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713B1 - A Camping Car - Google Patents
A Camping C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7713B1 KR102197713B1 KR1020200073575A KR20200073575A KR102197713B1 KR 102197713 B1 KR102197713 B1 KR 102197713B1 KR 1020200073575 A KR1020200073575 A KR 1020200073575A KR 20200073575 A KR20200073575 A KR 20200073575A KR 102197713 B1 KR102197713 B1 KR 1021977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bar
- bar
- folding
- support
- clo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는, 운전석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스박스의 측면에 출입문을 구비하고 후단에 후방개폐문을 설치하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확장형 주거공간부는,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 단부를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과, 상기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후단부에는 텐트를 후방으로 절첩 및 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 단부를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써, 하우스박스의 실내공간에는 개폐형 확장평상 및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와는 무관하게(구애받지 않고) 각종 주거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며, 개폐형 확장평상에 의해 실내의 활동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개폐형 확장평상을 완전히 전개시키고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에 의해 텐트의 전개 상태를 주야 간 또는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때, 그리고 하절기 및 동절기와 같은 계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rear foldable expandable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ntrance door on the side of a house box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and an extended residential space par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The expandable residential space unit installed in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inner end of the openable expansion flat horizontally/vertically by a hinge, and the house from the inside of the open/closed expansion flat The rear end of th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a folding-deployment auxiliary housing unit is installed so that the tent can be folded and deployed to the rea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n expandable residential space part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and installing the inner end of the open/closed expansion plate horizontally/vertically by a hinge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house In the indoor space of the box, various residential facilities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open/closed expansion floor and the folding/deployable auxiliary housing unit, and the open/closed expansion floor allows large indoor activity space to be secured. The extended platform is fully deployed and the tent's deployment state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easons such as day and night, rainy or windy, and summer and winter seas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스박스의 실내 후단에 설치하여 주거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folding expansion camping ca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a house box to expand a residential space.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운전석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스박스의 측면에 출입문을 구비하고 후단에 후방개폐문을 설치하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상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확장형 주거공간부는,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을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후단부에는 텐트를 후방으로 전개 및 절첩시킬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n entrance door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e box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and an expandable residential space par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which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The expandable residential space uni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openable expansion flat horizontally/vertically by hinges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the tent is rearward at the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openable expansion fla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ing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expansion type auxiliary housing uni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deployed and folded.
본 발명은 하우스박스의 실내 후단에 설치하여 주거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folding expansion camping car that can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a house box to expand a residential space.
본 발명은, 운전석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스박스의 측면에 출입문을 구비하고 후단에 후방개폐문을 설치하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상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확장형 주거공간부는,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 단부를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후단부에는 텐트를 후방으로 절첩 및 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door on the side of a house box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and an expandable residential space par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and an extended residential spac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The part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inner end of the openable expansion flat horizontally/vertically by a hinge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and the tent is rearward at the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openable expansion fla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r foldable expandable camping car, characterized in that by installing a foldable expandable auxiliary housing unit that can be folded and deploy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 단부를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써, 하우스박스의 실내공간에는 개폐형 확장평상 및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와는 무관하게(구애받지 않고) 각종 주거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며, 개폐형 확장평상에 의해 실내의 활동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개폐형 확장평상을 완전히 전개시키고,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에 의해 텐트의 전개 상태를 주야 또는 계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 expandable residential space part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but install the inner end of the open/closed expansion plate horizontally/vertically by a hinge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By giving, various residential facilities can be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of the house box regardless of the open/closed expansion floor and the folding/deployable auxiliary housing unit, and a large indoor activity space can be secured by the open/closed expansion floo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ar folding expansion camping ca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expansion platform is fully deployed, and the expansion state of the ten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ay, night or season by the folding expansion type auxiliary housing unit. .
근자에 우리나라도 생활 및 여가 환경(여건) 등이 좋아지면서 여행을 많이 하고 있으며, 특히 캠핑카를 이용하여 여행을 하는 캠핑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living and leisure environment (conditions) improve in Korea, they travel a lot, an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camping people who travel using camping cars is increasing.
여행을 할 때에 사용되는 종래의 캠핑카들로는,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117508호(각종 여가시설이 내설된 입체형 적재함이 차량과 일체형으로 설치된 캠핑카), 등록특허 제10-1753534호(실내출입이 용이한 캠핑카), 등록특허 제10-175903호(화장실공간 가변형 캠핑카), 일본국의 공개특허 소55-39885호(차량상부구조), 공개특허 소56-124545호(차량용 가구)등이 알려져 있다. Conventional camping cars used when traveling includ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17508 (a camper in which a three-dimensional loading box with various leisure facilities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vehicle), and Patent No. 10-1753534 ( Camping car with easy access to indoors), Patent No. 10-175903 (Variable toilet space camper), Japanese Patent No. 55-39885 (Vehicle upper structure), Patent No. 56-124545 (Vehicle furniture), etc. This is known.
국내의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117508호(각종 여가시설이 내설된 입체형 적재함이 차량과 일체형으로 설치된 캠핑카)는, 적재함의 일 측면의 선단(또는 후단)에 출입문을 설치하고, 적재함의 내부에서 출입문측에는 냉장고를 설치하며, 출입문의 반대편에는 후방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 소파(의자)와 화장실 등을 설치하며, 적재함의 내부 안쪽(끝)에 침실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5-0117508 (a camping car in which a three-dimensional loading box with various leisure facilities i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vehicle) has an access doo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r rear end) of one side of the loading box, Inside, a refrigerator is installed on the entrance door, a sofa (chair) and toilet fixed to the rear are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door, and a bedroom is formed inside (end) the inside of the loading box.
등록특허 제10-1753534호(실내출입이 용이한 캠핑카)와 등록특허 제10-175903호(화장실공간 가변형 캠핑카)는 본인에 의해 개발되어 선등록된 캠핑카로서, 운전실 후측에 설치된 주거실의 일 측면에 출입문을 설치하되, 출입문과 마주보도록 소파를 설치하고, 소파에서 후방 양측으로 싱크대와 조리대 및 화장실을 설치한 것이다. Registration Patent No. 10-1753534 (a camping car that is easy to enter and exit indoors) and Registration Patent No. 10-175903 (a camping car with variable toilet space) are camping cars developed and pre-registered by the person, one side of the living room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cab. The door was installed in the room, but the sofa was installed to face the door, and the sink, countertop and toilet we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ofa.
일본국의 공개특허 소55-39885호(차량상부구조)는, 길이가 긴 차량(트레일러)의 중간에 출입문을 설치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차량(트레일러)의 내부 중앙부에 화장실과 조리실(부엌)을 인접시켜 형성하고, 차량(트레일러)의 내부 양단(선단과 후단)에 침실과 응접실(소파)를 별도로 설치(설치)하여서 된 것이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55-39885 (vehicle upper structure) installs an entrance door in the middle of a long vehicle (trailer) to allow access, but the toilet and cooking room (kitchen)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hicle (trailer). )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bedroom and a reception room (sofa) are separately installed (installed) at both ends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trailer).
공개특허 소56-124545호(차량용 가구)는, 차량(적재함)의 일측면의 선단(또는 후단)에 출입문을 설치하고, 차량(적재함)의 내부에서 출입문과 마주보는 곳에 싱크대와 조리대를 설치하고, 내측에 소파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Patent Publication No. 56-124545 (vehicle furniture) installs an entrance door at the front end (or rear end) of one side of the vehicle (loading box), and installs a sink and a countertop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loading box) facing the entrance door. , It was done by installing a sofa inside.
그러나, 이와 같이 국내에 알려진 종래의 캠핑카 또는 일본국에서 알려진 종래의 캠핑카들은, 한정된 하우스박스의 내부(실내)에 소파 등 각종 가구와 기구 등다양한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캠핑카의 내부 공간(생활면적)이 좁아 넓게 활용할 수 없고, 활동도 제한적이었으며,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도 못 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camping cars known in Korea or the conventional camping cars known in Japan are equipped with various amenities such as sofas, etc., in the interior (indoor) of a limited house box, so the interior space of the camping car (living area) ) Was narrow, it could not be used widely, activities were limited, and the indoor space was not used efficiently.
상기와 같은 문제를 다소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캠핑카로서는 캠핑카의 측면을 확장하거나 후방을 확장하도록 하는 캠핑카가 제안되어 있다.As a camper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omewhat, a camper that extends the side or rear of the camper has been proposed.
특히, 측면을 확장하는 캠핑카로서는 등록특허 제10-0894556호(확장형 컨테이너)ㆍ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05014호(측면확장이 가능한 캠핑카) 등이 알려져 있고, 후방을 확장하는 캠핑카로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36166호(캠핑카용 내부공간 확장장치)ㆍ등록실용신안 20-0471318호(캠핑카)ㆍ등록특허 제10-1420377호(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ㆍ등록특허 제10-1560375호(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ㆍ등록특허 제10-1437963호(캠핑카) 등이 알려져 있으며, 측면과 후방을 동시에 확장하도록 하는 캠핑카로서는 공개특허 10-2017-0030840호(자동차 공간확장용 다기능 바닥슬라드)와 등록특허 제10-1990732호(공간확장형 캠핑카) 등이 알려져 있다. In particular, as a camper that expands the side, there are known Patent No. 10-0894556 (expandable container) and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05014 (a camper that can expand the side), and registered as a camper that extends the rear. Utility Model No. 20-0336166 (Inner Space Expansion Device for Camping Cars) ㆍ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1318 (Camping Car) ㆍRegistration Patent No. 10-1420377 (Multipurpose Vehicle that Can Expand Indoor Space) ㆍRegistered Patent No. 10- 1560375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expanding indoor space) and registered patent No. 10-1437963 (camping car) are known, and as a camping car that expands the sides and rear at the same time,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0840 (Expansion of vehicle space) For multifunctional floor slats) and Patent No. 10-1990732 (space expansion type camper), etc. are known.
측면확장형 캠핑카{등록특허 제10-0894556호(확장형 컨테이너)ㆍ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05014호(측면확장이 가능한 캠핑카)}와 후방확장형 캠핑카{등록실용신안 제20-0336166호(캠핑카용 내부공간 확장장치)ㆍ등록실용신안 20-0471318호(캠핑카)ㆍ등록특허 제10-1420377호(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ㆍ등록특허 제10-1560375호(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ㆍ등록특허 제10-1437963호(캠핑카)} 및 측면과 후방을 동시에 확장형 캠핑카{등록특허 제10-1990732호(공간확장형 캠핑카)}는 캠핑카 본체의 내부에 확장용 하우징(박스)을 측면 또는 후방에서 삽탈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Side expansion type camping car {Registration Patent No. 10-0894556 (Expandable container), Pub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05014 (side expandable camping car)} and rear expansion type camping car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6166 (camping car) Inner space expansion device for use) ㆍ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1318 (Camping Car) ㆍRegistered Patent No. 10-1420377 (Multipurpose car capable of expanding indoor space) ㆍRegistered Patent No. 10-1560375 (Expandable indoor space Multipurpose vehicle) ㆍRegistered Patent No. 10-1437963 (camping car)} and a camping car that extends both sides and rear at the same time {Registered Patent No. 10-1990732 (space expansion type camping car)} has an expansion housing (box) inside the main body of the camping car. It was installed so as to be removable from the side or rear.
그러나, 이들은 캠핑카 본체의 내부에 확장용 하우징(박스)을 수납시켜야 하므로 편의시설을 설치할 수 없는 폐단이 있고, 확장용 하우징(박스)의 내부에 편의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확장용 하우징(박스)의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며, 중량이 무거워진 확장용 하우징(박스)을 캠핑카 본체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탈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중량이 무거워진 확장용 하우징(박스)을 측면 또는 후방으로 인출하여 설치하게 되면 캠핑카의 중량 균형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캠핑카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y have to accommodate the expansion housing (box) inside the camping car bod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onvenience facilities cannot be installed, and the expansion housing (box)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expansion housing (box). The weight becomes heav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vy expansion housing (box) cannot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mping car body. In particular, the expansion housing (box), which has become heavy in weight, is pulled out to the side or rear. When installed, there is an imbalance in the weight balance of the camping car,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camping car cannot be stably installed.
한편, 측면과 후방을 동시에 확장하도록 된 캠핑카{공개특허 10-2017-0030840호(자동차 공간확장용 다기능 바닥슬라드)는, 캠핑카 바닥의 양측에 접이식 판재를 경첩으로 설치하여 접이식 판재를 수평으로 전개하거나 수직으로 접어 보관하고, 캠핑카 바닥의 하측에는 확장형 바닥슬라이드를 삽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확장형 바닥슬라이드를 인출하여 확장하거나 수납하여 보관하도록 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camper (Public Patent No. 10-2017-0030840 (multifunctional floor slad for expanding vehicle space)) is designed to expand the sides and rear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folding boards on both sides of the base of the camper with hinges to expand the folding board horizontally It is to be stored by folding it vertically, and by installing an expandable floor slide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bottom of the camper floor, the expandable floor slide is pulled out and expanded or stored for storage.
그러나, 이는 접이식 판재를 수평으로 전개시키고 확장형 바닥슬라이드를 후방으로 인출하여 줌으로써, 생활할 수 있는 바닥의 면적을 확장하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고, 바람막이 또는 움막(텐트)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야간이나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많이 불 때 및 우기나 동절기에는 접이식 판재와 확장형 바닥슬라이드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is is only to expand the area of the floor that can be lived by horizontally deploying the folding board and drawing the expandable floor slide to the rear, and there is no windshield or hut (tent), so it is not raining at night or at nigh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efficiently utilize folding boards and expandable floor slides in the rainy season or in the rainy or winter seas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er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bstructions.
본 발명은, 운전석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스박스의 측면에 출입문을 구비하고 후단에 후방개폐문을 설치하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확장형 주거공간부는,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밑면에 절첩전개형 다리가 구비된 개폐형 확장평상을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과;
상기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후단부에는 보조주거커버를 절첩 및 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는:
"∩"형 또는 "□" 형으로 형성된 수직지지틀과;
상기 수직지지틀의 내측에는 크기(좌우 간격과 높이 및 폭)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복수의 지지바(제1지지바ㆍ제2지지바ㆍ제3지지바)와 하단개폐바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양측 하단을 축으로 각각 굴대 시킨 것과;
상기 수직지지틀과 지지바(제1지지바ㆍ제2지지바ㆍ제3지지바) 및 하단개폐바의 각 양측에는 인접하는 단부를 중첩시켜 축으로 연결한 내측간격유지바와 외측간격유지바의 단부를 축으로 설치한 것과;
상기 수직지지틀 및 지지바(제1지지바ㆍ제2지지바ㆍ제3지지바) 및 하단개폐바는 작동(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를 설치하여 지지바(제1지지바ㆍ제2지지바ㆍ제3지지바) 및 하단개폐바를 수직지지틀의 내부에 절첩시키거나 인출하여 전개 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door on the side of a house box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and an extended residential space par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The extended residential space uni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An open/closed expansion flat with a folding/deployable leg on the bottom of the inside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horizontally/vertically by a hinge;
Including that the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at is provided with a folding-deployable auxiliary housing unit capable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auxiliary housing cover,
The foldable and expandable auxiliary housing unit:
A vertical support frame formed in a "∩" or "□"shape;
On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support bars (first support bar, second support bar, third support bar) and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s that gradually decrease in size (left and right spacing and height and width) are sequentially provided to both sides. A mandrel with the bottom of each axis;
The vertical support frame, the support bar (first support bar, second support bar, third support bar)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s are overlapped with adjacent ends to each side of the inner and outer space maintaining bars connected by axes. The end of the shaft;
The vertical support frame and support bar (first support bar, second support bar, third support bar)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are operated (folding/unfolding) by installing a folding/deploying device for auxiliary housing. The first support bar, the second support bar, the third support bar)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are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or can be pulled out to be deployed.
There is an object to provide a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er characterized by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 단부를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써, 하우스박스의 실내공간에는 개폐형 확장평상 및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와는 무관하게(구애받지 않고) 각종 주거시설을 설치할 수 있고, 개폐형 확장평상에 의해 실내의 활동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개폐형 확장평상을 완전히 전개시키고,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에 의해 텐트의 전개 상태를 주야간 또는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때, 그리고 하절기 및 동절기와 같은 계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An extended residential spac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and the inner end of the open/closed expansion flat can be opened and closed horizontally/vertically by a hinge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A variety of residential facilities can be installed irrespective of (regardl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oor and the folding expansion type auxiliary housing un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oor can secure a large indoor activity spa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oor is complete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ar fold-out expansion camper that can be deployed and us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deployment state of the tent during the day and night, rain or wind, and the seasons such as summer and winter by the folding-deployment auxiliary housing unit. have.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는, 운전석의 후방에 설치되는 하우스박스의 측면에 출입문을 구비하고 후단에 후방개폐문을 설치하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상기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확장형 주거공간부는,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 단부를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과, 상기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후단부에는 텐트를 후방으로 절첩 및 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foldable expandable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ntrance door on the side of a house box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and an expandable residential space par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The extended residential space unit installed at the rear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inner end of the open/close type expansion flat horizontally/vertically by a hinge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close door, and the house from the inside of the open/close type expansion flat The rear end of the box is characterized in that a folding-deployment auxiliary housing unit is installed so that the tent can be folded and deployed to the rear.
본 발명은,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 단부를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써, 하우스박스의 실내공간에는 개폐형 확장평상 및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와는 무관하게(구애받지 않고) 각종 주거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며, 개폐형 확장평상에 의해 실내의 활동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개폐형 확장평상을 완전히 전개시키고,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에 의해 텐트의 전개 상태를 주야간 또는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 때, 그리고 하절기 및 동절기와 같은 계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n expandable residential space part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and installing the inner end of the open/closed expansion plate horizontally/vertically by a hinge at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house In the indoor space of the box, various residential facilities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open/closed expansion floor and the folding/deployable auxiliary housing unit, and the open/closed expansion floor allows large indoor activity space to be secured. The extended platform is fully deployed, and the tent's deployment stat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easons such as day and night, rainy or windy, and summer and winter seas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로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전개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서 각기 다른 실시 예의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발췌하여 전개 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전개시켜 측면에서 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의 절첩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에 설치되는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를 발췌하여 보인 후방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에 설치되는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후방예시도 및 요부 발췌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서 개폐형 확장평상을 동시에 개폐하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면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서 개폐형 확장평상과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를 동시에 절첩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의 전개 및 절첩 과정을 보인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folded-deployed extended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d-deployed auxiliary housing unit is deployed.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ed and expanded auxiliary housing units of different embodiments are extracted from and expanded from the rear folded and expanded expandable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viewed from the side by deploying the folding-deployment auxiliary housing unit in the rear folding deployment expandable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folding-deployment auxiliary housing unit in the rear folding deployment expandable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example showing an excerpt of the folding and deploying device for the auxiliary housing unit installed in the folding and deploying auxiliary housing unit in the rear folding and expanding expansion c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and 6b is a rear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lding and deploying device part installed in the folding and deploying auxiliary housing unit in the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cerpt of the main part.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lding-deployment auxiliary housing unit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at in the rear folding expansion expansion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at and the folding expansion type auxiliary housing unit are simultaneously folded in the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C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deployment and folding process of the folding deployment auxiliary housing unit in the rear folding deployment expansion camping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의 구체적인 실현예를 보인 것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to 9C show a specific implementation example of a rear folded-deployed
첨부된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로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전개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에서 각기 다른 실시 예의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발췌하여 전개 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전개시킨 측면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절첩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에 설치되는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를 발췌하여 후방에서 보인 예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에 설치되는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2)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후방예시도 및 요부 발췌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에서 개폐형 확장평상(10)을 동시에 개폐하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면예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에서 개폐형 확장평상(10)과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동시에 절첩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에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의 전개 및 절첩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ar folded and expand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의 구조를 설명한다. First, the structure of the rear folded and expanded
자동차의 차체에는 한 쌍의 차대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대의 상측에는 운전석(3)과 하우스박스(2)가 설치되며, 하우스박스(2)의 일 측면과 후단에는 출입문(4)과 후방개폐문(5)이 설치되어 있다. A pair of chassis are installed side by side on the vehicle body, the driver's seat (3) and the house box (2)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ssis, and the entrance door (4) and the rear end are located on one side and the rear end of the house box (2). An opening and closing
또한, 상기 하우스박스(2)의 내부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소파 및 탁자가 구비된 응접실, 각종 조리기구가 설치된 주방, 세면기 및 변기 등이 설치된 욕실, 침대 등이 설치된 침실 등의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편의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interior of the house box (2),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a reception room equipped with a sofa and a table, a kitchen equipped with various cooking utensils, a bathroom equipped with a washbasin and toilet, a bedroom equipped with a bed, etc. Is install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convenience facilities will be omitted.
상기 하우스박스(2)에서 내부의 후단에는 확장형 주거공간부로서, 도 2a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폐형 확장평상(10)을 비롯하여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설치하였다. In the
후방개폐문(5)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경첩(10-1)을 이용하여 개폐형 확장평상(10)을 수평 및 수직으로 개폐(가변)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되, 개폐형 확장평상(10)의 하단을 경첩(10-1)에 의해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 설치하였고, 개폐형 확장평상(10)의 밑면에는 한쌍의 절첩전개형 다리(11)(12)를 경첩((11-1)(12-1)으로 장착하여 개폐형 확장평상(10)을 수평으로 눕혔을 때(전개 시켰을 때) 세워주고 수직으로 세웠을 때에 접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From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5) to the inner rear end of the house box, a hinge (10-1) is used to open and close (variable) the opening/closing type expansion floor (10)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lower end of the door wa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e box by a hinge (10-1), and a pair of foldable and unfolding legs (11) (12) wer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platform (10). 12-1) so that the open/closed expansion flat (10) can be erected when laid horizontally (when it is opened) and can be folded when it is erected vertically.
상기와 설치된 개폐형 확장평상(10)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후단부에는 보조주거커버(28)를 후방으로 전개 시키고 세워 접어 줄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설치하였다. In the rear end of the house box from the inside of the above-installed open/close
상기 보조주거커버(28)로서는 방수 천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천막과 텐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보조주거커버(28)에는 통상의 합성수지 지퍼(28-2)를 이용하여 출입문(28-1)과 출입문 덮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설치하여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auxiliary
또한, 보조주거커버(28)에는 투명의 합성수지(비닐)를 이용한 창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과 창문 덮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설치하여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의 실내에서 실외의 경치를 보거나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a window made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vinyl) (not shown in detail) and a window cover (not shown in detail) are installed on the
상기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The folding and unfolding
"∩"형 또는 "□" 형으로 된 수직지지틀(21)의 내측에는 크기(좌우 간격과 높이 및 폭)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복수의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양측 하단을 축(26)으로 각각 굴대 시켰고, 상기 수직지지틀(21)과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의 각 양측에는 인접하는 단부를 중첩시켜 축(29)으로 연결한 내측간격유지바(27-1, 27-2, 27-3, 27-4)와 외측간격유지바(28-1, 28-2, 28-3, 28-4)의 단부를 축(29-1)으로 설치하였다. A plurality of support bars (22) whose size (left and right spacing and height and width) gradually decreases inside the
특히, 내측간격유지바(27-1, 27-2, 27-3, 27-4)의 단부를 수직지지틀(21)과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의 내면에 축(29-1)으로 설치하였고, 외측간격유지바(28-1)(28-2)(28-3)(28-4)의 단부를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의 외면에 축(29-1)으로 설치하여, 내측간격유지바(27-1, 27-2, 27-3, 27-4)와 외측간격유지바(28-1, 28-2, 28-3, 28-4)가 용이하게 접어지거나 전개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particular, the ends of the inner spacing maintaining bars (27-1, 27-2, 27-3, 27-4) are vertically supported by the
상기 수직지지틀(21) 및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 30-2)를 설치하여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와 하단개폐바(25)를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절첩시키거나, 인출하여 전개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The
상기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 30-2)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The auxiliary housing folding and distributing device (30: 30-1. 30-2) was formed as follows.
수직지지틀(21)의 상단바 내측 중앙 또는 양측에는 유통공(31-1)이 하단부의 중앙에 뚫어진 장착판(31)을 장착하였고,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의 상단바 내측 중앙 또는 양측에는 유통공(24-1, 24-2, 24-3, 24-4)이 뚫어진 가이드편(23-1, 23-2, 23-3, 23-4)을 장착하되,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를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절첩(수납)하였을 때에 각 유통공(31-1)(24-1, 24-2, 24-3, 24-4)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였다.A mounting
상기 수직지지틀(21)의 상단바 내측 중앙 또는 양측에 장착된 장착판(31)의 내면에는 도 2a 내지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31)의 내면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판(32)을 대향 하도록 나란하게 고정하였고, 대향 하는 지지판(32)의 사이에는 권취보빈(34)을 축(34-1)으로 굴대 설치하였다.As illustrated in FIGS. 2A to 6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상기 권취보빈(34)과 유통공(31-1)과의 사이에서 장착판(31)에는 한 쌍의 지지편(36)을 이용하여 가이드롤러(35)를 축으로 굴대 설치하되, 가이드롤러(35)는 외면이 외측에서 내측 중앙으로 좁아지는(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Between the winding
상기와 같이 중앙에 설치되거나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권취보빈(34)에는 견인로프(37)의 일단을 고정하여 감아 주었고, 견인로프(37)는 가이드롤러(35)를 외측으로 감아 유통공(31-1)을 통해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측으로 통과시켰으며, 유통공(31-1)을 통과시킨 견인로프(37)는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에 고정된 가이드편(23-1, 23-2, 23-3, 23-4)의 유통공(24-1, 24-2, 24-3, 24-4)으로 통과시켰으며, 유통공(24-4)을 통과시킨 견인로프(37)의 단부를 억류뭉치(38)에 고정(억류)시켜 견인로프(37)가 유통공(24-4)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상기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 30-2)를 자동으로 작동(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1)는 도 2a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The auxiliary housing folding/unfolding device part 30-1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fold/unfold) the auxiliary housing folding/unfolding device part 30: 30-1. 30-2 is shown in FIGS. 2A to 5 It was formed as illustrated in.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권취보빈(34)이 축(34-1)으로 굴대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32)에서 일측 지지편(32)의 외면에는 감속모터(33)를 장착하되 감속모터(33)의 회전축(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상기 권취보빈(34)의 축(34-1)에 연결하여 감속모터(33)의 정역 작동에 의해 권취보빈(34)을 정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As illustrated in FIG. 2A, a
또한,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권취보빈(34)이 굴대 설치되는 축(34-1)에는 감속모터(33)을 장착하되 감속모터(33)의 회전축(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상기 권취보빈(34)의 축(34-1)에 연결하여 감속모터(33)의 정역 작동에 의해 권취보빈(34)을 정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B, a
상기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 30-2)를 수동으로 작동(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2)는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The auxiliary housing folding/unfolding device part 30-2 configured to manually operate (fold/unfold) the auxiliary housing folding/unfolding device section 30: 30-1. 30-2 is shown in FIGS. 6A and 6B. It was formed as illustrated in.
권취보빈(34)이 축(34-1)으로 굴대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32)에서 일측 지지편(32)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축(34-1)에는 작동바(40)의 일단을 장착하였고, 작동바(40)의 타단에 형성된 장착편(41)에는 핸들(42)을 축(43)으로 설치하여 핸드(42)을 작동바(40)측으로 접어주거나 외측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핸들(42)에 의해 권취보빈(34)을 정역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One end of the operating
타측 지지편(32)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축(34-1)에는 경사부(45-1)와 키홈(45-2)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치차기어(45)를 장착하였고, 치차기어(45)의 외측에서 지지편(32)에는 핸들(46-1)이 구비된 스톱퍼(46)를 축(46-2)으로 설치하여 스톱퍼(46)의 선단이 치차기어(45)의 홈(45-2)에 걸리도록 하였다, On the shaft 34-1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스톱퍼(46)의 외측에서 지지편(32)에는 스프링걸이봉(48)을 설치하여 스톱퍼(46)와 스프링걸이봉(48)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47)을 걸어 주어서 스톱퍼(46)가 경사부(45-1)의 외측으로 탄발되도록 하였다. On the outsid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는 도 7과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폐형 확장평상(10)과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동시에 절첩 및 전개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The rear folding deployment
개폐형 확장평상(10)과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도 2a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구성)하였다.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tended
도 7 및 도 8a에 예시된 실시 예는, 억류뭉치(38)를 개폐형 확장평상(10)의 내면에 장착하고 개폐형 확장평상(10)의 내면에 장착된 억류뭉치(38)에 견인로프(37)의 선단을 고정하였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7 and 8A, a
도 8b에 예시된 실시 예는 개폐형 확장평상(10)에 유통공(10-2)을 내외로 개방되게 뚫어 주었고,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외면에서 유통공(10-2)과 일치되는 위치에 억류뭉치(38)를 장착하였으며, 견인로프(37)를 유통공(10-2)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견인로프(37)의 선단을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외면에 장착된 억류뭉치(38)에 고정하였다.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B, the distribution hole 10-2 is drilled to be open in and out of the open/close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rear folded-deployed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는 운전석(3)에 의해 운전(운행)을 하게 되고, 운행을 정지한 상태에서 출입문(4)을 통해 하우스박스(2)의 내부를 출입할 수 있다. The rear foldable
하우스박스(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소파 및 탁자가 구비된 응접실, 각종 조리기구가 설치된 주방, 세면기 및 변기 등이 설치된 욕실, 침대 등이 설치된 침실 등의 편의시설을 사용한다.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a reception room equipped with a sofa and table installed inside the
하우스박스(2)의 내부는 설치되는 편의시설로 인하여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특히 화창하고 따스한 날씨와 밤에는 하우스박스(2)의 내부에서의 활동에 제약을 받게 된다.The inside of the
하우스박스(2)의 내부 공간을 확대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후방개폐문(5)을 개방시킨다. When the interior space of the
후방개폐문(5)을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개폐형 확장평상(10)을 후방으로 젖혀 도 1과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평행상태로 전개 시키고, 접혀져 있던 절첩전개형 다리(11)(12)를 전개 시켜(펼쳐) 눕혀진 개폐형 확장평상(10)을 지지하여 주며, 전개된 개폐형 확장평상(10)의 내측 단부는 후방법퍼(6)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폐형 확장평상(10)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 state where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화창하고 따스한 날씨와 밤에는 상기와 같이 개폐형 확장평상(10)을 전개 시킨(펼친) 상태에서 개폐형 확장평상(10)을 보조적으로 사용한다.In sunny and warm weather and at night, the open/closed extended flat 10 is used as an auxiliary in the open/closed extended flat 10 as described above.
한편, 개폐형 확장평상(10)을 전개 시킨(펼친) 상태에서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많이 불거나, 한밤중에 서리 등이 내리게 되면 접혀져(절첩 되어) 있는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전개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the unfolded (unfolded) state of the open/closed
상기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는 개폐형 확장평상(10)과는 개별적으로 작동(전개)시키거나 또는 동시에 작동(전개)시킬 수 있으며,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The foldable and expandable
개폐형 확장평상(10)과는 개별적으로 작동(전개)시킨 상태에서, 도 4 및 도 9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어 있는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자동으로 전개 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When you want to automatically deploy the folding-deployable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의 감속모터(33)를 작동시키는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역방향의 작동으로 ON 시키게 되면 감속모터(33)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장착판(31)에서 권취보빈(3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권취보빈(34)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권취보빈(34)에 감아져 있던 견인로프(37)가 풀리면서 가이드롤러(35)를 거쳐 유통공(31-1)으로 배출된다.When the operation switch (not shown in detail) that operates the
장착판(31)의 유통공(31-1)으로 배출되는 견인로프(37)는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에 고정된 가이드편(23-1, 23-2, 23-3, 23-4)의 유통공(24-1, 24-2, 24-3, 24-4)을 통과하면서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의 억류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억류 상태가 해제되는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는 자중에 의해 축(26)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전개된다.The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가 회전하여 전개될 때에 수직지지틀(21)과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의 각 양측에 축(29-1)으로 연결된 내측간격유지바(27-1, 27-2, 27-3, 27-4)와 외측간격유지바(28-1, 28-2, 28-3, 28-4)가 펼쳐지게 되며,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역방향 조작(작동) 시간에 의해 하단개폐바(25)가 개방되는 정도(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Each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rotate to be deployed. At the time, the
완전히 전개된 하단개폐바(25)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상면에 안치되면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OFF 시키거나, 하단개폐바(25)가 완전히 전개 상태를 감지수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감지하여, 감속모터(3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When the fully deployed bottom opening/
상기와 같이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가 완전히 전개되면 보조주거커버(28)도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보조주거커버(28)가 완전히 전개되면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상측에는 전개된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each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주거커버(28)의 내부(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으며, 지퍼(28-2)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출입문(28-1)을 통해 보조주거커버(28)의 내부를 출입할 수 있으며, 특히 야간에는 개폐형 확장평상(10)에 침구(이부자리 및 침낭 등)를 구비하여 취침을 취하는 침실로 활용할 수 있다. Each support bar (22): auxiliary formed by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You can liv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상기와 같이 전개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자동으로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When it is desired to automatically fold the folding-deployable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의 감속모터(33)를 작동시키는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정방향의 작동(ON) 시키게 되면 감속모터(33)가 정방향으로 작동하여 중앙(도 2a) 또는 양측(도 2b)에 장착판(31)에 설치되어 있는 권취보빈(34)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권취보빈(34)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풀려 있던 견인로프(37)가 감아지며, 권취보빈(34)에 풀어져 있던 견인로프(37)가 감아지게 되면 하단개폐바(25)는 억류뭉치(38)에 의해 억류되어 도 9a 내지 도 9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When the operation switch (not specifically shown) that operates the
풀어져 있던 견인로프(37)가 권취보빈(34)에 감아져 하단개폐바(25)가 억류뭉치(38)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하단개폐바(25)는 제3지지바(22-3)와 제2지지바(22-2) 및 제1지지바(22-1)를 순차적으로 받쳐주면서 축(26)을 기준으로 역회전시켜 상승시켜(올려 주게) 되고, 상승하는 하단개폐바(25)ㆍ제3지지바(22-3)ㆍ제2지지바(22-2)ㆍ제1지지바(22-1)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수납(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unwound
상기와 같이 하단개폐바(25)ㆍ제3지지바(22-3)ㆍ제2지지바(22-2)ㆍ제1지지바(22-1)가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수납(절첩)되면, 조작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OFF시켜 감속모터(33)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수납(절첩) 상태를 감지센서로 감지하여 감속모터(33)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opening and closing
한편,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어 있는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수동으로 전개 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On the other hand, as illustrated in FIG. 4, when it is desired to manually deploy the folded-deployed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2)에서, 치차기어(45)의 키홈(45-2)에 억류되어 있는 스톱퍼(46)의 억류상태를 해제시켜야 한다.As illustrated in FIGS. 6A and 6B, in the auxiliary housing folding/deploying device unit 30: 30-2, the detention state of the
스톱퍼(46)의 억류상태를 해제시키고자 할 때에는 핸들(46-1)을 파지하여 스톱퍼(46)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주고, 스톱퍼(46)를 외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코일스프링(47)이 신장하여 스톱퍼(46)를 치차기어(45)의 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When trying to release the detained state of the
상기와 같이 스톱퍼(46)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준 상태에서 작동바(40)의 핸들(42)을 파지하여 작동바(40)에 의해 치차기어(45)를 정방향으로 조금 회전시켜 주면 축(34-1)으로 연결된 치차기어(45)의 경사부(45-1)가 스톱퍼(46)를 외측으로 밀어 스톱퍼(46)의 억류상태가 해제된다.As above, when the
상기와 같이 억류상태가 해제된 스톱퍼(46)의 억류상태를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작동바(40)의 핸들(4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바(40)와 함께 권치보빈(34) 및 치차기어(45)가 동시에 역회전하게 되고, 권취보빈(34)이 역회전하게 되면 권취보빈(34)에 감아져 있던 견인로프(37)가 풀리면서 가이드롤러(35)를 거쳐 유통공(31-1)으로 배출된다.When the
장착판(31)의 유통공(31-1)으로 배출되는 견인로프(37)는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에 고정된 가이드편(23-1, 23-2, 23-3, 23-4)의 유통공(24-1, 24-2, 24-3, 24-4)을 통과하면서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의 억류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억류 상태가 해제되는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는 자중에 의해 축(26)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전개된다.The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가 회전하여 전개될 때에 수직지지틀(21)과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의 각 양측에 축(29-1)으로 연결된 내측간격유지바(27-1, 27-2, 27-3, 27-4)와 외측간격유지바(28-1, 28-2, 28-3, 28-4)가 펼쳐지게 된다.Each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rotate to be deployed. At the time, the
작동바(40)의 핸들(4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취보빈(34)에 감아져 있던 견인로프(37)의 풀림 정도에 의해 하단개폐바(25)가 개방되는 정도(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하단개폐바(25)가 전개된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상면에 안치되면 핸들(42)에 의해 역회전시키던 권취보빈(34)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외향으로 유지시키고 있던 핸들(46-1)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스톱퍼(46)는 코일스프링(47)의 장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하여 스톱퍼(46)의 선단이 키홈(45-2)에 끼워짐으로써 치차기어(45)와 권취보빈(34)을 정지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By rotating the
상기와 같이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가 완전히 전개되면 보조주거커버(28)도 완전히 전개되며,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상측에는 전개된 각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에 의해 공간이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each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이 전개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수동으로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When manually folding the folding-deployable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2)에서 스톱편(46)을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유지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작동바(40)의 핸들(42)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축(34-1)으로 연결된 권취보빈(34)과 치차기어(45)가 동시에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권취보빈(34)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풀려 있던 견인로프(37)가 감아지며, 동시에 치차기어(45)가 정 회전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경사부(45-1)가 코일스프링(47)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지는 스톱퍼(46)의 선단과 먼저 접촉되면서 스톱퍼(46)를 외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치차기어(45)는 스톱퍼(46)와는 무관하게 용이하게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권취보빈(34)의 정회전에 의해 풀어져 있던 견인로프(37)가 권취보빈(34)에 감아지게 되면 하단개폐바(25)는 억류뭉치(38)에 의해 억류되어 도 9a 내지 도 9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When the
풀어져 있던 견인로프(37)가 권취보빈(34)에 감아져 하단개폐바(25)가 억류뭉치(38)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하단개폐바(25)는 제3지지바(22-3)와 제2지지바(22-2) 및 제1지지바(22-1)를 순차적으로 받쳐주면서 축(26)을 기준으로 역회전시켜 상승시켜(올려 주게) 되고, 상승하는 하단개폐바(25)ㆍ제3지지바(22-3)ㆍ제2지지바(22-2)ㆍ제1지지바(22-1)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수납(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unwound
상기와 같이 하단개폐바(25)ㆍ제3지지바(22-3)ㆍ제2지지바(22-2)ㆍ제1지지바(22-1)가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수납(절첩)되면, 손잡이(42)에 의해 회전시키던 권취보빈(34)과 치차기어(45)의 정 회전을 정지시키면, 코일스프링(48)에 의해 탄발되던 스톱퍼(46)의 선단이 소정 위치의 키홈(45-2)에 결합되어 치차기어(45)의 작동(회전)을 정지시키고 억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이 전개되어 있던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완전히 절첩시킨 상태에서 전개되어 있는 개폐형 확장평상(10)을 원상태(수직 상태)로 접어주고, 전개된 절첩전개형 다리(11)(12)도 접어 준다.In the state in which the folded and unfolde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는 도 8 내지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작동장치(동시작동장치)에 의해 상기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의 작동(개폐 작동)과 함께 개폐형 확장평상(10)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ar folding-deployment extended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의 작동(개폐 작동)과 함께 개폐형 확장평상(10)을 동시에 전개시키고자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When it is desired to simultaneously deploy the open/close type extended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의 감속모터(33)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2)의 핸들(42)을 역회전시키게 되면, 권취보빈(34)에 감아져 있던 견인로프(37)가 풀리면서 최종장착판(23-4)의 유통공(24-4)을 통과하게 되고, 견인로프(37)가 풀리면서 하단개폐바(25)에 장착되어 있는 최종장착판(23-4)의 유통공(24-4)을 통과하게 되면 억류뭉치(38)가 장착되어 있는 개폐형 확장평상(10)은 자중에 의해 경첩(10-1)을 축으로 하여 후방으로 눕혀지게 된다.The folding/deployment type
상기와 같이, 개폐형 확장평상(10)과 하단개폐바(25)가 완전히 수평으로 눕혀지게 되면,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감속모터(33)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하거나) 핸들(42)의 역회전 조작을 정지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ning/closing
반면에 상기와 같이 전개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는,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1)의 감속모터(33)를 역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 30-2)의 핸들(42)을 회전시키게 되면, 풀어져 있던 견인로프(37)가 권취보빈(34)에 감기게 되고, 풀어져 있던 견인로프(37)가 권취보빈(34)에 감기게 되면 억류뭉치(38)에 의해 억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눕혀져 있던 개폐형 확장평상(10)은 경첩(10-1)을 축으로 하여 상승 회전하게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ired to fold the foldable and deployable
되며, 개폐형 확장평상(10)이 경첩(10-1)을 축으로 하여 상승 회전하면서 눕혀 있거나 전개되어 있던 하단개폐바(25)를 비롯하여 제3지지바(22-3)ㆍ제2지지바(22-2)ㆍ제1지지바(22-1)를 순차적으로 세워주게 되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수납(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to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이 세워지는 개폐형 확장평상(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워지는 하단개폐바(25)ㆍ제3지지바(22-3)ㆍ제2지지바(22-2)ㆍ제1지지바(22-1)는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수납(절첩)되며, 개폐형 확장평상(10)이 완전히 세워지고 하단개폐바(25)ㆍ제3지지바(22-3)ㆍ제2지지바(22-2)ㆍ제1지지바(22-1)가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수납(절첩)되면, 감속모터(33)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하거나) 핸들(42)의 회전 조작을 정지시키고 억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상기와 같이 개폐형 확장평상(10)을 원상태(수직 상태)로 접어준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후방개폐문(5)을 닫아 줌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를 운행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losing the rear opening and clos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1)는, 하우스박스의 후방에 확장형 주거공간부를 설치하되, 후방개폐문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의 내부 후단에는 개폐형 확장평상의 내측 단부를 경첩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줌으로써, 하우스박스의 실내공간에는 개폐형 확장평상 및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와는 무관하게(구애받지 않고) 각종 주거시설을 설치할 수 있고, 개폐형 확장평상에 의해 실내의 활동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개폐형 확장평상을 완전히 전개시키고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에 의해 텐트의 전개 상태를 주야 간 또는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때 그리고 하절기 및 동절기와 같은 계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rear folding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it is natural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1: 후면확장형 캠핑카 2: 하우스박스
3: 운전석 4: 출입문
5: 후방개폐문 6: 후방범퍼
10: 개폐형 확장평상 11. 12: 절첩전개형 다리
20: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 21: 수직지지틀
22: 지지바 22-1: 제1지지바
22-2: 제2지지바 22-3: 제3지지바
23-1. 23-2. 23-3: 가이드편 25: 하단개폐바
26, 29, 29-1. 43. 46-2: 축
27-1. 27-2. 27-3. 27-4: 내측간격유지바
28-1. 28-2. 28-3. 28-4: 외측간격유지바
30. 30-1. 30-2: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
31: 장착판 32: 지지판
33: 감속모터 34: 권취보빈
35: 가이드롤러 36: 지지편
40: 작동바 42. 46-1: 핸들
45: 치차기어 46: 스톱퍼
47: 코일스프링 48: 스프링걸이봉 1: Rear extension camper 2: House box
3: driver's seat 4: door
5: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6: rear bumper
10: opening and closing
20: folding and deploying auxiliary housing unit 21: vertical support frame
22: support bar 22-1: first support bar
22-2: second support bar 22-3: third support bar
23-1. 23-2. 23-3: guide piece 25: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6, 29, 29-1. 43. 46-2: axis
27-1. 27-2. 27-3. 27-4: inner spacing bar
28-1. 28-2. 28-3. 28-4: Outer spacing bar
30. 30-1. 30-2: Auxiliary housing part folding deployment device part
31: mounting plate 32: support plate
33: reduction motor 34: winding bobbin
35: guide roller 36: support piece
40: operating
45: gear gear 46: stopper
47: coil spring 48: spring hook rod
Claims (13)
상기 하우스박스(2)의 후방에 설치되는 확장형 주거공간부는,
후방개폐문(5)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2)의 내부 후단에는 밑면에 절첩전개형 다리(11)(12)가 구비된 개폐형 확장평상(10)을 경첩(11-1)(12-1)에 의해 수평/수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과;
상기 개폐형 확장평상(10)의 내측에서 하우스박스(2)의 후단부에는 보조주거커버(28)를 절첩 및 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설치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는:
"∩"형 또는 "□" 형으로 형성된 수직지지틀(21)과;
상기 수직지지틀(21)의 내측에는 크기(좌우 간격과 높이 및 폭)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복수의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를 순차적으로 구비하여 양측 하단을 축(26)으로 각각 굴대 시킨 것과;
상기 수직지지틀(21)과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의 각 양측에는 인접하는 단부를 중첩시켜 축(29-1)으로 연결한 내측간격유지바(27-1, 27-2, 27-3, 27-4)와 외측간격유지바(28-1, 28-2, 28-3, 28-4)의 단부를 축(29)으로 설치한 것과;
상기 수직지지틀(21) 및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는 작동(절첩/전개)시킬 수 있도록 된 보조주거부 절첩전개장치부(30)를 설치하여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를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절첩시키거나 인출하여 전개 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It is equipped with an entrance door (4) on the side of the house box (2)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3), a rear opening and closing door (5)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and an extended residential space par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2). In;
The extended residential space par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e box 2,
From the inside of the rear door (5), at the rear end of the house box (2), a hinge (11-1) (12-1) is provided with an open/closed expansion platform (10) equipped with a folding/deployable leg (11) (12) at the bottom. It is install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horizontally/vertically by means of;
Including that the rear end of the house box (2) from the inside of the open and close-type expansion flat (10) is provided with a folding-deployment-type auxiliary housing unit (20) capable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auxiliary housing cover (28),
The folding and unfolding auxiliary housing unit 20 is:
A vertical support frame 21 formed in a "∩" or "□"shape;
Inside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a plurality of support bars (22) gradually decreasing in size (left and right intervals and height and width): first support bar 22-1 and second support bar 22- 2) • A third support bar (22-3)} and a lower end opening and closing bar (25) are provided in sequence, and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are mandated with the shaft (26) respectively;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and the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 On each side of 25), the inner spacing bars (27-1, 27-2, 27-3, 27-4) and the outer spacing bars (28-) are connected by a shaft (29-1) by overlapping adjacent ends. 1, 28-2, 28-3, 28-4) provided with the end of the shaft 29;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and the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 25) is a support bar (22) by installing a folding/unfolding device unit 30 of the auxiliary housing unit that can be operated (folding/unfolding), and the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and the second support bar 22- 2)ㆍ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closing bar (25) are fold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or can be unfolded by pulling out: a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haracterized by Camper.
개폐형 확장평상(10)과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개별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at (10) and the folding and expanding type auxiliary housing unit (20);
To be able to individually open and close the open/close type extended flatbed 10 and the foldable type auxiliary housing unit 20: a rear foldable extended type camper, characterized in that.
개폐형 확장평상(10)과 절첩전개형 보조주거장치부(20)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at (10) and the folding and expanding type auxiliary housing unit (20);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closing type expansion flatbed (10) and the folding expansion type auxiliary housing unit (20) at the same time: a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ing car, characterized in that.
합성수지 지퍼(28-2)를 이용하여 출입문(28-1) 및 창문을 설치한 것과;
상기 출입문(28-1) 및 창문의 외측에는 출입문 덮개 및 창문 덮개를 각각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housing cover (28) folded and unfolded by the folding-deployable auxiliary housing unit (20);
A door (28-1) and a window are installed using a synthetic resin zipper (28-2);
The entrance door (28-1) and the outer side of the window, the door cover and the window cover respectively installed: a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er, characterized in that.
각 내측간격유지바(27-1, 27-2, 27-3, 27-4)의 단부를 수직지지틀(21)과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의 내면에 축(29-1)으로 설치한 것과;
각 외측간격유지바(28-1, 28-2, 28-3, 28-4)의 단부를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의 외면에 축(29-1)으로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and the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and the third support b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22-3)} And maintaining the outer gap with each inner gap maintaining bar (27-1, 27-2, 27-3, 27-4) installed with a shaft 29 on both sides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Bars (28-1, 28-2, 28-3, 28-4) are:
The end of each inner spacing holding bar (27-1, 27-2, 27-3, 27-4) is a vertical support frame (21) and a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2 installed with a shaft 29-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22-2 and the third support bar 22-3};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and the second support bar (22-2) to the end of each outer gap maintaining bar (28-1, 28-2, 28-3, 28-4) )ㆍ3rd support bar (22-3)} and a shaft (29-1)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a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er characterized by.
상기 수직지지틀(21)의 상단바 내측 중앙 또는 양측에는 유통공(31-1)이 하단부의 중앙에 뚫어진 장착판(31)을 장착한 것과;
상기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의 각 상단바 내측 중앙 또는 양측에는 유통공(24-1, 24-2, 24-3, 24-4)이 뚫어진 가이드편(23-1, 23-2, 23-3, 23-4)을 각각 장착한 것과;
상기 수직지지틀(21)의 상단바 내측 중앙 또는 양측에 장착된 장착판(31)의 내면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판(32)을 대향 하도록 나란하게 고정하고, 대향하는 지지판(32)의 사이에는 권취보빈(34)을 축(34-1)으로 굴대 설치한 것과;
상기 권취보빈(34)과 유통공(31-1)과의 사이에서 장착판(31)에는 한 쌍의 지지편(36)을 이용하여 가이드롤러(35)를 축으로 굴대 설치한 것과;
상기 권취보빈(34)에는 견인로프(37)의 일단을 고정하여 감아 주고, 견인로프(37)는 가이드롤러(35)를 외측으로 감아 장착판(31) 및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 및 하단개폐바(25)의 유통공(24-1, 24-2, 24-3, 24-4)을 통과시킨 것과;
상기 하단개폐바(25)의 유통공(24-4)을 통과시킨 견인로프(37)의 단부에는 억류뭉치(38)를 장착하여 견인로프(37)가 유통공(24-4)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과;
상기 대향하는 지지판(32)의 사이에 축(34-1)으로 굴대 설치되는 권취보빈(34)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and the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and the third support b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22-3)} and the auxiliary housing portion folding and unfolding device portion 30 for operating (folding/unfolding)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is:
Mounting a mounting plate 31 having a distribution hole 31-1 bor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end portion is mounted on the inner center or both sides of the upper bar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The support bar {(22): inside each upper bar of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Each of the guide pieces 23-1, 23-2, 23-3, and 23-4 with distribution holes 24-1, 24-2, 24-3, 24-4 installed at the center or both sides;
A pair of support plates 32 are fixed side by side so as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31 mounted on the inner center or both sides of the upper bar of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and between the opposite support plates 32 The winding bobbin 34 is provided with a shaft 34-1;
In the mounting plate 31 between the winding bobbin 34 and the circulation hole 31-1, a guide roller 35 is installed as a shaft using a pair of support pieces 36;
The take-up bobbin 34 is wound by fixing one end of the traction rope 37, and the traction rope 37 winds the guide roller 35 to the outside so that the mounting plate 31 and the support bar (22): the first Distribution holes (24-1, 24-2, 24-3) of the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the third support bar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 Passing through 24-4);
At the end of the traction rope 37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24-4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a holding bundle 38 is mounted so that the traction rope 37 is not separated into the distribution hole 24-4. What to avoid;
The winding bobbin 34, which is installed as a shaft 34-1 between the opposing support plates 32,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a rear folding expandable camping car, characterized in that.
지지바{(22): 제1지지바(22-1)ㆍ제2지지바(22-2)ㆍ제3지지바(22-3)}와 하단개폐바(25)를 수직지지틀(21)의 내부에 절첩(수납)하였을 때에 각 유통공(24-1, 24-2, 24-3, 24-4)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vertical support frame (21) and the support bar ((22): the first support bar (22-1), the second support bar (22-2), and the third support ba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22-3)} and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are:
Support bar {(22): 1st support bar(22-1)·2nd support bar(22-2)·3rd support bar(22-3)} and the bottom opening/closing bar 25 are vertically supported by a frame 21 ), each distribution hole (24-1, 24-2, 24-3, 24-4) is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when folded (stored) in the inside of the rear foldable expansion type campe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억류뭉치(38)를 개폐형 확장평상(10)의 내면에 장착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holding bundle 38 mounted at the end of the pull rope 37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hole (24-4)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Mounting the holding bundle (38)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closed expansion flatbed (10): A rear foldable expansion type camper, characterized in that.
개폐형 확장평상(10)에 유통공(10-2)을 내면과 외면이 관통되게 뚫어 준 것과;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외면에서 유통공(10-2)과 일치되는 면 또는 유통공(10-2)의 주변에 억류뭉치(38)를 장착한 것과;
견인로프(37)를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유통공(10-2)을 통과시키고, 견인로프(37)의 선단을 개폐형 확장평상(10)의 외면에 장착된 억류뭉치(38)에 고정시킨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holding bundle 38 mounted at the end of the pull rope 37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hole (24-4) of the lower opening and closing bar (25);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pansion plate 10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10-2) throug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Mounting the holding bundle 38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closed extended flatbed 10 coincides with the distribution hole 10-2 or around the distribution hole 10-2;
Passing the traction rope 37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10-2) of the open/close-type expansion flatbed 10, and fix the tip of the traction rope 37 to the holding bundle 38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n/close-type expansion flatbed (10) What made it: A rear fold-out expandable camper characterized by.
상기 권취보빈(34)이 축(34-1)으로 굴대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32)에서 일측 지지편(31)의 외면에는 정역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감속모터(33)를 장착하되, 감속모터(33)의 회전축을 권취보빈(34)의 축(34-1)에 연결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utomatic oper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winding bobbin (34) provided with a shaft (34-1) between the opposing support plate (32);
A reduction motor 33 capable of operating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31 on one side of the pair of support plates 32 in which the winding bobbin 34 is mandled with the shaft 34-1, Connect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33 to the shaft 34-1 of the winding bobbin 34: A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ing car,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권취보빈(34)이 축(34-1)으로 굴대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32)에서 일측 지지편(31)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축(34-1)에는 핸들(42)이 축(43)으로 설치된 작동바(40)의 일단을 장착한 것과;
타측 지지편(32)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축(34-1)에는 치차기어(45)를 장착한 것과;
상기 치차기어(45)의 외측에서 지지편(32)에는 핸들(46-1)이 구비된 스톱퍼(46)를 축(46-2)으로 설치하여 스톱퍼(46)의 선단이 치차기어(45)의 홈에 걸리도록 한 것과;
상기 스톱퍼(46)의 외측에서 지지편(32)에는 스프링걸이봉(48)을 설치하고, 스톱퍼(46)와 스프링걸이봉(48)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을(47) 걸어 주어서 스톱퍼(46)가 경사부의 외측으로 탄발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manual operating device for manually operating the winding bobbin (34) provided with a shaft (34-1) between the opposing support plates (32);
The winding bobbin 34 has a handle 42 on the shaft 34-1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31 on one side of the pair of support plates 32 provided with a shaft 34-1. Mounting one end of the operating bar 40 installed as );
A gear gear 45 is mounted on the shaft 34-1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upport piece 32;
A stopper 46 provided with a handle 46-1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iece 32 from the outside of the gear gear 45 as a shaft 46-2, so that the tip of the stopper 46 is a gear gear 45 To hang in the groove of the;
On the outside of the stopper 46, a spring hook rod 48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iece 32, and a coil spring 47 is hung between the stopper 46 and the spring hook rod 48 to stop the stopper 46. ) To be elastic to the outside of the inclined part: a rear folding deployment expandable camper characterized by.
외면이 외측에서 내측 중앙으로 좁아지는(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 절첩 전개 확장형 캠핑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roller 35;
Formed in a shape whose outer surface narrows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of the inside (inclined): A rear folding expansion type camping car,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73575A KR102197713B1 (en) | 2020-06-17 | 2020-06-17 | A Camping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73575A KR102197713B1 (en) | 2020-06-17 | 2020-06-17 | A Camping Ca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97713B1 true KR102197713B1 (en) | 2020-12-31 |
Family
ID=7408760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73575A Expired - Fee Related KR102197713B1 (en) | 2020-06-17 | 2020-06-17 | A Camping Ca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97713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62705B1 (en) | 2021-10-28 | 2022-02-14 | 신윤호 | Multi-Level Camping House. |
| WO2023101172A1 (en) * | 2021-11-30 | 2023-06-08 | 정경헌 | Trunk expansion module |
| CN118239357A (en) * | 2024-05-30 | 2024-06-25 |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Depth-adjustable elevator mechanism for existing residence reconstruction and elevator reconstruction system |
| KR20240167729A (en) * | 2023-05-21 | 2024-11-28 | 최종섭 | Tent structure for vehicle camping |
| WO2025064589A1 (en) * | 2023-09-20 | 2025-03-27 | St Clair David Michael | Tiltable partial canopy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4013273A1 (en) * | 2012-07-20 | 2014-01-23 | Purple Line Limited | Folding camper |
| KR20140047472A (en) * | 2012-10-12 | 2014-04-22 | 오완곤 | Roon space variation for vehicle |
-
2020
- 2020-06-17 KR KR1020200073575A patent/KR10219771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4013273A1 (en) * | 2012-07-20 | 2014-01-23 | Purple Line Limited | Folding camper |
| KR20140047472A (en) * | 2012-10-12 | 2014-04-22 | 오완곤 | Roon space variation for vehicle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62705B1 (en) | 2021-10-28 | 2022-02-14 | 신윤호 | Multi-Level Camping House. |
| WO2023101172A1 (en) * | 2021-11-30 | 2023-06-08 | 정경헌 | Trunk expansion module |
| KR20240167729A (en) * | 2023-05-21 | 2024-11-28 | 최종섭 | Tent structure for vehicle camping |
| KR102812418B1 (en) * | 2023-05-21 | 2025-05-22 | 최종섭 | Tent structure for vehicle camping |
| WO2025064589A1 (en) * | 2023-09-20 | 2025-03-27 | St Clair David Michael | Tiltable partial canopy |
| CN118239357A (en) * | 2024-05-30 | 2024-06-25 |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Depth-adjustable elevator mechanism for existing residence reconstruction and elevator reconstruction system |
| CN118239357B (en) * | 2024-05-30 | 2024-09-27 | 中国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Depth-adjustable elevator mechanism for existing residence reconstruction and elevator reconstruc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97713B1 (en) | A Camping Car | |
| US6260909B1 (en) | Awning and rug assembly for a trailer | |
| US5544671A (en) | Lightweight, portable, self-opening, collapsible shelter/camper/storage unit | |
| US5299849A (en) | Cover assembly for use on a vehicle bed to form an enclosure | |
| US6997495B1 (en) | Mobile assembly hall | |
| US6481784B2 (en) | Pickup truck tent camping system | |
| US8522806B2 (en) | Outdoor canopy | |
| US5992920A (en) | Foldout recreational vehicle | |
| US8979157B2 (en) | Removable enclosure for rear of vehicle | |
| US3632153A (en) | Hard panel foldout bunk shelter | |
| US20210002919A1 (en) | Convertible Covered Wagon | |
| US4176873A (en) | Camper top tent assembly | |
| KR101551560B1 (en) | camping trailer | |
| US4465316A (en) | Collapsible structure for use with a recreational vehicle | |
| WO2018048601A1 (en) | Expandable vehicle shelter system and method | |
| US5788319A (en) | Camping unit for pick-up trucks, vans, boats and the like | |
| US3088475A (en) | Camping device | |
| US4901745A (en) | Tent assembly for attachment to a van | |
| US3078117A (en) | Camping and touring trailer | |
| US8267453B1 (en) | Rotatable hard cover roof for a pop-out on a trailer | |
| KR20200000596U (en) | Car Tent | |
| WO2007042042A1 (en) | A self-supported foldable tent unit and a method of mounting such in a trailer | |
| US20110175391A1 (en) | Removable enclosure for rear of vehicle | |
| US3256032A (en) | Camp trailer support jack | |
| AU2017200858B2 (en) | Vehicle Veranda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1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