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4512B1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512B1
KR102174512B1 KR1020140016090A KR20140016090A KR102174512B1 KR 102174512 B1 KR102174512 B1 KR 102174512B1 KR 1020140016090 A KR1020140016090 A KR 1020140016090A KR 20140016090 A KR20140016090 A KR 20140016090A KR 102174512 B1 KR102174512 B1 KR 10217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food
displayed
display area
transpa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5041A (en
Inventor
이재영
백승철
양정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12B1/en
Priority to US14/618,440 priority patent/US9972284B2/en
Priority to CN201510075260.XA priority patent/CN104833159A/en
Publication of KR20150095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041A/en
Priority to US15/957,141 priority patent/US10224007B2/en
Priority to US16/252,220 priority patent/US10692470B2/en
Priority to US16/848,161 priority patent/US110309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12B1/en
Priority to US17/340,936 priority patent/US11862127B2/en
Priority to US18/512,826 priority patent/US12374310B2/en
Priority to US19/236,300 priority patent/US20250308484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는 도어 글라스와, 상기 도어 글라스의 테두리에 둘러져서 상기 도어 글라스를 보호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하면, 레시피 메뉴를 포함하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메뉴들이 상기 도어 글라스의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레시피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레시피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고내에 저장되고 있는 보유 식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보유 식품에 대한 정보는, 해당 보유 식품이 위치한 저장실의 저장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nd a door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oor comprising a door glas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area, and a door fram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door glass to protect the door glass. And,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is touched, a plurality of selectable menus including a recipe menu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and when a recipe menu is select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recipe and the current storage are stored. Information on the holding food is display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holding food is displayed on a transparent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a storage bin of a storage room in which the holding food is located.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도어는 불투명하게 되어 있어,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열어야 하고, 도어를 열때마다 냉기가 누설되고, 고외의 더운 공기가 고내로 유입되어 냉장고 전력 소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In general, the door of a refrigerator is opaque, so you have to open the door to check the food stored in the store, and cold air leaks each time you open the door, and hot air from outside the room enters the room, which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refrigerator. do.

또한,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유통 기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어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식품 정보와 유통 기한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등장하였다. 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expiration date of food stored in the store, a refrigerator has appeared in which food information and expiration date can be input through a control panel and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a door.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2010-0082759호(2010년7월19일 공개)에는 투명 도어를 구비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082759 (published on July 19, 2010) discloses a refrigerator having a transparent door.

그러나, 상기의 선행 기술에 의하면, 단순히 냉장고 도어를 투명하게 하여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전부이고, 특정 음식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는 없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ll that is to be able to check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by simply making the refrigerator door transparent, and information on a specific food cannot be confirmed.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2012-0116751호(2012년10월23일 공개)에는 식품의 유통 기한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16751 (published on October 23, 2012) discloses a method for entering the expiration date of food.

그러나, 상기의 선행 기술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도어를 개방하지 않는 한 어느 식품이 어느 칸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는 없는 단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check information on foods stored in the refrigerator through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door, but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ich food is stored in which compartment unless the door is opened. There are drawback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도 음식물이 어느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심 식품을 눈으로 보면서 도어 전면부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해당 식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not only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ere food is stored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but also by touching the front of the door while viewing the food of interes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to check information about

또한, 원하는 요리를 위한 레시피를 도어 글라스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레시피에 필요한 재료들 중 현재 보유하고 있는 식재료들을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부족한 식재료들을 온라인 쇼핑을 통하여 구매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 refrigerator and a refrigerator that allows you to select a recipe for a desired dish through the door glass, instantly check the ingredients currently in possession of the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selected recipe, and make it possible to purchase insufficient ingredients through online shopping.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는 도어 글라스와, 상기 도어 글라스의 테두리에 둘러져서 상기 도어 글라스를 보호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하면, 레시피 메뉴를 포함하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메뉴들이 상기 도어 글라스의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레시피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레시피에 대한 정보 및 현재 고내에 저장되고 있는 보유 식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보유 식품에 대한 정보는, 해당 보유 식품이 위치한 저장실의 저장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nd a door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the door comprising a door glas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area, and a door fram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door glass to protect the door glass. And,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is touched, a plurality of selectable menus including a recipe menu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and when a recipe menu is select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recipe and the current storage are stored. Information on the holding food is display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holding food is displayed on a transparent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a storage bin of a storage room in which the holding food is loca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투명 도어 글라스; 및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내부에 식품 저장을 위한 다수의 저장칸이 구획 형성되는 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에 수납된 식품의 확인이 가능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이고,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의 전면 어느 지점의 터치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의 어느 영역에 레시피 메뉴를 포함하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메뉴들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 선택된 레시피에 필요한 식재료들 중 현재 고내에 저장되어 있는 보유 식재료에 대한 식품 정보 이미지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식품 정보 이미지는, 상기 보유 식재료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parent door glas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And a storage compartment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transparent door glass, and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for food storage are formed therein, and through the transparent door glass, control of a refrigerator capable of checking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method, comprising: sensing a touch of a front surface of the transparent door glass;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menus including a recipe menu in a certain area of the transparent door glass o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Among the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selected recipe, a food information image of the food material currently stored in the storage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and the food information image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storage bin in which the food ingredients are stor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in a transparent display area.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도 저장된 음식물의 종류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stored food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or door.

또한, 관심 식품이 저장된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도어 글라스 전면을 터치하는 것 만으로 해당 식품의 유통 기한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by simply checking the location where the food of interest is stored and touching the front of the door glas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또한, 사용자가 도어 글라스를 터치하는 것으로 도어의 투명 및 불투명 전환이 가능하여, 수납 음식물을 확인하는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때에는 도어가 불투명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냉장고 내부가 외부인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touching the door glass, the door can be switched between transparent and opaque, so that the door remains opaque when the operation to check the food stored is not performed, so that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not visible to outsiders. There is this.

또한, 원하는 요리에 필요한 레시피를 선택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식품 정보가 도어 글라스에 표시될 뿐만 아니라, 보유 식품이 저장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어 글라스 부분에 상기 식품 정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식품이 무엇이고, 구입이 필요한 식품이 무엇인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recipe required for a desired dish is selected, not only the food information currently held is displayed on the door glass, but also the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oor glas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holding food is stor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mediately check what foods are available and what foods need to be purch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글라스에 표시되는 식품 정보 표시 이미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식품 정보 입력 및 식품 정보 확인을 위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6은 투명 전환 가능한 도어 글라스를 통하여 식품 정보를 입력하거나 식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7은 식품 정보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보유 식재료 확인 방법에 대한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서 설명한 레시피 보유 식재료 확인 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state information of food stored in the storage.
3 and 4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food information display images displayed on a door glass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and checking food inform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for entering food information or checking food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switchable door glass.
7 is a diagram showing a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for a method of checking food ingredients having a rec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2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a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firming ingredients having recipes described in FIG. 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고내에 저장된 식품의 상태 정보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showing state information of food stored in the storag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을 포함하는 본체(11)와,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연결되는 도어(12)를 포함한다. 1 and 2, a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 includ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and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It includes a door 12 to be connected.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12)는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도어 글라스(122)와,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외곽에 둘러지는 도어 프레임(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완전 불투명 상태부터 완전 투명 상태까지 투명도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도어(12)를 닫은 상태에서도 상기 저장실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고, 관심 대상 식품에 대한 정보가 상기 도어 글라스(122)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torage compartment may include one or both of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a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door 12 includes a door glass 122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and a door fram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door glass 122 ( 121) may be included. The door glass 122 is capable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from a completely opaque state to a completely transparent state, so that even when the door 12 is closed,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checked, and information on the food of interest is displayed in the It can be displayed on the door glass 122.

또한, 상기 도어 글라스(122)에는 문자와 이미지 기타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면에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A)이 구획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들(A) 각각은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선반 등에 의하여 구획되는 저장 영역의 전면부 면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A)의 상하방향 폭은,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선반들 간의 높이에 대응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A)의 좌우 폭은 상기 도어 프레임(121)을 제외한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획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A)은 다수 개의 작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oor glass 122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display panel capable of implementing text, images and other moving pictures. 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A) may be part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glass 122,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 is a front part of a storage area partitioned by a shelf or the like in the storage compartment. It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ea. In other words, the vertical width of any one display area A corresponds to the height between the shelve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one display area A are the door frame It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door glass 122 except for 121.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partitioning method, and the one display area A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display areas.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은 좌표 형태로 지정관리될 수 있다. 즉, X-Y 좌표 형태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의 네 꼭지점이 정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 내의 어느 지점이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판단하여 터치된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 전체가 투명하게 되거나, 디스플레이 영역(A) 내에 디스플레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isplay area A may be designated and managed in the form of coordinates. That is, in the form of XY coordinates, when four vertices of the display area (A) are defined, and when a point in the display area (A) is touched by a use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is and the display area including the touched point (A) The whole may be transparent, or a display screen may be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

이와 같이, 상기 도어 글라스(122)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저장실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칸별로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별로 독립 제어 되므로, 상기 저장실의 특정 칸에 저장된 식품의 정보가 해당 칸의 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고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바라보면서 시선을 위아래 또는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해당 식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display area formed on the door glass 122 is independently formed for each storage compartment form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s independently controlled for each display area, information on the food stored in a specific compartment in the storage compartment corresponds to It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located in front of the cell. As a result,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ogniz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the food without moving his gaze up or down or left and right while looking at the food stored in the storag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어느 지점을 터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영역(A)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식품 정보 표시 이미지(20)가 디스플레이 된다. 예컨대, 투명 상태에 있는 상기 도어 글라스(122)를 통하여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를 확인하고, 과일이 저장된 칸을 확인한 다음, 과일이 저장된 영역에 해당하는 도어 글라스(122) 부분을 손으로 터치하면,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A)에 과일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유통 기한이 며칠 남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특정 칸에 종류가 다르거나 수납 시기가 다른 식품들이 다수 개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해당 디스플레이 영역(A)을 터치하면 해당 칸에 저장된 모든 종류의 식품에 대한 식품 정보 표시 이미지들(20)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 when a user touches a point on the door glass 122 with a finger, information on food stored in the display area A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in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The displayed food information display image 20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user checks the inside of the storage room through the door glass 122 in a transparent state, checks the compartment in which the fruit is stored, and then touches the part of the door glass 122 corresponding to the region in which the fruit is stored, the corresponding Fruit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 That is, as shown, information on how many days the expiration date is left may be displayed. If a number of foods of different types or different storage times are stored in a specific cell, touching the corresponding display area (A) displays food information display images 20 for all types of foo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cell at the same time. You can do it.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글라스에 표시되는 식품 정보 표시 이미지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food information display images displayed on a door glass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식품의 이름과, 그 식품의 유통 기한이 며칠 남았는지를 알려주는 형태로 식품 정보 표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면, 특정 식품의 이름과, 그 식품이 고내에 수납된 날로부터 며칠이 경과되었는지를 알려주는 형태로 식품 정보 표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유통 기한일을 지난 식품의 경우는, 유통 기한일로부터 며칠이 지났는지를 알려주는 형태로 식품 정보 표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food information display image may be displayed in a form indicating the name of a specific food and how many days the expiration date of the food remains. Referring to FIG. 4, the name of a specific food and the food The food information display image may be displayed in a form indicating how many days have elapsed from the date of being stored in the storage. In addition, in the case of food that has passed the expiration date, a food information display image may be displayed in a form indicating how many days have passed since the expiration dat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식품 정보 입력 및 식품 정보 확인을 위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and checking food information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식품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거나 수납된 식품에 대한 저장 정보를 입력하고자 할 때,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영역(A)을 손으로 터치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투명 상태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은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의 활성화 상태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을 인식하고 식품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준비 상태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5, first, when a user wants to check food information or input storage information for stored food, the user touches the display area A formed on the front of the door glass 122 with his hand. Here, it is assumed that the door glass 122 is in a transparent state and the display area A is in an activated state. Here, the activation state of the display area A means a ready state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operation by a user and displaying food information.

이때, 터치 방식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10)의 제어부에서는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한 명령인지 식품 정보 확인을 위한 명령인지를 판단한다(S12,S13). 따라서,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한 터치와 식품 정보 확인을 위한 터치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touch method, the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10 determines whether it is a command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or a command for checking food information (S12 and S13).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a touch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and a touch for checking food information are made in different forms.

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면부의 어느 영역을 2초 이상 터치 온(touch on) 하고 있는 형태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한 명령으로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고, 터치 온(touch on)과 터치 오프(touch off)가 1초 이내에 이루어지면 식품 정보 확인을 위한 명령으로 제어부에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제안 가능하다. 이외에도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한 터치 방식과 식품 정보 확인을 위한 터치 방식을 다르게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 가능함을 밝혀 둔다. For example, when a user touches a certain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glass 122 with a finger for 2 seconds or more, the controller recognizes it as a command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and touch-on. If (touch on) and touch off (touch off) are made within 1 second,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it as a command for checking food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various methods of setting different touch methods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and different touch methods for checking food information can be proposed.

상세히, 사용자가 1초 이내의 짧은 시간 동안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면을 터치하여 식품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된 지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A)에 대응하는 냉장고의 수납 공간, 즉 저장실이 매칭된다(S14). 여기서, 수납 공간이 매칭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에서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저장 공간이 어디인지를 파악하는 알고리즘이 수행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메모리에는 도어 글라스(122)에 형성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A) 각각에 대응하는 저장칸이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즉, 냉장실 도어의 도어 글라스(122) 및 냉동실 도어의 도어 글라스(122) 각각에는, 냉장실에 구획된 저장칸들과 냉동실에 구획된 저장칸들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이 정의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In detail,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ood information confirmation command has been input by a user touch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glass 122 for a short period of time within 1 second, the refrigerator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A including the point touched by the user The storage space, that is, the storage room is matched (S14). Here, the matching of the storage space can be regarded as that the control unit performs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where the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area is. In the memory of the controller, storage bi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 areas A formed on the door glass 122 are stored in the form of a look up table. That is, in each of the door glass 122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the door glass 122 of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compartments partition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storage compartments compartmentaliz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are defined, Each of these display areas is programmed to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other display areas.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확인하고자 하는 식품, 즉 관심 대상 식품이 어느 저장실의 몇번째 칸에 저장되어 있는지 상기 투명 상태의 도어 글라스(122)를 통하여 먼저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관심 대상 식품이 저장된 저장칸의 직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손으로 터치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A)은 상기 저장칸의 전면부 크기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관심 대상 식품이 수납된 저장칸의 내부 영역에 해당한다고 생각되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하면 된다. Accordingly, the user first checks through the door glass 122 in the transparent state whether the food he/she wants to check, that is, the food of interest, is stored in which compartment in which storage compartment. Then, the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122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bin in which the food of interest is stored is touched by hand. Here, since each of the display areas (A) has a siz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ize of the front side of the storage bin, if you touch any one point that is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area of the storage bin in which the food of interest is stored do.

이와 같이, 상기 터치 지점의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의 크기를 정의하는 좌표 내에 들어오면, 관심 대상 식품이 수납된 저장칸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에 해당 식품에 대한 정보 이미지가 표시된다(S15).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도어 글라스(122) 전면이 재차 터치되었는지 여부(S16) 또는 식품 정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이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S17)가 판단된다. In this way, when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point come within the coordinates defining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A, the information image for the food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A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bin in which the food of interest is stored. Is displayed (S15).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glass 122 is touched again by the user (S16) or whether a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food information image is displayed (S17).

그리고, 상기 식품 정보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에 디스플레이된 이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 내의 어느 지점이 재차 터치되거나, 식품 정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이후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식품 정보 이미지(20)는 디스플레이 오프(display off)되어 사라진다. And, after the food informatio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if a user touches a point in the display area (A) again, or it is determined that a set time has elapsed since the food information image is displayed The food information image 20 is displayed off and disappears.

한편, 사용자가 설정 시간 이상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터치 온 상태를 유지하여, 식품 정보 입력 명령으로 제어부에서 인식되면, 식품 정보 입력 과정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에 표시된다. 여기서, 수납한 식품의 정보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는 정보 입력 대상이 되는 식품이 위치한 저장칸의 전방 영역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영역(A)을 터치하는 것은 물론이다. Meanwhile, when the user maintains the touch-on state of the door glass 122 for more than a set time and is recognized by the control unit as a food information input command, a display screen for a food information input proces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 Here, in order to input information on the stored food, the user of course touches the display area A corresponding to the front area of the storage bin in which the food to be input is located.

상세히, 상기 제어부에서 식품 정보 입력 명령을 수신하면 선택된 디스플레이 영역(A), 즉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A)에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 온(display on)된다(S19). 상기 식품 정보 입력 화면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In detail,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food information input command, a screen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elected display area A, that is, a display area A including a touch point (S19).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그리고, 식품 정보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상기 식품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하여 수납한 식품의 정보를 입력한다(S20). 여기서, 식품의 정보는, 수납되는 식품의 명칭, 유통 기한, 구입 가격, 중량, 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위의 정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Then, when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is displayed, the user inputs information on the stored food through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S20). Here, the food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the name, expiration date, purchase price, weight, and number of the stored food,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may be input in addition to the above information.

식품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저장 완료 버튼을 터치하여 저장 과정을 완료한다(S24). 여기서, 식품 정보 저장 완료를 위한 버튼은 상기 식품 정보 입력 화면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의 어느 일측에 아이콘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터치하면 완료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제안 가능하다. When the food information input is completed, the user touches the storage completion button to complete the storage process (S24). Here, it is possible to propose that the button for completing the storage of food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icon on either side of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or the display area A, so that a completion command is input when the user touches it.

한편, 식품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한 화면은 디스플레이 오프(display off)되어(S22),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한 과정이 종료된다. Meanwhile, when the food information input is completed, the screen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off (S22), and the process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is terminated.

한편,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글라스이다. 예컨대, 상기 도어 글라스(122)로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글라스, 구체적으로 일렉트로크로믹 물질(electrochromic material)을 이용한 스마트 글라스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불투명 상태부터 반투명 상태 또는 완전 투명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oor glass 122 is a glass capable of adjusting transparency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may be a smart glass that adjusts the transparency of the door glass 122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oor glass 122, specifically, a smart glass using an electrochromic material. Accordingly, the door glass 122 may be changed from an opaque state to a translucent state or a completely transparent state.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항상 완전 투명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냉장고에 수납된 모든 식품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들도 고내 식품을 인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손님이 방문하거나 고내 식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 상황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완전 투명 상태로 유지될 경우, 태양광이 고내로 조사되어 복사열에 의한 고내 온도 상승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선택적으로 투명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When the door glass 122 is always kept in a completely transparent state, all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so that other people other than the user can recognize the food in the store. In this case, it can be a problem in situations where customers visit from the outside or in situations whe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food inside the stor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door glass 122 is maintained in a completely transparent state, sunlight may be irradiat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terior, causing a problem of an increase in the interior temperature due to radiant heat.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selectively make the door glass 122 transparent by user's selection.

도 6은 투명 전환 가능한 도어 글라스를 통하여 식품 정보를 입력하거나 식품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or checking food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switchable door glass.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이고,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S40).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 글라스(122)를 통한 이벤트(event)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항상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sumes that the door 12 is in a closed state and the door glass 122 is maintained in an opaque state (S40). In other words, in a state in which an event through the door glass 122 does not occur, it is assumed that the door glass 122 always maintains an opaque state.

상세히,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불투명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글라스(122)를 투명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이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면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41). In detail, when the door glass 122 is opaque, a process of converting the door glass 122 to a transparent state must be performed first. To this en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glass 122 is touched by the user (S41).

예외적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도어(12)가 개방 후 닫힌 것을 감지한 경우, 사용자에 의한 도어 글라스(122)의 터치 동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투명 전환될 수 있다(S47). 이는, 새로운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도어를 열고 닫은 동작이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에서는 일단 도어의 개방과 닫힘이 감지되면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하여 상기 도어 글라스(122) 전체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S49). 그리고, 상기 도어 글라스(122) 전체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가 식품을 어느 저장칸에 수납하였는지 제어부에서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도어(12)를 닫은 후 수납된 칸을 보면서 해당 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A)을 터치하여 식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Exceptionally, when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door 12 is closed after being opened, the door glass 122 may be transparently switched even though there is no touch operation of the door glass 122 by the user (S47). ). This is because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receive new food, so that o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entire door glass 122 to a transparent state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Can be (S49).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entire door glass 122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is that there may be no way for the control unit to recognize in which storage bin the user has stored food. That is, this is to enable the user to input food information by touching the display area A corresponding to the cell while viewing the housed cell after closing the door 12.

한편, 제어부에서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특정 영역이 터치 온됨을 인식하면,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데, 터치 방식에 따라서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일부분만 투명 전환되거나 전부가 투명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도어 글라스(122)를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서 투명 전환 영역 또는 투명 전환 면적이 다르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a specific area of the door glass 122 is touched on, the door glass 122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Depending on the touch method, only a part of the door glass 122 is converted to be transparent or all Can be made to be transparent. As an example, the transparent switching area or the transparent switching area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door glass 122 is touched.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특정 영역을 1회 터치하면 해당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영역(A)만이 투명 전환되도록 하고, 연속하여 2회 터치하면 상기 도어 글라스(122) 전체가 투명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S42). 여기서, 연속하여 2회 터치하는 동작은, 사용자가 도어 글라스(122)를 연속하여 2회 누르거나, 연속하여 2회 노크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user touches a specific area of the door glass 122 once, only the display area 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touch point is transparent, and when the user touches it twice in succession, the entire door glass 122 is transparent. It can be made to be converted (S42). Here, the operation of touching twice in succession may include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continuously presses the door glass 122 twice or knocks twice in succession.

위의 동작을 통하여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특정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도어 글라스(122) 전체가 투명 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는 관심 대상 식품을 보면서 해당 식품의 정보 입력 또는 정보 확인을 위하여 다시 한 번 특정 디스플레이 영역(A)을 터치한다(S43). 그리고, 도 5에서 설명한 제어 방법에 따라 식품 정보를 입력하거나 식품 정보를 확인한다(S44). 그리고, 식품 정보 입력 또는 식품 정보 확인이 완료되면(S45),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불투명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것은, 상기 도 5에서 설명된 식품 정보 입력 화면 디스플레이 오프(S22) 또는 식품 정보 이미지 디스플레이 오프(S18) 직후에 바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specific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122 or the entire door glass 122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through the above operation, the user can enter the information of the food or check the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food of interest. The display area A is touched (S43). Then, food information is input or food information is checked 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described in FIG. 5 (S44). Then, when food information input or food information confirmation is completed (S45), the door glass 122 is converted to an opaque state. The conversion of the door glass 122 to the opaque state may be changed immediately after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display off (S22) or the food information image display off (S18) described in FIG. 5.

도 7은 식품 정보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도 7을 참조하면,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하여 상기 도어 글라스(122)를 터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정보 입력 화면(100)이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door glass 122 is touched to input food information,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100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ransparent display as shown.

상세히, 상기 식품 정보 입력 화면(100)에는 식품명 입력창(101)과, 수납 시각 표시창(102)과, 유통 기한 입력창(103) 및 키보드 창(104)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식품의 개수, 중량, 구입 가격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키보드 창(104)에 표시되는 키보드를 통하여 식품명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유통 기한을 설정하고, 경과일 표시 또는 잔존일 표시 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유통 기한 표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In detail,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100 may include a food name input window 101, a storage time display window 102, an expiration date input window 103, and a keyboard window 104. In addition, a window for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weight, and purchase price of food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user can input the food name through the keyboard displayed on the keyboard window 104. Then, the expiration date may be set, and the expiration date display method may be selected by touching either an elapsed date display or a remaining date display icon.

또한, 상기 수납 시각 표시창(102)에는 사용자가 직접 날짜와 시각을 입력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고, 냉장고의 제어부에서 제어되고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122)에 표시되는 시각이 자동으로 입력 및 저장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time display window 102 may be programm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input the date and time, or be programmed to automatically input and store the tim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oor glass 122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refrigerator. I can.

그리고, 정보 입력이 끝나면 입력 완료창(105)을 터치하여 상기 식품 정보 입력 화면(100)이 디스플레이 오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품 정보 입력 화면(100)이 디스플레이 오프됨과 동시에 또는 설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nformation is inputted,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100 may be displayed off by touching the input completion window 105. In addition, the door glass 122 may be converted to an opaque state at the same time as the food information input screen 100 is turned off or after a set time elapses.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따르면, 투명 디스플레이가 표시되고, 투명/불투명 전환이 가능한 도어 글라스를 통하여 저장된 식품을 보면서 해당 식품에 대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품 정보 확인을 위하여 도어를 열지 않아도 되므로 소비 전력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nformation on the food can be immediately checked while viewing the stored food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ransparent/opaque switchable door glass. .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door to check food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투명 도어 글라스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특정 레시피에 필요한 식품 정보를 확인하고, 이와 함께 필요한 식품을 온라인 쇼핑을 통하여 구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in a refrigerator having a transparent door glass constitut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that enables food information required for a specific recipe to be checked and required food to be purchased through online shopping is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보유 식재료 확인 방법에 대한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8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for a method of checking food ingredients having a rec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2)가 닫히고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불투명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S51).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글라스(122)를 터치하면(S52),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선택 가능한 메뉴들이 디스플레이 온된다(S53). 여기서,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투명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메뉴들이 디스플레이 온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Referring to FIG. 8, it is assumed that the door 12 is closed and the door glass 122 is maintained in an opaque state (S51). In this state, when the user touches the door glass 122 (S52), menus selectable while the door glass 122 is opaque are displayed (S53). Here, it is revealed that the menus may be displayed on after the door glass 122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상세히, 상기 선택 가능한 메뉴들은 아이콘 형태로 터치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들 메뉴들 중 레시피 메뉴를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S54). 그리고, 상기 레시피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온된다(S55).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레시피 항목을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고(S56), 원하는 레시피가 선택되면 해당 레시피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온된다(S57). In detail, the selectable menus may be provided to be touchable in the form of icons, and a user may touch a recipe menu among these menus to select them (S54). Then, when the recipe menu is selected, a recipe list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ler is displayed on (S55). In this state,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recipe item by touching it (S56), and when a desired recipe is select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recipe is displayed (S57).

더욱 상세히, 해당 레시피에 대한 정보는 문자,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로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면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레시피에 대한 정보는, 해당 레시피를 이용하여 요리를 만드는 방법 및 필요한 식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측에 보유 재료 보기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상기 보유 재료 보기 아이콘을 터치하는 형태로 보유 재료 보기를 선택할 수 있다(S58). 상기 보유 재료 보기가 선택되면 현재 냉장고에 저장되어 있은 식품들 중 해당 레시피에 필요한 식품이 검색된다. 그리고, 현재 저장되어 있는 보유 재료가 위치한 저장칸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투명 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상기 보유 재료 식품에 대한 정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온된다(S59). 물론,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투명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보유 재료 식품 정보 이미지가 해당 식품이 저장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어 글라스(122)의 지점에 표시될 것이다. In more detail, the information on the recipe may be outpu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glass 122 in the form of text, image, or video.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recipe may include a method of making a dish using the recipe and necessary ingredients. In addition, an item for selecting the holding material view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con on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and the user can select the holding material view by touching the holding material view icon (S58). When the view holding material is selected, a food required for a corresponding recipe is searched among foods currently stored in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122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bin in which the currently stored material is placed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and an information image of the material food is displayed (S59). Of course, when the door glass 122 is in a transparent state, the holding material food information image will be displayed at a point on the door glass 122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food is stored.

한편, 현재 보유하고 있는 식품의 정보가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구입이 필요한 식품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을 통하여 즉시 필요 식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유 식품 정보 표시와 함께 재료 쇼핑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S60). On the other hand, when information on the food currently hel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122, the user can check what food needs to be purchased. 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immediately purchase the necessary food through online shopping, a material shopping selection menu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on the food possession (S60).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재료 쇼핑 메뉴를 터치하여 재료 쇼핑이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S61), 제어부를 통하여 즉시 인터넷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접속되고, 쇼핑몰 화면이 디스플레이 온될 수 있다(S62). 여기서, 인터넷에 접속하면 곧바로 특정 쇼핑몰의 홈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접속 가능한 쇼핑몰의 홈페이지 목록이 리스트업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is state, if the user touches the material shopping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determines that material shopping has been selected (S61), the user may be immediately connected to the Internet by wireless or wired connection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he shopping mall screen may be displayed (S62). . Here, when accessing the Internet, the homepage of a specific shopping mall may be displayed immediately, or a list of the homepages of the accessible shopping malls may be listed.

상세히, 인터넷 쇼핑몰에 로그인되고, 쇼핑이 완료되면(S63),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자동으로 불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64).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도어 글라스(122)는 투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입력되거나 설정 시간이 경과되어야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쇼핑 완료 신호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쇼핑 완료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어부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tail, when logged in to the Internet shopping mall and shopping is completed (S63), the door glass 122 may be automatically converted to an opaque state (S6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oor glass 122 may be maintained in a transparent state, and may be changed to an opaque state only when a user's touch operation is input or a set time elapses. In addition, the shopping completion signal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by the user touching the shopping completion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서 설명한 레시피 보유 식재료 확인 방법을 수행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9 to 12 are diagram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a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method of confirming ingredients having recipes described in FIG. 8.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글라스(122)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글라스(122)를 터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가능한 메뉴들이 도어 글라스(122)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when a user touches the door glass 122 while the door glass 122 is opaque, selectable menus may be displayed on the door glass 122 as shown.

상세히,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상부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저장실의 온도를 표시하는 저장실 온도 표시부(123)가 형성되고, 현재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온도 표시부(123)에 표시되는 저장실 온도 정보는 화면이 바뀌면 사라지게 할 수도 있고, 항상 디스플레이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다른 일측에는 메뉴 표시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메뉴 표시부(124)에 다수의 레시피 선택 이미지들(124a)이 터치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시피 선택 이미지들(124a)의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메뉴 표시부(124)는 투명 상태 또는 반투명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레시피 선택 아이콘을 터치하여 다음 단계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a storage room temperature display unit 123 that display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glass 122, specifically at a corner of the upper side, and the current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displayed as a number. The storage room temperatur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123 may disappear when the screen is changed, or may be kept in a display-on state at all times. Further, a menu display unit 1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glass 122, and a plurality of recipe selection images 124a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ouch icon on the menu display unit 124.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recipe selection images 124a, the menu display unit 124 may be switched to a transparent state or a translucent state. In this state, the user may touch the recipe selection icon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next step.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메뉴 표시부(124)에 표시된 선택 이미지들(124a) 중 레시피 선택 이미지를 터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레시피들이 터치 아이콘 형태로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레시피들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는 별도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체에 걸쳐 레시피 리스트들이 표시될 수 있고, 특정 영역에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레시피 선택 메뉴는 레시피의 이름과 해당 레시피를 통하여 만들어진 요리 또는 결과물이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when a user touches a recipe selection image among the selection images 124a displayed on the menu display unit 124, a plurality of recipe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ler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ouch icon as shown. It may be displayed on the front of the door glass 122. The size or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in which the recipes are displayed is not separately limited. That is, as shown, recipe lists may be displayed over the entire door glass 122, or may be displayed only in a specific area. In addition, in each of the recipe selection menus, a name of a recipe and a dish or result made through the recipe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image or a video.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레시피를 찾아서 손으로 터치할 수 있고, 원하는 레시피가 터치되면 해당 레시피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find a desired recipe and touch it with his hand, and when the desired recipe is touched,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recipe is displayed.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해달 레시피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도어 글라스(122)의 일측에는 보유 재료 보기 선택 이미지(124b)가 터치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when a user touches and selects a desired recipe, information on a sea otter recipe is displayed in the form of text, image, or video. In addition, on one side of the door glass 122, a holding material view selection image 124b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ouch icon.

상세히,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디스플레이 영역 일측에는 해당 레시피에 따라 만들어진 요리의 맛과, 영양학적 효과, 필요한 식재료, 조리 난이도 등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detail, on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122, information on the taste, nutritional effect, required ingredients, and difficulty of cooking prepare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recipe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text, images, or videos.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유 재료 보기 선택 이미지(124b)를 선택하면, 선택된 레시피에 필요한 식재료들 중 현재 고내에 저장하고 있은 식재료에 대한 정보가 상기 도어 글라스(122)에 표시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user selects the view holding material selection image 124b, information on the food ingredients currently stored in the store among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selected recipe is displayed on the door glass 122.

상세히, 상기 식재료에 대한 정보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식품이 저장된 저장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식품 정보 표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되는 식품 정보는 식재료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식재료의 유통 기한 및 남아 있는 양 등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detail, information on the food ingredients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food information display images on a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122 corresponding to a location of a storage bin in which the food is stored, as described in FIG. 2. In addition, the displayed food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ame of the food material, and further, the expiration dat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ood material may be displayed together.

이 상태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 글라스(122)의 전면 일측에는 식재료 쇼핑 선택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즉시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In this state, although not shown, a food material shopping selection menu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door glass 122 to help the user immediately access the Internet shopping mall.

Claims (15)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이 구비되는 도어 글라스와,
상기 도어 글라스의 테두리에 둘러져서 상기 도어 글라스를 보호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은, 다수의 저장칸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 글라스의 전면 영역에 다수 개가 구획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하면, 레시피 메뉴를 포함하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메뉴들이 상기 도어 글라스의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레시피 메뉴를 선택하면, 해당 레시피에 필요한 식재료 정보 및 해당 레시피에 필요한 식재료 중 현재 고내에 저장되고 있는 보유 식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보유 식품에 대한 정보는, 상기 보유 식품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칸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투명 전환되면서 상기 보유 식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therein;
It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The door,
A door glass having a transparent display area,
It includes a door fram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door glass to protect the door glass,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artitions in the front area of the door glas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ins,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 areas are each independently driven,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is touched, a plurality of selectable menus including a recipe menu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of the door glass,
When you select a recipe menu, information on the food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recipe and the foods currently stored in the storage among the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recipe are displayed.
As for the information on the holding food,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bin in which the holding foods are stored is transparently changed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holding fo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는 투명/불투명 전환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glass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transparent / opaque convers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들 각각은, 좌표 형태로 상기 도어 글라스에 지정되고,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식품 정보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 areas is designated on the door glass in the form of coordinate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food information image is displayed on a transparent display area including a touch poi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정보는, 수납된 식품의 명칭, 유통 기한, 수량, 구입 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name, a shelf life, a quantity, and a purchase price of the stored food.
제 1 항에 있어서,
식품이 수납된 저장칸에 대응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식품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An input screen for inputting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transparent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is stored.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투명 도어 글라스; 및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내부에 식품 저장을 위한 다수의 저장칸이 구획 형성되는 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에 수납된 식품의 확인이 가능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다수의 저장칸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의 전면 영역에 다수 개가 제공되고,
상기 다수의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며,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의 전면 어느 지점의 터치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투명 도어 글라스의 어느 영역에 레시피 메뉴를 포함하는 선택 가능한 다수의 메뉴들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
선택된 레시피에 필요한 식재료들 중 현재 고내에 저장되어 있는 보유 식재료에 대한 식품 정보 이미지가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며,
상기 식품 정보 이미지는, 상기 보유 식재료들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칸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투명 전환되면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ransparent door glas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display; And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which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transparent door glass, and includes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for food storage are partitioned, and through the transparent door glass, food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checked In,
A plurality of the transparent display areas are provided on a front area of the transparent door glas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torage bins,
The plurality of transparent display areas are each independently driven,
Sensing a touch at a point in front of the transparent door glass;
Display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menus including a recipe menu in a certain area of the transparent door glass o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Among the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selected recipe, food information images for the ingredients currently stored in the bin ar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The food information image is displayed while the display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orage bin in which the food ingredients are stored is transparently switched.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터치가 감지되기 전에는 상기 도어 글라스가 불투명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wherein the door glass is maintained in an opaque state before the touch of the door glass is sens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터치가 감지되기 전에는 상기 도어 글라스가 불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 글라스 전체가 투명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Before the touch of the door glass is detected, the door glass is converted to an opaque state, and when the touch is detected, the entire door glass is converted to transparen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가능한 다수의 메뉴들은 터치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wherein the plurality of selectable menus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ouch ic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레시피 항목들이 터치 아이콘 형태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레시피 항목들 중 어느 하나의 레시피가 터치되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recipe menu is selected, recipe item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ler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ouch icon on the transparent display area,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wherein one of the recipe items is touched and select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레시피가 터치되어 선택되면, 해당 레시피에 필요한 식재료 정보가 표시되고,
보유 식재료 보기가 선택되면, 상기 보유 식재료에 대한 식품 정보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n any of the above recipes are touched and selected, information on ingredients required for the recipe is displayed,
When the view holding ingredients is selected, a food information image of the holding ingredients is displaye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식재료에 대한 식품 정보 이미지의 표시와 함께, 재료 쇼핑 선택 메뉴가 표시되고,
재료 쇼핑 선택 메뉴가 터치되면, 인터넷에 접속되어 인터넷 쇼핑몰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long with the display of food information images for the ingredients, the ingredient shopping selection menu is displayed,
When the material shopping selection menu is touched, the Internet is accessed and an Internet shopping mall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쇼핑 과정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한 명령 입력에의하여 상기 도어 글라스는 불투명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n the material shopping process is completed, the door glass is switched to opaque automatically or by a command input by a user.
KR1020140016090A 2014-02-12 2014-02-1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ctive KR102174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090A KR102174512B1 (en) 2014-02-12 2014-02-1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618,440 US9972284B2 (en) 2014-02-12 2015-02-10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510075260.XA CN104833159A (en) 2014-02-12 2015-02-1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957,141 US10224007B2 (en) 2014-02-12 2018-04-19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252,220 US10692470B2 (en) 2014-02-12 2019-01-18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848,161 US11030974B2 (en) 2014-02-12 2020-04-14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340,936 US11862127B2 (en) 2014-02-12 2021-06-07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8/512,826 US12374310B2 (en) 2014-02-12 2023-11-17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9/236,300 US20250308484A1 (en) 2014-02-12 2025-06-12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090A KR102174512B1 (en) 2014-02-12 2014-02-1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041A KR20150095041A (en) 2015-08-20
KR102174512B1 true KR102174512B1 (en) 2020-11-04

Family

ID=5405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090A Active KR102174512B1 (en) 2014-02-12 2014-02-1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149B1 (en) * 2016-08-31 2023-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515330B1 (en) * 2016-08-31 202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557815B1 (en) * 2016-08-31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557816B1 (en) * 2016-08-31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134643B1 (en) * 2018-01-19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Kitchen and appliances system possible cocking support by recommended recipe and supporting method the same
KR102499468B1 (en) * 2018-02-12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025326B1 (en) * 2018-03-29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door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63888B1 (en) * 2018-09-18 202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20200043902A (en) 2018-10-18 2020-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O2020080753A1 (en) * 2018-10-18 2020-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102119000B1 (en) * 2019-09-18 2020-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for door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361A (en) 2000-10-20 2007-09-13 Promega Corp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 delivery
US20100170289A1 (en) 2009-01-06 2010-07-08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Imaging of Appliance Interiors
US20140035850A1 (en) 2012-08-02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514A (en) * 2008-06-25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51324B1 (en) * 2012-04-18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method for the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361A (en) 2000-10-20 2007-09-13 Promega Corp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t delivery
US20100170289A1 (en) 2009-01-06 2010-07-08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Imaging of Appliance Interiors
US20140035850A1 (en) 2012-08-02 201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041A (en)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374310B2 (en) Refrigerator with interactiv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74512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7451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09801B2 (en) Display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327848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food management thereof
KR102346635B1 (en) Cold storage system with display
KR102499468B1 (en) Refrigerator
US11802729B2 (en) Refrigerator having interior lighting used for synchronized user feedback of zone selection
KR102009947B1 (en) Home appliance
KR20200046751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objects in a refrigerator
US20150068233A1 (en) Refrig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40192182A1 (en) Method for viewing virtual objects within an appliance
KR20190024784A (en) Refrigerator
KR20100026662A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10980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isplay part
US20220124883A1 (en) Automatic display of appliance control interface
KR20140051194A (en) Terminal for management of food materi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10979A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isplay part
JP2017194266A (en) Electric refrigerator
US2024041930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using augmented reality
KR102119000B1 (en) display apparatus for door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frigerator
KR20010017364A (en) Microwave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92814A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display menu of the kimchi refrigerator
WO2018018507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KR20130025928A (en) Terminal for management of food materi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