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306B1 - identification device for attachment type personal combat system - Google Patents
identification device for attachment type personal comba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3306B1 KR102173306B1 KR1020190062912A KR20190062912A KR102173306B1 KR 102173306 B1 KR102173306 B1 KR 102173306B1 KR 1020190062912 A KR1020190062912 A KR 1020190062912A KR 20190062912 A KR20190062912 A KR 20190062912A KR 102173306 B1 KR102173306 B1 KR 102173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dentification light
- identification
- case
- receiv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IFF,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광각을 가지는 수신유닛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개수를 최소화 하며, 피아식별의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able personal comba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he number of attachments to the user's body through a separate wide-angle receiving unit, and the accuracy of pia identification can be increased. It relates to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일반적으로, 피아식별장치는 전투 시 적과 아군의 판단에 사용하거나 또는 모의전투 시 피탄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광학계를 통해 수신되는 식별광을 판단한다.In general, the Pia identification device is a device used to determine whether an enemy and allies are in battle or whether to be hit in a simulated battle, and determines the identification light received through a general optical system.
이와 같은 피아식별장치는 전투원의 개인장비, 피복 등 전투 장구류를 첨단 기술과 접목시켜 각개 병사의 임무 수행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일종의 무기 체계중 레이저 및 빛의 검출에 이용되는 레이저 광학계를 이용한다.This pia identification device uses a laser optical system used for laser and light detection among a kind of weapon system that maximizes each soldier's ability to perform missions by integrating combat equipment such as combatants' personal equipment and clothing with advanced technology.
기존의 피아식별장치는 일반적으로 마일즈(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장비, 즉 실전과 같은 무기 효과 및 전장 효과를 묘사하기 위해 레이저 빔 특성을 이용하여 사격을 모의하고, 화기 사용의 시청각정 효과를 묘사하는 장비, 교점 묘사 장비로. 전투원의 몸과 머리에 레이저 수신광학계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장비이다. Conventional pia identification devices are generally used with Miles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equipment, i.e., to describe weapon effects and battlefield effects such as actual combat, using laser beam characteristics to simulate shooting, and to describe audiovisual effects of firearm With equipment made, intersection description equipment. This equipment is used by attaching a laser receiving optical system to the body and head of a combatant.
구체적으로, 머리에 2개 몸에 앞뒤 모두4개를 장착하며 하나의 수신기에 PD(photo diode) 광검출기가 15개가 장착되어 있다. 현재 모의 전투에는 6개의 수신기를 장착이 가능하지만 실제 전투에서는 몸에 앞뒤로 4개를 장착하게 되면 수신기가 전투원의 자세에 따라 피아식별장치가 파손되거나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Specifically, two heads and four front and rear are mounted on the body, and 15 photodiode (PD) photodetectors are mounted on one receiver. Currently, 6 receivers can be installed in simulated battles, but in actual battles, if the receiver is equipped with 4 front and back on the body, the Pia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damaged or not operate correctly depending on the combatant's posture.
특히, 전투원의 신체에 많은 수의 피아식별장치를 장착하는 경우 파손의 위험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신체의 움직임에 불편함을 유발하여 원할한 임무 수행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피아식별장치가 장착되는 부위에 무기를 장착할 수도 없으며, 여러가지 불편함이 있다. In particular, when a large number of PIA identification devices are installed on the body of a combatant, the risk of damage increases and at the same time, it causes discomfort in the movement of the body, which interferes with the smooth mission performance. Weapons cannot be mounted on the part, and there are various inconveniences.
따라서, 전투원에게 장착하는 수신기의 개수와 크기를 최소화 하며, 식별광의 수신감도 최적화 및 동작에 방해가 가지 않는 위치에 장착하는 피아식별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number and size of receivers mounted on combatants, optimiz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the identification light, and develop a PIA identification device that is mount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ope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은 전투 또는 모의 전투 시 피아식별을 위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소형 피아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각의 수신유닛을 통해 감지반경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에의 신체에 부착하는 개수를 최소화하고, 식별광의 수신 시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attached to a user's body for identification of Pia during battle or simulated battle, and increases the detection radius through a wide-angle receiving unit and minimizes the number of attachments to the user’s bod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accuracy when receiving identification light.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르면, 설치대상에 부착하는 부착면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상에서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이 독립된 감지영역을 가지며 상호 이격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식별광을 수신하는 수신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수신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을 기 설정된 선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검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유닛은 각각이 기 설정된 각도의 상기 감지영역을 가지며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며 상기 감지영역이 배치된다.According to one sid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ase having an attachment surface to be attached to an installation target, a plurality of cases on the case, each having an independent sensing area and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receive identification ligh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receiving unit and a detection unit that compares the identification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inside the case with preset selec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match, wherein each of the receiving units detects the detection area at a preset angle. It has a radial shape, and has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case, and the sensing region is disposed.
또한,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감지영역 내의 상기 식별광을 수신 및 집속하는 대물렌즈부, 상기 대물렌즈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식별광을 상기 검출유닛으로 전달하는 연결렌즈부 및 상기 연결렌즈부와 상기 검출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식별광을 상기 검출유닛에 집속시키는 결상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receiving unit is an objective lens uni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receives and focuses the identification light in the sensing area, and a connection lens unit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bjective lens unit to transmit the identification light to the detection unit. And an imaging lens unit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the detection unit and focusing the identification light on the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결상렌즈부와 상기 검출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식별광 중 기 설정된 파장의 광만 투과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imaging lens unit and the detection unit to transmit only light of a preset wavelength among the identification light.
또한,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연결렌즈부와 상기 결상렌즈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의 수차를 보정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p arranged between the connecting lens unit and the imaging lens unit to correct aberration of the identification light transmitted.
또한, 상기 대물렌즈부는 볼록한 형태로 기 설정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과 배면의 곡률반경 차이는 2배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ive lens unit may have a fron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n a convex shape, and a difference in radius of curvature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be 2 times or mor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곡면에서 방사형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may have a curved surface convexly protruding forward from a position facing the attachment surface, and the receiving units may be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urved surface.
또한,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케이스에서 일정 반경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감지영역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may have a predetermined radius in the case and may be disposed so that a portion of each of the sensing regions overlaps.
또한, 상기 검출유닛은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의 감지 위치를 통해 상기 식별광의 입사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 may derive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dentification light through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light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별도의 부착면을 가지는 케이스에 복수 개의 수신유닛을 구비하여 감지영역을 증가 시킴으로써, 적은 개수로도 식별광을 감지하여 피아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are provided in a case having a separate attachment surface to increase the detection area, so that the identification light can be detected even with a small number and thus the PIA can be identified.
또한, 수신유닛은 별도의 광각렌즈로 이루어진 대물렌즈부를 포함하여, 감지영역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케이스 주변으로 360도의 영역에서 식별광을 감지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includes an objective lens unit made of a separate wide-angle lens, thereby increasing a sensing area and detecting identification light in a 360-degree area around the ca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를 착용하여 피아식별을 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피아식별장치에서 수신유닛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피아식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피아식별장치에서 감지반경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2의 피아식별장치에서 수신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a identification is performed by wearing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receiving unit in the PIA identification device of FIG.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ia identification device of Figure 2;
5 is a view showing a detection radius in the pia identification device of FIG. 2; And
6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receiving unit in the PIA identification device of FIG.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described in order to more easily disclos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You will know.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tated in advance that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only used with the same names and symbols, but are not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ose of the prior art.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본 발명은 피아식별 및 마일즈 레이저 장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장착하여 별도의 식별광을 수신하며, 수신된 식별광을 통해 피아식별은 판단하거나, 또는 피탄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입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Pia identification and Miles laser equipment, and is mounted on the user's body to receive a separate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Pia identification is determined through the received identification light, or a devic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is hit. i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able personal comb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소형 피아식별장치는 사용자의 조끼나 의복 신체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하여 외부에서 송출되는 식별광을 수신하고 피아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First, referring to the drawings,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a user's vest or clothing body to receive identification ligh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to identify Pia.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끼나 군용 장비 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전투 시 아군이 피아식별을 하여 오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general, as shown, it can be attached to a vest or military equipment, and an accident caused by a misfire can be prevented by an allied force identifying a Pia in battle.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피아식별장치는 크게 케이스(100), 수신유닛(200) 및 검출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상기 수신유닛(200)이 일정 범위 이내의 감지영역(S)을 가지며,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한다.The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가지며 원형의 둘레를 가지며, 하부에 부착면(110)이 구비되어 설치대상에 부착된다.The
여기서, 상기 설치대상은 사용자의 신체나 쪼기 또는 군용장비 등이 해당되며, 상기 부착면(11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120)을 가지도록 형성된다.Here, the installation target corresponds to the user's body, pecking, or military equipment, and is formed to have a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0)는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상기 수신유닛(200) 및 상기 검출유닛(300)이 수용되고, 상기 곡면(120)을 향해 상기 수신유닛(2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한다. 즉, 상기 케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면(110)이 상기 설치대상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곡면(120)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케이스(100)는 식별광(L)의 수신이 용이하도록 후술하는 상기 수신유닛(200)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노출되도록 복수 개의 홀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곡면(120)에서 3개의 홀이 방사형으로 이격 배치된다.In this case, the
한편, 상기 수신유닛(200)은 상기 케이스(100)상에서 복수 개로 구성되며, 각각이 독립된 감지영역(S)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수신유닛(200)은 상기 감지영역(S) 내로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하여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유닛(200)은 독립된 상기 감지영역(S)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100)상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한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수신유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될 홀에 배치되며, 상기 부착면(110)에서 상부를 향해 일정각도를 가지며 상기 곡면(120)에 의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Here, the
이때, 상기 수신유닛(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기 설정된 각도의 상기 감지영역(S)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100)상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식별광(L)은 일반적인 레이저광이 사용될 수 있으며, 1.5 um 혹은 0.94 um 대역의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identification light L, a general laser light may be used, and a laser having a wavelength of 1.5 um or 0.94 um may be used.
이와 같이 상기 수신유닛(200)이 상기 케이스(100)상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감지영역(S)을 통해 상기 식별광(L)을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상기 감지영역(S)은 상기 수신유닛(200) 각각이 원뿔 형태로 형성되며, 인접한 영역이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수신유닛(2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를 중심으로 일전 반경을 가지며 상기 감지영역(S)이 배치되어 360도 범위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In the sensing region S, each of the
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반구형태의 곡면(120)을 가지며, 상기 수신유닛(200)이 상기 곡면(120)상에서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감지영역(S)이 중첩되어 단순히 링 형태의 영역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반구 형태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신유닛(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몸체부(210), 대물렌즈부(220), 연결렌즈부(230), 결상렌즈부(240) 및 필터부(250)를 포함한다.Looking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상기 몸체부(210)는 일반적인 경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대물렌즈부(220), 상기 연결렌즈부(230), 상기 결상렌즈부(240), 상기 필터부(250) 및 상기 조리개를 수용하며, 추가적으로 후술하는 상기 검출유닛(300)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210)는 일반적인 원통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상기 홀에 결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상기 대물렌즈부(220)는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식별광(L)을 수신 및 집속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210)의 끝단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대물렌즈부(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볼록한 곡면(120)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광각렌즈 형상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상기 대물렌즈부(220)는 큰 발산각을 가진 상기 식별광(L)(1~ 2um 대역)을 수광 집속하는(-)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약 160도의 반경을 가지는 감지영역(S)을 가지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상기 대물렌즈부(220)는 볼록한 전면이 기 설정된 곡률반경을 가지며, 전면과 배면의 곡률반경 차이는 2배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일반적으로 광각렌즈의 경우 전면과 배면의 곡률반경이 차이가 나도록 구성됨으로써 광의 수신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갹을 가지며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a wide-angle len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ception radius of light by being configured so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ront and the rear surface is different, and also in this embodiment, it has a light as shown in FIG. 6 an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light (L).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한편, 상기 연결렌즈부(230)는 상기 대물렌즈부(22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식별광(L)을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렌즈부(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대물렌즈부(22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을 집광하여 후방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렌즈부(230)는 상기 대물렌즈부(220)와 반대로 배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이에 따라 상기 대물렌즈부(220)를 통해 입사된 상기 식별광(L)은 상기 연결렌즈부(230)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전달된다.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light L incident through the
한편, 상기 결상렌즈부(240)는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광이 전달되는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식별광(L)을 상기 연결렌즈부(230)로부터 전달 받아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전달 시 집속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상렌즈부(240)는 (+)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렌즈부(23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을 후방에 배치된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전달하여 결상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이때, 상기 결상렌즈부(240) 역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상기 필터부(250)는 상기 결상렌즈부(240)와 상기 검출유닛(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식별광(L) 중 기 설정된 파장의 광만 투과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부(2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름이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검출유닛(300) 앞단에서 상기 식별광(L) 중 선택된 광(1~2 um)만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검출유닛(300)에서 상기 식별과의 검출 시 올바른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다, Meanwhil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250)는 상기 결상렌즈부(24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결상렌즈부(240)를 통해 집속되는 상기 식별과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전달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신유닛(200)은 상기 몸체부(210), 대물렌즈부(220), 연결렌즈부(230), 결상렌즈부(240) 및 상기 필터부(250)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210) 내부로 입사되는 상기 식별광(L)을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전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이때, 상기 대물렌즈부(220)는 광각렌즈로 구성되어 기 설정된 반경의 시야각을 가지는 상기 감지영역(S)을 통해 내부로 입사되는 상기 식별광(L)을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신유닛(200)은 별도의 조리개(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조리개는 상기 연결렌즈부(230)와 상기 결상렌즈부(240) 사이에 배치되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의 수차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리개는 상기 연결렌즈부(23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의 양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리개의 크기를 줄이는 경우 상기 대물렌즈부(220)와 상기 연결렌즈부(230)의 곡률에 의해 발생되는 수차를 감소시켜 상기 식별광(L)을 정확하게 상기 검출유닛(300)으로 전달한다.The diaphragm corrects aberration of the identification light L that is disposed between and transmitted between the
일반적으로, 렌즈를 통과하는 광은 수차가 발생하며, 축 색수차, 구면수차, 코마수차, 비점수차 등으로, 조리개의 조정을 통해 수차를 줄일 수 있다.In general, aberration occurs in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and the aberration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aperture due to axial chromatic aberration, spherical aberration, coma aberration, astigmatism,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신유닛(200)이 상기 조리개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식별광(L)을 정확하게 상기 감지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ceiving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에 3개의 상기 수신유닛(200)이 방사형으로 배치됨으로써 반구형태의 상기 감지영역(S)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상기 수신유닛(200)의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the three receiving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유닛(200) 각각은 약 160도 반경 이상의 상기 감지영역(S)을 가지며, 각각 S1, S2, S3의 반구형태로 상기 감지영역(S)이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each of the receiving
그리고, 상기 감지영역(S)인 S1~S3이 방사형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인접한 영역이 중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360도의 반경에 대한 감지영역(S)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유닛(200)은 감지할 수 있는 각도의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감지영역(S)은 상기 케이스(100)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를 가지는 둘레를 따라 360도의 반경을 감지한다.In addition, the sensing regions S1 to S3, which are the sensing regions S, are arranged in a radial manner and the adjacent regions overlap each other so that a sensing region S for a radius of 360 degrees may be formed as a whole. At this time, since the receiving
한편, 상기 검출유닛(3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수신유닛(200)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을 기 설정된 선별정보와 비교하여 피아식별을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상기 검출유닛(300)은 일반적인 광학수신기로 이루어진 감지부(310) 및 상기 감지부(310)에서 수신된 상기 식별광(L)의 정보와 상기 선별정보를 비교하여 피아식별을 판단하는 판단부(미도시)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수신유닛(20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결상렌즈부(240)를 통해 전달된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수신유닛(200)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부(210)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유닛(2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PCB와 함께 상기 몸체부(2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신유닛(200)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한다.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판단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부(310)를 통해 수신된 상기 식별광(L)을 상기 선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Meanwhile, the determination uni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and is disposed inside the
이때, 상기 선별정보는 피아식별을 위해 미리 입력된 값으로, 수신되는 상기 식별광(L)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 이내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this case, the selection information is a value previously input for identification of the PIA, and is compared with the received identification light 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match within an error rang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출유닛(300)은 상기 감지부(310) 및 상기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유닛(200)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을 통해 피아식별을 판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출유닛(300)은 상기 식별광(L)의 수신 시 상기 식별광(L)의 입사 각도를 감지하고, 피탄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유닛(200)을 통해 입사되는 상기 식별광(L)을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식별광(L)은 상기 대물렌즈부(220)로 입사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감지부(310)에서 감지되는 위치가 달라진다.Specifically, the
즉, 상기 감지부(310)에서 상기 식별광(L)이 감지되는 지점의 위치를 통해 상기 대물렌즈부(220)로 입사되는 상기 식별광(L)의 입사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That is,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dentification light L incident on the
따라서,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수신유닛(200)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의 감지 및 감지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별광(L)을 선별정보와 비교함과 동시에 입사각도를 도출한다.Therefore, the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수신유닛(200) 및 상기 검출유닛(300)이 상기 식별광(L)을 동시에 감지하는 경우, 상기 판단부는 각각의 위치에서 감지된 상기 식별광(L)의 입사 각도를 독립적으로 도출하고, 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식별광(L)의 발사 방향을 도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rality of receiving
즉, 복수 개의 상기 수신유닛(200)에서 상기 식별광을 동시에 감지하는 경우 각각에서의 상기 식별광(L) 입사각도를 도출함으로써 정확한 식별광의 발사위치를 유추해 사용자의 피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한다.That is, when the plurality of receiv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검출유닛(300)은 단순히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하여 선별정보와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상기 식별광(L)의 입사각도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피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피아식별장치를 이용하여 모의전투에 적용 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별광(L)의 입사 각도에 따라 중상, 경상, 회피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모의전투를 진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applied to a simulated battle using the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ation unit can be divided into serious, minor, and avoided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of the identification light L, thereby providing a more accurate simulated battle. You can proce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 상기 수신유닛(200) 및 상기 검출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0)에 복수 개의 상기 수신유닛(200)을 구비하여 360도 범위 내에서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L)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mall-sized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light (including the
이때, 상기 수신유닛(200)은 광각 렌즈 형태의 상기 대물렌즈부(2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신유닛(200)의 개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최소한의 장비만을 착용 하더라도 올바르게 피아식별을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또한, 상기 검출유닛(300)에서 감지되는 상기 식별광(L)의 위치를 통해 상기 식별광(L)의 입사각도를 도출함으로써 모의전투에서 정확하게 피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deriving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dentification light L through the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light L sensed by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is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케이스
200: 수신유닛
210: 몸체부
220: 대물렌즈부
230: 연결렌즈부
240: 결상렌즈부
250: 필터부
300: 검출유닛
L: 식별광
S: 감지영역(S1, S2, S3)100: case
200: receiving unit
210: body
220: objective lens unit
230: connecting lens unit
240: imaging lens unit
250: filter unit
300: detection unit
L: identification light
S: detection area (S1, S2, S3)
Claims (8)
상기 케이스상에서 복수 개로 구성되어 각각이 독립된 감지영역을 가지며 상호 이격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식별광을 수신하는 수신유닛;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수신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을 기 설정된 선별정보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검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유닛은 각각이 기 설정된 각도의 상기 감지영역을 가지며 방사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을 가지며 상기 감지영역이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수신유닛은 수신되는 상기 식별광의 감지위치를 독립적으로 도출하고
상기 검출유닛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수신유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식별광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유닛과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수신유닛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서 수신된 상기 식별광의 정보와 상기 선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신유닛으로 입사되는 상기 식별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검출위치에서 상기 식별광을 감지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식별광을 상기 선별정보와 비교함과 동시에 상기 수신유닛으로 입사된 입사각도를 도출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수신유닛에서 상기 식별광을 동시에 감지하는 경우 각각의 상기 수신유닛으로 입사된 상기 식별광의 입사각도를 독립적으로 도출하여 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식별광의 발사 방향을 산출하며 정확한 식별광의 발사위치를 유추해 설치대상의 피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A case having an attachment surface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target;
A receiving unit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cases on the case, each of which has an independent sensing area,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receive identification ligh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A detection unit that compares the identification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receiving unit inside the case with preset selec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match; Including,
Each of the receiving units has the sensing region of a preset angle and is radially provided, has a predetermined radius around the case, and the sensing region is arranged,
Each of the receiving units independently derives the detection position of the received identification light, and
The detection unit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ceiving unit inside the case to receive the identification light, and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receiving unit to have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receiving unit, and the detecting unit Comprising a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match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cation light received from the selection information,
The detection unit detects the identification light at different detection positions according to the incident angle of the identification light incident to the reception unit, and the determination unit compares the identification light with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incident angle incident to the reception unit Derive the degree,
When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simultaneously detect the identification light,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dentification light incident on each of the receiving units is independently derived, and the emission direction of the identification light is calculated through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exact emission position of the identification light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accurately judges whether the installation target is hit by analogy.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감지영역 내의 상기 식별광을 수신 및 집속하는 대물렌즈부;
상기 대물렌즈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식별광을 상기 검출유닛으로 전달하는 연결렌즈부; 및
상기 연결렌즈부와 상기 검출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식별광을 상기 검출유닛에 집속시키는 결상렌즈부;
를 포함하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unit,
An objective lens uni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o receive and focus the identification light in the sensing area;
A connection lens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objective lens unit to transmit the identification light to the detection unit; And
An imaging lens unit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ng lens unit and the detection unit, and focusing the identification light on the detection unit;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comprising a.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결상렌즈부와 상기 검출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식별광 중 기 설정된 파장의 광만 투과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ing unit,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ilter unit disposed between the imaging lens unit and the detection unit to transmit only light of a predetermined wavelength among the identification light.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연결렌즈부와 상기 결상렌즈부 사이에 배치되어 전달되는 상기 식별광의 수차를 보정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하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ing unit,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top arranged between the connection lens unit and the imaging lens unit to correct aberration of the identification light transmitted.
상기 대물렌즈부는,
볼록한 형태로 기 설정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과 배면의 곡률반경 차이는 2배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objective lens unit,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ron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n a convex shape,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urvature radius is at least twice.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착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을 가지며,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곡면에서 방사형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has a curved surface convexly protruding forwar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attachment surface,
The receiving unit is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urved surface.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케이스에서 일정 반경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감지영역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부착형 개인전투 체계용 소형 피아식별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receiving unit,
A small pia identification device for an attached personal combat system having a certain radius in the case and arranged to overlap each of the sensing area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62912A KR102173306B1 (en) | 2019-05-29 | 2019-05-29 | identification device for attachment type personal comba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62912A KR102173306B1 (en) | 2019-05-29 | 2019-05-29 | identification device for attachment type personal combat system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76868A Division KR102173412B1 (en) | 2019-06-27 | 2019-06-27 | Optical Receiver for attachment type personal combat identifica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73306B1 true KR102173306B1 (en) | 2020-11-03 |
Family
ID=731976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62912A Active KR102173306B1 (en) | 2019-05-29 | 2019-05-29 | identification device for attachment type personal combat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73306B1 (en)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50128131A1 (en) * | 2003-03-10 | 2005-06-16 | Rafael-Armament Development Authority, Ltd. | Friend/foe identification system for a battlefield |
| US20070236384A1 (en) * | 2006-02-12 | 2007-10-11 | Gennadii Ivtsenkov | Cost-effective friend-or-foe (IFF) combat infrared alert and identification system (CID) |
| KR20160022908A (en) * | 2013-06-21 | 2016-03-02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Lenses for curved sensor systems |
| KR20180011510A (en) * | 2016-07-25 | 2018-02-02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Lidar sensor system for near field detection |
| KR20180127599A (en) * | 2017-05-19 | 2018-11-29 | 전자부품연구원 | Lidar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2019
- 2019-05-29 KR KR1020190062912A patent/KR1021733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50128131A1 (en) * | 2003-03-10 | 2005-06-16 | Rafael-Armament Development Authority, Ltd. | Friend/foe identification system for a battlefield |
| US20070236384A1 (en) * | 2006-02-12 | 2007-10-11 | Gennadii Ivtsenkov | Cost-effective friend-or-foe (IFF) combat infrared alert and identification system (CID) |
| KR20160022908A (en) * | 2013-06-21 | 2016-03-02 |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 Lenses for curved sensor systems |
| KR20180011510A (en) * | 2016-07-25 | 2018-02-02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Lidar sensor system for near field detection |
| KR20180127599A (en) * | 2017-05-19 | 2018-11-29 | 전자부품연구원 | Lidar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AU2019384075B2 (en) | Direct enhanced view optic | |
| JP6567742B2 (en) | Large-diameter dot sight equipment | |
| US5771623A (en) | Telescopic sight | |
| US8826583B2 (en) | System for automatically aligning a rifle scope to a rifle | |
| US4248496A (en) | Riflescope with data display in field of view | |
| US8334490B2 (en) | Off-axis reflective transmit telescope for a directed infrared countermeasures (DIRCM) system | |
| US20070209268A1 (en) | Laser rangefinder sighting apparatus and method | |
| US6041508A (en) | Aiming apparatus | |
| EP0899585A2 (en) | Dichroic active tracker | |
| US900034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guiding at least one object | |
| US20100273131A1 (en) | Laser transmitter for simulating a fire weap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20110176214A1 (en) | Baffles and methods for distributed-aperture sensors | |
| US8573975B2 (en) | Beam shaping for off-axis beam detection in training environments | |
| US12000676B2 (en) | Optical sensor with Tx/Rx aperture sharing element (ASE) for processing passive and active signals | |
| KR102173306B1 (en) | identification device for attachment type personal combat system | |
| KR102173412B1 (en) | Optical Receiver for attachment type personal combat identification | |
| KR102173418B1 (en) | identification Device for helmet type personal warfare system | |
| KR102173411B1 (en) | identification optical receiver for helmet type personal warfare system | |
| US20140150326A1 (en) | Process to Optically Align Optical Systems on a Weapon | |
| KR20080061664A (en) | Large caliber dot sight sight | |
| KR101850998B1 (en) | Sight scope having one magnification for collecting image | |
| KR101522528B1 (en) | Module for distributing image and telescope sight using the same | |
| WO2025027595A1 (en) | Aberrative retro-reflector for wireless power applications | |
| JPH0378715A (en) | Optical system for distance measurement | |
| CZ10826U1 (en) | Sight, especially for handgun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6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8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