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384B1 -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Google Patents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n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1384B1 KR102191384B1 KR1020190006649A KR20190006649A KR102191384B1 KR 102191384 B1 KR102191384 B1 KR 102191384B1 KR 1020190006649 A KR1020190006649 A KR 1020190006649A KR 20190006649 A KR20190006649 A KR 20190006649A KR 102191384 B1 KR102191384 B1 KR 1021913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protrusion
- fastening
- hole
- lock
- colum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7 Z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60R25/021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key actu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는, 시동 키(key)가 삽입되는 로터를 가지는 키 유닛이 일단에 설치되는 락 바디와,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스티어링 컬럼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컬럼 체결 바디와, 상기 락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컬럼 체결 바디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출입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락 또는 언락하는 락 바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 체결 바디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락 바디는 상기 금속 재질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An automobile steering lock device that can reduce weight is provided.
To this end, in the steering lock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k body having a rotor into which an ignition key is inserted is installed at one end, and a lock bod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 body and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teering column The steering column is locked or unlocked through a surrounding column fastening body and a first hol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 body and a second hole formed on the column fastening body by rotation of the rotor and installed on the lock body. Including a lock bar, the column fastening body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lock body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lighter than the metal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for restraining rotation of a steering wheel.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조향을 위해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스티어링 휠이 구비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중심부에는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된다.In general,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steering wheel that the driver holds and rotates by hand for steering the vehicle, and a steering column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상기 스티어링 휠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자동차의 좌우 바퀴의 휠에 연결되어 있는 드라이브 샤프트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좌우 바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teering column is configur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teering wheel, and is connected to a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wheels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vehicle. Accordingly, when the driver rotates the steering wheel to the left or right, the steering column is rotate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so that the left and right wheels may be rotate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또한, 상기 자동차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회전조작이 되지 않도록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티어링 락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스티어링 락 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휠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steering lock device that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column so that the steering wheel is not rotated. The steering lock device may prevent the steering wheel from rotating by restraining rotation of the steering colum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being stolen.
상기 스티어링 락 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락 바를 포함하며, 상기 락 바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결합된 별도의 부재의 형성된 홈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락 바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steering lock device includes a motor and a lock bar that is linearly moved by a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the lock bar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or a groove formed of a separate member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By being inserted into, it is possible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column. Hereinafter, the lock bar will be described limited to being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상기 모터 및 상기 락 바는 대략 원통 형상의 락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락 바디의 일단에는 키 유닛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호 형상의 컬럼 체결 바디가 결합된다.The motor and the lock bar are installed in a lock body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key un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lock body. In addition, an arc-shaped column fastening body surrounding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teering column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 body.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컬럼 체결 바디에는 각각 상기 락 바가 출입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락 바가 상기 각각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컬럼 체결 바디로 돌출되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락 바가 상기 각각의 홀을 통해 상기 락 바디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Holes through which the lock bar can enter and exit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 body and the column fastening body, so that when the motor is driven, the lock bar passes through each of the holes and protrudes to the column fastening body. The lock bar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and the lock bar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 body through each of the holes, so as to come out of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즉, 자동차의 엔진이 시동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키 유닛에 포함된 로터에 형성된 키 홈에 시동 키(key)를 삽입하여, 상기 로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자동차의 엔진이 시동되고, 상기 락 바의 일단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서 빠져 나와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해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turned off, by inserting an ignition key into a key groove formed in the rotor included in the key unit and rotating the rotor in one directio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arted and the lock One end of the bar may come out of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thereby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column.
또한, 자동차의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엔진이 시동 오프되고, 상기 락 바의 일단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들어가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arted, when the rotor is rotated in another direction, the engine is turned off, and one end of the lock bar enters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column. I can.
한편, 상기 락 바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특정 토크를 가해도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이 구속해제되지 않아야 한다는 법규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토크는 국가마다 다를 수 있으나, 보통 300Nm 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 bar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and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column is restricted, a law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column should not be released even if a specific torque is applied to the steering column. have. Here, the specific torque may vary for each country, but is usually 300Nm.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는, 상기 법규를 만족하기 위해 상기 락 바디 및 상기 컬럼 체결 바디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the steering lock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lock body and the column fastening body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sufficient rigidity in order to satisfy the laws and regulations, thereby increasing weight.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reducing weight.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는, 시동 키(key)가 삽입되는 로터를 가지는 키 유닛이 일단에 설치되는 락 바디와,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스티어링 컬럼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컬럼 체결 바디와, 상기 락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컬럼 체결 바디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출입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락 또는 언락하는 락 바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 체결 바디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락 바디는 상기 금속 재질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ering lock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k body having a rotor into which an ignition key is inserted, a lock body installed at one end, and a steering column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 body. The steering column is accessed through a column fastening body surrounding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lock body, a first hol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 body by rotation of the rotor and a second hole formed in the column fastening body. It includes a lock bar to lock or unlock, wherein the column fastening body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lock body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lighter than the metal material.
상기 금속 재질은 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al material may include zinc.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홀의 상기 로터의 축방향의 일측에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1 홀의 상기 로터의 축방향의 타측에 제2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컬럼 체결 바디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제3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제4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 body,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and in the column fastening body, A third fastening protrusion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a fourth fastening protrusion fastened with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may be formed.
상기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3 체결돌기를 체결하는 제1 핀과, 상기 제2 체결돌기 및 상기 제4 체결돌기를 체결하는 제2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pin for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and a second pin fastening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fourth fastening protrusion may further be included.
상기 제1 체결돌기에는 상기 제3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돌기에는 상기 제4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3 체결돌기 각각에는 상기 제1 핀이 압입되는 압입홀이 상기 제1 삽입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돌기 및 상기 제4 체결돌기 각각에는 상기 제2 핀이 압입되는 압입홀이 상기 제2 삽입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nd the fourth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nd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has a press-fit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pin is pressed into the first hole. It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groove, and each of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fourth fastening protrusion may have a press-in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pin is press-fit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는, 스티어링 컬럼에 체결되는 부분인 컬럼 체결 바디만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록 바디는 상기 금속 재질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steering lock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column fastening body, which is a part fastened to the steering column,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lock body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lighter than the metal material, the effect of reducing the weight is hav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록 바디 및 컬럼 체결 바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 body and the column fastening body shown in FIGS. 1 and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록 바디 및 컬럼 체결 바디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shown in Figures 1 and 2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ed body and the column fastening bod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는, 락 바디(10)와, 컬럼 체결 바디(20)와, 락 바(30)를 포함한다.1 to 3,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락 바디(1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락 바(30)는 락 바디(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락 바디(10)의 내부에는 락 바(30)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어는 피니언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락 바에 설치된 랙에 치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상기 락 바(30)는 직선 이동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gear may be formed as a pinion and may be coupl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motor, and may be engaged with a rack installed on the lock bar. Accordingly, when the motor is driven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is rotated, the
락 바디(10)의 외주면에는 제1 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락 바(30)는 제1 홀(11)을 통해 락 바디(10)의 외주면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락 바(30)는 제1 홀(11)을 통해 락 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A
락 바디(10)의 일단에는 키 유닛(40)이 설치될 수 있다. 키 유닛(40)은 락 바디(10)의 일단을 통해 락 바디(10)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나머지부는 락 바디(10)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A
락 바디(10)의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키 유닛(40)의 나머지부의 둘레는 커버(50)에 의해 감싸여질 수 있고, 커버(50)는 락 바디(10)의 일단의 외주면에 씌워져 결합됨으로써, 키 유닛(40)이 락 바디(10)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The circumference of the rest of the
키 유닛(40)은 회전 가능한 로터(45)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45)에는 시동 키(key)가 삽입되는 키 홈(45A)이 형성될 수 있다.The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키 홈(45A)에 상기 시동 키를 삽입하여 상기 로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엔진이 시동될 수 있고, 락 바(30)는 제1 홀(11)을 통해 락 바디(10)의 외주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When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stopped, the engine can be started by inserting the ignition key into the
또한, 상기 엔진이 시동된 상태에서 상기 로터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엔진이 정지될 수 있고, 락 바(30)는 제1 홀(11)을 통해 락 바디(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tor is rotated in another direction while the engine is started, the engine may be stopped, and the
컬럼 체결 바디(20)는 락 바디(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컬럼 체결 바디(20)는 락 바디(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홀(11)을 덮으며, 락 바디(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lumn fastening
락 바디(10)의 외주면에는 제1 홀(11)의 주변에 제1 테두리 리브(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11)은 제1 테두리 리브(1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테두리 리브(12)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컬럼 체결 바디(20)의 외측면에는 제2 홀(21)의 주변에 제2 테두리 리브(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21)은 제2 테두리 리브(2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테두리 리브(22)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제1 테두리 리브(12) 및 제2 테두리 리브(2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서, 컬럼 체결 바디(20)가 락 바디(10)에 결합된 상태일 때 제1 테두리 리브(12) 및 제2 테두리 리브(22)는 서로 매칭될 수 있다.When the
컬럼 체결 바디(20)에는 락 바디(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홀(11)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2 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21)은 컬럼 체결 바디(2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The
컬럼 체결 바디(2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컬럼 체결 바디(20)는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의 둘레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컬럼 체결 바디(20)에는 호 형상으로 된 브라켓(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컬럼 체결 바디(20)에 체결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둘레 나머지부를 감쌀 수 있다.The
락 바(30)는 로터(45)의 회전에 의해, 락 바디(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홀(11)과, 컬럼 체결 바디(20)에 형성된 제2 홀(21)을 통해 출입할 수 있다.The
락 바(30)는 사각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제1 홀(11) 및 제2 홀(21)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락 바(30)는 제1 홀(11) 및 제2 홀(21) 내에서 회전되지 않고 직선 이동될 수 있다.The
락 바(30)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홀(11) 및 제2 홀(21)을 통해 컬럼 체결 바디(2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선단이 삽입되어 스티어링 컬럼을 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락할 수 있다 것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Whe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또한, 락 바(30)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홀(11) 및 제2 홀(21)을 통해 락 바디(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서,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선단이 빠져나와 스티어링 컬럼을 언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언락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을 구속해제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컬럼 체결 바디(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락 바디(10)는 상기 금속 재질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컬럼 체결 바디(2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락 바(30)의 선단이 삽입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에 외부로부터 특정 토크가 가해져도 컬럼 체결 바디(20)는 락 바(30)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락 바디(10)가 상기 금속 재질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 금속 재질은 아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질은 아연 또는 아연 합금일 수 있다. 아연은 다른 금속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강성이 좋기 때문에, 컬럼 체결 바디(20)는 아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material may include zinc. The metal material may be zinc or a zinc alloy. Since zinc is lighter in weight and has good rigidity compared to other metals, it is preferable that the
락 바디(10)의 외주면에는 제1 체결돌기(13) 및 제2 체결돌기(14)가 형성될 수 있다.A
제1 체결돌기(13)는 제1 홀(11)의 로터(45)의 축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체결돌기(14)는 제1 홀(11)의 로터(45)의 축방향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로터(45)의 축방향으로 제1 체결돌기(13) 및 제2 체결돌기(14) 사이에 제1 홀(11)이 위치될 수 있다.The
컬럼 체결 바디(20)에는 제3 체결돌기(23) 및 제4 체결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돌기(23) 및 제4 체결돌기(24)는 컬럼 체결 바디(2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A
제3 체결돌기(23)는 제2 홀(21)의 로터(45)의 축방향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4 체결돌기(24)는 제2 홀(21)의 로터(45)의 축방향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로터(45)의 축방향으로 제3 체결돌기(23) 및 제4 체결돌기(24) 사이에 제2 홀(21)이 위치될 수 있다.The
제1 체결돌기(13) 및 제3 체결돌기(2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체결돌기(14) 및 제4 체결돌기(2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체결돌기(13) 및 제3 체결돌기(23)는 서로 체결될 수 있고, 제2 체결돌기(14) 및 제4 체결돌기(24)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체결돌기(13)는 제3 체결돌기(23)와 체결될 수 있고, 제3 체결돌기(23)는 제1 체결돌기(13)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돌기(14)는 제4 체결돌기(24)와 체결될 수 있고, 제4 체결돌기(24)는 제2 체결돌기(14)와 체결될 수 있다.The
제1 체결돌기(13) 및 제2 체결돌기(14)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체결돌기(23) 및 제4 체결돌기(24)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는 제1 핀(60) 및 제2 핀(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60) 및 제2 핀(7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핀(60) 및 제2 핀(70)은 스프링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제1 핀(60)은 제1 체결돌기(13) 및 제3 체결돌기(23)를 체결할 수 있고, 제2 핀(70)은 제2 체결돌기(14) 및 제4 체결돌기(24)를 체결할 수 있다.The
제1 체결돌기(13)에는 제3 체결돌기(23)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홈(15)은 제1 홀(11) 및 제2 홀(21)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
제2 체결돌기(14)에는 제4 체결돌기(24)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홈(16)은 제1 홀(11) 및 제2 홀(21)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
제1 체결돌기(13) 및 제3 체결돌기(23) 각각에는 제1 핀(60)이 압입되는 압입홀(17,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돌기(13) 및 제3 체결돌기(23) 각각에 형성된 압입홀(17,27)은 제1 삽입홈(15)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압입홀(17,27)은, 제1 체결돌기(13)에 형성된 제1 압입홀(17)과, 제3 체결돌기(23)에 형성된 제2 압입홀(27)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
제3 체결돌기(23)가 제1 체결돌기(13)에 형성된 제1 삽입홈(15)으로 삽입된 후, 제1 핀(60)은 제1 체결돌기(13) 및 제3 체결돌기(23) 각각에 형성된 압입홀(17,27)로 압입되어서, 제1 체결돌기(13) 및 제3 체결돌기(23)를 체결할 수 있다.After the
제2 체결돌기(14) 및 제4 체결돌기(24) 각각에는 제2 핀(70)이 압입되는 압입홀(18,2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돌기(14) 및 제4 체결돌기(24) 각각에 형성된 압입홀(18,28)은 제2 삽입홈(16)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압입홀(18,28)은, 제2 체결돌기(14)에 형성된 제3 압입홀(18)과, 제4 체결돌기(24)에 형성된 제4 압입홀(28)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
제4 체결돌기(24)가 제2 체결돌기(14)에 형성된 제2 삽입홈(16)으로 삽입된 후, 제2 핀(70)은 제2 체결돌기(14) 및 제4 체결돌기(24) 각각에 형성된 압입홀(18,28)로 압입되어서, 제2 체결돌기(14) 및 제4 체결돌기(24)를 체결할 수 있다.After th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락 바디 11 : 제1 홀
13 : 제1 체결돌기 14 : 제2 체결돌기
15 : 제1 삽입홈 16 : 제2 삽입홈
17, 18, 27, 28 : 압입홀 20 : 컬럼 체결 바디
21 : 제2 홀 23 : 제3 체결돌기
24 : 제4 체결돌기 30 : 락 바
40 : 키 유닛 45 : 로터
60 : 제1 핀 70 : 제2 핀10: lock body 11: first hole
13: first fastening protrusion 14: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5: first insertion groove 16: second insertion groove
17, 18, 27, 28: press-fit hole 20: column fastening body
21: 2nd hole 23: 3rd fastening protrusion
24: fourth fastening protrusion 30: lock bar
40: key unit 45: rotor
60: first pin 70: second pin
Claims (5)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스티어링 컬럼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컬럼 체결 바디; 및
상기 락 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홀과 상기 컬럼 체결 바디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출입하여,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락 또는 언락하는 락 바;를 포함하고,
상기 컬럼 체결 바디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락 바디는 상기 금속 재질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락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홀의 상기 로터의 축방향의 일측에 제1 체결돌기와, 상기 제1 홀의 상기 로터의 축방향의 타측에 제2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컬럼 체결 바디에는,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제3 체결돌기와, 상기 제2 체결돌기와 체결되는 제4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3 체결돌기를 체결하는 제1 핀과,
상기 제2 체결돌기 및 상기 제4 체결돌기를 체결하는 제2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돌기에는 상기 제3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돌기에는 상기 제4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돌기 및 상기 제3 체결돌기 각각에는 상기 제1 핀이 압입되는 압입홀이 상기 제1 삽입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돌기 및 상기 제4 체결돌기 각각에는 상기 제2 핀이 압입되는 압입홀이 상기 제2 삽입홈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A lock body in which a key unit having a rotor into which an ignition key is inserted is installed at one end;
A column fastening bod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 body and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teering column; And
A lock bar installed on the lock body and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a first hole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 body and a second hole formed on the column fastening body by rotation of the rotor to lock or unlock the steering column; Including,
The column fastening body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lock body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lighter than the metal materi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 body,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or,
In the column fastening body, a third fastening protrusion fastened wit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a fourth fastening protrusion fastened with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re formed on the column fastening body,
A first pin for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in for fastening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fourth fastening protrusion,
In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 first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In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ourth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In each of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a press-in hole into which the first pin is press-fit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In each of the second and fourth fastening protrusions, a press-in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pin is pressed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상기 금속 재질은 아연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락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material is a steering lock device for a vehicle containing zinc.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06649A KR102191384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06649A KR102191384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89868A KR20200089868A (en) | 2020-07-28 |
| KR102191384B1 true KR102191384B1 (en) | 2020-12-15 |
Family
ID=7183140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06649A Active KR102191384B1 (en) | 2019-01-18 | 2019-01-18 |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91384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629534B2 (en) * | 2005-08-26 | 2011-02-09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Steering lock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97978A (en) * | 2008-03-13 | 2009-09-17 | 우창정기 주식회사 | Car Steering Lock |
-
2019
- 2019-01-18 KR KR1020190006649A patent/KR10219138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4629534B2 (en) * | 2005-08-26 | 2011-02-09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Steering lock mechanis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89868A (en) | 2020-07-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055351B2 (en) | Electrically-driven steering lock device | |
| CN102822034B (en) | Steering device | |
| JP6002015B2 (en) | Steering lock device | |
| JP5166210B2 (en) | Steering lock device for vehicle | |
| JP5550139B2 (en)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 |
| EP1647457B1 (en) | Steering lock apparatus | |
| JP2007203771A (en) | Vehicle steering column device | |
| KR102191384B1 (en) |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
| CN104024082B (en) | Steering lock device | |
| US5951031A (en) | Cable steering device with steering lock | |
| US4287786A (en) | Steering column jacket on the steering column of motor vehicles | |
| JP5315943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 US3753361A (en) | Steering wheel lock for automotive vehicles | |
| JP6220608B2 (en) | Steering device | |
| JP4694384B2 (en) | Steering lock device | |
| JP2012524184A (en) | Automobile locking device and anti-theft device | |
| KR100972143B1 (en) | Steering column locking device | |
| JP2000336998A (en) | U-shaped anti-theft device | |
| US20020088302A1 (en) | Secure attachment of steering wheel to steering shaft | |
| RU2176200C2 (en) | Vehicle ignition switch | |
| JP6355510B2 (en) | Steering lock device | |
| JP2009292172A (en) | Steering lock mechanism | |
| JP2003072517A (en) | Steering lock device | |
| JP5112988B2 (en) | Steering lock device | |
| KR100410761B1 (en) | ignition lock switch of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