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4359B1 -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 Google Patents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359B1
KR102154359B1 KR1020180162510A KR20180162510A KR102154359B1 KR 102154359 B1 KR102154359 B1 KR 102154359B1 KR 1020180162510 A KR1020180162510 A KR 1020180162510A KR 20180162510 A KR20180162510 A KR 20180162510A KR 102154359 B1 KR102154359 B1 KR 10215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ignal
switch terminal
state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3864A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18016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359B1/en
Publication of KR2020007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8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35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기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회로 및 상기 회로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가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을 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ion device, in which a circuit for receiving a signal through a cable and a signal terminal connecting the circuit and the cable are built-in, and a part is opened so that the cable can be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 And a cover covering an open part of the case so as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flowing into the case when the cable is not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wherein the cover covers the open part of the case. In this case, a cable connection comprising a button for inputting a switching signal by the user and a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or the signal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button so that a switch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 device starts up.

Description

케이블 연결기기 {APPARATUS CONNECTING A CABLE}Cable connection device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을 때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버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connection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means for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a cover us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when the cable is not connected.

오늘날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신호를 주고받기 위하여 케이블을 이용한다.Today, in various technical fields, cables are used to receive power or to send and receive signals for data communication.

이러한 케이블의 단부는 케이블 연결기기에 연결되는데, 대표적인 방법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아서 처리하는 회로(10) 및 회로(10)와 케이블(C)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20)가 내장된 케이스(1) 내부에 케이블(C)이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된다.The end of such a cable is connected to a cable connection device, and a representative method is a circuit 10 and a circuit 10 and a cable C that receive and process a signal through a cable C, as shown in FIG. It is connected in a form in which the cable C is inserted into the case 1 in which the signal terminal 20 for connection is embedded.

이와 같이 케이블(C)이 케이블 연결기기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가 케이블(C)을 케이스(1)로부터 이탈시켜 신호단자(20)와의 연결을 끊었을 때 이물질이 케이스(1) 내부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able (C) is connected to the cable connection device, foreign matter enters the case (1) when the user disconnects the cable (C) from the case (1) and disconnects the signal terminal (20). Can occu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C)이 신호단자(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된 케이스(1)의 일부분을 덮는 커버(2)가 마련되는데, 이와 같이 커버(2)가 덮여져 있는 경우(도 2로 도시됨)에는 케이스(1)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충분히 방지하지만, 사용자가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신호가 아닌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단순한 스위칭신호를 넣는 경우라 하더라도 케이블(C)을 연결해야 하기에 커버(2)를 다시 제거해야 한다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ver 2 is provided to cover a part of the open case 1 so that the cable C can be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20. When the cover 2 is covered in this way ( 2) sufficiently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case 1, but a simple switching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is not a signal for the user to receive power or data communication. Even if a signal is put in, a new problem arises that the cover 2 must be removed again because the cable C must be connected.

특히, 이와 같은 새로운 문제는, 야외에서 많이 이용되는 자전거에 장착되는 여러 전자기기들과 연계된 케이블 연결기기와 같이, 외부에 노출이 많이 케이블 연결기기에 수시로 케이블을 연결하였다가 이를 해제하여야 하는 경우에 더 심각하다.In particular, such a new problem is when a cable is frequently connected to a cable connecting device that is exposed to a lot of outside, such as a cable connecting device connect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mounted on a bicycle that is widely used outdoors, and then has to be released. Is more serious.

이에, 본 발명에 대한 발명자는 "유럽 수출을 위한 전기 자전거용 0°컷오프를 갖는 전조등 내장 핸들바와 110°측면 조사각을 갖는 후미등 내장 싯포스트 개발"을 과제명으로 하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관하는 연구과제(과제 고유번호: 2016-1-014)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새로운 문제까지도 해결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기기에 대한 발명을 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et the title of "Development of a handlebar with built-in headlights for electric bicycles for export to Europe and a seatpost with a side illumination angle of 110°"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research project (project serial number: 2016-1-014), the invention of a cable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solving even the new problems as described above was ma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을 때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버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기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connecting device that can also be used as a means for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a cover us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when the cable is not connected.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는,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회로 및 상기 회로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가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을 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circuit that receives a signal through a cable and a signal terminal connecting the circuit and the cable, and the cable can be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A case that is partially open so that; And a cover covering an open part of the case so as to prevent foreign matters from flowing into the case when the cable is not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wherein the cover covers the open part of the case. In this case, a button for inputting a switching signal by the user and a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or the signal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button may be included so that the switch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여기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Here, the butt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whose shape is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is in an off state by allowing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to be interconnected when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In the on state, the switc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이때,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utton includes a hollow portion having an empty inside, and the switch terminal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while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s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portion is reduced, and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are interconnected, thereby turning on in an off state. A switching signal can be delivered to the state.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할 때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is deformed so as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is a connection part facing inside the case while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provided inside the case. Including, as the button is deformed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 pair of the signal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and are interconnected to be turned on in an off state. A switc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tate.

한편,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 변형과 무관하게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단자 및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단자에 대향하는 제2 스위치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제1 스위치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the butt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that changes shape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terminal and the signal terminal, which are always connected to the circuit regardless of the shape change of the button. And a second switch terminal facing the first switch terminal, wherein when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the first switch terminal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it is turned on in an off state ( On), a switch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이때,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스위치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스위치단자의 타단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상기 제1 스위치단자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스위치단자의 타단부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tton includes a hollow portion having an empty inside, the first switch terminal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ircuit at all times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has one end portion of the signal It is connected to a terminal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face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terminal inside the hollow part, so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hollow part is reduced As a resul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termina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terminal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us a switc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한편,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회로에서 별도로 분기된 한 쌍의 회로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the butt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whose shape is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allows a pair of circuit terminals separately branched from the circuit to be interconnected when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A switc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이때,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utton includes a hollow portion having an empty inside, and the switch terminal includes a pair of circuit terminals having each end portion always connected to the circuit and each other end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s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part is reduced, and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circuit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interconnected to be turned on in the off state ( On), a switch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할 때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utton is deformed so as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includes a connection part facing the inside of the cas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circuit terminal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user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button is deformed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so that the pair of circuit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and are interconnected, so that a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It could b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연결기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정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신호로 입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터치 신호 인식부를 통해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스위칭 신호로 해석하여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is formed to input the switching signal as a touch signal by the user using static electricity, and the switch terminal is provided through a touch signal recognition unit separately provided inside the case. The touch signal may be interpreted as the switching signal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or the signal terminal.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연결기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인 스위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각각의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e buttons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input a selective switching signal, and the switch terminal is the circuit or the signal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button. Can be connected with.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는,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을 때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버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커버를 제거하여 다시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over us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when the cable is not connected can also be used as a means for transmitting a switching signal, so that the cover is removed to reconnect the cable. There is an effect that switching signals can be transmitted without connection.

이와 같은 효과는, 야외에서 많이 이용되는 자전거에 장착되는 여러 전자기기들과 연계된 케이블 연결기기와 같이, 야외와 같이 이물질이 많은 상황에서 케이블을 연결하였다가 해제하는 경우가 빈번한 경우에 더욱 큰 효과가 있다.This effect is even greater when the cable is frequent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many foreign substances, such as outdoors, such as a cable connecting device connect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mounted on bicycles that are widely used outdoors. There is.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연결기기에서 케이블이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기기에서 케이블이 신호단자와 연결되지 않을 때 커버가 케이스를 덮고 있는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가 변형될 수 있는 일례를 제4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가 변형될 수 있는 다른 일례를 제5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cable is connected to a signal terminal in a conventional cable connection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cover covers a case when a cable is not connected to a signal terminal in a conventional cable connection devic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s a fourth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s a fifth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1 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로 나눠서 상세하게 설명을 하는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지만 각각의 실시예들 사이에서는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오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의 명칭과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하더라도, [도면]에서의 부호는 "-(번호)"형태로 구분하여 두기로 한다. (예를 들어, 버튼(100)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명칭 및 부호(100)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부호는 100-1로 표기하고, 제2 실시예와 관련된 도면부호는 100-2로 표기하기로 한다.)However, in explaining in detail by divid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lthough the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it may be implemented in a different shape between the respective embodiments. In order to prevent this, even though the names and symbols in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re used the same, the symbols in the [drawings] shall be separated by "-(number)". (For example, the button 100 is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and reference numeral 100 with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in bo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but reference numerals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are 100-1. And the reference numerals related to the second embodiment as 100-2.)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us it is specified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rst, a first embodiment of a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below, where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는 케이스(1) 및 커버(2)를 포함하고, 커버(2)는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 and a cover 2, and the cover 2 includes a button 100 and a switch terminal 200. Include.

여기서, 케이스(1) 및 커버(2)는 앞서 설명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스(1) 및 커버(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와 같은 케이스(1) 및 커버(2)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Here, the case 1 and the cover 2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case 1 and the cover 2, as mentioned in the [technology behind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uch a case 1 And the cover (2) has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and thus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즉, 케이스(1)는 케이블(C)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회로(10) 및 회로(10)와 케이블(C)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20)가 내장되고, 케이블(C)이 신호단자(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That is, the case (1) has a built-in circuit (10) that receives a signal through a cable (C) and a signal terminal (20) that connects the circuit (10) and the cable (C), and the cable (C) is It only needs to be configured to partially open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20.

또한, 커버(2)는 케이블(C)이 신호단자(20)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스(1)의 개방된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if the cover (2) is not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20) of the cable (C), as long as it is configured to cover the open part of the case (1)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case (1). do.

그러나, 커버(2)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스(1)의 개방된 일부를 덮을 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를 포함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결정되는 바,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ver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100 and a switch terminal 200 so that a switch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when covering the open part of the case 1 As a technical feature, and there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먼저, 버튼(100)은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스위칭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면 형상이나 크기, 재질이나 구조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First, the button 10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user inputs a switching signal, and if a switching signal can be input, the shape, size, material, structure, etc. may vary, and thus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다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button 1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ember whose shape is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inside is empty.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 hollow portion.

이때, 탄성부재는 고무와 같이 재질이 갖는 고유의 특성으로 탄성을 보유하는 부재일 수도 있고, 스프링과 같이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 갖는 특성으로 탄성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재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may be a member that retains elasticity due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such as rubber, or may be a member that is elastically retained due to a mechanical structure such as a spring.

이와 같이 버튼(100)이 형성되면 사용자가 가압하면 탄성부재로 형성되었기에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형상이 변경되게 될 것이다. (이때, 중공부를 차지하고 있는 공기가 압축되거나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등의 세부적인 기술적 특징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서 상세한 설명하지는 않는다.)When the button 100 is formed in this way,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he shape is chang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llow portion, which is empty, decreases because it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At this time, detailed technical features such as that the air occupying the hollow part is compressed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it is not described in detail.)

한편, 스위치단자(200)는 버튼(100)의 동작에 따라 회로(10) 또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 역시 버튼(100)의 동작에 따라 회로(10) 또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될 수 있다면 형상이나 크기, 재질이나 구조 등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the switch terminal 200 is a configur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circuit 10 or the signal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100, which is also the circuit 10 or the signal terminal ( If it can be connected with 20), the shape, size, material, or structure may vary,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다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 역시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스위치단자(200)는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신호단자(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중공부의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explain in more detail, this also takes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and the switch terminal 200 is a pair of signal terminals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button 100 ( 20)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facing in the interior of the hollow por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연결부는 한 쌍의 신호단자(20)와 연결되면서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한 쌍의 신호단자(20)와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20 and the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of course, it is configured to be energized with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20. Should be.

여기서, 오프(off)상태 및 온(on)상태는 2진법으로 처리되는 0과 1을 대변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특정 기기에서 전원을 켜거나 끄는 것 등으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도 안될 것이다.Here, the off state and the on state are used as terms representing 0 and 1 processed in binar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urning on or off the power in a specific device. Therefore,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또한, 연결부와 한 쌍의 신호단자(20)가 이격되는 소정 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100)이 가압될 때 감소되는 중공부의 크기 정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연결부와 한 쌍의 신호단자(20)가 연결되는 방향대로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지 않을 가능성까지도 고려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2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hollow part that is reduced when the button 100 is press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20 It will be advantageou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user does not press the button 100 in the direction in which) is connect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2)는, 사용자가 회로(10)에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케이스(1)로부터 제거되지 않더라도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가 있기에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ver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wants to input a switching signal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to the circuit 10, the button 100 and the button 100 even if it is not removed from the case 1 Since the switch terminal 200 is provided, a switching signal can be transmitted.

즉, 사용자가 스위칭 신호를 회로(10)에 입력하기 위해서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은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버튼(100)에 포함된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신호단자(20)는 스위치단자(200)에 포함된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맞춰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회로(10)에 전달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00 to input the switching signal into the circuit 10, the button 100 is deformed in shape,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part included in the button 100 is reduced, The signal terminal 20 of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included in the switch terminal 200 and is interconnected, so that the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10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will be.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하여는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Meanwhil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s an example.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서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는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in a modification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100 and the switch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할 때 케이스(1)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위치단자(200)는 케이스(1) 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신호단자(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케이스(1)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button 100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ed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200 includes a pair of signal terminals 20 provided inside the case 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part facing inside the case 1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이와 같이 변형되어 구성된 커버(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는,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이 케이스(1)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신호단자(20)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것이다.A modification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cover 2 configured as deform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00, the button 100 opens the inside of the case 1 As it is deformed so as to expand toward the direction, the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of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20 and being interconnected.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 실시예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케이스(1)와 커버(2)를 포함하고 커버(2)는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를 포함하는 바,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as follows, where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also includes a case 1 and a cover 2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ver 2 includes a button 100 and a switch terminal 200.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difference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에서의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경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단자(200)는 제1 스위치단자(210)와 제2 스위치단자(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button 10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that changes shape when the user presses it, bu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llow portion having an empty inside. The switch terminal 200 may include a first switch terminal 210 and a second switch terminal 220.

이때, 제1 스위치단자(210)는 버튼(100)의 형상 변형과 무관하게 회로(10)와 항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단자(220)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되어 제1 스위치단자(210)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버튼(100)의 형상이 변형될 때 제1 스위치단자(2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witch terminal 210 may be configured to be always connected to the circuit 10 regardless of the shape change of the button 100,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20 1 It is provided to face the switch terminal 21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terminal 210 when the shape of the button 100 is deformed.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단자(210)는 일단부가 회로(10)와 항시 연결되고 타단부가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스위치단자(220)는 일단부가 신호단자(20)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에서 제1 스위치단자(210)의 타단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witch terminal 21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ircuit 10 at all times and the other end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button 100,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220 has one end It is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20 and the other end may be formed to face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terminal 210 inside the hollow part of the button 100.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제1 스위치단자(210)의 타단부와 제2 스위치단자(220)의 타단부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대로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것이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shape of the button 100 is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00, the space inside the hollow part of the button 100 is reduced. As a resul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terminal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terminal 220 come into contact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t the user's will. .

계속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3 실시예 또한 제1 실시예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케이스(1)와 커버(2)를 포함하고 커버(2)는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를 포함하는 바, 아래에서는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ubsequently, a thir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below, wherein FIG. 6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ird embodiment is also the same as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the case 1 and the cover ( 2), and the cover 2 includes the button 100 and the switch terminal 200, and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서의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경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되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단자(200)는 버튼(100)의 형상이 변형될 때 회로(10)에서 별도로 분기된 한 쌍의 회로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button 100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that changes shape when the user presses it, bu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ollow portion having an empty inside. The switch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hape of the button 100 is deformed, a pair of circuit terminals separately branched from the circuit 10 are interconnected.

더욱 구체적으로, 스위치단자(200)는 각각의 일단부가 회로(10)와 항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버튼(100)의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회로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는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버튼(100)의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회로단자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witch terminal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circuit terminals, each one end is always connected to the circuit 10 and each other e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button 100, ,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shape of the button 100 is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00,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button 100 is reduced. Since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circuit termina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witc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Meanwhil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 7.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할 때 케이스(1) 내부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위치단자(200)는 한 쌍의 회로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button 100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ed into the case 1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200 is spaced apart from a pair of circuit terminals and inside the cas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facing in.

이때, 연결부와 관련된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의 변형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technical features related to the connection part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odification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 따르면, 사용자가 버튼(100)을 가압하면 버튼(100)이 케이스(1)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회로단자가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대로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00, the button 100 is deformed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1 As the pair of circuit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and are interconnected, a switch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at the user's will.

마지막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으며,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가 변형될 수 있는 일례를 제4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가 변형될 수 있는 다른 일례를 제5 실시예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Lastly,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wherein FIG. 8 is a first diagram of a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embodiment to the third embodiment can be modified as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for explaining the fifth embodiment.

즉, 아래 상세하게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에 모두 공통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버튼(100)과 스위치단자(200)에 설명으로, 모두 공통적으로 변형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의 변형에 해당하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re a button 100 and a switch terminal that can be modified in common with all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s explained in 200), even if all are modified in common, they correspond to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4 실시예에서의 버튼(100)은, 사용자가 가압하지 않더라도 스위치단자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정전기를 이용하여 스위칭 신호가 사용자에 의한 터치 신호로 입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100 in the fourth embodiment uses a switching signal using static electricity so that the switch terminal can be opera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pressurize it. May be formed to be input as a touch signal by a user.

이와 같이 버튼(100)이 형성되면, 스위치단자(200) 또한 이에 대응하여, 케이스(1)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터치 신호 인식부(300)를 통해 버튼(100)을 통해 입력된 터치 신호를 스위칭 신호로 해석하여 회로(10) 또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button 100 is formed in this way, the switch terminal 200 also corresponds to this, and the touch signal input through the button 100 through the touch signal recognition unit 300 separately provided inside the case 1 is converted into a switching signal. It can be interpreted as being connected to the circuit 10 or the signal terminal 20.

이와 같이 변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가 버튼(100)이 갖는 탄성보다 큰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아나 노인들이 사용하는 자전거에 이용하면 유리할 것이지만, 반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장갑을 낀 경우와 같이 버튼(100)에 정전기 신호를 가하지 못하면 터치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추운 기후에 수출되는 자전거에 이용되면 불리할 것이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ormed in this way, un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user does not have to apply a physical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button 100, so It would be advantageous if used for bicycles used by the elderly, but on the contrary, if the user does not apply an electrostatic signal to the button 100, such as when the user is wearing gloves, the touch signal is not input. something to do.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5 실시예에서의 버튼(100)은 사용자가 선택적인 스위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스위치단자(200)는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버튼(100)의 동작에 따라 회로(10) 또는 신호단자(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ttons 100 in the fifth embodiment may b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input a selective switching signal, and a switch terminal ( In response to this, 2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10 or the signal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button 100.

이와 같이 변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5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복수의 스위칭 신호를 다룰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것이지만, 반대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있는 중에 스위칭 신호를 넣는 경우 헷갈릴 수 있다는 점에서 불리할 것이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difi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advantageous in that it can handle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unlike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user is riding a bicycle. It will be dis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confusing if you put a switching signal in the middle.

즉,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기기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는 유리하고 불리한 점이 각각 있을 수 있으므로,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since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cabl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respectively, this is appl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maximize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do s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is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C : 케이블
1 : 케이스
2 : 커버
10 : 회로
20 : 신호단자
100 : 버튼
200 : 스위치단자
210 : 제1 스위치단자
220 : 제2 스위치단자
300 : 터치 신호 인식부
본 발명은 하기 대한민국 정부지원과제의 개발 결과물이다.
- 과제 고유번호: 2016-1-014
- 중앙행정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과제명: "유럽 수출을 위한 전기 자전거용 0° 컷오프를 갖는 전조등 내장 핸들바와 110° 측면 조사각을 갖는 후미등 내장 싯포스트 개발"
C: cable
1: case
2: cover
10: circuit
20: signal terminal
100: button
200: switch terminal
210: first switch terminal
220: second switch terminal
300: touch signal recogni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esult of development of the following Korean government support project.
-Assignment number: 2016-1-014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Project title: "Development of a handlebar with built-in headlights with 0° cut-off for electric bicycles and a seatpost with built-in rear lights with a side angle of 110° for export to Europe"

Claims (11)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회로 및 상기 회로와 상기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신호단자가 내장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되,
이물질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부를 덮고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오프(off)상태와 온(on)상태를 전환시키는 스위칭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A case in which a circuit for receiving signals through a cable and a signal terminal connecting the circuit and the cable is built-in, and a case in which a part is opened so that the cable can be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and a cover covering the open part of the case Including,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case, even if the cable is not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because the cover covers the open part of the case, the off state and on ) So that the switching signal to change the state can be transmitted,
The cover,
A button for the user to input the switching signal; And a switch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or the signal termi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whose shape is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allows a pair of the signal terminals to be interconnected when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A cabl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button includes a hollow portion having an empty inside, and the switch terminal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s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portion is reduced, and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nd are interconnected, thereby turning on in an off state. Cable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할 때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신호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button is deformed so as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includes a connection part facing the inside of the case while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ir of signal terminals provided inside the case. So,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s the button is deformed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a pair of the signal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and are interconnected, thereby a switching signal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Cable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 변형과 무관하게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단자 및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위치단자에 대향하는 제2 스위치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제1 스위치단자와 상기 제2 스위치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that is deforme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nd the switch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terminal and the signal terminal, which are always connected to the circuit regardless of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button. Including a second switch terminal facing the first switch terminal, wherein the first switch terminal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are interconnected when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A cabl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스위치단자는 일단부가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스위치단자의 타단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상기 제1 스위치단자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스위치단자의 타단부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button includes a hollow part having an empty inside, the first switch terminal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ircuit at all times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art, and the second switch terminal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It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face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terminal in the interior of the hollow par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s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part is reduce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terminal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terminal come into contact and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cabl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하는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될 때 상기 회로에서 별도로 분기된 한 쌍의 회로단자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that changes shape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allows a pair of circuit terminals separately branched from the circuit to be interconnected when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A cabl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회로와 항시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부가 상기 중공부 내부까지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button includes a hollow portion having an empty inside, and the switch terminal includes a pair of circuit terminals whose one end is always connected to the circuit and each other e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s the shape of the button is deformed, the inner space of the hollow part is reduced, and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circuit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interconnected to be turned on in the off state ( On) cable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가압할 때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되고, 상기 스위치단자는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대향하고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이 상기 케이스 내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회로단자는 상기 연결부와 접하게 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오프(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스위칭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button is deformed so as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when the user presses it, and the switch terminal includes a connection part facing the inside of the cas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circuit terminal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s the button is deformed to expand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a pair of the circuit terminals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and are interconnected, thereby switching signals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Cable conn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정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신호가 상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신호로 입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마련된 터치 신호 인식부를 통해 상기 터치 신호를 상기 스위칭 신호로 해석하여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button is formed to input the switching signal as a touch signal by the user using static electricity,
The switch terminal is a cabl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ircuit or the signal terminal by interpreting the touch signal as the switching signal through a touch signal recognition unit separately provided inside the cas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사용자가 선택적인 스위칭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단자는 각각의 상기 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로 또는 상기 신호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butt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so that the user can input a selective switching signal,
And the switch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ircuit or the signal termi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button.
KR1020180162510A 2018-12-14 2018-12-14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Active KR1021543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510A KR102154359B1 (en) 2018-12-14 2018-12-14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510A KR102154359B1 (en) 2018-12-14 2018-12-14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64A KR20200073864A (en) 2020-06-24
KR102154359B1 true KR102154359B1 (en) 2020-09-09

Family

ID=7140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510A Active KR102154359B1 (en) 2018-12-14 2018-12-14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3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24575B1 (en) * 2022-01-19 2024-11-01 한국전력공사 Voltage drop tes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550Y2 (en) 1993-06-29 2000-03-15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Push button switch
KR200303190Y1 (en) * 2002-10-30 2003-02-06 에이디반도체(주) Touch switch
JP2003141965A (en) * 2001-08-24 2003-05-16 Yazaki Corp Switch sheet and switches
JP2004031185A (en) 2002-06-27 2004-01-29 Yazaki Corp Thin switch
JP2004194037A (en) 2002-12-12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witch
JP2017062231A (en) * 2015-09-21 2017-03-30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Test cap for cab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550Y2 (en) 1993-06-29 2000-03-15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Push button switch
JP2003141965A (en) * 2001-08-24 2003-05-16 Yazaki Corp Switch sheet and switches
JP2004031185A (en) 2002-06-27 2004-01-29 Yazaki Corp Thin switch
KR200303190Y1 (en) * 2002-10-30 2003-02-06 에이디반도체(주) Touch switch
JP2004194037A (en) 2002-12-12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witch
JP2017062231A (en) * 2015-09-21 2017-03-30 バイオセンス・ウエブスター・(イスラエル)・リミテッドBiosense Webster (Israel), Ltd. Test cap for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864A (en)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0869B2 (en) Key structure
KR102154359B1 (en) Apparatus connecting a cable
ES8206943A1 (en) Integrated interface circuit between a television receiver and its peripheral socket.
CN102371073A (en) Electronic modular system
CN106227357B (en) A kind of Waterproof push-button module
US20200354010A1 (en) Bicycle head
KR950033896A (en) Reconfigurable Process Stage
JP2018160025A (en) cover
WO2001035429A8 (en) Electric part, and emergency stop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CN105430133B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multi-functional Kato
CN101626412A (en) Mobile terminal circuit with multifunctional earphone socket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06207685B (en) A kind of plug interconnecting device
HK1048664A1 (en) All-optical interconnect utilizing polarization gates
KR960019851A (en) Signal processing element with magnetic antenna and key device with this signal processing element
CN1937721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KR950030144A (en) AV System Audio / Video Connectivity
CN213123798U (en) Novel recording pen
JPH10233662A5 (en)
CN1468491A (en) Adapter device for dvb
CN201754330U (en) Buzzing module
CN113485088B (en) Keyboard switching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828848U (en) Temperature-humidity and human body sensing module
CN102375531A (e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human body sensing module
JP6047875B2 (en) Electronics
CN211125428U (en) Double-button device for fire alarm contro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