20130088677A (en) | Multimedia unit and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 |
| WO2013080834A1 (en) | Image pickup apparatus | |
| CN115497388A (en) | Display device | |
| WO2004008191A1 (en) | Display/imaging device and method enabling matching of visual lines | |
| KR20050023856A (en) | Mobile communicatiom terminal having upper rotating part | |
| JP2006173959A (en) | Mobile device with camera | |
| KR20050032190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aparatable camera module | |
| KR20050003868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ional camera at rear side | |
| JP2015015605A (en) | Imaging apparatus | |
| KR20070000772U (en) | Video camera composite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