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97789B1 - 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789B1
KR102197789B1 KR1020160065975A KR20160065975A KR102197789B1 KR 102197789 B1 KR102197789 B1 KR 102197789B1 KR 1020160065975 A KR1020160065975 A KR 1020160065975A KR 20160065975 A KR20160065975 A KR 20160065975A KR 102197789 B1 KR102197789 B1 KR 10219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
bills
current
banknote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9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4936A (en
Inventor
장철웅
고창호
장상환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789B1/en
Priority to CN201611061483.1A priority patent/CN107437296B/en
Publication of KR2017013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9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78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65H2553/82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20Calculating means; Controll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30Control systems architecture or components, e.g. electronic or pneumatic modules;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50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 B65H2557/512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폐의 투입이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지폐의 투입이나 이송을 검출하는 지폐 감지부, 및 상기 지폐 감지부를 통해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예측하며, 상기 예측된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이송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actively adjusting the amount of money, including a mo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input or transfer of bills, a bill detector that detects the input or transfer of the bill, and the current bill transfer state through the bill detector. It detects data, predict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banknote and the next banknote to be inserted based on the detected transfer state data of the current banknote, and actively controls the speed of the motor in response to the predicted interv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transfer interval between bills to be input.

Description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및 방법{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TECHNICAL FIELD [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에 대한 투입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지폐 간 이송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adjusting the spanning of a bill cou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ctively control the feed rate for the next bill to be f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current state of bill transf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actively adjusting the span of a bill making machine to allow the gap to be adjusted.

통상적으로 지폐 정사기는 지폐의 계수는 물론 받아들인 지폐가 정당한 것인지, 지폐 유통에 적합한 것인지 어떤지를 감별한다. 예컨대 지폐의 정사(즉, 새지폐 / 헌지폐 / 훼손지폐)를 감별하거나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한다. In general, the bill machine counts the bills as well as discriminates whether the accepted bills are legitimate or suitable for bill circulation. For example, differentiating bills (ie, new bills / old bills / damaged bills) or whether they are counterfeit bills.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지폐 정사기는 지폐 종류 인식(예를 들면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달러화, 위안화, 유로화, 엔화 등), 위/변조지폐 감별 뿐만 아니라, 지폐 계수나 지폐 정사(예를 들어 낙서, 오염, 찢어짐 등 훼손의 정도로 유통 가능 또는 불가능한 상태를 식별) 기능을 구비한 각종 지폐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For reference, the paper money machine described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types of bills (for example, 1,000 won, 5,000 won, 10,000 won, dollar, renminbi, euro, yen, etc.), discriminates counterfeit/counterfeit bills, and counts bills. B. It is used a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of the various bill handling devices equipped with a function of paper money reprinting (for example, to identify a state that can or cannot be distributed to the extent of damage such as graffiti, contamination, tear, etc.).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폐 정사기는, 단지 지폐에만 한정하지 않고, 문서, 지엽류, 은행권, 수표, 어음, 유가증권, 증서, 매체(medium), 종이, 상품권, 쿠폰, 티켓, 상표부착물, 및 신분증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illing machine is not limited to only bills, and documents, papers, banknotes, checks, bills, securities, certificates, medium, paper, gift certificates, coupons, tickets, trademark attachments, and Please note that it can also be applied to ID cards.

한편 이러한 지폐 정사기는 어느 한 지역이나 국가에 한정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이나 국가에 수출되어 설치 및 운용되고 있으며, 지폐의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투입 성능이나 지폐 간격 유지(즉, 지간 유지)와 같은 기본적인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se paper money spinning machines are not limited to any one region or country, but are exported to various regions 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stalled and operated.In order to increase the processing speed of bills, at least maintain the input performance or the interval between the bills (i.e., keep the interval). Basic performance such as should be secured.

이에 따라 지폐 정사기는 지폐 투입 속도(즉, 지폐 투입부에서 판별부로 이송로를 따라 지폐가 이송되는 속도)를 기 설정된 목표 투입 속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모터(예 : 투입 모터, 이송 모터)의 회전 속도를 기 설정된 목표 회전 속도(예 : 1000 rpm)로 유지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투입되는 지폐의 미끄러짐, 스큐(skewed) 또는 지체 현상으로 인한 에러(예 : 투입되는 지폐의 간격(또는 지간)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체인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존에는 피드백 제어(즉, 이전에 투입되어 현존하는 지폐와 현재 투입된 지폐 간의 실제 시간 또는 간격을 측정하여 모터를 브레이킹 하는 제어)를 통해 체인에러의 발생을 저하시켰다.Accordingly, the paper money machine i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e.g., input motor, transfer motor) in order to maintain the paper money input speed (i.e., the speed at which paper money is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ath from the paper money input unit to the discrimination unit) at a preset target input speed. Should be maintained at a preset target rotation speed (e.g. 1000 rpm), but in reality, errors due to slipping, skewed, or delay of the inserted bills (e.g., the spacing (or span) of the inserted bills) are constant. Because chain errors occur due to failure to maintain), chain errors are generated through feedback control (i.e., control that breaks the motor by measuring the actual time or interval between the previously inserted and existing bills and the currently inserted bills). Decreased.

그런데 상기 피드백 제어는 모터의 브레이킹 동작 시 지폐의 속도가 곧바로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지폐 투입부에서 지폐 판별부까지의 지폐 이송로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야 효과를 볼 수 있는 제어 방식이다. However, in the feedback control, since the speed of the bill does not immediately decrease during the braking operation of the motor, the length of the bill transfer path from the bill input section to the bill discrimination section is sufficiently long to be effective.

따라서 지폐 정사기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상기 지폐 이송로의 길이를 축소시켜야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 이송로의 길이를 축소할 경우 지간 제어에 기존의 피드백 제어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banknote spinning machine, the length of the banknote transfer path must be reduced. However, when the length of the banknote transfer path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feedback control cannot be applied to the span control.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2254호(2008.03.04.등록, 지폐 판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2254 (2008.03.04. registration, bill discrimin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현재 지폐 등의 이송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 등에 대한 투입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지폐 등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ased on the data of measuring the current state of the paper money, etc., by actively controlling the input speed of the next bill,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ctive span to adjust the spacing of bill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는, 지폐의 투입이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지폐의 투입이나 이송을 검출하는 지폐 감지부; 및 상기 지폐 감지부를 통해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예측하며, 상기 예측된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tive spa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inputting or transferring bills; A bill detector for detecting the input or transfer of the bill; And detecting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the bill through the bill detection unit, predicting a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to be inserted based on the detected data on the current bill, and the motor in response to the predicted interv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d a control unit for active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current bill and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next bill to be insert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은, 제어부가 지폐 감지부를 통해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예측된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by a control unit, data on a current transfer state of a bill through a bill detector; Predicting, by the control unit, a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banknote and the next banknote to be inserted based on the detected data on the current banknote transfer state; And adjusting, by the control unit, an interval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to be input by active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in response to the predicted interv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현재 지폐 등의 이송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에 대한 투입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지폐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방식 대비 지폐의 이송상태에 따라 처리 속도를 능동적으로 가변 제어함으로써 처리속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에러 발생율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 정사기 내의 지폐 투입부와 지폐 판별부 사이의 지폐 이송로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폐 정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폐의 이송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지간 조절을 수행함으로써 국가별 지폐의 다양한 규격에 따른 별도의 투입구 설계 없이도 동일한 설계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val between bills can be adjusted by actively controlling the input speed for the next bill to be input based on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transfer state of the current bil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rror rate while minimizing the reduction in processing speed by actively variably controlling the processing speed according to the conveying state of bill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banknote transfer path between the banknote input unit and the banknote discrimination unit in the banknote spinning machine can be shortened, thereby miniaturizing the banknote spinning machin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design is possible without a separate input port design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of each country, by actively adjusting the range according to the transfer state of the bi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폐 투입 시 제어부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폐 투입 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폐 투입 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지폐의 폭에 따라 체인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지폐의 투입 상태에 따라 체인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지폐간격과 투입위치 간의 관계로부터 체인에러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을 적용하여 처리한 테스트 결과를 보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ctive spa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basic operation of a control unit when bills are input in FIG. 1.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quiring data on a current transfer state of a banknote when a banknote is input in FIG. 1.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other method of acquiring data on a current state of conveyance of a banknote when a banknote is input in FIG. 1.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chain error may occur according to the width of a bill in FIG. 2.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chain error may occur according to an input state of a bill in FIG. 2.
7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 chain error from a relationship between a bill interval and an input position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st result processed by applying an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n active spa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본 실시예에서 "지폐"란, 단지 지폐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엽류, 은행권, 수표, 어음, 유가증권, 증서, 매체(medium), 종이, 문서, 상품권, 쿠폰, 티켓, 상표부착물, 및 신분증 등을 포함하는 지류의 개념으로 쓰일 수 있다.Hereinafter, the term "banknote" in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only bills, and papers, banknotes, checks, drafts, securities, certificates, media, paper, documents, gift certificates, coupons, tickets, trademark attachments, And it can be used as a concept of a branch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ctive spa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는, 지폐 감지부(110), 제어부(120), 모터 구동부(130), 및 모터(1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active span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ill sensing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motor driving unit 130, and a motor 140.

상기 지폐 감지부(110)는 지폐 투입부(10)와 지폐 판별부(20) 사이의 지폐 이송로에 1개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로 설치되어 지폐의 이송상태 즉, 지폐의 투입 시작과 완료, 지폐의 통과 여부, 지폐 간 간격, 지폐 길이(즉, 폭), 지폐의 슬립 발생 여부 및 슬립 정도, 및 지폐의 스큐 여부 및 스큐 정도 등을 감지한다(도 3 및 도 4 참조). The bill detection unit 110 is installed with one or at least two sensors on the bill transfer path between the bill input unit 10 and the bill discrimination unit 20 to transfer the bill, that is, start and finish input of the bill. , Whether the bill passes, the interval between bills, the length of the bill (ie, width), whether or not the bill has slipped and the degree of slip, and whether or not the bill has skew and the degree of skew are detected (see FIGS. 3 and 4).

상기 지폐 감지부(110)가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지폐 이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열로 배치될 수 있다.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bill detection unit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it may be arranged i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bill transfer direction, and in some cases, in two rows at regular intervals. Can be placed. It is desirable to be.

여기서 상기 지폐 감지부(110)는, 예컨대 적외선 센서 등의 광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에 한정하지 않고 음파 방식, 기계식 변위 측정 방식 등 접촉 또는 비접촉 동작 감지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편의상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광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Here, the bill detector 110 may use,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such as an infrared sensor, and not limited thereto, and may use a contact or non-contact motion detection sensor such as a sound wave method or a mechanical displacement measurement method. For conveni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an optical sensor is used.

본 실시예에 관련된 지폐 정사기는, 지폐 투입부(10)에 있는 지폐를 픽업 롤러(또는 키커롤러)(11)를 이용해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 롤러(또는 피드롤러)(12)를 이용해 내부의 지정된 경로(즉, 지폐 이송로)를 통해 지폐 판별부(20)로 이송시킨다.The bill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icks up bills one by one using a pickup roller (or kicker roller) 11 in the bill input section 10, and uses a transfer roller (or feed roller) 12 to specify the inside. It is transferred to the bill identification unit 20 through a path (ie, a bill transfer path).

상기 제어부(120)는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예 : 지폐의 투입 시작과 완료, 지폐의 통과 여부, 지폐 간 간격, 지폐 길이(즉, 폭), 지폐의 슬립 발생 여부와 슬립량, 및 지폐의 스큐 발생 여부와 스큐량 등)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40)(예 : 투입 모터, 이송 모터, 그 외 지폐이송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에 대한 투입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지폐 간 간격(또는 지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120 measures the current state of bill transfer (e.g., starting and completion of bills, whether bills have passed, space between bills, bill length (i.e., width), bill slip occurrence, and slip amount). ,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40 (e.g., input motor, transfer motor, and various types of motors for transferring bills) based on whether or not skew occurs and the amount of skew of the bill, By actively controlling the feed rate for bill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gap (or span) between bills.

이때 상기 현재 지폐의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어할 모터(140)의 회전 속도(또는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의 투입 속도)는 룩업 테이블 형태로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해 둘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40 to be controlled (or the input speed of the next bill) to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measured data of the current state of the bill may be previously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not shown)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

즉, 상기 제어부(120)는 현재 지폐의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현재의 모터 회전 속도에 의해 다음 지폐가 투입될 경우,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즉, 현재 지폐의 끝 지점(다음 지폐에 가장 가까운 지점)과 다음 지폐의 시작 지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을 예측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next bill is inserted by the current motor rotation speed from the data measuring the state of the current bill,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that is, the end point of the current bill (the next bill). The distance between the point closest to)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next bill) (or span) can be predicted.

참고로 현재 지폐에 스큐가 발생하여 자세가 틀어질 경우에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은, 다음 지폐에 가장 가까운 현재 지폐의 한 지점(모서리)에서 지폐 투입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수직선(제1 수직선)을 그었을 때 그 제1 수직선과, 현재 지폐에 가장 가까운 다음 지폐의 한 지점(모서리)에서 지폐 투입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수직선(제2 수직선)을 그었을 때 그 제2 수직선 간의 거리라고 할 수 있다(도 3 참조). For reference, if the current bill has a skew and the posture is misaligned, the gap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is an imaginary bill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bill insertion at one point (edge) of the current bill closest to the next bill. When a vertical line (the first vertical line) is drawn, the first vertical line and the second vertical line when a virtual vertical line (the second vertical line)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bill input at a point (corner) of the next bill closest to the current bill is drawn. It can be referred to as the distance between (see Fig. 3).

또한 현재 지폐에 슬립이 발생할 경우에도 다음 지폐와의 간격(또는 지간)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게 된다(도 4 참조).In addition, even if slip occurs in the current bill, the distance (or span) with the next bill cannot be kept constant (see FIG. 4).

상기와 같이 현재 지폐에 스큐나 슬립이 발생할 경우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은 짧아지게 되어 후속 동작(판별, 적재 등)을 수행하는데 충분한 시간 간격을 확보하지 못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skew or slip occurs in the current bill, the gap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becomes short, so that a sufficient time interval for performing subsequent operations (discrimination, loading, etc.) cannot be secured.

따라서 상기 제어부(120)는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을 예측하고, 그 간격(또는 지간)이 기준 간격 대비 짧은 정도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140)(예 : 투입 모터, 이송 모터, 그 외 지폐이송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모터)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 대비 느리게 제어하여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에 대한 투입 속도를 늦춰 지폐 간 간격(즉, 지간)을 넓힌다. 반대로 현재 지폐의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로부터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을 예측한 결과, 상기 간격(또는 지간)이 기준 간격보다 더 길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 대비 더 빠르게 제어하여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에 대한 투입 속도를 당겨 지폐 간 간격(즉, 지간)을 좁힌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20 predicts the distance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anknote and the next banknote from the measured data of the transfer state of the current banknote, and the motor ( 140) (e.g., input motors, transfer motors, and various types of motors for paper money transfer) are controlled to be slower than the standard speed to slow the input rate for the next bill to ) To widen. Conversely, as a result of predicting the gap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anknote and the next banknote from the measured data of the current banknote, if the gap (or span) becomes longer than the reference interval,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40 By controlling the speed faster than the reference speed, the input speed for the next bill to be inserted is increased to narrow the gap between bills (i.e., the span).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 결과에 따라 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능동적으로 느리거나(지폐 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 빠르게(지폐 간의 간격이 넓은 경우) 제어함으로써,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dicts the distance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anknote and the next banknote based on the measured data of the current banknote transfer state, and the motor 140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 By activel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banknotes to be slow (when the gap between the banknotes is narrow) or fast (when the gap between the banknotes is wide), the gap between the banknotes (or between the banknotes) is kept constant.

상기 제어부(120)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폐 투입 시 제어부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상기 지폐 간 간격(즉, 지간)은 현재 지폐(1)의 시작 지점과 다음 지폐(2)의 시작 시점 사이의 구간(A)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1분당 1000장을 카운트하는 장치(즉, 지폐 정사기)에 있어서, 시간으로는 약 60msec의 간격이며 거리로는 약 138mm의 간격이 된다(약 44파이 투입롤러로 구성된 경우).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when bills are input in FIG. 1, wherein the interval between bills (i.e., inter-bank)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current bill 1 and the start of the next bill 2 It means the section (A) between the time points, and in a device that normally counts 1000 sheets per minute (i.e., bill counter), it is an interval of about 60 msec in time and an interval of about 138 mm in distance (about 44 pie feed roller).

또한 도 2에서, 현재 지폐(1)의 끝 지점과 다음 지폐(2)의 시작 지점 사이의 구간(B)은, 지폐판별 및 처리구간으로서, 이 구간(B)의 거리는 각 지폐별로 상이하며(도 5 참조), 상기 제어부(120)는 이 구간(B)에서 지폐에 대한 권종 구분, 위폐 인식, 정사 인식, 시리얼번호 인식, 및 물리적으로 솔레노이드(미도시)를 동작시켜 지폐를 해당 포켓으로 이송시켜 적재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In addition, in Fig. 2, the section (B) between the end point of the current bill (1) and the start point of the next bill (2) is a bill discrimination and processing section, and the distance of this section (B) is different for each bill ( 5), the control unit 120 transfers the bill to the pocket by physically operating a solenoid (not shown) and sorting the bill type, counterfeit recognition, orthodox recognition, serial number recognition, and physically for bills in this section (B). And load it.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물리적으로 솔레노이드를 동작시켜야 하기 때문에, 상기 B구간이 기 설정된 기준 이하로 좁아질 경우에 상기 지폐 인식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곧바로 체인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지폐(예 : 다음 지폐)를 리젝(reject) 포켓으로 이송시킨다. 가령 상기 B 구간의 거리가 15mm 이내이거나 시간적으로 8msec 이내이면 상기 제어부(120)는 체인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For example, since the control unit 120 has to physically operate the solenoid, when the section B is narrowed below a preset criterion, it does not perform the bill recognition operation, and determines that a chain error has occurred immediately, and the corresponding bill ( Example: The next bill) is transferred to the reject pocket. For example, if the distance of section B is within 15mm or within 8msec in tim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a chain error has occurred.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폐 투입 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복수의 지폐 감지 센서(예 : Jam 감지용 센서)로 구성된 상기 지폐 감지부(110)가 측정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예 : 지폐의 투입 시작과 완료, 지폐의 통과 여부, 지폐 간 간격, 지폐 길이(즉, 폭), 지폐의 슬립 발생 여부와 슬립량, 및 지폐의 스큐 발생 여부와 스큐량 등)를 취득한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cquiring data on a current state of bill transfer when a bill is input in FIG. 1, wherein the bill detector is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bill detection sensors (eg, jam detection sensors). 110), the current paper money transfer status data (e.g., paper money input start and completion, paper money passing, space between paper money, paper money length (i.e. width), paper money slip occurrence and slip amount, and paper money Acquires whether or not skew has occurred and the amount of skew).

상기 취득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어부(120)는 현재 지폐가 정상적으로 투입된 경우(지폐 이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일렬로 투입된 경우) 대비 틀어진 정도(예 : 스큐 또는 슬립 정도)를 알 수 있고, 이로부터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이 기준 대비 어느 정도 짧아질 것인지 예측할 수 있다.From the acquired current transfer state data, the control unit 120 can know the degree of distortion (for example, the degree of skew or slip)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urrent paper money is normally inserted (in a case where the current paper money is inserted in a row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money transfer). From this, it is possible to predict how short the interval (or span) between the next bills will be compared to the standard.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폐 투입 시 현재 지폐의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복수의 지폐 감지 센서(예 : 키커롤러 포지션 센서, 투입 엔코더 등)로 구성된 상기 지폐 감지부(110)가 측정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예 : 지폐의 투입 시작과 완료, 지폐의 통과 여부, 지폐 간 간격, 지폐 길이(즉, 폭), 지폐의 슬립 발생 여부와 슬립량, 및 지폐의 스큐 발생 여부와 스큐량 등)를 취득한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other method of acquiring current state data of a banknote when a banknote is input in FIG. 1,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nknote detection sensors (eg, kicker roller position sensor, input encoder, etc.). Current bill transfer status data measured by the bill detector 110 (e.g., starting and completion of bills, whether bills have passed, space between bills, bill length (i.e., width), bill slip occurrence and slip amount) , And whether or not skew occurs and the amount of skew of the bill) are acquired.

상기 취득한 현재 지폐의 상태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어부(120)는 현재 지폐가 정상적으로 투입된 경우(일정한 간격으로 투입된 경우) 대비 미끄러진 정도(예 : 슬립 정도)를 알 수 있고, 이로부터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이 기준 대비 어느 정도 짧아질 것인지 예측할 수 있다.From the obtained state data of the current bill, the control unit 120 can know the degree of slipping (eg, the degree of slip)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urrent bill is normally inserted (in a case where the current bill is inserted at regular intervals), from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next bills ( Or, it is possible to predict how short the period) will be compared to the standard.

예컨대 도 4에 있어서 투입 인코더 신호는 1바퀴 회전 시 총 34개의 펄스가 출력되고, 만약 지폐가 미끄러짐 없이 정상적으로 투입될 경우 항상 일정한 시점(예 : 29 펄스 시점)에서 지폐 투입이 감지되지만, 지폐가 미끄러지는 경우에는 더 늦은 시점(예 : 29 펄스 이후 시점)에서 지폐 투입이 감지된다. 따라서 현재 지폐 투입이 감지된 시점을 산출하여 다음 지폐와의 간격(또는 지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Figure 4, the input encoder signal outputs a total of 34 pulses per rotation, and if the banknote is normally inserted without slipping, the banknote input is always detected at a certain point (e.g., 29 pulses), but the banknote slips. In this case, the bill input is detected at a later point (eg, after 29 pul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interval (or distance) between the next banknote and the next banknote by calculating the point at which the current banknote input is detected.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지폐의 폭에 따라 체인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chain error may occur according to the width of a bill in FIG. 2.

도 5의 (a)는 이상적인 지폐 투입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즉, 지폐 폭이 약 70mm 이고 지간이 138mm로 동등한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러한 이상적인 지폐 투입 상태에서는 체인에러의 발생율이 낮다. Figure 5 (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ideal banknote input state, that is, a banknote width of about 70mm and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qual spacing is maintained with a span of 138mm.In such an ideal banknote input state, a chain error occurs. The incidence rate is low.

그러나 도 5의 (b)와 같이 투입된 지폐의 폭이 넓은 경우(예 : 지폐 폭 약 90mm)에는 동등한 간격을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지간이 좁아질 수 있고, 또는 도 5의 (c)와 같이 지폐의 폭이 다른 지폐들(예 : 국가별 지폐의 폭이 다르거나, 국가에 따라 권종별 지폐의 폭이 다름)이 불규칙적으로 섞여 투입될 경우에는 지간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체인에러의 발생율이 높다.However, if the width of the inserted bill is wide as shown in (b) of FIG. 5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bill is about 90 mm), the width of the bill may be narrowed even if the same distance is maintained, or as shown in (c) of FIG. If these different banknotes (e.g., the width of each country's banknotes are different, or the width of each type of banknote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untry) are mixed irregularly, the area is not uniform, and the occurrence rate of chain errors is high.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지폐의 투입 상태에 따라 체인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chain error may occur according to an input state of a bill in FIG. 2.

도 6의 (a)와 같이 투입된 지폐의 폭이 넓지 않고 일정하지만 슬립(Slip)이나 스큐(Skew)가 발생(예 : 저개발 국가에서는 지폐의 환수기간이 길어 지폐가 낡고, 폴리머 지폐와 같은 비닐 재질의 지폐는 미끄러워 슬립이나 스큐 발생 확률이 높다)하거나, 또는 도 6의 (b)와 같이 지폐의 폭이 다른 다수의 지폐들이 불규칙적으로 섞여 투입된 상태에서 슬립이나 스큐가 발생될 경우, 투입된 지폐들의 지간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체인에러의 발생율이 높다.As shown in (a) of FIG. 6, the width of the inserted bill is not wide and constant, but slip or skew occurs (e.g., in underdeveloped countries, bills are old due to a long collection period of bills, and vinyl materials such as polymer bills Bills are slippery and have a high probability of slipping or skew), or if a slip or skew occurs in a state in which a number of bills of different widths are mixed irregularly as shown in Fig. 6(b), Since the span is not constant, the occurrence rate of chain errors is high.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지폐간격과 투입위치 간의 관계로부터 체인에러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 chain error from a relationship between a bill interval and an input position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복수의 신호 중 상부의 신호(적색 신호)는 지폐 간격을 나타내고, 하부의 신호(청색 신호)는 투입 위치를 나타낸다. Among the plurality of signals shown in FIG. 7, an upper signal (red signal) indicates a bill space, and a lower signal (blue signal) indicates an input position.

먼저 상기 지폐 간격 신호(적색 신호)를 참조하면, 지폐가 정상적으로 투입될 경우에는 지폐 간격이 오차 범위 내에서 약 800 정도의 데이터 값을 유지한다. 다음 상기 투입 위치 신호(청색 신호)를 참조하면, 키커롤러(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오차 범위 내에서 약 8 정도의 데이터 값을 유지한다. First, referring to the bill interval signal (red signal), when bills are normally inserted, the bill interval maintains a data value of about 800 within an error range. Next, referring to the input position signal (blue signal), when the kicker roller 11 operates normally, a data value of about 8 is maintained within an error range.

그런데 만약 지폐 투입 시 키커롤러(11)에서 슬립(Slip)이 발생할 경우에는 10 이상의 데이터 값이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슬립(Slip)이 발생할 경우에는 다음 지폐에 대한 지폐 간격 신호(적색 신호)가 700 정도의 데이터 값이 나타난다. 즉, 현재 지폐에 대하여 키커롤러(11)에서 슬립이나 스큐가 발생할 경우, 현재 지폐와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즉, 다음 지폐)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다음 지폐에 체인에러가 발생함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if a slip occurs in the kicker roller 11 during bill input, a data value of 10 or more appears. In addition, when the slip occurs as described above, a data value of about 700 for the bill interval signal (red signal) for the next bill appears. That is, if slip or skew occurs in the kicker roller 11 for the current bill, the gap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i.e., the next bill) is narrowed and it is predictable that a chain error will occur in the next bill. will b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지폐 감지부(110)를 통해 현재 투입된 지폐(즉,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검출한다(S101).As shown in FIG. 8, the control unit 120 detects the transfer state data of the currently input banknote (ie, the current banknote) through the banknote detection unit 110 (S101).

예컨대 상기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는, 지폐의 투입 시작과 완료, 지폐의 통과 여부, 지폐 간 간격, 지폐 길이(즉, 폭), 지폐의 슬립 발생 여부와 슬립량, 및 지폐의 스큐 발생 여부와 스큐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data on the current transfer status of the banknote includes the start and completion of the banknote input, the passage of the banknote, the interval between the banknotes, the length of the banknote (i.e., the width), whether the banknote slip occurred and the amount of slip, and whether the banknote skew occurred.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kew amount.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검출된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을 예측한다(S102).The control unit 120 predicts an interval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based on the detected state data (S102).

예컨대 상기 제어부(120)는 현재 지폐에 스큐(skew)가 발생한 경우, 그 스큐 정도(예 : 틀어진 각도)에 따라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을 예측(또는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현재 지폐에 슬립(Slip)이 발생한 경우, 그 슬립 정도(예 : 미끄러진 거리)에 따라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을 예측(또는 산출)한다. For example, when a skew occurs in the current bill, the control unit 120 predicts (or calculates) a gap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according to the degree of skew (eg, a twisted angle). In addition, when a slip occurs in the current bill, the control unit 120 predicts (or calculates) a distance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according to the slip degree (eg, slipped distance).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예측(또는 산출)된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에 대응하여 지폐 간격(또는 지간)을 기준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모터(140)의 속도를 제어한다(S103).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speed of the motor 140 to adjust the bill interval (or span) above a reference in response to the predicted (or calculated) spacing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 S103).

예컨대 현재 지폐에 스큐나 슬립이 발생할 경우 통상적으로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은 짧아지게 되므로, 상기 짧아진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120)는 모터 구동부(130)를 통해 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 대비 감속한다. For example, when a skew or slip occurs in the current bill, the interval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is usually shortened, so in response to the shortened interval (or span) between the shortened bills, the controller 120 is a motor driving unit. Through 13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40 is reduced compared to the reference speed.

가령 현재 지폐의 스큐나 슬립 정도가 더 클수록 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더 감속하고, 현재 지폐의 스큐나 슬립 정도가 더 작을수록 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덜 감속한다.For example, the greater the degree of skew or slip of the current bill, the mo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40 is reduced, and the smaller the degree of skew or slip of the current bill, the les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140 is reduced.

이때 상기 현재 지폐의 상태를 측정한 데이터에 대응하여 제어할 모터(140)의 회전 속도(또는 다음에 투입되는 지폐의 투입 속도)는 룩업 테이블 형태로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상기 모터(140)는 투입 모터, 이송 모터, 및 지폐 이송을 위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터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40 to be controlled (or the input speed of the next bill) to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measured data of the current state of the bill may be previously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not shown)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 The motor 140 includes an input motor, a transfer motor, and at least one motor for transferring bills.

상기와 같이 예측(또는 산출)된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120)가 모터(140)의 회전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간격(또는 지간)이 일정하게 조절된다(S104).The control unit 120 actively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40 in response to the interval (or span)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predicted (or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 Or the span) is constantly adjusted (S104).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을 적용하여 처리한 테스트 결과를 보인 예시도로서, 각 국가별(예 : 미국, 중국, 멕시코, 이란, 인도네시아) 지폐를 고정속도(1000rpm, 및 750rpm)에서 처리할 경우에 발생한 에러와 본 실시예에 따른 지간 예측을 통한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으로 처리할 경우에 발생한 에러를 비교하였다.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st result processed by applying an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ach country (eg, US, China, Mexico, Iran, Indonesia) banknotes are fixed at a fixed speed (1000 rpm). , And 750rpm), and the error generated when processing by the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through spa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ere compared.

도 9를 참조하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고속(예 : 1000rpm)의 고정속도로 지폐를 처리할 경우 적어도 4건 이상의 에러가 발생하여 총 43건의 에러가 발생하였으며, 저속(예 : 750rpm)의 고정속도로 지폐를 처리할 경우에도 국가별로 적어도 1건 이상의 에러가 발생하여 총 5건의 에러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지간 예측을 통한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으로 지폐를 처리할 경우, 총 3건으로 더 적은 에러가 발생하면서도 저속(예 : 750rpm)의 고정속도로 지폐를 처리할 경우에 비해서 더 빠른 속도로 처리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FIG. 9, in most countries, when bills are processed at a fixed speed at a high speed (for example, 1000 rpm), at least four errors occurred, resulting in a total of 43 errors, and a fixed speed at a low speed (for example, 750 rpm). Even when handling banknotes, at least one error occurred per country, resulting in a total of 5 errors. However, when bills are processed by the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through the spa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otal of 3 cases generate fewer errors, but a higher speed than when bills are processed at a fixed speed of low speed (e.g. 750 rpm). Could be handled.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간 예측을 통한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을 적용하여 지폐를 처리할 경우, 에러 발생율이 개선되고 또한 저속 고정속도 대비 처리 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폐 정사기 내의 지폐 투입부와 지폐 판별부 사이의 지폐 이송로의 길이가 짧아도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지폐 이송로를 단축할 수 있게 되어 지폐 정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폐의 상태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능동적 지간 조절을 수행함으로써 국가별 지폐의 다양한 규격에 따른 별도의 투입구 설계 없이도 동일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bills are processed by applying the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through the span predi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rror occurrence rate is improved and the processing speed is dramatically improved compared to the low-speed fixed rate.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affected by processing even if the length of the bill transfer path between the bill input unit and the bill discrimination unit in the bill machine is short, so that the bill transfer path can be shorten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bill counter. have.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effect of enabling the same design without a separate slot design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of each country by performing an active span adjustment in softwar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ill.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지폐 투입부
20 : 지폐 판별부
110 : 지폐 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모터 구동부
140 : 모터
10: bill input section
20: bill identification unit
110: bill detection unit
120: control unit
130: motor drive unit
140: motor

Claims (10)

지폐의 투입이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지폐의 투입이나 이송을 검출하는 지폐 감지부; 및
상기 지폐 감지부를 통해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예측하며, 상기 예측된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폐는 복수 유형의 지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폐 감지부는 지폐 투입부내 또는 상기 지폐 투입부와 지폐 판별부 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A mot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inputting or transferring bills;
A bill detector for detecting the input or transfer of the bill; And
The bill detection unit detects the current bill transfer state data, predict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to be inserted based on the detected current bill transfer state data, and the motor in response to the predicted interval.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actively controlling the speed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to be input,
The bills may include a plurality of types of bills, and the bill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bill input section or between the bill input section and the bill discrimination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은,
상기 다음 투입될 지폐에 가장 가까운 상기 현재 지폐의 한 지점에서 지폐 투입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 1 수직선과, 상기 현재 지폐에 가장 가까운 상기 다음 투입될 지폐의 한 지점에서 상기 지폐 투입 방향에 대응하는 가상의 제 2 수직선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to be input is,
A first virtual vertical line corresponding to a banknote input direction at a point of the current banknote closest to the next banknote to be inserted, and a banknote input direction at a point of the next banknote closest to the current banknote An active span adjustment device of a banknote spinn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distance between virtual second vertical lin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는,
지폐의 투입 시작과 완료, 지폐의 통과 여부, 지폐 간 간격, 지폐 길이(폭), 지폐의 슬립 발생 여부와 슬립량, 및 지폐의 스큐 발생 여부와 스큐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urrent paper money transfer state dat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art and completion of bills, whether or not the bills pass, the interval between bills, the length (width) of bills, whether or not the bills slip, and whether or not the bills are skew. The active spanning device of the paper money mach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지폐 간의 간격이 기준 대비 짧을수록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고, 상기 예측된 지폐 간의 간격이 기준 대비 길수록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 active span adjustment device for a bill counter,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predicted interval between bills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reduced, and as the predicted interval between bills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accelerated.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은,
체인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된 현재 지폐와 다음 지폐 간의 최소한의 지폐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riterion is
An active span adjustment device for a bill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minimum bill gap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set so as not to cause a chain err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간격에 대응하여 제어할 모터의 속도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n active span adjustment device for a bill cou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ed of the motor to be controlled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interval is controlled by referring to data stored in advance.
제어부가 지폐 감지부를 통해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출된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예측된 간격에 대응하여 모터의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현재 지폐와 다음 투입될 지폐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폐는 복수 유형의 지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폐 감지부는 지폐 투입부내 또는 상기 지폐 투입부와 지폐 판별부 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
Detecting, by the control unit,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transfer of the bill through the bill detector;
Predicting, by the control unit, a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banknote and the next banknote to be inserted based on the detected data on the current banknote transfer state; And
Including, the control unit active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in response to the predicted interval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current bill and the next bill to be input; and
The bi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types of bills, and the bill detection unit is provided in the bill input unit or between the bill input unit and the bill discrimination uni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지폐의 이송상태 데이터는,
지폐의 투입 시작과 완료, 지폐의 통과 여부, 지폐 간 간격, 지폐 길이(폭), 지폐의 슬립 발생 여부와 슬립량, 및 지폐의 스큐 발생 여부와 스큐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urrent transfer state data of the bankno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tart and completion of bills, whether or not the bills pass, the interval between bills, the length (width) of bills, whether or not the bills slip, and whether or not the bills are skew. How to actively adjust the span of the bill straighten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지폐 간의 간격이 기준 대비 짧을수록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고, 상기 예측된 지폐 간의 간격이 기준 대비 길수록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step of active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The control unit,
An active span adjustment method of a bill counter,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predicted interval between bills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reduced, and as the predicted interval between bills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accelerated.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측된 지폐 간의 간격에 대응하여 제어할 모터의 속도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정사기의 능동적 지간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step of active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motor with reference to pre-stored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interval between bills.
KR1020160065975A 2016-05-27 2016-05-27 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 Active KR1021977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975A KR102197789B1 (en) 2016-05-27 2016-05-27 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
CN201611061483.1A CN107437296B (en) 2016-05-27 2016-11-25 Active paper spacing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975A KR102197789B1 (en) 2016-05-27 2016-05-27 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936A KR20170134936A (en) 2017-12-07
KR102197789B1 true KR102197789B1 (en) 2021-01-05

Family

ID=6045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975A Active KR102197789B1 (en) 2016-05-27 2016-05-27 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7789B1 (en)
CN (1) CN107437296B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3675A (en) 2010-09-01 2012-03-15 Glory Ltd Paper sheet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7164B2 (en) * 1993-02-12 2002-07-02 株式会社東芝 Paper transport device
JP2007076879A (en) * 2005-09-16 2007-03-29 Toshiba Corp Paper sheet transport device
JP5061705B2 (en) * 2007-04-26 2012-10-3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anknote organizer
JP5303250B2 (en) * 2008-11-28 2013-10-02 筑波精工株式会社 Stacking object feeding device and stacking object feeding method
KR20110056945A (en) * 2009-11-23 2011-05-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Banknote transfer method and device therefor in automated teller machine
JP5633215B2 (en) * 2010-07-07 2014-12-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5595955B2 (en) * 2011-03-18 2014-09-24 株式会社東芝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KR20120130429A (en) * 2011-05-23 2012-12-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Drum rotational speed control method for bill stacking apparatus
EP2568445A1 (en) * 2011-09-07 2013-03-13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KR20140084929A (en) * 2012-12-27 2014-07-07 한국조폐공사 Apparatus for compensating skew of banknote identifying machine
JP6173830B2 (en) * 2013-08-12 2017-08-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Rolling control device, rolling control method, and rolling control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3675A (en) 2010-09-01 2012-03-15 Glory Ltd Paper sheet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37296B (en) 2020-01-31
CN107437296A (en) 2017-12-05
KR20170134936A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04667A1 (en) Bill recognizing and counting apparatus
JP6360307B2 (en) Sheet feeding device, document feed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US8100245B2 (en) Bill recognizing and counting apparatus
JP5091628B2 (en) Paper sheet handling equipment
JP6009673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CN106469327B (en) Banknote insertion spee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935806B1 (en) Banknote Gate Gate Control Method
KR101453674B1 (en) Media trea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JP3432860B2 (en) Skew control transport device for paper sheets
US20170148248A1 (en) Pickup mechanism, paper currency processing machine and sheet medium processing device
KR102197789B1 (en) Active control apparatus for bill interval of bill sorter and method thereof
JP6612308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WO2011092824A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and paper sheet handling method
JP4300072B2 (en) Paper sheet pitch correction device
JP5991902B2 (en) Paper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paper sheet conveying method
KR102357061B1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05715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594352B2 (en) Paper handling equipment
KR20100080189A (en) Aligning method for paper money separated from temporary stacker of atm
KR102519207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3323658A (en) Banknote storage device with movable wall, movable wall control method, and banknote depositing / dispensing machine
KR101153639B1 (en) Medium process apparatus and method and financial device
KR202200349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ll singling and interval between input bills
JP2000285278A (en) Method and device for bias motion detection of paper sheets and paper sheets counter
CN111527527B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eet sta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