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383B1 - Water purifier having storage water tap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having storage water t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0383B1 KR102210383B1 KR1020190052863A KR20190052863A KR102210383B1 KR 102210383 B1 KR102210383 B1 KR 102210383B1 KR 1020190052863 A KR1020190052863 A KR 1020190052863A KR 20190052863 A KR20190052863 A KR 20190052863A KR 102210383 B1 KR102210383 B1 KR 102210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hydrant
- water
- storage unit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0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4—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전 수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 수납 정수기는,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되기 위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에 소정의 관통홀이 형성된 전면 케이스가 배치된 본체; 상기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동작하는 급수전 수납부; 및 상기 급수전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외부로 돌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는,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외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커버면이 형성된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수직 로드;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1 수평 로드; 및 상기 제1 수평 로드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2 수평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전을 본체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급수전 수납부가 구비됨에 따라 본체 내부에서 급수전을 살균할 수 있으며, 또한, 급수전이 본체 내부에 수납됨에 따라 정수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hydrant storage water purifier, wherein the water hydrant storag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to install various parts, and a front case having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is disposed. Body; A water supply receiving part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ont case and operat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r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a hydrant disposed under the hydrant storage unit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protrudes to the outside, wherein the hydrant storage unit includes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case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cover having a cover surfac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at; A vertical ro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horizontal ro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And a second horizontal rod dispos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rod,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ydrant storage unit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hydrant inside the main body, the hydrant can be sterilized inside the main body, and as the hydrant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he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can be beautifully formed. It works.
Description
본 발명은 급수전 수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서 정화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급수전이 내부에 수납되는 급수전 수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hydrant storage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hydrant storage water purifier in which a water hydrant for supplying water purifi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s accommodated.
정수기는, 물을 정수하여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여과하는 방식에 따라 중공사막식 및 역삼투압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여과 방식에 따라 물이 여과되어 정수된 물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A water purifier is a device for purifying water and supplying it to the outside. These water purifier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a hollow fiber membrane type and a reverse osmosis type according to a filtering method. According to this filtration method, water is filtered and purifi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이러한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물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전이 정수기 본체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그에 따라 급수전이 외부의 먼지나 세균 또는 바이러스 등에 노출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오염될 수 있으며, 이렇게 급수전이 오염됨에 따라 급수전을 통해 본체 내부에 배치된 저수조까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In such a water purifier, a water hydrant for supplying water to the outside is usually exposed from the water purifier body to the outside. Accordingly, as the hydrant is exposed to external dust, bacteria, or viruses, it may be continuously contaminated. As the hydrant is contaminated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of contaminating the storage tank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the hydrant.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급수전을 살균하는 정수기가 개발되었지만, 외부로 노출된 급수전을 살균하기 위해 외부에 살균을 위한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렇지만, 외부에 자외선램프가 노출됨에 따라 정수기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a water purifier for sterilizing hydrants has been developed, but a technology in which an ultraviolet lamp for sterilization is installed outside has been developed to sterilize the hydrants exposed to the outsid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is damaged as the ultraviolet lamp is expos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수전이 본체 내부에 배치되도록 수납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accommodated so that the hydran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전 수납 정수기는,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되기 위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에 소정의 관통홀이 형성된 전면 케이스가 배치된 본체; 상기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동작하는 급수전 수납부; 및 상기 급수전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외부로 돌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는,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외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커버면이 형성된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수직 로드;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1 수평 로드; 및 상기 제1 수평 로드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2 수평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receiving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to install various parts, and a front case having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water supply receiving part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ont case and operat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r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a hydrant disposed under the hydrant storage unit and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protrudes to the outside, wherein the hydrant storage unit includes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case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cover having a cover surfac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at; A vertical ro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horizontal ro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And a second horizontal rod dispos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rod,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상기 급수전 수납부는, 상기 수직 로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수직 로드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rod and driving to rotate the vertical rod by supplied power.
상기 급수전 수납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는 모터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motor bracket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driving motor and fixing the driving motor to the cover.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로드는, 각각 일 측에 상기 커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기 위해 제1 및 제2 커버 결합바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수직 로드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기 위해 제1 및 제2 로드 결합바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ods have first and second cover coupling bars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on one side, and first and second cover coupling bar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rod on the other side. A rod coupling bar may be formed.
상기 수직 로드는 상기 제1 및 제2 로드 결합바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해 제1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rod may hav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od coupling bars.
상기 수직 로드는, 상기 수직 로드의 상단에서 상기 제1 결합홈까지 이격된 간격은, 상기 제1 결합홈과 제2 결합홈 사이의 이격된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In the vertical rod, an interval spaced apart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ro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may be smaller than a spac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상기 커버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외부 커버; 및 일 측이 상기 외부 커버와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로드와 결합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커버는 타 측에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로드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may include an outer cover having a plate shape; And an inner cover in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outer cover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ods, wherein the inner cover is a spac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ods are accommodated on the other side. Can be formed.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전면 케이스에서 돌출되면, 상기 내부 커버의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When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protrudes from the front case,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ver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급수전은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전면 케이스에서 돌출되거나 삽입되도록 동작할 때, 회전축 없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hydrant may be rotated without a rotating shaft when the hydrant receiving part is operated to protrude or be inserted from the front case.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전면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급수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when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ront case, a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water supply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전을 본체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급수전 수납부가 구비됨에 따라 본체 내부에서 급수전을 살균할 수 있으며, 또한, 급수전이 본체 내부에 수납됨에 따라 정수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hydrant storage unit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hydrant inside the main body, the hydrant can be sterilized inside the main body, and as the hydrant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the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can be beautifully formed. It works.
또한,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에서 수납 또는 돌출되도록 동작할 때, 특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급수전 수납부의 동작이 보다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is operated to be received or protruded from the main body, it is configured not to rotate based on a specific rotation axis,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hydrant storage unit can be operated more smooth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로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의 커버면이 동작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of the water purifier protrudes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body.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receiving par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main body.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of the water purifier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receiving part of a water purifier protrudes from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rod par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receiving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본체에서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로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receiving par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outward. And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hydrant storage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Figure 4 is a water hydrant storage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body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dition. In addi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hydrant receiving part of the water purifier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7 is a view showing a rod part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본체(110), 전면 케이스(120), 급수전 수납부(130), 급수전(140), 제1 스위치(152), 제2 스위치(154) 및 살균기(1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는 상기의 구성 외에도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 내의 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 여과된 물이 급수전(140)으로 공급되는 다수의 관 및 정수기(100)를 전기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전자부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수전 수납부(130)의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관련된 구성만 도면에 도시한다.1 to 7, a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정수, 냉수 및 온수 등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구비되어, 저수조에서 급수전 수납부(130)를 통해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별도의 저장조가 구비되지 않고,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필터 등을 통해 직수 타입으로 직접 정수, 냉수 및 온수 등이 급수전 수납부(130)를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orage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etc. is provided,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본체(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수기(100)에 필요한 각종 구성들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전면 케이스(120)는, 본체(110)의 일 측에 배치되고, 본체(110) 내부에 배치된 각종 전자부품 등을 조작할 수 있는 버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케이스(120)에 정수기(1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발광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 케이스(120)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The
급수전 수납부(130)는, 전면 케이스(120)의 관통홀에 설치되며, 전면 케이스(120)의 내측으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급수전 수납부(1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이때, 급수전 수납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커버면(132a)이 전면 케이스(120)의 외면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전면 케이스(120)의 내부인 본체(11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 the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전 수납부(130)가 외부로 돌출되면, 급수전 수납부(130)의 하부가 외측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되고, 상부가 전면 케이스(120)의 내측 방향을 향해 상대적으로 수납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급수전 수납부(130)가 외부로 돌출되면, 급수전 수납부(130)의 커버면(132a)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상기와 같은 급수전 수납부(130)는, 외부 커버(132), 내부 커버(134), 로드부(136), 구동모터(138) 및 모터 브라켓(138a)을 포함한다.The water
외부 커버(13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형상이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커버(132)의 외면에는 커버면(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면(132a)은 외부 커버(132)의 일면이며, 전면 케이스(120)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면이다.The
내부 커버(134)는 일면이 외부 커버(132)와 결합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형상이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의 내부 커버(134)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면에 외부 커버(13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의 빗면 측의 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로드부(136)가 결합되는 다수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즉, 내부 커버(134)의 내측 공간에는 로드부(136)의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가 각각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는 결합 수단들이 배치될 수 있다.That is, coupling means to which the first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전 수납부(130)가 전면 케이스(120)에서 돌출될 때, 내부 커버(134)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water
그리고 내부 커버(134)의 하부에 급수전(14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수전(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전 수납부(130)가 외부로 돌출될 때, 급수전(140)이 연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내부 커버(134)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수전(140)은 끝단 측이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다음 절곡되며, 본체(110) 내부의 저수조 또는 필터를 여과한 물이 통과되는 급수관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로드부(136)는 구동모터(138)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며, 수직 로드(136a),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를 포함한다.The
수직 로드(136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단이 구동모터(138)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수직 로드(136a)의 상단에 모터결합부(136aa)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결합부(136aa)는 구동모터(138)에서 돌출된 바가 삽입될 수 있게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의 내측에 삽입된 구동모터(138)의 바가 회전할 때, 수직 로드(136a)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굴곡, 돌기 또는 나사산 등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구동모터(138)의 구동에 의해 수직 로드(136a)가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 로드(136a)는, 구동모터(138)의 구동에 의해 대략 20도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수직 로드(136a)는 중단 및 하단에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가 설치되며, 이를 위해 수직 로드(136a)에는,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단 및 하단에 각각 제1 결합홈(136ab) 및 제2 결합홈(136ac)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136ab) 및 제2 결합홈(136ac)은 각각 일 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제1 수평 로드(136b)의 제1 로드 결합바(136bb)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수평 로드(136c)의 제2 로드 결합바(136cb)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홈(136ab) 및 제2 결합홈(136ac)은 각각 제1 로드 결합바(136bb) 및 제2 로드 결합바(136cb)가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결합홈(136ab) 및 제2 결합홈(136ac)은 각각 단면이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vertical rod (136a) is a first horizontal rod (136b) and a second horizontal rod (136c) are installed in the middle and lower, for this purpose, the vertical rod (136a), the first horizontal rod (136b) and the second horizontal The rod (136c)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6ac) at the bottom and the middle to be coupled,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6ac) has an open shape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irst rod coupling bar (136bb) of the first horizontal rod (136b) can be fitted. The second rod coupling bar (136cb) of the second horizontal rod (136c)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fitted.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6ac may be formed to rotate while the first rod coupling bar 136bb and the second rod coupling bar 136cb are inserted, respectively. 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6ac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본 실시예에서, 수직 로드(136a)에 형성된 모터결합부(136aa), 제1 결합홈(136ab) 및 제2 결합홈(136ac)은 각각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결합홈(136ab)과 제2 결합홈(136ac)의 이격된 간격은, 모터결합부(136aa)와 제1 결합홈(136ab)의 이격된 간격보다 클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tor coupling portion 136aa,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6ac formed on the
제1 수평 로드(136b)는, 일 측이 내부 커버(134)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타 측이 수직 로드(136a)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제1 수평 로드(136b)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 측에 내부 커버(134)와 결합되기 위한 제1 커버 결합바(136ba)가 형성되고, 타 측에 수직 로드(136a)의 제1 결합홈(136ab)과 결합되기 위한 제1 로드 결합바(136b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버 결합바(136ba) 및 제1 로드 결합바(136bb)는 각각 제1 수평 로드(136b)에서 양측으로 바(bar)의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따라서 제1 커버 결합바(136ba)는 제1 수평 로드(136b)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돌출된 바(bar) 형상이 내부 커버(134)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로드 결합바(136bb)는, 제1 수평 로드(136b)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돌출된 바(bar) 형상이 수직 로드(136a)의 제1 결합홈(136ab)에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first cover coupling bar 136ba is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first
제2 수평 로드(136c)는, 일 측이 내부 커버(134)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되고, 타 측이 수직 로드(136a)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다. 제2 수평 로드(136c)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 측에 내부 커버(134)와 결합되기 위한 제2 커버 결합바(136ca)가 형성되고, 타 측에 수직 로드(136a)의 제2 결합홈(136ac)과 결합되기 위한 제2 로드 결합바(136c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 결합바(136ca) 및 제2 로드 결합바(136cb)는 각각 제2 수평 로드(136c)에서 양측으로 바(bar)의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따라서 제2 커버 결합바(136ca)는 제2 수평 로드(136c)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돌출된 바(bar) 형상이 내부 커버(134)에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로드 결합바(136cb)는, 제2 수평 로드(136c)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돌출된 바(bar) 형상이 수직 로드(136a)의 제2 결합홈(136ac)에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as the second cover coupling bar 136ca is form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second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형성된 길이도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고, 형상도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구동모터(138)는 정수기(100)의 본체(110)에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전면 케이스(120)나 본체(110)의 상단에 배치된 스위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 커버(132)를 내측(본체(110)의 내부 방향)으로 누름에 따라 접촉되는 스위치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138)는 수직 로드(136a)를 동작시키기 위해 구동될 수 있다.The driving
모터 브라켓(138a)은, 구동모터(138)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일 측이 전면 케이스(12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 브라켓(138a)은 내측에 구동모터(138)가 배치되도록 구동모터(138)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이렇게 모터 브라켓(138a)에 의해 구동모터(138)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38)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구동모터(138)의 구동에 의해 로드부(136)가 동작하여 급수전 수납부(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driving
급수전(14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수전 수납부(130)의 하단에 배치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전 수납부(13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이 되게 급수전 수납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급수전(140)의 타 측은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된 저수조나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이동되는 급수관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급수전 수납부(130)가 동작함에 따라 급수전(140)의 타 측에 가요성(flexible) 또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의 연결관 또는 급수관 등이 급수전(140)의 타 측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제1 스위치(152) 및 제2 스위치(154)는, 급수전 수납부(130)가 구동모터(138)의 구동에 따라 동작할 때, 급수전 수납부(130)의 위치에 따라 내부 커버(134)와 접촉하여 동작되는 스위치이다. 따라서 급수전 수납부(130)가 회전 동작을 하면서, 제1 스위치(152) 또는 제2 스위치(154)와 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정수기(100)의 특정 기능이 동작할 수 있다.When the
살균기(160)는 급수전 수납부(130)가 전면 케이스(120)의 내측에 배치될 때, 급수전(140)이 배치되는 위치의 하단에 배치된다. 따라서 급수전 수납부(130)가 전면 케이스(1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 살균기(160)가 동작될 수 있다. 이렇게 살균기(160)는 정수기(10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급수전(140)이 정수기(100) 내부에 배치될 때, 동작하여 살균함으로써, 급수전(140)의 살균을 위해 자외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급수전 수납부의 커버면이 동작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ydrant receiving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surface of the hydrant receiving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ing It is a drawing to do.
본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급수전 수납부(130)가 전면 케이스(1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38)가 구동하여 급수전 수납부(130)가 전면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8 and 9, in a state in which the
이때, 구동모터(138)가 구동하면, 수직 로드(136a)는 기존에 대략 연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38)와 결합된 수직로드의 모터결합부(136aa)를 기준으로 약 20도 정도 회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수직 로드(136a)에 결합된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는 급수전 수납부(130)가 전면 케이스(120)의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각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 로드(136a)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 로드(136c)의 일 측이 각각 내부 커버(134)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로드는 내부 커버(134)를 밀어내면서, 일 측이 상대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앞서, 수직 로드(136a)는 모터결합부(136aa), 제1 결합홈(136ab) 및 제2 결합홈(136ac)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모터결합부(136aa)와 제1 결합홈(136ab)의 이격 간격 및 제1 결합홈(136ab)과 제2 결합홈(136ac)의 이격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홈(136ab)과 제2 결합홈(136ac)의 이격 간격이 상대적으로 모터결합부(136aa)와 제1 결합홈(136ab)의 이격 간격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수직 로드(136a)가 회전할 때, 제2 수평 로드(136c)가 제1 수평 로드(136b)보다 더 많이 이동될 수 있다. 제1 결합홈(136ab) 및 제2 결합홈(136ac)의 이격된 간격이 클수록 제2 수평 로드(136c)는 제1 수평 로드(136b)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많이 이동될 수 있다.Previously, in the vertical rod (136a), the motor coupling portion (136aa),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6ac)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motor coupling portion (136aa)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6ac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36ac may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motor coupling portion 136aa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136ab. Accordingly, when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급수전 수납부(130)가 전면 케이스(120)에서 돌출되어 회전될 때, 급수전(140)은 특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즉,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성을 수직 로드(136a)이며, 수직 로드(136a)의 회전에 의해 제1 수평 로드(136b) 및 제2 수평로드가 동작하여 외부 커버(132) 및 내부 커버(134)가 동작하기 때문에 내부 커버(134)에 설치된 급수전(140)은 특정 회전축을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water
따라서 급수전(140)의 회전은 특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전 수납부(130)가 전면 케이스(120)에서 돌출되면, 외부 커버(132)의 커버면(132a) 상단은 전면 케이스(120)의 내부로 일부가 들어갈 수 있고, 급수전 수납부(130)가 아래 방향으로 하강될 수 있다. 물로, 외부 커버(132)의 커버면(132a) 상단이 전면 케이스(120)의 내부로 들어가는 정도 및 급수전 수납부(130)가 아래 방향으로 하강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급수전 수납부(130)의 동작은 특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에 비해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고급스럽게 급수전 수납부(130)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00)에서, 급수전 수납부(130)가 동작할 때, 외부 커버(132)의 커버면(132a)의 이동을 구간에 따라 나누어 표시하면, 커버면(132a)이 특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급수전(140)은 내부 커버(134)에 설치됨에 따라 외부 커버(132)의 커버면(132a)과 동일하게 움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the
즉, 외부 커버(132)의 커버면(132a)은 위치가 조금씩 이동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That is, since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an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100: 정수기
110: 본체
120: 전면 케이스
130: 급수전 수납부
132: 외부 커버
132a: 커버면
134: 내부 커버
136: 로드부
136a: 수직 로드
136aa: 모터결합부
136ab: 제1 결합홈
136ac: 제2 결합홈
136b: 제1 수평 로드
136ba: 제1 커버 결합바
136bb: 제1 로드 결합바
136c: 제2 수평 로드
136ca: 제2 커버 결합바
136cb: 제2 로드 결합바
138: 구동모터
138a: 모터 브라켓
140: 급수전
152: 제1 스위치
154: 제2 스위치
160: 살균기100: water purifier
110: main body
120: front case
130: hydrant storage unit
132: outer cover
132a: cover surface
134: inner cover
136: rod part
136a: vertical rod
136aa: motor coupling part
136ab: first coupling groove
136ac: second coupling groove
136b: first horizontal rod
136ba: first cover coupling bar
136bb: first rod coupling bar
136c: second horizontal rod
136ca: second cover coupling bar
136cb: second rod coupling bar
138: drive motor
138a: motor bracket
140: hydrant
152: first switch
154: second switch
160: sterilizer
Claims (10)
상기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동작하는 급수전 수납부; 및
상기 급수전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외부로 돌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는,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외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커버면이 형성된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수직 로드;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1 수평 로드;
상기 제1 수평 로드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2 수평 로드; 및
상기 수직 로드의 상단에 결합되고,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수직 로드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급수전 수납 정수기.
A main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order to install various parts therein, and a front case having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is disposed;
A water supply receiving part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ont case and operat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r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It is disposed under the hydrant storage unit, and includes a hydran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protrudes to the outside,
The water supply storage unit,
A cover having a cover surfac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case when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vertical ro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horizontal ro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A second horizontal rod dispos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rod,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And
A water supply storage water purifier comprising a driving moto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rod and driving the vertical rod to rotate by supplied power.
상기 급수전 수납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는 모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급수전 수납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hydrant storage unit has a shape surrounding the drive motor, and further comprises a motor bracket fixing the drive motor to the cover.
상기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동작하는 급수전 수납부; 및
상기 급수전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외부로 돌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는,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외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커버면이 형성된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수직 로드;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1 수평 로드; 및
상기 제1 수평 로드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2 수평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로드는, 각각 일 측에 상기 커버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기 위해 제1 및 제2 커버 결합바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수직 로드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기 위해 제1 및 제2 로드 결합바가 형성된 급수전 수납 정수기.
A main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order to install various parts therein, and a front case having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is disposed;
A water supply receiving part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ont case and operat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r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It is disposed under the hydrant storage unit, and includes a hydran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protrudes to the outside,
The water supply storage unit,
A cover having a cover surfac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case when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vertical ro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horizontal ro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And
A second horizontal rod dispos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rod,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ods have first and second cover coupling bars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on one side,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cover coupling bar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vertical rod on the other side. Water supply storage water purifier with rod coupling bar.
상기 수직 로드는 상기 제1 및 제2 로드 결합바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해 제1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된 급수전 수납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vertical rod is a water supply storage water purifier having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to be coupled by inserting the first and second rod coupling bars.
상기 수직 로드는, 상기 수직 로드의 상단에서 상기 제1 결합홈까지 이격된 간격은, 상기 제1 결합홈과 제2 결합홈 사이의 이격된 간격보다 작은 급수전 수납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vertical rod is a water hydrant receiving water purifier, wherein a space spaced apart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ro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is smaller than a spaced apart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상기 전면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도록 동작하는 급수전 수납부; 및
상기 급수전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외부로 돌출될 때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전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는,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외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커버면이 형성된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수직 로드;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1 수평 로드; 및
상기 제1 수평 로드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일 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며, 타 측이 상기 수직 로드에 결합된 제2 수평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외부 커버; 및
일 측이 상기 외부 커버와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로드와 결합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커버는 타 측에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로드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급수전 수납 정수기.
A main body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 order to install various parts therein, and a front case having a predetermined through hole formed at one side thereof is disposed;
A water supply receiving part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ront case and operat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r protruded to the outside; And
It is disposed under the hydrant storage unit, and includes a hydran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protrudes to the outside,
The water supply storage unit,
A cover having a cover surfac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an outer surface of the front case when the water supply receiv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 vertical rod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first horizontal ro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And
A second horizontal rod disposed below the first horizontal rod,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vertical rod,
The cover,
An outer cover having a plate shape;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outer cover, the other side includes an inner cover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ods,
The inner cover is a water hydrant storage water purifier having a spac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rods are accommodated on the other side.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전면 케이스에서 돌출되면, 상기 내부 커버의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급수전 수납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water supply storage part protrudes from the front case,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급수전은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전면 케이스에서 돌출되거나 삽입되도록 동작할 때, 회전축 없이 회전이 이루어지는 급수전 수납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ydrant is a water hydrant storage water purifier that rotates without a rotating shaft when the hydrant storage unit is operated to protrude or be inserted from the front case.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급수전 수납부가 상기 전면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될 때, 상기 급수전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기를 더 포함하는 급수전 수납 정수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hydrant storage water purifi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further comprising a sterilizer for sterilizing the water hydrant when the water hydrant storage part is inserted into the front cas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52863A KR102210383B1 (en) | 2019-05-07 | 2019-05-07 | Water purifier having storage water tap |
| CN202020725944.6U CN212425477U (en) | 2019-05-07 | 2020-05-06 | Water purifier for containing hydra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52863A KR102210383B1 (en) | 2019-05-07 | 2019-05-07 | Water purifier having storage water tap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28837A KR20200128837A (en) | 2020-11-17 |
| KR102210383B1 true KR102210383B1 (en) | 2021-02-01 |
Family
ID=7364224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52863A Active KR102210383B1 (en) | 2019-05-07 | 2019-05-07 | Water purifier having storage water tap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0383B1 (en) |
| CN (1) | CN212425477U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46894A (en) | 2021-04-26 | 2022-11-02 | 코웨이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having non exposed extraction member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15470B1 (en) * | 2012-07-04 | 2012-12-26 |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 Function water purifier |
Family Cites Familie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84297A (en) * | 2003-03-27 | 2004-10-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enser in refrigerator |
| DK200400224A (en) | 2004-02-13 | 2005-08-14 | Damixa Aps | faucet |
| KR100650666B1 (en) | 2005-12-27 | 2006-11-30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Water purifier with pollution prevention coke |
| KR101239326B1 (en) | 2011-03-30 | 2013-03-05 | 정휘동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ice container, and ice making water purifier and ice making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having the same |
| KR101308492B1 (en) * | 2011-10-06 | 2013-09-17 | 케이와이케이김영귀환원수(주) | Water purifier having storable water tap |
| KR102218018B1 (en) * | 2014-04-21 | 2021-0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 KR101986220B1 (en) * | 2017-09-22 | 2019-06-0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Water supply device having hidable water outlet |
-
2019
- 2019-05-07 KR KR1020190052863A patent/KR102210383B1/en active Active
-
2020
- 2020-05-06 CN CN202020725944.6U patent/CN212425477U/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15470B1 (en) * | 2012-07-04 | 2012-12-26 |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 Function water purifi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28837A (en) | 2020-11-17 |
| CN212425477U (en) | 2021-0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08492B1 (en) | Water purifier having storable water tap | |
| WO2007136831A3 (en) | Robotic pool cleaner with internal ultraviolet water sterilization | |
| KR102210383B1 (en) | Water purifier having storage water tap | |
| KR101106649B1 (en) | Water Purifier with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 |
| KR101269438B1 (en) | Device for clean water | |
| KR102222432B1 (en) | water purifier | |
| US6872306B2 (en) | Multifunctional pure water maker | |
| JP6016305B2 (en) | Water purifier | |
| KR100860745B1 (en) | UV Disinfection Equipment | |
| KR102298384B1 (en) | A device for purifying water | |
| KR101574848B1 (en) | A sterilizing device using UV | |
| KR20110126361A (en) | Uv sterilization tank | |
| JP6239927B2 (en) | Washing machine | |
| KR100445746B1 (en) | Apparatus for washing and sterilizing potable water container and supplying purified water into the container | |
| KR20110128974A (en) | water purifier | |
| KR101358277B1 (en) | Device for clean water | |
| KR102401191B1 (en) | Water discharging apparatus | |
| KR102190473B1 (en) | Inclined ultraviolet water treatment device | |
| KR20130063251A (en) | Ultraviolet sterilization apparatus | |
| KR20150099357A (en) | Drain cover of sink-bowl with a disinfectant | |
| KR0137696Y1 (en) | Ultraviolet disinfection water auto-supply apparatus of a purifier | |
| CN210873202U (en) | Plant is with disinfection machine that disinfects | |
| KR200423489Y1 (en) | Uv sterilizer | |
| CN202379837U (en) | Locking structure of water purifier | |
| JP2009282677A (en) | Purified water suppl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