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849B1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2849B1 KR102192849B1 KR1020200022057A KR20200022057A KR102192849B1 KR 102192849 B1 KR102192849 B1 KR 102192849B1 KR 1020200022057 A KR1020200022057 A KR 1020200022057A KR 20200022057 A KR20200022057 A KR 20200022057A KR 102192849 B1 KR102192849 B1 KR 102192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t
- floor
- console
- air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front and rear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별도의 액추에이터, 암 및 도어를 추가하지 않고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로의 풍량을 함께 제어하며, 디프로스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을 증대시키고 기타 공조 모드에서 콘솔 측으로의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탑승자의 발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와 차량 콘솔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콘솔 벤트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입하기 위한 콘솔보조 입구가 형성되고, 플로어 벤트의 입구와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어 도어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동하도록 구성되고, 플로어 모드 시, 플로어 도어가 콘솔 벤트 입구를 폐쇄한다.For vehicles that control the air volume to the floor vent and console vent together without adding additional actuators, arms and doors, and increase the air volume of the defrost vent in the defrost mode and increase the air volume to the console side in other air conditioning mo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is disclosed.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floor vent for discharging air to the passenger's foot side and a console vent for guiding the vehicle console side, and a console auxiliary inlet is formed for introducing par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to the console vent. , A floor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floor vent entrance and the console auxiliary entrance at the same time, the floor door is configured to flow a par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to the console vent, and in the floor mode, the floor door is a console Close the vent open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 등의 조건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that is mounted on a vehicle and maintains conditions such as indoor temperature, humidity, airflow, and cleanliness in a stat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In general,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or heating a vehicle interior by heating or cooling the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air outside the vehicle into the vehicle interior or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vehicle. The evaporator, the heater core for heating, and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are selectively blown to each part of the vehicle interior by using a door for switching a blowing mod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12d)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되며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또한, 앞좌석과 뒷좌석의 온도차가 심하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플로어 벤트(12c,12d)의 후방측에는 차량 후방인 콘솔 측으로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여 뒷좌석 공간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는 콘솔 덕트(12e)가 설치된다. 상기 콘솔 덕트(12e)는 페이스 벤트(12b)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며, 페이스 벤트(12b)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를 콘솔 측으로 가이드하여 차량 뒷좌석 공간을 냉,난방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seats and the rear seats is severe, in order to resolve this,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1)는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온도조절도어(15)는 냉풍유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냉풍유로를 통해 믹싱챔버 측으로 유동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In the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온도조절도어(15)는 냉풍유로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 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디프로스트 도어(16a), 벤트 도어(16b) 및 플로어 도어(16c)로 구성되는 다수의 모드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In addition, when the maximum heating mode is activated, the
또한,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온도조절도어(1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믹싱챔버에 대하여 냉풍유로 및 온풍유로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 측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 도어(16a,16b,16c)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최대냉방모드, 최대난방모드, 1/2냉방모드시, 페이스 벤트(12b)로 공급되는 공기 중 일부는 페이스 벤트(12b)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앞좌석 공간을 냉,난방하게 되고, 다른 일부는 콘솔 덕트(12e)로 공급된 후 차실내 콘솔 측으로 토출되어 차량의 뒷좌석 공간을 냉,난방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cooling mode other than the maximum cooling mode, that is, a 1/2 cooling mode, is operated, the
한편, 도 2는 종래의 콘솔 도어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콘솔 덕트(12e) 측으로의 풍량을 제어하기 위해 콘솔 도어(16d)를 추가하기도 한다.Meanwhile,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sole door, and as shown in FIG. 2, a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하는 별도의 콘솔 도어를 구비하지 않아 콘솔 덕트 측으로 항시 공조 공기가 토출된다. 이 경우, 디프로스트 모드 등에서도 필요없는 풍량이 콘솔 측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디프로스트 벤트 측으로 토출되는 풍량이 약해지며 제상 성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FIG. 1 does not have a separate console door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on the console side, so that air conditioning air is always discharged to the console duct side. In this case, since an unnecessary air volume is discharged to the console side even in the defrost mode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volume discharged to the defrost vent side is weakened and the defrosting performance is weakened.
또한, 도 2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하는 별도의 콘솔 도어를 구비함에 따라 플로어 벤트 측 풍량과 콘솔 측 풍량을 각기 다른 도어로 조절하기 때문에,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암 등의 부품이 추가되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air conditioner of FIG. 2 has a separate console door for controlling the air volume on the console side, the air volume on the floor vent side and the air volume on the console side are controlled by different doors, so that an actuator for driving the door, an arm,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ncreases due to the addition of parts.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액추에이터, 암 및 도어를 추가하지 않고 플로어 벤트와 콘솔 벤트로의 풍량을 함께 제어하며, 디프로스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벤트의 풍량을 증대시키고 기타 공조 모드에서 콘솔 측으로의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ir volume of the floor vent and the console vent together without adding separate actuators, arms, and doors, and increases the air volume of the defrost vent in the defrost mode. It provid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capable of increasing the air volume to the console side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탑승자의 발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플로어 벤트와 차량 콘솔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콘솔 벤트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입하기 위한 콘솔보조 입구가 형성되고, 플로어 벤트의 입구와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어 도어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동하도록 구성되고, 플로어 모드 시, 플로어 도어가 콘솔 벤트 입구를 폐쇄한다.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loor vent for discharging air to the passenger's foot side and a console vent for guiding the vehicle console side, and a console auxiliary for introducing par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to the console vent An inlet is formed and includes a floor door that controls the opening of the inlet of the floor vent and the console auxiliary inlet together, and the floor door is configured to flow part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to the console vent, and in the floor mode, The floor door closes the console vent entrance.
상기에서, 플로어 모드 시, 플로어 도어는 콘솔 벤트 입구를 모두 폐쇄하고,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콘솔보조 입구를 지나 콘솔 벤트로 토출된다.In the above, in the floor mode, the floor door closes all the console vent entrances, and som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passes through the console auxiliary entrance and is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상기에서, 플로어 도어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한다.In the above, the floor door has a bypass flow path through which a part of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flows to the console vent.
상기에서, 플로어 도어가 플로어 벤트 입구를 폐쇄 시 바이패스 유로가 공조케이스에 밀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한 공기 유동이 차단되며, 플로어 도어가 플로어 벤트 입구를 개방 시 바이패스 유로가 공조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공기가 콘솔 벤트로 유동된다.In the above, when the floor door closes the floor vent entrance, the bypass flow pat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block air flow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and when the floor door opens the floor vent entrance, the bypass flow path is separat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Air flows to the console vent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상기에서, 바이패스 유로는 플로어 도어에 형성된 절개부로 구성된다.In the above, the bypass flow path is composed of a cutout formed in the floor door.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플로어 도어의 형상을 변경하여 플로어 측 및 콘솔 측 풍량을 함께 제어 가능하고, 액추에이터, 도어 및 암 등의 구성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디프로스트 모드 시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하여 디프로스트 벤트로의 풍량을 증대시켜 제상 성능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플로어 도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드에서의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고, 플로어 모드 시 콘솔 공기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한다.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ir volume on the floor side and the console sid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floor door, and can control the air volume on the console side without adding components such as actuators, doors, and arms, thereby reducing cost. In the defrost mode, the air volume on the console side is controlled to increase the air volume to the defrost vent to improve the defrosting performance, as well as control the air volume on the console in various mod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oor door. Prevents backflow of console air in floor mod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콘솔 도어가 구비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와 공조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스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console door,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or door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or doo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defrost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vent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bi-level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 floor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 mix mode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온도조절도어(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공조케이스(110)는 입구 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 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의 공기유로 상에는 냉풍유로와 온풍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유로 상에 순차로 설치된다. 온도조절도어(130)는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In the
또한, 공조케이스(110)의 출구 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115)로 구성된다. 아울러,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115)는 각각 디프로스트 도어(117), 벤트 도어(118), 플로어 도어(119)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outlet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모드 도어(117)(118)(119)의 개도에 따라 다양한 공조 모드, 즉 벤트 모드(Vent mode), 바이레벨 모드(B/L mode), 플로어 모드(Floor mode), 믹스 모드(Mix mode), 디프로스트 모드(Def mode)를 수행하게 된다.The vehicle
또한, 공조케이스(110)의 후방 측에는 콘솔 벤트(116)가 더 구비된다. 콘솔 벤트(116)는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 일부를 차량 콘솔 측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콘솔 벤트(116)는 덕트 형태로 이루어져, 플로어 벤트(114,115)를 형성하기 위한 공조케이스(110)의 후면측에 연장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116)로 유입하기 위한 콘솔보조 입구(173)가 형성된다. 아울러,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 입구(172)와 콘솔보조 입구(173)의 개도를 함께 조절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in the vehicle
바이패스 유로는 플로어 도어(119)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116)로 유동시킨다. 바이패스 유로의 구성을 통해, 콘솔 벤트(116) 측으로의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단일개의 플로어 도어(119)로 플로어 벤트(114,115) 측 풍량과 콘솔 벤트(116) 측 풍량을 함께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액추에이터, 도어 및 암 등의 구성물을 추가하지 않고도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The bypass flow path is provided in the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폭 방향으로 플로어 도어(119)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폭 방향은 플로어 도어(119)의 축 방향을 의미한다. 바이패스 유로가 플로어 도어(119)의 양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플로어 벤트(114,115)를 향하는 공기가 도어의 측면을 따라 콘솔 벤트(116) 측으로 일부 유동되어 플로어 도어의 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콘솔 측으로의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플로어 벤트로의 공기 유동을 가능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콘솔 벤트로의 풍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The bypass flow path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와 공조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로어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nd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oor door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플로어 도어(119)는 회전축(1191)과, 제1 평판부(1193) 및 제2 평판부(1192)로 구성되어, 센터 피봇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회전축(1191)은 공조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공조케이스(110)에 회전축공(1101)이 형성되고, 회전축(1191)이 회전축공(110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4 to 7, the
제1 평판부(1193)는 회전축(1191)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제2 평판부(1192)는 회전축(1191)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평판부(1193)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 평판부(1192)는 콘솔 벤트(116)의 입구 및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조절한다.The first
도 3의 상태에서, 플로어 도어(119)의 제1 평판부(1193)는 플로어 벤트(114,115)의 입구를 폐쇄함과 동시에 제2 평판부(1192)는 콘솔보조 입구를 폐쇄하고 있다. 이 경우, 콘솔 벤트(116)의 입구는 개방되어 있다.In the state of FIG. 3, the first
도 3의 상태에서 플로어 도어(11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플로어 벤트(114,115) 측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일 경우, 플로어 도어(119)의 제1 평판부(1193)는 플로어 벤트 입구(172)를 개방함과 아울러 제2 평판부(1192)가 콘솔 벤트 입구(171)를 폐쇄한다. 이 경우, 콘솔보조 입구(173)는 일부 개방된 상태가 된다.In the state of FIG. 3, when the
또한,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 입구와 콘솔 벤트 입구(171)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즉, 디프로스트 모드 시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와 콘솔 벤트 입구(171)를 모두 폐쇄한다. 따라서, 디프로스트 모드 시 플로어 도어(119)를 플로어 벤트(114,115)를 폐쇄하도록 조작하게 되면, 토출 공기는 콘솔 벤트(116)로 배출되지 않고 모두 디프로스트 벤트(112)로만 토출되어, 필요없는 풍량이 콘솔 측으로 토출되어 디프로스트 벤트 측 풍량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디프로스트 모드 시 작동 예를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제1 평판부(1193)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절개부(1194)로 구성된다. 또한, 폭 방향으로 공조케이스(110)의 양 내측면에는 절개부(1194)에 맞물리게 돌출된 돌기부(1102)가 형성된다.The bypass flow path is composed of
즉,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 입구(172)를 폐쇄시, 절개부(1194)가 공조케이스(110)에 밀착되어 절개부(1194)를 통한 공기 유동이 차단된다. 아울러, 플로어 도어(119)가 플로어 벤트 입구(172)를 개방시, 절개부(1194)가 공조케이스(110)로부터 이격되어 절개부(1194)를 통해 공기가 콘솔 벤트(116) 측으로 유동된다.That is, when the
다시 말해, 도 3과 같이 플로어 도어(119)가 플로어 벤트(114,115)를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절개부(1194)는 돌기부(1102)에 맞물려 절개부(1194)를 통한 공기의 유동은 차단된다. 만약, 플로어 도어(119)가 도 7과 같이 플로어 벤트(114,115)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절개부(1194)를 통해 콘솔보조 입구(173)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플로어 도어(119)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드에서의 콘솔 측 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on the console side in various mod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프로스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개방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116)의 입구를 모두 폐쇄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 입구(172) 및 콘솔보조 입구(173)를 모두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해서만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8 illustrates a defrost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in the defrost mode,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벤트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 입구(171)를 모두 개방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 입구(172) 및 콘솔보조 입구(173)를 모두 폐쇄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되고 일부 공기는 콘솔 벤트(116)로 분기되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nt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n the vent mode,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이레벨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 입구(171)를 모두 개방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 입구(172) 및 콘솔보조 입구(173)를 모두 약간(완전 개방 상태와 비교하여 작은 수준)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페이스 벤트(113)로 토출되고 일부 공기는 콘솔 벤트(116)로 분기되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아울러, 공조 공기의 일부는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절개부(1194)를 통해 콘솔보조 유로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10 illustrates a bi-level mode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in the bi-level mode,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로어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약간(완전 개방 상태와 비교하여 작은 수준) 개방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 입구(171)를 모두 폐쇄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 입구(172) 및 콘솔보조 입구(173)를 모두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디프로스트 벤트(112)로 일부 토출되고, 대부분의 공기가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절개부(1194)를 통해 콘솔보조 입구(173)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 즉, 플로어 모드 시, 플로어 도어(119)는 콘솔 벤트 입구(171)를 모두 폐쇄한다. 또한, 플로어 모드 시,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콘솔보조 입구(173)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11 illustrates a floor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in the floor mode,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믹스 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믹스 모드 시 디프로스트 도어(117)는 디프로스트 벤트(112)의 입구를 개방하고 있고, 벤트 도어(118)는 페이스 벤트(113)의 입구 및 콘솔 벤트 입구(171)를 모두 폐쇄하며, 플로어 도어(119)는 플로어 벤트 입구(172) 및 콘솔보조 입구(173)를 모두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 공기는 디프로스트 벤트(112)로 토출되고, 일부의 공기가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며, 플로어 벤트(114,115)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절개부(1194)를 통해 콘솔보조 입구(173)를 지나 콘솔 벤트(116)로 토출된다.12 illustrates a mix mode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in the mix mode, th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Until now,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01 : 증발기 102 : 히터코어
110 : 공조케이스 130 : 온도조절도어
111 : 공기유입구 112 : 디프로스트 벤트
113 : 페이스 벤트 114,115 : 플로어 벤트
117 : 디프로스트 도어 118 : 벤트 도어
119 : 플로어 도어 171 : 콘솔 벤트 입구
172: 플로어 벤트 입구 173 : 콘솔보조 입구
1191 : 회전축 1193 : 제1 평판부
1192 : 제2 평판부 1194 : 절개부
1102 : 돌기부100: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1: evaporator 102: heater core
110: air conditioning case 130: temperature control door
111: air inlet 112: defrost vent
113: face vent 114,115: floor vent
117: defrost door 118: vent door
119: floor door 171: console vent entrance
172: floor vent entrance 173: console auxiliary entrance
1191: rotation shaft 1193: first flat plate
1192: second flat plate 1194: incision
1102: protrusion
Claims (5)
상기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입하기 위한 콘솔보조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벤트의 입구와 콘솔보조 입구의 개도를 함께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를 구비하며;
상기 플로어 도어는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콘솔 벤트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구비하고;
플로어 도어가 플로어 벤트 입구를 폐쇄시 바이패스 유로가 공조케이스에 밀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한 공기 유동이 차단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 양 내측면에는 바이패스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돌기부가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It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in which an air inlet is formed at the inlet side and a defrost vent, a face vent, and a floor vent are formed at the outlet side, and a console vent for guiding a part of the air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the vehicle console side is provided. In,
A console auxiliary inlet is formed for introducing a part of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to the console vent;
A floor door for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floor vent and the console auxiliary entrance together;
The floor door has a bypass flow path through which a part of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flows to the console vent;
A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protrusions that can block the bypass flow path on both inner sides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so that the bypass flow pat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when the floor door closes the floor vent entrance to block air flow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플로어 모드 시, 플로어 도어는 콘솔 벤트 입구를 모두 폐쇄하고, 플로어 벤트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콘솔보조 입구를 지나 콘솔 벤트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loor mode, the floor door closes all the console vent entrances, and som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floor vent passes through the console auxiliary entrance and is discharged to the console vent.
플로어 도어가 플로어 벤트 입구를 개방 시 바이패스 유로가 공조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공기가 콘솔 벤트로 유동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floor door opens the floor vent entrance, the bypass flow path is separate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ir flows to the console vent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플로어 도어에 형성된 절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ypass flow path is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utout formed in the floor doo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22057A KR102192849B1 (en) | 2020-02-24 | 2020-02-24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22057A KR102192849B1 (en) | 2020-02-24 | 2020-02-24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40574A Division KR102086650B1 (en) | 2014-10-17 | 2014-10-17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6225A KR20200026225A (en) | 2020-03-10 |
| KR102192849B1 true KR102192849B1 (en) | 2020-12-18 |
Family
ID=698006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22057A Active KR102192849B1 (en) | 2020-02-24 | 2020-02-24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92849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22506B1 (en) | 2006-09-15 | 2013-01-15 | 한라공조주식회사 | 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for fogging prevention |
| KR101484707B1 (en) * | 2008-07-07 | 2015-01-21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544879B1 (en) * | 2009-03-19 | 2015-08-17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KR102189136B1 (en) * | 2014-03-11 | 2020-12-09 | 주식회사 두원공조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2020
- 2020-02-24 KR KR1020200022057A patent/KR10219284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6225A (en) | 2020-03-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248719B2 (en) |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JP3960020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 JP4196492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 CN110678338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JP2000127748A (en) | Vehicular air conditioner | |
| KR10142999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CN110871662B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JP2000255247A (en) | Vehicular air conditioner | |
| JP4178866B2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 |
| KR102533423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219284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20050111251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20100086260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2086650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1737916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171446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1429999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JP2000296712A (en) | Vehicle air conditioner | |
| KR102748521B1 (en) |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20190086184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KR102047742B1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JPH11222021A (en)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
| JPH09263120A (en) |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 |
| JP3482694B2 (en) |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 |
| WO2023182146A1 (en) | Vehicle air conditioning un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2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101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14057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