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82306B1 - 염모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모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306B1
KR102182306B1 KR1020197003413A KR20197003413A KR102182306B1 KR 102182306 B1 KR102182306 B1 KR 102182306B1 KR 1020197003413 A KR1020197003413 A KR 1020197003413A KR 20197003413 A KR20197003413 A KR 20197003413A KR 102182306 B1 KR102182306 B1 KR 10218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ye composition
mass
hair dye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833A (ko
Inventor
겐사쿠 이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19002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3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이온성 청색 염료의 농염 효과가 뛰어난 염모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성분 A: HC 청색 2와 성분 B: 카프린산 글리세릴을 함유하는 염모료 조성물이다.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의 질량 비율[성분 B/성분 A]이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모료 조성물 중의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은 0.1∼3.0 질량%이며,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은 0.01∼3.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염모료 조성물
본 발명은 염모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3월 29일에 일본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7-06645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최근,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나 비이온성 염료를 이용한, 모발이나 두피에의 데미지가 작은 염모료가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염모료 중에서도, 세발 시의 샴푸와 동시에 모발을 염색할 수 있는 컬러 샴푸나, 세발 후의 린스, 트리트먼트와 동시에 모발을 염색할 수 있는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는, 간편성이 뛰어나고, 또한 염색의 균일성도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염모료는, 종래의 산화 염모제에 비해 모발에의 염색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모발에의 염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서는, 산성 염료와 에스테르 화합물 및 에스테르 가수 분해 효소와의 조합에 의해, 모발에의 염모력이 뛰어나고, 맨살 더러워짐이 적은 염모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염기성 염료 및 카프릴산 글리세릴을 포함하고, 염기성 염료 0.3 질량부에 대하여, 카프릴산 글리세릴을 0.1∼20 질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모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모발을 보다 진하게 염색하기 위해서는, 염료를 증량하는 것이 가장 용이하지만, 제제(製劑)의 안정성이나 안전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종래부터, 동량의 염료로 보다 진하게 염색하는 「농염화」에 관하여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염모성(특히, 백발 염색에 있어서의 염모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은 청색 염료인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 2014-101292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2-47150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14-234365호 공보
상술과 같이, 산성 염료나 염기성 염료의 염색성 향상에 관한 보고가 있는 한편, 비이온성 염료에 관한 지견은 부족한 것이 현상이다. 최근 컬러 트리트먼트의 대두에 의해, 염기성 염료와 비이온성 염료를 조합하는 기술이 중시되어 오고 있다. 이 때문에, 비이온성 염료에 대한 농염화 기술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에 개시된 어느 염모료도, 비이온성 청색 염료의 농염화에 관한 검토는 불충분하다. 예를 들면, 염료의 종류로서, 특허문헌 2에서는, 산성 염료 등이 개시되고, 특허문헌 3에서는, 염기성 염료가 개시되어 있지만, 어느 문헌도 비이온성 청색 염료에 주목한 것은 아니며, 또 농염화를 검토한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비이온성 청색 염료의 농염 효과가 뛰어난 염모료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이온성 청색 염료의 농염 효과가 뛰어난 염모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를 함유하는 염모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성분 A: HC 청색 2
성분 B: 카프린산 글리세릴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의 질량 비율[성분 B/성분 A]이,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모료 조성물 중의,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은 0.1∼3.0 질량%이며,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은 0.01∼3.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모료 조성물은,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청색 염료의 농염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모발을 진하게 염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컬러 샴푸, 컬러 린스나 컬러 트리트먼트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은 횟수의 사용이나 짧은 방치 시간에 의해, 모발을 진하게 염색할 수 있어, 염모성이 뛰어나다.
도 1은 HC 청색 2와 각종 첨가물의 조합에 의한 수용액계의 농염화 실험(명도의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HC 청색 2와 각종 첨가물의 조합에 의한 수용액계의 농염화 실험(명도의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의 조합에 의한 크림계의 농염화 실험(명도의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의 조합에 의한 수용액계의 농염화 실험(명도의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의 조합에 의한 컬러 샴푸의 농염화 실험(명도의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의 조합에 의한 컬러 린스(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의 농염화 실험(명도의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HC 청색 2에 염기성 청색 75를 더한 것에, 카프린산 글리세릴을 조합한 수용액계의 농염화 실험(명도의 평가)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염모료로서 이용되는 조성물이다. 상기 염모료로는, 컬러 린스, 컬러 트리트먼트, 헤어 매니큐어, 컬러 샴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간편하게 염모를 행할 수 있고, 1회당의 시술 시간이 단시간이라는 이점을 갖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 또는 컬러 샴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 또는 컬러 샴푸의 형태로서도, 농염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을 적어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HC 청색 2」를 「성분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카프린산 글리세릴」을 「성분 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추가로 필수 성분인 성분 A 및 성분 B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추가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추가로 상기에 예로 든 이외의 성분(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성분, 예를 들면, 성분 A; 성분 B;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 및 다른 성분은, 각각 1종만이 이용되고 있어도 되고, 2종 이상이 이용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성분 A; 성분 B;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 다른 성분)의 함유량은, 각각, 염모료 조성물 중의 합계의 함유량이 100 질량% 이하가 되도록, 기재(記載)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의 필수 성분인 성분 A 및 성분 B에 대해서 설명한다.
[성분 A: HC 청색 2]
성분 A는 HC 청색 2이다. 상기 HC 청색 2는,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6판, 제2권, 2016년, p.1494): HC BLUE NO.2로 표기되는 화합물이며, 2,2'-[[4-[(2-히드록시에틸)아미노]-3-니트로페닐]이미노]비스에탄올: 2,2'-[[4-[(2-Hydroxyethyl)amino]-3-nitrophenyl]imino]bisethanol이다.
HC 청색 2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HC 청색 2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테르카사 제조, 상품명 「COLOREX HCB2」를 들 수 있다.
[성분 B: 식 (1)로 표시되는 성분]
성분 B는 카프린산 글리세릴이며, 하기의 식 (1)로 표시되는 성분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1
성분 B는, INCI명(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제16판, 제1권, 2016년, p.1422): GLYCERYL CAPRATE로 표기되는 화합물이며, 2,3-디히드록시프로필 데카노에이트: 2,3-Dihydroxypropyl decanoate이다.
성분 B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성분 B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다이요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선소프트 760-C」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성분 A의 함유량에 대한 성분 B의 함유량의 질량 비율[성분 B/성분 A]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농염 효과의 관점에서,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상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성분 A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3.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1.5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1.0 질량%이다. 상기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이면, 염모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3.0 질량% 이하이면, 안전성이나 제제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수세(水洗) 후에 물에 녹아내린 염료에 의한 타월이나 의복 등으로의 이염이 한층 더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성분 B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3.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2.0 질량%이다. 상기 함유량이 0.01 질량% 이상이면, 농염 효과가 보다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유량이 3.0 질량% 이하이면, 안전성이 보다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성분 B 이외의 지방산 부분의 탄소수가 12 이하인 에스테르 화합물(「그 외의 에스테르 화합물」이라고 칭한다)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 외의 에스테르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카프릴산 에스테르, 2-에틸헥산산 세틸, 이소노난산 이소노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성분 A에 더하여, 다른 비이온성 염료나 염기성 염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HC 황색 2, HC 황색 4, HC 황색 5, HC 적색 1, HC 적색 3, HC 등색 1 등의 비이온성 염료; 염기성 청색 75, 염기성 청색 99, 염기성 청색 124, 염기성 황색 57, 염기성 황색 87, 염기성 갈색 16, 염기성 갈색 17, 염기성 적색 51, 염기성 적색 76, 염기성 등색 31, HC 청색 16 등의 염기성 염료를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의 농염 효과는, 명도차(ΔL*)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염모료 조성물 1g을 야크털 모속(毛束)에 도포하여, 1분간 모속 전체에 흡수시키고, 30℃ 70%RH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모속으로부터 염모료 조성물을 씻어내고, 건조시켜 조제한 평가용 모속을 이용하여, 명도를 측정한다. 여기에서, 염모료 조성물로 염모했을 때의 명도(농염화 후의 L*치)가, 카프린산 글리세릴을 포함하지 않는 염모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염모했을 때의 명도(기준의 L*치)보다도 작고, 그 명도차(ΔL*)의 절대치가 커질수록, 농염 효과가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의 상기 명도차(ΔL*)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또한 명도차(ΔL*)란,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차이고, 예를 들면, 분광 측색계를 이용하여 실시예에 기재한 조건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명도차(ΔL*)는, (농염화 후의 L*치)-(기준L*치)로 산출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 중 어느 것인 경우의 바람직한 임의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경우, 수세 시의 버석거리는 느낌의 저감 효과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 트리알킬형 4급 암모늄염, 모노알킬에테르형 4급 암모늄염, 알킬아민, 지방산 아미도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으로는, 예를 들면,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16,18)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20∼22)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미리스틸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트리(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암모늄, 염화디(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도아민으로는, 예를 들면,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미리스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미리스틴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팔미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팔미틴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스테아린산 디프로필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 디프로필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베헤닌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베헤닌산 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아미도아민은, 유기산 및/또는 무기산에 의해 염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유산, 사과산, 구연산, 주석(酒石)산, 초산(酢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무기산으로는, 인산, 염산, 황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산, 구연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산 및 무기산의 함유량은, 배합되는 지방산 아미도아민을 중화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상기 중에서도,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 지방산 아미도아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16,18)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20∼22)트리메틸암모늄,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이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양이온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제4급 질소함유 셀룰로오스에테르 유도체;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구아검 등의 제4급 질소함유 구아검 유도체; 양이온성 전분, 디알릴 제4급 암모늄염 중합물, 디알릴 제4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 제4급화 폴리비닐피롤리돈 유도체, 폴리글리콜 폴리아민 축합물, 아디핀산·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프로필에틸렌트리아민 공중합물, 양이온화 덱스트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디알릴 제4급 암모늄염 중합물, 디알릴 제4급 암모늄염/아크릴아미드 공중합물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늄이다.
상기 실리콘유로는, 예를 들면, 메틸폴리실록산, 평균 중합도가 650∼7000인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티콘올 등의 쇄상 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등의 환상 실리콘; 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코올 변성 실리콘, 지방족 알코올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의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쇄상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이다. 상기 함유량이 0.5 질량% 이상이면, 수세 시에 버석거리는 느낌이 한층 더 저감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10.0 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연속 사용에 의해 상기 성분이 모발에 축적되어, 모발에 뻣뻣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실리콘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 모두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농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티톨,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료의 용해성의 관점에서, 0.5∼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이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다가 알코올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급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6∼22의 알코올을 들 수 있고,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2-옥틸도데칸올, 올레일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고급 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고급 알코올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經時)에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1.0∼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 질량%이다. 상기 고급 알코올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고급 알코올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화수소유로는, 예를 들면, α-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식물성 스쿠알란, 유동 이소파라핀,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탄화수소유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 시의 염모료 조성물의 흡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0.5∼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이다. 상기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탄화수소유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경시에서의 안정성 관점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글리세린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경시에서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0.5∼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이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물을 포함한다. 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9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80.0 질량%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l-멘톨, 1,8-시네올, 캄퍼 등의 청량제;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 올리브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아르간 오일 등의 식물유; 실리카 등의 흡습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콜라겐 또는 그의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그의 유도체, 항산화제, 금속 봉쇄제, 비타민류, 동식물 추출 엑기스, 펄화제, 착색제, 향료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샴푸인 경우의 바람직한 임의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샴푸인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세정성의 관점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兩性)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계면활성제(적어도 1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염색성을 유지하면서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양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색성과 세정성의 관점에서, 1.0∼2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 질량%이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틸황산나트륨, 스테아릴황산나트륨, 올레일황산나트륨, 세틸황산나트륨 등의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미리스틸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테트라데센술폰산나트륨 등의 α-올레핀술폰산염; 미리스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팔미토일메틸타우린나트륨, 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올레오일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의 N-아실메틸타우린염; 술포호박산 디옥틸나트륨, 술포호박산 라우릴이나트륨 등의 술포호박산 알킬염; 술포호박산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이나트륨 등의 술포호박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염; 라우릴인산나트륨, 세틸인산나트륨, 세틸인산디에탄올아민 등의 모노알킬인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인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라우로일사르코신칼륨, 라우로일사르코신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사르코신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사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사르코신염;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라우로일메틸알라닌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메틸알라닌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메틸알라닌나트륨 등의 N-아실-N-메틸-β-알라닌염; 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라우로일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 미리스토일글루타민산나트륨,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칼륨, 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이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타민산나트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염;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리신칼륨, 야자유 지방산 아실글리신나트륨 등의 N-아실글리신염; 라우릴글리콜초산나트륨(도데칸-1,2-디올초산나트륨), 라우릴글리콜초산칼륨, 미리스틸글리콜초산나트륨, 미리스틸글리콜초산칼륨, 팔미틸글리콜초산나트륨, 팔미틸글리콜초산칼륨, 스테아릴글리콜초산나트륨, 스테아릴글리콜초산칼륨, 베헤닐글리콜초산나트륨, 베헤닐글리콜초산칼륨 등의 알킬에테르글리콜초산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염색성의 관점에서, N-아실-N-메틸-β-알라닌염, N-아실글루타민산염 등의 아미노산 유래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색성과 세정성의 관점에서, 0.5∼5.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0 질량%이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야자유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등의 알킬아미도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글리신염, 카르복시메틸글리신염, N-아실아미노에틸-N-2-히드록시에틸글리신염 등의 글리신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염, 알킬이미노디프로피온산염 등의 아미노프로피온산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알킬디히드록시에틸아미노초산베타인 등의 아미노초산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N-알킬-N,N-디메틸암모늄-N-프로필술폰산염, N-알킬-N,N-디메틸암모늄-N-(2-히드록시프로필)술폰산염 및 N-지방산 아미도프로필-N,N-디메틸암모늄-N-(2-히드록시프로필)술폰산염, 알킬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의 술포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알킬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등의 이미다졸리늄형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세정성의 관점에서, 알킬아미도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양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세정성의 관점에서, 1.0∼2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 질량%이다. 상기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경우의 임의 성분으로서 예시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성 부여의 관점에서, 지방산 알킬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점성 부여의 관점에서, 0.5∼1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이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상술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16,18)트리메틸암모늄, 염화알킬(20∼22)트리메틸암모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 후의 모발의 감촉의 관점에서, 0.1∼5.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질량%이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중의 모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합계량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샴푸인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물을 포함한다. 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정제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 100 질량% 중의 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0∼90.0 질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80.0 질량%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샴푸인 경우,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l-멘톨, 1,8-시네올, 캄퍼 등의 청량제;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 올리브유, 마카데미아너트유, 아르간 오일 등의 식물유; 실리카 등의 흡습제; 히알루론산 또는 그의 유도체, 콜라겐 또는 그의 유도체, 아미노산 또는 그의 유도체, 항산화제, 금속 봉쇄제, 비타민류, 동식물 추출 엑기스, 펄화제, 착색제, 향료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의 특징과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법(常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의 경우에는, 70∼90℃로 가열하여 충분히 용해시킨 수상(水相)에, 70∼90℃로 가열한 유상(油相)을 서서히 넣고, 5분간 확실히 교반하여, 유화를 행한다. 유화 후, 20∼40℃까지 냉각하고, 정제수에 용해시킨 염료를 넣어 충분히 균일 교반한 후, pH 조정제를 넣고 충분히 균일 교반하여 크림상의 염모료 조성물을 얻는다. 컬러 샴푸의 경우에는, 상온에 있어서 염료를 충분히 용해시킨 수상에, 각종 계면활성제를 서서히 넣어 교반하고, 안정제, pH 조정제를 넣고 충분히 균일 교반하여, 점성이 있는 액상의 염모료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의 p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색성의 관점에서, 4.0∼8.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7.0이다. 또한, 염모료 조성물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상기 pH는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이 컬러 린스, 컬러 트리트먼트, 컬러 샴푸인 경우, pH는 4.0∼6.5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액상, 점성 액상, 젤상, 유액상, 크림상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염색성과 감촉의 관점에서, 크림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다른 비이온성 염료나 염기성 염료와 조합함으로써, 모발을 회색, 흑색, 갈색, 녹색, 청자색 등으로 염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회색, 흑색, 갈색이다. 이 때문에, 백발 염색, 패션 염색 등의 염모료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색조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백발 염색용 염모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 또는 컬러 샴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컬러 샴푸는, 세발에 이용되는 모발의 세정제이며, 세발과 동시에 모발의 염색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컬러 샴푸는, 모발에 도포하고 거품을 내어 모발을 세정하고, 세정 후에는 씻어내는 사용 방법으로 이용된다.
또, 상기 컬러 린스 및 컬러 트리트먼트는, 일반적으로 세발 시에 이용하며, 세발 후에 모발에 도포한 후에 씻어내어 사용되는 모발 처리제이다. 상기 컬러 린스 및 컬러 트리트먼트는, 샴푸에 의해 모발을 세정한 후,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를 모발에 도포하고, 도포 후 곧바로 또는 3∼10분간 정도 모발에 흡수시킨 후, 씻어내는 사용 방법으로 이용된다. 또, 상기 컬러 린스 및 컬러 트리트먼트는 세발 전에 이용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컬러 린스 및 컬러 트리트먼트는, 마른 모발 또는 젖은 모발에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를 도포하고, 도포 후 곧바로 또는 3∼10분간 정도 모발에 흡수시킨 후 씻어내고, 추가로 샴푸에 의해 세발하는 사용 방법으로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표에 기재한 배합량은 각 성분의 배합량(즉, 각 원료 중의 유효 성분의 배합량)이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로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염모료 조성물의 pH는, pH 미터(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세이사쿠쇼 제조, 상품명 「탁상형 pH 미터 F-74」)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1-1, 비교예 1-1∼1-5
표 1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각 염모료 조성물(수용액계)를 조제하고, 하기 시험 1의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시험 1: 농염 효과의 평가
시험용 모속으로서, 야크털 모속(가부시키가이샤 뷰랙스 제조, 길이 10cm, 무게 1g)을 이용했다.
(평가용 모속의 조제)
상기 시험용 모속에, 제조 직후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염모료 조성물 1g을 도포하고, 1분간 브러시를 이용하여 모속 전체에 흡수시켰다. 이어서,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 30℃ 70%RH의 항온항습기(타바이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LHL-113」) 안에 10분간 방치했다. 그 후, 수돗물로 모속으로부터 염모료 조성물을 충분히 씻어내고, 타월 드라이를 행한 후,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충분히 건조시켜, 평가용 모속(각 염모료 조성물로 염모한 모속)을 조제했다.
상기에서 얻어진 평가용 모속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기준의 모속과 비교하여 농염 효과의 평가를 행하였다. 기준은, 염기성 청색 75는 비교예 1-1로 하고, HC 청색 2는 비교예 1-4로 했다.
[표 1]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2
그 결과, 실시예 1-1의 염모료 조성물로 염모한 평가용 모속은 기준의 모속(비교예 1-4의 염모료 조성물로 염모한 평가용 모속)보다도 명백히 진하게 물들어 있었다. 한편, 비교예 1-5의 염모료 조성물로 염모한 평가용 모속은 기준의 모속(비교예 1-4의 염모료 조성물로 염모한 평가용 모속)보다도 약간 진하게 물들어 있기는 했지만, 농염 효과는 불충분했다. 또, 비교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염모한 평가용 모속은 기준의 모속(비교예 1-1의 염모료 조성물로 염모한 평가용 모속)과 동등한 물든 상태이며, 농염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과의 조합(실시예 1-1) 및 HC 청색 2와 카프릴산 글리세릴과의 조합(비교예 1-5)에 있어서 농염 효과가 인정되었다. 특히,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과의 조합에서, 현저한 농염 효과의 증강이 인정되었다. 이들은, 염기성 청색 75를 이용한 경우는, 인정되지 않은 현상이었다.
실시예 2-1, 비교예 2-1∼2-2
표 2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각 염모료 조성물(수용액계)을 조제하고, 하기 시험 2의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평가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시험 2: 명도의 평가
시험 1(농염 효과의 평가)의 평가용 모속의 조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용 모속을 조제했다.
명도의 평가는, 염모된 시험 모속(2개)을, 분광 측색계 CM-3610d(코니카 미놀타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여, 주광원 D65, 시야 10°, 반사광 측정, SCE, 측정 지름 8mm의 조건에서 각 염색모의 명도(L*치)를 측정했다. 사용 소프트웨어는, CM-S100w SpectraMagicNX(코니카 미놀타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였다. 표색계는 L*a*b 표색계를 이용했다. 또한, 명도(L*치)가 낮을수록, 진하게 염색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3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치가 가장 낮았던 것은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과의 조합(실시예 2-1)이었다. HC 청색 2와 카프릴산 글리세릴과의 조합(비교예 2-2)과 비교하여, 농염 효과가 현저하게 뛰어난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3-1, 비교예 3-1∼3-4
카프린산 글리세릴과 다른 에스테르 화합물의 농염 효과의 차를 검증하기 위해, 표 3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각 염모료 조성물(수용액계)을 조제하고, 상기 시험 2의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평가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4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치가 가장 낮았던 것은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과의 조합(실시예 3-1)이었다. 한편, 탄소쇄가 긴 에스테르 화합물을 이용한 경우(비교예 3-2 및 3-3)는, 기준(비교예 3-1)보다도 높은 L*치를 나타내어, 농염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4-1, 비교예 4-1
크림계에서의 농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표 4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각 염모료 조성물(크림계)을 조제하고, 상기 시험 2의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평가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5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림계의 염모료 조성물에 있어서도,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과의 조합(실시예 4-1)에서 현저한 농염 효과가 나타났다.
실시예 5-1∼5-6, 비교예 5-1
표 5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각 염모료 조성물(수용액계)을 조제하고, 상기 시험 2의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평가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또한 ΔL*치는, 표 중의 기준(비교예 5-1)에 대한 명도차를 나타낸다.
[표 5]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6
실시예 6-1, 비교예 6-1: 컬러 샴푸
표 6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각 염모료 조성물을 조제하고, 상기 시험 2의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평가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7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을 조합한 컬러 샴푸는, 양호한 농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비교예와의 대비로부터 분명해졌다.
실시예 7-1, 비교예 7-1: 컬러 린스(또는 컬러 트리트먼트)
표 7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각 염모료 조성물을 조제하고, 상기 시험 2의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평가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표 7]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8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C 청색 2와 카프린산 글리세릴을 조합한 컬러 린스(또는 컬러 트리트먼트)는, 양호한 농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비교예와의 대비로부터 분명해졌다.
실시예 8-1, 비교예 8-1
표 8에 기재한 조성에 따라, 다른 염료와의 배합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각 염모료 조성물을 조제하고, 상기 시험 2의 평가 시험에 제공했다. 평가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표 8]
Figure 112019011916912-pct00009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C 청색 2와 염기성 청색 75와의 조합에, 카프린산 글리세릴을 더해도, 현저한 농염 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표에 기재한 성분은, 이하와 같다.
염기성 청색 75: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AHC BLUE SP」
HC 청색 2: 테르카사 제조, 상품명 「COLOREX HCB2」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5E.O.): 아오키 유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브라우논 CH-305」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E.O.): 아오키 유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브라우논 CH-320L」
스테아린산 PEG-5 글리세릴: 닛코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NIKKOL TMGS-5V」
스테아린산 PEG-15 글리세릴: 닛코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NIKKOL TMGS-15V」
야자유 지방산 PEG-7 글리세릴: 미요시 유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M 파인 오일 COG-7M」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액(80%): 클라리안트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GENAMIN KDMP-J」, 순분(純分) 80 질량%
스테아린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닛코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NIKKOL 아미도아민 MPS」
유동 파라핀: Sonneborn Inc 제조, 상품명 「CARNATION」
디프로필렌글리콜: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디프로필렌글리콜 DPG-FC」
2-에틸헥센산 세틸: 닛폰 서팩턴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CIO-N」
라우로일메틸-β-알라닌나트륨액(30%): 가와켄 파인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아라논 ALE」, 순분 30 질량%
라우린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액(30%): 신닛폰 리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리카비온 B-300」, 순분 30 질량%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아미논 C-11S」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도호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카티날 HC-100」
또한 이하에,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처방예 1) 컬러 린스(유액)
염기성 청색 124 0.1 질량%
염기성 갈색 17 1.0 질량%
HC 황색 4 0.08 질량%
HC 청색 2 1.2 질량%
세탄올 6.0 질량%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5E.O.) 2.0 질량%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20E.O.) 2.0 질량%
유동 파라핀 5.0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 3.0 질량%
카프린산 글리세릴 2.0 질량%
폴리염화디메틸메틸렌피페리디늄액(순분 40 질량%) 1.0 질량%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에멀전(순분 40 질량%) 1.5 질량%
구연산 적량(pH 5로 조정)
구연산나트륨 적량(pH 5로 조정)
안식향산나트륨 0.5 질량%
히알루론산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0.5 질량%
실리카 0.2 질량%
해조 엑기스(1) 0.1 질량%
l-멘톨 0.1 질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질량%
(처방예 2) 컬러 샴푸
염기성 청색 124 0.05 질량%
염기성 갈색 16 0.2 질량%
HC 황색 4 0.2 질량%
HC 청색 2 1.5 질량%
라우로일메틸-β-알라닌나트륨액(순분 30 질량%) 5.0 질량%
라우린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액(순분 30 질량%) 30.0 질량%
야자유 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2.0 질량%
염화 O-[2-히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2 질량%
디프로필렌글리콜 3.0 질량%
카프린산 글리세릴 1.0 질량%
모노라우린산 폴리글리세릴 0.1 질량%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1) 0.1 질량%
메틸폴리실록산 0.4 질량%
구연산 적량(pH 5로 조정)
구연산 나트륨 적량(pH 5로 조정)
페녹시에탄올 0.5 질량%
수용성 콜라겐(3) 0.1 질량%
호호바유 0.1 질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질량%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염모료 조성물은, 염모료로서 이용되는 조성물이다. 상기 염모료로는, 컬러 린스, 컬러 트리트먼트, 헤어 매니큐어, 컬러 샴푸 등을 들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성분 A와 하기 성분 B를 함유하고,
    염모료 조성물 중의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은 0.1∼3.0 질량%이며,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은 0.01∼3.0 질량%인 염모료 조성물:
    성분 A: HC 청색 2
    성분 B: 카프린산 글리세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함유량에 대한 상기 성분 B의 함유량의 질량 비율[성분 B/성분 A]이 0.1 이상인 염모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컬러 린스 또는 컬러 트리트먼트인 염모료 조성물.
KR1020197003413A 2017-03-29 2018-03-15 염모료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2182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66451 2017-03-29
JPJP-P-2017-066451 2017-03-29
PCT/JP2018/010097 WO2018180513A1 (ja) 2017-03-29 2018-03-15 染毛料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833A KR20190026833A (ko) 2019-03-13
KR102182306B1 true KR102182306B1 (ko) 2020-11-24

Family

ID=6367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413A Expired - Fee Related KR102182306B1 (ko) 2017-03-29 2018-03-15 염모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19655B2 (ko)
KR (1) KR102182306B1 (ko)
CN (1) CN109562040A (ko)
WO (1) WO2018180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5753B2 (ja) * 2018-12-19 2022-08-25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染毛料組成物
JP7213533B2 (ja) * 2018-12-27 2023-01-27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染毛料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292A (ja) * 2012-11-16 2014-06-05 Hoyu Co Ltd 染毛料組成物
JP2014234365A (ja) * 2013-05-31 2014-12-15 山栄化学株式会社 染毛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839A (ja) * 1994-10-20 1996-05-14 Kao Corp カラーリングシャンプー組成物
JP2002047150A (ja) 2000-07-31 2002-02-12 Hoyu Co Ltd 染毛料組成物
DE10151570A1 (de) * 2001-10-23 2003-04-30 Henkel Kgaa Neue Verwendung von Zuckertensiden und Fettsäurepartialglyceriden in farbverändernden Mitteln
JP4277738B2 (ja) * 2003-06-05 2009-06-10 山栄化学株式会社 染毛剤
JP2008521833A (ja) * 2004-12-02 2008-06-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髪染色組成物
EP1820487A1 (en) * 2006-02-13 2007-08-22 Wella Aktiengesellschaft Dye-containing pellets and their use
CN105324105A (zh) * 2013-06-17 2016-02-10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黄色系染发用染料、染发用组合物及染发方法
CN104523450B (zh) * 2014-12-26 2017-06-30 江南大学 一种新型洗发护发养发组合
CN104586653B (zh) * 2015-02-13 2017-09-29 广东华润顺峰药业有限公司 适用于婴幼儿的洗发沐浴露及其制备方法
JP6846900B2 (ja) * 2015-09-25 2021-03-24 株式会社マンダム 染毛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292A (ja) * 2012-11-16 2014-06-05 Hoyu Co Ltd 染毛料組成物
JP2014234365A (ja) * 2013-05-31 2014-12-15 山栄化学株式会社 染毛料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0513A1 (ja) 2018-10-04
JPWO2018180513A1 (ja) 2019-11-07
KR20190026833A (ko) 2019-03-13
JP6719655B2 (ja) 2020-07-08
CN109562040A (zh)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2232B2 (ja) 染毛料組成物
KR102195213B1 (ko) 염모료 조성물
KR102195214B1 (ko) 염모료 조성물
EP3685820B1 (en) Liquid hair dye composition
US11083680B2 (en) Liquid hair dye composition
JP2019529384A (ja) 毛髪処理組成物
EP3684328A1 (en) Liquid hair dye composition
JP7248999B2 (ja) 毛髪洗浄料組成物、及び洗浄方法
KR102182306B1 (ko) 염모료 조성물
EP3435967B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ntaining pentaerythritol ester and ppg alkyl ether
JP7098247B2 (ja) 毛髪化粧料組成物
KR102131660B1 (ko) 염모료 조성물
JP7504548B2 (ja) 染毛料組成物
JP2021151971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2023144915A (ja) 染毛料組成物
JP2025144291A (ja) 染毛料組成物
JP2024017999A (ja) 染毛料組成物
JP2025144290A (ja) 染毛料組成物
JP2025034177A (ja) 染毛料組成物
JP2025034178A (ja) 染毛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11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