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53305B1 - 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 - Google Patents

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305B1
KR102153305B1 KR1020190105774A KR20190105774A KR102153305B1 KR 102153305 B1 KR102153305 B1 KR 102153305B1 KR 1020190105774 A KR1020190105774 A KR 1020190105774A KR 20190105774 A KR20190105774 A KR 20190105774A KR 102153305 B1 KR102153305 B1 KR 10215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spectrum
unit
data link
aircr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의정
허홍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9010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3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0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8Adaptation for use in or on aircraft, missiles, satellites, or balloons
    • H01Q1/285Aircraft wir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6Communications with or from aircraft, i.e. aeronautical mobil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Sen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하는 스티어링 수행부,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하는 스펙트럼 분석부, 수행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하는 가용 주파수 식별부,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빔포밍 수행부,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 및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무선 자원 관리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nd a steering performing unit that steers a meta-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an aircraft based on a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A spectrum analysis unit that collects the spectrum for the frequency measured around the first point where is located, and performs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spectrum, and identifies the available frequency band that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n use based on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a beamforming unit that beamform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n order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and the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A data link quality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quality and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that determines priority by analyzing situational data generated in an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and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Description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A data 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sing meta antenna and its method {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

본 발명은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 및 빔포밍하고, 데이터 링크상에서 발생하는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and in more detail, steering and beamform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and analyzing situation-aware data occurring on a data li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that determines priority and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및/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중 사용자에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유 자원을 제공한다.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widely use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For example, voice and/or data services are being provided b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rovide one or more shared resources to multiple users.

이와 같이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고용량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 되는 것에 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은 높지 않다. 또한 다중 사용자들이 무선 자원을 공유하므로 사용자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무선 서비스의 전송 속도는 현저히 낮아진다. 때문에 대역폭을 증가하여 다중 사용자가 공유하는 무선 자원을 확대하거나 또는 동일한 대역폭의 무선 자원을 각 사용자와의 통신에 특정 빔(beam)을 사용함으로써 다중 사용자에 대한 무선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Compared to the activation of high-capacity multimedia service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various technologies,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not high. In addition, since multiple users share radio resources, the transmission speed of a radio service that users actually experience is significantly lowered. Therefore, various technologies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system for multiple users by increasing the bandwidth to increase the radio resources shared by multiple users, or by using a specific beam for communication with each user of the same bandwidth radio resources. Are being studied.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4687호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위한 무선자원의 관리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034687 discloses "a method of managing radio resources for uplink and down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하여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하고,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여 데이터 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steer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to identify an available frequency band that the aircraft can use, and beamforming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ata link.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to be measured.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에서 발생한 상황 인지 데이터를 토대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을 예측하고,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dicts the generation rate of context-aware data based on the context-aware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context-aware data, and allocates radio resourc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하는 스티어링 수행부;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하는 스펙트럼 분석부; 수행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하는 가용 주파수 식별부;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빔포밍 수행부;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 및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무선 자원 관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ata 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performing unit for steer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A spectrum analysis unit that collects a spectrum of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based on the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and performs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spectrum; An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n availabl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n be used based on the performance result; A beamforming performing unit for beamforming a meta-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n order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A data link quality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 quality of a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And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that analyzes situation-aware data occurring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determines a priority, and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상기 스펙트럼 분석부는, 스티어링을 통해 전파 소스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검색하고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스펙트럼 측정부; 측정된 스펙트럼 중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는 스펙트럼 수집부; 및 수집된 스펙트럼을 기 설정시간 동안 캡쳐하고, 분류 학습 기술을 통해 스펙트럼을 분류하는 스펙트럼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ectrum analysis unit may include a spectrum measurement unit that searches for frequencies used by radio wave source sources and measures a spectrum through steering; A spectrum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 spectrum of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among the measured spectrum; And a spectrum classification unit that captures the collected spectrum for a preset time and classifies the spectrum through a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또한, 상기 스펙트럼 분류부는 분류 학습 기술을 통해 수집된 스펙트럼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인지를 분별하여 스펙트럼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ectrum classifier is characterized in classifying the spectrum by discriminating whether the spectrum collec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is an uplink or a downlink.

또한, 상기 가용 주파수 식별부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주파수대역 및 시간 자원에 대하여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dentifies the frequency band and time resources available to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또한, 공간 전파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간 전파맵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지점의 현재 전파 상황과 과거 전파 상황을 비교하여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공간 전파맵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spatial propagation map comparison unit that receives spatial propagation map information from the spatial propagation map database and compares the current propagation status of the first point with the past propagation status to determine a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a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It features.

또한, 상기 빔포밍 수행부는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이 결정되면,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the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are determined, the beamforming unit beams the meta-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또한, 상기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는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ata link quality measur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easures the quality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of the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또한, 상기 무선 자원 관리부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한 상황 인지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크기와 변동률을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될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을 예측하는 데이터 생성 예측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되는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우선순위 판단부; 및 예측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과 판단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무선 자원 할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 data size and a change rate with respect to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A data generation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a generation rate of situational awareness data to be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 priority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priority of situational awareness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a radio resource allocating unit that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predicted generation rate of context-aware data and the determined priority of the context-aware data.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은 스티어링 수행부에 의해,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하는 단계; 스펙트럼 분석부에 의해,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하는 단계; 가용 주파수 식별부에 의해, 수행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하는 단계; 빔포밍 수행부에 의해,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단계;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에 의해,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및 무선 자원 관리부에 의해,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er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by a steering performing unit; Collecting, by the spectrum analysis unit, a spectrum for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based on the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and classifying the collected spectrum; Identifying, by the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an availabl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n be u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Beamforming, by the beamforming unit, a meta-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n order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Measuring, by a data link quality measuring unit, a quality of a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And, by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analyzing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to determine priority,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하는 단계는, 스티어링을 통해 전파 소스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검색하고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스펙트럼 중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스펙트럼을 기 설정시간 동안 캡쳐하고, 분류 학습 기술을 통해 스펙트럼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ased on the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the step of collecting the spectrum for the frequency measured around the first point where the aircraft is located, and perform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spectrum, is performed by the radio wave source sources through the steering. Searching for a frequency and measuring a spectrum; Collecting a spectrum of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among the measured spectrum; And capturing the collected spectrum for a preset time and classifying the spectrum through a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또한, 수행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하는 단계 이후에, 공간 전파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간 전파맵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지점의 현재 전파 상황과 과거 전파 상황을 비교하여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identifying the available frequency bands that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n us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the spatial propagation map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spatial propagation map database and the current propagation status and past propagation status of the first point Comparing and determining a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a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또한,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단계는,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이 결정되면,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the step of beamforming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may include determining a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a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 In order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s beamforming.

또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한 상황 인지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크기와 변동률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될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을 예측하는 단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되는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과 판단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analyzing situational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to determine the priority,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the size of the data for the situational data generated at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And analyzing the rate of change; Predicting a generation rate of situational awareness data to be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Determining a priority of situational awareness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predicted context-aware data generation rate and the determined priority of the context-aware data.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은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 및 빔포밍하고, Link-16 데이터 링크상에서 발생하는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무선 자원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nother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steering and beamform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and occurring on the Link-16 data link. Priority is determined by analyzing context-aware data, and radio resources are alloc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thereby optimiz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에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에 채용되는 스펙트럼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에 채용되는 무선 자원 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에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radio resource of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beamform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in a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for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pectrum analysis unit employed in a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for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employed in a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for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ing situational data occurring i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determining priority,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eps in detai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elements ar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점(A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는 제2 지점(B 지점)에 있는 다른 항공기와 Link-16 데이터 링크를 통해 상황 인지 데이터를 교환한다고 가정한다. 항공기는 항로가 정해져있어서 이동되는 위치에 대한 미래 정보는 알 수 있다고 가정한다. It is assumed that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point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hanges context-aware data with another aircraft at a second point (point B) through a Link-16 data link. It is assumed that the aircraft has a fixed route and that futur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it is moving is available.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가 이동 가능한 모든 지역의 전파에 대한 측정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이후, 설명되는 공간 전파맵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특정 위치에서 측정되는 주파수 대역, 강도 등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서 와이파이를 검색하면 주변의 와이파이가 식별되고 신호의 강도가 측정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measurement information on radio waves in all areas in which an aircraft can move is constructed as a database (a spatial propagation map database to be described later). These data are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band and intensity measured at a specific location. For example, searching for Wi-Fi on a smartphone is the same as the method in which nearby Wi-Fi is identified and the signal strength is measur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에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ircraft in the data 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beamforming the mounted meta antenna.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는 크게 스티어링 수행부(110), 스펙트럼 분석부(120), 가용 주파수 식별부(130), 공간 전파맵 비교부(140), 빔포밍 수행부(150),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160) 및 무선 자원 관리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performance unit 110, a spectrum analysis unit 120, an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130, and a spatial propagation unit. A map comparison unit 140, a beamforming unit 150, a data link quality measurement unit 160, and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70 are included.

스티어링 수행부(110)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한다. 여기서, 메타 안테나의 스티어링은 반복적인 스캔으로, 스티어링 수행부(110)는 빔폭을 좁게 만들고 여러빔을 만들어서 특정 영역을 스캔한다. The steering execution unit 110 steers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Here, the steering of the meta-antenna is an iterative scan, and the steering execution unit 110 scans a specific area by narrowing the beam width and creating several beams.

본 발명에서 메타 안테나를 도입하는 이유는 여러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검색하기 위함이다. 기존 안테나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맞춰서 설계/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는 수신이 불가하지만 메타 안테나는 형상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introducing the meta antenna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arch for several frequency bands simultaneously. Because conventional antennas are designed/manufactured for specific frequency bands, other frequencies cannot be received, but meta-antennas can receive various frequencies according to shape control.

스펙트럼 분석부(120)는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한다.The spectrum analysis unit 120 collects a spectrum of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based on a spectrum measured through steering, and classifies the collected spectrum.

스펙트럼 분석부(130)는 빔을 스캔하면서 다양한 전파 소스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검색하고 스펙트럼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다양한 전파 소스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검색하는 것은 cognitive radio 기술을 이용하며, 메타 안테나와 RF부에서 구현 가능해야 한다.The spectrum analysis unit 130 searches for frequencies used by various radio wave source sources while scanning the beam and measures the spectrum. At this time, searching for frequencies used by various radio wave source sources uses cognitive radio technology, and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meta antenna and the RF unit.

가용 주파수 식별부(130)는 수행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한다.The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130 identifies an available frequency band that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n use based on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가용 주파수 식별부(130)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주파수대역 및 시간 자원에 대하여 식별한다.The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130 identifies the frequency band and time resources available to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공간 전파맵 비교부(140)는 공간 전파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간 전파맵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지점의 현재 전파 상황과 과거 전파 상황을 비교하여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을 결정한다.The spatial propagation map comparison unit 140 receives spatial propagation map information from the spatial propagation map database and compares the current propagation status of the first point with the past propagation status to determine a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a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

즉, 어떤 지역에 설치된 전파 소스원이 발생하는 주파수 일정 부분 고정적일 수도 있지만 일시적으로 변동가능성이 크다.(예를 들어, FM 방송국이나 이동통신 기지국이 주변에 있다면 그 주변에는 지속적으로 동일 주파수가 발생할 것이고 신호의 강도는 상황에 따라 달아질 수 있다.) 또한, 재밍(jamming) 소스원이 있으면 이동 가능하므로 일시적으로 나타나고, 장소도 변경되고, 주파수도 변경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거 모든 영역에서의 전파 정보를 지도로 만들어 놓은 공간 전파맵 정보를 토대로, 제1 지점에서 현재의 전파 상황과 과거 전파 상황을 비교하여 제1 지점에서 어떤 주파수가 잘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어떤 시간대에 전파가 잘 발생되지 않아 데이터 링크를 위해 유효한 자원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requency at which the radio source source installed in a certain area may be fixed, bu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temporarily fluctuating. (For example, if an FM station or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is nearby, the same frequency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vicinity. The signal strength can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lso, if there is a jamming source, it appears temporarily, because it can be moved, and the location is changed, and the frequency is changed. Therefore, based on the spatial propagation map information that maps the propagation information in all of these past areas, the current propagation situation at the first point and the past propagation situation are compared, and a certain frequency is not well used at the first point, or Since propagation does not occur well during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it can be a valid resource for data linking.

빔포밍 수행부(150)는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포밍한다.In order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the beamforming performing unit 150 beamforms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as shown in FIG. 2.

빔포밍 수행부(150)는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이 결정되면,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한다. When the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the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are determined, the beamforming performing unit 150 uses a meta-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Beamforming.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160)는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품질을 측정한다.The data link quality measuring unit 160 measures the quality of a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160)는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품질을 측정한다.The data link quality measurement unit 160 measures uplink and downlink quality of a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즉, 선정된 후보 주파수 대역과 후보 시간자원에 대해서 f1, f2 그리고 t1, t2가 있다고 가정할 때 자원의 조합은 4가지 즉, (f1,t1), (f1,t2), (f2,t1), (f2,t2)이다. 이러한 조합 중 하나를 제2 지점의 항공기와 연결된 데이터 링크에 할당할 것이고, 4가지 링크에 대해서 각 채널 품질을 q1, q2, q3, q4 그리고 채널의 용량을 c1, c2, c3, c4라고 해서 단순히 품질이 높거나 채널 용량이 큰 것을 데이터 링크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추후 설명되는 무선 자원 관리부에 의해 무선 자원이 할당되게 된다.That is, assuming that there are f1, f2 and t1, t2 for the selected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candidate time resource, there are four combinations of resources, namely (f1,t1), (f1,t2), (f2,t1). , (f2,t2). One of these combinations will be assigned to the data link connected to the aircraft at the second point, and for the four links, each channel quality is q1, q2, q3, q4 and the capacity of the channel is simply c1, c2, c3, c4. Rather than allocating high quality or high channel capacity to a data link, radio resources are allocated by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무선 자원 관리부(170)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70 determines the priority by analyzing situation awareness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and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에 채용되는 스펙트럼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pectrum analysis unit employed in a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for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펙트럼 분석부(120)는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pectrum analysis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 spectrum for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based on the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and the collected spectrum Carry out the classification of.

이를 위해, 스펙트럼 분석부(120)는 스펙트렁 측정부(121), 스펙트럼 수집부(122) 및 스텍트럼 분류부(123)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pectrum analysis unit 120 includes a spectrum measurement unit 121, a spectrum collection unit 122, and a spectrum classification unit 123.

스펙트럼 측정부(121)는 스티어링을 통해 전파 소스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검색하고 스펙트럼을 측정한다.The spectrum measurement unit 121 searches for frequencies used by radio wave source sources through steering and measures a spectrum.

스펙트럼 수집부(122)는 측정된 스펙트럼 중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한다.The spectrum collection unit 122 collects a spectrum of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among the measured spectrum.

스펙트럼 분류부(123)는 수집된 스펙트럼을 기 설정시간 동안 캡쳐하고, 분류 학습 기술을 통해 스펙트럼을 분류한다.The spectrum classifier 123 captures the collected spectrum for a preset time and classifies the spectrum through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ology.

스펙트럼 분류부(123)는 데이터 링크의 스펙트럼은 업링크, 다운링크 스펙트럼이고 이 신호를 일정 시간 캡쳐하여 분류 학습 기술의 입력값으로 이용하여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분류 학습 기술은 SVM,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Random forest와 같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분류 학습 기술을 이용하는 이유는 스펙트럼을 분류하는 이유는 업링크, 다운링크의 특징을 알아내기 위함이다. 즉, 앞서 언급한 cognitive radio 기술로 주변 주파수 대역과 신호 강도를 알아냈지만 업링크인지 다운링크 인지 분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펙트럼 분류부(123)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업링크, 다운링크의 스펙트럼을 학습 시켜서 분류가능한 영역을 정의하고 이를 분류학습 기술로 분류할 수 있다.The spectrum classifier 123 performs spectrum classification by capturing the data link spectrum for an uplink or downlink spectrum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using it as an input value of a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At this time, the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used can be applied generally well-known techniques such as SVM,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and random forest. The reason for using the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is that the reason for classifying the spectrum is the uplink and downlink. This is to find out the features. That is, although the above-mentioned cognitive radio technology has found out the surrounding frequency band and signal strength,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an uplink or a downlink. Accordingly, the spectrum classifier 123 may learn the spectrum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in various frequency bands, define a classifiable region, and classify it with a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에 채용되는 무선 자원 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employed in a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for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부(170)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Referring to FIG. 4,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context-aware data generated i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to determine priority, and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이를 위해, 무선 자원 관리부는 데이터 분석부(171), 데이터 생성 예측부(172), 우선순위 판단부(173) 및 무선 자원 할당부(174)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includes a data analysis unit 171, a data generation prediction unit 172, a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73, and a radio resource allocation unit 174.

데이터 분석부(171)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한 상황 인지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크기와 변동률을 분석한다. The data analysis unit 171 analyzes the data size and change rate with respect to the situational awareness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데이터 생성 예측부(172)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될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을 예측한다.The data generation prediction unit 172 predicts a generation rate of situation-aware data that will occur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데이터 생성 예측부(172)는 상황 인지 데이터의 특성으로부터 대략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는 간헐적이므로 변동율이 적을 것이고, GPS 데이터는 변동율이 고정일 것이다. The data generation prediction unit 172 may roughly identif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aware data. For example, since voice data is intermittent, the rate of change will be small, and GPS data will have a fixed rate of change.

우선순위 판단부(173)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되는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판단한다.The priority determination unit 173 determines the priority of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예를 들어, 항공기의 조종사가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는 간헐적이면서 우선순위가 높다. 그러므로 데이터는 작은 용량이지만 에러 없이 전송되어야 한다. 다른 예를 들어, 항공기의 GPS 데이터의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생성되어 데이터량이 중간정도이지만 우선순위가 조종사의 명령에 비해서는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앞조종사 음성은 우선순위가 높고 GPS 데이터는 다음 우선순위를 갖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voice data generated by the pilot of an aircraft is intermittent and has a high priority. Therefore, although the data is small, it must be transmitted without errors. For another example, the data of the aircraft's GPS data is generated in real time, so the amount of data is medium, but the priority may be lower than the pilot's command. According to this, the voice of the front pilot has a higher priority, and the GPS data has the next priority.

무선 자원 할당부(174)는 예측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과 판단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unit 174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predicted generation rate of context-aware data and the priority of the determined context-aware data.

무선 자원 할당부(174)에서 적용되는 무선 자원 할당 알고리즘에는 waterfall 방식이나 라운드로빈과 같은 자원할당 메커니즘이 도입될 수 있다. 앞의 예에서 우선순위가 높다면 채널 품질이 높은 자원 조합을 선정할 것이고, 즉, 채널 품질에서 q1~q4중 값이 높은 것 선정한다음 상황 인지 데이터는 채널 용량이 큰 것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채널 용량에서 c1~c4중(우선순위가 높은 응용에게 할당한 자원은 제외하고 나머지 자원 중에) 선정한다. In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applied by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unit 174, a waterfall method or a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such as round robin may be introduced. In the previous example, if the priority is high, a resource combination with a high channel quality will be selected, that is, one with a higher value among q1 to q4 in the channel quality can be selected, and then one with a larger channel capacity can be selected as context-aware data. In other words, the channel capacity is selected from among c1 to c4 (out of the remaining resources excluding resources allocated to high-priority application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procedure of a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radio resource of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한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먼저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한다(S100). Referring to FIG. 5, the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the meta-antenna described above. First,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Steering the meta antenna installed in the (S100).

S100 단계에서는 빔폭을 좁게 만들고 여러빔을 만들어서 특정 영역을 스캔한다. In step S100, the beam width is narrowed and several beams are created to scan a specific area.

다음,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한다(S110)Next, based on the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the spectrum for the frequency measured around the first point where the aircraft is located is collected, and the collected spectrum is classified (S110).

S110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을 통해 전파 소스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검색하고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측정된 스펙트럼 중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을 기 설정시간 동안 캡쳐하여 분류 학습 기술을 통해 스펙트럼을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In step S110, as shown in FIG. 6, the frequency used by the radio wave source sources is searched for through steering, the spectrum is measured, and the spectrum of the frequency measured around the first point where the aircraft is located among the measured spectrums. It includes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capturing the collected spectrum for a preset time and classifying the spectrum through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ology.

다음, 수행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한다(S120).Next, based on the performance result, an availabl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n be used is identified (S120).

S120 단계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주파수대역 및 시간 자원에 대하여 식별한다.In step S120, the frequency band and time resources available to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are identified.

다음, 공간 전파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간 전파맵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지점의 현재 전파 상황과 과거 전파 상황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하여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을 결정한다(S140).Next, the spatial propagation map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patial propagation map database and the current propagation status of the first point and the past propagation status are compared as shown in FIG. 6 to determine a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a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S140).

다음,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포밍한다(S150)Next, in order to maintain the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s beamformed as shown in FIG. 2 (S150).

S150 단계는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이 결정되면,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한다. In step S150, when the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the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are determined, the meta-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s beamformed to maintain the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다음,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품질을 측정한다(S160).Next, the quality of the data link is measured through the beam formed by beamforming (S160).

S160 단계는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품질을 측정한다.In step S160, the quality of the uplink and downlink of the data link is measured through the beam formed by beamforming.

마지막으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S170). S170 단계는 이후 도 7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Finally, priority is determined by analyzing situational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and radio resources are allocate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S170). Step S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FIG. 7.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에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ing situational data occurring i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determining priority,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eps in detail.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에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먼저,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한 상황 인지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크기와 변동률을 분석한다(S200).Referring to FIG. 7, in the method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ority is determined by analyzing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step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first, a data size and a change rate are analyzed with respect to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S200).

다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될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을 예측한다(S210).Nex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generation rate of situation-aware data to be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s predicted (S210).

S210 단계는 상황 인지 데이터의 특성으로부터 대략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는 간헐적이므로 변동율이 적을 것이고, GPS 데이터는 변동율이 고정일 것이다. Step S210 can be roughly identifi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aware data. For example, since voice data is intermittent, the rate of change will be small, and GPS data will have a fixed rate of change.

다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되는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판단한다(S220).Nex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priority of situation awareness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s determined (S220).

다음, 예측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과 판단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S230).Next, radio resources are allocated based on the predicted generation rate of context-aware data and the priority of the determined context-aware data (S230).

S230 단계에서,적용되는 무선 자원 할당 알고리즘에는 waterfall 방식이나 라운드로빈과 같은 자원할당 메커니즘이 도입될 수 있다. In step S230, a waterfall method or a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 such as round robin may be introduced in the applied radio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The functional oper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embodiments related to the subject ar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structur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tructural equivalents thereof, or in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It is possible.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include one or more of a computer program product, i.e., one or more of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medium for execution by or to control its operation by a data processing device. It can be implemented as a module. The tangible program medium may be a radio wave signal or a computer-readable medium. A radio wave signal is an artificially generated signal, such as a machine-generated electrical, optical or electromagnetic signal, generated to encode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to a suitable receiver device for execution by a comput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bination of materials that affect a machine-readable radio wav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Computer programs (also known as programs,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s, scripts, or code) can be written in any form of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nd can be written as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Computer program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files on the file device.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files in which one or more stores a module, subprogram, or part of code), or in a file that holds other programs or data. Some (eg, one or more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may be stored within a script).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a singl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설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Additionally, the logical flows and structural block diagrams described in this patent document describe the corresponding actions and/or specific methods supported by the corresponding functions and steps supported by the disclosed structural means. It can also be used to set up software structures and algorith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The processes and logic flows described herein may be executed by a programmable processor, one or more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in order to perform a function by operating on received data and generating an output.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Processors suitable for execution of computer programs include, for example, both general purpose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of any type of digital computer being a processor. Typically, the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read-only memory,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The key elements of a computer are one or more memory devices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and a processor for performing the instructions. In addition, computers are generally operable to receive data from, transfer data to, or perform both of the mass storage devices, such as one or more for storing data, such as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Combined or will include. However, the computer does not need to have such a device.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The present description presents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The thus written specification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hort,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ll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or to follow all the sequences shown in the drawings as shown in the order shown. Note that it may fall within the range.

100 :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110 : 스티어링 수행부
120 : 스펙트럼 분석부
130 : 가용 주파수 식별부
140 : 공간 전파맵 비교부
150 : 빔포밍 수행부
160 :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
170 : 무선 자원 관리부
100: Data 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device using meta antenna
110: steering execution unit
120: spectrum analysis unit
130: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140: space propagation map comparison unit
150: beamforming execution unit
160: data link quality measurement unit
170: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Claims (13)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하는 스티어링 수행부;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하는 스펙트럼 분석부;
수행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하는 가용 주파수 식별부;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빔포밍 수행부;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무선 자원 관리부; 및
공간 전파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간 전파맵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지점의 현재 전파 상황과 과거 전파 상황을 비교하여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공간 전파맵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A steering performing unit for steer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located at a first point;
A spectrum analysis unit that collects a spectrum of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based on the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and performs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spectrum;
An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n availabl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n be used based on the performance result;
A beamforming performing unit for beamforming a meta-antenna mounted on an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n order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A data link quality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 quality of a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A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that analyzes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determines a priority, and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And a spatial propagation map comparison unit that receives spatial propagation map information from the spatial propagation map database and compares the current propagation condition of the first point with the past propagation condition to determine a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a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Data 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device using a meta-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분석부는,
스티어링을 통해 전파 소스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검색하고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스펙트럼 측정부;
측정된 스펙트럼 중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는 스펙트럼 수집부; 및
수집된 스펙트럼을 기 설정시간 동안 캡쳐하고, 분류 학습 기술을 통해 스펙트럼을 분류하는 스펙트럼 분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trum analysis unit,
A spectrum measurement unit that searches for frequencies used by radio wave source sources and measures a spectrum through steering;
A spectrum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 spectrum of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among the measured spectrum; And
A spectrum classification unit that captures the collected spectrum for a preset time and classifies the spectrum through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ology;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for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펙트럼 분류부는 분류 학습 기술을 통해 수집된 스펙트럼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인지를 분별하여 스펙트럼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pectrum classification unit classifies the spectrum by discriminating whether the spectrum collect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is an uplink or a downlink.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for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주파수 식별부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주파수대역 및 시간 자원에 대하여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identifies the frequency band and time resources available to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수행부는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이 결정되면,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the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are determined, the beamforming performing unit beamforming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A data link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sing a meta antenna,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는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link quality measuring unit measures the quality of the uplink and the downlink of the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관리부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한 상황 인지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크기와 변동률을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될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을 예측하는 데이터 생성 예측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되는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우선순위 판단부; 및
예측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과 판단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무선 자원 할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data size and change rate with respect to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A data generation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a generation rate of situational awareness data to be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 priority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priority of situational awareness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A radio resource allocating unit that allocates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predicted context-aware data generation rate and the determined priority of the context-aware data;
Radio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for a data link using a meta antenna, comprising:
스티어링 수행부에 의해,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스티어링하는 단계;
스펙트럼 분석부에 의해,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하는 단계;
가용 주파수 식별부에 의해, 수행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가 사용 가능한 가용 주파수대역을 식별하는 단계;
공간 전파맵 비교부에 의해, 공간 전파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공간 전파맵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지점의 현재 전파 상황과 과거 전파 상황을 비교하여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빔포밍 수행부에 의해,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단계;
데이터 링크 품질 측정부에 의해, 빔포밍으로 형성된 빔을 통해 데이터 링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단계; 및
무선 자원 관리부에 의해,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Steering a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y the steering execution unit;
Collecting, by the spectrum analysis unit, a spectrum for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based on the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and classifying the collected spectrum;
Identifying, by the available frequency identification unit, an availabl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can be us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Determining a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a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by comparing the current propagation status of the first point with the past propagation status by receiving spatial propagation map information from the spatial propagation map database by the spatial propagation map comparison unit ;
Beamforming, by the beamforming unit, a meta-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n order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Measuring, by a data link quality measuring unit, a quality of a data link through a beam formed by beamforming; And
Analyzing, by the radio resource management unit,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determining a priority,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스티어링을 통해 측정된 스펙트럼을 토대로,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고, 수집된 스펙트럼의 분류를 수행하는 단계는,
스티어링을 통해 전파 소스원들이 사용하는 주파수를 검색하고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스펙트럼 중 항공기가 위치한 제1 지점의 주변에서 측정되는 주파수에 대한 스펙트럼을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스펙트럼을 기 설정시간 동안 캡쳐하고, 분류 학습 기술을 통해 스펙트럼을 분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Based on the spectrum measured through the steering, the step of collecting the spectrum for the frequency measured around the first point where the aircraft is located, and perform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collected spectrum,
Searching for frequencies used by radio wave source sources through steering and measuring a spectrum;
Collecting a spectrum of a frequency measured around a first point where an aircraft is located among the measured spectrum; And
Capturing the collected spectrum for a preset time and classifying the spectrum through a classification learning technique;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단계는,
제1 지점에 대한 후보 주파수 대역 및 후보 시간 자원이 결정되면, 제2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 장착된 메타 안테나를 빔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In order to maintain the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the step of beamforming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When the candidate frequency band and the candidate time resource for the first point are determined, the meta antenna mounted o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is beamformed to maintain a data link with the aircraft located at the second point.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of data link using antenna.
제9항에 있어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상황 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한 상황 인지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크기와 변동률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될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을 예측하는 단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1 지점에 위치한 항공기에서 발생되는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예측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생성률과 판단된 상황 인지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토대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 안테나를 활용한 데이터 링크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s of determining priority by analyzing situational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Analyzing a data size and a rate of change with respect to situation-aware data generated in an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Predicting a generation rate of situational awareness data to be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Determining a priority of situational awareness data generated in the aircraft located at the first poi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Allocating radio resources based on the predicted context-aware data generation rate and the determined priority of the context-aware data;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of a data link using a meta-antenna comprising a.
KR1020190105774A 2019-08-28 2019-08-28 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 Active KR102153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74A KR102153305B1 (en) 2019-08-28 2019-08-28 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74A KR102153305B1 (en) 2019-08-28 2019-08-28 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305B1 true KR102153305B1 (en) 2020-09-08

Family

ID=7245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74A Active KR102153305B1 (en) 2019-08-28 2019-08-28 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30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892A (en) * 2015-02-27 2016-09-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n unmanned airborne vehicle for wireless network, an unmanned airborne vehicle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70127332A1 (en) * 2015-11-03 2017-05-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flight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coverage of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located in aircraft
US20190245611A1 (en) * 2017-02-15 2019-08-08 Viasat, Inc. Dynamic spatial allocation of satellite capacity based on mobile vessel load forecas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892A (en) * 2015-02-27 2016-09-06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n unmanned airborne vehicle for wireless network, an unmanned airborne vehicle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170127332A1 (en) * 2015-11-03 2017-05-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flight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coverage of mobile communications equipment located in aircraft
US20190245611A1 (en) * 2017-02-15 2019-08-08 Viasat, Inc. Dynamic spatial allocation of satellite capacity based on mobile vessel load forecas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77681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rioritized spectrum management and utilization
US1209623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rioritized spectrum management and utilization
US2023030062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rioritized spectrum management and utilization
US2023011073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rioritized spectrum management and utilization
US2025022748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rioritized spectrum management and utilization
US20240106683A1 (en) Co-channel signal classification using deep learning
US12262213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rioritized spectrum management and utilization
US2025028029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rioritized spectrum management and utilization
KR102584996B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radio network design
KR102153305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rment of data link using meta antenna
US2024041455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rioritized spectrum management and utilization
Dhakal et al. Effect of primary user traffic on largest eigenvalue based spectrum sensing technique
KR10241599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spatial multiple mode detection
Shaibu et 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machine learning models for path loss prediction at 3.5 GHz with focus on feature prioritization
Patel et al. Non-parametric blind spectrum sensing based on censored observations for cognitive radio
Agarwal et al. Hardware implementation of k-means clustering based spectrum sensing using usrp in a cognitive radio system
CN119585746A (en) Method for communication
Kanuri et al. Impact of location spoofing attacks on performance prediction in mobile networks
Trang et al. Millimeter Wave Path Loss Modeling for UAV Communications Using Deep Learning
Aleksiejunas et al. Usage of Published Network Traffic Datasets for Anomaly and Change Point Detection
Pu et al. Primary user emulation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distributed sensor networks
Suriya et al. SPECTRUMNET: Cooperative Spectrum Monitoring Using Deep Neural Networks
Alam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Cognitive Radios in a Cooperative Scheme over Nakagami Fading Channels
KR20200119138A (en) A operating method of a quality expect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changing connections to wireless networks based on learning models of quality expectations
US20250133427A1 (en) Machine learning based network drive test priorit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