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6572B1 - A folding table - Google Patents

A folding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572B1
KR102216572B1 KR1020200106691A KR20200106691A KR102216572B1 KR 102216572 B1 KR102216572 B1 KR 102216572B1 KR 1020200106691 A KR1020200106691 A KR 1020200106691A KR 20200106691 A KR20200106691 A KR 20200106691A KR 102216572 B1 KR102216572 B1 KR 102216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upper plate
top plate
connecting rod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to KR102020010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5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57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00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 A47B5/04Suspended or hinged panels forming a table; Wall table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47B2003/0835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being superimposed, hinged and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47B2003/145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with folding table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부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개구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 가능함은 물론 상판의 접이식 개폐를 허용하는 제반 구성이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에 기여하며, 나아가 기존 대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잠금과 해지 기능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접이 기능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에 관한 것으로, 상판(10);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20);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40);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는 힌지유닛(1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설정 범위 내에서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장되는 컨트롤부(700);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고, 컨트롤부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해당 위치 변화에 기인하여 상판 선단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2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닛(3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서랍(60)의 위치 구속을 유지하는 지지부재(400) 및 거치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랍(60)은 지지부재(400)에 의해 후단이 구속된 상태로 거치부재(500)를 기반으로 한 승강 움직임이 보장됨에 따라 상판과 중첩되거나 설정 거리 이격되면서 상판과의 간극이 조절 내지 가변되게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to the user's convenience increase a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starting from the leg portion can be implemented smoothly, as well as the improved structure that allows the fold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plate. The locking and unlocking functions are made more efficient based on the reliable position control, maximizing the value of the folding function, as well as the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maintenance, etc. It relates to a lever-linked folding table (1) that maximizes convenience or efficiency in use, the top plate (10); Legs 20 that are installed back and forth to corresponding points to support the upper plate; Connecting rods 40 interposed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for the joint of the leg portion located front and rear; A hinge unit (100) for managing a rotational movement such that an upward rotation of the front end is allowed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A control unit 700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o ensure a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within a set range; While ens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by binding with the hinge unit, a set distance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rod or positioned overlapping, and it determines whether the upper plate tip is constrained or not due to the change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based on the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of the control unit. A control unit 300 including an operation member 200 for arbitrarily manipulating whether or not to be restrained based on the connecting rod as it is horizontally slid in a variable position by elasticity; Includes; a support member 400 and a mounting member 500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o maintain the positional constraint of the drawer 60, wherein the drawer 60 is in a state where the rear end is constrained by the support member 400 As the lifting movement based on the mounting member 500 is guaranteed, the gap with the top plate is adjusted or changed while being overlapped with the top plate or separated by a set distance.

Description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A FOLDING TABLE}Lever-linked folding table{A FOLDING TABLE}

본 발명은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부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개구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 가능함은 물론 상판의 접이식 개폐를 허용하는 제반 구성이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에 기여하며, 나아가 기존 대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잠금과 해지 기능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접이 기능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multipurpose folding table, and more specifically,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with the leg portion as the starting point can be implemented smoothly, as well as the overall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folding and opening of the upper plate is provided in an improved structure. This contributes to the user's convenience increase. Furthermore, the locking and unlocking functions are performed more efficiently based on more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It relates to a lever-linked folding table that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r efficiency in use due to the ease of handling and us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통상 테이블이라 함은 물건을 올려놓기 위하여 만든 가구의 통칭 개념으로, 강의실이나 회의실, 응접실 등 다수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나 구조 또한 소비자 요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흔히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상판을 상측에 형성하고, 해당 상판 저면으로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고정 형성됨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 table is a generic concept of furniture made to place objects, and is used for a number of purposes, such as a lecture room, a conference room, and a reception room, and its shape and structure are also provided in various ways to meet consumer demand. In such a table, a top plate on which objects can be placed is usu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 leg supporting the top plat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전술한 것과 같은 구조의 테이블은 다리가 고정되는 고정식과 다리 또는 상판이 폴딩되는 접이식으로 구별된다.Table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re divided into a fixed type in which legs are fixed and a folding type in which legs or upper plates are folded.

이 중 다리가 고정되는 고정식 테이블의 경우 상판에 가해지는 많은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는 곳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는바,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을 보유하고 있지만 고정 타입의 다리로 인해 부피가 상당하므로 다수의 테이블을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서는 보다 확장된 공간을 필요로 하는 폐단이 초래된다.Among them, a fixed table with fixed legs can support a large amount of weight applied to the top plate, so it is effectively used in places where a relatively significant load is applied. As is considerable, it causes a problem that requires a more extended space in order to store or transport a large number of tables.

반면,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 혹은 다리를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므로 고정식 테이블에 비해 부피 축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예컨대 종래의 접이식 테이블은 공개특허 제10-2003-22127호와 특허등록 제10-774107호 등에서 게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ding tabl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volume compared to the fixed table because it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late or the legs can be folded. For example, the conventional folding tabl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3-22127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774107. It is published in issues such as.

여기서 기존 접이식 테이블은 상판의 하측을 다리 상측에 구비된 끼움소켓 등에 탄성적으로 억지 끼움 결합하는 구조가 대다수이며, 이러한 구성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결합력이 약해짐에 따라 상판이 쉽게 유동하거나 흔들리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유발될 뿐 아니라 탄성으로 억지 끼움된 상판을 접기 위해 들어올리는 힘이 비교적 상당하므로 접이를 위한 작동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Here, most of the existing folding table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is elastically forced into a fitting socke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g, and this configuration is a fatal problem in which the upper plate easily flows or shakes as the coupling force weakens due to long-term use. In addition to causing th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fting force for folding the upper plate forcibly inserted by elasticity is relatively significant, so that the feeling of operation for folding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종래 접이식 테이블의 제반 구성은 잠금이나 잠금 해지 행위가 원활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크고 작은 불편을 야기하고, 더욱이 1인이 아닌 2인 이상의 다인용으로 제공되는 테이블의 경우 상판의 크기 및 무게가 상당한바, 이러한 상판을 보다 쉽게 조작하여 사용 편의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개선된 타입의 접이식 테이블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folding table causes large and small inconveniences to the user due to the inability to lock or unlock the table. Moreover, in the case of a table provided for multi-person use rather than one, the size and weight of the top plate are considerable. Bar,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type of folding table that can contribute to ease of use by more easily manipulating the top plate.

공개특허공보 제10-2003-22127호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3-22127 등록특허공보 제10-0774107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74107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접이 기능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면서도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이 수반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a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lever-linked folding type that maximizes the utilization value of the folding function due to the various configuration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s, while the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is accompanied. Providing a table is the task to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은 고정 거치식으로 일관하던 서랍의 운용 형태에서 벗어나 사용자 선택에 의해 손쉽게 서랍의 위치를 승강 유도할 수 있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r-linked folding table that can easily move up and down the position of the drawer by user selection, out of the form of operation of the drawer that was consistent with the fixed mounting type.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한 잠금 해지 기능이 더욱 편의하고 신속 정확하게 조절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problem to provide a lever-linked folding table in which the lock release function based on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is more convenient and quickly and accurately adjusted.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configuration of the lever-linked folding table 1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상기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은 상판(10);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20);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40);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는 힌지유닛(1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설정 범위 내에서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장되는 컨트롤부(700);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고, 컨트롤부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해당 위치 변화에 기인하여 상판 선단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2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닛(3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서랍(60)의 위치 구속을 유지하는 지지부재(400) 및 거치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랍(60)은 지지부재(400)에 의해 후단이 구속된 상태로 거치부재(500)를 기반으로 한 승강 움직임이 보장됨에 따라 상판과 중첩되거나 설정 거리 이격되면서 상판과의 간극이 조절 내지 가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ver-linked folding table (1) includes a top plate (10); Legs 20 that are installed back and forth to corresponding points to support the upper plate; Connecting rods 40 interposed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for the joint of the leg portion located front and rear; A hinge unit (100) for managing a rotational movement such that an upward rotation of the front end is allowed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A control unit 700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o ensure a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within a set range; While ens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by binding with the hinge unit, a set distance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rod or positioned overlapping, and it determines whether the upper plate tip is constrained or not due to the change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based on the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of the control unit. A control unit 300 including an operation member 200 for arbitrarily manipulating whether or not to be restrained based on the connecting rod as it is horizontally slid in a variable position by elasticity; Includes; a support member 400 and a mounting member 500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o maintain the positional constraint of the drawer 60, wherein the drawer 60 is in a state where the rear end is constrained by the support member 400 As the lifting movement based on the mounting member 500 is guarante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with the top plate is adjusted or changed while being overlapped with the top plate or separated by a set distance.

또한,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판(10) 저부와의 핀 결합으로 설정 범위 내에서 서랍(60)의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고, 상기 거치부재(500)는 상판 저부에서 하향 결합되고, 서랍 양측에 대응 형성한 커넥터(61)의 수직선상 위치를 상하 제어하면서 서랍의 승강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400 allows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drawer 60 within a set range by pin coupling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mounting member 500 is couple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both sides of the draw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of the drawer is guided while controll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nnector 61 formed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ine.

또한, 상기 거치부재(50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어 커넥터(61) 내부로 끼움 개재되는 가이드부(510); 가이드부 단부를 일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여 커넥터의 하강 위치를 제어하는 절곡편(530); 가이드부 상에 돌출 형성되고 자체 보유한 탄성력에 기인하여 커넥터의 승강 위치를 제어하는 탄지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50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guide portion 510 inserted into the connector 61; A bent piece 530 for controlling the lowered position of the connector by bending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in one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otruding formed on the guide portion and controlling the elevating position of the connector due to the self-retaining elastic force.

또한,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 상에는 컨트롤부의 위치 전환으로 자체 회전하면서 제어유닛 내부의 조작부재(200) 위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조작바(800)가 수평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control unit 300, a control bar 800 for inducing a position change of the operation member 200 inside the control unit while rotating itself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is horizontally interposed. do.

또한,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은 서로 상판(10)의 동일선상 저부에 형성되어 상판 중앙 저부에서 위치 전환된 컨트롤부에 기인하여 조작바(800)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조작바 양단에 중첩하던 조작부재(200)가 제어유닛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연결대(40)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결속 여부가 임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control unit 30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0 on the same line, and are operated by inducing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bar 800 due to the control unit shifted in position at the center bottom of the top plate. As the operating member 200 overlapping both ends of the bar is changed in the front and rear slide positions inside the control unit, whether or not the upper plate is bound with the connecting rod 40 as a starting point is arbitrarily controlled.

또한, 상기 조작바(800)는 중심과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툴(810)과 가압툴(820)을 구분 형성하되, 상기 회전툴(810)은 컨트롤부(7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확보하고, 상기 가압툴(820)은 회전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인하여 조작부재(200)를 일 방향으로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bar 800 separates the rotation tool 810 and the pressure tool 820 at the center and both ends, respectively, but the rotation tool 810 works while being seated on the control unit 7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orbiting movement is secured, and the pressing tool 820 presses the operation member 200 in one direction due to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tating tool.

또한, 상기 컨트롤부(700)는 상판(10) 저부에 결부되고, 회전툴(81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평 개재하는 거치프레임(710); 거치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 개재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확보하고, 조작바의 회전툴이 끼움 개재되는 이동블록(7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블록(720)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방으로의 위치 전환 시 거치프레임(710) 내부에 수용된 회전툴(8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a mounting frame 710 horizontally interposed with the operation bar 800 in which the rotary tool 810 is integrated; I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moving block 7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side the mounting frame to secure the front and rear slide mobility, and the rotating tool of the operation bar is inserted, but the moving block 720 moves forward by user sel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duce rotation of the rotation tool 81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frame 710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또한,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판(10)의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설정 거리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고, 격자형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 편성하여 상판 저부에 고정 체결되며, 가압툴(82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용하는 바디(310); 바디 내부에 끼움 개재되어 이동블록(720)의 위치 선정 혹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보유함에 따라 연결대(40)의 스토퍼(41)로부터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조작부재(200); 바디 후단에서 힌지유닛(100)과 측부 결합되고 상판 유동 시 회전 움직임이 실시되는 회동부(330); 조작부재가 수용된 바디의 상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3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is formed to extend corresponding to the set distanc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10, and is fixedly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by dividing the inner space in a grid shape, and the pressing tool 820 is A body 310 accommodating the integrated operation bar 800; An operation member 200 that is interposed in the body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nterference is determined from the stopper 41 of the connecting rod 40 as the movement block 720 has a position selection or a user's selection. A rotation part 330 that is side-coupled with the hinge unit 100 at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performs rotational movement when the upper plate flow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ver body 340 that block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n which the operation member is accommodat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710)은 이동블록(720)의 내부 수용을 위하여 인입홀(711)이 형성되고 이동블록의 전후 슬라이드 공간을 확보하는 몸체(712); 몸체 상에서 입설되어 탄성체(714)의 일단을 구속하는 격벽(715); 일단은 격벽에 구속되고 타단은 이동블록 내면에 구속되어 이동블록의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하여 신축 작용하는 탄성체(7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frame 710 includes a body 712 having an inlet hole 711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moving block 720 and securing a slide space before and after the moving block; A partition wall 715 which is installed on the body and constrains one end of the elastic body 714; One end is constrained by the partition wall and the other end is constra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so that the elastic body 714 stretches and contracts due to the slid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또한, 상기 이동블록(720)은 거치프레임(710)에 일단이 구속된 탄성체(714)의 타단을 결속시켜 거치프레임 내부에서의 수평 이동에 의해 탄성체의 신축을 유도하는 고정체(721); 고정체 선단에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손잡이(722); 조작바의 회전툴(810)을 끼움 수용하기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홀(7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block 720 includes a fixing body 721 that binds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714 whose one end is constrained to the mounting frame 710 to induc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astic body by horizontal movement within the mounting frame; A handle 722 provided in a curved shape at the front end of the fixtur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ut-out hole 723 which is cut into a round shape to accommodate the rotating tool 810 of the operation bar.

또한, 상기 연결대(40)는 조작부재(200)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41)가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200)는 사용자의 당김 행위에 의해 스토퍼(41)로부터 탈거되면서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기인하여 스토퍼와 중첩 개재되면서 상판의 위치 구속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40 includes a stopper 4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ember 200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and the operation member 200 is formed from the stopper 41 by the user's pulling a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10 is allowed to rotate upward while being removed, or is interposed with the stopper due to a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thereby inducing a positional restriction of the upper plate.

또한, 상기 조작부재(200)는 바디(310) 내부의 설정 공간으로 인입하여 끼움되는 고정블록(210); 고정블록으로부터 내측이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바디 선단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0); 손잡이와 고정블록의 경계선상에서 하향 연장되고, 손잡이 회동에 의해 스토퍼(41)와의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240); 고정블록 내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프링(250)의 양단을 거치 고정하는 거치홀(2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member 200 may include a fixed block 210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a setting space inside the body 310; A handle 230 extending from the fixed block in a curved shape and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A hook-shaped locking piece 240 extending downward on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handle and the fixing block and determining whether to interfere with the stopper 41 by rotating the handle; It is formed as an independent space in the fixing block,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mounting holes 220 for mounting and fixing both ends of the spring 250.

또한, 상기 바디(310)는 걸림편(240)을 인입시켜 하향 인출되게 허용하는 상하 관통의 제1공간부(311); 고정블록(210)의 내부 개재를 유도하고 고정블록을 일 방향 가압하기 위하여 가압툴(820)이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2공간부(312);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 공간에 입설되어 스프링(250)의 어느 일단을 거치 고정하는 격벽(3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310 includes a first space part 311 of vertical penetration allowing the locking piece 240 to be pulled in and pulled out downward; A second space part 312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tool 820 is in close contact in order to induce interposition of the fixed block 210 and press the fixed block in one direction; It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rtition wall 313 that mounts and fixes one end of the spring 250.

또한, 상기 힌지유닛(100)은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과, 제어유닛의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과,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는 환형의 지지편(122);과,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와,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inge unit 100 includes a casing 110 that separates and guides the connecting rod 40 and the leg portion 20 from the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d a guide frame 120 extending diagonally upward of the casing; And, a binding means 170 interpos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guide frame and the rotating portion of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guide frame 120 is a receiving hole 121 formed into a hollow of a set diameter; And, of the receiving hole An annular support piece 122 installed from the center; And, an annular binding rod 123 that extends out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iece to allow the binding means 170 via the rotation part 330 to be drawn into the inside. And, it is received in the gap between the binding table and the support piece, the rolling means 150 for manag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또한, 상기 케이싱(110)은 설정 범위로 측방 연장되는 끼움편(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편(111)은 다리부(20) 상간에 배열되는 지지횡바(30)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여 가림판(50)이 기립 고정되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ing 110 includes at least one additional fitting piece 111 extending laterally to a set range, and the fitting piece 111 is a horizontal support bar 30 arranged between the legs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position of the) is allowed to induce the shielding plate 50 to be standing and fixed.

또한, 상기 가림판(50)은 지지횡바(30) 상에서 거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51)를 수단으로 위치 고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eening plate 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fixed by means of at least one or more assemblies 51 mounted and fixed on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한편, 상기 제어유닛(300)의 바디(310)는 힌지유닛(100)의 케이싱(110) 상에 일단이 결부된 실린더(190)의 개재가 허용되는 실린더홀과, 상판의 저부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바(90)가 끼움 체결되는 계단형의 보강바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310 of the control unit 300 has a cylinder hole that allows the interposition of the cylinder 190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casing 110 of the hinge unit 100, and is transversely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ep-shaped reinforcing bar hole to which the reinforcing bar 90 is fitted is further formed.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어유닛(300)은 힌지유닛(100)과 결부되어 상판(10)의 선회 움직임을 보장하고, 조작부재(200)가 선단에 결부되면서 상판의 잠금 여부를 임의 제어하며, 측부에 구분 형성한 보강바홀 및 실린더홀로 인해 보강바와 실린더의 개입이 허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with the hinge unit 100 to ensur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upper plate 10, and controls whether the upper plate is locked while the operation member 200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ar and cylinder holes formed separately on the side are configured to allow the reinforcing bar and the cylinder to interven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부를 비롯한 제어유닛, 조작부재, 힌지유닛 등의 제반 구성으로 인해 상판의 접이 기능이 원활하게 구현될 뿐 아니라 각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작동에 기인하여 상판 접이와 관련한 모든 움직임 내지 위치 제어가 오차 없이 정밀 정확하게 달성되므로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the folding function of the top plate is smoothly implemented due to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the operating member, and the hinge unit, but also the folding of the top plate due to the organic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t is effective because all movement or position control related to the is achieved precisely and precisely without errors.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잠금과 잠금 해지의 관련 행위가 기존 대비 편의하고 효율적으로 달성되며, 상판의 개구를 관장하는 컨트롤부, 힌지유닛과 조작부재의 정확성, 서랍의 승강을 보장하는 거치부재와 지지부재의 제반 구성, 그리고 제어유닛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므로 상판의 접이 기능 시 조작의 간편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unit that governs the opening of the top plate,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top plate, the accuracy of the hinge unit and the operation member, and a mounting member that ensures the lifting of the drawer and Since it is based on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by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unit, there is an effect of satisfying the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at the same time when the upper plate is folded.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antages of securing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maintenance, etc. are also expected as these configurations are extremely simplified and closely organically implement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의 결합관계를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유닛과 힌지유닛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유닛과 힌지유닛의 실시 양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트롤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제어유닛과 조작부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조작부재의 저면 사시도.
도 9 내지 1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트롤부와 조작부재로 인해 상판이 상하 개구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구분하여 도시한 실시 양태도.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랍의 운용 형태를 상세 도시한 요부 사시도 및 실시 양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r-linked folding table configur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main portion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nd a hinge uni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side views showing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control unit and the hinge uni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 memb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ng memb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to 14 are exemplary embodiments showing that the upper plate can be opened up and down due to the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memb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are perspective views and embodiments of main parts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on mode of the draw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tion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However, this embodiment allow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entire specification.

본 발명은 접이식 테이블(1)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with respect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folding table (1).

무엇보다 본 발명은 다리부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개구 동작이 원활하게 구현 가능함은 물론 상판의 접이식 개폐를 허용하는 소정의 락킹수단이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에 기여하며, 나아가 기존 대비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잠금과 해지 기능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접이 기능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기존 대비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에 관련됨을 주지한다.Above all, 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to the user's convenience increase as a predetermined locking means that allows the folding and opening of the upper plate to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in an improved structure, as well as the ability to smoothly implemen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based on the leg part. In addition to maximizing the value of use of the folding function, such as locking and unlocking functions are performed more efficiently based on more stable and reliable position control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handling, use, maintenance, maintenance, etc. are easy, etc. It should be noted that it relates to the lever-linked folding table 1 that maximize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r efficiency in use.

도 1 내지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은 소정 형상의 제어유닛(300), 힌지유닛(100), 조작부재(200), 그리고 컨트롤부(700) 및 조작바(800)의 상호 작용으로 서로 긴밀한 작동관계가 성립한다.1 to 17, the lever-linked folding table 1 proposed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300 of a predetermined shape, a hinge unit 100, an operation member 200, and a control unit ( 700) and the interaction of the control bar 800 establishes a close work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이와 관련하여 상세 기재하면, 상기 상판 접이식 다목적 테이블(1)은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입설되는 다리부(20)와,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개재되는 연결대(40)와,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하는 힌지유닛(100)과, 조작부재(200)를 선단에 내재한 상태로 힌지유닛과 상호 결부되는 제어유닛(300)의 구성을 전제로 한다. In this regard, the folding multi-purpose table 1 includes an upper plate 10, a leg 20 installed at a corresponding location to support the upper plate, and a connecting rod interposed for the joint of the front and rear legs. (40) And the hinge unit 100 to allow the upward rotation of the front end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and the control unit 300 mutually connected with the hinge unit with the operating member 200 embedded in the front end. It assumes the composition.

즉 본 발명에서는 상판 저부에 체결되고 설정 범위 내에서 탄성에 의한 형태 변형으로 연결대와의 결속 여부가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부재(200)와,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연결대와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면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는 설정 형상의 제어유닛(300);과, 상판 후단에서 수직 거치되는 가림판(50);이 부가 구성되고, 특히 조작부재의 위치 전환을 유도하는 컨트롤부(700) 및 조작바(800)가 채택됨으로써 기존과 차별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peration member 200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be bound with the connecting rod is determined by elasticity within a set rang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connecting rod is changed by being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 control unit 300 having a set shape for ens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And, a screening plate 50 vertically moun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is additionally configured, and in particular, a control unit 700 for inducing a position change of the operation member and By adopting the operation bar 800,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one.

더욱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1)은 상판(10);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20);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40);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는 힌지유닛(1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설정 범위 내에서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장되는 컨트롤부(700);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고, 컨트롤부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해당 위치 변화에 기인하여 상판 선단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2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닛(300);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서랍(60)의 위치 구속을 유지하는 지지부재(400) 및 거치부재(500):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lever-linked folding table 1 includes a top plate 10; Legs 20 that are installed back and forth to corresponding points to support the upper plate; Connecting rods 40 interposed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for the joint of the leg portion located front and rear; A hinge unit (100) for managing a rotational movement such that an upward rotation of the front end is allowed from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A control unit 700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o ensure a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within a set range; While ens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by binding with the hinge unit, a set distance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rod or positioned overlapping, and it determines whether the upper plate tip is constrained or not due to the change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based on the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of the control unit. A control unit 300 including an operation member 200 for arbitrarily manipulating whether or not to be restrained based on the connecting rod as it is horizontally slid in a variable position by elasticity;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400 and a mounting member 500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o maintain the positional constraint of the drawer 60.

여기서 상기 서랍(60)은 지지부재(400)에 의해 후단이 구속된 상태로 거치부재(500)를 기반으로 한 승강 움직임이 보장됨에 따라 상판과 중첩되거나 설정 거리 이격되면서 상판과의 간극이 조절 내지 가변되게 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Here, the drawer 60 overlaps with the top plate or is separated by a set distance as the rear end is constrained by the support member 400 and the lifting movement based on the mounting member 500 is ensured, so that the gap with the top plate is adjusted or Making it variable is the main part.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판(10) 저부와의 핀 결합으로 설정 범위 내에서 서랍(60)의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고, 상기 거치부재(500)는 상판 저부에서 하향 결합되고, 서랍 양측에 대응 형성한 커넥터(61)의 수직선상 위치를 상하 제어하면서 서랍의 승강이 유도되게 구성한다.The support member 400 allows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drawer 60 within a set range by pin coupling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mounting member 500 is coupled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corresponds to both sides of the drawer. While controll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ormed connector 61 up and down, the drawer is configured to induce elevation.

또한, 상기 거치부재(500)는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어 커넥터(61) 내부로 끼움 개재되는 가이드부(510); 가이드부 단부를 일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여 커넥터의 하강 위치를 제어하는 절곡편(530); 가이드부 상에 돌출 형성되고 자체 보유한 탄성력에 기인하여 커넥터의 승강 위치를 제어하는 탄지부(520);로 구분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50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guide portion 510 inserted into the connector 61; A bent piece 530 for controlling the lowered position of the connector by bending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in one direction; It is formed by protruding on the guide portion and is divided into a tanji portion 520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position of the connector due to the elastic force held by itself.

이때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 상에는 컨트롤부의 위치 전환으로 자체 회전하면서 제어유닛 내부의 조작부재(200) 위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조작바(800)가 수평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on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control unit 300, an operation bar 800 for induc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operation member 200 inside the control unit while rotating itself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is horizontally interposed. .

특히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은 서로 상판(10)의 동일선상 저부에 형성되어 상판 중앙 저부에서 위치 전환된 컨트롤부에 기인하여 조작바(800)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조작바 양단에 중첩하던 조작부재(200)가 제어유닛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연결대(40)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결속 여부가 임의 제어된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control unit 30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0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and induce the rotation of the control bar 800 due to the control unit that is changed in position at the center bottom of the top plate. As the operating members 200 overlapping at both ends change the position of the front and rear slides inside the control unit, whether or not the upper plate is bound with the connecting rod 40 as a starting point is arbitrarily controlled.

또한, 상기 조작바(800)는 중심과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툴(810)과 가압툴(820)을 구분 형성하되, 상기 회전툴(810)은 컨트롤부(7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확보하고, 상기 가압툴(820)은 회전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인하여 조작부재(200)를 일 방향으로 가압되게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bar 800 separates the rotation tool 810 and the pressure tool 820 at the center and both ends, respectively, but the rotation tool 810 works while being seated on the control unit 700. The direction orbiting movement is secured, and the pressing tool 820 presses the operation member 200 in one direction due to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tating tool.

상기 컨트롤부(700)는 상판(10) 저부에 결부되고, 회전툴(81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평 개재하는 거치프레임(710); 거치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 개재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확보하고, 조작바의 회전툴이 끼움 개재되는 이동블록(7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블록(720)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방으로의 위치 전환 시 거치프레임(710) 내부에 수용된 회전툴(8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a mounting frame 710 horizontally interposed with the operation bar 800 in which the rotary tool 810 is integrated; I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moving block 7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side the mounting frame to secure the front and rear slide mobility, and the rotating tool of the operation bar is inserted, but the moving block 720 moves forward by user selection. It is configured to induce rotation of the rotation tool 81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frame 710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판(10)의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설정 거리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고, 격자형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 편성하여 상판 저부에 고정 체결되며, 가압툴(82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용하는 바디(310); 바디 내부에 끼움 개재되어 이동블록(720)의 위치 선정 혹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보유함에 따라 연결대(40)의 스토퍼(41)로부터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조작부재(200); 바디 후단에서 힌지유닛(100)과 측부 결합되고 상판 유동 시 회전 움직임이 실시되는 회동부(330); 조작부재가 수용된 바디의 상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340);로 구분 구성된다.Here, the control unit 300 is formed to extend corresponding to the set distanc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10, and is fixedly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by dividing the inner space in a grid shape, and the pressing tool 820 is integrated. A body 310 accommodating the manipulated bar 800; An operation member 200 that is interposed in the body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nterference is determined from the stopper 41 of the connecting rod 40 as the movement block 720 has a position selection or a user's selection. A rotation part 330 that is side-coupled with the hinge unit 100 at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performs rotational movement when the upper plate flows; It is divided into a cover body 340 that block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n which the operation member is accommodate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710)은 이동블록(720)의 내부 수용을 위하여 인입홀(711)이 형성되고 이동블록의 전후 슬라이드 공간을 확보하는 몸체(712); 몸체 상에서 입설되어 탄성체(714)의 일단을 구속하는 격벽(715); 일단은 격벽에 구속되고 타단은 이동블록 내면에 구속되어 이동블록의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하여 신축 작용하는 탄성체(714);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unting frame 710 includes a body 712 having an inlet hole 711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moving block 720 and securing a slide space before and after the moving block; A partition wall 715 which is installed on the body and constrains one end of the elastic body 714; One end is constrained by the partition wall and the other end is constra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block, so that the elastic body 714 expands and contracts due to the slide movement of the movable block.

상기 이동블록(720)은 거치프레임(710)에 일단이 구속된 탄성체(714)의 타단을 결속시켜 거치프레임 내부에서의 수평 이동에 의해 탄성체의 신축을 유도하는 고정체(721); 고정체 선단에 만곡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손잡이(722); 조작바의 회전툴(810)을 끼움 수용하기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절개홀(723);로 구분 구성된다.The movable block 720 includes a fixing body 721 that binds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714 having one end constrained to the mounting frame 710 to induc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astic body by horizontal movement inside the mounting frame; A handle 722 provided in a curved shape at the front end of the fixtur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It is divided into a cut-out hole 723 formed in a round shape to accommodate the rotation tool 810 of the operation bar.

여기서 상기 연결대(40)는 조작부재(200)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41)가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200)는 사용자의 당김 행위에 의해 스토퍼(41)로부터 탈거되면서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기인하여 스토퍼와 중첩 개재되면서 상판의 위치 구속이 유도된다.Here, the connecting rod 40 includes a stopper 41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ember 200, and the operation member 200 is removed from the stopper 41 by a user's pulling action. As a result, the upper plate 10 is allowed to rotate upward or is overlapped with the stopper due to a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thereby inducing a positional restriction of the upper plate.

상기 스토퍼(41)는 도면에 도시한 형상일 수 있으며, 기타 조작부재(200)의 걸림편(240)이 걸려 상판의 상향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형태이면 충분하다.The stopper 41 may have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 and it is sufficient if the stopper 41 is of a shape capable of preven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upper plate by catching the locking piece 240 of the other operation member 200.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상기 조작부재(200)는 바디(310) 내부의 설정 공간으로 인입하여 끼움되는 고정블록(210); 고정블록으로부터 내측이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바디 선단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0); 손잡이와 고정블록의 경계선상에서 하향 연장되고, 손잡이 회동에 의해 스토퍼(41)와의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240); 고정블록 내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프링(250)의 양단을 거치 고정하는 거치홀(220);로 구분 구성된다.The operation member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lock 210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a setting space inside the body 310; A handle 230 extending from the fixed block in a curved shape and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A hook-shaped locking piece 240 extending downward on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handle and the fixing block and determining whether to interfere with the stopper 41 by rotating the handle; It is formed as an independent space in the fixed block, and is divided into a mounting hole 220 for mounting and fixing both ends of the spring 250;

여기서 상기 바디(310)는 걸림편(240)을 인입시켜 하향 인출되게 허용하는 상하 관통의 제1공간부(311); 고정블록(210)의 내부 개재를 유도하고 고정블록을 일 방향 가압하기 위하여 가압툴(820)이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는 제2공간부(312);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 사이 공간에 입설되어 스프링(250)의 어느 일단을 거치 고정하는 격벽(313);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body 310 includes: a first space part 311 of vertical penetration allowing the locking piece 240 to be pulled in and pulled downward; A second space part 312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tool 820 is in close contact in order to induce interposition of the fixed block 210 and press the fixed block in one direction; It consists of a partition wall 313 which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pace part and the second space part to mount and fix one end of the spring 250.

한편, 상기 힌지유닛(100)은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과, 제어유닛의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unit 100 is a casing 110 for inducing the coupling by separating the connecting rod 40 and the leg portion 20 from the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And, a guide frame 120 extending diagonally upward of the casing; And, a binding means 170 interpos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guide frame and the rotating portion of the control unit; includes.

이때의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과,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는 환형의 지지편(122);과,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와,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guide frame 120 is a receiving hole 121 formed in a hollow of a set diameter; And, an annular support piece 122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hole; And, is formed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iece An annular binding unit 123 that allows the binding means 170 via the rotation unit 330 to be drawn into the inside; and a rolling means that is drawn in and received into the gap between the binding unit and the support piec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 150); consists of.

상기 케이싱(110)은 설정 범위로 측방 연장되는 끼움편(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편(111)은 다리부(20) 상간에 배열되는 지지횡바(30)의 끼움 개재를 허용하여 가림판(50)이 기립 고정되게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ing 110 includes at least one additional fitting piece 111 extending laterally to a set range, and the fitting piece 111 is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arranged between the legs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allowing the intervening to induce the shielding plate 50 to be standing and fixed.

또한, 상기 가림판(50)은 지지횡바(30) 상에서 거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체(51)를 수단으로 위치 고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reening plate 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fixed by means of at least one or more assemblies 51 mounted and fixed on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특히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제어유닛(300)은 힌지유닛(100)과 결부되어 상판(10)의 선회 움직임을 보장하고, 조작부재(200)가 선단에 결부되면서 상판의 잠금 여부를 임의 제어하며, 측부에 구분 형성한 보강바홀 및 실린더홀로 인해 보강바(90)와 실린더(190)의 개입이 허용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00 proposed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hinge unit 100 to ensur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upper plate 10, and optionally controls whether the upper plate is locked while the operation member 200 is attached to the tip. And, the intervention of the reinforcing bar 90 and the cylinder 190 may be allowed due to the reinforcing bar hole and the cylinder hole separately formed on the side.

무엇보다 상기 제어유닛(300)의 바디(310)는 힌지유닛(100)의 케이싱(110) 상에 일단이 결부된 실린더(190)의 개재가 허용되는 실린더홀(식별번호 없음)과, 상판의 저부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바(90)가 끼움 체결되는 계단형의 보강바홀(식별번호 없음)이 더 형성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Above all, the body 310 of the control unit 300 has a cylinder hole (no identification number) that allows the interposition of the cylinder 190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casing 110 of the hinge unit 100 and the upper plate The main feature is that a stepped reinforcing bar hole (no identification number) is further formed into which the reinforcing bars 90 arranged transversely at the bottom are fitted.

즉 본 발명에서는 단일 개소의 바디(310)로 인해 상판(10)의 안정적인 개구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조작부재(200)의 간편한 취급을 허용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판 개구 시 하중에 의하여 불편이 초래되지 않도록 소정의 실린더가 연동 제어되는 구조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able opening movement of the upper plate 10 is possible due to the body 310 at a single location, and since the operation member 200 is easily handled, bett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cylinder is interlocked and controlled so that inconvenience is not caused by a load when opening.

결과적으로 상판의 접이 기능과 관련한 모든 메커니즘이 본 발명의 제어유닛(300)을 통해 일체화 혹은 관장되는 구조인바, 힌지유닛(100)과 결부되는 회동부(330) 및 컨트롤부(700)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재(200) 등을 별도의 공간이 아닌 하나의 바디(310) 전후 공간상으로 긴밀하게 결부시켜 운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 대비 공간의 효율성은 물론 작동성에 정확도를 배가시킨다.As a result, all mechanisms related to the folding function of the upper plate are integrated or manag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operated by the pivoting unit 330 and the control unit 700 connected to the hinge unit 100 Since the operating member 200 and the like can be closely connected to the space before and after one body 310 rather than a separate space, the accuracy of the space as well as the operability is doubled compared to the existing space.

이하, 상기에서 전술한 제반 구성의 상세 기능 및 역할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tailed functions and roles of all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상판(10)과 다리부(20)는 통상의 것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다리부(20)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방에 위치한 다리에 비해 후방에 위치한 다리를 다소 협소한 이격 공간으로 형성하여 추후 테이블의 적재 시 다리에 의해 간섭됨이 없이 서로 포개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Since the upper plate 10 and the leg portion 20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of a conventional on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ut the leg portion 20 is a leg located at the rear compared to the leg positioned in the front as shown in the drawing. By forming a somewhat narrow space, it is possible to overlap each other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legs when the table is loaded later.

즉, 후방 다리가 전방 다리에 비해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테이블 간의 적재가 요구될 경우 타 테이블의 후방 다리가 해당 전방 다리를 지나 개재될 수 있으므로 테이블의 이격 없는 포갬이 안정감 있게 유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ar leg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gap than the front leg, so that when loading between tables is required, the rear leg of the other table can be interposed past the front leg, so that the overlapping of the table can be induced with a sense of stability.

상기 지지횡바(30)는 다리부 상간으로 횡단 개재됨으로써 자체 하중 혹은 외부 요인에 의해 비틀리거나 형태 변형되지 않게 보강하기 위한 제반 구성이다.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is an overall configuration for reinforcing it so that it is not twisted or deformed by its own load or external factors by being transversely interposed between the legs.

이때 본 발명에서는 지지횡바(30)를 체결함에 있어 소정의 힌지유닛(100)을 수단으로 하여 끼움 결부 가능한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추후 기술할 가림판(50)의 거치 공간으로도 활용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is fastened, a predetermined hinge unit 100 is used as a mean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so that it is also utilized as a mounting space for the covering plate 50 to be described later.

예컨대 지지횡바(30)의 단면은 도면과 같이 원형 내지 타원형일 수 있으며, 기타 상광하협의 계단형으로 구비하여 측방 내지 하방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이나 외부 저항에 지지되게 하고, 이러한 지지횡바가 거치 고정되는 힌지유닛(100)의 해당 단면 또한 이와 동일하게 상광하협의 계단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the cross-sec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may be circular or elliptical as shown in the drawing,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tepped shape of other upper and lower narrow sides to be supported by shear force or external resistance acting from the side to the lower side, and such a horizontal support bar is mou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hinge unit 100 is also formed in a stepped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narrow sides in the same manner.

기타, 상판이 상대적으로 비대한 다인용 테이블의 경우 자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또 다른 보강바(90)의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에도 전술한 지지횡바의 결합구조와 같이 계단형의 보강바홀을 제어유닛의 바디 측부에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레버 연동형으로 조작부재를 제어하는 경우 이를 관장하는 소정의 조작바(800)를 거치 수용하기 위한 조작바홀 또한 제어유닛의 바디 측부에 부가 채용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ulti-seat table with a relatively large top plate, another reinforcing bar 90 may be intervened to support its own load, and even at this time, a step-shaped reinforcing bar hole is formed like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tructure of the horizontal support bar. It can be formed on the body side of the control unit, and furthermore, when the operation member is controlled in a lever-linked type, an operation bar hole for mount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bar 800 that manages it is also used in addition to the body side of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상기 연결대(40)는 도면과 같이 전방 다리부와 후방 다리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력이 발휘되게 한 구성요소로, 도면과 같이 양단을 하향 절곡시켜 인접하는 다리부 내부로 인입 결속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The connecting rod 40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front leg portion and the rear leg portion to each other to exert a supporting forc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adjacent leg portion by bending both ends downward as shown in the drawing. have.

또한, 이러한 연결대(40)는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 여부를 결정하는 잠금 기능이 더 부여되는바, 추후 기술할 조작부재(200)를 단순 걸림 타입으로 구속하여 잠금 유지할 수 있는 소정의 스토퍼(41)가 설정 범위 내에서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function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pper plate 10 moves upward, and a predetermined stopper capable of locking and holding the operation member 200 to be described later by a simple locking type. 41 is formed protruding within the set range.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제안하는 조작부재(200)는 사용자의 당김 행위에 의해 스토퍼(41) 외부로 탈거되면서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기인하여 스토퍼 공간으로 재차 개재되면서 상판의 위치 구속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The operation member 200 proposed as a concave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stopper 41 by the user's pulling action, while allowing the upward swing movement of the top plate 10 or re-entering the stopper space due to the resilience force due to elasticity. Its main purpose is to induce the positional restraint of the top plate while being interposed.

이러한 조작부재(200)는 자체적으로 당김 행위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상판 저부 중앙의 컨트롤부(700)에 의한 조작바(800)의 회전 움직임으로도 가능한바, 조작바의 위치 가변으로 조작부재가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상판의 잠금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operation member 200 can be self-pulling, as well a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peration bar 800 by the control unit 700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pper plate is locked by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상기 조작부재(200)는 제어유닛(300)과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발휘되면서 손잡이(230)의 활용 가치 내지 작동성을 극대화한다.To this end, the operation member 200 maximizes the utility value or operability of the handle 230 while stably exerting a coupling force with the control unit 300.

상기 손잡이(230)는 제어유닛을 기반으로 한 조작부재의 위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주된 구성으로, 설정 방향에 대해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된 외형적 특성에 의해 조작부재(200)의 원활한 사용 및 위치 제어의 정확성이 도모된다.The handle 230 is a main configuration that enables the position change of the operation member based on the control unit, and smooth use and position control of the operation member 200 by the external characteristic curved in a round shape with respect to the setting direction The accuracy of is promoted.

이러한 손잡이(230)는 도면과 같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이면 충분하고, 그 형태나 크기 등은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e 230 is sufficient as long as it has an area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and its shape or size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상기 걸림편(240)은 갈고리 형상으로 해당 단부가 절곡 형성되면서 연결대 측부에 돌출시킨 스토퍼(41)와 쉽게 간섭되거나 이탈되는 일련의 조작성이 확보되는바, 전술한 것처럼 스토퍼 상으로 걸림편의 수용 여부가 결정되는 조작 행위에 의해 상판의 상향 움직임이 제어되는 구조이다.The locking piece 240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its end is bent, and a series of operability that is easily interfer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stopper 4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connecting table is secured. As described above, whether or not the locking piece is accommodated on the stopper is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pward movement of the upper plate is controlled by the determined manipulation action.

즉, 본 발명의 조작부재(200)는 걸림편(240)이 스토퍼(41) 공간으로 중첩하여 구속되거나 혹은 슬라이드 움직임에 의해 이탈되게 하는 조작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위하여 특정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의 손잡이(230)를 채택하였으며, 조작부재의 고정블록(210) 상에 마련한 거치홀(220)은 이러한 손잡이의 반자동 슬라이드 움직임 또는 신축작용을 보장하기 위한 소정의 스프링(250)이 내부 체결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That is, the operation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having a shape curved in a specific direction for convenience and accuracy of operation in which the locking piece 240 overlaps and is constrained by the stopper 41 space or separated by a slide movement. (230) is adopted, and the mounting hole 220 provided on the fixing block 210 of the operation member is used as a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spring 250 is internally fastened to ensure the semi-automatic slide movement or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handle. do.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인 힌지유닛(100)은 후방에 위치한 다리부 상에서 연결대(40)와 일체화되고, 어느 특정 요소가 상판(10)과 결부되면서 해당 결부 지점을 기점으로 상판의 선단이 상향 개구되게 하는 제반 구성이다.The hinge unit 100, which is another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the connecting rod 40 on the leg located at the rear, and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with the upper plate 10 so that the tip of the upper plate is opened upward from the connection point. This is the overall composition.

이러한 힌지유닛(100)은 하나의 축을 횡단 배치하고 해당 축을 기반으로 회전 운용되면서 사용자에 의해 상판의 상향 움직임을 임의대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며, 이는 통상의 것과 유사 내지 동일하다.The hinge unit 100 is a means capable of arbitrarily controll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upper plate by the user while transposing one axis and rotating based on the corresponding axis, which is similar to or the same as a conventional one.

다만, 본 발명에서는 힌지유닛을 구성함에 있어 후단에 위치한 다리부(20)를 수단으로 기립되고, 제어유닛의 회동부(330)와 일체화됨에 따라 상판의 개구 움직임을 적극 구현하게 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the hinge unit, the leg portion 20 located at the rear end is used to stand up, and as it is integrated with the pivoting portion 330 of the control unit, the opening movement of the upper plate is actively implemented.

상기 힌지유닛(100)은 가이드프레임(120)을 기점으로 한 회동부(330)와 상판(10)의 상하 유동 시 상판의 자유로운 선회 움직임을 보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상판의 원활한 개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The hinge unit 100 guarantees a free rotational movement of the upper plate when the rotation part 330 and the upper plate 10 moves up and down with the guide frame 120 as a starting poin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a smooth opening operation of the upper plate. .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제안하는 컨트롤부(700)는 사용자 선택에 의한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으로 조작바(800)를 회전시키고, 조작바 회전에 의해 제어유닛(300) 내부에 위치된 조작부재(200)의 전후 위치 가변을 동시 유도하여 연결대(40)와의 구속 여부가 전환되게 함으로써 상판(10)의 상향 선회가 임의 제어되게 구성한다.The control unit 700 proposed as a main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operation bar 800 by a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by a user selection, and the operation member 200 located inside the control unit 300 by rotating the operation bar By simultaneously inducing a change i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to switch whether or not to be constrained with the connecting rod 40, the upward rotation of the upper plate 10 is arbitrarily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의 컨트롤부(700)와 조작부재(200)는 서로 상판(10)의 동일선상 저부에 형성되어 상판 중앙 저부에서 위치 전환된 컨트롤부에 기인하여 조작바(800)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조작바 양단을 구속하던 상판 양측 저부의 조작부재(200)가 전후 슬라이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연결대(40)를 기점으로 한 제어유닛의 결속 여부가 임의 제어되면서 상판의 상향 선회 움직임이 허용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operation memb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0 on the same line, and induce the rotation of the control bar 800 due to the control unit shifted in position at the center bottom of the top plate. As the operation members 200 at the bottom of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which were constraining both ends of the operation bar are changed in the front and rear slide positions, whether or not the control unit is bound with the connecting rod 40 as the starting point is arbitrarily controlled and the upward rotation movement of the upper plate is allowed. It is characterized.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부와 조작부재의 동시 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조작바를 더 제안하는바, 상기 조작바(800)는 중심과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툴(810)과 가압툴(820)을 3개소 구비하여 제어유닛 상에 위치된 조작부재의 일 방향 가압에 기여한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poses a predetermined operation bar for simultaneous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operation member. The operation bar 800 has a rotation tool 810 and a pressure tool 820 at the center and both ends, respectively. ) Is provided in three places to contribute to one-way pressuriz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located on the control unit.

이러한 조작바(800)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회전축과, 회전축 상에서 구분 배치되는 회전툴 및 회전축 양단에 구비되는 가압툴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툴은 회전축의 중앙에서 이동블록의 절개홀(723) 상에 수용된 상태로 작용하고, 가압툴은 조작부재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해당 조작부재를 가압하는 상태로 위치 전환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operation bar 800 may be divided into a single rotation axis, a rotation tool that is separately disposed on the rotation axis, and a pressure tool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axis. In this case, the rotation tool It acts in a state received on the cut-out hole 723, and the pressing tool is shifted to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pressed by rotation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erating member.

상기 컨트롤부(700)는 상판(10) 저부에 결부되고 회전툴(81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용하는 거치프레임(710)과, 거치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 개재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보유한 이동블록(7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and accommodates the operation bar 800 in which the rotating tool 810 is integrated, and the control unit 70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mounting frame to provide front and rear slide mobility.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e owned movement block 720.

이때 상기 이동블록(720)은 사용자 선택에 의한 전방으로의 위치 전환 시 절개홀(723) 상에 수용된 회전툴(8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At this time, the movement block 720 should be able to induce rotation of the rotation tool 810 accommodated in the cut-out hole 723 when the user selects the position to the front.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되고 있는 서랍(60)은 양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거치부재(500) 및 지지부재(400)에 의해 상판(10) 하방에서의 수평선상 위치가 고수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awer 6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position under the upper plate 10 by the mounting member 500 and the support member 40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both sides.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랍(60)은 상판(10) 후단의 저면에서 지지부재(400)를 수단으로 결속되어 설정 각도로 선회 움직임이 확보되는바, 이러한 지지부재의 위치 가변과 병행하여 거치부재(500)가 적극 활용된다.The drawer 6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ound by means of a support member 400 at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10 to secure a pivoting motion at a set angle, and in parallel with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a mounting member ( 500) is actively used.

즉 상기 지지부재(400)는 핀 결합에 의한 힌지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서랍의 선단이 상측 혹은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거치부재(500)는 도면과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서랍의 양측단을 구속한 상태에서 서랍의 승강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support member 400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hinge by pin coupling, the tip of the drawer may be opened upward or downward, and at this time, the mounting member 500 is provided in a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to It controls the lifting movement of the drawer while restraining both ends of the drawer.

상기 거치부재(500)의 탄지부(520)는 도면에서처럼 설정 구간 양단이 절개된 상태로 이루어져 커넥터(61)와의 간섭 시 쉽게 어느 일측으로 가압되는 제반 구성으로, 커넥터의 수평 위치가 고수될 수 있도록 탄지부 일면을 삼각 쐐기 형상의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anji portion 520 of the mounting member 500 is configur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setting section are cut open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easily pressed to one side when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or 61, so tha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connector can be adhered to.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one side of the tanji portion in a protruding shape of a triangular wedge shape.

상기 커넥터(61)는 서랍의 양측단에서 가이드부(51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홀이 구축되어야 하고, 가이드부의 상하 방향으로 서랍이 이동하는 경우 해당 커넥터가 탄지부(520)에 걸려 상승한 상태 그대로 위치 고수되거나 또는 절곡편(530)에 의해 서랍이 하강한 상태로 위치 고수될 수 있다.The connector 61 must have a hole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guide part 510 at both ends of the drawer, and when the drawer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guide part, the connector is caught by the tanji part 520 and rises. The position as it is, or the drawer may be held in a lowered state by the bent piece 530.

또한, 상기 가이드부(510)는 전술한 것처럼 하단에서 상단에 이를수록 그 면적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구비하여 커넥터(61)가 해당 상단에서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유도하는바, 이는 서랍의 보다 안정적인 위치 고수에 기여한다.In addition, the guide part 510 is provided in a shape that expands its area from the bottom to the top,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nnector 61 is forcibly fitted at the top, which is a more stable position of the drawer. Contribute to adherence.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재와 힌지유닛 등의 제반 구성으로 인해 상판의 접이 기능이 원활하게 구현될 뿐 아니라 각 구성요소의 유기적인 작동에 기인하여 상판 접이와 관련한 모든 움직임 내지 위치 제어가 오차 없이 정밀 정확하게 달성되므로 효과적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not only the folding function of the top plate is smoothly implemented due to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the operation member and the hinge unit, but also all movements or positions related to the folding of the top plate due to the organic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t is effective because control is achieved precisely and accurately without errors.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잠금과 잠금 해지의 관련 행위가 기존 대비 편의하고 효율적으로 달성되며, 서랍의 슬라이드 정확성과 상판의 개구를 관장하는 힌지유닛의 정확성, 그리고 조작부재의 구조적 특성에 의한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므로 상판의 접이 기능 시 조작의 간편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convenient and efficient than the existing actions related to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upper plate, the accuracy of the slide of the drawer, the accuracy of the hinge unit overseeing the opening of the upper plate, and stable and stabl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ng member. Since it is based on a certain position control, it has the effect of satisfying the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operation at the same time in the folding function of the top plate.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antages of securing ease of handling, use, maintenance, maintenance, etc. are also expected as these configurations are extremely simplified and closely organically implement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1. 테이블
10. 상판
20. 다리부
30. 지지횡바
40. 연결대
50. 가림판
60. 서랍
90. 보강바
100. 힌지유닛
200. 조작부재
300. 제어유닛
700. 컨트롤부
800. 조작바
1. Table
10. Top
20. Legs
30. Horizontal support bar
40. Connecting rod
50. Blanking plate
60. Drawers
90. Reinforcing bar
100. Hinge unit
200. Operation member
300. Control unit
700. Control part
800. Control bar

Claims (10)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응 개소로 전후 입설되는 다리부(20)와, 전후 위치된 다리부의 이음을 위하여 좌우 대응 개재되는 연결대(40)와, 상판의 후단을 기점으로 선단의 상향 선회가 허용되게 회전 움직임을 관장하는 힌지유닛(100)과,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설정 범위 내에서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장되는 컨트롤부(700)와, 힌지유닛과의 결속으로 상판의 개구 동작을 보장하면서 연결대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거나 중첩 위치되고, 컨트롤부의 전후 슬라이드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해당 위치 변화에 기인하여 상판 선단의 구속 여부를 결정하며, 내부 선단에서 탄성에 의한 위치 가변으로 수평 슬라이드 됨에 따라 연결대를 기반으로 한 구속 여부가 임의 조작되는 조작부재(200)를 포함하는 제어유닛(300)과, 상판 저부에 체결되어 서랍(60)의 위치 구속을 유지하는 지지부재(400) 및 거치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랍(60)은 지지부재(400)에 의해 후단이 구속된 상태로 거치부재(500)를 기반으로 한 승강 움직임이 보장됨에 따라 상판과 중첩되거나 설정 거리 이격되면서 상판과의 간극이 조절 내지 가변되게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0)는 상판(10) 저부와의 핀 결합으로 설정 범위 내에서 서랍(60)의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고,
상기 거치부재(500)는 상판 저부에서 하향 결합되고, 서랍 양측에 대응 형성한 커넥터(61)의 수직선상 위치를 상하 제어하면서 서랍의 승강이 유도되게 하되,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어 커넥터(61) 내부로 끼움 개재되는 가이드부(510)와, 가이드부 단부를 일 방향으로 절곡 형성하여 커넥터의 하강 위치를 제어하는 절곡편(530)과, 가이드부 상에 돌출 형성되고 자체 보유한 탄성력에 기인하여 커넥터의 승강 위치를 제어하는 탄지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The upper plate 10, the leg part 20 installed front and rear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support the upper plate, and the connecting rod 40 interposed in the left and right correspondence for the joint of the leg part positioned front and rear, and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The hinge unit 100 that controls the rotational movement to allow upward rotation, the control unit 700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to ensure the front and rear slide movement within the set range,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p plate by binding with the hinge unit While ensuring that the set distance is separated or overlapped from the connecting rod,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p of the top is restrained due to the change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based on the slide movement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control unit. A control unit 300 including an operating member 200 that is arbitrarily manipulated whether or not to be restrained based on the connecting rod, and a support member 400 and a mounting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o maintain the positional constraint of the drawer 60 ( 500), and the drawer 60 overlaps with the top plate or is separated by a set distance as the rear end is constrained by the support member 400 and the lifting movement based on the mounting member 500 is guaranteed. In the lever-linked folding table that allows the gap of the adjustable or variable,
The support member 400 allows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drawer 60 within a set range by pin coupling with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The mounting member 500 is coupled downwar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control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nnector 6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to induce elevation of the drawer, but is provided in an upper and lower narrow shape, so that the connector 61 is inside The guide portion 510 interposed between the member and the bent piece 530 that controls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connector by bending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in one direction, and the connector protruding from the guide por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held by itself. Lever-linked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anji portion 520 for controlling the lifting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 상에는 컨트롤부의 위치 전환으로 자체 회전하면서 제어유닛 내부의 조작부재(200) 위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조작바(800)가 수평 개재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700)와 제어유닛(300)은 서로 상판(10)의 동일선상 저부에 형성되어 상판 중앙 저부에서 위치 전환된 컨트롤부에 기인하여 조작바(800)의 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조작바 양단에 중첩하던 조작부재(200)가 제어유닛 내부에서 전후 슬라이드 위치 가변됨에 따라 연결대(40)를 기점으로 한 상판의 결속 여부가 임의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control unit 300, the operation bar 800 for induc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operation member 200 inside the control unit while rotating itself by the position change of the control unit is interposed horizontally,
The control unit 700 and the control unit 30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p plate 10 on the same line with each other to induce rotation of the control bar 800 due to the control unit that is positioned at the center bottom of the top plate 10 to induce rotation of the control bar at both ends. A lever-linked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operation member 200 overlapping with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front and rear slides inside the control unit, whether or not the upper plate is bound based on the connecting rod 40 is arbitrarily controll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바(800)는 중심과 양측 단부에 각각 회전툴(810)과 가압툴(820)을 구분 형성하되,
상기 회전툴(810)은 컨트롤부(700)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일 방향 선회 움직임을 확보하고,
상기 가압툴(820)은 회전툴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인하여 조작부재(200)를 일 방향으로 가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4,
The operation bar 800 is formed to separate the rotary tool 810 and the pressing tool 820 at the center and both ends, respectively,
The rotary tool 810 secures a one-way turning motion while seated on the control unit 700,
The pressing tool 820 is a lever-linked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member 200 is pressed in one direction due to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tating to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700)는,
상판(10) 저부에 결부되고, 회전툴(81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평 개재하는 거치프레임(710);
거치프레임 내부 공간에 삽입 개재되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확보하고, 조작바의 회전툴이 끼움 개재되는 이동블록(720);
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블록(720)은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방으로의 위치 전환 시 거치프레임(710) 내부에 수용된 회전툴(81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700,
A mounting frame 710 which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and interposed horizontally with the operation bar 800 in which the rotary tool 810 is integrated;
A moving block 720 that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side the mounting frame to secure the front and rear slide mobility, and to which the rotating tool of the operation bar is inserted;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e moving block 720 is a lever-linked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duce rotation of the rotation tool 810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frame 710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to the front by user se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00)은,
상판(10)의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설정 거리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되고, 격자형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 편성하여 상판 저부에 고정 체결되며, 가압툴(820)이 일체화된 조작바(800)를 수용하는 바디(310);
바디 내부에 끼움 개재되어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후 슬라이드 이동성을 보유함에 따라 연결대(40)의 스토퍼(41)로부터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조작부재(200);
바디 후단에서 힌지유닛(100)과 측부 결합되고 상판 유동 시 회전 움직임이 실시되는 회동부(330);
조작부재가 수용된 바디의 상방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커버체(3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300,
It is formed to extend corresponding to the set distance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top plate 10, and is fixedly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by dividing the inner space in a lattice shape, and accommodates the operation bar 800 in which the pressure tool 820 is integrated. A body 310;
An operation member 200 that is interposed inside the body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nterference is determined from the stopper 41 of the connecting table 40 as the user selects it to maintain the front and rear slide mobility;
A rotation part 330 that is side-coupled with the hinge unit 100 at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performs rotational movement when the upper plate flows;
A cover body 340 that blocks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accommodated from the outside;
Lever-linked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40)는 조작부재(200)를 단속하기 위한 스토퍼(41)가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재(200)는 사용자의 당김 행위에 의해 스토퍼(41)로부터 탈거되면서 상판(10)의 상향 선회 움직임을 허용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기인하여 스토퍼와 중첩 개재되면서 상판의 위치 구속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rod 40 includes a stopper 41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ember 200,
The operation member 200 is removed from the stopper 41 by the user's pulling action, allowing the upward swing movement of the top plate 10, or overlapping with the stopper due to the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thereby inducing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Lever-linked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200)는,
제어유닛(300)의 바디(310) 내부의 설정 공간으로 인입하여 끼움되는 고정블록(210);
고정블록으로부터 내측이 만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면서 바디 선단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30);
손잡이와 고정블록의 경계선상에서 하향 연장되고, 손잡이에 의해 연결대(40)의 스토퍼(41)와의 간섭 여부가 결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림편(240);
고정블록 내에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프링(250)의 양단을 거치 고정하는 거치홀(2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member 200,
A fixed block 210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a set space inside the body 310 of the control unit 300;
A handle 230 extending from the fixed block in a curved shape and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A hook-shaped locking piece 240 extending downward on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handle and the fixing block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interference with the stopper 41 of the connecting rod 40 is determined by the handle;
A mounting hole 220 formed as an independent space in the fixed block to mount and fix both ends of the spring 250;
Lever-linked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100)은 연결대(40)와 다리부(20)를 각각 측방과 하방에서 구분하여 결합 유도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의 상방으로 사선 연장되는 가이드프레임(120);과, 제어유닛의 회동부와 가이드프레임의 일체화를 위하여 개재되는 결속수단(17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설정 직경의 중공으로 형성되는 수용홀(121);과, 수용홀의 중심에서 입설되는 환형의 지지편(122);과, 지지편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동부(330)를 경유한 결속수단(170)이 내부로 인입되게 하는 환형의 결속대(123);와, 결속대와 지지편의 사이 간극으로 인입 수용되어 회동부의 회전을 관장하는 구름수단(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hinge unit 100 is a casing 110 that separates and guides the connecting rod 40 and the leg portion 20 from the side and the bottom, respectively; And, a guide frame 120 extending diagonally upward of the casing; And, Including; a binding means (170) interpos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guide frame and the rotating portion of the control unit,
The guide frame 120 includes a receiving hole 121 formed into a hollow having a set diameter; and an annular support piece 122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hole; and a rotating part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iece An annular binding band 123 through which the binding means 170 via 330 is drawn into the interior; And, a rolling means 150 that is drawn in and accommodated in the gap between the binding rod and the support piece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Lever-linked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20200106691A 2020-08-25 2020-08-25 A folding table Active KR102216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91A KR102216572B1 (en) 2020-08-25 2020-08-25 A folding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691A KR102216572B1 (en) 2020-08-25 2020-08-25 A folding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572B1 true KR102216572B1 (en) 2021-02-18

Family

ID=7468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691A Active KR102216572B1 (en) 2020-08-25 2020-08-25 A folding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5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9919A (en) * 2022-06-21 2022-08-19 杭州东盛五金电器有限公司 Rack supporting plate structure
KR102836224B1 (en) * 2025-02-03 2025-07-22 주식회사 미도화학 Folding type storage tab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127A (en) 2001-06-15 2003-03-15 프로-코드 에스피에이 Folding table
KR200339112Y1 (en) * 2003-10-27 2004-01-24 주식회사 퍼시스 foldable table
KR100774107B1 (en) 2006-06-22 2007-11-06 주식회사 퍼시스 foldable table
US8069795B1 (en) * 2009-06-11 2011-12-06 Krueger International, Inc. Grip latch and hinge mechanism for a flip table
KR101674860B1 (en) * 2016-05-16 2016-11-09 주식회사 퍼맥스 Folding table
KR101973006B1 (en) * 2018-11-23 2019-04-29 (주)코아스 Furni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127A (en) 2001-06-15 2003-03-15 프로-코드 에스피에이 Folding table
KR200339112Y1 (en) * 2003-10-27 2004-01-24 주식회사 퍼시스 foldable table
KR100774107B1 (en) 2006-06-22 2007-11-06 주식회사 퍼시스 foldable table
US8069795B1 (en) * 2009-06-11 2011-12-06 Krueger International, Inc. Grip latch and hinge mechanism for a flip table
KR101674860B1 (en) * 2016-05-16 2016-11-09 주식회사 퍼맥스 Folding table
KR101973006B1 (en) * 2018-11-23 2019-04-29 (주)코아스 Furni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9919A (en) * 2022-06-21 2022-08-19 杭州东盛五金电器有限公司 Rack supporting plate structure
CN114919919B (en) * 2022-06-21 2024-04-19 杭州东盛五金电器有限公司 A rack support structure
KR102836224B1 (en) * 2025-02-03 2025-07-22 주식회사 미도화학 Folding type storage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572B1 (en) A folding table
KR101969137B1 (en) Desk possible height-adjustment
US11412841B2 (en) Folding table
KR102216564B1 (en) A folding table
KR102026155B1 (en) Luggage with support
JP2009520540A (en) Cooking container with one or more pivot handles
RU2546442C2 (en) Device, such as stairway, having telescopic legs
KR102215867B1 (en) A folding table
KR102215810B1 (en) A folding table
TW202437955A (en) Range limiter assembly
KR102215863B1 (en) A folding table
KR102216562B1 (en) A folding table
KR102216568B1 (en) A folding table
KR200478652Y1 (en) A standing table
EP2598687B1 (en) Ironing board assembly with configurable ironing surface
EP2409603A1 (en) Device for lowering and positioning a storage bed lid
KR102215871B1 (en) A folding table
JP2017525530A (en) Joint lock device and stick chair provided with the joint lock device
KR102614791B1 (en) Hybrid-furniture with multi-function
CN101107394B (en) Household ironing board with components made of synthetic resin
EP1970038A1 (en) Bed with compact collapsible security barrier
KR101308362B1 (en) Screen base
KR100670550B1 (en) Rotary ironing board
WO2018201256A1 (en) Laundry hamper
KR200416109Y1 (en) Rotary iron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2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2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