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089B1 -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Google Patents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2089B1 KR102192089B1 KR1020200014358A KR20200014358A KR102192089B1 KR 102192089 B1 KR102192089 B1 KR 102192089B1 KR 1020200014358 A KR1020200014358 A KR 1020200014358A KR 20200014358 A KR20200014358 A KR 20200014358A KR 102192089 B1 KR102192089 B1 KR 1021920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e
- carbon
- silicon
- graphene
- ox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0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by electrical means
-
- H01L35/12—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실리콘 와이어의 실리콘 산화물상에 그래핀이 막 구조로 형성된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c는 리튬화 공정 중, 그래핀층이 실리콘 입자 팽창 및 리튬 이온이 확산되도록 도와주는 클램핑 효과(clamping effect)를 구현하는 방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일구현예에 따른 리튬 전지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일구현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c는 펠티어 효과에 의한 열전냉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d는 제벡효과에 의한 열전발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e는 일구현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전극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음극을 채용한 제작예 1, 비교제작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코인셀에서 사이클 반복에 따른 방전용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음극을 채용한 채용한 제작예 1, 비교제작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코인셀에서 사이클 반복에 따른 방전용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제작예 8 및 비교제작예 7-8에 따라 제조된 코인셀의 율속 성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제작예 1, 비교제작예 1 및 비교제작예 2에 따라 제조된 코인셀에 대하여 사이클 횟수 증가에 따른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작예 1-5, 비교제작예 1 및 3 및 참조제작예 1에 따라 제조된 코인셀에 대하여 사이클 횟수 증가에 따른 용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제작예 8 및 비교제작예 7-8에 따라 제조된 코인셀에 대한 충방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도 8a 및 도 9a는 각각 제조예 1의 복합체 및 비교제조예 1 및 2의 물질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 도 8b 및 도 9b는 각각 도 7a, 도 8a, 도 9a를 각각 확대하여 고배율로 나타낸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c 내지 도 8e는 제조예 8에 따라 얻어진 복합체를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f는 도 8e의 복합체에 대한 전자 에너지 손실 분광법(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EEL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도 12a 내지 도 17a는 각각 제조예 2-5의 복합체 및 비교제조예 1 및 3의 물질 및 참조예 1의 물질의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 도 12b 내지 도 17b는 각각 도 10, 12a 내지 도 17a를 확대하여 고배율로 나타낸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각각 제조예 1의 복합체 및 비교제조예 1-2의 물질에 대하여 XPS 분광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각각 제조예 1-4의 복합체 및 제조예 6-7의 물질 및 비교제조예 1의 물질에 대한 XPS 분광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a 및 도 20b은 제조예 1에 따른 복합체의 상기 TEM-EDAX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비교제조예 1에 따른 물질의 TEM-EDAX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비교제조예 2에 따른 물질의 TEM-EDAX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제조예 1-3의 복합체에 대한 열중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제조예 1-3의 복합체 및 비교제조예 1의 물질에 대한 X선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제조예 1-3의 복합체 및 비교제조예 1의 물질에 대한 라만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a, 도 27a 및 도 28a는 각각 제조예 8, 제조예 9 및 비교제조예 4의 복합체의 전자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26b, 도 26c, 도 27b, 도 28b는 각각 도 26a, 도 27a, 도 28a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9a 내지 도 29e는 제조예 8에 따라 제조된 복합체를 이용한 인 시튜 투과전자현미경(In-situ T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구분 | 1st Cycle |
율속 성능(rate capability) | 쿠울롱 효율 |
||
| 0.05C 충전 | 0.05C 방전 | 초기 효율 | 0.5C/0.05C | ||
| 단위 | mAh/g | mAh/g | % | % | % |
| 제작예 1 | 647.42 | 552.9 | 85.4 | 98.35 | 99.61 |
| 비교제작예 1 | 652.17 | 568.7 | 87.2 | 97.19 | 99.10 |
| 비교제작예 2 | 610.73 | 529.5 | 86.7 | 98.35 | 99.61 |
| 구분 | 1st Cycle |
율속 성능(rate capability) | 쿠울롱 효율 |
||
| 0.05C 충전 | 0.05C 방전 | 초기 효율 | 0.5C/0.05C | ||
| 단위 | mAh/g | mAh/g | % | % | % |
| 제작예 1 | 647.42 | 552.9 | 85.4 | 98.35 | 99.61 |
| 제작예 2 | 610.61 | 517.8 | 84.8 | 99.82 | 99.49 |
| 제작예 3 | 593.71 | 481.5 | 81.1 | 98.44 | 99.57 |
| 제작예 4 | 677.57 | 573.9 | 84.7 | 98.59 | 99.61 |
| 제작예 5 | 722.41 | 606.1 | 83.9 | 97.61 | 99.38 |
| 비교제작예 1 | 610.73 | 529.5 | 86.7 | 97.19 | 99.10 |
| 비교제작예 3 | 677.14 | 577.6 | 85.3 | 97.91 | 99.36 |
| 참조제작예 1 | 735.75 | 619.5 | 64.2 | 98.36 | 99.47 |
| 구분 | 사이클수 |
| 제작예 1 | 100 |
| 비교제작예 1 | 34 |
| 비교제작예 2 | 28 |
| 구분 | 방전용량 보유율(%) |
| 제작예 1 | 92 |
| 제작예 2 | 88.1 |
| 제작예 3 | 92.8 |
| 제작예 4 | 85.6 |
| 제작예 5 | 85.4 |
| 비교제작예 1 | 85 (52 cycles) |
| 비교제작예 3 | 85.3 |
| 참고제작예 1 | 86.4 |
| 구분 | 1st cycle | 율속 성능 (Rate capability) |
쿠울롱 효율 | 100사이클 수명 | ||
| 0.05C 충전 |
0.05C 방전 |
초기 효율 (%) |
0.5C / 0.05C | |||
| 단위 | mAh/g | mAh/g | % | % | % | |
| 비교제작예 4 | 2341 | 1883 | 80.44 | 77.24 | 98.1 | 62 |
| 제작예 8 | 2096 | 1652 | 78.82 | 96.2 | 99.40 | 92 |
| 제작예 9 | 1409 | 1132 | 80.31 | 96.2 | 99.11 | 98 |
| 구분 | 실리콘 산화물(SiOx)막의 두께 (nm) |
기체 분위기 | 그래핀의 형태 |
| 제조예 1 | 0.1 | CH4+N2 | 그래핀 나노시트 |
| 제조예 2 | 2 | CO2+CH4 | 그래핀층(5nm) |
| 제조예 3 | 5 | H2O+CO2+CH4 | 그래핀층(10nm) |
| 제조예 4 | 0.1 | CO | 불균일 그래핀 (1-2nm) |
| 제조예 5 | 3-5 | CO2 | - |
| 비교제조예 1 | - | - | - |
| 비교제조예 2 | - | CH4:H2 | - (SiC 존재) |
| C1s 피크에 해당하는 탄소의 함량 (원자%) |
O1s 피크에 해당하는 산소의 함량 (원자%) |
Si2p 피크에 해당하는 실리콘의 함량 (원자%) |
C1s 피크에 해당하는 탄소의 함량/ Si2p 피크에 해당하는 실리콘의 함량 |
|
| 제조예 1 | 97.47 | 1.27 | 1.26 | 77.36 |
| 비교제조예 1 | 22.21 | 39.64 | 38.64 | 0.58 |
| 비교제조예 2 | 21,11 | 43.79 | 35.11 | 0.60 |
| 구분 | D/G 세기비 |
| 제조예 1 | 1.126053 |
| 제조예 2 | 0.92245 |
| 제조예 3 | 0.798807 |
| G@SiO2 | 1.580708 |
12: 그래핀층 21: 리튬전지
22: 음극 23: 양극
24: 세퍼레이터 25: 전지케이스
26: 캡 어셈블리
Claims (21)
- 실리콘(Si);
상기 실리콘 상에 형성된 실리콘 산화물(SiOx)(O<x<2) 및 상기 실리콘 산화물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그래핀을 포함하며,
상기 그래핀은 실리콘 산화물(SiOx)(O<x<2)의 실리콘에서 10nm 이하의 거리로 연장되는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실리콘 산화물의 실리콘에서 1nm 이하의 거리로 연장되는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물(SiOx)(O<x<2)막의 두께는 300㎛ 이하인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물(SiOx)(O<x<2)막의 두께는 10nm 이하인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실리콘의 표면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나노와이어, 입자, 나노튜브, 나노로드, 웨이퍼(wafer), 나노리본 및 이들의 조합물의 형태를 갖는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단면 길이가 500nm 미만이고, 직경이 50 내지 100nm인 실리콘 나노와이어인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그래핀 나노쉬트 또는 그래핀층인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의 함량은 복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인 복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의 라만분석스펙트럼에서 2600 내지 2800cm-1에서 2D 피크가 나타나는 복합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와 탄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또는 상기 복합체와 탄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체를 함유하는 전극.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재료가 그래핀, 흑연 및 카본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전극.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또는 탄소 복합체는 금속 산화물 또는 플루오르화알루미늄(AlF3)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마그네슘, 산화망간,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탄탈륨, 산화주석 및 산화하프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극.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탄소계 음극 활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천연흑연, 인조흑연, 팽창흑연, 그래핀, 카본블랙, 플러렌 수트(fullerene soot),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전극.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도전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제는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탄소섬유,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중에서 선택된 금속 분말, 또는 금속 섬유인 전극. - 제12항의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또는 상기 복합체와 탄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 소자.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또는 상기 복합체와 탄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체를 함유하는 바이오센서.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또는 상기 복합체와 탄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체를 함유하는 반도체 소자.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체 또는 상기 복합체와 탄소계 재료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체를 함유하는 열전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16892 | 2013-09-30 | ||
| KR20130116892 | 2013-09-30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70674A Division KR102077739B1 (ko) | 2013-09-30 | 2015-12-02 |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15685A KR20200015685A (ko) | 2020-02-12 |
| KR102192089B1 true KR102192089B1 (ko) | 2020-12-16 |
Family
ID=53029815
Famil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19376A Active KR101634288B1 (ko) | 2013-09-30 | 2014-09-05 |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 KR1020150170674A Active KR102077739B1 (ko) | 2013-09-30 | 2015-12-02 |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 KR1020200014358A Active KR102192089B1 (ko) | 2013-09-30 | 2020-02-06 |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19376A Active KR101634288B1 (ko) | 2013-09-30 | 2014-09-05 |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 KR1020150170674A Active KR102077739B1 (ko) | 2013-09-30 | 2015-12-02 |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3) | KR10163428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86383B1 (ko) | 2015-08-28 | 2023-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전극 및 리튬 전지 |
| WO2017074081A1 (ko) * | 2015-10-29 | 2017-05-04 | ㈜에이치아이엠앤드에이코리아 | Siox-플러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용도 |
| WO2017074084A1 (ko) * | 2015-10-29 | 2017-05-04 | ㈜에이치아이엠앤드에이코리아 | Siox의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
| KR102553839B1 (ko) | 2015-12-24 | 2023-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튬이차전지 |
| CN107845785B (zh) | 2016-09-19 | 2022-06-03 | 三星电子株式会社 | 多孔硅复合物簇、其制备方法和其碳复合物、及各自包括其的电极、锂电池和器件 |
| EP3324419B1 (en) | 2016-11-18 | 2020-04-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rous silicon composite cluster structur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arbon composite using the same, and electrode, lithium battery, and device each including the same |
| KR20180061672A (ko) | 2016-11-30 | 2018-06-08 | 삼신디바이스 주식회사 | 전기화학 디바이스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73534B1 (ko) * | 2017-09-26 | 2022-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
| KR102490867B1 (ko) | 2017-12-04 | 2023-01-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금속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한 리튬금속전지 |
| KR102617731B1 (ko) | 2018-01-03 | 2024-01-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실리콘 함유 복합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및 전자소자 |
| EP3509136A1 (en) | 2018-01-03 | 2019-07-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ilicon composite cluster and carbon composite thereof, and electrode, lithium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each including the same |
| KR102453272B1 (ko) | 2018-04-06 | 2022-10-11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양극 활물질, 상기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KR102701081B1 (ko) | 2018-10-25 | 2024-09-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다공성 실리콘 함유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및 전자소자 |
| KR102640843B1 (ko) * | 2018-11-19 | 2024-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튬전지용 전극 복합도전제, 이를 포함한 리튬전지용 전극,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전지 |
| CN116169257A (zh) * | 2022-12-06 | 2023-05-26 |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 一种镁锡掺杂硅碳负极材料的制备方法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233497A (ja) | 2009-12-24 | 2011-11-17 | Sony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動工具、電気自動車および電力貯蔵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952180B2 (ja) * | 2002-05-17 | 2007-08-01 |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 導電性珪素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 |
| KR101819042B1 (ko) * | 2011-09-27 | 2018-01-18 | 주식회사 예일전자 | 그래핀-탄소 복합체로 코팅된 실리콘산화물 및 그 제조방법 |
| JP2013159521A (ja) * | 2012-02-03 | 2013-08-19 | Chube Univ | グラフェン膜の製造方法 |
-
2014
- 2014-09-05 KR KR1020140119376A patent/KR101634288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12-02 KR KR1020150170674A patent/KR102077739B1/ko active Active
-
2020
- 2020-02-06 KR KR1020200014358A patent/KR10219208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233497A (ja) | 2009-12-24 | 2011-11-17 | Sony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動工具、電気自動車および電力貯蔵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41924A (ko) | 2015-12-21 |
| KR20200015685A (ko) | 2020-02-12 |
| KR20150039555A (ko) | 2015-04-10 |
| KR101634288B1 (ko) | 2016-06-30 |
| KR102077739B1 (ko) | 2020-02-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92089B1 (ko) |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
| KR102409818B1 (ko) |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그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
| KR102617731B1 (ko) | 실리콘 함유 복합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및 전자소자 | |
| US10692622B2 (en) | Composite, carbon composite including the composite, electrode, lithium battery, electroluminescent device, biosensor, semiconductor device, and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and/or the carbon composite | |
| US11837714B2 (en) | Composite, electrochemical active material composite using the composite, electrode including the composite or electrochemical active material composit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field emission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biosensor including the composit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and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 |
| KR102513253B1 (ko) |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구조체, 이를 포함한 탄소 복합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전극, 및 리튬 전지, 소자 | |
| KR102357975B1 (ko) |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그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
| US11824198B2 (en) | Silicon composite cluster and carbon composite thereof, and electrode, lithium battery, and electronic device each including the same | |
| KR102701081B1 (ko) | 다공성 실리콘 함유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및 전자소자 | |
| KR102409817B1 (ko) |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구조체, 이를 포함한 탄소 복합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전극, 및 리튬 전지, 소자 | |
| KR102486383B1 (ko) | 복합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전극 및 리튬 전지 | |
| KR102609866B1 (ko) | 실리콘 함유 구조체,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및 소자 | |
| KR20180031566A (ko) |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
| KR102299368B1 (ko) | 복합체,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활물질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