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338B1 - Balance training device - Google Patents
Balance train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5338B1 KR102215338B1 KR1020190151475A KR20190151475A KR102215338B1 KR 102215338 B1 KR102215338 B1 KR 102215338B1 KR 1020190151475 A KR1020190151475 A KR 1020190151475A KR 20190151475 A KR20190151475 A KR 20190151475A KR 102215338 B1 KR102215338 B1 KR 102215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mediate member
- elastic support
- user
- axis
- fo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는, 상면, 하면 및 전면을 가지고, 사용자 발이 수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대; 사용자 발의 뒷부분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하면으로부터 수평인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간 부재; 사용자 발의 앞부분 영역에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상면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중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탄성 지지체; 사용자 발의 앞부분 영역에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하면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중간 부재를 지지하는 제2 탄성 지지체; 및 사용자 발의 뒷부분 영역에서 상기 제1 축과 수직이고, 상기 중간 부재의 전후 방향과 경사진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해 상대 회동하도록 구성된 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와 상기 제2 탄성 지지체의 탄성력의 크기에 따라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의 상기 하면으로부터의 경사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the user's feet are accommodated; A support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 intermediate member supported by the support on a first ax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ame and horizontal from the lower surface in the rear portion of the user's foot, and connected to be rotatable; A first elastic support body for supporting the intermediate member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by connecting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in a region of the front part of the user's foot; A second elastic support for supporting the intermediate member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by connecting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in an area of the front of the user's foot; And a footrest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intermediate member based on a second axis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in a rear region of the user's foot and inclined with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wherein the intermediate member includes the fir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from the lowe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force is balanc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균형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해부학적인 발목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균형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ance trai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lance training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 balance exercise based on the actual anatomical movement of the ankle.
일반적으로 균형 훈련 장치는 주로 힘판을 이용하여 특정 감각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을 제한하거나 외력에 의해 평형 유지를 방해했을 때, 신체 전이(displacement),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 COP)의 움직임, 자세유지 시 작용하는 근육의 활동 전위 등을 측정하는 연구와 더불어 균형에 어려움을 느끼는 환자를 위한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을 적용하는 훈련 장치이다. In general, the balance training device mainly uses a force plate to limit input from a specific sensory system or when an external force interferes with balance maintenance, body displacement, movement of the center of pressure (COP), and posture maintenance. It is a training device that applies biofeedback for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balance, along with research that measures the action potential of the muscles that act upon time.
예를 들어, 중추신경계질환의 하나인 뇌졸중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전체 체중의 61-80%를 비손상 측 하지로 지지하여, 비대칭적인 자세 정렬 및 균형 능력의 저하를 나타낸다. 뇌졸중 후 나타내는 비정상적인 보행양상은 유각기 동안의 뻐정다리 보행(stiff-knee gait), 입각기 동안의 전반슬(genu recuvatum), 입각기에서 배측 굴곡(dorsiflexion)의 감소와 유각기에 과도한 족저굴곡(plantar flexion)이다. 또한 보행 속도, 분속수(cadence), 활보장(stride length)가 감소하고, 양하지 지지기(double stance period)가 증가되며, 비손상측에 비해 손상측의 입각기 기간이 짧다. 뇌졸중 보행의 재활을 위해 기능적 전기자극, 단하지보조기 등이 적용되거나, 치료사에 의한 관절가동범위운동, 스트레칭 운동, 저항 밴드, 수동형 발목훈련기, 직립자세에서의 체중 부하 저항운동을 하는 방법 등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세심한 반응 능력이 요구되는 균형 훈련 역시 함께 수행되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stroke, which is on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most patients support 61-80% of the total body weight with the non-injured lower limb, indicating asymmetric postural alignment and deterioration in balance ability. Abnormal gait patterns after stroke include stiff-knee gait during swing phase, genu recuvatum during stance phase, decrease in dorsiflexion in stance phase, and excessive plantar flexion during swing phase ( plantar flexion). In addition, the walking speed, cadence, and stride length decrease, the double stance period increases, and the stance period on the injured side is shorter than on the non-injured side.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walk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hort-leg braces, etc. are applied, or joint motion range exercise by therapist, stretching exercise, resistance band, passive ankle trainer, weight bearing resistance exercise in an upright position, etc. It is used as an enemy, and balance training that requires careful reaction skills is also being performed.
이렇듯, 노인들이나 여러 가지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는 보행과 직결되는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균형 훈련 장치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As such, it is essential for the elderly or patients with various diseases to improve the balance ability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walking, and for this reason, many balance training device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대부분의 균형 훈련 장치는 반구 위에 원형 발판 형태(특허문헌 1 참조)이거나, 또는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회전 링크를 통해 일정 자유도를 가지는 형태(특허문헌 2 참조)로 구성되고 있다. In this regard, most of the conventional balance training devices are in the form of a circular scaffold on a hemisphere (see Patent Document 1), or in a form having a certain degree of freedom through a plurality of rotating link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see Patent Document 2). .
그러나, 균형 동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실제 발목의 움직임은 시상면(sagittal plane), 관상면(frontal plane), 그리고 횡면(transverse plane)에서 일어나는 운동으로 요약될 수 있고, 발목관절(ankle joint 또는 talocrural joint), 횡족근관절(transverse tarsal joint) 그리고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의 움직임에 따라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 종래의 균형 훈련 장치는 실제 해부학적인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 축에 따른 발목의 움직임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actual movement of the ankle directly involved in the balance movement can be summarized as a movement occurring in the sagittal plane, the frontal plane, and the transverse plane, and the ankle joint or talocrural joint), the transverse tarsal joint, and the subtalar joint, so these conventional balance training devices actually move the ankle along the anatomical subtalar joint ax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does not reflect.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실제 해부학적인 발목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균형 훈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ance training apparatus configured to perform a balance exercise based on an actual anatomical movement of an ankle, 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평지에서 뿐만 아니라, 오르막 길 또는 내리막 길과 같이 일정 경사를 가지는 상황에서의 균형 훈련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균형 훈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lance training apparatus that enables a user to conveniently perform balance training in a situation having a certain slope, such as an uphill or downhill road, as well as on a flat gr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는, 상면, 하면 및 전면을 가지고, 사용자 발이 수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대; 사용자 발의 뒷부분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하면으로부터 수평인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간 부재; 사용자 발의 앞부분 영역에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상면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중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탄성 지지체; 사용자 발의 앞부분 영역에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하면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중간 부재를 지지하는 제2 탄성 지지체; 및 사용자 발의 뒷부분 영역에서 상기 제1 축과 수직이고, 상기 중간 부재의 전후 방향과 경사진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해 상대 회동하도록 구성된 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와 상기 제2 탄성 지지체의 탄성력의 크기에 따라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의 상기 하면으로부터의 경사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the user's feet are accommodated; A support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 intermediate member supported by the support on a first ax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ame and horizontal from the lower surface in the rear portion of the user's foot, and connected to be rotatable; A first elastic support body for supporting the intermediate member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by connecting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in a region of the front part of the user's foot; A second elastic support for supporting the intermediate member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by connecting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in an area of the front of the user's foot; And a footrest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intermediate member based on a second axis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in a rear region of the user's foot and inclined with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wherein the intermediate member includes the fir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from the lower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force is balanc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발 받침부가 상기 제2 축을 따라 지지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termediate member may include a guide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so that the footrest portion can be supported along the second axis and rotated.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2 탄성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may be formed of a spring.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2 탄성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굴곡진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front surface of the frame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의 회동을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revention unit configur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to a range of a predetermined angle may further include a front surface of the frame.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는 결정 가능한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경사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vention unit may be formed in plural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that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는 발의 뒤꿈치로부터 비스듬한 축으로 움직이는 Subtalar 축으로 움직이는 Inversion과 Eversion의 움직임과 Talocrural 축으로 움직이는 Dorsi-plantar flexion의 자유도를 갖는 움직임을 구현하여, 실제 발목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균형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movement of Inversion and Eversion moving from the heel of the foot to the subtalar axis moving from the heel of the foot and the movement with the degree of freedom of Dorsi-plantar flexion moving to the Talocrural axis, and balances based on the actual ankle mov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erform exerci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 및 제2 탄성 지지체의 탄성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힘의 평형이 되는 중간 부재의 경사를 조절함으로써, 경사가 있는 상태에서의 균형 운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to balance the force, balance movement in the state of the slo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운동 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균형 운동 장치의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cross-sectional conceptual diagram of the balance exercise device of FIG. 1.
3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1.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 set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a certai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function or operation specified in a specific block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in the flowchart. For example, two consecutive blocks may actually be executed at the same time, or the blocks may be executed in reverse depending on a related function or opera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elem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운동 장치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균형 운동 장치의 정단면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lanc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cross-sectional conceptual diagram of the balance exercise device of FIG. 1. 3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운동 장치(1000)는 프레임(100), 지지대(150), 중간 부재(200), 발 받침부(300), 제1 탄성 지지체(400) 및 제2 탄성 지지체(500)를 포함한다. 1 to 3, a
상기 프레임(100)은 하면(110), 전면(120) 및 상면(130)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발(f)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면(110)은 지면과 대응되는 면이며, 전면(120)은 상기 하면(1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사용자의 발(f)을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120)은 후술할 중간 부재(200)의 제1 축(x1)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굴곡진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면(120) 상에는 사용자가 초기 설정된 지면과의 경사에서 미리 결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균형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의 회동을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로 제한하는 방지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중간 부재(200)의 설명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또한, 상기 상면(130)은 상기 전면(120)으로부터 돌출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사용자의 발이 상면을 통해 오고 나갈 수 있도록 상기 하면(110)보다 짧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면(130)은 상기 하면(110)과 평행하도록 상기 전면(12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프레임(100)은 양 측면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프레임(100)은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하우징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하면(110)과 상기 상면(130)에는 후술할 중간 부재(20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제1 탄성 지지체(400) 및 제2 탄성 지지체(500)가 장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하면(1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균형 훈련 장치(1000)에 있어서, 사용자 발(f)의 강한 하중이 가해지는 구성으로 강성 재질로 구성되며, 일 단을 통해 상기 하면(110)과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50)의 타 단은 상기 프레임(100)에 수용된 사용자 발(f)의 뒤꿈치 영역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타 단에는 상기 프레임(100)의 전후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하면(110)으로부터 수평인 제1 축(x1)이 형성된다. The
상기 제1 축(x1)은 상기 지지대(150)에 대해 회동하는 후술할 중간 부재(200)의 회전축이며, 즉, 상기 지지대(150)와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제1 축(x1)의 제1 회전 요소(17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전 요소(170)는 힌지(hinge)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제1 축(x1)에 따라 피치 동작(pitch motion)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axis (x1) is a rotation axis of the
따라서, 사용자 발(f)이 중간 부재(200)에 장착된 후술할 발 받침부(300)에 놓여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회전될 경우 발이 발목 관절을 기준으로 위로 회전되거나(dorsiflexion) 아래로 회전될 수 있어(plantarflexion), 하지 마비 또는 근력 저하 등으로 인해 보행 시에 필요한 균형 동작에 대한 발목의 각도 변화를 정상적으로 유도하여 재활을 도울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s foot (f) is mounted on the intermediate member (200) and placed on the footres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axis (x1), the foot is rotated upward based on the ankle joint (dorsiflexion). ) Since it can be rotated downward (plantarflexion), it is possible to help rehabilitation by inducing a change in the angle of the ankle for the balance movement required when walking due to paralysis of the lower extremities or muscle strength.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하면(1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150)는 상기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대응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지지대(15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부재(200)의 일 단이 상기 제1 회전 요소(170)를 통해 상기 지지대(15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발(f)은 상기 중간 부재(200)와 함께 상기 제1 축(x1)을 통해 위로 회전되거나 아래로 회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중간 부재(200)는 사용자 발의 앞부분에서 후술할 제1 탄성 지지체(400) 및 제2 탄성 지지체(50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이들에 의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하면(110)으로부터의 경사가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2 탄성 지지체의 탄성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면(110)과 평행이거나, 또는 상기 하면(110)으로부터 일정 경사를 갖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중간 부재(200)의 타 단은 상기 프레임의 전면(120)을 향하여 연장되며, 원활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120)과는 일정 간격이 떨어지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면(120)은 상기 제1 축(x1)을 따라 회동하는 중간 부재(200)의 타 단과 일정하게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굴곡진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또한, 상기 전면(120) 상에는 상기 중간 부재(200)의 상기 제1 축(x1)으로의 회동을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방지부(19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지부(190)는 상기 전면(120)으로부터 상기 제1 축(x1)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 부재(200)의 위아래의 회전을 각각 제한하도록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설정되는 중간 부재(200)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복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1000)의 상기 방지부(190)는 상기 중간 부재(200)의 회동을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균형 감각이 크게 손상되어 있는 뇌졸중 등 중추신경계질환의 환자의 균형 운동에 있어서, 안전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발 받침부(300)는,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곳으로, 상기 중간 부재(2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제2 축(x2)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 부재(200)에 대해 상대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축(x2)은 상기 중간 부재(200)의 전후 방향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각도(θ)만큼 경사져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결정된 각도는 약 42도일 수 있다. 즉, 상기 발 받침부(300)는 경사진 상기 제2 축(x2)을 따라 상기 중간 부재(200)에 대해 비스듬하게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중간 부재의 상면(200)은 상기 발 받침부(300)가 상기 제2 축을 따라 지지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 받침부(300)의 궤적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축(x2)은, 상기 중간 부재(200)에 대해 상대 회동하는 상기 발 받침부(300)의 회전축이며, 즉, 상기 발 받침부(300)는 상기 중간 부재(200)와 상기 제2 축(x2)의 제2 회전 요소(180)을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전 요소(180)는 힌지(hinge)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발받침부(300)는 대략적인 롤 동작(roll motion)을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axis (x2) is a rotation axis of the
특히, 상기 제2 축(x2)은 그 축 방향에 사용자의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이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발(f)이 상기 발 받침부(300)에 놓여 제2 축(x2)을 기준으로 회전될 경우 발이 거골하관절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회전되거나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어(inversion-eversion), 하지 마비 또는 근력 저하 등으로 인해 보행 시에 필요한 발목의 움직임을 원활히 생성시킬 수 없는 환자에게 보행 시에 필요한 균형 동작에 대한 발목의 각도 변화를 정상적으로 유도하여 재활을 도울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shaft (x2) may be arranged so that the user's subtalar joint (subtalar joint) is placed in the axi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user's foot (f) is placed on the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는 사용자 발의 앞부분에서 상기 중간 부재(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130) 간을 연결하여, 상기 중간 부재(200)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는 사용자 발의 앞부분에서 상기 중간 부재(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하면(110) 간을 연결하여, 상기 중간 부재(200)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 및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는 상기 중간 부재(20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간 부재(200)를 양쪽에서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 및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일 수 있다. The first
한편, 상기 중간 부재(200)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 및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의 탄성력의 크기에 따라,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의 상기 하면(110)으로부터의 경사가 결정된다. 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의 탄성력이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의 탄성력보다 강할 경우, 상기 중간 부재(200)가 위로 경사진 상태에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중간 부재(200)에 의해 오르막 길이 구현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의 탄성력이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의 탄성력보다 약할 경우, 상기 중간 부재(200)가 아래로 경사진 상태에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며, 이 경우, 내리막 길이 구현된다. Specifically,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또한,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좌우(410, 430)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510, 530)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착되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와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의 갯수를 통해 상기 중간 부재(200)의 경사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장착되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의 갯수가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의 갯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중간 부재(200)가 위로 경사진 상태에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며, 장착되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400)의 갯수가 상기 제2 탄성 지지체(500)의 갯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중간 부재(200)가 아래로 경사진 상태에서 힘의 평형이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first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 훈련 장치는 사용자가 평지에서 뿐만 아니라, 오르막 길 또는 내리막 길과 같이 일정 경사를 가지는 상황에서의 균형 훈련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balance training not only on a flat ground, but also in a situation having a certain slope such as an uphill road or a downhill roa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1000: 균형 훈련 장치
100: 프레임
110: 하면
120: 전면
130: 상면
150: 지지대
170: 제1 회전 요소
180: 제2 회전 요소
190: 방지부
200: 중간 부재
300: 발 받침부
400, 410, 430: 제1 탄성 지지체
500, 510, 530: 제2 탄성 지지체 1000: balance training device
100: frame
110: if
120: front
130: upper surface
150: support
170: first rotating element
180: second rotation element
190: prevention part
200: intermediate member
300: footrest
400, 410, 430: first elastic support
500, 510, 530: second elastic support
Claims (7)
상면, 하면 및 전면을 가지고, 사용자 발이 수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지대;
사용자 발의 뒷부분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하면으로부터 수평인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중간 부재;
사용자 발의 앞부분 영역에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상면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중간 부재를 지지하는 제1 탄성 지지체;
사용자 발의 앞부분 영역에서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하면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중간 부재를 지지하는 제2 탄성 지지체, 및
사용자 발의 뒷부분 영역에서 상기 제1 축과 수직이고, 상기 중간 부재의 전후 방향과 경사진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 부재에 대해 상대 회동하도록 구성된 발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지지체와 상기 제2 탄성 지지체의 탄성력의 크기에 따라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의 상기 하면으로부터의 경사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훈련 장치. As a balance training device,
A frame hav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a front surface, and accommodating a user's foot;
A support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 intermediate member supported by the support on a first axis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rame and horizontal from the lower surface in the rear portion of the user's foot, and connected to be rotatable;
A first elastic support body for supporting the intermediate member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by connecting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upper surface in a region of the front part of the user's foot;
A second elastic support body for supporting the intermediate member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by connecting the intermediate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front region of the user's foot, and
And a footrest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intermediate member with respect to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axis in a rear region of the user's foot and inclined with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is a balanc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is determined in a state in which the force is balanc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발 받침부가 상기 제2 축을 따라 지지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훈련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rmediate member includes a guide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so that the footrest portion is supported along the second axis to rotate.
상기 제1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2 탄성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훈련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is a balanc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pring.
상기 제1 탄성 지지체 및 상기 제2 탄성 지지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훈련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is a balanc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상기 프레임의 전면은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굴곡진 곡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훈련 장치.The method of claim 1,
Balanc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has a curved shape curv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의 회동을 미리 정해진 각도의 범위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훈련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evention unit configur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to a range of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상기 방지부는 결정 가능한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경사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 훈련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alance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intermediate member that can be determin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51475A KR102215338B1 (en) | 2019-11-22 | 2019-11-22 | Balance train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51475A KR102215338B1 (en) | 2019-11-22 | 2019-11-22 | Balance training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15338B1 true KR102215338B1 (en) | 2021-02-15 |
Family
ID=7456052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51475A Active KR102215338B1 (en) | 2019-11-22 | 2019-11-22 | Balance training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533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5645832A (en) * | 2022-10-28 | 2023-01-31 | 清华大学 | balance trainer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051424A (en) * | 1998-08-11 | 2000-02-22 | Bum Ho Lee | Golf practicing device equipped with tilt-adjustable footing |
| US8678985B2 (en) | 2006-08-10 | 2014-03-25 | E. Michael Mattox |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
| CN103691122A (en) * | 2013-12-30 | 2014-04-02 | 哈尔滨商业大学 | Plyometric discus core stability strength training and motion information feedback monitoring device |
| KR20170041545A (en) * | 2015-10-07 | 2017-04-17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Ankle muscle training apparatus |
| KR101790945B1 (en) | 2016-06-30 | 2017-10-27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Balance training system |
| CN209451255U (en) * | 2018-12-21 | 2019-10-01 | 杭州职业技术学院 | Bodybuilding pedal for aerobics |
-
2019
- 2019-11-22 KR KR1020190151475A patent/KR1022153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0051424A (en) * | 1998-08-11 | 2000-02-22 | Bum Ho Lee | Golf practicing device equipped with tilt-adjustable footing |
| US8678985B2 (en) | 2006-08-10 | 2014-03-25 | E. Michael Mattox | Balance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
| CN103691122A (en) * | 2013-12-30 | 2014-04-02 | 哈尔滨商业大学 | Plyometric discus core stability strength training and motion information feedback monitoring device |
| KR20170041545A (en) * | 2015-10-07 | 2017-04-17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Ankle muscle training apparatus |
| KR101790945B1 (en) | 2016-06-30 | 2017-10-27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Balance training system |
| CN209451255U (en) * | 2018-12-21 | 2019-10-01 | 杭州职业技术学院 | Bodybuilding pedal for aerobic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5645832A (en) * | 2022-10-28 | 2023-01-31 | 清华大学 | balance train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1415387B (en) | Exercise apparatus for physical therapy | |
| KR101796916B1 (en) | Ankle muscle training apparatus | |
| Lomaglio et al. | Muscle strength and weight-bearing symmetry relate to sit-to-stand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 |
| US589746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nkle exercise | |
| US8608675B2 (en)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suffering motor dysfunction | |
| US11266876B2 (en) | Ankle muscle resistance-training apparatus | |
| US8083654B1 (en)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 US10765548B2 (en) | Knee joint orthosis | |
| KR101494685B1 (en) | Apparatus for training the lower extremities | |
| Barbeau et al. | The effects of locomotor training in spinal cord injured subjects: a preliminary study | |
| US7909747B1 (en) | Exercise device and method | |
| US7011612B2 (en) | Stretching device | |
| CN202128671U (en) | Phalanx knuckle rehabilitating mechanism of pedal type tread rehabilitation trainer | |
| Chisholm et al. | Correlations between ankle–foot impairments and dropped foot gait deviations among stroke survivors | |
| EP2241302A1 (en)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suffering motor dysfunction | |
| Son et al. | Influence of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unilateral ankle on ipsilateral one-legged standing balance of adults | |
| KR102215338B1 (en) | Balance training device | |
| Karamanidis et al. | Adaptational phenomena and mechanical responses during running: effect of surface, aging and task experience | |
| Frank et al. | Effects of long-term recreational surfing on control of force and posture in older surfer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 |
| EP2916794A1 (en) | Ankle and knee motorized orthosis | |
| KR20190136346A (en) | Auxiliary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of ankle | |
| Shin et al. |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balance of hemiplegic stroke patients | |
| Wang et al. | Design and experimental evaluation of wearable lower extremity exoskeleton with gait self-adaptivity | |
| Itoh et al. | Ankle training robot force visualization for eccentric contraction training | |
| Farzaneh et al. | The effects of fatigue on rear foot angle in normal and pronate individual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2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205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05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