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7788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886B1
KR102177886B1 KR1020190042381A KR20190042381A KR102177886B1 KR 102177886 B1 KR102177886 B1 KR 102177886B1 KR 1020190042381 A KR1020190042381 A KR 1020190042381A KR 20190042381 A KR20190042381 A KR 20190042381A KR 102177886 B1 KR102177886 B1 KR 10217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reference plane
computed tomography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0034A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042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886B1/en
Priority to US17/602,617 priority patent/US12062193B2/en
Priority to PCT/KR2020/002755 priority patent/WO2020209495A1/en
Priority to CN202080027597.2A priority patent/CN113692250B/en
Priority to EP20786737.5A priority patent/EP3954293A4/en
Priority to TW109112222A priority patent/TWI782269B/en
Publication of KR2020012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88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3Reconstruction from projections, e.g. tomography
    • G06T11/005Specific pre-processing for tomographic reconstruction, e.g. calibration, source positioning, rebinning, scatter correction, retrospective g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081Computed x-ray tomography [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은 구강 내부에 대한 컴퓨터 단층촬영(CT) 영상과 CT 외 측정 방식 영상의 정합 전에 수행되는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으로서, CT 영상에서 기준면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영역을 치근 영역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CT 영상에서 치근 영역이 제거되도록 CT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 The pre-processing method of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processing method of CT image data performed before matching of a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of the oral cavity and an image of a measurement method other than CT.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reference surface; A setting step of setting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oot area; And a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the CT image data so that the root region is removed from the CT image.

Description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

본 발명은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rized tomography, 이하 “CT”라 지칭함)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부에 대한 CT 영상과 기타 영상의 영상 정합 시 방해 요소를 영상 정합 전에 CT 영상데이터에서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image data of computerized tomography (hereinafter referred to as “CT”), and more particularly, image matching of disturbing factors when image matching between CT images and other images of the oral cavity.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from CT image data before.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동일 대상을 다른 시간, 측정 방식 또는 관점 등에서 촬영할 경우,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가지는 영상이 획득되는데, 영상 정합은 이러한 서로 다른 영상을 하나의 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한 처리를 지칭한다.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when the same object is photographed at different times, measurement methods, or viewpoints, images having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are obtained, and image registration refers to processing for displaying these different images in one coordinate system.

특히, 치과 분야에서는 임플란트 등의 시술 전에 CT 영상과 오랄 스캔 영상 간의 영상 정합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정합된 영상은 골조직과 신경관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여, 최적의 임플란트 시술 위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dental field, image registration between a CT image and an oral scan image is performed before an implant or the like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matched image can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determining the optimal implant location by allowing the location of bone tissue and neural tube to be identified.

하지만, CT 영상은 오랄 스캔 영상에 비해 더 많은 영역에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CT 영상은 영상 정합 시에 불필요한 영역(이하, “불필요 영역”이라 지칭함)을 포함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치근 영역 등과 같은 불필요 영역은 영상 정합 시 방해 요소가 되어, 영상 정합의 시간, 효율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T image contains information in more areas than the oral scan image. Accordingly, the CT image has no choice but to include an unnecessary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necessary area”) during image registration. In particular, unnecessary regions such as the root region become a disturbing factor during image registra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and efficiency of image registration may be reduced.

KRKR 10-191358610-1913586 BB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부에 대한 CT 영상과 기타 영상의 영상 정합 시 방해 요소인 치근 영역을 영상 정합 전에 CT 영상데이터에서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root region, which is an obstructive factor when image matching between a CT image of the oral cavity and other images, from CT image data before image registration. There is a purpose.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은 구강 내부에 대한 컴퓨터 단층촬영(CT) 영상과 CT 외 측정 방식 영상의 정합 전에 수행되는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으로서, (1) CT 영상에서 기준면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2)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영역을 치근 영역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 (3) CT 영상에서 치근 영역이 제거되도록 CT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processing method of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pre-processing of CT image data performed before matching of a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of the oral cavity and a measurement method image other than CT. As a method, (1)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reference plane from a CT image, (2) a setting step of setting an area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ference plane as a root area, and (3) CT image data so that the root area is removed from the CT image. And a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상기 추출 단계는 상악 최외각 치아의 높이나 그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에서의 평면을 상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하악 최외각 치아의 높이나 그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에서의 평면을 하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traction step, the height of the maxillary outermost tooth or a plane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it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eference plane for the maxilla, and a plane at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outermost tooth or a height spaced apart from it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eference plane for the mandib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setting.

상기 추출 단계는 상악 치아들과 하악 치아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상악 치아들과 하악 치아들의 높이를 반영한 3차원 경계면을 기준면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ion step may include extracting, as a reference plane,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that is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and reflects the height of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상기 추출 단계는 상악 치아들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3차원 경계면을 상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하악 치아들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3차원 경계면을 하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racting step may include setting a 3D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maxillary teeth as a reference surface for the maxilla, and setting a 3D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mandibular teeth as a reference surface for the mandible.

상기 설정 단계는 상악에 대한 치근 영역 설정 위해 기준면에서의 이격되는 제1 거리와, 하악에 대한 치근 영역 설정 위해 기준면에서의 이격되는 제2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tting step may include setting a first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to set the root region for the maxilla and a second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to set the root region for the lower ja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하는 장치는 구강 내부에 대한 컴퓨터 단층촬영(CT) 영상과 CT와 CT 외 측정 방식 영상의 정합 전에 CT 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장치로서,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거나 저장부에 기 저장된 CT 영상에서 기준면을 추출하고,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영역을 치근 영역으로 설정한 후, CT 영상에서 치근 영역이 제거되도록 CT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T image data before matching a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of the oral cavity and an image of a measurement method other than CT and C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rocess CT image data so that the root region is removed from the CT image after extracting a reference plane from the CT image received or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setting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oot region.

상기 제어부는 상악 최외각 치아의 높이나 그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에서의 평면을 상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하악 최외각 치아의 높이나 그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에서의 평면을 하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sets the height of the maxillary outermost tooth or a plane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it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eference plane for the maxilla, and a plane at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outermost tooth or a height spaced apart from it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eference plane for the mandible. I can.

상기 제어부는 상악 치아들과 하악 치아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상악 치아들과 하악 치아들의 높이를 반영한 3차원 경계면을 기준면으로 추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and may extract a 3D interface reflecting the height of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as a reference surface.

상기 제어부는 상악 치아들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3차원 경계면을 상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하악 치아들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3차원 경계면을 하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t a 3D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maxillary teeth as a reference surface for the maxilla and a 3D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mandible teeth as a reference surface for the mandible.

상기 제어부는 상악에 대한 치근 영역 설정 위해 기준면에서의 이격되는 제1 거리와, 하악에 대한 치근 영역 설정 위해 기준면에서의 이격되는 제2 거리가 서로 다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t a first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to set the root region for the maxilla and a second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to set the root region for the lower jaw.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구강 내부에 대한 CT 영상과 기타 영상의 영상 정합 시 방해 요소인 치근 영역을 영상 정합 전에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이후 영상 정합의 시간, 효율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remove the root region, which is an obstructive factor when image registration of CT images and other images of the oral cavity, before image registration, thereby improving the time and efficiency of image registration afterwards. There is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평평한 기준면(RP1)이 적용되는 경우의 전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는 3차원 경계면을 가지는 기준면(RP2)이 적용되는 경우의 전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re-processing apparatus 100 for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processing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e-treatment method when a flat reference surface RP1 is applied.
5 and 6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eprocessing method when a reference plane RP2 having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is applied.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and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ffects thereof,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facilit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do i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in some case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provision" or "hav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represent one of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or B” “at least one of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and may include both A and B.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following “for example” may not exactly match the information presented, such as the recited characteristics, variables, or values, and tolerances, measurement errors, limitations of measurement accuracy, and other commonly known factors. It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ects such as modifications including.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connected' or'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directly connected' or'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on' or'adjacent' of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in contact with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directly above' or'directly' of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for example,'between' and'directly,' can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first' and'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rresponding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 terms. In addition, the terms above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order of each component, and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the'first element' may be named'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second element' may also be named'first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defined specif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100 for preprocessing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장치(100)는 전자장치로서, 구강 내부에 대한 CT 영상과 기타 영상(즉, CT와 다른 측정 방식으로 촬영된 영상) 간의 영상 정합 전에 CT 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장치(100)는 CT 영상과 기타 영상 간의 영상 정합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The preprocessing apparatus 100 for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and is a CT image before image registration between a CT image of the oral cavity and other images (i.e., an image photographed using a different measurement method than CT). It is a device that preprocesses data. In this case, the preprocessing apparatus 100 for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vice that performs image matching between a CT image and other image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reprocessing apparatus 100 for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display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Can include.

통신부(110)는 영상획득장치(미도시), 서버(미도시) 등의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대상의 구강 내부에 대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케이블 통신 등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component that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not shown) and a server (not shown), and may receive image data about the inside of the target's oral cavit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5G (5 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 (long term evolution),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etc. may be performed, and wired communication such as cabl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이때, 영상데이터는 CT 영상데이터 외에도, 동일 대상의 구강 내부에 대하여 다른 측정 방식으로 측정한 기타 영상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타 영상데이터는 오랄 스캔 영상데이터, 자기공명(Magnetic Resonance) 영상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CT 영상 및 자기공명 영상은 치아의 내부 상태까지 표시하는 3차원 영상인 반면, 오랄 스캔 영상은 치아의 표면 상태를 표시하는 3차원 영상이다.In this case, the image data may include not only CT image data, but also other image data measured by a different measurement method for the oral cavity of the same object. For example, other image data may include oral scan image data, magnetic resonance image data,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CT image and the magnetic resonance image are 3D images that display the internal state of the tooth, while the oral scan image is a 3D image that displays the surface state of the tooth.

CT 영상은 방사선을 이용한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장치를 통해서 촬영되는 이미지이다. 즉, CT 영상은 방사선의 투과율을 기반으로 구강 내부 중 치관, 치근 및 치조골 등의 내부 조직 분포 및 골밀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CT images are images taken through a computed tomography (CT) device using radiation. That is, the CT image may represent internal tissue distribution and bone density information such as a crown, a tooth root, and an alveolar bone in the oral cavity based on the transmittance of radiation.

오랄 스캔 영상은 외부로 드러난 치아의 치관 부분의 형상과 치아 주변의 잇몸 형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이다. 이때, 오랄 스캔 영상은 오랄 스캐너(oral scanner) 등을 통해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직접 스캔하여 획득되거나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를 음각으로 본뜬 인상 모델이나 인상 모델의 양각을 통해 생성한 석고 모델을 스캔하여 획득되는 것도 가능하며, 인상 모델의 스캔 이미지는 반전되어 오랄 스캔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oral scan image is an image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hape of the crown of the tooth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hape of the gum around the tooth. At this time, the oral scan image is obtained by directly scann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through an oral scanner, etc., or by scanning an impression model that mimics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as an intaglio or a plaster model created through the relief of the impression model. It is also possible, and the scanned image of the impression model can be reversed and used as an oral scan image.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마우스(mouse),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20 generates input data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input means. For example,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keyboard,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nel, a touch key, a mouse, a menu button ( menu button), etc.

표시부(130)는 전처리 장치(100)는 동작에 따른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displays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processor 1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3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mechanical systems) displays and electronic paper displays.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30 may be combined with the input unit 120 to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or the like.

저장부(140)는 전처리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영상획득장치 등으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와,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에 관련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reprocessor 100.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mage data receiv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etc., and an algorithm related to a preprocessing method of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50)는 영상획득장치 또는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40)에 기 저장된 CT 영상데이터에 대해 전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영상획득장치 또는 서버 등으로부터 CT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및 저장부(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performs a pre-processing operation on CT image data receiv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or a server or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50 may receive CT image data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or a server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4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input unit 120,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storage unit 140.

이하, 제어부(150)에서 제어 동작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eprocessing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processing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은 CT 영상데이터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S201 내지 S20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method of preprocessing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201 to S203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n CT image data.

S201에서, 제어부(150)는 CT 영상에서 기준면(RP)을 추출한다. In S201, the controller 150 extracts the reference plane RP from the CT image.

기준면(RP)은 치아의 뿌리 영역인 치근 영역(RA)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면으로서, 평면(RP1)이거나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3차원 경계면(RP2)일 수 있다. 또한, 기준면(RP)은 상악과 하악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1개가 추출되거나, 상악과 하악의 각각에 대해 적용되도록 2개 이상이 추출될 수 있다. The reference plane RP is a plane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setting the root region RA, which is a root region of a tooth, and may be a plane RP1 or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RP2 having a curved shape. In addition, one reference plane RP may be extracted to be applied equally to the maxilla and mandible, or two or more may be extracted so as to be applied to each of the maxilla and mandible.

이후, S202에서, 제어부(150)는 기준면(RP)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영역을 CT 영상의 치근 영역(RA)으로 설정한다.Thereafter, in S202, the control unit 150 sets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RP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the root area RA of the CT image.

치근 영역(RA)은 오랄 스캔 영상 등과 같은 기타 영상에 포함되지 않는 CT 영상의 불필요 영역으로서, CT 영상과 오랄 스캔 영상 간의 영상 정합 상 방해 요소로 작용하여, 영상 정합의 시간, 효율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치근 영역(RA)이 CT 영상에서 어떤 부분인지를 S202에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치근 영역(RA)을 정밀하게 설정할 경우, 그 설정 동작을 위한 로드(load)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치근 영역(RA)은 상술 또는 후술할 방법에 따라 대략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root area (RA) is an unnecessary area of a CT image that is not included in other images such as an oral scan image, and acts as an obstruction factor in image registration between the CT image and the oral scan image,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fficiency of image registration. It is an area that can be Accordingly, it may be set in S202 what part of the CT image the root region RA is. However, when the root area RA is precisely set, the load for the setting operation may increase, so it may be desirable that the root area RA is approximately set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or later. .

이후, S203에서, 제어부(150)는 S202에서 설정된 치근 영역(RA)이 CT 영상에서 제거되도록 CT 영상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CT 영상데이터에서 치근 영역(RA)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Thereafter, in S203, the controller 150 processes the CT image data so that the root area RA set in S202 is removed from the CT image. That is, data corresponding to the root area RA may be removed from the CT image data.

S201 내지 S203의 전처리 결과, 치근 영역(RA)이 제거된 CT 영상은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른 기타 영상과의 영상 정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른 영상 정합이 완료된 후에는 해당 CT 영상에 제거된 치근 영역(RA)을 추가함으로써 완전한 영상 정합이 수행된 CT 영상과 기타 영상을 도출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preprocessing of S201 to S203, the CT image from which the root area RA has been removed may be used for image registration with other images according to various algorithms. In addition, after image registration according to these various algorithms is completed, a CT image and other images in which complete image registration is performed may be derived by adding the removed root area RA to the corresponding CT image.

이하에서는, 기준면(RP)의 종류에 따른 S201 및 S202의 보다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하악에 대해서만 그 기준면(RP) 및 전처리 예시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악에 대해서도 하악과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more detailed operations of S201 and S202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ference plane RP will be described. However, in FIGS. 3 to 5, the reference plane (RP) and pretreatment examples are shown only for the mandib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method as for the mandible may be applied to the maxilla.

도 3 및 도 4는 평평한 기준면(RP1)이 적용되는 경우의 전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and 4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etreatment method when a flat reference surface RP1 is applied.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준면(RP)은 평면(RP1)일 수 있다. 이 경우, 상악과 하악에 대해 서로 다른 2개의 기준면(RP1)이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reference plane RP may be a plane RP1. In this case, two different reference planes RP1 may be set for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이를 위해, S201에서, 제어부(150)는 하악 최외각 치아(ET1, ET2)(예를 들어, 어금니 또는 사랑니 등)의 높이(EH1, EH2)나 그 높이(EH1, EH2)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에서의 평면을 하악에 대한 기준면(RP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하악에 대한 기준면(RP1)은 2개의 하악 최외각 치아(ET1, ET2)의 일 단부들의 높이(EH1, EH2)를 지나가는 평면이거나, 그 높이(EH1, EH2)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를 지나가는 평면일 수 있다.To this end, in S201, the control unit 150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height (EH1, EH2) or the height (EH1, EH2) of the mandibular outermost teeth (ET1, ET2) (eg, molar or wisdom teeth, etc.) The plane at the height can be set as the reference plane (RP1) for the mandible. That is, the reference surface (RP1) for the mandible is a plane passing through the heights (EH1, EH2) of one ends of the two mandibular outermost teeth (ET1, ET2), or a height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heights (EH1, EH2). It may be a plane passing through.

마찬가지로, S201에서, 제어부(150)는 상악 최외각 치아의 높이나 그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에서의 평면을 상악에 대한 기준면(RP1)으로 설정할 수 있다.Likewise, in S201, the control unit 150 may set the height of the outermost tooth of the maxilla or a plane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it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the reference surface RP1 for the maxilla.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S202에서, 제어부(150)는 하악에 대한 기준면(RP1)에서 소정 높이(RH1)만큼 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체크 무늬 영역)을 CT 영상의 하악에 대한 치근 영역(RA)으로 설정한다. Thereafter, referring to FIG. 4, in S202, the control unit 150 refers to an area (checkered area) spac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RH1 from the reference surface RP1 for the mandible to the root area for the mandible of the CT image. Set to (RA).

마찬가지로, S202에서, 제어부(150)는 상악에 대한 기준면(RP1)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을 CT 영상의 상악에 대한 치근 영역(RA)으로 설정할 수 있다. Similarly, in S202, the control unit 150 may set an area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ference surface RP1 for the maxilla as the root area RA for the maxilla of the CT image.

다만, S202에서, 하악에 대한 기준면(RP1)에서의 이격 거리(RH1)와, 상악에 대한 기준면(RP1)에서의 이격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상악의 치아들과 하악의 차아들이 가지는 평균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n S202, the separation distance RH1 at the reference surface RP1 for the lower jaw and the separation distance RH1 at the reference surface RP1 for the maxilla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average height of the teeth of the maxilla and the teeth of the mandible may be different.

도 5 및 도 6는 3차원 경계면을 가지는 기준면(RP2)이 적용되는 경우의 전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5 and 6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 pre-processing method when a reference surface RP2 having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is appli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준면(RP)은 3차원 경계면(RP2)일 수 있다. 이때, 상악과 하악에 대해 동일한 1개의 기준면(RP2)이 설정될 수도, 서로 다른 2개의 기준면(RP2)이 설정될 수도 있다.5 and 6, the reference plane RP may be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RP2. At this time, the same one reference plane RP2 may be set for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or two different reference planes RP2 may be set.

먼저, 상악과 하악에 대해 동일한 1개의 3차원 경계면의 기준면(RP2)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 case of setting the reference plane RP2 of one 3D interface for the maxilla and mandible will be described.

즉, 201에서, 제어부(150)는 CT 영상에서 상악 치아들과 하악 치아들 사이의 공간(이하, “사이 공간”이라 지칭함)에 위치하되 상악 치아들의 각 높이와 하악 치아들의 각 높이를 반영한 3차원 경계면을 CT 영상의 기준면(RP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이 공간은 상악 치아들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3차원 경계면(이하, “상부 3차원 경계면”이라 지칭함)과, 하악 치아들의 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3차원 경계면(이하, “하부 3차원 경계면”이라 지칭함)의 사이에 형성된다. That is, in 201, the controller 150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val space”) in the CT image, but reflects the height of each of the maxillary teeth and the height of the mandible teeth. The dimensional boundary may be set as the reference plane RP2 of the CT image. At this time, the interspace is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maxillary teeth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per three-dimensional interface”) and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s of the mandibular teeth (hereinafter, “lower three-dimensional It is formed between the "interface").

이에 따라, 201에서, 제어부(150)는 상부 3차원 경계면, 하부 3차원 경계면, 또는 상부 3차원 경계면과 하부 3차원 경계면의 높이 평균값들로 이루어진 3차원 경계면을 기준면(RP2)으로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in 201, the control unit 150 may set the upper 3D boundary surface, the lower 3D boundary surface, or a 3D boundary surface consisting of the average height values of the upper 3D boundary surface and the lower 3D boundary surface as the reference surface RP2.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S202에서, 제어부(150)는 기준면(RP2)에서 소정 높이(RH2)만큼 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체크 무늬 영역)을 CT 영상의 하악에 대한 치근 영역(RA)으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S202에서, 제어부(150)는 기준면(RP2)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을 CT 영상의 상악에 대한 치근 영역(RA)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reafter, referring to FIG. 6, in S202, the control unit 150 refers to a region (checkered region) spac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RH2 from the reference plane RP2 as a root region RA for the mandible of the CT image. Set to Likewise, in S202, the control unit 150 may set an area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ference plane RP2 as the root area RA for the maxilla of the CT image.

다만, S202에서, 하악에 대한 치근 영역(RA) 설정을 위한 기준면(RP2)에서의 이격 거리(RH2)와, 상악에 대한 치근 영역(RA) 설정을 위한 기준면(RP2)에서의 이격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상악의 치아들과 하악의 차아들이 가지는 평균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n S202, the separation distance RH2 at the reference plane RP2 for setting the root area RA for the mandibl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RH2 at the reference plane RP2 for setting the root area RA for the maxill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 can. This is because the average height of the teeth of the maxilla and the teeth of the mandible may be different.

다음으로, 상악과 하악에 대해 서로 다른 2개의 3차원 경계면의 기준면(RP2)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Next, a case in which the reference plane RP2 of two different three-dimensional interface surfaces for the maxilla and mandible is set will be described.

즉, 201에서, 제어부(150)는 하부 3차원 경계면을 하악에 대한 기준면(RA2)으로, 상부 3차원 경계면을 상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That is, in 201, the control unit 150 may set the lower 3D interface as the reference surface RA2 for the mandible and the upper 3D interface as the reference surface for the maxilla, respectively.

이후, 도 6을 참조하면, S202에서, 제어부(150)는 하악에 대한 기준면(RP2)에서 소정 높이(RH2)만큼 하부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체크 무늬 영역)을 CT 영상의 하악에 대한 치근 영역(RA)으로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S202에서, 제어부(150)는 상악에 대한 기준면(RP2)에서 소정 높이만큼 상부 방향으로 이격된 영역을 CT 영상의 상악에 대한 치근 영역(RA)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reafter, referring to FIG. 6, in S202, the control unit 150 refers to a region (checkered region) spac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RH2 from the reference surface RP2 for the mandible to the root region for the mandible of the CT image. Set to (RA). Likewise, in S202, the controller 150 may set an area spaced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ference plane RP2 for the maxilla as the root area RA for the maxilla of the CT image.

다만, S202에서, 하악에 대한 치근 영역(RA) 설정을 위한 기준면(RP2)에서의 이격 거리(RH2)와, 상악에 대한 치근 영역(RA) 설정을 위한 기준면(RP2)에서의 이격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상악의 치아들과 하악의 차아들이 가지는 평균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in S202, the separation distance RH2 at the reference plane RP2 for setting the root area RA for the mandibl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RH2 at the reference plane RP2 for setting the root area RA for the maxill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 can. This is because the average height of the teeth of the maxilla and the teeth of the mandible may be differen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장치(100)가 CT 영상과 기타 영상 간의 영상 정합을 수행하는 장치일 경우, S203 이후, 제어부(150)는 치근 영역(RA)이 제거된 CT 영상과 기타 영상 간의 영상 정합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reprocessing apparatus 100 for CT imag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performs image matching between a CT image and other images, after S203, the controller 150 removes the root area RA. It is possible to control performing an image matching operation between the CT image and other image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100: 전처리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RA: 치근 영역 RH: 기준면 이격 거리
RP: 기준면 EH: 치아 높이
ET: 치아
100: preprocessor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display unit
140: storage unit 150: control unit
RA: Root area RH: Reference plane separation distance
RP: reference plane EH: tooth height
ET: tooth

Claims (6)

구강 내부에 대한 컴퓨터 단층촬영(CT) 영상과 CT 외 측정 방식 영상의 정합 전에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CT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으로서,
CT 영상에서 기준면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영역을 치근 영역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CT 영상에서 치근 영역이 제거되도록 CT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As a pre-processing method of CT image data performed by an electronic device prior to matching a computed tomography (CT) image of the oral cavity and a non-CT measurement method image,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reference plane from a CT image;
A setting step of setting an area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oot area; And
A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CT image data so that the root region is removed from the CT image;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 pre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상악 최외각 치아의 높이나 그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에서의 평면을 상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하악 최외각 치아의 높이나 그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높이에서의 평면을 하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extraction step, the height of the maxillary outermost tooth or a plane at a height spaced apart from it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eference plane for the maxilla, and a plane at the height of the mandibular outermost tooth or a height spaced apart from it by a predetermined height as a reference plane for the mandible.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 pre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상악 치아들과 하악 치아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상악 치아들과 하악 치아들의 높이를 반영한 3차원 경계면을 기준면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tion step includes extracting a 3D interface tha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and reflects the heights of the maxillary teeth and the mandibular teeth as a reference plane.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단계는 상악 치아들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3차원 경계면을 상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하악 치아들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3차원 경계면을 하악에 대한 기준면으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raction step comprises setting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maxillary teeth as a reference plane for the maxilla and a three-dimensional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end shape of the mandibular teeth as a reference plane for the mandible.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 preprocessing metho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상악에 대한 치근 영역 설정 위해 기준면에서의 이격되는 제1 거리와, 하악에 대한 치근 영역 설정 위해 기준면에서의 이격되는 제2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setting step comprises setting a first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to set the root region for the maxilla and a second distance spaced apart from the reference plane to set the root region for the lower jaw.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 preprocessing method.
구강 내부에 대한 컴퓨터 단층촬영(CT) 영상과 CT와 CT 외 측정 방식 영상의 정합 전에 CT 영상데이터를 전처리하는 장치로서,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거나 저장부에 기 저장된 CT 영상에서 기준면을 추출하고, 기준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된 영역을 치근 영역으로 설정한 후, CT 영상에서 치근 영역이 제거되도록 CT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의 전처리 장치.
This is a device that pre-processes CT image data before matching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of the oral cavity and CT and non-CT measurement methods,
A control unit that extracts a reference plane from a CT imag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sets an area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ference plane as a root area, and processes CT image data so that the root area is removed from the CT image. Computed tomography image data pre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KR1020190042381A 2019-04-11 2019-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 Active KR102177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81A KR102177886B1 (en) 2019-04-11 2019-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
US17/602,617 US12062193B2 (en) 2019-04-11 2020-02-26 Apparatus for preprocessing image data
PCT/KR2020/002755 WO2020209495A1 (en) 2019-04-11 2020-02-26 Apparatus for preprocessing image data
CN202080027597.2A CN113692250B (en) 2019-04-11 2020-02-26 Image data preprocessing device
EP20786737.5A EP3954293A4 (en) 2019-04-11 2020-02-26 DEVICE FOR PREPROCESSING IMAGE DATA
TW109112222A TWI782269B (en) 2019-04-11 2020-04-10 Apparatus for preprocessing image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81A KR102177886B1 (en) 2019-04-11 2019-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34A KR20200120034A (en) 2020-10-21
KR102177886B1 true KR102177886B1 (en) 2020-11-12

Family

ID=7303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381A Active KR102177886B1 (en) 2019-04-11 2019-04-11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88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9085B1 (en) * 2022-03-18 2024-10-17 주식회사 디오 Apparatus and method for undercut processing of tooth preparation im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53A1 (en) 2014-12-31 2016-07-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eeth image automatic matching method, apparatus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1655910B1 (en) 2015-05-06 2016-09-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Method and program for angiograph image registration
KR101913586B1 (en) 2017-05-24 2018-11-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image registratio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109B1 (en) * 2017-08-31 2019-06-19 주식회사 디오 Method for adjusting intraorla images of different typ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453A1 (en) 2014-12-31 2016-07-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Teeth image automatic matching method, apparatus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101655910B1 (en) 2015-05-06 2016-09-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Method and program for angiograph image registration
KR101913586B1 (en) 2017-05-24 2018-11-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image registratio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34A (en)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8449A1 (en) Dental cad automation using deep learning
AU2021204816B2 (en) Identification of areas of interest during intraoral scans
US1095281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thodontic treatments
CN104093375B (en) Determine the stress on tooth
US9191648B2 (en) Hybrid stitching
TWI744859B (en) Method for detecting tooth obje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of images using tooth object
US109458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thodontic treatments
WO2012083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objects being modified
KR202100198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oral scan image and oral scan image
KR1021778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 data
CN113692250B (en) Image data preprocessing device
CA3230640A1 (en) Automated tooth administration in a dental restoration workflow
KR202100198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maxilla and mandible of 3-d oral ct image
KR20230003685A (en) Implant implantation method using ari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KR202301368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dercut processing of tooth preparation image
KR202200268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clinical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