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733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2733B1 KR102152733B1 KR1020140076972A KR20140076972A KR102152733B1 KR 102152733 B1 KR102152733 B1 KR 102152733B1 KR 1020140076972 A KR1020140076972 A KR 1020140076972A KR 20140076972 A KR20140076972 A KR 20140076972A KR 102152733 B1 KR102152733 B1 KR 1021527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unit
- mobile terminal
- area
- screen
- touch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기 설정된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부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슬립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며, 활성화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 설정된 동작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기 설정된 제 2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미리보기 창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는 좌측 영역, 중앙 영역, 우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좌측 영역, 상기 중앙 영역, 상기 우측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 및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기 설정된 제 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슬립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 설정된 동작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기 설정된 제 2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미리보기 창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는 좌측 영역, 중앙 영역, 우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좌측 영역, 상기 중앙 영역, 상기 우측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50)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d는 보호 커버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25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마지막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미확인 이벤트 정보들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앱 아이콘 및/또는 위젯들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잠금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마지막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홈 화면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전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유/무선 연결된 타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퀵 윈도우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앱 아이콘 및/또는 위젯들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퀵 윈도우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멀티태스킹 중인 화면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퀵 윈도우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미확인 이벤트 정보들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퀵 윈도우를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홈 화면을 나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도 19는 보호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메인 화면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보호 커버의 일부 개폐 동작에 따라 측면 디스플레이부에 메인 화면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
120 :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60 : 인터페이스부
170 : 메모리 180 : 제어부
190 : 전원 공급부
Claims (20)
-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상태에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기 설정된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결정된,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부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슬립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며, 활성화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 설정된 동작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기 설정된 제 2 터치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미리보기 창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는 좌측 영역, 중앙 영역, 우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좌측 영역, 상기 중앙 영역, 상기 우측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좌측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부 중,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왼쪽에 배치된 제1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우측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부 중, 상기 단말기 바디의 오른쪽에 배치된 제2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중앙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배치된 전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부는 잠금 화면 또는 홈 화면을 동작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톡톡 두드리는 더블 터치 입력이거나, 혹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 복수의 지점을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두드리는 복수의 터치 입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동작화면은, 슬립 모드 진입 전 마지막으로 실행한 동작화면의 일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 사용자에 의해 미확인된 이벤트 정보들을 나열한 화면, 및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앱 아이콘 및/또는 위젯을 나열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보기 창의 경계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미리보기 창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보기 창의 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전체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항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 단말기 바디의 전면 및 측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슬립 모드(sleep mode)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기 설정된 제 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여 측면 디스플레이부의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슬립 모드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 설정된 동작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항목에 대한 기 설정된 제 2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미리보기 창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는 좌측 영역, 중앙 영역, 우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좌측 영역, 상기 중앙 영역, 상기 우측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활성화 단계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좌측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왼쪽에 배치된 제1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우측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 바디의 오른쪽에 배치된 제2 측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중앙 영역을 통해 상기 제 1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기 바디에 배치된 전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동작화면은, 잠금 화면 또는 홈 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입력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톡톡 두드리는 더블 터치 입력이거나, 혹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내 복수의 지점을 미리 결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두드리는 복수의 터치 입력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동작화면은, 슬립 모드 진입 전 마지막으로 실행한 동작화면의 일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 사용자에 의해 미확인된 이벤트 정보들을 나열한 화면, 및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앱 아이콘 또는 위젯을 나열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창의 경계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미리보기 창을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보기 창의 내부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 및
전체 디스플레이 유닛에 상기 항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76972A KR102152733B1 (ko) | 2014-06-24 | 2014-06-2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CN201480045870.9A CN105474612B (zh) | 2014-06-24 | 2014-07-03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US14/909,624 US10133394B2 (en) | 2014-06-24 | 2014-07-03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PCT/KR2014/005961 WO2015199270A1 (ko) | 2014-06-24 | 2014-07-03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EP14895501.6A EP3163761B1 (en) | 2014-06-24 | 2014-07-03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FR1554551A FR3022649B1 (fr) | 2014-06-24 | 2015-05-21 | Terminal mobile et procede de commande de celui-ci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76972A KR102152733B1 (ko) | 2014-06-24 | 2014-06-2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00110A KR20160000110A (ko) | 2016-01-04 |
| KR102152733B1 true KR102152733B1 (ko) | 2020-09-07 |
Family
ID=547829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76972A Expired - Fee Related KR102152733B1 (ko) | 2014-06-24 | 2014-06-24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10133394B2 (ko) |
| EP (1) | EP3163761B1 (ko) |
| KR (1) | KR102152733B1 (ko) |
| CN (1) | CN105474612B (ko) |
| FR (1) | FR3022649B1 (ko) |
| WO (1) | WO201519927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TWI681330B (zh) * | 2014-09-02 | 2020-01-01 |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 用以執行可攜式終端的應用程式的方法和可攜式終端裝置 |
| US10476937B2 (en) * | 2014-10-20 | 2019-11-12 | Facebook, Inc. | Animation for image elements in a display layout |
| US10649652B2 (en) * | 2014-11-12 | 2020-05-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interface of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
| CN104571832A (zh) * | 2015-01-19 | 2015-04-29 |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 移动终端、及其操控系统和方法 |
| KR20160098752A (ko) * | 2015-02-11 | 2016-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102422181B1 (ko) * | 2015-06-02 | 2022-07-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DK179360B1 (en) * | 2015-06-07 | 2018-05-22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and interacting with notifications |
| US10409439B2 (en) | 2015-08-05 | 2019-09-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9871546B2 (en) * | 2015-09-11 | 2018-01-16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Wearable terminal mountable on part of body of user |
| JP2017102429A (ja) * | 2015-11-19 | 2017-06-08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ウェアラブル端末および制御方法 |
| KR20170084586A (ko) * | 2016-01-12 | 2017-07-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그의 운용 방법 |
| CN105700816A (zh) * | 2016-03-03 | 2016-06-2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遥控器、绘图方法和绘图系统 |
| KR102505478B1 (ko) * | 2016-04-12 | 2023-03-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
| US10078387B2 (en) * | 2016-04-25 | 2018-09-18 | Apple Inc. | Display table |
| CN106055202B (zh) * | 2016-05-27 | 2019-08-2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复制粘贴方法及移动终端 |
| EP3287887B1 (en) * | 2016-08-22 | 2022-05-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565553B1 (ko) | 2016-11-09 | 2023-08-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CN106598470A (zh) * | 2016-12-27 | 2017-04-26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触控操作方法及装置 |
| US10678780B2 (en) * | 2017-01-05 | 2020-06-09 | Serelay Limited | Cross verification of data captured by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
| CN107132880A (zh) * | 2017-04-27 | 2017-09-05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智能可穿戴装置 |
| KR102364429B1 (ko) * | 2017-05-17 | 2022-0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KR102356628B1 (ko) * | 2017-06-21 | 2022-01-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다면 발광 표시 장치 및 화소 |
| KR102421518B1 (ko) * | 2017-06-27 | 2022-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2361003B1 (ko) | 2017-09-05 | 2022-02-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07871121B (zh) * | 2017-11-07 | 2020-04-1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指纹识别的方法和装置 |
| CN108415642B (zh) * | 2018-03-05 | 2020-04-1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显示方法及移动终端 |
| CN108614677A (zh) * | 2018-04-28 | 2018-10-02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08733299A (zh) * | 2018-05-17 | 2018-11-0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应用分屏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
| CN108762835A (zh) * | 2018-05-17 | 2018-11-06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应用运行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
| CN108737254A (zh) * | 2018-05-28 | 2018-11-02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应用聊天组件的显示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
| KR102091611B1 (ko) * | 2018-06-11 | 2020-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
| CN109117710B (zh) * | 2018-06-25 | 2022-08-05 |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 一种指纹识别控制方法 |
| CN111327729A (zh) * | 2018-12-14 | 2020-06-23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电子设备 |
| KR20210101089A (ko) | 2020-02-07 | 2021-08-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열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폴더블 전자 장치 |
| CN115016878A (zh) * | 2022-05-30 | 2022-09-06 |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 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10239142A1 (en) | 2010-03-25 | 2011-09-29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over multiple displays |
| US20130076649A1 (en) | 2011-09-27 | 2013-03-28 | Scott A. Myers |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
| US20130300697A1 (en) | 2012-05-14 | 2013-11-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s of portable terminal having bended display |
Family Cites Families (4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5008444A2 (en) * | 2003-07-14 | 2005-01-27 | Matt Pallakoff | System and method for a portbale multimedia client |
| US8005516B2 (en) * | 2004-10-01 | 2011-08-23 | Sharp Kabushiki Kaisha | Mobile information terminal |
| JP4219946B2 (ja) * | 2006-09-06 | 2009-02-04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携帯端末 |
| US7912508B2 (en) * | 2006-12-15 | 2011-03-22 | Motorola Mobility, Inc.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additional input or output device |
| US20140197049A1 (en) * | 2007-06-06 | 2014-07-17 | Belkin International, Inc. | Support from leg of user for electronic device or tablet computer and method |
| DE602008005865D1 (de) * | 2008-05-29 | 2011-05-12 | Lg Electronics Inc |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
| DE602008003680D1 (de) * | 2008-05-29 | 2011-01-05 | Lg Electronics Inc | Transparente Anzeige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
| EP2129091A1 (en) * | 2008-05-29 | 2009-12-02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transparent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
| EP2128686B1 (en) * | 2008-05-29 | 2017-07-05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with a solar cell module integrated under th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
| EP2129090B1 (en) * | 2008-05-29 | 2016-06-15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
| US8314859B2 (en) * | 2008-05-29 | 2012-11-2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image capturing method thereof |
| KR101482125B1 (ko) * | 2008-09-09 | 2015-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00042833A (ko) * | 2008-10-17 | 2010-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측면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
| KR101521219B1 (ko) * | 2008-11-10 | 2015-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065418A (ko) * | 2008-12-08 | 2010-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
| US8638311B2 (en) * | 2008-12-08 | 2014-01-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
| US8195244B2 (en) * | 2009-02-25 | 2012-06-05 |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 Multi-direction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US8565829B2 (en) * | 2009-03-02 | 2013-10-22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with detachably coupled sub-device |
| WO2010110550A1 (en) * | 2009-03-23 | 2010-09-30 | Core Logic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keyboard |
| US8786581B2 (en) * | 2009-09-16 | 2014-07-22 | Nec Corporation | Mobile information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US8195254B2 (en) * | 2009-12-22 | 2012-06-05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comprising a sliding display part |
| US8814754B2 (en) * | 2010-11-01 | 2014-08-26 | Nike, Inc. | Wearable device having athletic functionality |
| KR101808625B1 (ko) * | 2010-11-23 | 2018-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842906B1 (ko) * | 2011-02-10 | 2018-05-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 변경방법 |
| KR101802522B1 (ko) * | 2011-02-10 | 2017-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변경방법 |
| US9501179B2 (en) * | 2011-08-04 | 2016-11-22 | Atmel Corporation | Touch sensor for curved or flexible surfaces |
| US9110580B2 (en) * | 2011-08-05 | 2015-08-18 | Nokia Technologies Oy |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US10394427B2 (en) * | 2011-09-16 | 2019-08-27 | Nec Corpor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aving unlocking function |
| US20130076653A1 (en) * | 2011-09-27 | 2013-03-28 | Mohammed Selim | Displaying of charging status on dual screen device |
| US20130120398A1 (en) * | 2011-11-10 | 2013-05-16 | Psion Inc. | Input device and method for an electronic apparatus |
| KR102148717B1 (ko) * | 2011-12-05 | 2020-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101515629B1 (ko) * | 2012-01-07 | 2015-04-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
| KR101240724B1 (ko) * | 2012-02-29 | 2013-03-11 | 주식회사 팬택 | 플렉서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속된 화면 제공 방법 |
| KR101977084B1 (ko) * | 2012-10-05 | 2019-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 KR101951228B1 (ko) * | 2012-10-10 | 2019-0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촬상 방법 |
| US20140132481A1 (en) * | 2012-11-09 | 2014-05-15 | Microsoft Corporation | Mobile devices with plural displays |
| JP6278593B2 (ja) * | 2012-11-14 | 2018-02-14 | 京セラ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
| WO2014157885A1 (en) * | 2013-03-27 | 2014-10-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u interface |
| US10229258B2 (en) * | 2013-03-27 | 2019-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curity content |
| US20140372896A1 (en) * | 2013-06-14 | 2014-12-18 | Microsoft Corporation | User-defined shortcuts for actions above the lock screen |
| US9645721B2 (en) * | 2013-07-19 | 2017-05-09 | Apple Inc. | Device input modes with corresponding cover configurations |
| KR20150017098A (ko) * | 2013-08-06 | 2015-0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장치 및 그 운영 방법 |
| KR20150017150A (ko) * | 2013-08-06 | 2015-0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기기 및 그 운영 방법 |
| EP2866165B1 (en) * | 2013-10-28 | 2018-12-05 | LG Electronics Inc. -1-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504237B1 (ko) * | 2013-11-15 | 2015-03-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07476A (ko) * | 2014-03-14 | 2015-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 KR101659028B1 (ko) * | 2014-06-17 | 2016-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KR101659032B1 (ko) * | 2014-07-25 | 2016-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2161694B1 (ko) * | 2014-10-20 | 2020-10-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
2014
- 2014-06-24 KR KR1020140076972A patent/KR10215273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7-03 CN CN201480045870.9A patent/CN10547461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7-03 US US14/909,624 patent/US1013339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7-03 WO PCT/KR2014/005961 patent/WO201519927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7-03 EP EP14895501.6A patent/EP3163761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05-21 FR FR1554551A patent/FR3022649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10239142A1 (en) | 2010-03-25 | 2011-09-29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over multiple displays |
| US20130076649A1 (en) | 2011-09-27 | 2013-03-28 | Scott A. Myers |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
| US20130300697A1 (en) | 2012-05-14 | 2013-11-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s of portable terminal having bended display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EP3163761A1 (en) | 2017-05-03 |
| FR3022649B1 (fr) | 2018-10-19 |
| WO2015199270A1 (ko) | 2015-12-30 |
| US20170097715A1 (en) | 2017-04-06 |
| FR3022649A1 (ko) | 2015-12-25 |
| US10133394B2 (en) | 2018-11-20 |
| CN105474612B (zh) | 2019-06-14 |
| EP3163761A4 (en) | 2018-01-24 |
| EP3163761B1 (en) | 2019-11-20 |
| CN105474612A (zh) | 2016-04-06 |
| KR20160000110A (ko) | 2016-01-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5273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18684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US10382606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230929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166833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108069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317525B1 (ko) |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 KR10215869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24725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 KR102225943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251118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130798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 KR2019001734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25250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208114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21581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721669B1 (ko) | 알림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215816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50556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2017007954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2016005541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252509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218182B1 (ko) | 이동 단말기 | |
| KR2020011029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102201862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9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