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695B1 - Endoscope apparatus - Google Patents
Endoscope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9695B1 KR102189695B1 KR1020190015670A KR20190015670A KR102189695B1 KR 102189695 B1 KR102189695 B1 KR 102189695B1 KR 1020190015670 A KR1020190015670 A KR 1020190015670A KR 20190015670 A KR20190015670 A KR 20190015670A KR 102189695 B1 KR102189695 B1 KR 102189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doscope
- retractor
- unit
- traction
- be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9549 Muscl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084 abdominal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4—Fastening element for attaching accessories to the outside of an endoscope, e.g. clips, clamps or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일측에 수술기구를 삽입가능한 수술필드가 형성되게 타측으로 오목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리트랙터부와, 리트랙터부 상에 형성되고, 내시경이 설치되는 내시경채널부와, 리트랙터부 상에 형성되고, 내시경의 촬영을 위한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채널부와, 리트랙터부와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견인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e device, and is formed to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retractor portion having a concave cross-sectional shape to the other side to form a surgical field into which a surgical instrument can be inserted on one side, and formed on the retractor portion, the endoscope It includes an endoscope channel portion to be installed, a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formed on the retractor portion and supplied with fluid for photographing the endoscope, and a traction handle portion connected to the retractor portion and form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featur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의 수술부위를 모니터링하면서 수술을 시행하기 위한 내시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ic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oscopic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oscopic apparatus for performing surgery while monitoring a surgical site in the body.
일반적으로 개복수술을 시행함에 있어서는 수술도구의 체내 진입과 시야 확보를 위해 피부를 절개하고 리트랙터 등의 고정기구를 이용해 피부를 벌린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러한 고정기구에 의해 수술필드가 확보된 상태에서 육안, 현미경 등을 이용해 수술을 진행하고 있으나, 2차원적인 형상만을 확인가능하므로 내시경 영상과 비교해 수술부위의 입체적인 구조나 깊숙하게 위치한 곳의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In general, in performing open surgery, the skin is cut to secure the entry of the surgical tool into the body and the field of view, and the skin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using a fixing device such as a retractor. While the surgical field is secured by these fixing devices, surgery is being performed using the naked eye or a microscope, but only the two-dimensional shape can be confirmed, s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surgical site or the condition of the deeply located place can be accurately compared with the endoscopic image.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eck.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244937호(1999.11.24 등록, 발명의 명칭: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244937 (registered on November 24, 1999, title of the invention: traction device for abdominal surgery).
본 발명은 피부를 통과하여 체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수술도구 등의 진입이 가능한 수술필드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수술부위의 형상, 상태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내시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doscopy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confirming the shape and state of a surgical site while securing a surgical field through which the surgical tool can be en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kin and inserted into the body.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일측에 수술기구를 삽입가능한 수술필드가 형성되게 타측으로 오목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리트랙터부; 상기 리트랙터부 상에 형성되고, 내시경이 설치되는 내시경채널부; 상기 리트랙터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의 촬영을 위한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채널부; 및 상기 리트랙터부와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견인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oscop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tractor unit formed to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concave cross-sectional shape to the other side to form a surgical field into which a surgical instrument can be inserted; An endoscope channel portion formed on the retractor portion and in which an endoscope is installed; A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formed on the retractor portion and supplied with a fluid for photographing the endoscope; And a traction handle connected to the retractor and formed to extend in a transverse direction.
상기 리트랙터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채널부와 상기 유체공급채널부가 형성되는 견인본체부; 상기 견인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술필드확보부; 및 상기 수술필드확보부의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술필드가 형성되는 필드형성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unit may include a traction body unit formed to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endoscope channel unit and the fluid supply channel unit being formed; A surgical field secur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ction body and concave to the other side; And a field formation opening portion formed to be open to one side of the surgical field securing portion, and in which the surgical field is formed.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견인본체부의 타측부에 타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술필드확보부와 함께 원호 형상 또는 초승달 형상의 단면형상을 이루는 슬림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unit is formed to be convex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traction body, and a slim forming unit form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arc shape or a crescent shape together with the surgical field secur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견인본체부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견인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unit further comprises a traction aid formed to be bent in a transverse direction at an end of the traction body.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견인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리트랙터부; 및 상기 제1리트랙터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상기 견인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리트랙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unit may include a first retractor unit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raction handle unit; And a second retractor unit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retractor unit and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raction handle unit.
본 발명은, 상기 견인손잡이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터부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리트랙터조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tractor assembly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traction handle, the retractor assembly detachably assembled.
상기 리트랙터조립부는, 상기 견인손잡이부 상에 상기 리트랙터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조립돌출부; 상기 리트랙터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출부가 삽입되는 조립홈부; 및 상기 조립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리트랙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assembly unit includes: an assembly protrusion formed on the traction handle to protrude toward the retractor unit; An assembly groove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on the retractor portion and into which the assembly protrusion portion is inserted; And a fasten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assembly protrusion and is fastened to the retractor.
상기 견인손잡이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횡연장부; 상기 횡연장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파지부; 상기 횡연장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단부가 상기 리트랙터부와 연결되는 굽힘연결부; 상기 내시경과의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횡연장부와 상기 굽힘연결부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채널부와 연통되는 내시경설치부; 및 유체가 유동가능한 유로를 이루며 상기 횡연장부와 상기 굽힘연결부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채널부와 연통되는 유체조절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ction handle portion, a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form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gripping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a shape capable of being gripped by hand; A bending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verse extension part, having a shape ben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retractor part; An endoscope installation portion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with the endoscope, continuously formed on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the bend connection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And a fluid control flow path part which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lateral extension part and the bend connection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fluid supply channel part.
상기 굽힘연결부는, 상기 횡연장부와 상기 리트랙터부의 사이에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굽힘본체부; 및 상기 굽힘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굽힘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내시경이 통과가능한 굽힘안내부가 형성되는 굽힘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nd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bend body part formed to be bent between the lateral extension part and the retractor part; And a bend cov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bend body portion and having a bending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endoscope passes through the bend body portion.
상기 내시경설치부는, 상기 횡연장부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횡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착안내부; 및 상기 굽힘연결부 상에 상기 안착안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굽힘연결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내시경채널부와 연통되는 굽힘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oscope installation portion, a seating guide portion formed concave above the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And a bending guide part formed on the bend connection part in communication with the seating guide part, extending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bend connection pa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endoscope channel part.
상기 유체조절유로부는, 급수튜브와 배수튜브가 연결되는 튜브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횡연장부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유체가 유동가능한 입출유로부가 상기 튜브연결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관연결부; 및 상기 굽힘연결부 상에 상기 입출유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굽힘연결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유체공급채널부와 연통되는 굽힘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uid control flow path part includes a pipe connection part disposed on the lateral extension part by having a tub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and forming an entry/exit flow path par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e connection part; And a bend passage part formed on the bend connection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entry/exit passage part, extends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bend connection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fluid supply channel part.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견인본체부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견인손잡이부와 연결되는 굽힘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end of the traction body portion, and a bending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raction handl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리트랙터조립부는, 상기 견인손잡이부 상에 형성되고,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암연결부; 상기 리트랙터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암연결부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수연결부; 및 상기 수연결부의 단부를 가로지르는 슬릿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연결부를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분할하는 탄성압접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assembly unit may include an arm connection unit formed on the traction handle and having a female thread; A male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retractor portion and having a male screw portion screwed to the female connection portion; And an elastic pressure welding slit portion having a slit shape crossing the end of the male connection portion and dividing the male connection portion in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굽힘연장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견인손잡이부에서 상기 견인본체부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내시경을 상기 내시경채널부로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portion is formed to be recessed on the bend extension portion, and a guide groove portion for guiding the endoscope extending from the traction handle portion toward the traction body portion to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굽힘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내시경채널부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obliquely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extension to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상기 리트랙터부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견인본체부의 단부에 상기 유체공급채널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배관연결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tractor unit further comprises a pipe connection pipe portion having a pipe shape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traction body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상기 견인본체부 상에 상기 유체공급채널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채널연결관부; 상기 채널연결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굽힘연장부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굽힘관부; 및 상기 굽힘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급수튜브와 배수튜브가 연결되는 튜브연결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hannel connection pipe portion coupled to the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on the traction body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A bent pipe portion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hannel connection pipe portion and having a shape bent in a transverse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bend extension portion; And a tube connecting pipe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bent pipe portion and connecting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상기 견인손잡이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횡연장부; 상기 횡연장부에 결합되고,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파지부; 및 상기 횡연장부 상에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이 안착되거나 홀딩되는 내시경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ction handle portion, a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form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gripping portion coupled to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a shape capable of being gripped by hand; And an endoscope holding unit coupled to the lateral extension unit and on which the endoscope is seated or held.
상기 내시경홀딩부는, 상기 횡연장부의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횡연장부의 연장방향 따라 이동되거나 상기 횡연장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결합고리부; 및 상기 내시경을 홀딩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고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시경을 삽입가능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홀딩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doscope holding unit may include a coupling ring that is fitted around the lateral extension and is mov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ateral extension o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ateral extension; And a holding ring portion having a ring shape capable of holding the endoscope, connected to the coupling ring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into which the endoscope can be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는, 리트랙터부를 피부의 절개부를 통해 체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리트랙터부의 일측에 수술기구를 삽입가능한 수술필드를 형성할 수 있고, 리트랙터부 상에 형성된 내시경채널부를 통해 내시경을 이용해 체내 수술부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endoscop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urgical field into which a surgical instrument can be inserted on one side of the retractor while the retractor is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an incision in the skin, and through an endoscope channel portion formed on the retractor. The surgical site in the body can be monitored using an endoscope.
본 발명은, 집도의는 한손으로 견인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로 리트랙터부를 목적한 위치와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거나 기울이면서, 피부를 목적한 방향으로 당기는 견인력을 부여하거나, 수술부위를 가리는 체내의 장애물을 제칠 수 있고, 다른 한손으로는 수술기구를 체내로 삽입하여 수술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ction force that pulls the skin in a desired direction while freely moving or tilting the retractor unit in a desired position and direction while holding the traction handle unit with one hand, or an obstacle in the body that covers the surgical site Can be overtaken, and with the other hand, surgical instruments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to treat the surgical sit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술을 시행하는 과정이 내시경에 의해 체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피부에 리트랙터부를 삽입가능한 정도의 절개부 하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어 절개부의 크기, 개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urgery as described above can be safely made while monitoring the state of the body by an endoscope, and can be made by forming one incision to the extent that the retractor can be inserted into the skin. The size and number of wealth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리트랙터부의 일측에 별도의 고정도구 등에 의해 가로막혀 있지 않은 개방된 형태의 수술필드가 형성됨에 따라, 피부의 신축성과 탄력을 이용해 수술기구의 각도를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수술필드의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피부를 설정 너비로 개방시킨 상태를 지속함에 따른 근육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pen surgical fiel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tractor, which is not blocked by a separate fixing tool, etc., the angle of the surgical instrument can be moved more freely using the elasticity and elasticity of the ski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expand the range of the surgical field,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muscles caused by continuing the state of opening the skin to a preset width.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상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수술필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 상의 B-B'단면도 상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수술필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 상의 C-C'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 상의 D-D' 요부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urgical field formed by the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ectional view A-A' of FIG. 2.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urgical field formed by an endoscopic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ross-sectional view B-B' of FIG. 9.
1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CC′ of FIG. 1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DD′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icknesse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상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수술필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urgical field formed by the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ross-sectional view A-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1)는 리트랙터부(10), 내시경채널부(20), 유체공급채널부(30), 견인손잡이부(40), 리트랙터조립부(50)를 포함한다.1 to 3, the
리트랙터부(10)는 피부를 관통하여 체내로 삽입되는 장치부로, 오목한 단면형상을 가지고 종방향(도 2 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리트랙터부(10)가 오목한 단면형상을 가짐에 따라, 오목한 내측부 및 개방된 일측부에는 수술기구(3)를 삽입가능한 수술필드(2)가 형성된다.The
내시경채널부(20)는 체내의 수술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내시경(4)이 설치되는 장치부로, 리트랙터부(10)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리트랙터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내시경(4)은 플렉시블(flexible)하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견인손잡이부(40)측에서 내시경채널부(20)의 내부를 거쳐 리트랙터부(1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체내의 수술부위를 촬영하게 된다.The
유체공급채널부(30)는 내시경(4)의 촬영을 위한 유체(예를 들어, 셀라인(saline))를 공급하는 장치부로, 리트랙터부(10)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리트랙터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내시경채널부(20)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유체공급채널부(30)는 유체의 공급을 위한 라인과, 유체의 배출을 위한 라인에 해당되는 한 쌍이 내시경채널부(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The fluid
견인손잡이부(40)는 집도의 등의 수술시행자가 리트랙터부(10)에 견인력을 가하기 위한 장치부로, 체외에 위치하게 되는 리트랙터부(1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횡방향(도 2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수술시행자는 견인손잡이부(4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당기거나 미는 동작 등을 취함으로써, 리트랙터부(10)의 위치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The
사람마다 신체 조직의 형태, 크기, 위치 등에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조건에서 피부나 체내의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리트랙터부(10)는 다양한 형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리트랙터부(10)는 설정 길이(예를 들어, 105mm)를 가지는 제1리트랙터부(10A)와, 제1리트랙터부(10A)보다 긴 길이(예를 들어, 141mm)를 가지는 제2리트랙터부(10B)를 포함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조).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hape, size, and location of body tissues for each pers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리트랙터조립부(50)는 이와 같이 다양한 길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리트랙터부(10)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장치부로, 견인손잡이부(40)의 단부에 리트랙터부(10)를 착탈가능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필요 시 리트랙터조립부(50)를 이용해 제1리트랙터부(10A)를 견인손잡이부(40)에 조립, 고정시킬 수 있고, 교체 시 제1리트랙터부(10A)를 견인손잡이부(40)로부터 이탈, 분리시킨 후, 제2리트랙터부(10B)를 견인손잡이부(40)에 조립, 고정시킬 수 있다.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부(10)는 견인본체부(11), 수술필드확보부(12), 필드형성개방부(13), 슬림형성부(14), 견인보조부(1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수술필드확보부(12), 필드형성개방부(13), 슬림형성부(14), 견인보조부(15)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편의 상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방향을 설정하기로 한다.1 to 3, the
견인본체부(11)는 리트랙터부(10)의 기본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견인본체부(11) 상에는 내시경채널부(20)와 한 쌍의 유체공급채널부(30)가 중공되게 형성된다. 견인본체부(11)는 피부를 관통하여 체내로 삽입되면서 피부를 목적한 방향으로 당기는 견인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체내로 삽입된 하부를 이용해 수술부위를 가리는 체내의 장애물을 제칠 수 있다.The
수술필드확보부(12)는 견인본체부(11)의 좌측에 수술필드(2)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부로, 견인본체부(11)의 좌측부에 우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필드형성개방부(13)는 수술필드(2)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수술필드확보부(12)의 좌측에 좌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수술필드(2)는 수술필드확보부(12)의 내측부와 필드형성개방부(13)에 걸쳐 형성된다. The surgical
집도의는 한손으로 견인손잡이부(40)를 파지한 상태로 리트랙터부(10)를 목적한 위치와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거나 기울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내시경(4)을 통해 체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집도의는 다른 한손으로 리트랙터부(10)의 좌측에 좌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수술필드(2)를 통해 수술기구(3)를 체내로 삽입하고 수술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The surgeon may freely move or tilt the
여기서 수술필드(2)가 개방되게 형성된다는 것은, 별도의 고정도구 등에 의해 가로막혀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피부의 개방 상태를 정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도구가 생략되고, 개방된 형태의 수술필드확보부(12)를 형성함으로써, 피부를 설정 너비로 개방시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 근육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that the
또한, 내시경(4)을 보면서 피부의 신축성과 탄력을 이용해 수술기구(3)의 각도를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실질적으로 외부에서 보이는 것보다 수술기구(3)가 도달될 수 있는 체내의 수술필드(2)가 확연히 넓으며, 보다 체적이 큰 수술기구(3)의 삽입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ile looking at the
슬림형성부(14)는 동일한 크기의 수술필드(2)를 형성함에 있어서 피부의 절개부의 크기를 보다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견인본체부(11)의 우측부에 우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수술필드확보부(12)와 함께 원호 형상 또는 초승달 형상의 단면형상을 이룬다.The slim forming
수술필드확보부(12)와 슬림형성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직접 맞닿아 연결됨으로써, 수술필드확보부(12)와 슬림형성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경우와 비교해, 예를 들어 견인본체부(11)의 상부, 하부와 중간부가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경우와 비교해, 동일한 크기의 수술필드(2)를 형성함에 있어서 피부의 절개부의 크기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rgical
또한, 도 3 상에서 견인본체부(11)의 중간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어 설정 직경(예를 들어, 2mm~4mm)으로 내시경채널부(20)를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고, 내시경채널부(20)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측과 하측에 보다 작은 직경으로 한 쌍의 유체공급채널부(30)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ure 3, the middle portion of the
견인보조부(15)는 견인본체부(11)의 하단부에 견인손잡이부(40)의 연장방향(도 3 상에서 우측)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견인본체부(11)의 하단부에 견인보조부(15)를 형성함으로써, 견인손잡이부(40)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견인본체부(11)로 단순히 피부나 체내의 장애물을 견인손잡이부(40)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에, 견인보조부(15)를 이용해 장애물을 목적한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것이 가능해지고, 좁은 틈새로의 접근이 보다 용이해진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사시도이다.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art of the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견인손잡이부(40)는 횡연장부(41), 파지부(42), 굽힘연결부(43), 내시경설치부(46), 유체조절유로부(47)를 포함한다.4 to 6, the traction handle
횡연장부(41)는 견인손잡이부(40)의 주요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횡연장부(41)는 보다 경량화를 구현하기 위해 내시경(4)을 지지, 안내할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가진다.The
파지부(42)는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횡연장부(41)의 우측단부에 결합된다. 파지부(42)는 손바닥과 손가락이 안정되게 접할 수 있도록 횡연장부(41)보다 확장된 단면 형상을 가진다. 파지부(42) 상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다.The
굽힘연결부(43)는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즉 'ㄱ'자로 커브드(curved)된 형상을 가지고, 횡연장부(41)의 좌측단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리트랙터부(10)와 연결된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굽힘연결부(43)는 굽힘본체부(44)와 굽힘커버부(45)를 포함한다.The
굽힘본체부(44)는 굽힘연결부(43)의 주요 골조를 이루는 장치부로, 하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횡연장부(41)와 리트랙터부(10)의 사이에 배치된다. 굽힘본체부(44)의 상단부는 횡연장부(41)와 연결되고, 굽힘본체부(44)의 하단부는 리트랙터부(10)와 연결된다.The bending
굽힘커버부(45)는 굽힘연결부(43)의 내부를 개방가능하게 굽힘커버부(4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부로, 굽힘본체부(44)의 내측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굽힘본체부(44)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굽힘본체부(44)와 굽힘커버부(45)의 사이에는 내시경(4)이 통과가능한 굽힘안내부(462)와, 유체가 통과가능한 굽힘유로부(474)가 형성된다.The bend cover
굽힘커버부(45)를 굽힘본체부(44)로부터 분리시키면, 굽힘안내부(462)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굽힘안내부(46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시경(4)을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되는 굽힘안내부(462) 상에 용이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굽힘커버부(45)를 굽힘본체부(44)로부터 분리시키면, 굽힘유로부(474)가 함께 개방되며, 이에 따라 구부러진 형태로 연장되는 굽힘유로부(474)의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점검, 세척할 수 있다.When the
내시경설치부(46)는 내시경(4)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장치부로, 내시경(4)과의 접촉부를 구비하여 횡연장부(41)와 굽힘연결부(43)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리트랙터부(10)의 내부에 형성된 내시경채널부(20)와 연통된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설치부(46)는 안착안내부(461)와 굽힘안내부(462)를 포함한다.The
안착안내부(461)는 내시경(4)이 안착 또는 홀딩되는 장치부로, 횡연장부(41)와 파지부(42)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횡연장부(41)와 파지부(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된다. 굽힘안내부(462)는 굽힘연결부(43)의 내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굽힘본체부(44)와 굽힘커버부(45)의 사이에 굽힘연결부(4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안착안내부(461)와 연통되고, 하부가 유체공급채널부(30)와 연통된다. The
내시경(4)은 플렉시블하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견인손잡이부(40)의 단부에 위치한 파지부(42)측으로부터 안착안내부(461)에 안착된 상태로 굽힘연결부(43)측으로 수평 연장되고, 횡연장부(41)와 굽힘연결부(43)간의 경계부에서 굽힘연결부(43)의 내부에 형성된 굽힘안내부(462)로 인입되며, 굽힘안내부(462)를 따라 하측으로 휘어져 연장되고, 내시경채널부(20)의 내부를 거쳐 리트랙터부(1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체내의 수술부위를 촬영하게 된다.The
유체조절유로부(47)는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를 이루는 장치부로, 횡연장부(41)와 굽힘연결부(43)의 내부에 유체가 연속하여 유동가능한 유로를 형성하고, 유체공급채널부(30)와 연통된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조절유로부(47)는 배관연결부(471)와 굽힘유로부(474)를 포함한다.The fluid control
배관연결부(471)는 급수튜브(5)와 배수튜브(6)가 연결되는 튜브연결부(472)를 구비하여 횡연장부(41) 상에 배치된다(도 4 참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부(471)는 횡연장부(41) 중 굽힘연결부(43)와 접하는 좌측단부에 배치되어, 그 좌측부가 굽힘연결부(43)와 연결된다.The
배관연결부(471)의 내부에는 유체가 유동가능한 입출유로부(473)가 튜브연결부(47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입출유로부(473)는 급수튜브(5)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유체의 공급을 위한 라인을 이루는 것과, 배수튜브(6)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유체의 배출을 위한 라인을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In the inside of the
굽힘유로부(474)는 굽힘연결부(43)의 내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굽힘본체부(44)와 굽힘커버부(45)의 사이에 굽힘연결부(43)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한 쌍의 입출유로부(473)와 연통되고, 하부가 한 쌍의 유체공급채널부(30)와 연통된다.The bendin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조립부(50)는 조립돌출부(51), 조립홈부(52), 체결부재(5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조립돌출부(51)는 굽힘연결부(43)의 하단부 상에 리트랙터부(10)측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조립홈부(52)는 리트랙터부(10)의 상단부에 조립돌출부(5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조립돌출부(51)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되고, 조립홈부(52) 또한 이에 대응되는 한 쌍이 형성된다. The
굽힘연결부(43)와 리트랙터부(10)를 상호 접속시킨 상태에서 조립돌출부(51)는 조립홈부(52)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조립돌출부(51)와 조립홈부(52)를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굽힘연결부(43)와 리트랙터부(10)간의 조립이 정위치, 정방향으로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체결부재(53)는 조립돌출부(5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리트랙터부(10)에 체결, 고정된다. 체결부재(53)로는 볼트부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53)를 리트랙터부(10)에 체결 또는 해제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1리트랙터부(10A), 제2리트랙터부(10B) 등을 포함한 복수개의 리트랙터부(10) 중 수술에 적합한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1)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1)와 동일, 유사하거나, 대칭, 반전 등과 같이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a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 상의 B-B'단면도 상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수술필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B-B'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urgical field formed by an endoscop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cross-sectional view.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부(10)는 견인본체부(11), 수술필드확보부(12), 필드형성개방부(13), 슬림형성부(14), 견인보조부(15), 굽힘연장부(16), 안내홈부(17), 배관연결관부(18)를 포함한다.8 to 10, the
견인본체부(11), 수술필드확보부(12), 필드형성개방부(13), 슬림형성부(14), 견인보조부(15)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부(10)에서 이미 설명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굽힘연장부(16)는 종방향을 연장되는 견인본체부(11)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견인손잡이부(40)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부로, 종방향에서 횡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즉 'ㄱ'자로 커브드된 형상을 가지고, 견인본체부(11)의 상부에 결합되고, 리트랙터조립부(50)를 매개로 하여 견인손잡이부(40)와 연결된다.The bending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 상의 C-C' 요부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9 상의 D-D' 요부 단면도이다.FIG. 11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doscop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C-C' of FIG. 11,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jor portion D-D' of FIG. 9.
안내홈부(17)는 견인손잡이부(40)에서 견인본체부(11)측으로 연장되는 내시경(4)을 내시경채널부(20)로 안내하는 장치부로, 굽힘연장부(16) 상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8,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내홈부(17)는 굽힘연장부(16)의 상부에서 내시경채널부(20)의 상단부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안내홈부(17)에 의해 내시경채널부(20)의 상단부는 외부로 개방되며,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내시경(4)의 내시경채널부(20) 내부로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내시경(4)은 플렉시블하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견인손잡이부(40)를 따라 견인본체부(11)측으로 연장되다가, 안내홈부(17)에 안착된 상태로 안내홈부(17)를 따라 하향되게 구부러지면서 내시경채널부(20)의 상단부에 도달되고, 내시경채널부(2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내시경채널부(20)의 내부로 진입된 후 내시경채널부(20)를 따라 견인본체부(11)의 하부로 하향 연장되어, 체내의 수술부위를 촬영하게 된다.The
배관연결관부(18)는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유로를 이루는 장치부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견인본체부(11)의 단부에 유체공급채널부(30)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연결관부(18)는 채널연결관부(181), 굽힘관부(182), 튜브연결관부(183)를 포함한다.The pipe
채널연결관부(181)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견인본체부(11)의 상부에 유체공급채널부(30)와 상부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굽힘관부(182)는 채널연결관부(181)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굽힘연장부(16)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튜브연결관부(183)는 굽힘관부(182)의 단부에 형성되고, 급수튜브(5)와 배수튜브(6)가 연결된다. 채널연결관부(181), 굽힘관부(182), 튜브연결관부(183)의 내부에는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유로가 연속하여 연통되게 형성된다.The channel
배관연결관부(18)는 급수튜브(5)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유체의 공급을 위한 라인을 이루는 것과, 배수튜브(6)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유체의 배출을 위한 라인을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한 쌍이 굽힘연장부(16)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한 쌍의 유체공급채널부(30)와 각각 연통되게 연결된다.The piping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인손잡이부(40)는 횡연장부(41), 파지부(42), 내시경홀딩부(48)를 포함한다.8 and 9, the traction handle 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횡연장부(41)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을 가지고,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파지부(42)는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횡연장부(42)의 단부에 결합된다. 파지부(42)는 손바닥과 손가락이 안정되게 접할 수 있도록 횡연장부(41)보다 확장된 단면 형상을 가진다. 파지부(42) 상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다.The
내시경홀딩부(48)는 견인손잡이부(40)를 따라 견인본체부(11)측으로 연장되는 내시경(4)을 홀딩, 지지하기 위한 장치부로, 횡연장부(41) 상에 결합된다. 내시경홀딩부(48)는 필요에 따라 횡연장부(41) 상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내시경홀딩부(48)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홀딩부(48)는 결합고리부(481)와 홀딩고리부(482)를 포함한다.The
결합고리부(481)는 횡연장부(41)에 결합되는 장치부로,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지고 횡연장부(41)의 둘레에 끼워진다. 결합고리부(481)는 외력에 의해 횡연장부(41)의 연장방향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횡연장부(4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결합고리부(481)는 횡연장부(41)의 단부로부터 횡연장부(41)의 둘레에 끼워질 수 있고, 외력에 의해 횡연장부(41) 상의 목적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The engaging
홀딩고리부(482)는 내시경(4)이 안착되거나 홀딩되는 장치부로, 내시경(4)을 홀딩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고, 결합고리부(481)와 연결된다. 홀딩고리부(482) 상에는 내시경(4)을 삽입가능한 개방부(483)가 형성된다. 홀딩고리부(482)는 개방부(483)에 의해 내시경(4)의 둘레에 탄성적으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4)이 홀딩고리부(482)에 안정되게 안착, 밀착될 수 있고, 자중 등으로 인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lding
또한, 개방부(483)를 내시경(4)의 너비보다 축소된 너비로 형성하면, 플렉시블한 구조를 가지는 내시경(4)을 개방부(483)를 통해 홀딩고리부(482)의 내외부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도, 홀딩고리부(482)의 내부에 내시경(4)을 끼운 상태에서 내시경(4)이 임의의 외력에 의해 홀딩고리부(482)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도 8, 도 9,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조립부(50)는 암연결부(54), 수연결부(56), 탄성압접슬릿부(58)를 포함한다.8, 9 and 12, the
암연결부(54)는 내경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구조를 가지고 견인손잡이부(40)의 단부에 결합된다. 암연결부(54)는 횡연장부(41)보다 확장된 너비를 가진다. 암연결부(54)는 횡연장부(41)의 단부를 통해 복수개의 내시경홀딩부(48)를 끼운 후 횡연장부(41)의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내시경홀딩부(48)가 횡연장부(41)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안정되게 구속시킬 수 있다.The
수연결부(56)는 암연결부(54)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57)를 구비하여, 굽힘연장부(16)의 단부에 형성된다. 탄성압접슬릿부(58)는 수연결부(56)의 단부를 가로지르는 슬릿 형상을 가지고, 수연결부(56)를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분할한다.The
탄성압접슬릿부(58)에 의해 복수개의 수연결부(56)는 상호 간의 이격간격이 탄성적으로 축소될 수 있고, 복수개의 수연결부(56)간의 이격간격을 보다 축소시킨 상태에서 암연결부(54)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으며, 암연결부(54)에 나사체결된 상태에서 암연결부(54)의 내면부에 탄성적으로 압접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장치(1)에 의하면, 리트랙터부(10)를 피부의 절개부를 통해 체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리트랙터부(10)의 일측에 수술기구(3)를 삽입가능한 수술필드(2)를 형성할 수 있고, 리트랙터부(10) 상에 형성된 내시경채널부(20)를 통해 내시경(4)을 이용해 체내 수술부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집도의는 한손으로 견인손잡이부(40)를 파지한 상태로 리트랙터부(10)를 목적한 위치와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거나 기울이면서, 피부를 목적한 방향으로 당기는 견인력을 부여하거나, 수술부위를 가리는 체내의 장애물을 제칠 수 있고, 다른 한손으로는 수술기구(3)를 체내로 삽입하여 수술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geon can freely move or tilt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수술을 시행하는 과정이 내시경(4)에 의해 체내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피부에 리트랙터부(10)를 삽입가능한 정도의 절개부 하나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어 절개부의 크기, 개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urgery as described above can be safely performed while monitoring the state of the body by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트랙터부(10)의 일측에 별도의 고정도구 등에 의해 가로막혀 있지 않은 개방된 형태의 수술필드(2)가 형성됨에 따라, 피부의 신축성과 탄력을 이용해 수술기구(3)의 각도를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수술필드(2)의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으며, 기존에 피부를 설정 너비로 개방시킨 상태를 지속함에 따른 근육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pe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내시경장치 2 : 수술필드
3 : 수술기구 4 : 내시경
5 : 급수튜브 6 : 배수튜브
10 : 리트랙터부 10A : 제1리트랙터부
10B : 제2리트랙터부 11 : 견인본체부
12 : 수술필드확보부 13 : 필드형성개방부
14 : 슬림형성부 15 : 견인보조부
16 : 굽힘연장부 17 : 안내홈부
18 : 배관연결관부 20 : 내시경채널부
30 : 유체공급채널부 40 : 견인손잡이부
41 : 횡연장부 42 : 파지부
43 : 굽힘연결부 44 : 굽힘본체부
45 : 굽힘커버부 46 : 내시경설치부
47 : 유체조절유로부 48 : 내시경홀딩부
50 : 리트랙터조립부 51 : 조립돌출부
52 : 조립홈부 53 : 체결부재
54 : 암연결부 56 : 수연결부
57 : 수나사부 58 : 탄성압접슬릿부
181 : 채널연결관부 182 : 굽힘관부
183 : 튜브연결관부 461 : 안착안내부
462 : 굽힘안내부 471 : 배관연결부
472 : 튜브연결부 473 : 입출유로부
474 : 굽힘유로부 481 : 결합고리부
482 : 홀딩고리부 483 : 개방부1: endoscopic device 2: surgical field
3: surgical instruments 4: endoscope
5: water supply tube 6: drain tube
10:
10B: second retractor part 11: traction body part
12: surgical field securing unit 13: field formation opening unit
14: slim forming part 15: traction aid
16: bending extension 17: guide groove
18: piping connection pipe part 20: endoscope channel part
30: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40: traction handle
41: transverse extension part 42: gripping part
43: bending connection portion 44: bending body portion
45: bending cover part 46: endoscope installation part
47: fluid control passage part 48: endoscope holding part
50: retractor assembly 51: assembly protrusion
52: assembly groove 53: fastening member
54: female connection 56: male connection
57: male thread part 58: elastic pressure welding slit part
181: channel connecting pipe part 182: bent pipe part
183: tube connecting pipe part 461: seating guide part
462: bending guide part 471: piping connection part
472: tube connection part 473: entry/exit passage part
474: bending passage part 481: coupling ring part
482: holding ring part 483: opening part
Claims (19)
상기 리트랙터부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내시경이 설치되는 내시경채널부;
상기 리트랙터부의 내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의 촬영을 위한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채널부; 및
상기 리트랙터부와 연결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견인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트랙터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채널부와 상기 유체공급채널부가 형성되는 견인본체부;
상기 견인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타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술필드확보부;
상기 수술필드확보부의 일측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술필드가 형성되는 필드형성개방부; 및
상기 견인본체부의 타측부에 타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슬림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술필드확보부와 상기 슬림형성부는, 동일한 크기의 상기 수술필드를 형성함에 있어서 피부의 절개부의 크기가 상기 수술필드확보부와 상기 슬림형성부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것보다 감소되게, 단부가 맞닿아 연결되고, 상기 견인본체부의 중간부가 단부보다 두껍게 형성되게 함께 초승달 형상의 단면형상을 이루며,
상기 내시경채널부는, 상기 견인본체부의 중간부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채널부는, 상기 내시경채널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내시경채널부의 단부에 중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A retractor unit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concave cross-sectional shape to the other side to form a surgical field into which a surgical instrument can be inserted;
An endoscope channel portion formed to be hollow inside the retractor portion and in which an endoscope is installed;
A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formed to be hollow inside the retractor portion and supplied with a fluid for photographing the endoscope; And
Including; a traction handle connected to the retractor portion and form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retractor unit,
A traction body portion formed to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and the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formed therein;
A surgical field secur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traction body and concave to the other side;
A field formation opening portion formed to be open to one side of the surgical field securing portion and in which the surgical field is formed; And
Includes; a slim forming portion formed to be convex to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traction body,
The surgical field securing unit and the slim forming unit, when forming the surgical field of the same size, so that the size of the cutout portion of the skin is reduced compared to that the ends of the surgical field securing unit and the slim forming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connected by contact, and form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crescent moon shape together so that the middle part of the traction body is formed thicker than the end,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is formed to be hollow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traction body,
The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and is formed to be hollow at an end of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견인본체부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견인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ractor unit,
Endoscopy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a traction aid formed to be b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end of the traction body.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견인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리트랙터부; 및
상기 제1리트랙터부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상기 견인손잡이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리트랙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ractor unit,
A first retractor unit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raction handle; And
And a second retractor unit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first retractor unit and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raction handle unit.
상기 견인손잡이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리트랙터부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리트랙터조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5,
And a retractor assembly unit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traction handle and detachably assembling the retractor unit.
상기 리트랙터조립부는,
상기 견인손잡이부 상에 상기 리트랙터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조립돌출부;
상기 리트랙터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출부가 삽입되는 조립홈부; 및
상기 조립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리트랙터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etractor assembly unit,
An assembly protrusion formed on the traction handle to protrude toward the retractor;
An assembly groove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on the retractor portion and into which the assembly protrusion portion is inserted; And
And a fastening member that passes through the assembly protrusion and is fastened to the retractor.
상기 견인손잡이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횡연장부;
상기 횡연장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파지부;
상기 횡연장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횡방향에서 종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단부가 상기 리트랙터부와 연결되는 굽힘연결부;
상기 내시경과의 접촉부를 구비하여 상기 횡연장부와 상기 굽힘연결부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내시경채널부와 연통되는 내시경설치부; 및
유체가 유동가능한 유로를 이루며 상기 횡연장부와 상기 굽힘연결부 상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채널부와 연통되는 유체조절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ction handle part,
A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form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gripping portion coupled to one end of the lateral extension and having a shape capable of being gripped by hand;
A bending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verse extension part, having a shape ben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the retractor part;
An endoscope installation portion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with the endoscope, continuously formed on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the bend connection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And
And a fluid control passage part which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lateral extension part and the bend connection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fluid supply channel part.
상기 굽힘연결부는,
상기 횡연장부와 상기 리트랙터부의 사이에 구부러지게 형성되는 굽힘본체부; 및
상기 굽힘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굽힘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내시경이 통과가능한 굽힘안내부가 형성되는 굽힘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bending connection part,
A bent body portion formed to be bent between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the retractor portion; And
And a bend cov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bend body portion and having a bending guide portion through which the endoscope passes through the bent body portion.
상기 내시경설치부는,
상기 횡연장부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횡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안착안내부; 및
상기 굽힘연결부 상에 상기 안착안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굽힘연결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내시경채널부와 연통되는 굽힘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endoscope installation unit,
A seating guide portion formed concave above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And a bend guide part formed on the bend connection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seating guide part, extends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bend connection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endoscope channel part.
상기 유체조절유로부는,
급수튜브와 배수튜브가 연결되는 튜브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횡연장부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유체가 유동가능한 입출유로부가 상기 튜브연결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배관연결부; 및
상기 굽힘연결부 상에 상기 입출유로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굽힘연결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유체공급채널부와 연통되는 굽힘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luid control passage part,
A pipe connection portion having a tub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age tube, disposed on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forming an entry/exit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a fluid flows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e connection portion; And
And a bend passage part formed on the bend connection part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entry/exit passage part, extending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bend connection part, and communicating with the fluid supply channel part.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견인본체부의 단부에 횡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견인손잡이부와 연결되는 굽힘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ractor unit,
And a bend extension part formed to be b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end of the traction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traction handle part.
상기 리트랙터조립부는,
상기 견인손잡이부 상에 형성되고,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암연결부;
상기 리트랙터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암연결부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수연결부; 및
상기 수연결부의 단부를 가로지르는 슬릿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연결부를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분할하는 탄성압접슬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etractor assembly unit,
An arm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traction handle and having a female thread;
A male connection portion formed on the retractor portion and having a male screw portion screwed to the female connection portion; And
And an elastic pressure welding slit portion having a slit shape crossing the end of the male connection portion and dividing the male connection portion in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리트랙터부는,
상기 굽힘연장부 상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견인손잡이부에서 상기 견인본체부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내시경을 상기 내시경채널부로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tractor unit,
And a guide groove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on the bend extens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guide the endoscope extending from the traction handle portion toward the traction body portion to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굽힘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내시경채널부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guide groove part,
The endoscop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ending extension to the endoscope channel portion.
상기 리트랙터부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견인본체부의 단부에 상기 유체공급채널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배관연결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retractor unit,
The endoscope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pipe connection pipe portion having a pipe shape with a flow path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traction body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상기 배관연결관부는,
상기 견인본체부 상에 상기 유체공급채널부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채널연결관부;
상기 채널연결관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굽힘연장부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굽힘관부; 및
상기 굽힘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급수튜브와 배수튜브가 연결되는 튜브연결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pipe connection pipe part,
A channel connection pipe portion coupled to the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on the traction body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fluid supply channel portion;
A bent pipe portion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hannel connection pipe portion and having a shape bent in a transverse direction parallel to the bend extension portion; And
And a tube connecting pipe portion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bent pip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ube and the drain tube.
상기 견인손잡이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횡연장부;
상기 횡연장부에 결합되고, 손으로 파지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파지부; 및
상기 횡연장부 상에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이 안착되거나 홀딩되는 내시경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ction handle part,
A transverse extension portion form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gripping portion coupled to the lateral extension portion and having a shape capable of being gripped by hand; And
And an endoscope holding unit coupled to the lateral extension unit and on which the endoscope is seated or held.
상기 내시경홀딩부는,
상기 횡연장부의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횡연장부의 연장방향 따라 이동되거나 상기 횡연장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결합고리부; 및
상기 내시경을 홀딩가능한 고리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고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시경을 삽입가능한 개방부가 형성되는 홀딩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장치.The method of claim 18,
The endoscope holding part,
A coupling ring part fitted around the lateral extension part and mov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ateral extension part or rotating based on the lateral extension part; And
And a holding ring portion having a ring shape capable of holding the endoscope, connected to the coupling ring portion, and formed with an opening portion into which the endoscope can be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15670A KR102189695B1 (en) | 2019-02-11 | 2019-02-11 | Endoscop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15670A KR102189695B1 (en) | 2019-02-11 | 2019-02-11 | Endoscope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98052A KR20200098052A (en) | 2020-08-20 |
| KR102189695B1 true KR102189695B1 (en) | 2020-12-11 |
Family
ID=722427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15670A Active KR102189695B1 (en) | 2019-02-11 | 2019-02-11 | Endoscope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89695B1 (en)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876709B2 (en) * | 2011-09-23 | 2014-11-04 | Invuity, Inc. | Illuminated and modular soft tissue retractor |
| KR101890257B1 (en) * | 2016-12-08 | 2018-08-21 | 박성재 | Retractor for fixing endoscope |
-
2019
- 2019-02-11 KR KR1020190015670A patent/KR10218969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98052A (en) | 2020-08-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2969400B (en) | Endoscopic instrument | |
| JP4547184B2 (en) | Endoscope adapter and endoscope | |
| KR101706400B1 (en) | Endoscope hood and endoscope with the same mounted thereon | |
| WO2008141202A2 (en) | Medical scope carrier and scope as system and method | |
| EP3200673B1 (en) | Ureteroscope and attachment device therefor | |
| WO1999052418A1 (en) | Endoscopic instrumentation with working channel | |
| US11363944B2 (en) | Surgical instrument with steerable camera | |
| ITUA20163838A1 (en) | MINI-INVASIVE DEVICE FOR ENDOUROLOGICAL TREATMENTS | |
| DE102019105438A1 (en) | Endoscope with quick-change tubing | |
| CN105662581A (en) | Detachable and telescopic flexible ureteroscope sheath | |
| WO2012040747A1 (en) | Minimally invasive suction retractor | |
| US10729314B2 (en) | Holding mechanism and insertion device | |
| JP6150656B2 (en) | Endoscope | |
| KR102189695B1 (en) | Endoscope apparatus | |
| JP2005040293A (en) | Endoscope | |
| EP1745737A1 (en) | Treatment instrument for endoscope | |
| KR102329409B1 (en) | Endoscope apparatus for spine | |
| CN118102962A (en) | Flexible cryotherapeutic device | |
| KR101487087B1 (en) | Cannula for preventing gushing blood | |
| JP4600618B2 (en) | Endoscope treatment tool insertion part | |
| KR102189694B1 (en) | Endoscope apparatus | |
| US20180184886A1 (en) | Endoscope sheath and endoscope system | |
| KR102776846B1 (en) | Artificial disc insert guide device for spinal endoscopic surgery | |
| DE102014203920B4 (en) | Device for laser lithotripsy | |
| EP4245206A1 (en) | Hand-held surgical instrument and main body for hand-held surgical instru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