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002B1 -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9002B1 KR102199002B1 KR1020140015943A KR20140015943A KR102199002B1 KR 102199002 B1 KR102199002 B1 KR 102199002B1 KR 1020140015943 A KR1020140015943 A KR 1020140015943A KR 20140015943 A KR20140015943 A KR 20140015943A KR 102199002 B1 KR102199002 B1 KR 102199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ffline store
- offline
- advertisement
- display device
- sto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방문객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비콘신호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해 기 설정된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 method thereof, and an apparatus applied thereto. That is, by checking the keyword preset for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lated to the offline store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to correspond to the offline store in the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keyword. In addition, while effectively promoting offline stores, real-time information on offline store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문객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Digital Display Ad Machine)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real-time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in a display device (Digital Display Ad Machine) installed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offline store when the visitor terminal confirms the visitor's entry at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offline store. Therefore, it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최근에는 다양한 광고를 오프라인에 비치된 디스플레이장치(Digital Display Ad Machine)에 표시하는 광고 서비스가 상용화되었으며, 이러한 광고 서비스는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 입장에서도 효과적인 매장 홍보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Recently, an advertisement service that displays various advertisements on a display device (Digital Display Ad Machine) provided offline has been commercialized, and such advertisement service is also used as an effective store promotion means from the standpoint of offline store operators.
여기서, 오프라인 매장의 홍보 수단으로서, 광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선, 실제로 영업하고 있는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정확하게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Here, as a means of promoting offline stores, in order to efficiently use the advertisement service, it is most important to collect real-time information on actual offline stor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provide them to users.
그러나, 기존 광고 서비스의 경우 운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는 수동적인 방식 또는 기 등록되어 있는 기본적인 정보만을 이용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advertisement service, it is a reality that the passive method of us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ffline store transmitted from the operator or the level of using only the basic information already registered.
이에,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서비스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of offline stores that change in real tim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방문객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비콘신호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해 기 설정된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키워드에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o be reach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a preset keyword for the offline store based on a beacon signal related to the offline store transmitted from a visitor terminal, and The purpose is to effectively promote the offline store and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on the offline store by allowing the related display device to display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to correspond to the offline sto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는, 방문객단말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비콘신호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키워드를 확인하는 확인부;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인 대상디스플레이장치를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a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when a beacon signal received at an offline store is transmitted from a visitor terminal;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target display device that is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keywor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a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connection with the offline store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키워드에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별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하여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로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selection unit includes a display device located adjacent to the offline stor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Is selected as the target display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방문객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콘신호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로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는,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한해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device further includes an update unit that accumulates and updates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s the number of visitors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registered in relation to the offline store is set at a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only when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offline store, which is accumulated and updated during the perio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에서, 상기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가 많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number of offline stores is 2 or more, the providing unit provides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of a specific offline store with a large number of accumulated and updated visitors during the set time, among the two or more offline store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시간에는, 다수의 단위설정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제공부는, 상기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다수의 단위설정시간 중에서, 특정 단위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가 많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t time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et times, and the providing unit includes a specific unit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et times when the number of visitors of the two or more offline stores accumulated and updated during the set time is the same.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of a specific offline store with a large number of accumulated and updated visitors during a set tim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광고/홍보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는, 상기 등록부에서 등록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 한해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rvice device further includes a registration unit for register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lated to the offline store, and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relation to the offline store is a set time from the time of registration in the registr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only when this has not pas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방법은 방문객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를 서비스장치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방문객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비콘신호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키워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인 대상디스플레이장치를 선별하는 선별부; 및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transmission step of a visitor terminal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offline store to a service device; A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by the service device, a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 selection unit for the service device to select a target display device that is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keywor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a providing step of providing, by the service devic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relation to the offline store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문객단말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비콘신호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키워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인 대상디스플레이장치를 선별하는 선별단계;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operating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eacon signal received at an offline store is transmitted from a visitor terminal, confirms a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Confirmation step; 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target display device that is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keywor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a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connection with the offline store to be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키워드에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별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하여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로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selecting step includes a display located adjacent to the offline stor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selected as the target display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방문객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콘신호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로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는,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한해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n update step of accumulating and updating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s the number of visitors of the offline store, and the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registered in connection with the offline store is set at a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only when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offline store, which is accumulated and updated during the perio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에서, 상기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가 많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oviding step, when the number of offline stores is 2 or more,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of a specific offline store having a large number of accumulated and updated visitors during the set time is provided among the two or more offline store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시간에는, 다수의 단위설정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다수의 단위설정시간 중에서 특정 단위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가 많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t time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et times, and the providing step includes a specific unit among the plurality of unit set times when the number of visitors of the two or more offline stores accumulated and updated during the set time is the same.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of a specific offline store with a large number of accumulated and updated visitors during a set tim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상기 광고/홍보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는, 상기 등록단계에서 등록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 한해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registration step of register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lated to the offline store, and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relation to the offline store is set from the time of registration in the registration st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only when the time has not elap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를 서비스장치에 전송하는 방문객단말; 및 상기 방문객단말로부터 전송된 비콘신호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키워드를 확인하고,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인 대상디스플레이장치를 선별하여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visito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offline store to a service device; And checking the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selecting a target display device, which is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relating the target display device to the offline store. And a service device for displaying the registered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이에, 본 발명의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방문객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홍보컨텐츠 시청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aratus applied thereto, when the visitor's entrance at the offline store is confirm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offline store, the location adjacent to the offline store By having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display device reflect the real-time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to display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mote the offline store and als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about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viewers of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Can increase the service satisfaction 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의 서비스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ervice screen of an advertis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in an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서비스장치(200)에 전달하는 방문객단말(100) 및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우선, 방문객단말(100)은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한 방문객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성 장치를 일컫는다.First, the
예를 들어, 방문객단말(1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비콘(도시안됨)으로부터 송출되는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여기서,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비콘은, 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신호 또는 음파(예: 비가청음파, 가청음파 포함) 등 RF 신호를 발생시키는 일컫는다.Here, the beacon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refers to generating an RF signal such as, for example, a BLE (Bluetooth Low Energy) signal or a sound wave (eg, including inaudible sound wave and audible sound wave).
이러한, 비콘은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고유한 범용고유식별자(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가 부여된 비콘신호를 송출하게 된다.Such a beacon transmits a beacon signal to which a unique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corresponding to an offline store is assign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콘이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구성만을 한정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오프라인 매장뿐만이 아니라 옥외 특정 장소(예: 방문객들이 많은 도로/거리/명소)에 비치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con is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only provided in offline stores but also in outdoor specific places (eg, roads/streets/sites with many visitors) Th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아울러,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광고/홍보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제공하기 위한 서버를 일컫는 것으로서,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가 등록한 광고/홍보컨텐츠가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광고/홍보컨텐츠는, 오프라인 매장 운영자가 자신의 매장을 홍보하기 위해 서비스장치(200)에 등록한 컨텐츠로서, 예컨대,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한 이미지/위치/전화번호/메뉴/쿠폰정보(예: QR코드) 등의 다양한 컨텐츠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Here,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is content registered by the offline store operator in the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오프라인 매장과 마찬가지로 오프라인 환경에 설치되어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행인들에게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접근이 용이성과 시인성이 동시에 확보되는 오프라인 환경인, 오프라인 매장 출입구/내부, 버스 정류장, 및 지하철 출입구/승강장 등에 설치된 전광판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는 광고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vertisement service displaying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related to the offline store is provided in a
이러한, 광고 서비스에서는 예컨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수동적으로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직접 조사하거나, 오프라인 매장 관계자가 직접 자신을 홍보하기 위한 광고/홍보컨텐츠를 등록하는 등 수동적인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such advertising services, for example, it is common for a service provider to use a passive method such as passively insp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offline stores, or offline store officials directly registering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to promote themselves. to be.
그러나, 마케팅 서비스 사업자가 수시로 변화하는 많은 수의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모두 조사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오프라인 매장 관계자가 자신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여러 마케팅 서비스에 일일이 등록하는 것 또한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a marketing service provider to research and manage all real-time information of a large number of offline stores that change from time to time, and it is also very difficult for offline store officials to register their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to various marketing services. It takes effort and time.
이렇듯, 관련된 광고 서비스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수동적인 방식으로 수집하거나 등록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홍보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할 것이다.As such, when the related advertisement service collects or registers information of offline stores in a passive manner to promote offline store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real-time information of offline stores that fluctuates in real time cannot be actively reflected.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서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by reflecting real-time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in the
우선, 방문객단말(100)은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irst, the
보다 구체적으로, 방문객단말(100)은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비콘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신호를 서비스장치(200)에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서비스장치(200)로 하여금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방문객단말(100)은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방문객단말(100)은 비콘신호를 수신한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내지는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여기서, 서비스장치(200)로부터 방문객단말(100)에 수신되는 광고/홍보컨텐츠의 경우 해당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정보로서, 쿠폰, 할인권, 사진, 이미지, 및 매장/상품 안내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오프라인 매장에서 방문객의 입장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received from the
그리고,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광고/홍보컨텐츠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 고유의 매장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비콘의 범용공유식별자와 매핑한 이후, 이를 광고/홍보컨텐츠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이후 설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by sett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store,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기본적인 키워드로서 설정하게 되며, 추가로, 오프라인 매장의 업태, 업종, 연관 검색어 등을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키워드로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 설정이 완료되면 오프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전체 디스플레이장치(300)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구분하게 된다.Here, when the keyword setting for the offline store is completed,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키워드로서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전체 목록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0) 목록을 구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처럼,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0) 목록을 구분하는 것은, 오프라인 매장한 인접하여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만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way, the list of the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방문객이 입장한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방문객단말(100)로부터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비콘신호에 포함된 범용고유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매장식별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매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확인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방문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함과 동시에, 비콘신호가 수신된 시간 즉,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visitor entry to the offline store is confirm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또한, 서비스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장치(200)는 방문객 입장이 확인된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 목록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디스플레이장치로서 선별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디스플레이장치가 선별되면,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선별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제공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At this time, when the targe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is selected, the
여기서, 서비스장치(200)는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에 해당하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부(210),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하는 설정부(220), 방문객단말(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30),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는 확인부(240),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 갱신하는 갱신부(250),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선별하는 선별부(260), 및 광고/홍보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제공하는 제공부(2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That is, the
여기서, 전술한 서비스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그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entire or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우선,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irst, the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때,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 고유의 매장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비콘의 범용공유식별자와 매핑한 이후, 이를 광고/홍보컨텐츠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광고/홍보컨텐츠로서 등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광고/홍보컨텐츠는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300)뿐만 아니라, 비콘신호를 전송하는 방문객단말(100)에 함께 제공되게 된다.Here, the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is provided not only to the
이에,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되는 광고/홍보컨텐츠의 경우, 방문객단말(100) 및 디스플레이장치(300) 각각에 대응하는 상이한 광고/홍보컨텐츠로서 등록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to correspond to an offline store, it may be registered as different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그리고,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이후 설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by sett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store, the
이때,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기본적인 키워드로서 설정하게 되며, 추가로, 오프라인 매장의 업태, 업종, 연관 검색어 등을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키워드로서 설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예를 들어, '홍대'에 위치하는 오프라인 매장인 '커피전문점 A'와 관련하여 키워드를 설정하는 경우, 위치정보를 해당하는 '홍대'을 커피전문점 A의 기본적인 키워드로서 설정하게 되며, 오프라인 매장의 업종을 기준으로 하는 '커피샵"을 '커피전문점 A'의 추가적인 키워드로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keyword is set in relation to'Coffee Shop A', an offline store located in'Hongdae','Hongdae', which corresponds to location information, is set as the basic keyword of Coffee Shop A. 'Coffee Shop' based on the type of business can be set as an additional keyword for'Coffee Shop A'.
여기서, 하나의 오프라인 매장에는 복수의 키워드를 중복 설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하나의 키워드는 복수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로서 공통으로 설정될 수 있다.Here, a plurality of keywords may be duplicated in one offline store, and conversely, one keyword may be commonly set as a keyword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예를 들어, '홍대'에 위치하는 '커피전문점 A'의 경우, 키워드로서, '홍대', '커피샵'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홍대', '커피샵'이란 키워드의 경우 상기 커피전문점 A뿐만 아니라, '홍대'에 위치하는 다수의 커피전문점의 키워드로서도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Coffee Shop A'located in'Hongdae','Hongdae' and'Coffee Shop' may be set as keywords. In the case of the keywords'Hongdae' and'Coffee Shop', the coffee It can be set not only as a specialty store A, but also as a keyword for a number of coffee specialty stores located in'Hongdae'.
또한,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 설정이 완료되면 오프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전체 디스플레이장치(300)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구분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keyword setting for the offline store is completed, the
이때,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의 키워드로서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전체 목록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0) 목록을 구분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예를 들어, '홍대'에 위치하는 '커피전문점 A'의 키워드로서, '홍대', '커피샵'이 설정된 경우, 기 등록된 디스플레이장치(300) 전체목록 중 '홍대' 근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만을 선별함으로써, 선별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커피전문점 A'의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 목록으로서 구분하여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Hongdae' and'Coffee Shop' are set as the keyword of'Coffee Shop A'located in'Hongdae', a display device installed near'Hongdae' among the entire list of previously registered
여기서, 각 오프라인 매장의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 목록에는 각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주소정보(예: MAC, IP)가 포함된다.Here, the list of adjacent display devices of each offline store includes address information (eg, MAC, IP) of each
그리고, 설정부(220)는 설정된 키워드를 아래 [표 1]과 같이 매장식별정보, 범용공유식별자, 그리고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 목록과 함께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확인부(240)는 방문객이 입장한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40)는 방문객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신호가 수신부(230)에서 수신되면, 해당 비콘신호에 포함된 범용고유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매장식별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매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확인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이때, 갱신부(250)는 방문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함과 동시에, 비콘신호가 수신된 시간 즉,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visitor entry to the offline store is confirm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그리고, 선별부(260)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할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선별부(26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 목록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디스플레이장치로서 선별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visitor's entrance in the offline store is confirmed, the
그리고, 제공부(270)는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nd, the providing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270)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디스플레이장치가 선별되면,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선별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제공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targe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is selected, the providing
여기서, 광고/홍보컨텐츠의 제공 방식의 경우,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직접 제공하는 푸시(Push) 방식과,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접속을 유도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가져가도록 하는 풀(Pull) 방식 모두가 가능하다.Here, in the case of a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a push method in which registered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is directly provided to the
뿐만 아니라, 제공부(270)는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에 해당하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와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oviding
이때, 제공부(270)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특정주기로 표시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주기(예: 분단위, 시간단위, 일단위, 주단위)를 설정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설정주기마다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viding
이를 위해, 제공부(270)는 상기 설정주기를 기준으로 특정 디스플레이장치(300)에 표시할 광고/홍보컨텐츠를 갱신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등록부(210)에서 광고/홍보컨텐츠 등록 과정에서 설정주기를 포함하는 표시제어정책을 광고/홍보컨텐츠 자체에 매핑하여 등록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광고/홍보컨텐츠에 매핑된 표시정책을 기초로 광고/홍보컨텐츠를 설정주기에 따라 반복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viding
한편, 제공부(270)는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한해서만,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Meanwhile, in provid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of the offline store, the providing
이처럼,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한해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방문객들이 선호도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문객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방문객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별하여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provision of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only when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offline store exceeds the threshold is to determine the preference of visitors to the offline store.If the number of visitors is above the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ference of the visitors is high and It is to provid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s of the store.
또한, 제공부(270)는 동일한 키워드가 설정된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하여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는 경우, 각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oviding
예를 들어, 키워드로서 '홍대', '커피샵'을 갖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홍대'이라는 위치정보 기반의 기본적인 키워드가 설정된 오프라인 매장을 우선적으로 확인되고, 그 중에서 추가 키워드로서 '커피샵'이 공통적으로 설정된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이 확인될 수 있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display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for an offline store that has'Hongdae' and'Coffee Shop' as keywords, the offline store where the basic keywor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Hongdae' is set is checked first, Among them, a number of offline stores in which'coffee shop' is commonly set as an additional keyword can be identified.
이에, 제공부(270)는 확인된 각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 즉,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기초로, 설정시간 동안 예컨대, 현재까지 누적된 방문객이 가장 많은 오프라인 매장, 지난 일주일 동안 방문객이 가장 많이 이용한 매장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우선순위 목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우선순위 목록에 따라 각 오프라인 매장에 해당하는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viding
이때, 설정시간 동안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가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happen that the number of accumulated and updated visitors during the set time is the same.
이 경우, 제공부(270)는 설정시간에 포함된 다수의 단위설정시간 중 특정 단위설정시간 동안의 방문객 수를 기초로 우선순위 목록을 생성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roviding
예를 들어, 지난 일주일에 해당하는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가 동일한 경우, 지난 일주일 동안의 각 요일에 해당하는 단위설정시간 중 특정 단위설정시간(예: 토요일) 동안의 방문객 수를 확인하여 확인된 방문객 수에 따라 우선순위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cumulative and updated visitors during the set time for the last week is the same, check the number of visitors during a specific unit set time (eg, Saturday) among the unit set times for each day of the last week. Priority list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ors.
이에,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는 우선순위 목록에 기초로 제공되는 광고/홍보컨텐츠를 정해진 시간만큼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홍대'에서 방문객들이 선호하는 식당들의 순위를 나열한 서비스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이때,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오프라인 매장 목록의 우선순위에 따라 각 오프라인 매장의 순위만을 표시하거나, 내지는 각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광고/홍보컨텐츠를 병기하여 정해진 시간만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를 통해, '홍대' 근처에 위치하는 행인들은 현재시점에 '홍대'에서 방문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오프라인 매장 A'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참고하여 실제로 '오프라인 매장 A'를 방문할 수 있을 것이다.Through this, pedestrians located near'Hongdae' will be able to actually visit'Offline Store A'by referring to'Offline Store A', which is the most preferred by visitors in'Hongdae' at the present time.
그 밖에, 제공부(270)는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문객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뿐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가 등록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 한해서만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provid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of the offline store, the providing
이처럼, 등록된 시점으로부터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광고/홍보컨텐츠만을 제공하는 것은, 최신 정보 즉 오프라임 내장의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광고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As such, providing only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for which the set time has not elapsed from the time of registration effectively promotes offline stores by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that is, real-time information with Offlime built-in, and increases service satisfaction for advertisement services. This is to do.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방문객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홍보컨텐츠 시청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sitor terminal confirms the visitor's entry in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offline store, a location adjacent to the offline store By having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display device reflect the real-time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to display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the offline store can be effectively promoted, and real-time information on the offline store can be provided. Can increase the service satisfaction of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Hereinafter, an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1 and 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n operation flow in the offline store market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한다(S110).First,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 고유의 매장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비콘의 범용공유식별자와 매핑한 이후, 이를 광고/홍보컨텐츠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나서,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이후 설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120).Then, by sett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store,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기본적인 키워드로서 설정하게 되며, 추가로, 오프라인 매장의 업태, 업종, 연관 검색어 등을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키워드로서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 설정이 완료되면 오프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전체 디스플레이장치(300)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구분한다.In addition, when the keyword setting for the offline store is completed, the
여기서, 서비스장치(200)는 오프라인 매장의 키워드로서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전체 목록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0) 목록을 구분하게 된다.Here, the
나아가, 방문객단말(100)은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비콘으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신호를 서비스장치(200)에 전송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서비스장치(200)로 하여금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30-S140).Further, the
이에, 서비스장치(200)는 방문객단말(100)로부터 비콘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비콘신호에 포함된 범용고유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매장식별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매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확인한다(S150).Accordingly, when a beac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방문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함과 동시에, 비콘신호가 수신된 시간 즉,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visitor entry to the offline store is confirm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그런 다음, 서비스장치(200)는 비콘신호를 전송한 방문객단말(100)에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전송하여 방문객단말(100)에서 이를 저장하거나, 내지는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S160).Then, the
다음으로, 서비스장치(200)는 방문객 입장이 확인된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 목록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디스플레이장치로서 선별한다(S170)Next, the
이후, 서비스장치(200)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디스플레이장치가 선별되면,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선별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제공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S180-190).Thereafter, when the targe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is selected, the
이때, 서비스장치(200)는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와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에 해당하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와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의 운영자로부터 수신되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한다(S210).First, the
이때, 등록부(210)는 오프라인 매장 고유의 매장식별정보를 부여하며, 이를 오프라인 매장에 비치된 비콘의 범용공유식별자와 매핑한 이후, 이를 광고/홍보컨텐츠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광고/홍보컨텐츠로서 등록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런 다음,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설정함으로써, 이후 설정된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220).Then, by setting a keyword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store, the
이때,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기본적인 키워드로서 설정하게 되며, 추가로, 오프라인 매장의 업태, 업종, 연관 검색어 등을 상기 위치정보와 함께 키워드로서 설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키워드 설정이 완료되면 오프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전체 디스플레이장치(300)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구분한다(S230).Next, when the keyword setting for the offline store is completed, the
이때, 설정부(220)는 오프라인 매장의 키워드로서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오프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전체 목록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0) 목록을 구분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설정부(220)는 설정된 키워드를 매장식별정보, 범용공유식별자, 그리고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 목록과 함께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S240).Then, the
나아가, 확인부(240)는 방문객단말(100)로부터 전송된 비콘신호가 수신부(230)에서 수신되면, 해당 비콘신호에 포함된 범용고유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매장식별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매장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객이 입장하였음을 확인한다(S250-S260).Furthermore, when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이때, 갱신부(250)는 방문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를 누적하여 갱신함과 동시에, 비콘신호가 수신된 시간 즉, 방문객이 입장한 시점정보를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visitor entry to the offline store is confirm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그런 다음, 제공부(260)는 비콘신호를 전송한 방문객단말(100)를 대상으로 방문객 입장이 확인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한다(S270).Then, the providing
그리고 나서, 선별부(26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디스플레이장치 목록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디스플레이장치로서 선별한다(S280).Then, when the visitor entry in the offline store is confirmed, the
이후, 제공부(270)는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대상디스플레이장치가 선별되면,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도록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선별된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 제공된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S290).Thereafter, when the targe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is selected, the providing
이때, 제공부(270)는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한해서만,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in provid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of the offline store, the providing
여기서, 제공부(270)는 동일한 키워드가 설정된 다수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하여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각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에 기초한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Here, when a visitor entry is confirmed for a plurality of offline stores in which the same keyword is set, the providing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방문객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또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광고/홍보컨텐츠 시청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isitor's entrance at an offline store is confirmed based on a beacon signal received from an offline store, a location adjacent to the offline store By having the display device installed in the display device reflect the real-time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to display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mote the offline store and also provide real-time information about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viewers of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 Can increase the service satisfaction of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unctional operations and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mplemented as digital electronic circuits, or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structural equivalents, or one or more of them. It can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 products, i.e. one or more modules relating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tangible program storage medium for execution by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 process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machine-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erials that affect a machine-readable radio wave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system" or "device" encompasses all devices, devices and machines for processing data, including, for example, a programmable processor, a computer, or multiple processors or computers. In addition to hardware, the processing system may include, for example, a code constituting a processor firmware, a protocol stack,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 operating system,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m, and the like, to form an execution environment for a computer program upon request. .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Computer programs (also known as programs,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s, scripts, or code) can be written in any form of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and can be written as a standalone program or module,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Computer program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files in the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files that store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part of a file that holds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mputer-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EPROM, EEPROM, and flash memory devices, such as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magneto-optical disks, and CDs. -May contain all types of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ROM and DVD-ROM disks. The processor and memory can be supplemented by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s or incorporated into it.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include a backend component, such as a data server, or a middleware component such as an application server, or, for example, a web browser or graphic user that allows a user to interact with an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It may be implemented in a front-end component, such as a client computer having an interface, or a computing system that includes all of one or more combinations of such back-end, middleware, or front-end components.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can be interconnected by any form or medium of digital data communication, for example a communication network.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includes details of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s,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o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peculiar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must be understood. Likewise,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initially be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and the claimed combination may be a subcombination. Or sub-combination varia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s the operations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is not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in order to obtain a desirable result,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Can not be done.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re generally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you can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is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발명의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방문객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수신한 비콘신호를 기초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방문객 입장이 확인되면,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여 광고/홍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offline store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aratus applied thereto, when a visitor's entrance at an offline store is confirmed based on a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offline store, the visitor terminal is installed in a location adjacent to the offline store. In that the display device reflects the real-time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to display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as the limit of the existing technology is exceeded, the possibility of marketing or sales of the applied device is increased. It is an invention that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is not only sufficient, but also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clearly in reality.
100: 방문객단말
200: 서비스장치
210: 등록부 220: 설정부
230: 수신부 240: 확인부
250: 갱신부 260: 선별부
270: 제공부
300: 디스플레이장치100: visitor terminal
200: service device
210: registration unit 220: setting unit
230: receiving unit 240: confirmation unit
250: update unit 260: selection unit
270: providing unit
300: display device
Claims (14)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인 대상디스플레이장치를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제공부; 및
상기 방문객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콘신호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로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부는,
상기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가 상기 방문객 수에 따른 우선순위로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When the beacon signal received in the offline store is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a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 target display device that is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keywor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connection with the offline store to be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n update unit for accumulating and updating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s the number of visitors of the offline store,
The providing unit,
When there are two or more offline stores with the same keyword set,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offline stores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in prior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ors. Service device.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키워드에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선별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인접하여 위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로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tore is included,
The selection unit,
And a display device located adjacent to the offline shop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ffline shop, as the target display device.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는,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한해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relation to the offline store,
A servic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only when the number of visitors of the offline store accumulated and updated during a set time period exceeds a threshold value, the target display device is displayed.
상기 제공부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이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중에서, 상기 설정시간 동안에 누적 갱신된 방문객 수가 많은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provision unit
When the number of offline stores is 2 or more, advertisement/promotion contents of a specific offline store with a large number of accumulated and updated visitors during the set time are provided among the two or more offline stores.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방문객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비콘신호를 기초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설정된 키워드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디스플레이장치인 대상디스플레이장치를 선별하는 선별단계;
상기 서비스장치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제공단계; 및
상기 방문객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콘신호를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객 수로 누적하여 갱신하는 갱신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키워드가 동일하게 설정된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2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 각각과 관련하여 등록된 광고/홍보컨텐츠가 상기 방문객 수에 따른 우선순위로 상기 대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방법.A transmission step of the visitor terminal transmitting the beacon signal received at the offline store to the service device;
A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by the service device, a keyword set in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 selection step of selecting, by the service device, a target display device that is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keywor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 providing step of providing, by the service devic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connection with the offline store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And
And an update step of accumulating and updating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s the number of visitors of the offline store,
The providing step,
When there are two or more offline stores with the same keyword set, the advertisement/promotional content registered in relation to each of the two or more offline stores is displayed on the target display device in prior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ors. Offline store advertising service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15943A KR102199002B1 (en) | 2014-02-12 | 2014-02-12 |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 US15/111,683 US20160350807A1 (en) | 2014-01-17 | 2014-12-15 | Off-line store advertis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
| CN201480073468.1A CN105917368A (en) | 2014-01-17 | 2014-12-15 | Off-line store advertis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
| PCT/KR2014/012361 WO2015108286A1 (en) | 2014-01-17 | 2014-12-15 | Off-line store advertis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15943A KR102199002B1 (en) | 2014-02-12 | 2014-02-12 |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94976A KR20150094976A (en) | 2015-08-20 |
| KR102199002B1 true KR102199002B1 (en) | 2021-01-06 |
Family
ID=5405813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15943A Active KR102199002B1 (en) | 2014-01-17 | 2014-02-12 |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9900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27491B1 (en) * | 2015-10-13 | 2023-05-03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System, Apparatus And Server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Beacon |
| KR102342817B1 (en) * | 2016-01-18 | 2021-12-2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Device fo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using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
| WO2017142260A1 (en) * | 2016-02-15 | 2017-08-24 | 주식회사 벤플 | Operating method of server for providing content by using offlin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y using sam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20115512A1 (en) | 2010-11-09 | 2012-05-10 | Apple Inc. | Beacon-Based Geofencing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15887A (en) * | 2006-04-07 | 2009-02-12 | 펠라고, 인크. | Pay-per-visit advertisement based on visits to physical locations |
| KR100936353B1 (en) * | 2007-11-27 | 2010-01-1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Store Management System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
| KR100988506B1 (en) * | 2008-07-29 | 2010-10-18 | (주)쓰리디미디어솔루션코리아 | Interactive advertising method and advertising system in offline store, and advertising device for it |
| KR101395199B1 (en) * | 2011-12-20 | 2014-05-16 | 주식회사 제일기획 | In-store realtime marketing system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thereof |
-
2014
- 2014-02-12 KR KR1020140015943A patent/KR1021990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20115512A1 (en) | 2010-11-09 | 2012-05-10 | Apple Inc. | Beacon-Based Geofencing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94976A (en) | 2015-08-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50280263A1 (en) |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service related to object | |
| CN109636485B (en) |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driving behavior data | |
| US2013001341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 discovery of digital content from observed physical media | |
| US20170061511A1 (en) | Mobile device initiated concierge experience | |
| CN105933737A (en) | Targeted television advertising based on profiles linked to multiple online devices | |
| WO2013177631A1 (en) |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 |
| US2014014380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 |
| KR102199002B1 (en) |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
| JP2025061220A (en) | Electronic commerce system, method and program | |
| US20140214556A1 (en) | Directory delivery and management system | |
| KR101554926B1 (en) | Search control system using of a multi connecting icon | |
| KR102067971B1 (en) |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
| KR102477449B1 (en) | System and method for guidance and advertisement service based geofence | |
| KR102045379B1 (en) | Marketing service system for offline retailed store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
| KR20150114604A (en) | Poll system in applying customer rewards service | |
| JP6072721B2 (en) |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information distribution progra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 |
| KR101940280B1 (en) | System for curation art display and art contents based LBS | |
| KR101616859B1 (en) | Information outputting control system using of a multi connecting icon | |
| US20160350807A1 (en) | Off-line store advertis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apparatus applied thereto | |
| KR101518839B1 (en) |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to Passengers On Network, Advertisement Server Used Therein | |
| KR20150055128A (en) | Advertising Method Using Mobile Device by Advertisement Managing Server and Server for Distributing Program therefor | |
| KR10181216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 function of mobile advertisement | |
| KR101579968B1 (en) | Storage system to store contents of visiting pla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 |
| KR101074244B1 (en) | A local advertis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sting and the mobile station thereof | |
| JP6291857B2 (en) |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