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118B1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Google Patents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0118B1 KR102210118B1 KR1020190071035A KR20190071035A KR102210118B1 KR 102210118 B1 KR102210118 B1 KR 102210118B1 KR 1020190071035 A KR1020190071035 A KR 1020190071035A KR 20190071035 A KR20190071035 A KR 20190071035A KR 102210118 B1 KR102210118 B1 KR 1022101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speaker
- opening surface
- case
- speaker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한 보호 기재가 부착되는 덕트(Duct)의 개구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음향 성능을 향상시킨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가 실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방사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개구면에 부착되어,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면은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상 개구면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module for a portable device in which acoustic performance is improved by changing a shape of an opening surface of a duct to which a protective substrate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inflow is attached, comprising: a speake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A body o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 duct connected to the body and forming a radiation path of an acoustic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a protective substrate attached to the opening surface of the duct to prevent inflow of foreign matter, wherein the opening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an area of a virtual opening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To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 및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한 보호 기재가 부착되는 덕트(Duct)의 개구면의 형상을 변경하여 음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 및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having a speaker module for a portable device and a duct radiating structure, and in particular, acoustic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shape of an opening surface of a duct to which a protective substrate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s attached. It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having a speaker module and a duct radiating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기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기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동영상 재생 기능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스피커 모듈의 음향 성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덕트(Duct) 방사 구조를 가지는 스피커 모듈(Speaker Module)을 이용하는 휴대 기기가 증가하고 있다.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in recent years, the spread and use of portable devices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recent portable devices are reaching the stage of mobile convergence, which does not remain in their own traditional areas, but encompasses the areas of other terminals. For example, in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ddition to general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voice calls and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V viewing functions (e.g., mobile broadcasting such as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music playback functions ( For example, it provide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MPEG Audio Layer-3 (MP3), a video playback function, etc. As the multimedia functions are strengthened, interest in the acoustic performance of the speaker module has recently increased. ) Portable devices using a speaker module having a radiation structure are increasing.
도 1은 종래의 덕트 방사 구조를 가지는 스피커 모듈의 외관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having a conventional duct radiation structure.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Duct) 방사 구조를 가지는 스피커 모듈(10)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4), 상기 스피커(14)가 실장되는 몸체(11), 상기 몸체(11)의 일 측면으로부터 신장되어 상기 스피커(14)의 음향 신호가 일면으로 방사되도록 유도하는 덕트(12), 상기 덕트(12)의 개구면에 부착되는 방음 부재(15) 및 상기 방음 부재(15)에 부착되어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모듈(10)은 음향 성능 향상을 위하여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 the
하지만, 최근의 휴대 기기들은 슬림화되고 있으며,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최근의 휴대 기기는 스피커 모듈(10)의 실장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게 되었다. 즉, 상기 스피커 모듈(10)의 크기가 제한되고 있다. 특히, 상기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10)과 같이 음향 신호가 측면으로 방사되는 경우 음향 신호가 방사되는 덕트(12)의 크기가 더욱 제한된다. 이와 같이, 덕트(12)의 크기가 제한됨에 따라 종래의 스피커 모듈(10)은 음향 성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한 보호 기재(13)가 부착된 경우 종래의 스피커 모듈(10)은 상기 보호 기재(13)에 의한 음압 감소로 인하여 음향 성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 있다.However, recent portable devices are becoming slimmer and provide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trend of convergence. Due to this, in recent portable devices, it has become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a mounting space for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향 신호가 방사되는 덕트의 개구면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덕트의 형상을 변경하여 보호 기재로 인한 음향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 및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shape of the duct so that the area of the opening surface of the duct from which the sound signal is radiated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acoustic performance due to the protective substrate. It is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having a speaker module and a duct radiating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that can be minimiz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은 휴대 기기에 체결되는 스피커 모듈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가 실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방사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개구면에 부착되어,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면은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상 개구면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eaker modu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 speaker module coupled to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speake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A body o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 duct connected to the body and forming a radiation path of an acoustic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a protective substrate attached to the opening surface of the duct to prevent inflow of foreign matter, wherein the opening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an area of a virtual opening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To do.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은 휴대 기기에 체결되는 스피커 모듈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가 실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방사 경로인 제1개구면, 제2개구면 및 제3개구면을 포함하는 덕트; 및 상기 제2개구면에 부착되어,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구면은 상기 덕트의 일 측끝에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면은 상기 덕트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개구면은 상기 제2개구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면의 면적은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상 개구면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eaker modu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a speaker module coupled to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speake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A body o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 duct connected to the body and including a first opening surface, a second opening surface, and a third opening surface, which are radiation paths of sound signals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a protective substrate attached to the second opening surface to prevent entry of foreign matter, wherein the first opening surfa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uct,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is formed inside the duct, and the The third opening surface is formed to expose the second opening surface, and the area of the second opening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an area of a virtual opening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do.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은 휴대 기기에 체결되는 스피커 모듈에 있어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가 실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방사하는 제1개구면 및 제2개구면을 가지는 덕트; 및 상기 제1개구면 및 상기 제2개구면을 감싸도록 부착되어,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개구면은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면은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과 평행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eaker modul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 speaker module coupled to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A body o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 duct connected to the body and having a first opening surface and a second opening surface for emitting sound signals output through the speaker; And a protective substrate attached to surround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wherein the first opening surface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or inclined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and the second The opening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parallel or inclined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c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는 음향 신호의 방사 경로를 형성하는 제1덕트를 구비하는 스피커 모듈이 실장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모듈의 음향 신호를 외부로 방사하기 위한 제2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2덕트는 내부에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device having a duct radi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ase in which a speaker module having a first duct forming a radiation path of an acoustic signal is mounted; And a second duct form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to radiate an acoustic signal from the speaker module to the outside, wherein the second duct includes a protective substrate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terio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 및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는 음향 신호가 방사되는 덕트의 형상을 변경하여 보호 기재가 부착되는 개구면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면의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본 발명은 보호 기재에 의한 음향 성능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스피커 모듈의 음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 portable device having a speaker module and a duct radiation structur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the area of the opening surface to which the protective substrate is attach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duct through which the sound signal is radiated. I can. As the area of the opening surface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acoustic performance due to the protective substrat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coustic performance of the speaker module.
도 1은 종래의 덕트 방사 구조를 가지는 스피커 모듈의 외관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와 스피커 모듈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음향 성능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having a conventional duct radiation structure.
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peaker module and a portable device having a duct radi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10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measuring acoustic performance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ovided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기기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소형의 단말기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단말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ll terminal including a speaker module, and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smart phone. Phone) terminal, MP3 playe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단면도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은 몸체(Body, 110), 덕트(Duct, 120), 보호 기재(130), 스피커(Speaker, 140) 및 방음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상기 스피커(140)는 몸체(110)의 내부에 실장되며, 상기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몸체(110)와 덕트(120)로 구성되는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덕트(120)의 개구면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덕트(120)는 제1개구면(121), 제2개구면(122) 및 제3개구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면(121)은 덕트(120)의 길이 방향과 수직 또는 경사 등 다양한 형태(예컨대 계단)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면(122)은 덕트의 일측 끈에 형성되며, 상기 제3개구면(123)은 상기 제2개구면(122)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개구면(122)은 상기 덕트(1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상 개구면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1개구면(121)은 휴대 기기(미도시)의 케이스에 형성되는 홀(미도시, 이하 스피커 홀)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14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스피커 홀을 통해 휴대 기기(미도시)의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 홀과 제1개구면(121) 사이에는 음향 신호의 누설을 방지하는 방음 부재(15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방음 부재(150)는 스폰지(Sponge), 포론(Poron), 러버(Rubber)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2개구면(122)은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130)가 부착되는 면으로, 상기 제2개구면(122)의 면적(S2)은 상기 제1개구면(121)의 면적(S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기재(130)는 메쉬(Mesh), 부직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 기재(130)는 다수의 홀(그물 코)이 형성되어 있다. 이물 유입 방지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호 기재(130)의 홀의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음향 신호 전달 저항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상기 제3개구면(123)은 보호 기재(130)를 제2개구면(122)에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The third opening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모듈(100)의 덕트(120)의 구조를 변경함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은 종래의 스피커 모듈(10)에 비하여 보호 기재(130)로 인한 음압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보호 기재(130)가 부착되는 개구면의 면적이 종래에 비하여 증가되어, 음향 신호가 넓은 면적을 통해 방사됨에 따라 보호 기재(130)에 의한 음향 신호의 전달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as the structur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단면도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200)은 몸체(210), 덕트(220), 보호 기재(230), 스피커(240) 및 방음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200)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과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피커 모듈(200)은 제3개구면(223)에 체결되는 방음 커버(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 커버(224)는 음향 신호가 제3개구면(223)으로 분산되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200)은 음향 신호가 제1개구면(221) 및 제3개구면(223)으로 분산되어 출력됨에 따라 발생하는 음향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and 5, the
한편, 상기 도 4 및 도 5에서는 방음 커버(224)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방음 커버(224)는 스피커 모듈(200)의 구성품 중 하나인 다른 부품들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3개구면(223)은 휴대 기기의 케이스에 의해 방음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케이스는 상기 제3개구면(223)을 막는 구조물(예컨대 브라켓(Br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조물과 상기 제3개구면(223) 사이에 방음 부재(예컨대 포론(poron), 스폰지(sponge) 등)를 부착하여 방음 효과를 증가 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에 상기 제3개구면(223)을 막는 구조물을 별도로 만들지 않고, 케이스와 제3개구면(223) 사이에 방음 부재를 부착하여 방음 처리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FIGS. 4 and 5, it is shown that the
한편, 상기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제2개구면(122, 222)에 하나의 보호 기재가 부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 개의 보호 기재가 스피커 모듈(100, 2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 모듈(100, 200)의 제1개구면(121, 221)에 보호 기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개구면(121, 221)에 부착되는 보호 기재는 상기 제2개구면(122, 222)에 부착된 보호 기재 보다 성긴 즉, 홀 사이즈가 클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개구면(121, 221) 및 제2개구면(122, 222)의 면적이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상 개구면의 면적보다 큰 경우 상기 제1개구면(121, 221) 및 제2개구면(122, 222)에 부착되는 보호 기재는 동일한 홀 사이즈를 가질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S. 2 to 5,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e protective substrate is attached to the second opening surfaces 122 and 2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protective substrates may be attached to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300)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40), 상기 스피커(340)가 실장되는 몸체(310), 상기 스피커(34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방사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320) 및 상기 덕트(320)의 개구면(321)에 부착되는 보호 기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6, the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300)은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 200)과 달리 하나의 개구면(32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개구면(321)은 덕트(3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개구면(321)은 상기 덕트(3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상 개구면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덕트(320)의 개구면(321)은 덕트(320)의 길이 방향을 '0'도로 가정하였을 때, 단면적이 가장 작은 '90'도,'270'도 및 덕트(3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180'도, '360'도를 제외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300)은 상기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들(100, 200)과 달리 하나의 개구면을 가짐에 따라 보호 기재(330)를 보다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As the
한편, 상기 스피커 모듈(300)은 휴대 기기의 케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 모듈(300)의 음향 신호는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스피커 홀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개구면(321)이 경사를 가짐에 따라 개구면(321)과 휴대 기기의 케이스가 밀착되지 않고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갭으로 인하여 음향 신호가 스피커 홀을 통해 외부로 전부 출력되지 않고, 일부의 음향 신호가 누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향 신호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케이스는 스피커 모듈(300)의 덕트(320, 이하 제1덕트)와 결합되는 덕트 구조물(미도시, 이하 제2덕트)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덕트(320)와 결합되는 제2덕트(미도시)를 휴대 기기의 케이스에 구비함에 따라 스피커 장치(3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누설없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 기기의 케이스에 제2덕트가 형성된 경우 상기 보호 기재(330)는 제2덕트의 개구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덕트의 개구면은 제1덕트(320)의 개구면과 대향한다.Meanwhile, the
한편, 상기 도 6에서는 보호 기재(330)가 부착되는 덕트(320)의 일측 끝이 경사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스피커 모듈(300)의 덕트(320)의 일측 끝은 종래 스피커 장치(10)의 개구면보다 (표)면적이 증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 모듈(300)의 덕트(320)의 일측 끝은 '<', '>' 등과 같이 경사를 가지고 돌출된 형태 또는 '(', ')' 등과 같이 곡률을 가지고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보호 기재(330)가 부착되는 덕트(320)의 일측 끝을 계단 형태로 형성하여 보호 기재(330)가 부착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덕트(320)의 일 측 끝 구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제2실시 예 및 후술하는 제3실시 예 내지 제5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 6, one end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400)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440), 상기 스피커(440)가 실장되는 몸체(410), 상기 스피커(44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방사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420) 및 상기 덕트(420)에 부착되어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420)는 상기 덕트(420)의 일측 끝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개구면(421) 및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개구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기재(430)는 제1개구면(421) 및 제2개구면(422)을 감싸도록 부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400)은 개구면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로 형성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의 개구면에 보호 기재(430)를 부착함에 따라 보호 기재(430)에 의한 음향 성능(음압)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400)은 종래와 같이 좁은 면적을 가지는 하나의 개구면에 보호 기재를 부착하지 않고, 개구면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로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보호 기재가 부착되도록 하여, 보호 기재로 인한 음향 성능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스피커 모듈(400)은 휴대 기기의 케이스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모듈(400)이 휴대 기기의 케이스에 체결되는 경우 스피커(440)의 음향 신호는 덕트(420)의 제1개구면(421) 및 제2개구면(422)을 통해 스피커 모듈(400)의 외부로 방사된 후, 상기 케이스의 일측(예컨대 측면)에 형성되는 스피커 홀을 통해 외부로 방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개구면(422)이 케이스에 의해 막히는 경우 제1개구면(421)만을 통해 음향 신호가 방사되어, 종래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 기기의 케이스는 상기 스피커 모듈(400)의 제2개구면(422)을 막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기기의 케이스는 상기 제2개구면(422)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 홀로 전달하는 기구물(예컨대 덕트, 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 부재(450)는 상단 영역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개구면(422)을 통해 방사되는 음향 신호가 방음 부재(450)에 의해 케이스의 스피커 홀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외관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500)은 몸체(510), 덕트(520), 보호 기재(530), 스피커(540) 및 방음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500)은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 2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상기 보호 기재(530)가 다른 형태로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서는 보호 기재(130, 230)가 상하 경사를 가지는데 반하여, 제5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500)의 보호 기재(53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경사를 가진다.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스피커 모듈(500)이 하나의 보호 기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피커 모듈(500)은 다수 개의 보호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와 스피커 모듈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eaker module and a portable device having a duct radi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기기(700)는 스피커 모듈(600)이 실장되는 케이스(710) 및 상기 케이스(710)에 형성되며, 상기 스피커 모듈(600)의 음향 신호를 외부로 방사하기 위한 제2덕트(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700)는 상기 제2덕트(720)의 내부에 이물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 기재(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9, a
상기 제2덕트(720)는 상기 제1덕트(620)와 접촉되는 제1개구면, 상기 제2덕트(72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보호 기재(730)가 부착되는 제2개구면 및 상기 제1개구면의 반대 측면에 위치하여, 음향 신호를 외부로 방사하는 제3개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기기(700)는 상기 제2덕트(720)의 제1개구면과 상기 제1덕트(620)의 개구면 사이에는 위치하여 상기 스피커(64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제1덕트(620)에서 제2덕트(720)로 누설없이 전달되도록 하는 방음 부재(6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기기(700)는 다수의 보호 기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기기(700)는 제3개구면에 보호 기재(750)를 더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개구면에 부착된 보호 기재(750)는 제2덕트(720)의 내부에 부착되는 보호 기재(730)보다 홀 사이즈가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The
도 10은 종래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의 음향 성능 측정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도 10의 (a)는 각 스피커 모듈의 음압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상기 도 10의 (b)는 각 스피커 모듈의 전고조파 왜곡(Total Harmonic Distortion : TH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전고조파 왜곡(THD)은 단일 주파수인 정현파를 입력했을 때,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고조파 성분의 레벨 합계와 상기 출력 신호 레벨과의 비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전고조파 왜곡(THD)값이 낮을수록 스피커의 성능이 좋음을 의미한다.10 is a diagram showing a result of measuring acoustic performance of a speaker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FIG. 10(a) is a graph showing the sound pressure measurement result of each speaker module, and FIG. 10(b) is a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measurement result of each speaker module. It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refers to a ratio between the sum of levels of harmonic components included in the output signal and the level of the output signal when a single frequency sinusoid is input. That is, the lower the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value, the better the speaker performance.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제1그래프(A)는 종래의 스피커 모듈(10)의 음압 그래프이고, 제2그래프(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의 음압 그래프이며, 제3그래프(C)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200)의 음압 그래프이다. 상기 제1그래프(A) 내지 제3그래프(C)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 200)들이 종래의 스피커 모듈(10)에 비하여 음압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 200)들은 종래의 스피커 모듈(10)에 비하여 주파수 대역에 따라 유사하거나, 약 1dB에서 6dB 정도의 음압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그래프(B)와 제3그래프(C)를 비교하면, 상기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200)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에 비하여 중대역대에서 음압이 더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first graph (A) is a sound pressure graph of a
상기 제4그래프(A')는 종래 스피커 모듈(10)의 전고조파 왜곡(THD) 그래프이고, 제5그래프(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의 전고조파 왜곡(THD) 그래프이며, 제6그래프(C')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200)의 전고조파 왜곡(THD) 그래프이다. 상기 제4그래프(A') 내지 제6그래프(C')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 200)들이 종래의 스피커 모듈(10)에 비하여 전고조파 왜곡(THD)이 전반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 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의 레벨이 작음을 의미한다. 즉, 종래의 스피커 모듈(10)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 200)들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The fourth graph (A') is a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graph of the
한편, 상기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100, 200)에 대한 측정 결과만을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3실시 예 및 제5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모듈(300, 400, 500)들 및 상기 도 9에서 설명한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에 체결된 스피커 모듈(600)의 성능 역시 종래 스피커 모듈(10)에 비하여 향상된다는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Meanwhile, in FIG. 10, only measurement results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기기용 스피커 모듈 및 덕트 방사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기기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상에서는 스피커 모듈 또는 휴대 기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덕트에 보호 기재를 부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보호 기재를 이중으로 부착할 수 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덕트 및 케이스의 스피커 홀에 보호 기재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홀의 크기가 비교적 큰 보호 기재를 상기 스피커 홀 및 덕트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경우 제1개구면 및 제2개구면에 보호 기재를 이중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홀 사이즈가 큰 보호 기재를 개구면에 부착하여 보호 기재에 의한 음압 저하를 감소시키며, 다수의 보호 기재를 부착하여 보호 기재의 홀 사이즈 증가로 인한 이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for a portable device having a speaker module and a duct radiation structure for a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is is only a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 an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For example, it has been described above as attaching a protective base material to a duct formed in a speaker module or a portable device cas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substrate may be attached twice. That is, 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substrate may be attached to the speaker hole of the duct and the cas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ttach a protective substrate having a relatively large hole size to the speaker hole and duct.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substrate may be double-attached to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substrate having a relatively large hole size is attached to the opening surface to reduce the negative pressure drop due to the protective substrate, and by attaching a plurality of protective substrates, foreign matter inflow due to an increase in the hole size of the protective substrate can be minimized .
100/200/300/400/500/600 : 스피커 모듈
110/210/310/410/510 : 몸체
120/220/320/420/520/620 : 덕트
130/230/330/430/530/730/750 : 보호 기재
140/240/340/440/540/640 : 스피커
150/250/350/450/550/650 : 방음 부재
224/524 : 방음 커버100/200/300/400/500/600: Speaker module
110/210/310/410/510: Body
120/220/320/420/520/620: Duct
130/230/330/430/530/730/750: protective equipment
140/240/340/440/540/640: Speaker
150/250/350/450/550/650: soundproof member
224/524: soundproof cover
Claims (26)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스피커 모듈을 내부 공간에 장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배치되는 스피커 몸체와, 상기 스피커 몸체의 적어도 일부와 일측이 연결되며 스피커 홀 방향으로 방사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갖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의 타측 끝 단부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방출하는 제1 개구면이 상기 케이스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사운드 신호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방사하기 위해 상기 덕트의 제1 개구면과 맞닿도록 구성된 제2 개구면을 포함하는 덕트 구조물(duct structure)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의 제1 개구면과 상기 덕트 구조물의 제2 개구면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제1 개구면과 상기 제2 개구면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 전자 장치. In the electronic device,
Speaker module; And
Including a case for mounting the speaker module in the inner space,
The speaker module includes a speaker body in which a speaker outputting a sound signal is dispos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peaker body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a duc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provide a radiation path in the direction of the speaker hole,
The other end of the duct has a first opening surface that emits the sound signal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ase,
The case includes a duct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opening surface configured to abut the first opening surface of the duct to radiate the sound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cas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protect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ening surface of the duct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of the duct structure,
The duct structure is formed in a shape inclined from the case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the second opening surfa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재는,
상기 덕트 구조물의 상기 제2 개구면 또는 상기 덕트의 상기 제1 개구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protection member,
And attached to the second opening surface of the duct structure or the first opening surface of the duct.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재는,
메쉬 소재, 부직포 소재 및 통기성 있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protection member,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mesh material, a nonwoven material, and a breathable material.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면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으며, 전체의 보호 부재가 기울어진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t least one protection membe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opening surface, and wherein the entire protective member is attached in an inclined form.
상기 스피커 모듈은 방음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방음 커버는 상기 스피커 모듈의 몸체 및 덕트와 일체 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aker module includes a soundproof cover,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soundproof cover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ody and a duct of the speaker module.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duct structure is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e.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의 길이 방향으로 제1 면이 제1 길이를 갖으며, 제2 면이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으며,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은 제1 길이와 제2 길이의 차이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uct has a first side having a first leng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ct, a second side having a second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length, and side surfaces connect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re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ength and the second length.
상기 스피커 몸체와 상기 덕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speaker body and the duct are integrally formed.
사운드 출력 개구면 (sound outputting opening)을 통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형성된 스피커 몸체와,
상기 스피커 몸체 내에 위치하여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 몸체는 사운드 출력 개구면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대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 통로를 포함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통로 및 상기 사운드 출력 개구면을 따라 상기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홀 외부로 출력되며,
상기 스피커 모듈을 내부 공간에 장착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의 케이스는,
상기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 사운드 출력 개구면과 상기 케이스의 스피커 홀 사이에 형성된 덕트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 구조물과 상기 사운드 출력 개구면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사운드 출력 개구면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 모바일 전자 장치.In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A speaker body formed to output a sound signal in any one direction through a sound outputting opening,
And a speaker positioned in the speaker body to output a sound signal, the speaker body including a speaker module including a passage in which a sound output opening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hole of the speaker module along the passage and the sound output opening surface,
A case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the speaker module in an internal space,
And a duct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sound output opening surface formed in the inclined shape and the speaker hole of the case,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uct structure and the sound output opening surface,
The duct structure is formed in a shape inclined from the case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sound output opening surface and the case.
상기 통로는,
상기 스피커 몸체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1 덕트와 연결되는 제2 덕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덕트, 상기 제2 덕트 및 상기 사운드 출력 개구면과 함께 상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The passage,
A first duct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peaker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uct connected to the first duct,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passage is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duct, the second duct and the sound output opening surface.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 개구면을 따라 상기 제1 덕트 또는 상기 제2 덕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고, 상기 보호 부재의 영역은 상기 통로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tection member,
At least partially attached to the first duct or the second duct along the sound output opening surface, and wherein the area of the protection member is formed in an area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상기 사운드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로와 상기 모바일 전자 장치의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방음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A sound insulat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assage and the case of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to prevent the soun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Mobi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urther.
스피커 모듈은,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실장하는 스피커 몸체; 및
상기 스피커 몸체의 적어도 일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사운드 신호를 방사하도록 형성된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의 타측 끝 단은 개구면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면은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면과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과 결합되어 상기 사운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배치된 스피커홀 외부로 방출되도록 형성된 덕트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과, 상기 덕트 구조물 사이에 배치된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과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 스피커 모듈.In the speaker module of an electronic device,
The speaker module,
A speaker configured to output a sound signal;
A speaker body on which the speaker is mounted; And
And a duct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peaker body to emit a sound signal, and the other end of the duct includes an opening surface, and the opening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And a duct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surface and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coupled with the inclined opening surface to emit the sound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hole disposed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inclined opening surface and the duct structure,
The duct structure is a speaker module inclined from the case so that a gap does not occur between the inclined opening surface and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은 상기 덕트에서 상기 스피커 몸체와 연결되지 않은 타측의 적어도 일부가 스피커 몸체와 연결된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 The method of claim 14,
The inclined opening surface is a speak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duct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speaker body is inclined toward one side connected to the speaker body.
상기 덕트는 제1 면과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들로 구성된 통로이며,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면의 길이가 상기 제2 면의 길이보다 짧아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The method of claim 14,
The duct is a passage composed of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nd side surfaces that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to form a space,
A speak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surface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assage to form the inclined opening surface.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대해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개구면과 맞닿도록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 The method of claim 14,
The speaker module, wherein the duct structure is formed in a protruding structure to contact the inclined opening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덕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The method of claim 14,
The duct structure,
A speak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duct.
상기 덕트 구조물은,
상기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포함된 스피커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
The method of claim 14,
The duct structure,
The speak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eaker hole included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71035A KR102210118B1 (en) | 2019-06-14 | 2019-06-14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71035A KR102210118B1 (en) | 2019-06-14 | 2019-06-14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19346A Division KR101991504B1 (en) | 2012-02-24 | 2012-02-24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75021A KR20190075021A (en) | 2019-06-28 |
| KR102210118B1 true KR102210118B1 (en) | 2021-02-01 |
Family
ID=6706635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71035A Active KR102210118B1 (en) | 2019-06-14 | 2019-06-14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011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2154455A1 (en) * | 2021-01-12 | 2022-07-2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conduit structure for sound propagation |
| US11962960B2 (en) | 2021-07-19 | 2024-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ound component assembly |
| KR20230013475A (en) * | 2021-07-19 | 2023-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ound component assembly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195011A (en) * | 2006-01-20 | 2007-08-02 | Nec Saitama Ltd | Portable terminal, speaker and speaker-mounting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12791B1 (en) * | 2010-02-04 | 2016-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2019
- 2019-06-14 KR KR1020190071035A patent/KR10221011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7195011A (en) * | 2006-01-20 | 2007-08-02 | Nec Saitama Ltd | Portable terminal, speaker and speaker-mounting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75021A (en) | 2019-06-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91504B1 (en)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
| KR102210118B1 (en)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
| CN103024613B (en) | Protective cover with speaker sound amplification path | |
| US20130195306A1 (en) | Microphone Shield with Common Mode Interference Reduction | |
| US8116504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receiver | |
| US7565184B2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CN103813672B (en) | Sealing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 |
| TW201448611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US20040202343A1 (en) | Speakerphone accessory assembly | |
| US20240305918A1 (en) | Electroacoustic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 US8208977B2 (en) | Mobile terminal and speaker device thereof | |
| US20070235221A1 (en) | Metal shielding apparatus | |
| CN101938542A (en) | Sound emitter unit for preventing abnormal sound | |
| US20250310672A1 (en) | Sound-produc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 US8922586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form factor | |
| KR100819406B1 (en) | Resonance Structure for Improving Speaker Sound of Mobile Devices | |
| KR20110073191A (en) | Directional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 |
| CN115242908A (en) | Loudspeaker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thereof | |
| JP2005244067A (en) | Microwave equipment | |
| KR20080069024A (en) | Wireless receiv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6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20224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001934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7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90614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