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112B1 -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4112B1 KR102204112B1 KR1020180155540A KR20180155540A KR102204112B1 KR 102204112 B1 KR102204112 B1 KR 102204112B1 KR 1020180155540 A KR1020180155540 A KR 1020180155540A KR 20180155540 A KR20180155540 A KR 20180155540A KR 102204112 B1 KR102204112 B1 KR 1022041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ystagmus
- pupil
- iris
- imag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23—Evaluating sense of bal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for diagnostics of the ir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휴대용 안진기 사시도,
도 3은 휴대용 안진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휴대용 안진기의 제어유닛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의 진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동공 중심점 좌표값을 산출하여 비교하는 참고도면,
그리고
도 7은 홍채 패턴을 비교하여 변화 각도를 산출하는 참고도면이다.
20: 전면커버 30: 광학/촬영유닛
40: 후면케이스 110: 제1디스플레이
120: 제2디스플레이 200: 제어유닛
210: 센서부 220: 통신부
230: 저장부 240: 음성출력부
250: 이미지처리부 260: 촬영제어부
270: 캘리브레이션부 280 : 안진기제어부
500 : 진단단말기 510 : 통신인터페이스부
520 : 단말기표시부 530 : 키입력부
540 : 단말기제어부 550 : 사용자 앱부
570 : 저장부 580 : 좌표처리부
590 : 각도처리부
Claims (17)
- 피검자에게 착용되어 안진 검사를 수행하는 안진기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진동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안진기의 양안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흑백 또는 이진 영상의 안구 이미지를 프레임별로 처리하여 각 프레임에서 동공의 중심점 좌표를 추출하고, 비틀림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상기 안진기의 양안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흑백 또는 이진 영상의 홍채 또는 안구 이미지를 Binary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하여 각 프레임별로 처리하여 각 프레임에서 홍채나 동공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점에 대한 패턴을 비교하여 원본 영상과의 비틀림을 계측한 다음, 비틀림의 정도를 각도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추출된 진동정보와 비틀림정보를 진단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및
(c) 상기 (b)단계에서 전송된 진동정보와 비틀림정보를 이용하여 안진의 유무 및 이석증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에서의 동공의 중심점 좌표를 (x,y)형태로 추출하여 상기 진단단말기로 전송하되, 상기 동공의 센터값 이동거리는 x축 또는 y축으로 어느 하나 이상 1mm이상이고, 동공의 면적이 전체 면적의 50%이상일 때의 좌표만 추출하여 전송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최초로 획득한 피검자의 프레임 안구영상으로부터 최초 동공 중심점 좌표를 설정하는 단계;및
상기 최초 동공 중심점 좌표를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프레임의 안구영상에서 해당 프레임의 동공 중심점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표설정단계는
최초 프레임의 안구영상에서 피검자의 안구 외곽라인 및 동공 외곽라인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동공 외곽라인에 기초하여 상기 최초 동공 중심점 좌표를 설정한 다음, 상기 안구 외곽라인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안구 양측 수평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양측 수평포인트 각각에서 상기 최초 동공 중심점 좌표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최초 프레임의 안구 영상은,
상기 안진기를 피검자의 양안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부터 표시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표시영상에 대한 피검자의 시선을 유도한 다음, 상기 표시영상을 주시하는 피검자의 양안 각각을 촬영하여 상기 최초 프레임의 안구 영상을 획득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공 중심점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피검자의 시선 이동에 따른 안구를 촬영하여 안구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안구영상에서 동공 외곽라인을 설정하고, 상기 동공 외곽라인에 기초하여 동공 중심점 좌표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상기 동공 중심점 좌표에 따라 상기 최초 동공 중심점 좌표의 변화에 따른 상기 동공 중심점 이동 좌표를 산출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이석증의 검사항목을 순서에 따라 상기 안진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으로 피검자에게 안내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수신된 (x,y)좌표를 기준으로 진동(Beating)의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b)단계에서 수신된 각도로 비틀림(torsion)의 정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안진의 유무와 이석증 유무를 판단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진동의 정도는 입력되는 (x,y)좌표들을 비교분석하여 진동의 방향으로 표시하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동공의 가장자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그 중심값을 추출하여 배열로 저장하여 비교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의 정도는
홍채와 동공의 특징점을 추출한 뒤 패턴 인식을 통하여 원본 영상과 비교하여 비틀림을 계측하고 계측된 값은 각도로 그 정도를 표기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딕스홀파이크(Dix-Hallpike)검사항목에 따라 후반고리관의 이석유무를 판단하고, 롤링테스트(rolling test)를 통하여 측반고리관의 이석유무를 판단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Dix-Hallpike검사항목에 의하여 우측 Dix-hall을 진행한 경우에 진동(Beating)이 상방향이고 우측으로 비틀림(extorsion)이 관측된 경우 우측 후반고리관 이석증으로 판단하고, 좌측 Dix-hall을 진행한 경우에 진동(Beating)이 상방향이고 좌측 비틀림(extorsion)이 관측된 경우 좌측 후반고리관 이석증으로 판단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고개를 45°이상 돌리는 검사인 롤링테스트에서 좌측으로 돌렸을 때 좌측으로 향하는 수평안진이 발생하고, 우측으로 돌렸을 때 수평안진이 향지성(geotrophc)이고, 그 안진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우측이 더 크면 우측가측반고리관에 이석이 있음을, 좌측이 더 크면 좌측 가측반고리관에 이석이 있음으로 판단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고개를 45°이상 돌리는 검사인 롤링테스트에서 좌측으로 돌렸을 때 우측으로 향하는 안진이 발생하고, 우측으로 돌렸을 때 좌측으로 향하는 안진이 원지성(ageotrophc)이고, 그 안진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우측이 더 크면 좌측가측반고리관에 이석이 있음을, 좌측이 더 크면 우측 가측반고리관에 이석이 있음으로 판단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자발안진, 주시안진, 두위회전후 안진 중 어느 하나의 검사항목에 따라 중추신경계 또는 말초신경계 어지럼증으로 판단하는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5540A KR102204112B1 (ko) | 2018-12-05 | 2018-12-05 |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5540A KR102204112B1 (ko) | 2018-12-05 | 2018-12-05 |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68493A KR20200068493A (ko) | 2020-06-15 |
| KR102204112B1 true KR102204112B1 (ko) | 2021-01-18 |
Family
ID=7108178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55540A Active KR102204112B1 (ko) | 2018-12-05 | 2018-12-05 |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041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596623B (zh) * | 2022-03-24 | 2025-02-14 | 广东工业大学 | 一种基于光流法的眼震类型识别方法 |
| CN115604452B (zh) * | 2022-09-29 | 2025-03-04 |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 一种瞳孔追踪方法及其bppv智能辅助诊断方法与系统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98414B1 (ko) * | 2018-04-24 | 2018-09-12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3차원 안구 움직임 측정 방법 및 전자동 딥러닝 기반 어지럼 진단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281180C (zh) * | 2003-02-03 | 2006-10-25 | 佳能株式会社 | 眼科装置 |
| KR100628921B1 (ko) * | 2004-07-20 | 2006-09-27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안구의 비틀림 운동 측정 방법 |
| KR101647455B1 (ko) | 2014-06-17 | 2016-08-24 | 서울대학교병원 |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
-
2018
- 2018-12-05 KR KR1020180155540A patent/KR10220411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98414B1 (ko) * | 2018-04-24 | 2018-09-12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3차원 안구 움직임 측정 방법 및 전자동 딥러닝 기반 어지럼 진단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68493A (ko) | 2020-06-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612316B2 (en) | Medical system and method operable to control sensor-based wearable devices for examining eyes | |
| JP6774136B2 (ja) | 自動視力診断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 US11967075B2 (en) | Application to determine reading/working distance | |
| JP7106569B2 (ja) | ユーザーの健康状態を評価するシステム | |
| US11246482B2 (en) | Visual acuity examination | |
| US10709328B2 (en) | Mai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self-examination of a user's eye | |
| US11311188B2 (en) | Visual and mental testing using virtual reality hardware | |
| WO2019156485A1 (en) | Method for determining refractory power of eye using immersive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 KR102204112B1 (ko) | 동공과 홍채를 이용한 이석증 질병예측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
| US20230172507A1 (en) |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vestigating or Assessing Eye or Pupil Movement | |
| KR102030266B1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 |
| KR102189783B1 (ko) | 이석증의 질병예측정보 표시방법 | |
| US20230263388A1 (en) | Eye examin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 |
| HK40029694A (en) | Application to determine reading/working distance | |
| HK40029694B (en) | Application to determine reading/working distan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5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7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