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673B1 -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 Google Patents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02673B1 KR102202673B1 KR1020200048720A KR20200048720A KR102202673B1 KR 102202673 B1 KR102202673 B1 KR 102202673B1 KR 1020200048720 A KR1020200048720 A KR 1020200048720A KR 20200048720 A KR20200048720 A KR 20200048720A KR 102202673 B1 KR102202673 B1 KR 1022026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disinfectant
- handle
- head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터치부에 덮개부를 결합이나 배출 시 터치부의 표면과 터치봉 집 내부에 소독액이 도포되어 터치부 전체 및 터치봉 집 내부 전체를 소독하고, 문고리, 레버와 같은 각종 손잡이를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없이 조작할 수 있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and in detail, when a cover part is combined or discharged to a touch part, a disinfectan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part and the inside of the touch bar house to disinfect the entire touch part and the entire interior of the touch bar house. This is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with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which can be operat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such as doorknobs and levers. About.
사스, 메르스를 거쳐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각종 질병 전염 문제가 인류의 삶과 정치경제를 위협하는 화두로 떠올랐다.After passing through SARS and MERS, the issue of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due to the coronavirus has emerged as a topic threatening human life and political economy.
손 씻기, 마스크 쓰기 등 전염병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은 자신의 생명을 지키고 질병 전염을 예방하여 타인의 생명 또한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수칙 중 하나다.Observing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rules such as washing hands and wearing a mas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ules to protect the lives of others by protecting one's own life and preventing disease transmission.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플라스틱 표면이나 스테인레스 등 금속표면에 최대 3일간 죽지 않고 묻어 있을 수 있고 공기 중에 비말 형태로 떠 있는 경우 30분 체류가 가능하며 감염자로부터 최대 4m 가까이 이상 떨어져 있어야 안전하다는 보도도 있었다.In the case of coronavirus, it can be buried on metal surfaces such as plastic or stainless steel for up to 3 days without dying, and if it is floating in the air in the form of droplets, it is possible to stay for 30 minutes, and there have been reports that it is safe to be at least 4 m away from the infected person.
따라서 공용으로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버튼, 터치식 자동문 버튼, ATM 버튼, 스마트 폰, 도어락 버튼 등을 포함한 각종 버튼이나, 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 등 각종 손잡이를 손으로 직접 터치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이제 전염병 예방 및 퇴치에 있어 필수적인 공지의 사실이 되었다.Therefore, do not directly touch various buttons, including elevator buttons, touch-type automatic door buttons, ATM buttons, smart phones, and door lock buttons, or handles such as faucets, toilet levers, door handles, door lock handles, and public transport handles. It has now become an essential known fact in preventing and combating infectious diseases.
단지 코로나 바이러스 문제뿐만 아니라, 수구족병, 감기, 피부병을 포함하는 각종 질병 예방에 있어서도 버튼이나, 손잡이의 터치는 극히 주의해야 할 사안이다.Not only the coronavirus problem, but also in the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hand and foot disease, cold, and skin disease, the touch of a button or a handle is an issue to be extremely careful.
손을 통한 버튼이나 손잡이의 직접적인 터치를 회피하여 바이러스 예방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버튼 등의 터치를 위해서는 특정한 터치 기구가 필요하다.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viruses by avoiding direct touch of a button or handle through a hand, a specific touch mechanism is required for touching a button or the like.
최근에 나무젓가락을 분질러 엘리베이터에 앞에 비치한 사업장도 나왔다.Recently, a business site with wooden chopsticks in front of the elevator came out.
물론, 플라스틱 봉이나 열쇠 등으로도 터치할 수 있다.Of course, you can also touch it with a plastic stick or key.
그러나 한번 터치한 터치기구를 주머니에 넣을 수는 없고, 일상생활에서 터치 후 터치기구를 즉시 버리기 어렵다.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put the touch device once touched in the pocket, and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discard the touch device after the touch in everyday life.
하루에도 엘리베이터 버튼, 수도꼭지 레버, 변기 레버, ATM기 터치화면, 전철 매표자판기 버튼, 음료 자판기 버튼, 식당 자판기 버튼, 벽면 전원 스위치 등 각종 전원 스위치, 공용 PC 키보드, 아파트 현관 출입 버튼, 터치식 자동 출입문 레버, 디지털 도어락 버튼 등 많은 버튼이나 도어락 손잡이, 대형 현관 손잡이, 방 문고리, 화장실 문고리 등을 반복적으로 우리는 터치하고 있기 때문이다.Every day, various power switches such as elevator button, faucet lever, toilet lever, ATM machine touch screen, train ticket vending machine button, drink vending machine button, restaurant vending machine button, wall power switch, common PC keyboard, apartment entrance access button, automatic touch door This is because we are repeatedly touching many buttons such as levers and digital door lock buttons, door lock handles, large door handles, room door handles, and toilet door handles.
생각해보면 우리가 사는 세상은 버튼, 레버, 문고리, 꼭지, 스위치, 손잡이 등으로 가득 차 있어 우리의 손은 항상 그것들을 터치하고 있고, 그것이 우리의 삶이다.If you think about it, the world we live in is full of buttons, levers, knockers, faucets, switches, handles, etc. Our hands are always touching them, and that is our life.
또한 변기 좌판이나 뚜껑 들어 올리고 내리기 등은 전염병 감염 예방을 위하여 중요하며 이는 전염병을 떠나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겪는 위생상 불편함이다. Also Lifting and lowering the toilet seat or lid is important to prevent infection from infectious diseases, which is a hygiene inconvenience that we experience in our daily life away from infectious diseases.
한편, 버스나 전철 등 천정 방향에 매달려 있는 안전 고리 및 안전 봉, 의자 손잡이 등은 역시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감염 위험요소이다. On the other hand, safety hooks, safety rods, and chair handles hanging from the ceiling, such as buses and trains, are also risk factors that are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73324호인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meet these needs, a multifunctional electrostatic touch pen, which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73324, is disclos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100)은 제 1뚜껑(110), 닙 바 홀더(120), 닙바(130), 몸체(140), 카트리지(150) 및 제2뚜껑(160)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 and 2, the multifunctional
몸체(140)와 카트리지(150)는 도체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100)을 맨손으로 잡았을 때, 사용자 몸의 정전기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100)을 통해 터치스크린 패널에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The
제 1뚜껑(110)은 몸체(140)의 일단 즉 닙 바 홀더(120) 및 닙 바(130)를 덮어, 카트리지(150)로부터 닙 바(130)에 전달되는 다기능 액체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기능 액체로는 물, 세정제 및 소독제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혼합한 것이다.The
닙 바 홀더(120)는 일단의 외면에 형성된 제 1나사산(122)을 이용하여 몸체(140)의 일 단에 결합하며, 반대 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드(tapered) 형태의 몸체(121)를 가진다.The
닙 바(130)는 닙 바 홀더(120)의 비어 있는 내부에 장착되며, 일 단은 닙 바 홀더의 반대 단으로 돌출되며, 반대 단은 카트리지(150)에 삽입되고, 양쪽 끝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고, 상술한 다기능 액체의 일정량을 접촉 면으로 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몸체(140)는 내부가 비어 있어 후술하는 카트리지(150)가 장착되며, 일 단의 내면에 형성된 제 2나사산(142)이 닙 바 홀더(120)를 구성하는 제 1나사산(122)과 체결되며, 반대 단의 내면에 형성된 제3 나사산(143)으로 후술하는 제 2뚜껑(160)이 체결되도록 한다. 몸체(140)의 외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충전량 확인용 윈도우(144)가 설치되어 있다.The
카트리지(150)는 상술한 다기능 액체를 담고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일 단에 닙 바 삽입 홀(152)이 형성된 카트리지 바디(151), 카트리지 바디(151)의 내부에는 충전 표시패널(153), 밸브 유닛(154) 및 공기유출 제어유닛(155)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The
제 2뚜껑(160)은 일단의 외부에 형성된 제 4나사산(161)을 이용하여 몸체(140)의 제 3나사산(143)과 체결되어, 몸체(140)의 내부에 장착된 카트리지(150)가 몸체(14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방지한다.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은 닙 바를 통해 액체를 조금씩 배출하여 정전방식의 터치펜의 고유 기능 이외에 터치펜의 사용 시 터치스크린의 이물질이나 대장균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물, 세정제 또는 소독제를 터치스크린의 표면에 방출하도록 하는 데, 터치펜 자체를 소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더욱이 펜 형태로 형성되어 많은 힘을 가하는 경우 파손의 위험이 있어 레버나 손잡이 등을 직접 움직이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multi-functional capacitive touch pen discharges liquid little by little through a nip bar, and in addition to the inherent functions of the capacitive touch pen, water, detergent or disinfectant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r E. coli from the touch screen when the touch pen is used. Is releas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uch pen itself cannot be disinfected,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when a large force is applied because it is formed in a pen shape, making it difficult to move the lever or handle directly. have.
특히 상가, 아파트, 빌딩, 기관, 기업, 사무실, 창고 등에는 대형 출입문이 항상 존재하고, 여기에 달린 손잡이는 밀고 당기는 방식이며, 상당한 힘을 가하여야 열리고 닫히므로 터치펜으로는 사용이 불가하거나 힘들다.In particular, large entrance doors always exist in shopping centers, apartments, buildings, institutions, companies, offices, warehouses, etc., and the handles attached to them are push-pull and open and close with considerable force, making it impossible or difficult to use with a touch pen. .
또한 이러한 손잡이들은 굵기가 굵고, 원형이 대부분이며, 스테인레스 등 매끄러운 금속으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라 터치펜으로 이를 밀기가 어렵고, 당기기는 더욱 어렵다. 현관문 정도의 어려움은 아닐지라도 사무실이나 방 문고리, 화장실 문고리, 일부 변기 레버, 일부 수도꼭지 레버 등도 터치펜으로는 사용이 원활치 않다.In addition, these handles are thick and round, and most are made of smooth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making it difficult to push and pull them with a touch pen. Although not as difficult as the front door, office or room door handles, toilet door handles, some toilet levers, and some faucet levers are also not easy to use with a touch pen.
만일 버튼 등의 터치만 가능하고, 문고리 당기기나 밀기 등이 어렵다면 우리는 하루에도 수 차레 출입문, 현관문, 화장실 문, 변기 레버 등 각종 레버, 손잡이와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전염방 예방에서 사실상 무방비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If only the touch of a button is possible, and it is difficult to pull or push a doorknob, we have to contact various levers and handles such as door, front door, toilet door, toilet lever several times a day. There is an exposed problem.
또한, 엘리베이터와 같은 버튼부에 구리 재질의 항균 필름이 전면에 부착되는 데,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항균 필름에서도 4시간 이상 생존할 수 있어 항균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n antibacterial film made of copper is attached to the front of a button portion such as an elevator. In the case of the corona virus, the antibacterial film can survive for 4 hours or more, thereby reducing the antibacterial 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부에 덮개부를 결합이나 배출 시 터치부의 표면과 터치봉 집 내부에 소독액이 도포되어 터치부 전체 및 터치봉 집 내부 전체를 소독하고, 문고리, 레버와 같은 각종 손잡이를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없이 조작할 수 있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cover part is combined or discharged to the touch part, a disinfectan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part and the inside of the touch bar house to disinfect the entire touch part and the entire interior of the touch bar house, and Provides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that has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which allows various handles such as levers to be operat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thereby minimizing infection by viruses.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덮개부와 터치부에 선택적으로 소독액을 저장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고, 덮개부에 터치부를 결합시 나사 방식이나 압입 방식에 의해 내부를 밀폐시켜 터치부의 소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소독액이 증발되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store the disinfectant solution on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When the touch part is coupled to the cover part, the interior is sealed by a screw method or a press-fitting method to increase the disinfection effect of the touch par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which can prevent the disinfectant from evaporating or leaking.
또, 본 발명은 소독액을 충전하거나 카트리지 형태로 교체할 수 있어 손쉽게 소독액을 보충할 수 있고, 터치부나 덮개부에 소독액 분사부를 형성하여 내부의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시켜 터치부 및 덮개부의 표면이나 손, 소독하고자 하는 물체를 소독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fectant can be easily replenished because the disinfectant can be filled or replac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and a disinfectant spraying part is formed on the touch part or the cover to eject the internal disinfectant to the outsid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which enables disinfection of objects to be disinfected.
또, 본 발명은 덮개부가 결합된 터치부가 수납부에서 누름 스위치 조작에 따라 탄성 힌지가 동작되어 터치부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which makes it easy to carry and store by operating an elastic hing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a push switch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touch part coupled to the cover part to rotate the touch part.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또, 본 발명은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덮개부와 터치부에 각각 터치봉과 터치봉 집을 밀폐 결합부에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용기로 덮개부와 터치부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덮개부나 터치부에 각각 별도의 뚜껑을 결합할 수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며, 덮개부와 터치부에 각각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mmon with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s a single container by separately combining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house to the sealing coupling part, respectively, to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Contag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that improves assembly and allows separate lids to be attached to the cover or touch part, respectively, to increase portability, and to easily fill and use disinfectant solutions on the cover and touch part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손잡이 몸체의 상단에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터치봉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기억자 형태로 형성되는 터치부와;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삽입 결합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 집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uch unit having a head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and a touch bar formed so as to face the front from the head to form a memory shape as a whole; A disinfectant is stored therein, and a touch bar house in which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nd at least on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touch bar house, so that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into the touch bar house. A cover for disinfecting the surface of the head and the touch rod and the interior of the touch rod house by applying the disinfectant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by friction or pressure when discharged or discharged; And a sealing coupling portion that is sea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a screw method or a press-fitting method.
여기에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house ar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or the touch portion, or the cover portion and the touch portion.
여기에서 또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별도로 결합 시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house are coupled to the hermetic coupling portion when separately coupled.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봉은 이중 밀폐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중 밀폐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각각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is coupled to the sealing coupling portion by a double sealing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double sealing coupling portion, respectively.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에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봉의 표면과, 상기 헤드의 전면 일측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구비되고, 버튼, 스위치 및 터치 스크린과 접촉되는 상기 터치봉의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Here, the touch unit prevents slipping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 handle including a faucet, a toilet lever, a doorknob, a door lock handle, and a public transport handle, and prevents slipping on the surface of the touch bar and one front side of the head to enable touch. A member is provided,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 carbo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on a contact surface of the touch rod in contact with the button, switch and the touch screen.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봉으로 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터치봉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손잡이 본체에 보조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가 승하강 및 절첩된다.Here, the touch unit installs an auxiliary support on the handl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rod so that the touch rod can hold and rotate a handle including a faucet, a toilet lever, a door handle, a door lock handle, and a public transport handle, and , The auxiliary support is raised and lowered and folded.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상기 손잡이 본체에서 상기 헤드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에 상기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되고 회전되어 돌출된다.Here, the touch portion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hinged to the handle body and the cover portion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rotates and protrudes.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고, 복수개가 형성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Here,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have a size in which the disinfectant is form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rranged in either form.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 또는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된다.Here,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re further provided with an impregnating member impregnated with the disinfectant discharged by friction or pressure, or a valve-typ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가 더 구비된다.Here, a disinfectant spraying part for spraying the stored disinfectant to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in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가 구비된다.Here,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r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for checking the filling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and a charging port for fill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된다.Here,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re formed so that the disinfectant cartridge can be inserted and discharg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nd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disinfectant cartridge A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to check the amount of fillin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손잡이 몸체의 상단에 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터치봉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기억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와 터치봉에 각각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는 터치부와;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삽입 결합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infectant is stored inside, a hea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handle body, and a touch bar is formed to face the front from the head to form a memory shape as a whole, and at least on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head and the touch bar. A touch unit to be used; A touch bar house in which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nd when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or discharged into the touch bar house, the disinfecta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by friction or pressure is transferred to the head. And a cover par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rod to disinfect the surface of the head and the touch rod and the interior of the touch rod house; And a sealing coupling portion that is sea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a screw method or a press-fitting method.
여기에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house ar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or the touch portion, or the cover portion and the touch portion.
여기에서 또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별도로 결합 시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house are coupled to the hermetic coupling portion when separately coupled.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봉은 이중 밀폐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중 밀폐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각각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is coupled to the sealing coupling portion by a double sealing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double sealing coupling portion, respectively.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에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봉의 표면과, 상기 헤드의 전면 일측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구비되고, 버튼이나 스위치와 접촉되는 상기 터치봉의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Here, the touch unit prevents slipping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 handle including a faucet, a toilet lever, a doorknob, a door lock handle, and a public transport handle, and prevents slipping on the surface of the touch bar and one front side of the head to enable touch. A member is provided,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 carbo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on a contact surface of the touch rod in contact with a button or switch.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봉으로 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터치봉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손잡이 본체에 보조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가 승하강 및 절첩된다.Here, the touch unit installs an auxiliary support on the handl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rod so that the touch rod can hold and rotate a handle including a faucet, a toilet lever, a door handle, a door lock handle, and a public transport handle, and , The auxiliary support is raised and lowered and folded.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상기 손잡이 본체에서 상기 헤드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에 상기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되고 회전되어 돌출된다.Here, the touch portion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hinged to the handle body and the cover portion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rotates and protrudes.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고, 복수개가 형성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Here,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have a size in which the disinfectant is form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rranged in either form.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 또는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된다.Here,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re further provided with an impregnating member impregnated with the disinfectant discharged by friction or pressure, or a valve-typ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가 더 구비된다.Here, a disinfectant spraying part for spraying the stored disinfectant to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in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가 구비된다.Here,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r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for checking the filling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and a charging port for fill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된다.Here,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re formed so that the disinfectant cartridge can be inserted and discharg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nd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disinfectant cartridge A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to check the amount of fill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손잡이 몸체의 상단에 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터치봉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기억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와 터치봉에 각각 1개 이상의 제 1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는 터치부와;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삽입 결합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 집에 1개 이상의 제 2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infectant is stored inside, a hea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handle body, and a touch bar is formed to face the front from the head to form a memory shape as a whole, and at least one first disinfectant is discharged to the head and the touch bar, respectively. A touch part in which a ball is formed; A disinfectant is stored therein, and a touch bar house into which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nd at least one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touch bar house, so that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connected to the touch bar. A cover for disinfecting the surface of the head and the touch rod and the interior of the touch rod house by applying the disinfectant liquid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by friction or pressure when inserted or discharged into the surface of the head and the touch rod; And a sealing coupling portion that is sea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a screw method or a press-fitting method.
여기에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house ar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or the touch portion, or the cover portion and the touch portion.
여기에서 또한,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별도로 결합 시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house are coupled to the hermetic coupling portion when separately coupled.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봉은 이중 밀폐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중 밀폐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각각 결합된다.Here, the touch rod is coupled to the sealing coupling portion by a double sealing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double sealing coupling portion, respectively.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부는,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에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봉의 표면과, 상기 헤드의 전면 일측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구비되고, 버튼, 스위치 및 터치 스크린과 접촉되는 상기 터치봉의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Here, the touch unit may include a faucet, a toilet lever, a doorknob, a door lock handle, and a handle including a public transport handle to prevent slipping when contacting the handle, and to enable the touch, the surface of the touch rod and the front of the head A non-slip member is provided on one side, and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 carbo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on a contact surface of the touch rod in contact with the button, switch and the touch screen.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봉으로 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터치봉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손잡이 본체에 보조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가 승하강 및 절첩된다.Here, the touch unit installs an auxiliary support on the handl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rod so that the touch rod can hold and rotate a handle including a faucet, a toilet lever, a door handle, a door lock handle, and a public transport handle, and , The auxiliary support is raised and lowered and folded.
여기에서 또, 상기 터치부는 상기 손잡이 본체에서 상기 헤드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에 상기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되고 회전되어 돌출된다.Here, the touch portion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hinged to the handle body and the cover portion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rotates and protrudes.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고, 복수개가 형성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Here,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have a size in which the disinfectant is form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rranged in either form.
여기에서 또,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 또는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된다.Here,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re further provided with an impregnating member impregnated with the disinfectant discharged by friction or pressure, or a valve-type control device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가 더 구비된다.Here, a disinfectant spraying part for spraying the stored disinfectant to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in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가 구비된다.Here,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re provided with a transparent window for checking the filling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and a charging port for fill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된다.Here,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re formed so that the disinfectant cartridge can be inserted and discharg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nd the disinfectant solution in the disinfectant cartridge A transparent window is provided to check the amount of filling.
여기에서 또,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동종의 소독액을 저장하거나 또는 이종의 소독액을 각각 저장한다.Here,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store the same type of disinfectant or different types of disinfectant,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따르면, 터치부에 덮개부를 결합이나 배출 시 터치부의 표면과 터치봉 집 내부에 소독액이 도포되어 터치부 전체 및 터치봉 집 내부 전체를 소독하고, 문고리, 레버와 같은 각종 손잡이를 신체와 직접적인 접촉없이 조작할 수 있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of the present inventor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disinfectant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touch unit and the interior of the touch bar house when the cover unit is combined or discharged to the touch unit It is applied to disinfect the entire touch unit and the entire interior of the house with the touch bar, and various handles such as doorknobs and levers can be operat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thereby minimizing infection by viru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와 터치부에 선택적으로 소독액을 저장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고, 덮개부에 터치부를 결합시 나사 방식이나 압입 방식에 의해 내부를 밀폐시켜 터치부의 소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소독액이 증발되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fectant can be selectively stored in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When the touch part is coupled to the cover part, the interior is sealed by a screw method or a press-fitting method to increase the disinfection effect of the touch part. And prevent the disinfectant from evaporating or spilling out.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액을 충전하거나 카트리지 형태로 교체할 수 있어 손쉽게 소독액을 보충할 수 있고, 터치부나 덮개부에 소독액 분사부를 형성하여 내부의 소독액을 외부로 분출시켜 터치부 및 덮개부의 표면이나 손, 소독하고자 하는 물체를 소독하여 교차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infectant can be easily replenished because the disinfectant can be filled or replac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and a disinfectant spraying part is formed on the touch part or the cover to eject the internal disinfectant to the outside. Cross-infection can be eliminated by disinfecting hands and objects to be disinfecte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가 결합된 터치부가 수납부에서 누름 스위치 조작에 따라 탄성 힌지가 동작되어 터치부를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rt to which the cover part is coupled is operated by an elastic hinge to rotate the touch par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sh switch in the receiving part,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thus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daily life,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덮개부와 터치부에 각각 터치봉과 터치봉 집을 밀폐 결합부에 별도로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용기로 덮개부와 터치부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덮개부나 터치부에 각각 별도의 뚜껑을 결합할 수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며, 덮개부와 터치부에 각각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respectively, by separately combining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house into the hermetic coupling part, can be used in common with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s a single container.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ssembling property, it is possible to combine a separate lid for each of the cover portion or the touch por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portability, and the cover portion and the touch portion can be easily filled with a disinfectant solution.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터치부가 수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소독액 분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함침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밸브형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소독액 카트리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ultifunctional capacitive touch pe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uch unit of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receiving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infectant spraying unit of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pregnation member of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lve-type control device of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infectant cartridge installed in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13.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15.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17.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제 1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터치부가 수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소독액 분사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함침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밸브형 조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에 소독액 카트리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arti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uch unit of the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infectant spraying unit of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pregnating member of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8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cross-sectional enlarg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lve-type control device of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nd FIG. 9 is a vir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infectant cartridge installed in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터치부(10), 덮개부(20) 및 밀폐 결합부(30)로 구성된다.4 to 9, a handle type portable
먼저, 터치부(10)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 몸체(11)의 상단에 헤드(13)가 구비되고, 헤드의 전면에 직선 형태의 터치봉(15)이 형성된다. 이때, 헤드(13)는 터치봉(15)으로 수도, 변기, 도어, 도어락, 대중 교통 등의 손잡이를 잡을 시 터치봉(15)이 손잡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치봉(15) 설치 부위 하단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미끄럼 방지 패드(P)가 구비되고, 터치봉(15)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버튼이나 스위치 등에 접촉하는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되는 합성수지 재질, 카본 재질,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잡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미끄럼 방지 패드(P)가 결합된다. 또, 손잡이 몸체(11)는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막대형이나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캐릭터 형상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First, the
그리고, 헤드(13)와 터치봉(15)이 직선형 기억자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곡선형으로 형성되면 상이한 크기 및 원형 사각형의 손잡이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커져 전체 길이가 매우 길어야 하고, 크기가 커지면 손잡이 뒤에 위치한 유리와 접촉할 가능성이 커지며 휴대가 불편해지기 때문이고,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손잡이에 걸어 당기기와 빼내기가 편리하고, 손잡이가 원통형이거나 사각형일 경우를 막론하고 접촉 면적이 넓어져 손잡이를 당기기가 쉬우며 원통형 손잡이 역시 반지름의 절반을 넘어서는 부위에만 터치봉(15)이 걸쳐지면 되므로 터치봉(15)의 길이가 짧아져 주머니 속 휴대가 용이하다. 즉,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터치봉(15)으로도 상이한 굵기의 손잡이에 모두 거치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봉(15)의 정면으로는 각종 버튼을 눌러 조작하기도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덮개부(20)는 터치부(10)의 전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내부에 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과 같은 소독액이 저장되고,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21)이 형성되며, 터치봉 집(21)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A)이 형성되어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터치봉 집(2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에 도포시켜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 및 터치봉 집(21) 내부를 동시에 소독한다. 이때, 터치봉 집(21)은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삽입 및 배출 시 마찰되는 직경을 가지거나 헤드(13)와 터치봉(1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 데, 마찰되는 경우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이 마찰력에 의해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고, 헤드(13)와 터치봉(1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경우 외력(삽입/배출 압력, 보행 충격)에 의해 터치봉 집(21)에 소독액이 낙하되거나 물방울 형태의 소독액과 접촉되면서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덮개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B)가 더 구비되는 데, 소독액 분사부(B)는 뚜껑이 구비된 배출구, 디스펜서나 분사 노즐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덮개부(20)를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면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을 통해 낙하되어 사용자 신체, 물체의 표면 등 원하는 부분의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 덮개부(20)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I)가 구비된다. 이때, 투명창(W)은 전체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실시 예로, 덮개부(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 배출공(A)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C)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소독액 카트리지(C)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카트리지(C)의 투명창(W)과 대응되는 위치에 덮개부(20) 역시 투명창(W)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그리고,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가 형성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 증발이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터치봉 집(21), 헤드(13) 및 터치봉(15)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A) has a size in which the disinfectant is condens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nd when a plurality of disinfectants are formed, the disinfectant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horizontal line shape, a vertical line shape, a diagonal line shape, a curved shape, a crosshair shape, and a circular line shape. Is plac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1 to 3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 are formed in order to minimize disinfectant evaporation or leakage, depending on the size or shape of the
또, 소독액 배출공(A)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D)가 구비되어 마찰, 압력,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함침시켜 헤드(13) 및 터치봉(15)과 접촉되면 소독시킬 수 있다. 이때, 함침 부재(D)는 소독액 배출공(A)의 배출 측에 거즈나 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소독액을 소량 머금어 배출하지 않은 채 헤드(13)와 터치봉(15)이 터치봉 집(21) 내부로 삽입될 시 발생되는 압력이나 마찰 또는 사용자의 외력 등이 있을 때만 소독액 배출공(A)에서 소독액을 배출하여 함침 부재(D)에 소독액이 함침되어 헤드(13)와 터치봉(15)에 묻게끔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평상시 유출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고, 외력이 발생 시에만 함침 부재(D)로 소독액이 배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A) is provided with an impregnating member (D) into which the disinfectant discharged is impregnated as shown in FIG. 7 to impregnate the disinfectant discharged by friction, pressure, and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the
다른 실시 예로 소독액 배출공(A)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밸브형 조절 장치(E)는 소독액 배출공(A)에 나사 결합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좌우로 회전시키면 배출 유로(E1)의 크기가 조절되면서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봉 집(21) 내부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소독액을 배출하여 헤드(13)와 터치봉(15)을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A)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valve-type control device (E) to adjus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as shown in FIG. 8, the valve-type control device (E) is a disinfectant discharge hole It is screwed to (A), and when the user rotates it from the outside to the left or right, the size of the discharge flow path E1 is adjusted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That is, it can be used when the user wants to disinfect the
계속해서, 밀폐 결합부(30)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시키는 데, 도면에서는 돌기(31)와 홈(3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압입 방식을 도시하였고, 실링을 위해 오링(3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폐 결합부(30)에 의해 소독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머니, 가방 등에 넣거나 빼는 동작이나 걷거나 움직이는 동작 등에 의해 외력이 발생하면 소독액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낙하되어 헤드(13)와 터치봉(15) 표면에 얇은 막 형태로 흘러 도포되거나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으로 소량 낙하되어 고이게 되고, 터치봉 집(21)에 고인 소독액이 다시 터치봉 집(21) 표면과 헤드(13)와 터치봉(15) 표면을 고루 적시는 순환 소독과정이 반복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sealing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덮개부(20)에 헤드(13)와 터치봉(15)이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독액의 외부 유출이나 증발로 인한 소모가 방지되고, 덮개부(20)를 분리 후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덮개부(20)를 재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자동 소독, 완전 소독(멸균), 지속적인 소독이 가능하며 소독액 낭비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을 위해 덮개부(20)에서 헤드(13)와 터치봉(15)을 빼내면 소독액 배출공(A)에는 미세한 이슬방울 형태로 소독액이 다시 맺히고 흔들지 않는 한 흘러내리지 않아 소독액 소모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소독액이 저장되는 덮개부(20)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소형으로도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부(20)의 부피가 작아지므로 전체 부피를 줄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더욱이 수납부(40) 내로 터치부(10)의 헤드(13)와 덮개부(2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접어 넣어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도 소형으로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when not in use,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10)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90°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40)가 구비된다. 이때, 힌지 결합 구조는 자동차 스마트 키의 키 수납 구조와 같은 통상의 구조로 탄성 힌지(41)와 버튼(43)을 구비한다. 이때, 수납부(40)가 터치부(10)를 180°회전시켜 터치 버튼을 접촉할 수 있는 일자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수납부(40)를 손잡이 몸체(11)에 공간으로 형성하여 공간에 헤드(13)를 수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type portable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필요에 따라 내장 배터리를 구비하여 LED로 빛을 발생하거나, USB가 내장될 수도 있으며, 자외선 LED가 구비되어 자외선으로 소독을 수행할 수 있고, LCD 및 각종 제어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LCD 및 각종 제어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고, 손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의 비치없이도 자체 전원으로 스크린 터치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type portable
《제 2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터치부(10), 덮개부(20) 및 밀폐 결합부(3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0, a handle-type portable
먼저, 제 2실시 예는 제 1실시 예와 반대로 터치부(10)에 소독액이 저장되는 방식이고, 덮개부(20)는 헤드(13)와 터치봉(15)을 감쌀 수 있는 부피로 형성되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second embodiment, contrar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isinfectant is stored in the
터치부(10)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 몸체(11)의 상단에 헤드(13)가 구비되고, 헤드의 전면에 직선 형태의 터치봉(15)이 형성된다. 이때, 헤드(13)는 터치봉(15)으로 수도, 변기, 도어, 도어락, 대중 교통 등의 손잡이를 잡을 시 터치봉(15)이 손잡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치봉(15) 설치 부위 하단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미끄럼 방지 패드(P)가 구비되고, 터치봉(15)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버튼이나 스위치 등과 접촉하는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되는 합성수지 재질, 카본 재질,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잡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미끄럼 방지 패드(P)가 결합된다. 또, 손잡이 몸체(11)는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캐릭터 형상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The
그리고, 헤드(13)와 터치봉(15)이 직선형 기억자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곡선형으로 형성되면 상이한 크기 및 원형 사각형의 손잡이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커져 전체 길이가 매우 길어야 하고, 크기가 커지면 손잡이 뒤에 위치한 유리와 접촉할 가능성이 커지며 휴대가 불편해지기 때문이고,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손잡이에 걸어 당기기와 빼내기가 편리하고, 손잡이가 원통형이거나 사각형일 경우를 막론하고 접촉 면적이 넓어져 손잡이를 당기기가 쉬우며 원통형 손잡이 역시 반지름의 절반을 넘어서는 부위에만 터치봉(15)이 걸쳐지면 되므로 터치봉(15)의 길이가 짧아져 주머니 속 휴대가 용이하다. 즉,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터치봉(15)으로도 상이한 굵기의 손잡이에 모두 거치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봉(15)의 정면으로는 각종 버튼을 눌러 조작하기도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터치부(10)는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헤드(13)와 터치봉(15)의 외측에 각각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A)이 형성되어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덮개부(20)의 터치봉 집(2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이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과 터치봉 집(21) 내부에 도포시켜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 및 터치봉 집(21) 내부를 동시에 소독한다.In addition, the
또한, 터치부(10)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B)가 더 구비되는 데, 소독액 분사부(B)는 뚜껑이 구비된 배출구, 디스펜서나 분사 노즐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터치부(10)를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면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소독액이 헤드(13)와 터치봉(15)을 통해 낙하되어 사용자 신체, 물체의 표면 등 원하는 부분의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 터치부(10)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I)가 구비된다. 이때, 투명창(W)은 전체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실시 예로, 터치부(10)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소독액 배출공(A)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C)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카트리지(C)의 투명창(W)과 대응되는 위치에 터치부(10) 역시 투명창(W)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그리고,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가 형성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 증발이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헤드(13) 및 터치봉(15)과 덮개부(20)의 터치봉 집(21)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A) has a size in which the disinfectant is condens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nd when a plurality of disinfectants are formed, the disinfectant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horizontal line shape, a vertical line shape, a diagonal line shape, a curved shape, a crosshair shape, and a circular line shape. Is plac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1 to 3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 are formed to minimize disinfectant evaporation or leakage, and the
또, 소독액 배출공(A)에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D)가 구비되어 마찰, 압력,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함침시켜 헤드(13)와 터치봉(15)과 접촉되면 소독시킬 수 있다. 이때, 함침 부재(D)는 터치봉 집(21)의 내측에 거즈나 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소독액을 소량 머금어 배출하지 않은 채 헤드(13)와 터치봉(15)이 터치봉 집(21) 내부로 삽입될 시 발생되는 압력이나 마찰 또는 사용자의 외력 등이 있을 때만 소독액 배출공(A)에서 소독액을 배출하여 함침 부재(D)에 소독액이 함침되어 터치봉(13)에 묻게끔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평상시 미유출되는 직경을 가지고, 외력이 발생 시에만 함침 부재(D)로 소독액이 배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A) is provided with an impregnating member (D) in which the disinfectant is impregna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다른 실시 예로 소독액 배출공(A)에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밸브형 조절 장치(E)는 소독액 배출공(A)에 나사 결합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좌우로 회전시키면 배출 유로(E1)의 크기가 조절되면서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봉 집(21) 내부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소독액을 배출하여 헤드(13)와 터치봉(15)을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A)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valve-type control device (E) so as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valve-type control device (E) is a disinfectant discharge hole ( It is screwed to A), and when the user rotates it from the outside to the left or right, the size of the discharge passage E1 is adjusted an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is adjusted. That is, it can be used when the user wants to disinfect the
이어서, 덮개부(20)는 터치부(10)와 일측면에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21)가 형성되어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터치봉 집(2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헤드(13)와 터치봉(15)의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과 내부에 도포시켜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 및 터치봉 집(21) 내부를 동시에 소독한다. 이때, 터치봉 집(21)는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삽입 및 배출 시 마찰되는 직경을 가지거나 헤드(13)와 터치봉(1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 데, 마찰되는 경우 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이 마찰력에 의해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고, 터치봉(1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경우 외력(삽입/배출 압력, 보행 충격)에 의해 터치봉 집(21)에 소독액이 낙하되거나 물방울 형태의 소독액과 접촉되면서 터치봉(13)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게 된다.Subsequently, the
계속해서, 밀폐 결합부(30)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시키는 데, 도면에서는 돌기(31)와 홈(3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압입 방식을 도시하였고, 실링을 위해 오링(3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폐 결합부(30)에 의해 소독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머니, 가방 등에 넣거나 빼는 동작이나 걷거나 움직이는 동작 등에 의해 외력이 발생하면 소독액이 소독액 배출공(A)에서 낙하되어 터치봉(13) 표면에 얇은 막 형태로 흘러 도포되거나 소독액이 터치봉 집(21)로 소량 낙하되어 고이게 되고, 터치봉 집(21)에 고인 소독액이 다시 터치봉 집(21) 표면과 헤드(13)와 터치봉(15) 표면을 고루 적시는 순환 소독과정이 반복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sealing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덮개부(20)에 헤드(13)와 터치봉(15)이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독액의 외부 유출이나 증발로 인한 소모가 방지되고, 덮개부(20)를 분리 후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덮개부(20)를 재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자동 소독, 완전 소독(멸균), 지속적인 소독이 가능하며 소독액 낭비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을 위해 덮개부(20)에서 헤드(13)와 터치봉(15)을 빼내면 소독액 배출공(A)에는 미세한 이슬방울 형태로 소독액이 다시 맺히고 흔들지 않는 한 흘러내리지 않아 소독액 소모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소독액이 저장되는 덮개부(20)의 공간을 부피를 최소화하여 소형으로도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부(20)의 부피가 작아지므로 전체 부피를 줄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더욱이 수납부(40) 내로 터치부(10)와 덮개부(2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접어 넣어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도 소형으로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when not in use,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터치부(10)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90°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40)가 구비된다. 이때, 힌지 결합 구조는 자동차 스마트 키의 키 수납 구조와 같은 통상의 구조로 탄성 힌지(41)와 버튼(43)을 구비한다. 이때, 수납부(40)가 터치부(10)를 180°회전시켜 터치 버튼을 접촉할 수 있는 일자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수납부(40)를 손잡이 몸체(11)에 공간으로 형성하여 공간에 헤드(13)를 수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type portable
《제 3실시 예》《Third Exampl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터치부(10), 덮개부(20) 및 밀폐 결합부(3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1, a handle-type portable
먼저, 제 3실시 예는 제 1실시 예의 덮개부(20)와, 제 2실시 예의 터치부(10)가 조합되어 각각 소독액이 저장되는 방식이다.Firs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터치부(10)는 원형, 사각형, 다각형으로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 몸체(11)의 상단에 헤드(13)가 구비되고, 헤드의 전면에 직선 형태의 터치봉(15)이 형성된다. 이때, 헤드(13)는 터치봉(15)으로 수도, 변기, 도어, 도어락, 대중 교통 등의 손잡이를 잡을 시 터치봉(15)이 손잡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치봉(15) 설치 부위 하단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미끄럼 방지 패드(P)가 구비되고, 터치봉(15)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의 터치가 가능하도록 버튼이나 스위치 등과 접촉하는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되는 합성수지 재질, 카본 재질,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손잡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미끄럼 방지 패드(P)가 결합된다. 또, 손잡이 몸체(11)는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 캐릭터 형상 등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The
그리고, 헤드(13)와 터치봉(15)이 직선형 기억자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곡선형으로 형성되면 상이한 크기 및 원형 사각형의 손잡이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커져 전체 길이가 매우 길어야 하고, 크기가 커지면 손잡이 뒤에 위치한 유리와 접촉할 가능성이 커지며 휴대가 불편해지기 때문이고, 직선형으로 형성하는 경우 손잡이에 걸어 당기기와 빼내기가 편리하고, 손잡이가 원통형이거나 사각형일 경우를 막론하고 접촉 면적이 넓어져 손잡이를 당기기가 쉬우며 원통형 손잡이 역시 반지름의 절반을 넘어서는 부위에만 터치봉(15)이 걸쳐지면 되므로 터치봉(15)의 길이가 짧아져 주머니 속 휴대가 용이하다. 즉,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터치봉(15)으로도 상이한 굵기의 손잡이에 모두 거치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봉(15)의 정면으로는 각종 버튼을 눌러 조작하기도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터치부(10)는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stored therein in the
이어서, 덮개부(20)는 터치부(10)와 동일 크기로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일측면에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삽입되는 터치봉 집(21)가 형성된다. 이때, 터치봉 집(21)는 터치부(10)의 헤드(13)와 터치봉(15)이 삽입 및 배출 시 마찰되는 직경을 가지거나 헤드(13)와 터치봉(1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 데, 마찰되는 경우 배출된 소독액이 마찰력에 의해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고, 헤드(13)와 터치봉(1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경우 외력(삽입/배출 압력, 보행 충격)에 의해 터치봉 집(21)에 소독액이 낙하되거나 물방울 형태의 소독액과 접촉되면서 헤드(13)와 터치봉(15)의 표면에 골고루 묻혀지게 된다.Subsequently, the
또, 터치부(10)의 터치봉(13)에는 1개 이상의 제 1소독액 배출공(A)이, 덮개부(20)의 터치봉 집(21)에는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A)이 각각 형성되어 터치부(10)의 터치봉(13)이 터치봉 집(21)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제 1, 2소독액 배출공(A)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터치봉(13)의 표면에 도포시켜 터치봉(13)의 표면 및 터치봉 집(21) 내부를 동시에 소독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first disinfectant discharge hole (A) is provided in the
또한, 터치부(10)와 덮개부(20)는 각각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B)가 더 구비되는 데, 소독액 분사부(B)는 뚜껑이 구비된 배출구, 디스펜서나 분사 노즐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터치부(10)의 터치부 몸체(11)와 덮개부(20)를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면 제 1, 2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을 통해 낙하되어 사용자 신체, 물체의 표면 등 원하는 부분의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 터치부(10)와 덮개부(20)는 각각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I)가 구비된다. 이때, 투명창(W)은 전체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른 실시 예로, 터치부(10)와 덮개부(20)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각각 소독액 배출공(A)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C)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소독액 카트리지(C)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W)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소독액 카트리지(C)의 투명창(W)과 대응되는 위치에 터치부(10) 역시 투명창(W)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그리고, 제 1, 2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가 형성 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제 1, 2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 증발이나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터치부(10)의 터치봉(13)과 덮개부(20)의 터치봉 집(21)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4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 have a size in which the disinfectant is formed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and when a plurality of disinfectants are formed, any one of a horizontal line shape, a vertical line shape, an oblique line shape, a curved shape, a cross hair shape, and a circular line shape Arranged in one form.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 are preferably formed to be 1 to 3 to minimize the disinfectant evaporation or leakage, the touch of the
또, 제 2소독액 배출공(A)에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D)가 구비되어 마찰, 압력,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을 함침시켜 터치봉(13)과 접촉되면 소독시킬 수 있다. 이때, 함침 부재(D)는 제 2소독액 배출공(A)의 배출 측에 거즈나 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소독액을 소량 머금어 배출하지 않은 채 터치봉(13)이 터치봉 집(21) 내부로 삽입될 시 발생되는 압력이나 마찰 또는 사용자의 외력 등이 있을 때만 제 1, 2소독액 배출공(A)에서 소독액을 배출하여 함침 부재(D)에 소독액이 함침되어 터치봉(13)에 묻게끔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 2소독액 배출공(A)은 소독액이 평상시 유출되지 않는 직경을 가지고, 외력이 발생 시에만 함침 부재(D)로 소독액이 배출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 (A) is provided with an impregnating member (D) in which a disinfectant is impregna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isinfectant discharged by friction, pressure, and external force of the user is impregnated with the
다른 실시 예로 제 1, 2소독액 배출공(A)에는 제 1실시 예와 같이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밸브형 조절 장치(E)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A)에 나사 결합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좌우로 회전시키면 배출 유로(E1)의 크기가 조절되면서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봉 집(21) 내부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소독액을 배출하여 터치봉(13)을 소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valve-type control device (E) so as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liqui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valve-type control device (E) It is screwed into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 and when the user rotates from the outside to the left or right, the size of the discharge flow path E1 is adjusted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That is, it can be used when the user wants to disinfect the
계속해서, 밀폐 결합부(30)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시키는 데, 도면에서는 돌기(31)와 홈(33)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압입 방식을 도시하였고, 실링을 위해 오링(3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폐 결합부(30)에 의해 소독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머니, 가방 등에 넣거나 빼는 동작이나 걷거나 움직이는 동작 등에 의해 외력이 발생하면 소독액이 제 1, 2소독액 배출공(A)에서 낙하되어 헤드(13)와 터치봉(15) 표면에 얇은 막 형태로 흘러 도포되거나 소독액이 터치봉 집(21)로 소량 낙하되어 고이게 되고, 터치봉 집(21)에 고인 소독액이 다시 터치봉 집(21) 표면과 헤드(13)와 터치봉(15) 표면을 고루 적시는 순환 소독과정이 반복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sealing
또한, 미사용 시에는 덮개부(20)에 터치봉(13)이 결합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소독액의 외부 유출이나 증발로 인한 소모가 방지되고, 덮개부(20)를 분리 후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후 덮개부(20)를 재결합하는 동작만으로 자동 소독, 완전 소독(멸균), 지속적인 소독이 가능하며 소독액 낭비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을 위해 덮개부(20)에서 헤드(13)와 터치봉(15)을 빼내면 소독액 배출공(A)에는 미세한 이슬방울 형태로 소독액이 다시 맺히고 흔들지 않는 한 흘러내리지 않아 소독액 소모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소독액이 저장되는 덮개부(20)의 공간을 부피를 최소화하여 소형으로도 장기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덮개부(20)의 부피가 작아지므로 전체 부피를 줄여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더욱이 수납부(40) 내로 터치부(10)와 덮개부(20)가 결합된 상태로 한꺼번에 접어 넣어 수납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도 소형으로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when not in use,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1)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터치부(10)가 힌지 결합되어 수납되고 90°회전되어 돌출되는 수납부(40)가 구비된다. 이때, 힌지 결합 구조는 자동차 스마트 키의 키 수납 구조와 같은 통상의 구조로 탄성 힌지(41)와 버튼(43)을 구비한다. 이때, 수납부(40)가 터치부(10)를 180°회전시켜 터치 버튼을 접촉할 수 있는 일자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수납부(40)를 손잡이 몸체(11)에 공간으로 형성하여 공간에 헤드(13)를 수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type portable
《제 4실시 예》《Fourth embodiment》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는 터치부(10)에 보조 지지대(50)를 설치하는 구조이다. 즉 터치봉(15)으로 원형 문고리나 수도꼭지를 돌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노브(51)에 의해 전후진되고, 보관이 가능하도록 힌지에 의해 절첩되는 보조 지지대(50)를 형성하여 손잡이 지름에 맞게 보조 지지대(50)를 승하강시켜 손잡이를 압입하는 구조이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그리고, 보조 지지대(50)의 표면에도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미끄럼 방지 패드(P)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또한, 나머지 구성은 제 1~3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제 5실시 예》《Fifth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parti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는 소독액 배출공(A)이 구비된 터치봉 집(21)이 별도로 결합되고, 소독액이 내부에 각각 저장되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로 이루어지고, 분리되도록 제작된 1개의 터치봉(15)과, 2개의 터치봉 집(21)으로 이루어져 1개의 터치봉(15)이 헤드(13)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2개의 터치봉 집(21)이 각각 터치부(10)와 덮개부(20)에 삽입되며, 이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헤드(13)와 덮개부(2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밀폐 결합부(30)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이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즉, 헤드(13)와 덮개부(20)의 입구에는 각각 터치봉 집(21)이 안착되는 밀폐 결합부(30)의 볼트가 형성되고, 터치부(10)의 양단에는 밀폐 결합부(30)의 너트가 구비되어 덮개부(20)의 나사와 터치부(10)의 너트에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터치봉(15)의 너트가 이중 밀폐 결합부의 구조로 양단이 헤드(13) 및 덮개부(20)의 밀폐 결합부(30)에 나사 타입으로 결합되고, 너트 결합부의 상면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로 소독액이 유통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That is, a bolt of the sealing
이렇게 되면, 여분의 덮개부(20)를 구비하고 있다가 소독액이 모두 사용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터치부(10)와 덮개부(20)에 동종 또는 이종의 소독액(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을 각각 저장할 수도 있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소독액을 사용할 수 있고, 헤드(13)와 덮개부(20)에서 터치봉 집(21)을 제거한 후 내부에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제 6실시 예》《Sixth Embodiment》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parti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는 소독액 배출공(A)이 구비된 터치봉 집(21)이 별도로 결합되고, 소독액이 내부에 각각 저장되는 터치부(10)와 덮개부(20)로 이루어지고, 분리되도록 제작된 2개의 터치봉(15)과, 2개의 터치봉 집(21)으로 이루어져 2개의 터치봉(15)이 헤드(13) 및 덮개부(2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2개의 터치봉 집(21)이 각각 터치부(10)와 덮개부(20)에 삽입되며, 이들이 삽입된 상태에서 헤드(13)와 덮개부(2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밀폐 결합부(30)으로 결합시키는 구성이다.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즉, 헤드(13)와 덮개부(20)의 입구에는 각각 터치봉 집(21)이 안착되는 밀폐 결합부(30)의 볼트가 형성되고, 터치부(10)의 양단에는 밀폐 결합부(30)의 너트가 구비되어 덮개부(20)의 나사와 터치부(10)의 너트에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터치봉(15)의 너트가 이중 밀폐 결합부의 구조로 양단이 헤드(13) 및 덮개부(20)의 밀폐 결합부(30)에 나사 타입으로 결합되고, 너트 결합부의 상면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로 소독액이 유통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데, 어느 하나의 터치봉(15)은 다중이 이용하는 공용 버튼(엘리베이터, 화장실 레버 등)에 사용하기 위함이고, 다른 하나의 터치봉(15)은 사용자의 스마트 폰 액정 터치에 사용하기 위함이다.That is, a bolt of the sealing
이렇게 되면, 여분의 덮개부(20)를 구비하고 있다가 소독액이 모두 사용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터치부(10)와 덮개부(20)에 동종 또는 이종의 소독액(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을 각각 저장할 수도 있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소독액을 사용할 수 있고, 헤드(13)와 덮개부(20)에서 터치봉 집(21)을 제거한 후 내부에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헤드(13)와 덮개부(20)를 가압하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의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배출되므로 별도의 소독액 분사부(B)와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를 간략화시켜 제품의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제 7실시 예》《Seventh embodiment》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합 상태에서 부분 단면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partial view in the combined state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는 소독액 배출공(A)이 구비된 터치봉 집(21)이 별도로 결합되고, 소독액이 내부에 저장되는 덮개부(20)와 터치부(10)로 이루어지고, 덮개부(20)와 터치부(10)를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밀폐 결합부(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In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덮개부(20)에는 밀폐 결합부(30)의 볼트가 돌출 형성되고, 터치부(10)에는 밀폐 결합부(30)의 너트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고, 터치봉 집(21)은 덮개부(20)의 밀폐 결합부(30)에 안착되며, 터치봉(13)은 터치부(10)의 밀폐 결합부(3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bolt of the sealing
이렇게 되면, 여분의 덮개부(20)를 구비하고 있다가 소독액이 모두 사용되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덮개부(20)와 터치부(10)에 동종 또는 이종의 소독액(과산화수소, 알코올, 물, 소금물, 비누액 등)을 각각 저장할 수도 있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소독액을 사용할 수 있고, 덮개부(20)에서 터치봉 집(21)을 제거한 후 내부에 소독액을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덮개부(20)를 가압하면 소독액이 터치봉 집(21)의 소독액 배출공(A)을 통해 배출되므로 별도의 소독액 분사부(B)와 밸브형 조절 장치(E)가 불필요하게 되어 구조를 간략화시켜 제품의 생산성, 경제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또, 터치부(10)에 소독액 카트리지을 보관하게 되면, 손과, 소독하고자 하는 물체를 소독할 수 있어 교차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isinfectant cartridge is stored in the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form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t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10 : 터치부 11 : 손잡이 몸체
13 : 헤드 15 : 터치봉
20 : 덮개부 21 : 터치봉 집
30 : 밀폐 결합부 40 : 수납부
50 : 보조 지지대 A : 소독액 배출공
B : 소독액 분사부 C : 소독액 카트리지10: touch part 11: handle body
13: head 15: touch rod
20: cover part 21: touch rod house
30: sealed coupling portion 40: receiving portion
50: auxiliary support A: disinfectant discharge hole
B: Disinfectant spray part C: Disinfectant cartridge
Claims (15)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삽입 결합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 집에 1개 이상의 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A touch unit having a head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handle body, and a touch bar formed so as to face the front from the head to form a memory shape as a whole;
A disinfectant is stored therein, and a touch bar house in which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nd at least on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touch bar house, so that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into the touch bar house. A cover for disinfecting the surface of the head and the touch rod and the interior of the touch rod house by applying the disinfectant liquid discharged from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by friction or pressure when discharged or discharged; And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rt and the cover part are formed of a sealing coupling part that is sea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a screw method or a press-fitting method.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삽입 결합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Disinfectant is stored inside, a hea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handle body, and a touch bar is formed to face the front from the head to form a memory shape as a whole, and at least on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head and the touch bar. A touch unit to be used;
A touch bar house in which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nd when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or discharged into the touch bar house, the disinfectant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by friction or pressure is transferred to the head. And a cover part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touch rod to disinfect the surface of the head and the touch rod and the interior of the touch rod house; And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rt and the cover part are formed of a sealing coupling part that is sea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a screw method or a press-fitting method.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되고,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삽입 결합되는 터치봉 집이 형성되며, 상기 터치봉 집에 1개 이상의 제 2소독액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부의 헤드와 터치봉이 상기 터치봉 집에 삽입되거나 배출될 시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서 배출된 소독액을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에 도포시켜 상기 헤드와 터치봉의 표면 및 터치봉 집 내부를 소독하는 덮개부; 및
상기 터치부와 덮개부를 나사 방식 또는 압입 방식에 의해 상호 밀폐 결합되는 밀폐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Disinfectant is stored inside, a hea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handle body, and a touch bar is formed to face the front from the head to form a memory shape as a whole, and at least one first disinfectant is discharged to the head and the touch bar, respectively. A touch part in which a ball is formed;
A disinfectant is stored therein, and a touch bar house into which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inserted and coupled is formed, and at least one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touch bar house, so that the head of the touch unit and the touch bar are connected to the touch bar. A cover for disinfecting the surface of the head and the touch rod and the interior of the touch rod house by applying the disinfectant liquid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by friction or pressure when inserted or discharged into the surface of the head and the touch rod; And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part and the cover part are formed of a sealing coupling part that is sealed and coupled to each other by a screw method or a press-fitting method.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grip,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r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combined.
상기 터치봉 및 터치봉 집은,
별도로 결합 시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ouch rod and the touch rod grip,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hermetic coupling unit when separately coupled.
상기 터치봉은,
이중 밀폐 결합부에 의해 상기 밀폐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이중 밀폐 결합부의 일측면 또는 양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touch rod,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sealing coupling portion by a double sealing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double sealing coupling portion, respectively. Touch device.
상기 터치부는,
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에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고,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봉의 표면과, 상기 헤드의 전면 일측에 미끄럼 방지 부재가 구비되고, 버튼, 스위치 및 터치 스크린과 접촉되는 상기 터치봉의 접촉면에 도전성 물질이 함유된 합성수지 재질 또는 카본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ouch unit,
A non-slip member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touch rod and a front side of the head to prevent slipping when contacting a handle including a faucet, a toilet lever, a door handle, a door lock handle, and a public transport handle, and a button, A handl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surface of the touch rod in contact with the switch and the touch screen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ontaining a conductive material, a carbo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상기 터치부는,
상기 터치봉으로 수도꼭지, 변기 레버, 문고리, 도어락 손잡이, 대중 교통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터치봉과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손잡이 본체에 보조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가 승하강 및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ouch unit,
An auxiliary support is installed on the handle bod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r so that the handle including a faucet, a toilet lever, a door handle, a door lock handle, and a public transport handle can be held and rotated with the touch bar, and the auxiliary support is raised and lowered. And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which is folded.
상기 터치부는,
상기 손잡이 본체에서 상기 헤드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에 상기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되고 회전되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ouch unit,
Handle type portable object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is hinged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and is accommodated and rotated to protrude while the cover is coupled to the handle body Touch device.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은,
소독액이 물방울 형태로 맺히는 크기를 가지고, 복수개가 형성시 가로선 형태, 세로선 형태, 사선 형태, 곡선 형태, 십자선 형태, 원형선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Contag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infectant has a size that forms droplets, and is arranged in any one of a horizontal line shape, a vertical line shape, an oblique line shape, a curved shape, a crosshair shape, and a circular line shape when plural numbers are formed.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with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on.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에는,
마찰이나 압력에 의해 배출되는 소독액이 함침되는 함침 부재 또는 소독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형 조절 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n impregnating member impregnated with the disinfectant discharged by friction or pressure, or a handle type having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a valve-type control device is further provided to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isinfectant. Handheld object touch device.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저장된 소독액을 외부로 분사하는 소독액 분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a disinfectant spraying unit for spraying the stored disinfectant to the outside is further provided.
상기 덮개부 또는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고, 소독액을 충전하는 충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parent window for checking the amount of disinfection solution is provided and a charging port for fill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provided.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터치부 또는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상기 소독액 배출공 또는 제 1, 2소독액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소독액 카트리지가 내부에 삽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 카트리지에 소독액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ver part or the touch part or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a disinfectant cartridge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discharged therei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infectant discharge hole or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ant discharge holes, and a transparent window for checking the amount of disinfectant is provided in the disinfectant cartridge.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with an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to prevent infection.
상기 덮개부와 터치부는,
동종의 소독액 저장하거나 또는 이종의 소독액을 각각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질병 전염 예방을 위한 자동소독 기능을 구비하는 손잡이 타입 휴대용 물체 터치 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part and the touch part,
A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n automatic steriliza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type of disinfectant is stored or different types of disinfectant are stored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8720A KR102202673B1 (en) | 2020-04-22 | 2020-04-22 |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
| PCT/KR2021/004906 WO2021215774A1 (en) | 2020-04-22 | 2021-04-19 |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48720A KR102202673B1 (en) | 2020-04-22 | 2020-04-22 |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02673B1 true KR102202673B1 (en) | 2021-01-12 |
Family
ID=7412985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48720A Expired - Fee Related KR102202673B1 (en) | 2020-04-22 | 2020-04-22 |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02673B1 (en) |
| WO (1) | WO2021215774A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1215774A1 (en) * | 2020-04-22 | 2021-10-28 | Lee Jeongsoo |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54711B1 (en) * | 2012-11-22 | 2013-04-15 | 김성철 | Display cleaner |
| KR20190052246A (en) * | 2017-11-08 | 2019-05-16 | 오정근 | A multi-function electrostatic touch-pen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72285B1 (en) * | 2009-10-08 | 2011-10-11 | (주) 피엔텔레컴 | Touch pen having cradler |
| KR101207913B1 (en) * | 2010-02-08 | 2012-12-07 | 양민우 | freestyle stylus pen |
| KR101164458B1 (en) * | 2010-03-08 | 2012-07-18 | 주식회사 바이칼 | Apparatus for portable sanitizer |
| KR102202673B1 (en) * | 2020-04-22 | 2021-01-12 | 이정수 |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
-
2020
- 2020-04-22 KR KR1020200048720A patent/KR10220267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21
- 2021-04-19 WO PCT/KR2021/004906 patent/WO2021215774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54711B1 (en) * | 2012-11-22 | 2013-04-15 | 김성철 | Display cleaner |
| KR20190052246A (en) * | 2017-11-08 | 2019-05-16 | 오정근 | A multi-function electrostatic touch-pen |
| KR102073324B1 (en) | 2017-11-08 | 2020-02-03 | 오정근 | A multi-function electrostatic touch-p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1215774A1 (en) * | 2020-04-22 | 2021-10-28 | Lee Jeongsoo | Handle-type portable object touch device having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for preventing transmission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viruse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1215774A1 (en) | 2021-10-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24743B1 (en) | Touch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 |
| US5452825A (en) | Liquid dispenser for vertical wall mounting | |
| US8084752B2 (en) | Ultraviolet treatment device | |
| KR100835878B1 (en) | Wall Mount Hand Sanitizer with Display Unit | |
| JP5800891B2 (en) | Door handle | |
| US9340337B2 (en) | Dispenser with lockable pushbutton | |
| US6062421A (en) | Glove dispensing device | |
| KR20100028587A (en) | Device to promote hand sanitization | |
| KR102202673B1 (en) | Handle type portable object touching device with automatic sterilization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 infection including virus | |
| GB2455361A (en) | Sanitary door handle | |
| US11793365B2 (en) | Dispenser for use with refill cartridge | |
| US8690018B2 (en) | Wall mountable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material | |
| US20210361125A1 (en) | Touchless Sanitizer Combination Device | |
| JP2004505859A (en) | dispenser | |
| US6925763B2 (en) | Apparatus for sanitary egress of a restroom | |
| KR101735241B1 (en) | Door handle for sterilizing hand | |
| GB2421897A (en) | A door handle including means for cleaning the users hand | |
| KR102471942B1 (en) | Portable stick with self-sterilization function | |
| US20170015482A1 (en) | Devices And Methods To Maintain Personal Hygiene While Using The Toilet | |
| CN212235401U (en) | Portable multifunctional disinfecting isolation pen | |
| RU2159069C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for washing hands | |
| KR100529411B1 (en) | Multi-case for body care utilities | |
| CN216725261U (en) | Portable Sterilizer | |
| CN212472897U (en) | A multifunctional pen for preventing cross infection | |
| ES1267594U (en) | PAPER OR PLASTIC DISPENSER FOR PROTECTION AND DISINFECTION ON HIGH CONTACT SURFACE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S14-X000 | 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4-lic-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1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