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239B1 -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6239B1 KR102206239B1 KR1020130151452A KR20130151452A KR102206239B1 KR 102206239 B1 KR102206239 B1 KR 102206239B1 KR 1020130151452 A KR1020130151452 A KR 1020130151452A KR 20130151452 A KR20130151452 A KR 20130151452A KR 102206239 B1 KR102206239 B1 KR 102206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door
- inner door
- guide
- fix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1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외부 도어; 제2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내부 도어; 상기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및 상기 내부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홀더, 상기 홀더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 상기 홀더를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시키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n external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first hing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A guide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torage chamber; And a fixing device provided on the inner door and selectively coupled or disengaged with the guide part, wherein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art, and a first guide guiding a linear motion of the holder It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that rotates the holder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도어가 내부 도어에 별도로 회전될 때에 내부 도어를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device and a refrigerator capable of stably fixing an inner door to a main body when the outer door is separately rotated to the inner do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freezing or refrigerating food or the like by discharging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the like to lower the temperature in a container.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A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freezing compartment for freezing and storing food or beverages,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storing the food or beverage at a low temperature.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Such refrigerators include a top mount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 bottom freezer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by a partition wall. It can be divided into a partitioned side by side type.
냉장고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보통 외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The refrigerator cools a storage compartment such as a freezing compartment or a refrigerating compartment by using cold air generated while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refrigeration cycle. Therefore,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s usually maintain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outside.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 본체를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각각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개스킷이 마련된다.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rovided inside a cabinet constituting the refrigerator body and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respectively.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re rotatably mounted in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with front openings, and a gasket is provided on each door to seal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비닛과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의 사이에 보조 도어를 설치하고, 보조 도어에 저장용기를 설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and prevent the loss of cold air due to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technology of installing an auxiliary door between the cabinet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or the freezer door, and installing a storage container on the auxiliary door has been developed. have.
그런데,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 도어와 상기 보조도어에는 각각의 개스킷이 각각 구비되므로, 보조도어 없이 개스킷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each gasket is provided in each of the freezing or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and the auxiliary do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ss of cold air through the two gaskets increases compared to a case where only one gasket is provided without an auxiliary door.
또한, 상기 개스킷이 접촉하는 부위인 본체의 전면과 냉장실 또는 냉동실 도어 전면에는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부위에 히터를 내장하여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2개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ew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hich is a contact portion of the gasket,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or freezer door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heater in the two portions to heat. In this case, since two heaters are required to prevent condensation from form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by that amou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 도어가 내부 도어와 별도로 회전될 때에 내부 도어를 본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inner door to the body when the outer door is rotated separately from the inner do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1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외부 도어; 제2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내부 도어; 상기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및 상기 내부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홀더, 상기 홀더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 상기 홀더를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시키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n external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first hing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A guide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torage chamber; And a fixing device provided on the inner door and selectively coupled or disengaged with the guide part, wherein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art, and a first guide guiding a linear motion of the holder It provides a refrigerator including a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that rotates the holder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홀더, 상기 홀더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 상기 홀더를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시키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냉장고의 외부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device selectively coupled or disengaged to a guid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a storage compartment of a refrigerator, the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a first guide member guiding the linear motion of the holder, and the holder And a second guide member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member, wherein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in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door of a refrigerator.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서 하나의 외부 도어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가스켓을 사용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냉기손실과 히터에 의한 소비전력이 감소해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only one external door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the loss of cooling air generated by the use of two gaskets and power consumption by the heater are reduced,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와 외부 도어를 개별 또는 함께 동작시킬 수 있어서, 저장실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or together, the user's accessibility to the storage room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에 거치된 식품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도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accessibility to the food mounted on the inner door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를 제외한 외부 도어만을 동작시킬 때에 내부 도어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서, 내부 도어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부 도어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the outer door other than the inner door is operated, the inner door can be fixed to the main body, thereby preventing the inner door from rotating arbitrarily.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door from performing an unwanted operation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 장치가 임의로 조작되더라도, 내부 도어가 본체를 향해서 이동되면 고정 장치가 내부 도어와 본체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xing device is arbitrarily operated while the internal door is open, the fixing device can fix the internal door and the body to each other when the internal door is moved toward the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가 저장실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내부 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체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홀더와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전달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
도 9는 버튼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
도 10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3에서 'A'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12는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3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 고정 장치가 임의로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냉장고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냉장고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다양한 냉장고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uter door closes a storage compartment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is rotat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are rotat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ner door.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6 is a view showing a holder and an operation unit.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upl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amplification memb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button member and an amplifying member.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of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ortion is released.
FIG. 11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portion'A' in FIG. 3;
12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1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1;
1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2;
1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3;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is arbitrarily operated in FIG. 16;
18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19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20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t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가 저장실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uter door closes a storage compartment in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냉장고의 본체(10)에는 외부 도어(20)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 도어(20)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방하는 도어인 것이 가능하다.An
상기 외부 도어(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서(30)를 통해서 얼음 또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A
상기 외부 도어(20)에는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22)에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회동시켜 저장실을 개방할 수 있다.The
나아가 상기 손잡이부(22)에는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버튼(652)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652)을 가압해서 냉장고의 외부 도어 개방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버튼(652)은 추후에 설명할 래치를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Further, a
상기 손잡이부(22)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도어(20) 내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버튼 부재 하우징(65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은 상기 버튼(652)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가 상기 외부 도어(2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내부에 푸쉬 바가 내장될 수 있다.A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is rotat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서는 상기 외부 도어(20)만 회동된 상태이고, 상기 외부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100)는 상기 저장실(2) 내에 수용된 상태이다.In FIG. 2, only the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해당되고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실(2)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2)을 개폐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는 제1힌지(40)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4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 일 단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 도어(20)의 측면 일 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외부 도어(20)는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회동될 수 있다.The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10)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가스켓(26)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외부 도어(20)의 사각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향해서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2)이 밀폐되면,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본체(10)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저장실(2)이 최종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A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부(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를 개방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24)에 접근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저장부(24)에 식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A
상기 외부 도어(20)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가 제2힌지(20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외부 도어(20)에서 상기 제1힌지(40)가 설치된 부분에 치우치도록 설치되지만, 상기 제1힌지(40)와는 별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힌지(200)의 회전축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즉 상기 제1힌지(40)와 상기 제2힌지(200)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가 없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함께 결합된다.That is, the
상기 래치(600)의 일부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된다. 상기 래치(600)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Part of the
상기 래치(600)의 일부 중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되는 부분은 체결부(610)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600)의 일부 중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되는 부분은 상기 체결부(610)에 결합되는 홀더(630)와, 상기 체결부(610)를 동작시켜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홀더(630)의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부(640)이다.A portion of the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에 마련된 버튼(652)의 조작 여부에 따라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가 함께 회전될 지, 또는 상기 외부 도어(20)만 회전될 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22)를 조작해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저장실(2)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user selects whether the
한편 상기 홀더(630)와 상기 버튼 부재(650)는 상기 가스켓(26)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전체적으로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주면과 유사한 사각 형상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래치(600)의 일부는 그 사각 형상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상기 홀더(630)와 상기 버튼 부재(650)는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래치(600)는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경우에,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구분되는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공간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600)는 냉기가 공급되는 상기 저장실(2)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부(610)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되지만, 상기 체결부(610)도 상기 가스켓(26)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2)을 이루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Likewise, the
한편 상기 래치(600)는 상기 제2힌지(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대해서 상기 제2힌지(200)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래치(600)의 위치는 상기 제2힌지(200)에 의한 회전 중심의 외곽에 배치된다. 상기 래치(600)가 회전 중심인 상기 제2힌지(200)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의 결합을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상기 내부 도어(100)의 상측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장치(500)가 구비된다. Meanwhile, a fix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 외부 도어와 내부 도어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and the inner door are rotated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서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함께 회전되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된 상태이다.In FIG. 3, the
상기 내부 도어(100)에는 복수 개의 저장부(52)이 설치되어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52)에 식품을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부(52)에 저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저장부(52)은 서로 높이를 다르게 해서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 도어(100)에는 복수 개의 저장부(52)이 마련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한편 사용자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된 저장부(52)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도어(100)가 회전되고 상기 저장실(2)로부터 꺼내져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52)에 접근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may rotate the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외부 도어(20)에 접촉한 상태에서도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내부 도어(100)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상기 가스켓(26)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된 위치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외주면보다 크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스켓(26)과 상기 내부 도어(100)과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Even in a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에서도,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가스켓(26)의 사이에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본체(10)에 접촉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즉 도 1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2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가 마주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저장실(2)은 상기 가스켓(26)과 상기 외부 도어(2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위한 가스켓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외부 도어(20)를 위한 가스켓(26) 만을 구비한다. 즉 상기 외부 도어(20)에만 가스켓(26)을 설치하더라도 상기 저장실(2)은 충분히 밀폐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가스켓의 설치로 인한 냉기 손실이나 히팅을 위한 에너지 낭비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ket for the
한편 상기 저장실(2) 내에는 식품이 거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선반(4)이 높이를 달리해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또한 상기 저장실(2) 내에는 슬라이딩되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서랍(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랍(6)은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회동으로 인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되더라도, 상기 서랍(6) 내에 수용된 식품이 일정 수준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내부 도어(100)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본체(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50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 즉 상기 저장실(2)의 상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상기 외부 도어(20) 만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즉 상기 고정 장치(500)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본체(10)가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 도어(20)만이 회동된다. 반면에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본체(10)가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가 함께 회전되어서 상기 저장실(2)이 개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도 3에서 'A'라고 부분의 상기 본체(10) 내측에는 도 15에서 설명할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가이드부에 대해서는 도 15에서 자세히 설명한다.In FIG. 3, a guide portion to be described in FIG. 15 is provided inside the
도 4는 내부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4에서는 상기 체결부만을 상기 내부 도어로부터 분해해서 도시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4 is a view showing an inner door. However, in FIG. 4, only the fastening part is disassembled from the inner door and show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내부 도어(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10), 상기 바디(110)에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바디(110)의 개구부를 마감해서 상기 바디(110)의 내부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The
상기 바디(1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마련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힌지(200)와 직접 결합되어, 상기 제2힌지(20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결합되는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110)와 상기 커버(13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사출에 의해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보강부는 스틸, 알루미늄 등의 다른 재질로 구성해서, 상기 바디(110)과 상기 커버(130) 보다 강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힌지(200)를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구성요소에 결합시켜, 상기 내부 도어(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A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또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내부 도어(100) 내측의 강도를 보강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에 거치되는 식품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art may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상기 보강부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수용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많은 공간을 점유하지 않아 상기 내부 도어(100)의 형상으로 인해서 상기 저장실(2) 내에 사공간의 체적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reinforcement part is install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한편 상기 커버(130)에는 상기 래치(6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600) 중에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는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체결부(610)의 전방을 마감하는 커버(612)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커버(612)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접촉가능하도록 상기 내부 도어(100)에 설치된다. The
상기 바디(11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저장실(2)의 내측 상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되어서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저장실(2)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결합되는 회전축(2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6)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상기 회전축(206)을 중심으로 상기 내부 도어(100)가 회전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체가 두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2힌지(200)는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되는 위치만을 달리할 뿐, 전체적인 형상은 동일하다.Meanwhile, the
도 5는 체결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체결부(610)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구비되는 조작부(640)에서 가압될 수 있는 누름편(620), 상기 누름편(620)에 가해진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해서 전달하는 구동편(624), 상기 구동편(624)에 의해서 회전되는 후크(628)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누름편(620)은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도어(20)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조작부(640)와 접촉할 수 있다. The
상기 구동편(624)은 상기 누름편(620)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직선 형태의 힘을 회전 방향의 힘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구동편(624)은 다양한 캠과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편(624)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The driving
상기 후크(628)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The
상기 구동편(624)에서 상기 후크(628)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후크(628)의 개구된 부분은 하방을 향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구동편(624)이 상기 후크(628)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ㄷ'자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외부 도어(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f the
한편 상기 체결부(610)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612)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612)는 상기 체결부(610)의 내부 구성이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또한 상기 커버(612)는 상기 후크(628)와 상기 누름편(620)만이 노출되도록 해서, 상기 체결부(610)가 상기 조작부(640)에 접촉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도 6은 홀더와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6 is a view showing a holder and an operation unit.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상기 조작부(640)가 용이하게 도시되도록 표현하기 위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는 생략했다. In FIG. 6, the
상기 조작부(640)는 사용자가 눌러서 변위를 발생시키는 버튼 부재(650)와, 상기 버튼 부재(650)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를 증폭하는 증폭 부재(660)와, 상기 증폭 부재(660)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위를 상기 체결부(610)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680)를 포함한다.The
상기 버튼 부재(650)는 상기 손잡이부(22)의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부재(650)는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방에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마련된 상기 버튼(652)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은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이다. The
상기 버튼 부재(650)의 일단에는 상기 증폭 부재(660)가 상기 버튼 부재(650)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증폭 부재(660)의 일단에는 상기 전달 부재(680)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The
상기 전달 부재(680)의 일단에는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해제 핀(69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제 핀(690)의 노출된 길이에 따라 상기 누름편(620)을 가압할 수 있다. A
상기 전달 부재(680)와 상기 증폭 부재(660)는 상기 외부 도어(20)의 내측에 매립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상기 해제 핀(690)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에게 전혀 노출되지 않는 구성요소이다. Since the
한편 상기 해제 핀(690)은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구획되는 공간 중 상기 저장실(2)로 구분되는 공간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해제 핀(690)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2)에 수용된 냉기가 이동될 수 있지만, 상기 전달 부재(680) 및 상기 증폭 부재(660)는 일직선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의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이동 경로가 복잡해져서 냉기가 이동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2)의 냉기 유출에 따른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증폭 부재(660)에 인접하게 홀더(63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630)는 상기 조작부(640)와 달리 상기 외부 도어(20)에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A
상기 홀더(630)에는 중앙에 홀더공(632)이 형성되어서, 상기 홀더공(632)으로 상기 후크(628)의 개구된 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610)와 상기 홀더(630)가 체결될 수 있다. A
도 7은 홀더와 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coupled.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버튼 부재(650)는 상기 손잡이부(22)의 전방에 설치되는 버튼(652), 상기 버튼(652)에 연결되는 푸쉬 바(6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 바(656)는 상기 버튼(65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푸쉬 바(656)가 이동되면 상기 증폭 부재(660)에 상기 버튼(652)의 변위가 전달될 수 있다. The
상기 푸쉬 바(656)는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은 상기 외부 도어(20)에서 노출되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손잡이부(22)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연결할 수 있다. The
도 7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652)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버튼(652)이 이동된 거리 만큼 상기 푸쉬 바(656)도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쉬 바(656)의 변위가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상기 증폭 부재(660)는 외관을 형성하는 증폭 부재 하우징(662)과,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동 바(664)와, 상기 회동 바(664)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 바(664)의 회동에 따라 이동되는 링크 바(66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mplifying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은 상기 회동 바(664)가 회동될 수 있는 궤적 만큼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은 상기 푸쉬 바(656)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The amplifying
상기 푸쉬 바(656)는 상기 회동 바(664)를 가압해서, 상기 회동 바(664)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 바(664)는 상기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푸쉬 바(656)는 상기 회전축(666)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부분을 가압하고, 상기 회동 바(664)의 끝단을 가압하지는 않는다. 반면에 상기 링크 바(668)는 상기 회동 바(664)의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The
상기 푸쉬 바(656)가 상기 회동 바(664)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동 바(664)는 강체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 바(656)의 의해서 이동되는 거리 보다 상기 링크 바(668)의 이동 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회동 바(664)가 상기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에 변화되는 각도가 동일하더라도, 회전축(666)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원호가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상기 전달 부재(68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달 부재 하우징(682)과 상기 누름편(620)을 가압할 수 있는 해제 핀(690)을 포함한다.The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은 상기 링크 바(668)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링크 바(668)는 상기 해제 핀(690)을 이동시켜서 상기 해제 핀(690)이 상기 외부 도어(20)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The
상기 해제 핀(690)은 상기 링크 바(668)에 접촉되는 제1편(692)과,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체결부(610)를 가압하는 제2편(696)과, 상기 제1편(692)과 상기 제2편(696)을 연결하는 연결편(6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 핀(690)은 상기 제1편(692)과 상기 제2편(696)이 상기 연결편(694)에 대해서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해제 핀(690)은 전체적으로 'ㄷ'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상기 제1편(692)의 일측에는 스프링(68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684)은 상기 링크 바(668)가 배치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제1편(692)을 상기 링크 바(668)를 향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링크 바(668)에 의해서 상기 해제 핀(690)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스프링(68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편(692)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상기 링크 바(668)에 의해서 상기 해제 핀(69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프링(684)은 압축될 수 있다.A
도 8은 전달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amplification member.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링크 바(668)의 일부는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A part of the
이때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에는 관통공(686)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 바(668)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through
상기 관통공(686)에는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1돌출편(688)이 마련된다. 상기 제1돌출편(688)은 소정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링크 바(668)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The through
한편 상기 제1돌출편(688)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링크 바(668)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돌출편(688)이 상기 제1편(692)에 의해서 우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제1편(692)과 상기 제1돌출편(688)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상기 제1편(692)의 일측이 상기 제1돌출편(688)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은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과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으로 인입된 냉기가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one side of the
도 9는 버튼 부재와 증폭 부재의 연결 부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button member and an amplifying member.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푸쉬 바(656)의 일부는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A part of the
이때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에는 연통공(668)이 형성되어서, 상기 푸쉬 바(656)가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상기 연통공(668)에는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의 내측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제2돌출편(670)이 마련된다. 상기 제2돌출편(670)은 소정 길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푸쉬 바(656)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제2돌출편(67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2돌출편(670)이 상기 회동 바(664)에 의해서 우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회동 바(664)와 상기 제2돌출편(670)이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회동 바(664)의 일측이 상기 제2돌출편(670)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은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과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기가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one side of the pivoting
이하 상술한 냉장고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a case where the user maintains the state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버튼(652)을 가압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7, the user does not press the
상기 제2편(696)이 상기 누름편(620)을 가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후크(628)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후크(628)의 개구된 부분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628)는 상기 홀더공(63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후크(628)와 상기 홀더(63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결론적으로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는 상기 래치(600)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conclusion,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래치(600)는 상기 가스켓(26)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2)이 배치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래치(600)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2)의 냉기가 상기 외부 도어(20), 즉 상기 버튼(652)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편(692)는 상기 제1돌출편(688)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 바(664)는 상기 제2돌출편(67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전달 부재 하우징(682), 상기 증폭 부재 하우징(662) 및 상기 버튼 부재 하우징(654)이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밀폐된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에, 냉기가 이동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을 함께 회전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상기 버튼(652)을 가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작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even when the user desires to rotate the
도 1 및 도 3과 같은 사용방식에서는 상기 래치(600)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이 상기 제1힌지(4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1 and 3, since the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이 상기 외부 도어(20)와 별도로 회전되지는 않는다. Since the
도 10은 홀더와 체결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of the holder and the fastening part is released.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을 제외하고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개방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버튼(652)을 가압한다.When the user wants to open only the
상기 버튼(652)이 가압되면 도 10을 기준으로 상기 버튼(652)이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푸쉬 바(656)도 상기 버튼(652)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상기 푸쉬 바(656)의 일단은 상기 회동 바(664)를 가압하고, 상기 회동 바(664)는 상기 회전축(66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링크 바(668)를 이동시킨다. 상기 회동 바(664)의 회전축(666)으로부터 상기 푸쉬 바(656)보다 상기 링크 바(668)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링크 바(668)의 변위는 상기 푸쉬 바(656)의 변위 보다 증폭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예를 들어, 사용자가 1mm만큼 상기 버튼(652)을 이동시키면, 상기 푸쉬 바(656)는 1mm만큼 이동하지만 상기 링크 바(668)는 1.5 또는 2mm만큼 이동될 수 있다. 증폭되는 비율에 대해서는 상기 푸쉬 바(656)와 상기 링크 바(668)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상기 링크 바(668)가 이동되면, 상기 링크 바(668)는 상기 제1편(692)을 가압해서 상기 스프링(684)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제1편(692), 상기 연결편(694) 및 상기 제2편(696)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편(692)의 이동 만큼 상기 제2편(696)이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제2편(696)은 좌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2편(696)이 상기 외부 도어(20)의 외측으로 노출된 길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2편(696)은 상기 누름편(620)을 가압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누름편(620)은 상기 구동편(624)을 가압해서, 상기 후크(628)를 회전시키고, 상기 후크(628)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외부 도어(20)를 향하도록 회전된다.The
따라서 상기 후크(628)와 상기 홀더(630)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내부 도어(100)과 상기 외부 도어(20) 사이에 결합이 해제된다.Accordingly, the coupling between the
상기 외부 도어(20)는 상기 제1힌지(4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반면에, 상기 내부 도어(100)은 상기 저장실(2)에 그대로 머물 수 있다. While the
한편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을 회전시키기를 원하면 상기 외부 도어(20)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상기 내부 도어(100)을 상기 제2힌지(200)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래치(600)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결합을 해제하면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은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Meanwhile, if the user desires to rotate the
도 11은 도 3에서 'A'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rtion'A' in FIG. 3 in detail.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실(2)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2)는 상기 본체(10)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상기 가이드부(12)는 원통형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핀(16)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 핀(16)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500)에 접촉되면서 상기 고정 장치(5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도 12는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2 is a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nd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2.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 장치(500)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부(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ixing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의 일측을 감싸는 홀더(510), 상기 홀더(51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 상기 홀더(510)를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시키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더(510)는 상기 가이드 핀(16)의 일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부재 및 제2가이드 부재는 상기 홀더(510)의 위치 및 상기 홀더(510)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fixing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커버(130)에 설치되는 제1하우징(50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502)에는 복수 개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서, 상기 고정 장치(500)가 상기 가이드부(12)에 접촉되면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The fixing
상기 제1하우징(502)은 상기 내부 도어(100)의 일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1하우징(502)은 상기 내부 도어(100)의 하나의 면에만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는다.The
제1가이드 부재는 상기 홀더(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결합 돌기(530) 및 상기 결합 돌기(530)를 수용하고, 상기 결합 돌기(5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5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503)은 상기 제1하우징(502)의 중앙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member includes a
상기 결합 돌기(53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홀더(510)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510)은 상기 결합 돌기(53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The
한편 상기 가이드 홈(503)은 상기 결합 돌기(530)의 지름의 길이만큼의 폭을 가지고, 길게 연장되어서, 상기 결합 돌기(530)이 상기 가이드 홈(503)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제1하우징(502)의 상측에는 제2하우징(504)이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504)은 제2가이드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가이드 부재의 운동이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간섭이 받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A
상기 제2가이드 부재는 상기 홀더(5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54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540)는 상기 결합 돌기(530)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홀더(51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member includes an
상기 탄성 부재(540)는 상기 홀더(510)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 부재(540)가 압축 또는 인장되면 상기 홀더(510)는 가이드 홈(503)의 방향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탄성 부재(540)는 상기 홀더(510)를 상기 결합 돌기(53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5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 장치(500)와 상기 가이드 부(12)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즉 상기 홀더(510)에는 결합홈(518)이 형성되어서, 상기 탄성 부재(540)의 제1결합축(542)이 상기 결합홈(51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40)의 제2결합축(544)는 상기 제2하우징(504)의 결합홈(506)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540)는 상기 홀더(510)과 상기 제2하우징(504)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That is, a
한편 상기 제1결합축(542)과 상기 결합홈(518)은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축(544)와 상기 결합홈(506)은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축(542)의 위치와 상기 결합 돌기(530)의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홀더(510)는 상기 제1결합축(542)에 작용하는 힘으로 인해서, 상기 결합 돌기(53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홀더(510)는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12)가 수용되는 함몰부(512), 상기 함몰부(51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돌출부(514)와 제2돌출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제1돌출부(514)와 상기 제2돌출부(516)은 서로 돌출된 길이를 서로 달리하도록 형상될 수 있다(관련 그림은 도 14 내지 도 17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제1돌출부(514)와 상기 제2돌출부(516)은 상기 함몰부(512)를 중심으로 비 대칭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도 14는 도 1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1.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홀더(510)는 도 14에서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 봤을 때에 상기 제1돌출부(514)와 상기 제2돌출부(516)의 돌출된 정도가 상이하다. 도 14를 기준으로 상측은 저장실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이고, 하측은 저장실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이다. The
특히 상기 제1돌출부(514)는 상기 제2돌출부(516)보다 짧게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홀더(510)는 상기 함몰부(512)를 중심으로 좌우가 비대칭을 가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부 도어(100)는 도 2에서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외부 도어(20)에 완전히 가려져 도 1의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는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When the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결합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홀더(51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6)이 감싸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함몰부(512), 상기 제1돌출부(514) 및 상기 제2돌출부(516)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6)이 감싸진다.The fixing
이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내부 도어(100)에 맞닿아 있고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내부 도어(100)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는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In this state, the
도 15는 도 2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1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2.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사용자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전방을 통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에 접근하거나, 상기 외부 도어(20) 내측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in order for a user to access the
이때 사용자는 상술한 래치(60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래치(600)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user may use the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개방한 경우에는 도 14에서와 같이 홀더(51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6)이 감싸지도록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user opens only the
결론적으로 도 1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래치(600)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고정 장치(500)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본체(10)에 결합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외부 도어(20)가 회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conclusion, when the user rotates only the
도 16은 도 3의 상태에서 가이드부와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fixing device in the state of FIG. 3.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rotate the
이때 도 14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함께 회전되게 된다.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간격은 유지되면서, 함께 상기 제1힌지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회전되기 때문이다.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함께 동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래치(600)를 앞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래치(600)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At this time, in the state shown in FIG. 14, the
도 14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를 약한 힘에 의해서 고정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에 대해 상기 탄성 부재(540)가 압축될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홀더(510)는 상기 가이드 핀(16)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the state of FIG. 14, the fixing
즉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 핀(16)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회전시켜, 상기 저장실(2)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xing
이때 상기 홀더(510)는 도 14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장치(500)와 상기 가이드부(12)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실(2)에 식품을 넣은 후에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회전시켜야 한다. After the user takes out the food stored in the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저장실(2)를 향해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홀더(510)가 도 14에 도시된 형태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홀더(510)는 상기 가이드 핀(16)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이때 상기 탄성 부재(540)가 압축되면서 상기 홀더(510)가 도 16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형태로 회전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홀더(510)은 상기 결합 돌기(53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결합 돌기(530)와는 다른 회전축인 상기 제1결합축(542)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홀더(510)가 상기 가이드 핀(16)에 접촉되면 상기 탄성 부재(540)가 압축되어 상기 결합 돌기(530)이 상기 제2결합축(544)을 향해서 압축되면, 상기 홀더(510)이 상기 제2결합축(544)를 향해서 직선 운동하고, 동시에 상기 홀더(510)가 상기 결합 돌기(530)에 대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ile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을 상기 고정 장치(500)를 통해서 결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uple the
도 17은 도 16에서 고정 장치가 임의로 조작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is arbitrarily operated in FIG. 16. Hereinafter, it demonstrates with reference to FIG.
도 16의 상태 즉,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홀더(510)를 임의로 조작해서, 상기 홀더(510)가 상기 결합 돌기(530)에 대해서 도 17과 같이 회전된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In the state of FIG. 16, that is,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도 1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저장실(2)을 향해서 회전시키면, 상기 제2돌출부(516)가 상기 가이드 핀(16)에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그러면 상기 가이드 핀(16)이 상기 제1돌출부(514)를 누르게 되고, 상기 탄성 부재(540)가 압축되면서 상기 결합 돌기(530)은 물론 상기 홀더(510)가 상기 제2결합축(544)을 향해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16)이 상기 제1돌출부(514)을 누르게 되기 때문에 상기 홀더(510)가 상기 결합 돌기(530)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홀더(510)가 상기 결합 돌기(530)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홀더(510)가 상기 가이드 핀(16)을 감싸서, 상기 고정 장치(500)가 상기 가이드부(12)에 결합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Then, the
즉 도 16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내부 도어(20)을 함께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홀더(510)가 상기 도 16에 도시된 형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홀더(510)가 상기 가이드 핀(16)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at is, even when the user moves the
다시 말해서 상기 홀더(510)가 도 16에 도시된 상태(정상적인 상태)나 도 17에 도시된 상태(사용자가 임의 조작을 한 상태)에 무관하게 상기 고정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부(12)에 결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따라서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는 정상적으로 결합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상술한 본 발명은 도 18에 도시된 냉장고의 다양한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18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본체(10)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구비된다.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shown in FIG. 18.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8, the
즉 도 18(a)에 도시된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52)가 상기 내부 도어(100)에 구비되는 형태이다. 상기 저장부(52)는 선반 또는 바스켓의 형태를 가져서, 내측에 식품이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외부 도어(20) 개방 시에 사용자가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저장부(52)의 적어도 일부에 접근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면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개방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That is,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18A has a
도 18(b)에 도시된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24)가 외부 도어(20)에 구비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외부 도어(20) 개방 시에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에 접근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면을 통하거나 상기 내부 도어(100)를 개방하는 경우에 본체(1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In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18B, a
도 18(c)에 도시된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부(52, 24)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에 모두 구비되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외부 도어(20) 개방 시에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된 저장부(24)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구비된 저장부(52)에 접근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면을 통하거나 상기 내부 도어(100)를 개방하는 경우에 본체(10)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In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18C, the
상술한 본 발명은 도 19에 도시된 냉장고의 다양한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19에는 본체, 내부 도어, 외부 도어를 서로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각각의 도어를 상기 본체에 대해서 개방할 수 있는 다양한 예를 개시한다.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shown in FIG. 19. Meanwhile, FIG. 19 shows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the main body,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can be fixed to each other, and various examples in which each door can be opened to the main body are disclosed.
이하 설명할 제1결합 부재(A), 제2결합 부재(B), 제3결합 부재(C)는 두 개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도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행위(즉 버튼을 누르는 행위 등)에 의해서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서는 두 개의 부재의 결합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결합 부재(A), 제2결합 부재(B), 제3결합 부재(C)는 결합도를 해제시킬 수 있는 힘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부재(즉 돌기 등을 이용한 끼움 결합 등이 가능함)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member (A),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third coupling member (C),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re not subject to the user's actions (ie, pressing a button, etc.)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upling between the two members. It may include a fixing device in a form that can be combined or disengaged by this. In other words, the bonding degree of the two members can be changed by the fixing device. Unlike this, the first coupling member (A),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third coupling member (C)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when a force greater than the force capable of releasing the coupling degree is applied. It may include a member of the shape (that is, fitting and coupling using a protrusion, etc.).
도 19(a)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제1결합 부재(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후크 또는 홀더 등의 부품을 이용하는 고정 장치이거나 가스켓의 자력에 의해서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끼움 돌기의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가 고정 장치라면 사용자의 누르는 등의 특정 행위를 통해서 결합 또는 해제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 부재(A)가 고정 장치가 아니라면 해당 결합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앞에서 설명한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19(a)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member A to couple or release the
한편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제2결합 부재(B)가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상술한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다양한 형태 중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a second coupling member B is provided to couple or release the
도 19(a)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결합 부재(B)에 의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는 상기 본체(10)와 결합시키고, 상기 제1결합 부재(A)를 해제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form of FIG. 19A, the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결합도가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보다 작은 상태에서, 사용자 등이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동작 등을 행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분리하고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힘이 상기 제1결합 부재(A)를 결합도보다는 크고,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보다는 작은 경우에,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그대로 두고 상기 제1결합 부재(A)만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degre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is smaller than the coupling degre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 user, etc., pulls the
이와 달리 도 19(a)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결합 부재(A)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결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 부재(B)를 해제해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In contrast, the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결합도가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보다 크고, 사용자 등이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당기는 동작 등을 행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coupling degree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A) is greater than the coupling degree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B), and the user, etc., pulls the
물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체결을 유지하고,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체결을 해제하도록 조작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first coupling member (A) to maintain the fastening and release the fastening by the user's manipulation.
도 19(b)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을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결합 부재(A)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제3결합 부재(C)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결합 부재(C)도 상술한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다양한 형태 중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19(b) is provided with the first coupling member A to couple or release the
도 19(b)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 부재(A)와 상기 제2결합 부재(B)가 모두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당기는 등의 행위를 통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결합 부재(A)와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서 결합이 해제된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길 때에 상기 제1결합 부재(A)와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 보다 큰 힘을 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 및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orm of FIG. 19B, the
반면에 도 19(b)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결합 부재(A)가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 부재(C)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를 당기는 행위 등을 통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행위를 통해서 상기 제1결합 부재(A)는 결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 부재(C)는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 또는 상기 내부 도어(100)에 가하는 힘이, 상기 제1결합 부재(A)의 결합도는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도를 해제시킬 수 있는 정도의 힘인 경우에도 상술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orm of FIG. 19(b), the
도 19(c)는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본체(1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3결합 부재(C)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를 서로 결합 또는 해제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결합 부재(B)를 구비한다. 즉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는 각각 상기 본체(10)에 독립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19(c) shows the third coupling member C to couple or release the
도 19(c)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 부재(B)가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등의 행위를 통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를 상기 내부 도어(100)로부터 분리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보다 작고,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도보다 큰 힘을 상기 외부 도어(20)에 가해서 상기 외부 도어(20)만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특정 행위를 통해서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결합을 유지하고, 상기 제3결합 부재(C)는 결합을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orm of FIG. 19C, the
도 19(c)의 형태에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결합 부재(B)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내부 도어(100)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제3결합 부재(C)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외부 도어(2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 부재(B)와 상기 제3결합 부재(C)가 모두 본체(10)로부터 해제된 후에 사용자는 상기 내부 도어(100) 또는 상기 외부 도어(20)를 당기는 등의 행위를 통해서 상기 외부 도어(20)와 상기 내부 도어(10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2결합 부재(B)의 결합도와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도보다 큰 힘을 가해서, 상기 제2결합 부재(B)와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은 모두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의 특정 행위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제2결합 부재(B)와 상기 제3결합 부재(C)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form of FIG. 19C, the
상술한 본 발명은 도 20에 도시된 냉장고의 다양한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shown in FIG. 20.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상기 가스켓(26)이 설치되어,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밀폐하게 되면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마주 보는 부분에만 상기 가스켓(26)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외부 도어(2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a), when the
한편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본체(10)의 사이에도 가스켓과 같은 실링 부재(2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 부재(27)는 상기 내부 도어(100)의 외주면을 둘러싸서 상기 실링 부재(27)와 상기 내부 도어(10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저장실이 일정 수준으로 밀폐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0B, the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도어(20)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26)에 의해서 상기 외부 도어(20)가 상기 본체(10)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도어(100)와 상기 외부 도어(20)의 사이에도 가스켓과 같은 실링 부재(27)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0(c), the
도 20(b)와 도 20(c)에 도시된 형태는 도 20(a)에 도시된 형태에서 실링 부재(27)가 추가로 구비되는 형태이다. 20(b) and 20(c) is a form in which a sealing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2: 가이드부
16: 가이드 핀 20: 외부 도어
26: 가스켓 40: 제1힌지
50: 프레임 52: 저장부
100: 내부 도어 110: 바디
130: 커버 200: 제2힌지
500: 고정 장치 510: 홀더
540: 탄성 부재 600: 래치10: main body 12: guide portion
16: guide pin 20: outer door
26: gasket 40: first hinge
50: frame 52: storage unit
100: inner door 110: body
130: cover 200: second hinge
500: fixing device 510: holder
540: elastic member 600: latch
Claims (17)
상기 본체에 제1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외부 도어;
제2힌지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내부 도어;
상기 저장실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내부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고정 장치; 및
상기 내부 도어 및 상기 외부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도어와 상기 외부 도어를 선택적으로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하는 래치;를 포함하며,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홀더, 상기 홀더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 상기 홀더를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시키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수용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 부재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A main body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An external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by a first hing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by a second hinge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hamber;
A guide part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torage chamber;
A fixing device provided on the inner door and selectively coupled or disengaged with the guide portion; And
A latch installed on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to selectively couple or release the inner door and the outer door, wherein the fixing device,
A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art, a first guide member guiding a linear motion of the holder, and a second guide member rotating the holder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member,
The holder,
A recessed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to receive the guide portio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toward both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guide member in a linear reciprocating manner.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함몰부보다 상기 저장실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함몰부보다 상기 저장실에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rotrusion is disposed relatively closer to the storage chamber than the depressio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relatively far from the storage chamber than the recessed portion.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짧게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shorter than the second protrusion.
상기 제1가이드 부재는
상기 홀더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결합 돌기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guide member
A coupl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holder to be rotatable, and
Refrigerator comprising a guide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trusion and guid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상기 제2가이드 부재는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결합 돌기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guide memb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Wherein the elastic member supports the holder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의 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devic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door.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를 중심으로 상기 외부 도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device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er door around the inner door.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면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지 않으면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uide part, the inner door is fixed to the body,
When the fixing device is not coupled with the guide portion, the inner door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홀더에 의해서 감싸지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핀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part,
Including a guide pin wrapped by the holder,
The guide pin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외부 도어에 장착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에 접촉해서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
A gasket mounted on the outer door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main body to seal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외부 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면 상기 내부 도어는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본체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실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method of claim 12,
When the outer door seals the storage compartment, the inner doo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gasket contacts the main body to seal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감싸는 홀더, 상기 홀더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 부재, 상기 홀더를 상기 제1가이드 부재에 대해서 회전 운동시키는 제2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수용되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 부재 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장치는 냉장고의 외부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함몰부가 상기 저장실 반대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도어를 상기 저장실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홀더와 상기 가이드부가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In the fixing device selectively coupled or disengaged to a guide portion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And a holder surrounding one side of the guide part, a first guide member guiding a linear motion of the holder, and a second guide member rotating the holder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member,
The holder,
A recessed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to receive the guide portion,
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vided to protrude to both sides around the depression,
It is coupled to enable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 the first guide member,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on an inner door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holder is a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and the guide portion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hen rotating the inner door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a state in which the recessed portion fac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내부 도어의 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14,
Th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door.
상기 제1가이드 부재는
상기 홀더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결합 돌기를 수용하고, 상기 결합 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guide member
A coupl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holder to be rotatable, and
A fixing device including a guide groove for receiving the coupling protrusion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상기 제2가이드 부재는 상기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결합 돌기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홀더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The method of claim 16,
The second guide memb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holder,
The elastic member is a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orting the holder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51452A KR102206239B1 (en) | 2013-12-06 | 2013-12-06 |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51452A KR102206239B1 (en) | 2013-12-06 | 2013-12-06 |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66195A KR20150066195A (en) | 2015-06-16 |
| KR102206239B1 true KR102206239B1 (en) | 2021-01-22 |
Family
ID=535146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51452A Active KR102206239B1 (en) | 2013-12-06 | 2013-12-06 |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0623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37380B1 (en) * | 2015-12-18 | 2022-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3142682U (en) * | 1987-03-09 | 1988-09-20 | ||
| KR101424554B1 (en) * | 2007-01-23 | 2014-07-3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A bidirectional door unit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KR101952679B1 (en) * | 2012-01-27 | 2019-05-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ub-storage chamber |
-
2013
- 2013-12-06 KR KR1020130151452A patent/KR10220623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66195A (en) | 2015-06-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45373B1 (en) | Refrigerator | |
| US8857865B2 (en) |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KR102245371B1 (en) | 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KR101490184B1 (en) | Refrigerator | |
| KR102229980B1 (en) | Refrigerator | |
| KR102206239B1 (en) |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KR102078368B1 (en) |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US20240191933A1 (en) | Refrigerator | |
| KR102078369B1 (en) | Coupl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KR101988306B1 (en) | Refrigerator | |
| KR101988307B1 (en) | Refrigerator | |
| KR20130087324A (en) | Refrigerator | |
| KR20200120053A (en) | Refrigerator | |
| KR20130087321A (en) | Refrigerator | |
| KR20130087323A (en) | Refrigerator | |
| KR20130087316A (en) | A latch device,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and the supporting device including the latch device | |
| KR20130087319A (en)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1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