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11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handwriting data in electronic pe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handwriting data in electronic p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2110B1 KR102212110B1 KR1020180133990A KR20180133990A KR102212110B1 KR 102212110 B1 KR102212110 B1 KR 102212110B1 KR 1020180133990 A KR1020180133990 A KR 1020180133990A KR 20180133990 A KR20180133990 A KR 20180133990A KR 102212110 B1 KR102212110 B1 KR 1022121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n
- electronic pen
- angle
- movement
- pen t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표면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레이저광에 기초한 스펙클 패턴을 검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영상 신호의 스펙클 패턴을 비교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하고,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하고,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보정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외부로 송신하는 필기 데이터 보정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toward the surface, the speckle pattern based on the irradiated laser light is detected and converted into an image signal,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pen tip are detected by comparing the speckle pattern of the image signal, and the detected electrons A method of correcting writing data for correc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detected pen tip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pen, and transmitting the correct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to the outside when a pressur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and The device is disclo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펜에서 필기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코드가 없는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한 후, 획득한 스펙클 패턴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전자펜 펜팁의 이동 거리를 구하고, 이를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라 보정하는 필기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rrecting handwritten data in an electronic pen,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 speckle pattern image obtained after irradiating a laser light onto a surface without a predetermined code, the electronic pen pen ti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handwritten data for obtaining a moving distance of and correcting it according to a tilt direction and angle of an electronic pen.
기존의 펜마우스 제품은 일반적으로 펜의 모양을 가진 마우스일 뿐이다. 그리하여, 사용자들은 제품을 손에 쥐고 사용하거나 컴퓨터에서 무엇인가를 그릴 때 어색함과 불편함을 느껴 왔다.Existing pen mouse products are generally only pen-shaped mice. Thus, users have felt awkward and uncomfortable when using a product with a product in their hand or when drawing something on a computer.
더욱이 대부분 마우스 센서와 렌즈를 사용해서 일반적인 펜보다는 훨씬 더 크게 만들어져 있고, 낮은 DOF 특성, 펜을 쥐는 방향 및 각도에 따른 필기 오류 등으로 인해 실제로 펜이라기 보다는 마우스 특성만 가질 뿐이었다.Moreover, most of them are made much larger than ordinary pens by using mouse sensors and lenses, and due to low DOF characteristics, handwriting errors depending on the holding direction and angle of the pen, they actually onl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mouse rather than a pen.
또한, 최근에는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종이에서 전자펜이 필기를 하는 경우, 전자펜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필기 궤적에 따라 코드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필기 궤적을 디지털 적으로 표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매체가 필요하여, 코드가 인쇄되어 있지 않은 종이 등에서는 필기를 디지털적으로 표시할 수 없는 한계가 있어 왔다.In addition, recently, when the electronic pen writes on a paper on which a predetermined code is printed, the code is acquired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trajectory using a camera attached to the electronic pen, and based on this, the writing trajectory is digitally generated in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The technology to mark as an enemy has been developed and used. However, since a medium on which a predetermined code is printed is required, there has been a limitation in that the handwriting cannot be digitally displayed on paper or the like on which the code is not printed.
또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더라도 펜의 기울기 등으로 인한 왜곡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필기를 복원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In addition, even if the handwriting data is acquired,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handwriting cannot be accurately restored due to distortion due to the tilt of the pen.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기 데이터를 획득한 후,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하고, 이를 활용하여 획득한 필기 데이터를 정확하게 보정하는 필기데이터 보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iting data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ly correcting the acquired handwriting data by sensing the tilt direction and angle of an electronic pen after acquiring handwritten data.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필기 데이터 보정 방법은 표면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조사된 레이저광에 기초한 스펙클 패턴을 검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의 스펙클 패턴을 비교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하는 단계; 및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보정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ethod for correcting handwriting data includes: irradiating a laser light toward a surface; Detecting a speckle pattern based on the irradiated laser light and converting it into an image signal; Comparing the speckle pattern of the image signal to detect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distance of the pen tip; Correcting a movement direction and a movement distance of the detected pen tip by using the detected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And transmitting the correct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to the outside when receiving the pen pressure detection signal.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른 스케일 팩터를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곱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rrec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detected pen tip using the detected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includes: a scale factor according to the detected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is adjusted to move the detected pen tip. It may include the step of multiplying the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to correct.
상기 스케일 팩터는 상기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른 이미지 센싱 유닛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트 수에 변화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The scale factor may be determined by a change in the number of counts per unit movement distance of the imag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필기 데이터 보정 장치는 표면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발광 유닛; 상기 조사된 레이저광에 기초한 스펙클 패턴을 검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하는 관성 측정 유닛;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스펙클 패턴을 비교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관성 측정 유닛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하고,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보정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외부로 송신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writing data correction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a laser light toward a surface; An image sensing unit detecting a speckle pattern based on the irradiated laser light and converting it into an image signal;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that detects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And comparing the speckle pattern of the image signal to detect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and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detect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of the pen tip and And an image data processing unit that corrects the movement distance and transmits the correct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to the outside when receiving a pen pressure detection signal.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펜을 쥐는 방향 및 각도에 따라, 필기 데이터를 보정하기에 펜을 어느 방향 및 어느 각도로 쥐더라도 정확한 필기 데이터를 전자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handwriting data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accurate handwriting data can be electronically restored even when the pen is held in any direction and at any ang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개략도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일부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싱 모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싱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필기 데이터 보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필기 데이터 보정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sition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rrecting handwriting data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correcting handwriting data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펜(100)은 인쇄된 코드가 없는 표면 또는 종이 등에서 레이저 스펙클 패턴의 이동을 감지하여 필기를 전자적으로 복원하는 펜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개략도에 관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 일부(도 1에서의 점선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싱 모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센싱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electronic pen (a dotted line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cation sen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자펜(100)은 하우징(110), 펜팁(120), 필압 센싱 유닛(130) 및 위치 센싱 모듈(140)을 포함하고, 위치 센싱 모듈(140)은 발광 유닛(141), 이미지 센싱 유닛(142), 관성 측정 유닛(143), 제어 유닛(144) 및 IR 패스 필터(145)를 포함하고, 이들은 경통(146)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자펜(100)은 전자펜(100)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배터리, 메모리, 송신부 및/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하우징(110)은 전자펜의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방측 단부에 제1개구부 및 제2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
제1개구부는 펜팁(120)의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중공이며, 제2개구부는 위치 센싱 모듈(140)에서 조사되는 광 및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용하기 위하여 형성된 중공이다.The first opening is a hollow formed to expose the
펜팁(120)은 표면(예를 들어, 종이 등)에 잉크를 분출하여 필기하는 유닛으로, 하우징(110)의 제1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된다.The
필압 센싱 유닛(130)은 펜팁(120)이 표면에 필기를 하는 경우, 펜팁(120)은 표면의 반대로 이동하기에 펜팁(120)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필압 센싱 유닛(130)이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위치 센싱 모듈(140)에 필기 개시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When the
전자펜(100)에 전원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필압 센싱 유닛(130)이 압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호버(Hover) 모드를 유지한다.When the
경통(146)은 위치 센싱 모듈(140)의 발광 유닛(141), 이미지 센싱 유닛(142), 관성 측정 유닛(143), 제어 유닛(144) 및 IR 패스 필터(145)를 내부에 수용하며,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2개구부(112)의 상방측에 배치된다.The
경통(146)은 주변광으로부터 야기되는 간섭 신호를 최대한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미지 센싱 유닛(142)이 간섭 신호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경통(146)은 주변광의 유입을 최대한 제거하기 위한 유닛이다.The
또한, 간섭 신호를 최대한 제거하기 위하여, 경통(146)은 이미지 센싱 유닛(120)의 중심으로부터, 경통(146) 하단부 중심까지의 거리(d)는 4.0 내지 8.0 밀리미터(mm), 경통(146)의 직경은 6.2 밀리미터(mm) 이상의 크기로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the interference signal as much as possible, the distance (d) from the center of the
또한, 표면으로부터 산란된 광이 아닌 다른 간섭광 신호의 센서로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경통 내부는 무광택 처리가 된다. 또한, 이를 위하여 경통 내부는 어두운 계열의 물질이 동시에 도포되어 경통 내부 표면 처리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ow of interference light signals other than the light scattered from the surface to the sensor, the interior of the barrel is matted.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a dark-based material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barrel, so that the interior surface of the barrel can be treated.
나아가, 경통(146)의 하단부는 IR 패스 필터(145)의 배치에 대응되도록 제2각도(b)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IR 패스 필터(145)는 경통(146)의 하단부로부터 기준길이(h)만큼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기준길이(h)는 0.8 밀리미터 내지 1.2 밀리미터일 수 있다. 또한, IR 패스 필터(145)로부터 경통(146) 하단부까지의 경통(146) 내부 표면에서 반사되는 간섭광이 이미지 센싱 유닛(142) 쪽으로 집광되도록, 즉, 표면으로부터 산란된 광의 유입이 최대가 되도록, IR 패스 필터(145)로부터 경통(146) 하단부까지의 경통(146) 내부 표면은 나노 입자로 처리가 될 수 있다. 더욱더 큰 효과를 위하여, IR 패스 필터(145)로부터 경통(146) 하단부까지의 경통(146) 내부 표면은 톱니 형상 또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Further, the lower end of the
발광 유닛(141)은 전자펜(100)이 온 되는 경우, 광을 조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필기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발광 유닛(141)이 표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발광 유닛(141)은 경통(146)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유닛(140)은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레이저를 이용하여야 표면으로부터 복수 산란되어 오는 복수 광들의 파면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스펙클(speckle) 패턴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발광 유닛(141)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이 하우징(110)의 길이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발광 유닛(141)은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제1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레이저광이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조사되는 경우, 펜팁(120)에 의하여 간섭을 받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광은 펜팁(120)의 방향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조사되어야 한다. 또한, 레이저광이 너무 경사지게 조사되는 경우에는, 펜팁(120)의 정확한 위치를 복원할 수 없기 때문에, 펜팁(120)의 영향이 없고, 비교적 정확한 펜팁(120)의 위치에 따라 필기를 복원하기 위하여, 제 1 각도는 10° 내지 12°가 바람직하다.The
레이저광이 표면에 조사되고, 표면에서 반사되는 간섭광(coherent)으로 인하여 스펙클 패턴이 형성되는데, 이미지 센싱 유닛(142)은 스펙클 패턴을 검지하여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그 후, 이미지 센싱 유닛(142)은 변환된 영상신호를 제어 유닛(143)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이미지 센싱 유닛(142)은 CCD 또는 CMOS가 사용될 수 있다. 발광 유닛(141)과 이미지 센싱 유닛(142)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모듈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to the surface, and a speckle pattern is formed due to coherent reflected from the surface, and the
관성 측정 유닛(143)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전자펜(100)의 방향과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The
제어 유닛(144)은 이미지 센싱 유닛(142)으로부터 수신한 스펙클 패턴 영상을 비교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한다. 제어 유닛(144)은 펜팁(120)의 위치 변화 후의 위치(현재 위치)의 스펙클 패턴 이미지 서브셋(Speckle pattern image subset)을 설정하고, 현재 설정한 서브셋의 영상과 위치 변화 전의 위치(이전 위치)에서 가장 상관 관계가 높은가를 스캐닝하여 이전 위치를 찾아서, 펜팁(120)의 이전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의 위치 변화 및 속도를 검출한다.The
그리고, 제어 유닛(144)은 관성 측정 유닛(143)이 감지한 펜의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제어 유닛(144)이 필압 센싱 유닛(130)으로부터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그 후, 제어 유닛(144)은 필기 개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발광 유닛(141)에 송신할 수도 있다. The
제어 유닛(144)이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 이후부터의 펜팁(12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미도시)로 송신한다. 그 후, 외부 장치는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전자펜(100)의 오프라인적 필기를 디지털적으로 복원하여 표시하게 된다. 제어 유닛(144)이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호버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IR 패스 필터(145)는 특정 IR 주파수 대역만의 광 투과를 위하여 배치되며, 신호 대 간섭비(SNR) 개선 효과를 위하여 구비된다. IR 패스 필터(145)의 중심 파장(Central wavelength)은 레이저광의 파장에 맞추어져야 한다.The
IR 패스 필터(145) 또한, 발광 유닛(141)과 마찬가지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제2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1각도 및 제2각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IR 패스 필터(145)에 의해 직반사되는 광은 간섭 신호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어, 위의 제1각도 및 제2각도는 상이하여야 한다. 제 2 각도는 제 1 각도(a)보다 크며, 33° 내지 39°가 바람직하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필기 데이터 보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rrecting handwriting data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전자펜은 표면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레이저광은 전자펜에 구비된 발광 소자를 통하여 조사된다.Referring to FIG. 5, in
전자펜은 전원이 온 되는 경우, 광을 조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필기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자펜이 표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은 레이저광이 바람직하다. 레이저를 이용하여야 표면으로부터 복수 산란되어 오는 복수 광들의 파면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스펙클 패턴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electronic pen irradiates ligh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writing start signal, the electronic pen may irradiate light toward the su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is preferably laser light. This is because a speckle pattern can be generated using a wavefront interference phenomenon of a plurality of lights scattered from a surface only when a laser is used.
단계 520에서, 전자펜은 표면에서 복수산란되어오는 복수 광들의 파면 간섭 현상으로 인한 스펙클 패턴을 검지하여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전자펜에 구비된 이미지 센싱 유닛이 본 단계를 수행하는데, 이미지 센싱 유닛은 CCD 또는 CMOS가 사용될 수 있다. In
단계 530에서, 전자펜은 수신한 스펙클 패턴 영상을 비교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한다. 전자펜은 펜팁의 위치 변화 후의 위치(현재 위치)의 스펙클 패턴 이미지 서브셋(Speckle pattern image subset)을 설정하고, 현재 설정한 서브셋의 영상과 위치 변화 전의 위치(이전 위치)에서 가장 상관 관계가 높은가를 스캐닝하여 이전 위치를 찾아서, 펜팁의 이전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의 위치 변화 및 속도를 검출한다.In
단계 540에서, 전자펜은 관성 측정 유닛을 통하여 감지한 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할 수가 있다. 관성 측정 유닛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전자펜,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센싱 유닛의 경사 방향과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In
전자펜은 관성 측정 유닛이 감지한 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라 각각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스케일 팩터를 곱하여 보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펜의 각도에 각도에 따라 스케일 팩터는 상이하고, 각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전자펜의 경사 방향이 X-방향인 경우와, Y-방향인 경우에 스케일 팩터는 상이하다. The electronic pen corrects by multiply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detec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pen detect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by a scale facto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le facto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electronic pen, and even if the angle is the same, the scale factor is in the case where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pen is in the X-direction and in the Y-direction. Different.
스케일 팩터는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른 이미지 센싱 유닛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트 수에 변화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자펜의 방향이 표면에 직각인 경우의 이미지 센싱 유닛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터 수보다 전자펜의 각도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이미지 센싱 유닛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트 수가 적게 된다. 따라서, 전자펜의 각도가 표면에 직각이 아닌 경우에는 1 이상의 스케일 팩터를 곱하여 보정이 되게 된다. The scale factor is determined by a change in the number of counts per unit movement distance of the imag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tilt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When the angle of the electronic pen is tilted than the number of counters per unit movement distance of the image sensing unit whe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nic pen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the number of counts per unit movement distance of the image sensing unit is smaller. Therefore, when the angle of the electronic pen is not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correction is performed by multiplying by one or more scale factors.
아래 표 1은 전자펜의 X-방향 및 각도에 따른 스케일 팩터의 실험예를 나타내는 표이다.Table 1 below is a table showing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scale factor according to the X-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아래 표 2는 전자펜의 Y-방향 및 각도에 따른 스케일 팩터의 실험예를 나타내는 표이다.Table 2 below is a table showing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scale factor according to the Y-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표 1 및 표 2에서, 각도는 전자펜의 방향이 표면에 대하여 직각인 상태에서 차이나는 각도를 의미한다.In Tables 1 and 2, the angle refers to an angle that differs when the direction of the electronic pen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단계 550에서, 전자펜은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보정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한다.In
그 후, 전자펜과 연결된 장치는 수신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전자펜의 필기를 디지털적으로 복원하게 된다.Thereafter, the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digitally restores the handwriting of the electronic pen based on the receiv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필기 데이터 보정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correcting handwriting data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필기 데이터 보정 장치(600)는 발광 유닛(610), 이미지 센싱 유닛(620), 관성 측정 유닛(630),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640)을 포함하고, IR 패스 필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의 구성 요소들은 도 3에서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640)은 도 3의 제어유닛(14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6, the handwriting
발광 유닛(610)은 표면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The
전자펜은 전원이 온 되는 경우, 발광 유닛(610)은 광을 조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필기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발광 유닛(610)이 표면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은 레이저광이 바람직하다. 레이저를 이용하여야 표면으로부터 복수 산란되어 오는 복수 광들의 파면 간섭 현상을 이용하여 스펙클 패턴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electronic pen is powered on, the
이미지 센싱 유닛(620)은 표면에서 복수산란되어오는 복수 광들의 파면 간섭 현상으로 인한 스펙클 패턴을 검지하여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 센싱 유닛(620)은 CCD 또는 CMOS가 사용될 수 있다. The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640)은 수신한 스펙클 패턴 영상을 비교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한다.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640)은 펜팁(120)의 위치 변화 후의 위치(현재 위치)의 스펙클 패턴 이미지 서브셋을 설정하고, 현재 설정한 서브셋의 영상과 위치 변화 전의 위치(이전 위치)에서 가장 상관 관계가 높은가를 스캐닝하여 이전 위치를 찾아서, 펜팁의 이전 위치에서 현재 위치로의 위치 변화 및 속도를 검출한다.The image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640)은 관성 측정 유닛(630)을 통하여 감지한 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할 수가 있다. 관성 측정 유닛(630)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전자펜,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센싱 유닛(620)의 경사 방향과 각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The image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640)은 관성 측정 유닛이 감지한 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라 각각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스케일 팩터를 곱하여 보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펜의 각도에 각도에 따라 스케일 팩터는 상이하고, 각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전자펜의 경사 방향이 X-방향인 경우와, Y-방향인 경우에 스케일 팩터는 상이하다. The image
스케일 팩터는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른 이미지 센싱 유닛(620)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트 수에 변화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자펜의 방향이 표면에 직각인 경우의 이미지 센싱 유닛(620)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터 수보다 전자펜의 각도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이미지 센싱 유닛(620)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트 수가 적게 된다. 따라서, 전자펜의 각도가 표면에 직각이 아닌 경우에는 1 이상의 스케일 팩터를 곱하여 보정이 되게 된다. The scale factor is determined by a change in the number of counts per unit movement distance of the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640)은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보정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한다.When receiving the pen pressure detection signal, the image
그 후, 전자펜과 연결된 장치는 수신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전자펜의 필기를 디지털적으로 복원하게 된다.Thereafter, the devic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en digitally restores the handwriting of the electronic pen based on the receiv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필기 데이터 보정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The handwriting data corre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Further,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disk management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around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필기 데이터 보정 장치...600
발광 유닛...610 이미지 센싱 유닛...620
관성 측정 유닛...630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640Handwriting data correction device...600
Light-emitting unit...610 Image sensing unit...620
Inertial Measurement Unit...630 Image Data Processing Unit...640
Claims (6)
상기 조사된 레이저광에 기초한 스펙클 패턴을 검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의 스펙클 패턴을 비교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전자펜에 구비된 관성 측정 유닛을 통하여 감지된 상기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하는 단계; 및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보정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른 스케일 팩터를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곱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일 팩터는 상기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른 이미지 센싱 유닛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트 수에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데이터 보정 방법.Irradiating a laser light toward the surface;
Detecting a speckle pattern based on the irradiated laser light and converting it into an image signal;
Comparing the speckle pattern of the image signal to detect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distance of the pen tip;
Correcting a movement direction and a movement distance of the detected pen tip by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sensed through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provided in the electronic pen; And
When receiving the pen pressure detection signal, includ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corrected pen tip to the outside,
Using the sensed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the step of correcting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Compensating by multiplying a scale factor according to the detected tilt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by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And the scale factor is determined by a change in the number of counts per unit movement distance of the imag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tilt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상기 조사된 레이저광에 기초한 스펙클 패턴을 검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싱 유닛;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감지하는 관성 측정 유닛; 및
상기 영상 신호의 스펙클 패턴을 비교하여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관성 측정 유닛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보정하고, 필압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보정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외부로 송신하는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처리 유닛은 상기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른 스케일 팩터를 상기 검출된 펜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곱하여 보정하고,
상기 스케일 팩터는 상기 감지된 전자펜의 경사 방향 및 각도에 따른 이미지 센싱 유닛의 단위 이동거리당 카운트 수에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데이터 보정 장치.A light-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a laser light toward the surface;
An image sensing unit detecting a speckle pattern based on the irradiated laser light and converting it into an image signal;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that detects an inclination direction and an angle of the electronic pen; And
By comparing the speckle pattern of the image signal,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pen tip are detected, and using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sensed by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of the detected pen tip Compensating the distance, and when receiving a pen pressure detection signal, including an image data process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orrected pen tip to the outside,
The image data processing unit corrects by multiplying a scale factor according to the sensed inclin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by the detect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pen tip,
And the scale factor is determined by a change in the number of counts per unit movement distance of the imag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tilt direction and angle of the electronic pen.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33990A KR102212110B1 (en) | 2018-11-02 | 2018-11-0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handwriting data in electronic pen |
| PCT/KR2019/014217 WO2020091323A1 (en) | 2018-11-02 | 2019-10-25 | Method for correcting handwriting data of electronic pen and apparatus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33990A KR102212110B1 (en) | 2018-11-02 | 2018-11-0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handwriting data in electronic pe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50835A KR20200050835A (en) | 2020-05-12 |
| KR102212110B1 true KR102212110B1 (en) | 2021-02-04 |
Family
ID=704641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33990A Active KR102212110B1 (en) | 2018-11-02 | 2018-11-02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handwriting data in electronic pen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2110B1 (en) |
| WO (1) | WO202009132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579076B2 (en) | 2020-09-25 | 2023-02-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 of optical sensor, apparatus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
| KR102587998B1 (en) * | 2023-03-06 | 2023-10-12 | 주식회사 보나 | pressure sensor calibration method of an optical digital pen by use of tilt angle |
Family Cites Familie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606969B2 (en) * | 1995-10-18 | 2005-01-05 | 株式会社リコー | Pen-type input device |
| KR100469294B1 (en) * | 2001-11-01 | 2005-02-02 | 핑거시스템 주식회사 | The apparatus of pen-type optical mous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085749B1 (en) * | 2005-06-23 | 2011-11-21 | 박순영 | Optical module for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mouse pen |
| KR100891100B1 (en) * | 2007-07-27 | 2009-03-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a pen-shaped optical mouse |
| KR20100023248A (en) * | 2008-08-21 | 2010-03-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leless pen input device |
-
2018
- 2018-11-02 KR KR1020180133990A patent/KR102212110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10-25 WO PCT/KR2019/014217 patent/WO2020091323A1/en not_active Ceased
Non-Patent Citations (2)
| Title |
|---|
| 일본공개특허 제09-114588호(1997.05.02.) 1부.* |
| 한국등록특허 제10-0891100호(2009.03.31.) 1부.*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50835A (en) | 2020-05-12 |
| WO2020091323A1 (en) | 2020-05-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184083B1 (en) | Electronic pen | |
| US7489308B2 (en) |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tip of an electronic stylus | |
| US6104387A (en) | Transcription system | |
| US6710767B1 (en) | Coordinate input apparatus | |
| US7773076B2 (en) | Electronic pen holding | |
| US7203383B2 (en) | Handwritten character recording and recognition device | |
| JP4697916B2 (en) | Coordinate input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 |
| KR10221211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handwriting data in electronic pen | |
| US20160018910A1 (en) | Method for associating a pen shaped hand held instrument with a substrate and/or for detecting a switching of the substrate and pen shaped handheld instrument | |
| US6714310B1 (en) | Coordinate input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mory therefor | |
| US10146338B2 (en) | Electronic pen implementing sensor drift compensation | |
| EP1380006B1 (en) | Handwritten character recording and recognition device | |
| KR102185942B1 (en) |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pen for acquiring gradient of electronic pen using image sensors | |
| CN119365844A (en) | Optical system for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 |
| JP5272401B2 (en) | Handwriting handwriting input system | |
| JP2009085635A (en) | Handwriting handwriting input system | |
| JP5141380B2 (en) | Handwriting handwriting input system | |
| CN108089732B (en) | Capacitance pen for demonstration and projection mobile phone | |
| US20140098070A1 (en) | Stylus body having two or more spheres coaxially affixed thereto | |
| EP0886234A1 (en) | Method for correcting deformation of an image and apparatus thereof | |
| EP2716468A1 (en) | Stylus body having two or more spheres coaxially affixed thereto | |
| JP5120128B2 (en) | Handwriting handwriting input system | |
| CN108656793B (en) | Writing tool for track recording and capable of being adjusted in self-adaption mode | |
| JP2002244805A (en) | Coordinate input device | |
| JP2001051797A (en) | Coordinate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mputer readable memor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