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230B1 - Trunk for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Trunk for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2230B1 KR102212230B1 KR1020200027202A KR20200027202A KR102212230B1 KR 102212230 B1 KR102212230 B1 KR 102212230B1 KR 1020200027202 A KR1020200027202 A KR 1020200027202A KR 20200027202 A KR20200027202 A KR 20200027202A KR 102212230 B1 KR102212230 B1 KR 1022122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unk
- reinforcing
- thermoplastic resin
- trunk body
- thickn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09—Fabr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201/00 - B29K2309/00, as reinforcement
- B29K2311/14—Wood, e.g. woodboard or fibre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렁크는 원샷 오버몰딩 공법을 통해 하나의 금형 내에서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또는 상기 트렁크 본체, 보강부, 보강홈 그리고 리브가 형성되어 공정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보강홈과 리브를 포함하여 적재 용량이 향상되고 경량화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the trun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ement part, or the trunk body, the reinforcement part, the reinforcement groove, and the rib are formed in one mold through the one-shot overmolding method, so that the process cost can be reduced, and the reinforcement groove and the rib are included. As a result, loading capacity is improved and weight reduction is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복합소재 트렁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moplastic composite tru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트렁크는 차체 뒤 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짐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미드쉽 차량이나 엔진이 트렁크 공간에 배치된 차량의 경우, 트렁크 공간 확보를 위해 기존 본넷이 위치한 공간에 트렁크를 배치하고 있다. In general, the trunk of a vehicle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nd is a space for loading various types of luggage. However, in the case of a midship vehicle or a vehicle in which the engine is arranged in the trunk space, the trunk is arranged in the space where the existing bonnet is located to secure the trunk space.
사용되는 소재로는 금속(Steel) 및 플라스틱(Plastic) 소재를 활용하고 있다. 이때,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한 경우, 열가소성 소재를 기반으로 PP(폴리프로필렌), PA(폴리아미드)6 소재를 기반으로 한 사출성형 제품이 일반적이며, 열경화성 소재를 기반으로 SMC(sheet molding compound)와 같은 공법을 사용한 제품이 있다.Metal and plastic are used as materials used. At this time, in the case of using plastic materials, injection molding products based on PP (polypropylene) and PA (polyamide) 6 materials based on thermoplastic materials are generally used, and based on thermosetting materials, such as sheet molding compound (SMC). There are products using the method.
트렁크는 차량의 적재량에 따라 중량의 차이가 있으나, 적게는 3~10kg, 많게는 10~30kg의 중량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 부품에서 높은 중량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트렁크의 경량화에 대한 니즈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프론트 트렁크가 적용되는 차종의 경우 고성능 차량이나 전기차에 주로 사용되고 있어, 경량화에 대한 니즈가 상당히 높은 실정이다. 기존 열가소성 소재 기반의 사출제품의 경우, 소재의 한계로 인하여 추가적인 경량화가 어렵고 주변 차체와 고정되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보다 성능 높은 소재를 활용한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 trunk has a difference in weight depending on the vehicle's loading capacity, but it has a weight of 3 to 10 kg at a minimum and 10 to 30 kg at most, and occupies a high weight in auto parts. Therefore, the need for weight reduction of the trunk is expand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vehicle to which the front trunk is applied, it is mainly used for high-performance vehicles or electric vehicles, and the need for weight reduction is quite high. In the case of injection products based on conventional thermoplastic materials, additional weight reduction is difficult due to the limitations of materials and has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be fixed to the surrounding vehicle bod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ducts using higher performance materials.
열가소성 복합소재가 적용된 프론트 트렁크의 경우, 기존의 사출형 프론트 트렁크에 비해 높은 경량화율을 달성할 수 있으나, 부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인서트 오버몰딩의 공정이 복합하고, 미리 성형된 프리폼을 최종 성형을 위해 사출기에 삽입하여야 하는 추가 공정이 발생되어, 부품 생산 시간 및 공정비 상승의 단점을 갖고 있다. 상기 인서트 오버몰딩은 플라스틱 사출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 강성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인서트물(금속재, 복합소재)을 삽입하여 사출하는 공법을 말한다. 이 때, 인서트물은 보강하고자 하는 용도에 맞도록 1차 성형을 수행하게 된다. 복합소재 인서트물의 경우 프리프레그 적층, 가열, 압착, 가공의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러한 인서트물을 사출 금형 상에 삽입하여 사출성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인서트물 제작을 위한 공정으로 인하여 사이클 타임 및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front trunk to which a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is applied, a higher weight reduction ratio can be achie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jection-type front trunk, but it has a problem that the price of parts increases. In addition, the insert overmolding process is complex, and an additional process in which the preformed preform must be inserted into the injection machine for final molding is generat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part production time and process cost. The insert overmolding refers to a method of inserting an insert (metal material, composite material) to reinforce structural rigidity and strength that is difficult to solve only with plastic injection. At this time, the insert is subjected to primary molding to suit the purpose to be reinforced. In the case of composite inserts, prepreg lamination, heating, compression, and processing are performed, and injection molding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se inserts into an injection mold.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ycle time and cost are increased due to a separate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insert.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금형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를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에 상기 트렁크 본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여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렁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in a mold; Compression molding the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trunk body; And forming a reinforcing part by disposing a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or an eco-friendly wood powd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while the trunk body is positioned in the mol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포함하는 트렁크 본체; 및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트렁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unk body compris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And it is to provide a trunk comprising a reinforcing portion composed of a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or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금형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를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에 상기 트렁크 본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여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렁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os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in a mold; Compression molding the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trunk body; And forming a reinforcing part by disposing a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or an eco-friendly wood powd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while the trunk body is located in the mold.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포함하는 트렁크 본체; 및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트렁크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unk body compris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And it provides a trunk including a reinforcing portion composed of a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or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의 두께비는 1.5:1~1:1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ratio of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is 1.5:1 to 1:1.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에는 보강홈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in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art.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홈에 위치하여 서로 교차된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ribs located in the reinforcing groove cross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또는 보강홈이 형성된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그리고 리브는 하나의 금형 내에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ortion or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ortion and ribs in which the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are formed in one mold.
본 발명에서, 상기 리브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거나, 상기 리브의 폭은 1 내지 6mm로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b is formed of a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or an eco-friendly wood powd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or the width of the rib is formed of 1 to 6mm.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홈이 형성된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의 두께비는 1:0.66~1:3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ratio of the trunk body in which the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and the reinforcing portion is 1:0.66 to 1:3.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의 두께와 리브 폭의 비는 1:1~1:2.5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thickness and rib width of the reinforcing portion is 1:1 to 1:2.5.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는 강화섬유 40~7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30~60 중량%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includes 40 to 70% by weight of reinforcing fibers and 30 to 6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에서,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강화섬유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rises 20 to 40% by weight of reinforcing fibers and 60 to 8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에서, 상기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목분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co-friendly wood powd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ncludes 20 to 40% by weight of wood flour and 60 to 8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본 발명에서,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거나,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fib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aramid fiber, or the thermoplastic resin is polypropylene or polyamide.
본 발명은 트렁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렁크는 원샷 오버몰딩 공법을 통해 하나의 금형 내에서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또는 상기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보강홈 및 리브가 형성되어 공정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보강홈과 리브를 포함하여 적재 용량이 향상되고 경량화가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the trun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ement part, or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ement part, the reinforcement groove and the rib are formed in one mold through the one-shot overmolding method, so that the process cost can be reduced, and the reinforcement groove and the rib are included. As a result, loading capacity is improved and weight reduction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보강부의 저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 분해사시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의 저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taken along line III-III.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bottom of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u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 bottom surface of a reinforcement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나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r drawings described 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금형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합재를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에 상기 트렁크 본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여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렁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spos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in a mold; Compression molding the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trunk body; And forming a reinforcing part by disposing a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or an eco-friendly wood powd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while the trunk body is located in the mold.
본 발명의 한 실시예 따라 도 1 내지 3의 트렁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트렁크의 제조방법은 먼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금형에 배치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는 강화섬유 40~7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30~6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거나,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nk of FIGS. 1 to 3 was manufactur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run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 of plac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in a mold.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includes 40 to 70% by weight of reinforcing fibers and 30 to 6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The reinforcing fiber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fibers, carbon fibers and aramid fibers, or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polypropylene or polyamide.
상기 연속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더욱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트렁크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트렁크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는 강화섬유 40~7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30~60 중량%를 포함하는데, 상기 강화 섬유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량 대비 섬유량 비중이 높아져 성형간 섬유 쏠림/뭉침 및 섬유간 수지가 미함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섬유간 수지가 미함침될 경우, 계면 파단이 발생되어 구조적 파손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강화 섬유 함량이 40 중량% 미만인 경우 구조적 강성을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By using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material, a predetermined shape can be more firmly implemented, so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trunk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trunk itself can be reduced in weight.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contains 40 to 70% by weight of reinforcing fibers and 30 to 60% by weight of a thermoplastic resin, and when the content of the reinforcing fibers exceeds 70% by weight, the weight of the amount of fiber to the amount of resin is increased, thereby forming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liver fibers are pulled/aggregated and the resin between fibers is not impregnated. When the inter-fiber resin is not impregn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terfacial breakage occurs and structural breakage is easily generated, and when the reinforcing fiber content is less than 40% by weight, structural stiffness cannot be satisfied .
다음으로, 상기 복합재를 압축하여,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압축 금형을 이용하여,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를 기설정된 압력으로 압축하여 트렁크 본체(110)를 형성한다. 이때 압축 금형 형상에 따라 트렁크 본체(110)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Next, it includes a step (S20) of compressing the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trunk body. The
다음으로, 상기 금형에 상기 트렁크 본체(110)가 위치한 상태에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여 보강부(120)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트렁크 본체(110)를 상기 압축 금형에서 분리하지 않고 금형에 상기 트렁크 본체(110)가 위치한 상태에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여, 사출성형 방식으로 트렁크 본체(110)와 연결된 보강부(120)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는 하나의 금형 내에서 원샷 오버몰딩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되게 된다.Next, a step (S30) of forming the reinforcing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강화섬유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그리고 친환경 소재인 목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거나,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강화 섬유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출 공정 간 성형기 스크류(Screw)에 섬유가 뭉쳐 장비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성형 불량(섬유 뭉침 및 섬유 외부 드러남)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강화 섬유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요구 성능을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The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ncludes 20 to 40% by weight of reinforcing fibers and 60 to 8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The reinforcing fib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aramid fiber, and wood powder, which is an eco-friendly material, or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polypropylene or polyamide. When the content of the reinforcing fibers exceeds 40% by weight, fibers may be aggregated in the screw of the molding machine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resulting in equipment damage, and a problem of molding defects (fiber agglomeration and fiber exposure) occurs, If the reinforcing fiber content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required performance is not satisfied .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에 비해 저렴하여 비용 절감을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디자인 역시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으며, 다양하고 표면이 보다 균일한 외관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트렁크 본체(110)와 연결하여 국부적 형상을 보강하는 장점이 있다. The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s inexpensive compared to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material, so that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and the design can be freely molde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implement a variety of and more uniform appearance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reinforcing a local shape by connecting to the
따라서 사출성형을 위해 먼저 형성되고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트렁크 본체(110)를 압축 금형에서 분리하지 않고 보강부(120)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를 바로 공급하여 사출 성형을 진행하므로 종래에 압축 성형을 통해 프리폼을 제작한 후 이를 사출 금형에 공급하여 인서트 사출성형을 진행하기 위해서 압축 성형된 프리폼을 압축 금형에서 인출하고, 인출된 프리폼을 사출 금형에 맞게 커팅한 후 사출 금형에 삽입하는 공정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금형에서 압축 성형과 사출성형이 원-샷 오버몰딩(One-Shot Overmolding) 방식으로 진행되어 종래의 인서트 오버몰딩에 비하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injection molding is performed by directly supplying the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to the reinforcing
그리고, 트렁크 본체(110) 형성을 위한 압축 성형과 보강부(120)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이 하나의 압축 금형에서 이루어지므로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는 높은 결합력을 갖는다. 즉, 트렁크 본체(110)를 형성하는 압축 성형과 보강부(120)를 형성하는 사출 성형이 하나의 금형에서 원-샷 오버몰딩(One-Shot Overmolding) 방식으로 진행되고, 트렁크 본체(110)가 높은 온도에서 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보강부(120)를 구성하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압축 금형에 배치되므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와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가 하나의 압축 금형 내에서 서로 높은 온도에서 융화되어 결합되어, 계면 접착력이 우수하다.In addition, since compression molding for forming the
또한, 압축 성형과 사출 성형이 하나의 금형 내에서 빠른 시간 내에 진행되어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로 이루어진 트렁크 본체(110)와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로 이루어진 보강부(120) 간의 화학적 결합이 인서트 오버몰딩 대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계면 접착력은 원샷 오버몰딩이 인서트 오버몰딩에 비하여 우수하다.In addition, compression molding and injection molding are carried out in one mold within a short time, so that the chemical bond between the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조된 트렁크 본체 두께(110W)와 보강부(120W)의 두께비는 1.5:1~1:1일 수 있다. 상기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의 두께비가 1:1~1:2.5 범위를 벗어나면 트렁크 전체적으로 무게가 증가하게 되거나, 처짐량(deflection)이 증가하여 트렁크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고 적재에 따른 형상 유지가 필요한 프론트 트렁크에 부적합하다. The thickness ratio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트렁크는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 바닥에는 보강홈(110a, 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렁크(100)는 보강부(120)의 보강홈(120a)에 위치하여 서로 교차된 복수의 리브(121, 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X축을 따라 형성된 가로 방향 리브(121)와 Y축을 따라 형성된 세로 방향 리브(122)가 서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ru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 Reinforcing
상기 보강홈(110a, 120a)이 형성된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 그리고 리브(121, 122)는 하나의 금형 내에서 형성되게 된다.The
구체적으로,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금형에 배치하여,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본체(110)를 형성 한 후, 상기 금형에 상기 트렁크 본체(110)가 위치한 상태에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여 보강부(120)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하는 데, 이 때, 하나의 금형 내에서 압축 성형과 사출 성형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높은 결합력으로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가 결합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에 보강홈(110a, 120a)이 형성되게 되고, 보강부(120)의 보강홈(120a)에 위치하는 복수의 리브(121, 122) 역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게 되어, 원샷 오버몰딩 공법에 의해 하나의 압축 금형 내에서 압축 성형과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어, 프리폼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에 있어서도 보강부(120), 보강홈(110a, 120a), 리브(121, 122)의 사출이 하나의 금형 내에서 가능하게 된다. 이에, 공정비 및 사이클 타임 절감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단일 공정으로 인해, 보강홈(120a)에 리브(121, 122)를 형성하여 보강홈(120a)과 리브((121, 122) 사이의 접촉 면적이 5 내지 20%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계면 접착력이 우수하게 된다.Specifically,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is placed in a mold, compression molded to form the
상기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에 보강홈(110a, 120a)을 사출 성형한 후, 리브(121, 122)를 사출 성형할 수 있고, 또는 보강홈(110a, 120a) 사출 성형과 동시에 리브(121, 122)를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리브(121, 122)의 소재로는 보강부(120)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리브(121, 122)는 보강부(120)와 동일하게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리브(121, 122)의 폭은 1 내지 6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강화섬유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친환경 목분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한다.After injection molding the reinforcing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그리고 친환경 소재인 목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거나,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The reinforcing fib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aramid fiber, and wood powder, which is an eco-friendly material, or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polypropylene or polyamide.
상기 보강홈(110a, 120a)이 형성된 도 4 내지 9의 트렁크에서 트렁크 본체 두께(110W)와 보강부 두께(120W) 비는 1:0.66~1:3일 수 있다. 상기 보강홈(110a, 120a)을 형성하는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의 두께비가 1:0.66~1:3을 벗어나는 경우, 보강부 두께가 얇아져, 미성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보강부의 두께가 증가할 경우, 중량 대비 성능 증가 폭이 낮아져 제품의 중량을 증가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trunk of FIGS. 4 to 9 in which the reinforcing
또한, 본 발명의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보강부의 두께(120W)와 리브 폭(W)의 비는 1:1~1:2.5일 수 있다. 상기 보강홈(120a)을 형성하는 보강부(120)의 두께와 리브 폭(W)의 비가 1:1 미만인 경우, 리브의 길이 대비 폭이 얇아 사출성형 후 제품 취출간 리브 변형 및 취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2.5을 초과하는 경우 리브와 연결된 제품 상단면에서 Sink Mark(사출 후 빨림 현상)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of the present invention, a ratio of the thickness (120W)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rib width (W) may be 1:1 to 1:2.5. Whe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프런트 트렁크일 수 있다. 보강홈(110a, 120a)과 리브(121, 122)가 형성된 도 4 내지 도 9의 트렁크(100)의 경우 보강홈(110a, 120a)과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도 1 내지 3의 트렁크(100)에 비해 1/5 수준으로 경량화가 가능하면서, 100kg 적재량에 대한 처짐량도 5 mm 이하 수준으로 프런트 트렁크가 적용되는 차종에 적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nk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a front trunk. In the case of the
또한,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보강부(120) 위에 보호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을 추가하여, 보다 쳐짐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을 두께를 얇게 하여 경량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으로는 부직포 등이 적합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0, a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포함하는 트렁크 본체; 및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트렁크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unk body compris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And it provides a trunk comprising a reinforcement portion composed of a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or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포함하는 트렁크 본체(110); 및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보강부(120)를 포함한다.1 to 3, a tru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트렁크(100)는 트렁크 본체(110), 보강부(120)를 포함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The
상기 트렁크 본체(110)는 상기 연속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더욱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트렁크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트렁크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는 강화섬유 40~7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30~60 중량%를 포함하는데, 상기 강화 섬유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량 대비 섬유량 비중이 높아져 성형간 섬유 쏠림/뭉침 및 섬유간 수지가 미함침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섬유간 수지가 미함침될 경우, 계면 파단이 발생되어 구조적 파손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강화 섬유 함량이 40 중량% 미만인 경우 구조적 강성을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The
상기 보강부(120)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며, 강화섬유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친환경 목분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거나,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일 수 있다. 상기 강화 섬유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출 공정 간 성형기 스크류(Screw)에 섬유가 뭉쳐 장비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성형 불량(섬유 뭉침 및 섬유 외부 드러남)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강화 섬유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요구 성능을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The reinforcing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에 비해 저렴하여 비용 절감을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디자인 역시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으며, 다양하고 표면이 보다 균일한 외관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트렁크 본체(110)와 연결하여 국부적 형상을 보강하는 장점이 있다. The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s inexpensive compared to 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material, so that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and the design can be freely molded,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implement a variety of and more uniform appearance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reinforcing a local shape by connecting to th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 내지 3의 트렁크에서 트렁크 본체 두께(110W)와 보강부 두께(120W)의 비는 1.5:1~1:1일 수 있다. 상기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의 두께비가 1.5:1~1:1 범위를 벗어나면 트렁크 전체적으로 무게가 증가하게 되거나, 처짐량(deflection)이 5.8 이상으로 증가하여 트렁크 특히, 경량화가 요구되는 프론트 트렁크에 부적합하다. In the trunk of FIGS. 1 to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4 내지 도 9의 트렁크(100)에 있어서,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는 보강홈(110a, 120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홈(120a)에 위치하여 서로 교차된 복수의 리브(121, 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X축을 따라 형성된 가로 방향 리브(121)와 Y축을 따라 형성된 세로 방향 리브(122)가 서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도 1 내지 도 3의 트렁크에 비해, 도 4 내지 도 9의 트렁크의 경우, 보강홈, 리브를 더 포함하여도 적재에 의해 하중이 트렁크 바닥뿐만 아니라, 측면으로 골고루 분산되게 되어 보강홈(110a, 120a)과 리브(121, 122)가 형성되지 않은 도 1 내지 도 3의 트렁크에 비해 처짐량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고, 1/5 수준으로 경량화가 가능하여 프론트 프렁크로 적합하다.Compared to the trunk of FIGS. 1 to 3, in the case of the trunk of FIGS. 4 to 9, the load is evenly distributed not only to the bottom of the trunk but also to the side by loading even if the reinforcing grooves and ribs are further included, the reinforcing
상기 리브(121, 122)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 또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거나, 상기 리브의 폭은 1 내지 6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보강부의 두께(120W)와 리브 폭(W)의 비는 1:1~1:2.5일 수 있다. 상기 보강홈(120a)을 형성하는 보강부(120)의 두께와 리브 폭(W)의 비가 1:1 미만인 경우, 리브의 길이 대비 폭이 얇아 사출성형 후 제품 취출간 리브 변형 및 취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2.5을 초과하는 경우 리브와 연결된 제품 상단면에서 Sink Mark(사출 후 빨림 현상)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도 4 내지 9의 트렁크를 참고하면, 트렁크 본체 두께(110W)와 보강부 두께(120W)의 비는 1:0.66~1:3일 수 있다. 상기 보강홈(110a, 120a)을 형성하는 트렁크 본체(110)와 보강부(120)의 두께비가 1:0.66~1:3을 벗어나는 경우, 보강부 두께가 얇아져, 미성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보강부의 두께가 증가할 경우, 중량 대비 성능 증가 폭이 낮아져 제품의 중량을 증가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Referring to the trunk of FIGS. 4 to 9,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또한, 본 발명에서,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보강부(120) 위에 보호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을 추가하여, 보다 쳐짐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트렁크 본체(110)와 보호층(130) 두께를 얇게 하여 경량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의 재질은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a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트렁크의 제조Example 1: Preparation of trunk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리 섬유 60 중량%, 폴리프로필렌 40 중량%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CFT)를 사용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trunk body,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CFT) containing 60% by weight of glass fiber and 40% by weight of polypropylene was used.
보강부와 리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리 섬유 30 중량%, 폴리프로필렌 70 중량%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를 사용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rib, a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LFT) containing 30% by weight of glass fibers and 70% by weight of polypropylene was used.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CFT)를 금형에 비치한 후,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였다. 이때, 트렁크 본체는 0.5mm 두께로 형성하였다.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CFT) was placed in a mold and then compression molded to form a trunk body. At this time, the trunk body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0.5mm.
상기 금형에 트렁크 본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체(LFT)를 배치하고, 원샷 오버 몰딩 공법을 이용하여 보강부의 두께가 0.5mm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였다. 또한,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에 보강홈을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홈에 복수 개의 리브를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리브의 폭을 2.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837.2g으로 제조하였다.The lo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LFT) was placed in the mold with the trunk body positioned, and injection-mold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ortion became 0.5 mm by using a one-shot over-molding method. In addition, a reinforcing groove was additionally formed in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bs were formed in the reinforcing groove.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rib was 2.0 mm, and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837.2 g.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0.5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0.5mm 보강부 두께, 0.5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1.0mm, 보강부의 두께를 1.0 mm, 리부의 폭을 0.5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1,305.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1.0 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was 1.0 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0.5 mm instead of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of 0.5 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of 0.5 mm, and the width of the ribs of 0.5 mm. And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1,305.0g.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0.5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0.5mm 보강부 두께, 0.5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1.0mm, 보강부의 두께를 1.0 mm, 리부의 폭을 1.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1,397.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is 0.5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0.5mm,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i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1.0mm, and the width of the rib is 1.0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1,397.0g.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0.5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0.5mm 보강부 두께, 0.5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1.0mm, 보강부의 두께를 1.0 mm, 리부의 폭을 1.5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1,444.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instead of 0.5mm thickness of the trunk body, 0.5mm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width of 0.5mm rib,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1.0 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1.5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1,444.0g.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0.5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0.5mm 보강부 두께, 0.5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1.0mm, 보강부의 두께를 1.0 mm, 리부의 폭을 2.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1,490.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instead of 0.5mm thickness of the trunk body, 0.5mm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width of 0.5mm rib,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1.0 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2.0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1,490.0g.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0.5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0.5mm 보강부 두께, 0.5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0.5mm, 보강부의 두께를 0.5mm, 리부의 폭을 1.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744.9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instead of 0.5mm thickness of the trunk body, 0.5mm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width of 0.5mm rib,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0.5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0.5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1.0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made to be 744.9g.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0.5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0.5mm 보강부 두께, 0.5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0.5mm, 보강부의 두께를 0.5mm, 리부의 폭을 1.5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791.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instead of 0.5mm thickness of the trunk body, 0.5mm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width of 0.5mm rib,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0.5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0.5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1.5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manufactured as 791.0g.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0.5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0.5mm 보강부 두께, 0.5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2.0mm, 보강부의 두께를 2.0mm, 리부의 폭을 0.5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2,656.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is 0.5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0.5mm,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is 2.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2.0mm, and the width of the rib is 0.5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2,656.0g.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0.5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0.5mm 보강부 두께, 0.5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2.0mm, 보강부의 두께를 2.0mm, 리부의 폭을 1.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2,703.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is 0.5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0.5mm,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is 2.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2.0mm, and the width of the rib is 1.0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manufactured as 2,703.0g.
실시예 6Example 6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유리 섬유 60 중량%, 폴리프로필렌 40 중량%를 포함하는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CFT)를 사용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trunk body,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CFT) containing 60% by weight of glass fiber and 40% by weight of polypropylene was used.
보강부와 리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친환경 목분 30 중량%, 폴리프로필렌 70 중량%를 포함하는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MWF)를 사용하였다.In order to form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rib, an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MWF) containing 30% by weight of eco-friendly wood powder and 70% by weight of polypropylene was used.
상기 연속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복합재(CFT)를 금형에 비치한 후,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였다. 이때, 트렁크 본체는 1.0mm 두께로 형성하였다.The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CFT) was placed in a mold and then compression molded to form a trunk body. At this time, the trunk body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0 mm.
상기 금형에 트렁크 본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고, 원샷 오버 몰딩 공법을 이용하여 보강부의 두께가 1.0mm가 되도록 사출 성형하였다. 또한,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에 보강홈을 추가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홈에 복수 개의 리브를 형성하였다. 이 때, 상기 리브의 폭을 1.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1,285.0g으로 제조하였다.The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was disposed in the state where the trunk body was located in the mold, and injection-mold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became 1.0 mm by using a one-shot over-molding method. In addition, a reinforcing groove was additionally formed in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bs were formed in the reinforcing groove.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rib was 1.0 mm, and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1,285.0 g.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1.0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1.0mm 보강부 두께, 1.0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1.0mm, 보강부의 두께를 1.0mm, 리부의 폭을 1.5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1,325.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i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is 1.0mm, and the width of the rib is 1.5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1,325.0g.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6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1.0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1.0mm 보강부 두께, 1.0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1.0mm, 보강부의 두께를 1.0mm, 리부의 폭을 2.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1,365.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6,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1.0mm,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1.0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2.0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1,365.0g.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1.0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1.0mm 보강부 두께, 1.0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0.5mm, 보강부의 두께를 0.5mm, 리부의 폭을 2.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762.8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1.0mm,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0.5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0.5mm, the width of the rib was 2.0mm instead of the width of the rib.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made as 762.8g.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1.0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1.0mm 보강부 두께, 1.0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1.0mm, 보강부의 두께를 1.0mm, 리부의 폭을 0.5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1,245.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1.0mm,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1.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1.0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0.5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1,245.0g.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1.0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1.0mm 보강부 두께, 1.0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2.0mm, 보강부의 두께를 2.0mm, 리부의 폭을 0.5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2,450.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but instead of 1.0mm thickness of the trunk body, 1.0mm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width of 1.0mm rib,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2.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2.0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0.5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2,450.0g.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1.0mm 트렁크 본체의 두께, 1.0mm 보강부 두께, 1.0mm 리브의 폭 대신에 트렁크 본체의 두께를 2.0mm, 보강부의 두께를 2.0mm, 리부의 폭을 1.0mm로 하여 트렁크의 총 무게가 2,491.0g으로 제조하였다.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but instead of 1.0mm thickness of the trunk body, 1.0mm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and the width of 1.0mm rib, the thickness of the trunk body was 2.0mm,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ement part was 2.0mm, and the width of the rib was 1.0mm. The total weight of the trunk was 2,491.0g.
실험예: 트렁크의 처짐량 측정 결과 분석Experimental Exampl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deflection amount
상기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예 1 내지 8의 트렁크를 이용하여, 중량 100Kg에 따른 처짐량(Deflection)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석적 검토를 진행하였다.Using the trunks of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8, an analytical review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eflec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100 Kg.
하기의 표 1은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예 1 내지 8의 제조방법에 따른 트렁크의 처짐량(Deflection)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deflection of the trunk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8.
[표 1][Table 1]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 듯이,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처짐량이 5.0mm 미만이였으나, 비교예 1 내지 8의 경우는 처짐량이 너무 커서 프론트 트렁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보강부의 두께와 리브 폭의 비는 1:1~1:2.5인 경우 처짐량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8, the amount of sag was less than 5.0 mm, but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8,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sag was too large to be suitable as a front trunk.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rib width is 1:1 to 1:2.5, the amount of deflection is the smallest.
더불어, 실시예 5(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사용)와 실시예 8(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 사용)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8(처짐량: 3.239)이 실시예 5(처짐량: 2.254)에 비해 처짐량은 조금 떨어지나 요구성능에 만족하고 있으며, 더욱 경량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looking at the results of Example 5 (use of 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and Example 8 (use of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Example 8 (sag amount: 3.239) compared to Example 5 (sag amount: 2.254) Although it is slightly inferior, it is satisfied with the required performance,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more lightweight.
100: 트렁크 110: 트렁크 본체
110a: 보강홈 110W: 트렁크 본체 두께
120: 보강부 120a: 보강홈
120W: 보강부 두께 121: 가로 리브
122: 세로 리브 W: 리브 폭
130: 보호층100: trunk 110: trunk body
110a:
120:
120W: reinforcement thickness 121: horizontal rib
122: vertical rib W: rib width
130: protective layer
Claims (21)
상기 복합재를 압축 성형하여 트렁크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에 상기 트렁크 본체가 위치한 상태에서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를 배치하여 보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에는 보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의 보강홈에는 서로 교차된 복수의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목분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의 두께와 리브 폭의 비는 1:1~1:2.5인 것인,
트렁크의 제조방법.Plac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in a mold;
Compression molding the composite material to form a trunk body; And
Including the step of forming a reinforcement by disposing an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n the state in which the trunk body is located in the mold,
A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in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art,
The reinforcing groove of the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rib composed of a plurality of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s crossing each other,
The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ncludes 20 to 40% by weight of wood flour and 60 to 8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rib width is 1:1 to 1:2.5,
How to make a trunk.
상기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또는 보강홈이 형성된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그리고 리브는 하나의 금형 내에서 형성되는 것인, 트렁크의 제조방법.In claim 1,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ortion or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ortion and ribs having a reinforcing groove formed therein are formed in one mold.
상기 강화섬유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거나,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아미드인 것인, 트렁크의 제조방법.In claim 9,
The reinforcing fib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ass fiber, carbon fiber and aramid fiber,
The thermoplastic resin is polypropylene or polyamid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runk.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는 보강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의 보강홈에는 서로 교차된 복수의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친환경 목분 강화 열가소성 수지는 목분 20~40 중량% 및 열가소성 수지 60~8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의 두께와 리브 폭의 비는 1:1~1:2.5인 것인,
트렁크.Trunk body comprising a continuou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And
Including a reinforcement part composed of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ing portion are formed with reinforcing grooves,
The reinforcing groove of the reinforcing portion includes a rib composed of a plurality of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s intersecting each other,
The eco-friendly wood powd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includes 20 to 40% by weight of wood flour and 60 to 80% by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The ratio of the thickness and rib width of the reinforcing portion is 1:1 to 1:2.5,
trunk.
상기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또는 보강홈이 형성된 트렁크 본체와 보강부 그리고 리브는 하나의 금형 내에서 형성되는 것인, 트렁크.In clause 14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or the trunk body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and ribs in which the reinforcing groove is formed are formed in one mol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27202A KR102212230B1 (en) | 2020-03-04 | 2020-03-04 | Trunk for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27202A KR102212230B1 (en) | 2020-03-04 | 2020-03-04 | Trunk for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12230B1 true KR102212230B1 (en) | 2021-02-04 |
Family
ID=7455866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27202A Active KR102212230B1 (en) | 2020-03-04 | 2020-03-04 | Trunk for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12230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40051466A1 (en) * | 2022-08-11 | 2024-02-15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Motor vehicle with a cargo space and a cargo space well bounding the cargo space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234836A (en) * | 1985-08-08 | 1987-02-14 | Honda Motor Co Ltd | Automobile trunk structure |
| KR19990060470A (en) * | 1997-12-31 | 1999-07-26 | 쿵센 로 | Edible germ cultivation structure with germination body unit and water saving supply and drainage system of all stages |
| KR20150034672A (en) * | 2012-07-20 | 2015-04-03 | 남바프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Press molding with reinforcing ri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101810004B1 (en) * | 2016-08-03 | 2017-12-19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bag housing for vehicle |
| KR101886294B1 (en) * | 2017-11-21 | 2018-08-08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Rear seat, rear seat back frame and manufcturing method thereof |
-
2020
- 2020-03-04 KR KR1020200027202A patent/KR1022122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234836A (en) * | 1985-08-08 | 1987-02-14 | Honda Motor Co Ltd | Automobile trunk structure |
| KR19990060470A (en) * | 1997-12-31 | 1999-07-26 | 쿵센 로 | Edible germ cultivation structure with germination body unit and water saving supply and drainage system of all stages |
| KR20150034672A (en) * | 2012-07-20 | 2015-04-03 | 남바프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Press molding with reinforcing ri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101810004B1 (en) * | 2016-08-03 | 2017-12-19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bag housing for vehicle |
| KR101886294B1 (en) * | 2017-11-21 | 2018-08-08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Rear seat, rear seat back frame and manufcturing method thereof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240051466A1 (en) * | 2022-08-11 | 2024-02-15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Motor vehicle with a cargo space and a cargo space well bounding the cargo space |
| DE102022120274A1 (en) | 2022-08-11 | 2024-02-22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Motor vehicle with a loading space and a loading space liner delimiting the loading space |
| DE102022120274B4 (en) * | 2022-08-11 | 2025-10-02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Motor vehicle with a loading space and a loading liner delimiting the loading spac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486950B2 (en) | Hybrid Composite Tailgate | |
| EP2763831B1 (en) | Compression overmolding process and device therefor | |
| WO2009142291A1 (en) | Molded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 |
| KR102213502B1 (en) | Luggage li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JP2004041406A (en) | Resin safety shoe core | |
| US10160166B2 (en) | Production method for fiber-reinforced component | |
| JP2015178241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iber reinforced resin material | |
| US20040226191A1 (en) | Toecap made from woven layers of continuous strands aligned in layer-specific orientation | |
| KR10215220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spension for vehicle inclusing insert overmolding for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 |
| KR102212230B1 (en) | Trunk for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JP6776944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 | |
| CN106687271B (en) | Method for producing a multi-shell composite component with an integrated reinforcing structure and multi-shell composite component produced therefrom | |
| CN108724602B (en) | Resi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 CA2682288A1 (en) | Method for making a thermoplastic composite part by molding | |
| CN107433723B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pare and accessory parts | |
| KR101932635B1 (en) | Composite material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 |
| EP0979165B1 (en) | Composite plastic material toe caps for security shoes, and fabrication process | |
| KR20180105024A (en) | Composite molding mehtod and side seal manufactured thereby | |
| CN214773523U (en) | Hybrid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vehicle and insert | |
| CN110116522B (en) | Prepreg part comprising a main layer and a reinforcement layer | |
| KR101999438B1 (en) | Bicycle frame | |
| US11806951B2 (en) | Method for producing a structural subassembly and structural subassembly | |
| CN116491017A (en) | Battery housing with reinforced fibrous web, method of manufacture, and traction battery | |
| KR20150079267A (en) | Front End Module Carrier containing continuous fiber t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102797154B1 (en) | Products and Overmolding process of 3D printing with recycled composite material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5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